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042A -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 Google Patents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42A
KR20220063042A KR1020200148910A KR20200148910A KR20220063042A KR 20220063042 A KR20220063042 A KR 20220063042A KR 1020200148910 A KR1020200148910 A KR 1020200148910A KR 20200148910 A KR20200148910 A KR 20200148910A KR 20220063042 A KR20220063042 A KR 2022006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unit
pressure
tempera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167B1 (ko
Inventor
엄용회
김웅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로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to KR102020014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1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47J31/10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with a valve at the water heating containe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그룹헤드를 포함하는 본체; 급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포타필터장치; 온수 및 스팀을 보유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수공급부;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및 상기 온도조절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타필터장치는, 커피퍽을 수용하는 커피 바스켓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과 결합가능한 포타필터부; 및 상기 커피 바스켓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을 통과한 후의 온도 또는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초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미리 조절하여 커피의 향과 맛을 더욱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 ESPRESSO COFFEE MACHINE LINKED WITH A PORTA FILT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AND PRESSURE }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커피 음료는 크게 인스턴트 커피와 원두 커피로 구분된다.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여과법과 달임법, 우려내기, 가압추출법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여과법인 드립(Drip)식 커피와 가압추출법인 에스프레소 커피이다.
에스프레소 커피란, 공기를 압축하여 뽑아낸 커피를 데미타세(Demitasse) 잔에 마시는 아주 진한 이탈리아식 커피로서,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추출된 커피이다.
이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포타 필터(porta filter))과,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보일러와, 커피 원두에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 가정 등에서 사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특히, 종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 중 하나로는, 볶은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역삼각 원추형의 필터에 담은 후에, 커피 드립이라고 하는 추출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커피 원두를 필터 위에 놓고, 가열수를 부어준 다음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커피를 받는 컵의 고리를 잡고서 추출기의 필터 위치 아래에 형성된 배출구 밑으로 서랍처럼 밀면, 추출기에 설치된 스위치가 작동하여 가열 수단이 동작하도록 하며, 이때 물이 가열되어 커피 위에 고이면 에스프레소가 추출되며, 중력의 영향에 의하여 에스프레소가 아래로 추출 되도록 하는 장치가 있다.
에스프레소 커피의 풍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커피 생두의 종류와, 로스팅(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이다. 커피나무의 열매(Cherry) 안에는 두 개의 씨앗이 있는데 이를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생두 상태에서는 아무 맛이 없고 그저 딱딱한 씨앗에 불과나, 로스팅 과정을 거칠 경우 생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풍미를 나타낸다.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팽창시키고 화학 변화를 일으켜 맛과 향을 끌어내는 작업으로서, '시간과 온도에 의존하는 공정(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이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불쾌한 향미의 생두가 진한 갈색의 고소한 원두로 탈바꿈되면서 비로소 원두커피로 재탄생된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생두에는 60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생두의 종류 및 로스팅 정도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수준에서 제어할 수 없는 영역으로, 머신 수준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커피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조절변수는 입자 분쇄도, 템핑 압력, 수압, 수온 및 추출량이다.
커피 풍미의 조절이 가능한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과 관련된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7659호(발명의 명칭 : 커피 풍미를 복제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커피 음료의 브루잉(brewing)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으로서, 커피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브루 파라미터(brew parameter)의 세트와 연관되는, 상기 커피 음료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는 단계; 및 브루 파라미터의 세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브루 파라미터의 세트를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의 브루잉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의 경우 상기 브루 파라미터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서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동작은 머신에 장착되어 있는 포타필터를 분리하고 그 안에 있는 바스켓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일이다.
그 다음은 바스켓부에 에스프레소 레시피에 맞는 원두를 고르게 담고 손을 이용해서 바스켓부에 담긴 원두를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하는데 이를 ‘레벨링(leveling)’이라고 한다. 다음 탬퍼(tamper)라는 도구를 사용해서 수직으로 위에서 눌러서 담긴 원두를 다지는 작업을 하는데 이것은 ‘탬핑(tamping)’이라고 한다. 레벨링과 탬핑을 하는 이유는 높은 압력으로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채널링(channeling)’이 없이 안정적으로 에스프레소가 추출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채널링은 머신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물이 커피층의 밀도가 고르지 못한 쪽으로 물길(chnnel)을 내어서 그쪽으로 물이 더 많이 흐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채널링이 일어나면 물에 더 많이 접촉하는 커피에서는 커피 성분이 더 많이 추출이 되고 그렇게 되면 추출 후반부에 나오는 기분 나쁜 쓴맛이 나오고 적게 접촉한 쪽은 추출 초반의 강한 신맛만 추출이 되어서 에스프레소의 전체적인 균형이 무너지게 된다.
따라서, 바스켓부에 담긴 원두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압력은 커피의 향과 맛을 높이기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원두가루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원두가루를 통과하며 그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커피의 향과 맛은 손실되거나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타필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에는 포타필터에 온도센서가 장착되어 포타필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체크가능하였지만, 원두가루를 담아 커피를 추출하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76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타필터 또는 바스켓에 담긴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이 상기 커피가루를 통과하면서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초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미리 조절하여 커피의 향과 맛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스켓에 담긴 커피가루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물의 공급온도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타필터장치에 디스플레이부와 알람부를 배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물의 온도 및 압력을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그룹헤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그룹헤드에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이 수용되는 포타필터장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온수 및 스팀을 보유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온수공급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온수공급부에서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온수공급부에서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온도조절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타필터장치는, 밑면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오목한 용기형상이고, 커피원두가 분쇄된 커피가루가 채워져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커피퍽을 수용하는 커피 바스켓부; 오목한 용기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커피 바스켓부이 수용되고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과 결합가능한 포타필터부; 및 상기 커피 바스켓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을 통과한 후의 온도 또는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값 또는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데이터값이 상기 온도설정부 또는 상기 압력설정부에서 설정된 값과 미리 정해진 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인성을 갖도록 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온도설정부의 온도설정과 상기 압력설정부의 압력설정을 위한 조작버튼이 마련된 제어조작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제어조작패널은 터치 스크린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포타필터장치는, 상기 포타필터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커피가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포타필터의 하측에 마련된 배출구; 상기 포타필터부의 일측에 마련된 연결체;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압력값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값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포타필터는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와 결합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에 마련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상기 커피퍽에 미리 정해진 양의 물을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어부에 블루투스 방식 또는 무선 전송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있어서, 상기 커피 바스켓과 상기 포타필터는 상호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초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미리 조절하여 커피의 향과 맛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스켓에 담긴 커피가루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물의 공급온도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커피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조절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타필터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알람부를 통해 물의 온도 및 압력을 직접 확인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본체(100), 물공급부(110), 포타필터장치(120), 보일러(미도시), 온수공급부(130), 온도설정부(140), 압력설정부(150), 온도조절부(160), 압력조절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그룹헤드(101)가 마련될 수 있다.
물공급부(110)는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공급부(110)는 외부의 급수원(111)으로부터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포타필터장치(120)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원두를 분쇄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고 그룹헤드(101)에 결합될 수 있다. 포타필터장치(120)에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일러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일러는 별도의 히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온수 및 스팀을 보유할 수 있다.
온수공급부(130)는 상기 보일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그룹헤드(101)를 통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온도설정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공급부(130)에서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압력설정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공급부(130)에서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160)는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70)는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후술하는 센서부(123)로부터 송신된 상기 커피퍽을 통과한 물의 온도값과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값의 데이터값을 수신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여 온도조절부(160) 또는 압력조절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조작패널(190)은 사용자가 시인성을 갖도록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조작패널(190)은 본체(10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조작패널(190)은 제어부(180)와 온도설정부(140), 압력설정부(150) 및 조작버튼(19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버튼(191)을 조작하여 온도설정부(140) 또는 압력설정부(150)의 설정온도 또는 설정압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온도 또는 압력으로 설정가능하다.
한편, 제어조작패널(190)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타필터장치(12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타필터장치(120)는 커피바스켓부(121), 포타필터부(122), 배출부(124), 연결부(125), 손잡이부(126), 센서부(123), 송신부(127), 디스플레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바스켓부(121)는 오목한 용기형상일 수 있다. 커피바스켓부(121)는 밑면에 복수 개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커피바스켓부(121)의 내부에 원두가 분쇄된 커피카루가 채워질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탬퍼링된 후 상기 커피가루는 커피퍽(coffee puck)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타필터부(122)는 커피바스켓부(121)가 삽입되는 오목한 용기형상일 수 있다. 포타필터부(122)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101)와 결합가능하다. 이때, 포타필터부(122)는 외주면 상측에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돌기(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고, 그룹헤드(101) 역시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회피부(미도시) 및 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포타필터부(122)와 그룹헤드(101)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피바스켓부(121)와 포타필터부(122) 사이에는 커피바스켓부(121)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선형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포타필터부(12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룹헤드(101)에 마련된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에 의해 상기 커피퍽에 미리 정해진 양의 물을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공급가능하다.
포타필터부(122)의 하측에는 배출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124)는 포타필터부(12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커피퍽이 채워진 커피바스켓부(121)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빠져 나온 커피는 포타필터부(122)의 배출부(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포타필터부(122)의 일측에는 연결부(125)가 마련되어 후술하는 손잡이부(126)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126)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연결부(125)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126)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센서부(123)는 커피바스켓부(1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23)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압력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을 통과한 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101)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온도일 수 있다. 하지만 물이 상기 커피퍽을 통과하면서 물의 온도는 낮아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온도의 커피를 추출하기가 어렵다.
송신부(127)는 센서부(123)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압력값을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8)로 전기적인 신호로써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127)가 디스플레이부(128)에 와이파이(Wireless-Fidelity, WIFI)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또는 무선 전송 방식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방식은 무선 전송 방식 중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무선 전송 방식을 상기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적용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8)는 손잡이부(126)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8) 또는 손잡이부(126)에는 별도의 조작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그룹헤드(101)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값 또는 압력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8)는 센서부(123)에서 측정된 데이터값, 즉 그룹헤드(101)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값 또는 압력값을 송신부(127)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8)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값을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타필터장치(120)는 알람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29)는 센서부(12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값이 사용자가 기설정한 값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알람부(129)는 발광부(129a) 또는 스피커부(129b)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29a)는 디스플레이부(128)의 테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부(129a)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LED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29a)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조명을 깜박이며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스피커부(129b)는 손잡이부(126)의 어느 일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경보음을 발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등지고 있는 경우 발광부(129a)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지 못할 수 있지만, 스피커부(129b)는 사용자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져 있더라도 음성으로써 상기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타필터장치(120)는 사용자에 의해 커피바스켓부(121)에 상기 커피가루를 채우기 전에 포타필터부(122)를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작동시켜 포타필터부(122)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타필터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8)에 나타나는 수치를 통해 상기 분사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데이터값의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미리 점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타필터장치(120)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결합가능하다.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은 온도설정부(140)와 압력설정부(150), 온도조절부(160), 압력조절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설정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압력설정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160)는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170)는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포타필터장치(120)의 센서부(123) 또는 송신부(127)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값을 수신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여 온도조절부(160) 또는 압력조절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센서부(123)가 측정한 데이터값이 온도설정부(140) 또는 압력설정부(150)에서 설정된 값과 미리 정해진 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온도조절부(160) 또는 압력조절부(170)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미리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와 압력을 설정하고, 센서부(123)가 상기 커피퍽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며, 센서부(123)가 감지한 데이터값을 송신부(127)를 통해 제어부(180)로 보내고, 제어부(180)는 수신한 데이터값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값과 압력값을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온도조절부(160) 또는 압력조절부(170)를 통해 상기 커피퍽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그룹헤드
110 : 물공급부 111 : 급수원
120 : 포타필터장치 121 : 커피바스켓부
122 : 포타필터부 123 : 센서부
124 : 배출부 125 : 연결부
126 : 손잡이부 127 : 송신부
128 : 디스플레이부 129 : 알람부
129a : 발광부 129b : 스피커부
130 : 온수공급부 140 : 온도설정부
150 : 압력설정부 160 : 온도조절부
170 : 압력조절부 180 : 제어부
190 : 제어조작패널 191 : 조작버튼

Claims (7)

  1. 그룹헤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상기 그룹헤드에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이 수용되는 포타필터장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온수 및 스팀을 보유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온수공급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온수공급부에서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온수공급부에서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및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온도조절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타필터장치는,
    밑면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오목한 용기형상이고, 커피원두가 분쇄된 커피가루가 채워져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커피퍽을 수용하는 커피 바스켓부;
    오목한 용기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커피 바스켓부이 수용되고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과 결합가능한 포타필터부; 및
    상기 커피 바스켓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을 통과한 후의 온도 또는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온도값 또는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데이터값이 상기 온도설정부 또는 상기 압력설정부에서 설정된 값과 미리 정해진 값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커피퍽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 또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 또는 상기 압력조절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인성을 갖도록 패널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온도설정부의 온도설정과 상기 압력설정부의 압력설정을 위한 조작버튼이 마련된 제어조작패널;
    을 더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조작패널은 터치 스크린 방식인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필터장치는,
    상기 포타필터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커피가 배출가능하도록 상기 포타필터의 하측에 마련된 배출구;
    상기 포타필터부의 일측에 마련된 연결체;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온도값과 압력값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값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필터는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그룹헤드와 결합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룹헤드에 마련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상기 커피퍽에 미리 정해진 양의 물을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공급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어부에 블루투스 방식 또는 무선 전송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바스켓과 상기 포타필터는 상호 분리가 가능한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KR1020200148910A 2020-11-09 2020-11-09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KR10243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910A KR102435167B1 (ko) 2020-11-09 2020-11-09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910A KR102435167B1 (ko) 2020-11-09 2020-11-09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42A true KR20220063042A (ko) 2022-05-17
KR102435167B1 KR102435167B1 (ko) 2022-08-23

Family

ID=8179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910A KR102435167B1 (ko) 2020-11-09 2020-11-09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913A (ko) 2022-09-06 2024-03-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커피 머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659A (ko) 2013-03-11 2015-11-17 네일 엠. 데이 커피 풍미를 복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242590A1 (en) * 2013-10-08 2016-08-25 Breville Pty Limited Adjustable Portafilter and Grind Adjustment
KR20200009669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후로웰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659A (ko) 2013-03-11 2015-11-17 네일 엠. 데이 커피 풍미를 복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242590A1 (en) * 2013-10-08 2016-08-25 Breville Pty Limited Adjustable Portafilter and Grind Adjustment
KR20200009669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후로웰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913A (ko) 2022-09-06 2024-03-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커피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167B1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856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US11266264B2 (en)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AU2011227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EP1658796A2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t drink
US20110212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ewed beverage quality
US20110005398A1 (en) Method and System to Produce Gourmet Coffee
KR101597969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6835845B2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KR102435167B1 (ko)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WO20201276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2435168B1 (ko) 포타필터장치
KR102112306B1 (ko) 드립 커피 추출방법 및 그 장치
KR102070510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1257302B1 (ko) 사이펀방식의 커피 추출기
US10820748B1 (en) Tea steep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15218A (ko) 전자 핸드 드립 세트 및 그 사용 방법
KR102467252B1 (ko)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20100117254A (ko) 드립식 음료 제조장치 사용방법
US20240099503A1 (en) A coffee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coffee machine
KR20230028361A (ko) 커피 콩을 위한 로스팅 및 가공 장치
JP2021180748A (ja) 成分抽出式飲料製造装置
JP2004154416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