KR20220063084A -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 Google Patents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84A
KR20220063084A KR1020210124727A KR20210124727A KR20220063084A KR 20220063084 A KR20220063084 A KR 20220063084A KR 1020210124727 A KR1020210124727 A KR 1020210124727A KR 20210124727 A KR20210124727 A KR 20210124727A KR 20220063084 A KR20220063084 A KR 2022006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orthodontic
screw
supported
maxillary den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토 구로에
Original Assignee
이료호진 구로에 구리닛쿠
가부시키가이샤 덴타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료호진 구로에 구리닛쿠, 가부시키가이샤 덴타리도 filed Critical 이료호진 구로에 구리닛쿠
Publication of KR2022006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종래의 팬 타입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또한 측방으로의 확대도 충분히 도모함으로써, 상악골 및 상악치열의 형태적인 개선, 나아가서는 전신적인 기능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악골(A)와 상악치열(B)을 확대시키기 위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로서, 간격(L)을 두고 설치된 2개의 힌지(1, 2)를 각 지점으로 하여 스크루(3)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전단측이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는 2개의 중간부재(4, 5)와, 각 중간부재(4, 5)에 지지되고 각 중간부재(4, 5)로부터 측방 및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암부재(6, 7)와, 각 암부재(6, 7)에 지지되고 상악치열(B)의 양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에 장착되는 복수의 파지부재(8∼1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교정용 확대장치{EXTENSION DEVICE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과교정치료(齒科矯正治療)에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악골(上顎骨)과 상악치열(上顎齒列)의 확대에 사용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정교합(不正咬合)의 실태로서, 부정교합의 병인(病因)은, 상하 악골(顎骨)의 열성장(劣成長)(악골의 협착과 후퇴에 의한 소형화)과 치열의 협착, 또한 치관 사이즈(齒冠 size)의 대형화에 있다. 상하 악골의 열성장과 치열의 협착, 치관 사이즈의 대형화는, 중안면(中顔面)이 돌출된 전돌양 안모(prognathic appearance), 하악(下顎)이 돌출된 하악 전돌양 안모, 덧니, 총생(叢生) 등의 형태적인 골격의 이상, 또한 섭식(攝食), 저작(咀嚼), 연하(嚥下), 호흡, 수면 등의 전신적인 기능이상의 병인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얼굴이나 악골의 기반이 되는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치열의 협착은, 모든 부정교합의 병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부정교합의 치료에는, 상하 악골의 소형화와 치관 사이즈의 대형화의 개선이 필요하다. 상악골의 소형화의 개선에는 확대장치가 효과적이다. 치관 사이즈의 소형화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구치(永久齒)의 발치(拔齒)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상악골과 상악치열을 확대하여 본래의 형태로 되돌릴 수 있다면, 발치를 선택하지 않고 치료를 할 수 있다. 교정치과치료의 성부(成否)에는, 부정요인에 대한 원인요법인 상악골과 상악치열의 확대가 크게 관계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치과교정치료에 사용되는 확대장치는, 구조의 차이에 따라 3개의 타입(하이랙스 타입(hyrax type), 유니버설 타입(universal type), 팬 타입(fan type))으로 대별된다. 하이랙스 타입과 유니버설 타입은, 상악골의 중앙에서부터 전후로 연장되는 정중구개봉합(正中口蓋縫合)에 대하여 확대용의 스크루(screw)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면에서 보아서 상악골과 상악치열의 측방 세그먼트가 대략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확대된다. 특허문헌1의 도1에 나타내는 장치는, 하이랙스 타입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중앙의 유닛에 2개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암(arm)을 구비하고, 각 암에는 치아에 대한 부착밴드가 설치되고,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상악골과 상악치열의 측방 세그먼트가 대략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팬 타입은, 확대용의 스크루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지만, 확대 시의 지점(支點)으로서 후단(後端)에 1개의 힌지(hinge)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를 회전시키면,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확대용의 암이 열려서, 수평면에서 보아서 상악골과 상악치열의 측방 세그먼트가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이동하여 부채 모양으로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도2에 나타내는 장치는 팬 타입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169385호 공보
하이랙스 타입은, 상악골 및 상악치열의 협착을 동반하는 부정교합의 개선에 효과가 있지만, 상악골 및 상악치열의 후퇴를 동반하는 부정교합은 개선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팬 타입은, 부채 모양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상악골과 상악치열의 후퇴를 동반하는 부정교합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팬 타입은, 특허문헌1의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가 1개이기 때문에, 스크루에서부터 힌지까지의 전후지름(전후길이)이 길어지게 되어, 구개(口蓋)의 후방부의 연구개(軟口蓋)에 힌지가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팬 타입은, 부채 모양의 확대는 할 수 있지만, 측방으로의 확대가 작아서, 상악골 및 상악치열의 협착에 대해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팬 타입은, 다양한 골격이나 치열교합(齒列咬合)의 이상을 개선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교정치과치료에 있어서, 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결과가 되고, 이에 따라 상악골이나 상악치열의 형태적인 개선을 충분하게 할 수 없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팬 타입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또한 측방으로의 확대도 충분히 도모함으로써, 상악골 및 상악치열의 형태적인 개선, 나아가서는 전신적인 기능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도모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과교정치료에 사용되고 상악골과 상악치열을 확대하기 위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로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힌지를 각 지점으로 하여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전단측이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는 2개의 중간부재와, 각 중간부재에 지지되고 각 중간부재로부터 측방 및/또는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암부재와, 각 암부재에 지지되고 상악치열의 양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에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는, 상기 2개의 힌지가, 연결부재의 양단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일방의 힌지 및 연결부재의 일단이 일방의 중간부재의 후단 지지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타방의 힌지 및 연결부재의 타단이 타방의 중간부재의 후단 지지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는, 상기 2개의 중간부재가,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따라 각각의 힌지를 지점으로 하는 동작을 동기시키는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3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는, 상기 각 파지부재가 상악치열의 양측의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2개의 중간부재가 각각의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전단측이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2개의 중간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4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는, 상기 각 파지부재가 상악치열의 양측의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2개의 중간부재가 각각의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전단측이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각 파지부재가 상악골의 정중구개봉합을 중심선으로 하여 대략 좌우대칭이 되는 방향의 부채 모양 및 측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5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에 의하면, 상악골 및 상악치열의 확대용으로 2개의 힌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팬 타입에 비하여 스크루에서부터 지점까지의 전후지름을 짧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구개의 후방부의 연구개에 힌지가 걸리는 등의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섭식, 저작, 연하, 발어(發語), 구음(構音), 호흡, 수면 등의 기능에 장해를 주지 않아서, 상악골이 작은 소아(小兒)에게도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등 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의 선택의 폭을 확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팬 타입에 비하여 상악골 및 상악치열을 부채 모양으로 크게 확대시킴과 아울러, 동시에 상악치열의 측방 세그먼트를 측방으로 크게 확대시킬 수 있어, 상악골이나 상악치열의 형태적인 개선, 나아가서는 전신적인 기능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를 상악골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본 발명에 관한 확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 도2에 나타내는 확대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4] 본 발명에 관한 확대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스크루를 회전조작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본 발명에 관한 확대장치의 확대 전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확대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확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상악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확대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장치를 사용하여 확대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도6은 본 발명에 관한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S는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齒科矯正用 擴大裝置)를 나타내고 있다.
치과교정용 확대장치(S)(이하, 본 장치(S)라고 한다)는, 치과교정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악골(上顎骨)과 상악치열(上顎齒列)을 확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장치(S)는, 2개의 힌지(hinge)(1, 2)를 각 지점(支點)으로 하여 스크루(screw)(3)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전단측(前端側)이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從動)할 수 있는 2개의 중간부재(4, 5)와, 각 중간부재(4, 5)로부터 측방 및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된 2개의 암유닛(arm unit)(6, 7)과, 각 암유닛(6, 7)의 선단(先端)에 부착된 4개의 밴드부재(band部材)(8∼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2개의 힌지(1, 2)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2)의 양단(兩端)에 간격(L)을 두고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일방(一方)의 힌지(1) 및 연결부재(12)의 일단(一端)은, 일방의 중간부재(4)의 후단 지지부(後端 支持部)(4a)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타방(他方)의 힌지(2) 및 연결부재(12)의 타단(他端)은, 타방의 중간부재(5)의 후단 지지부(5a)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간격(L)은 3mm∼6m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루(3)는,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좌우의 스크루체(3A, 3B)가 중간의 조작체(13)에 의하여 동축(同軸) 상에 고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스크루체(3A, 3B)의 주위에는, 서로 반대방향이 되는 나선나사(3a, 3b)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의 조작체(13)에는, 확대용의 스크루(3)를 회전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관통구멍(13a)이 둘레 상의 복수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스크루(3)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중간부재(4)의 전단 지지부(前端 支持部)(4b)와 타방의 중간부재(5)의 전단 지지부(5b)의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일방의 중간부재(4)의 전단 지지부(4b)에 중간 지지축(14A)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軸支)되어 있고, 타방의 중간부재(5)의 전단 지지부(5b)에 중간 지지축(14B)이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되어 있다. 일방의 중간 지지축(14A)에는, 일방의 스크루체(3A)의 나선나사(3a)와 나사결합되는 나선홈(도시하지 않음)이 내주면에 형성된 홈구멍(14a)이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중간 지지축(14B)에는, 타방의 스크루체(3B)의 나선나사(3b)와 나사결합되는 나선홈(도시하지 않음)이 내주면에 형성된 홈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루(3)는, 중간에 조작체(13)가 배치되는 형태로서, 일방의 스크루체(3A)가 중간 지지축(14A)을 통하여 중간부재(4)의 전단 지지부(4b)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타방의 스크루체(3B)가 중간 지지축(14B)을 통하여 중간부재(5)의 전단 지지부(5b)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의 조작체(13)를 축 둘레의 일방향(一方向)으로 회전조작하면, 중간 지지축(14A, 14B)이 좌우로 이간(離間)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힌지(1, 2)를 각 지점으로 하여 2개의 중간부재(4, 5)가 전단측이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고, 중간의 조작체(13)를 축 둘레의 타방향(他方向)으로 회전조작하면, 중간 지지축(14A, 14B)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힌지(1, 2)를 각 지점으로 하여 2개의 중간부재(4, 5)가 전단측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종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중간부재(4, 5)는, 스크루(3)의 회전조작 시에 각각의 전단 지지부(4b, 5b)를 역점(力點), 힌지(1, 2)를 지점으로 하여, 스크루(3)의 회전조작에 의한 힘을 좌우의 암유닛(6, 7)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암유닛(6, 7)을 통한 좌우의 밴드부재(8∼11)의 확대 시에 자신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좌우의 밴드부재(8∼11)의 부채 모양의 확대와 측방으로의 확대가 한층 더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도5(A) 및 도5(B)를 참조). 또한 2개의 중간부재(4, 5)는 각각의 후단(後端)에, 서로 맞물려서 2개의 중간부재(4, 5)의 움직임에 동기(同期)시키는 기어 모양의 맞물림부(4c, 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암유닛(6, 7)은, 중간부재(4, 5)에 고정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일방의 암유닛(6)은, U자 모양의 굴곡부(6a)가 일방의 중간부재(4)의 중간에 형성된 암 고정부(4d)에 고정되어 있고, 굴곡부(6a)로부터 2개의 암부재(6A, 6B)가 부채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방의 암부재(6A)는 약간 상방을 향하여(상악골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하방을 향하게 된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타방의 암부재(6B)는 약간 상방을 향하여 측방 및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타방의 암유닛(7)은, U자 모양의 굴곡부(7a)가 타방의 중간부재(5)의 중간에 형성된 암 고정부(5d)에 고정되어 있고, 굴곡부(7a)로부터 2개의 암부재(7A, 7B)가 부채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방의 암부재(7A)는 약간 상방을 향하여(상악골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하방을 향하게 된다)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타방의 암부재(7B)는 약간 상방을 향하여 측방 및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암유닛(6)은, 2개의 암부재(6A, 6B)의 선단(先端) 상호간이 상악치열(B)의 내측에서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는 연결부재(6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악치열(B)의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6C)에서부터 중간위치까지 활모양으로 연장되는 활모양 부재(6D)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구조의 암유닛(7)은, 2개의 암부재(7A, 7B)의 선단 상호간이 상악치열(B)의 내측에서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는 연결부재(7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악치열(B)의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7C)에서부터 중간위치까지 활모양으로 연장되는 활모양 부재(7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밴드부재(8∼11)는, 정중구개봉합(正中口蓋縫合)(c)을 중간선으로 하여, 좌우의 상악치열(B, B)에 있어서의 측방 세그먼트의 복수의 치관(齒冠)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방의 2개의 밴드부재(8, 9)는 암유닛(6)의 암부재(6A, 6B)의 선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2개의 밴드부재(10, 11)는 암유닛(7)의 암부재(7A, 7B)의 선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장치(S)에 있어서, 각 부재, 즉 2개의 힌지(1, 2), 스크루(3), 2개의 중간부재(4, 5), 2개의 암유닛(6, 7), 4개의 밴드부재(8∼11), 연결부재(12), 조작체(13), 중간 지지축(14A, 14B)은, 모두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장치(S)의 사용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피시술자에 대하여 시술자가 본 장치(S)를 장착한다(도1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피시술자가 입을 벌린 시술자세에서,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상악(A) 및 상악치열(B)에 본 장치(S)를 장착한다.
본 장치(S)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중간부재(4, 5)가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암유닛(6)의 선단의 밴드부재(8, 9) 중에서, 일방의 밴드부재(8)는 상악치열(B)의 일방의 측방 세그먼트(우측)(도1에서는 좌측에 위치한다)의 대구치(大臼齒)의 치관(齒冠)(b1)에 장착되고, 타방의 밴드부재(9)는 상악치열(B)의 일방의 측방 세그먼트(우측)의 소구치의 치관(b2)에 장착된다. 또한 타방의 암유닛(7)의 선단의 밴드부재(10, 11) 중에서, 일방의 밴드부재(10)는 상악치열(B)의 타방의 측방 세그먼트(좌측)(도1에서는 우측에 위치한다)의 대구치의 치관(b3)에 장착되고, 타방의 밴드부재(11)는 상악치열(B)의 타방의 측방 세그먼트(좌측)의 소구치의 치관(b4)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장치(S)를 피시술자의 상악골(A) 및 상악치열(B)에 장착하면, 막대 모양의 조작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상악골(A)의 중앙을 통과하는 정중구개봉합(c)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조작체(13)의 조작용 관통구멍(13a)에 끼워 넣고, 조작체(13)를 축방향의 일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가로방향의 스크루(3)를 회전시킨다.
가로방향의 스크루(3)를 회전시키면, 중간 지지축(14A, 14B)이 좌우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5(A) 및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중간부재(4, 5)가, 2개의 힌지(1, 2)를 각 지점으로 하여 전단측이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여, 좌우의 암유닛(6, 7)을 통하여 도면 좌측의 2개의 밴드부재(8, 9) 및 도면 우측의 2개의 밴드부재(10, 11)를 도5(B)의 화살표와 같이 확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좌측의 2개의 밴드부재(8, 9) 및 우측의 2개의 밴드부재(10, 11)의 확대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2개의 중간부재(4, 5)는 도5(B)의 화살표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좌측의 2개의 밴드부재(8, 9) 및 우측의 2개의 밴드부재(10, 11)의 확대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어, 상악치열(B)을 부채 모양으로 크게 확대시키고, 또한 상악치열(B)의 측방 세그먼트를 측방으로 크게 확대시킨다. 이에 따라 상악치열(B)이 효과적으로 확대된다. 도4는 확대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장치(S)가 장착된 상악골(A)은, 도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중구개봉합(c)과, 전방 쪽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치봉합(切齒縫合)(t1)과, 후방 쪽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횡구개봉합(橫口蓋縫合)(t2)이, 본 장치(S)의 작용에 의하여,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벌어져서 부채 모양으로 크게 확대되고, 동시에 측방으로 확대된다.
도1에 나타내는 본 장치(S)를 시험제작하여 계측한 바, 스크루(3)의 회전에 의하여 중간부재(4, 5)의 전단 지지부(4b, 5b) 사이의 확대량(도5의 w1―w0)을 4mm로 하였을 때에, 측방으로의 이동량(도5의 x1―x0)은 4mm이고, 전방으로의 이동량(도5의 y0―y1)은 4mm이었다. 또 힌지(1, 2) 사이의 간격(L)은 4mm이다. 스크루(3)의 회전에 의하여 중간부재(4, 5)의 전단 지지부(4b, 5b) 사이는 8mm까지 확대 가능하고, 확대량을 8mm로 한 경우에, 측방으로의 이동량은 10∼12mm, 전방으로의 이동량은 9∼10mm 각각 가능하다.
본 장치(S)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장치(S)는, 확대용으로 2개의 힌지(1, 2)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팬 타입(fan type)(1개의 힌지(h1)를 지점으로 하여 확대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확대용의 스크루(3)와 힌지 사이의 전후지름(스크루와 힌지 사이의 전후거리), 즉 힌지부의 길이(d)(종래의 팬 타입의 힌지부의 길이(d1))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힌지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장치(S)의 장착상태에서 구개(口蓋)의 후방부의 연구개(軟口蓋)에 힌지부가 걸리지 않게 되어, 점막(粘膜)이나 연구개를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힌지부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스크루부를 후방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확대량(확대율)을 얻을 수 있다.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은, 섭식(攝食), 저작(咀嚼), 연하(嚥下), 발어(發語), 구음(構音), 호흡, 수면 등의 기능에 장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치료하는 환자의 폭이 넓어져서, 상악골이 작은 소아(小兒)에게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장치(S)는, 2개의 힌지(1, 2)를 지점으로 하여 부채 모양으로 확대시키기 때문에, 1개의 힌지(h1)를 지점으로 하여 확대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확대에 동반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확대 시에 스크루나 힌지부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아서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장치(S)에 의하면, 부정교합(不正咬合)의 병인(病因)이 되는 상악골의 열성장(劣成長)과 상악치열(上顎齒列)의 협착(狹窄)을 모두 개선할 수 있는 장치로서 큰 역할을 하여, 상악골이나 상악치열의 형태적인 개선, 게다가 섭식, 저작, 연하, 호흡, 수면 등의 전신적인 기능의 개선을 더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는, 성인, 소아, 고령자에 관계 없이, 특히 상악골이나 상악치열의 형태적인 개선, 나아가서는 전신적인 기능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는, 교정치과치료에 제공되는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2 : 힌지
3 : 스크루
3A, 3B : 스크루체
3a, 3b : 나선나사
4, 5 : 중간부재
4a, 5a : 후단 지지부
4b, 5b : 전단 지지부
4c, 5c : 맞물림부
4d, 5d : 암 고정부
6, 7 : 암유닛
6a, 7a : 굴곡부
6A, 6B, 7A, 7B : 암부재
6C, 7C, 12 : 연결부재
6D, 7D : 활모양 부재
8, 9, 10, 11 : 밴드부재(파지부재)
13 : 조작체
13a : 조작용 관통구멍
14A, 14B : 중간 지지축
14a, 14b : 홈구멍
A : 상악골
B : 상악치열
b1, b3 : 대구치의 치관
b2, b4 : 소구치의 치관
S : 본 장치(치과교정용 확대장치)

Claims (5)

  1. 치과교정치료에 사용되고, 상악골(上顎骨)과 상악치열(上顎齒列)을 확대하기 위한 치과교정용 확대장치(齒科矯正用 擴大裝置)로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힌지(hinge)를 각 지점(支點)으로 하여 스크루(screw)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전단측(前端側)이 서로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從動)하는 2개의 중간부재와, 각 중간부재에 지지되고 각 중간부재로부터 측방 및/또는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암부재(arm部材)와, 각 암부재에 지지되고 상악치열의 양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齒冠)에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파지부재(把持部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힌지가, 연결부재의 양단(兩端)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일방(一方)의 힌지 및 연결부재의 일단(一端)이 일방의 중간부재의 후단 지지부(後端 支持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타방(他方)의 힌지 및 연결부재의 타단(他端)이 타방의 중간부재의 후단 지지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중간부재가,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따라 각각의 힌지를 지점으로 하는 동작을 동기(同期)시키는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파지부재가 상악치열의 양측의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2개의 중간부재가 각각의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전단측이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2개의 중간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지부재가 상악치열의 양측의 측방 세그먼트의 치관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루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2개의 중간부재가 각각의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전단측이 열리는 방향으로 종동하는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각 파지부재가 상악골의 정중구개봉합(正中口蓋縫合)을 중심선으로 하여 좌우대칭이 되는 방향의 부채 모양 및 측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KR1020210124727A 2020-11-09 2021-09-17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KR20220063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6665A JP2022076306A (ja) 2020-11-09 2020-11-09 歯科矯正用拡大装置
JPJP-P-2020-186665 2020-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84A true KR20220063084A (ko) 2022-05-17

Family

ID=7526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727A KR20220063084A (ko) 2020-11-09 2021-09-17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42742A1 (ko)
JP (1) JP2022076306A (ko)
KR (1) KR20220063084A (ko)
DE (1) DE202021101193U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385A (ja) 1997-11-27 1999-06-29 Leone Spa 歯科矯正展開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1518B2 (en) * 2001-07-02 2006-03-14 Deluke Anthony G Contoured palatal expander
JP6847792B2 (ja) * 2017-09-05 2021-03-24 株式会社デンテック エキスパンションスクリュー
US11589958B2 (en) * 2019-12-31 2023-02-28 Joseph Yousefian Pharyngorofacial expander appliance and protoc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385A (ja) 1997-11-27 1999-06-29 Leone Spa 歯科矯正展開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1101193U1 (de) 2021-03-16
US20220142742A1 (en) 2022-05-12
JP2022076306A (ja)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zrahi A review of anterior open bite
Agarwal et al. Maxillary expansion
JP6082727B2 (ja) 突出口矯正ワイヤ及びこれを有する突出口矯正システム
Toroglu et al. Asymmetric maxillary expansion (AMEX) appliance for treatment of true unilateral posterior crossbite
Üçem et al. Effects of a three-dimensional bimetric maxillary distalizing arch
KR200457198Y1 (ko)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JP2020501837A (ja) 上顎歯列矯正装置
TW202137944A (zh) 齒列矯正牙套及其製造方法
CN111166513B (zh) 前方牵引口内装置及其制造方法
CN215458810U (zh) 齿列矫正牙套
CN113893046B (zh) 齿列矫正套件及其制造方法
Kondo et al. Nonsurgical and nonextraction treatment of a skeletal class III adult patient with severe prognathic mandible.
Martina et al. Class I malocclusion with severe open bite skeletal pattern treatment
KR20220063084A (ko) 치과교정용 확대장치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Chakraborty et al. Tongue: Anatomy, functions and orthodontic implications
RU2737219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лубокой окклюзии при сужении и укорочении верхнего зубного ряда у детей с односторонней полной расщелиной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в период сменного прикуса
KR101205632B1 (ko)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
Bolya et al. Intraoral approach to molar distalization: A review
CN111759492A (zh) 一种正畸用下颌前导装置
Nanda et al. Nonextraction class II correction
Ngan et al. Guidance of eruption for general practitioners
RU2587303C1 (ru) Ап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гнатической формы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и у подростков
CN220988953U (zh) 牙周内窥镜探针头
CN219680806U (zh) 牙科正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