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252B1 -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52B1
KR102467252B1 KR1020210026321A KR20210026321A KR102467252B1 KR 102467252 B1 KR102467252 B1 KR 102467252B1 KR 1020210026321 A KR1020210026321 A KR 1020210026321A KR 20210026321 A KR20210026321 A KR 20210026321A KR 102467252 B1 KR102467252 B1 KR 10246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machine
user
coffee
consumable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117A (ko
Inventor
엄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로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로웰
Priority to KR102021002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2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그룹헤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저장조, 상기 그룹헤드에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이 수용되는 포타필터 및 상기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커피머신; 상기 커피머신에서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값으로 전달받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값을 전달받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커피머신을 제어가능한 사용자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머신의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 및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전달받아 사용자가 커피머신을 수시로 점검하게 함으로써 커피의 품질과 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 COFFE MACHINE MANAGEMENT SYSTEM }
본 발명은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란, 공기를 압축하여 뽑아낸 커피를 데미타세(Demitasse) 잔에 마시는 아주 진한 이탈리아식 커피로서,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추출된 커피이다.
이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포타 필터(porta filter))과,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보일러와, 커피 원두에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 가정 등에서 사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특히, 종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 중 하나로는, 볶은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역삼각 원추형의 필터에 담은 후에, 커피 드립이라고 하는 추출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커피 원두를 필터 위에 놓고, 가열수를 부어준 다음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커피를 받는 컵의 고리를 잡고서 추출기의 필터 위치 아래에 형성된 배출구 밑으로 서랍처럼 밀면, 추출기에 설치된 스위치가 작동하여 가열 수단이 동작하도록 하며, 이때 물이 가열되어 커피 위에 고이면 에스프레소가 추출되며, 중력의 영향에 의하여 에스프레소가 아래로 추출 되도록 하는 장치가 있다.
에스프레소 커피의 풍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커피 생두의 종류와, 로스팅(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이다. 커피나무의 열매(Cherry) 안에는 두 개의 씨앗이 있는데 이를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생두 상태에서는 아무 맛이 없고 그저 딱딱한 씨앗에 불과나, 로스팅 과정을 거칠 경우 생두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풍미를 나타낸다.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팽창시키고 화학 변화를 일으켜 맛과 향을 끌어내는 작업으로서, '시간과 온도에 의존하는 공정(time temperature dependent process)'이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불쾌한 향미의 생두가 진한 갈색의 고소한 원두로 탈바꿈되면서 비로소 원두커피로 재탄생된다. 로스팅 과정을 거치며, 생두에는 60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화학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생두의 종류 및 로스팅 정도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수준에서 제어할 수 없는 영역으로, 머신 수준에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커피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조절변수는 입자 분쇄도, 템핑 압력, 수압, 수온 및 추출량이다.
커피 풍미의 조절이 가능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과 관련된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7659호(발명의 명칭 : 커피 풍미를 복제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커피 음료의 브루잉(brewing)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으로서, 커피 음료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브루 파라미터(brew parameter)의 세트와 연관되는, 상기 커피 음료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는 단계; 및 브루 파라미터의 세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브루 파라미터의 세트를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음료의 브루잉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바스켓부에 담긴 원두가루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압력은 커피의 향과 맛을 높이기에 매우 중요하지만 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커피머신을 사용하는 커피 전문점의 경우 시간제 직원에 의한 업무처리가 많기 때문에 직원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커피음료의 품질과 맛의 균일성 확립이 어려우며, 소모품 또한 현실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76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머신의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 및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전달받아 사용자가 커피머신을 수시로 점검하게 함으로써 커피의 품질과 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머신에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소모품을 보충하거나 교체 및 청소하는 시기 등을 미리 파악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에 효과적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피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나 근무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시간의 커피 추출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여 추출된 커피의 맛을 추적할 수 있는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은, 그룹헤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저장조, 상기 그룹헤드에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이 수용되는 포타필터 및 상기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커피머신; 상기 커피머신에서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값으로 전달받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값을 전달받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커피머신을 제어가능한 사용자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소모품들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 및 상기 커피머신과 상기 메인서버,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 및 상기 공급업체의 서버를 무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는 휴대폰 또는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 및 P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는 상기 커피머신에 사용되는 원두의 잔량, 상기 커피머신의 스케일링 시기, 상기 커피머신의 가스켓 상태 또는 상기 커피머신의 정수필터의 수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커피머신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품을 미리 준비하도록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커피머신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품을 미리 주문 요청할 것인지 묻는 메세지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피머신 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는, 상기 커피머신을 사용가능한 근무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피머신은, 상기 근무자를 구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수단은, 상기 포타필터 장치에 마련된 지문인식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수단에 의해 등록되지 않은 근무자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미승인자의 상기 커피머신 사용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머신의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 및 사용자의 전자기기로 전달받아 사용자가 커피머신을 수시로 점검하게 함으로써 커피의 품질과 맛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머신에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소모품을 보충하거나 교체 및 청소하는 시기 등을 미리 파악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에 효과적이다.
다른 또한 본 발명은 커피머신을 사용하는 사용자나 근무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시간의 커피 추출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여 추출된 커피의 맛을 추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사용자의 전자기기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사용자의 전자기기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은 커피머신(100)과 메인서버(200), 사용자의 전자기기(300) 및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머신(100)과 메인서버(200), 사용자의 전자기기(300) 및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망(500)을 이룰 수 있다.
커피머신(100)은 본체(미부호)와 그라인더(미도시), 저장조(미도시) 및 포타필터(110) 및 보일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그룹헤드(미부호)를 포함하며, 그룹헤드를 통해 저장조(미도시)의 물이 분사될 수 있다.
그라인더(미부호)는 원두를 분쇄할 수 있다.
저장조는 정수된 물을 보관할 수 있다.
포타필터(110)는 상기 그룹헤드와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이 수용될 수 있다. 참고로, 포타필터(110)는 손잡이 부분에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또는 근무자가 포타필터(110)를 파지하면 사용자 또는 근무자는 후술하는 메인서버(200)를 통해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보일러는 정수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피머신(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가 측정하는 여러 데이터 값을 사용자가 후술하는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커피머신(100)은 별도의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부의 버튼을 통해 커피머신(100) 작동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한편, 커피머신(100)은 사용자 등록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 또는 근무자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등록수단으로 ID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지문인식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 또는 근무자를 등록하고 확인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커피머신(100)은 사용자 식별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포타필터(110)는 지문인식수단(미도시)이 마련된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 또는 근무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 또는 근무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식별수단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 또는 근무자의 정보는 후술하는 메인서버(200) 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300)에 전달될 수 있다.
메인서버(200)는 각 센서들을 통해 커피머신(100)의 구성들의 상태, 즉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 값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소모품이란 원두 또는 가스켓 정수필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소모품의 상태 정보란 커피머신(100)에 사용되는 원두의 잔량, 커피머신(100)의 스케일링 시기, 커피머신(100)의 가스켓 상태 또는 커피머신(100)의 정수필터의 수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있다. 덧붙여서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 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커피머신(100)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에는 각각 센서가 마련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커피머신(100)의 다양한 구성의 상태 정보 데이터값은 메인서버(200)에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데이터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는 데이터값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참고로,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는 사용자가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및 PDA 등 사용자가 커피머신(100)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져서 상기 데이터값을 확인가능한 전자기기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는 커피머신(100)과 같이 사용자 등록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등록수단으로 ID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지문인식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 또는 근무자를 등록하고 확인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만약 사용자 등록수단으로 ID카드를 사용한다면,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는 ID카드 단말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록수단으로 지문인식 방식을 사용한다면, 사용자의 전자기기(300)에 지문인식기(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사용자의 전자기기(300) 자체에 지문인식기능이 있다고 이해해야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전자기기(300)가 커피머신(100)에서 등록한 사용자 또는 근무자의 정보를 최초로 전달받으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를 조작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근무자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식별수단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 또는 근무자의 정보를 수신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식별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받은 메인서버(200)는, 커피머신(1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수단에 의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근무자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전자기기(300)에 미승인자가 커피머신(100)을 사용한다는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인식케 할 수 있다.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400)는 커피머신(100)에 사용되는 소모품들을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다.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4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커피머신(100)의 상태정보를 데이터값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400)는 커피머신(100)의 소모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커피머신(100)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품을 미리 준비하도록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소모품 공급업체에서는 필요한 물품들을 점검하여 커피머신(100)의 사용자가 주문할 경우를 미리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400)는 메인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커피머신(100)의 소모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커피머신(100)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품을 미리 주문 요청할 것인지 묻는 메세지를 사용자의 전자기기(300)에 보냄으로써, 커피머신(100) 사용자의 의향을 물을 수 있다. 참고로, 메세지는 소모품 등의 주문창이 링크될 수 있다. 이때, 커피머신(100)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를 조작하여 현재 커피머신(100)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메세지의 주문창을 통해 필요한 소모품을 주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커피머신 110 : 포타필터
200 : 메인서버 300 : 사용자의 전자기기
400 :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 500 : 네트워크 통신망

Claims (9)

  1. 그룹헤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 정수된 물을 보관하는 저장조, 상기 그룹헤드에 결합되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분쇄된 커피가루로 형성된 커피퍽이 수용되는 포타필터 및 상기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를 포함하는 커피머신;
    상기 커피머신에서 사용되는 소모품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값으로 전달받고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는 상기 커피머신에 사용되는 원두의 잔량, 상기 커피머신의 스케일링 시기, 상기 커피머신의 가스켓 상태 또는 상기 커피머신의 정수필터의 수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값을 전달받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커피머신을 제어가능하며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데스크탑 및 PDA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의 전자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피머신 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는,
    상기 커피머신을 사용가능한 근무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피머신은,
    상기 근무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포타필터에 마련된 지문인식 수단으로 마련된 사용자 식별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수단에 의해 등록되지 않은 근무자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미승인자의 상기 커피머신 사용을 알리는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값을 전달받으며, 상기 소모품들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 및
    상기 커피머신과 상기 메인서버,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 및 상기 공급업체의 서버를 무선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을 포함하는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커피머신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품을 미리 준비하도록 알리는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공급업체의 서버는 상기 소모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커피머신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물품을 미리 주문 요청할 것인지 묻는 메세지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보내는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26321A 2021-02-26 2021-02-26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10246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21A KR102467252B1 (ko) 2021-02-26 2021-02-26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21A KR102467252B1 (ko) 2021-02-26 2021-02-26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117A KR20220122117A (ko) 2022-09-02
KR102467252B1 true KR102467252B1 (ko) 2022-11-16

Family

ID=8328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321A KR102467252B1 (ko) 2021-02-26 2021-02-26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2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660B1 (ko) *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136338B1 (ko) * 2019-08-23 2020-07-21 강상호 제품 재고량에 따른 자동 발주 기능이 구비된 자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44A (ko) * 2003-08-19 2003-09-29 (주)인터프로 인터넷을이용한키오스크자동판매장치 및 그관리운영시스템
EP2967248A2 (en) 2013-03-11 2016-01-20 Day, Neil M.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coffee flavor
KR20160149662A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스마트 커피 자판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778B1 (ko) * 2018-08-24 2021-02-10 주식회사 로브 바리스타 로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338B1 (ko) * 2019-08-23 2020-07-21 강상호 제품 재고량에 따른 자동 발주 기능이 구비된 자판기
KR102086660B1 (ko) *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117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8723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rranged to share capsule image and machine operation data
US9119505B2 (en) Coffee brewer and a corresponding network-based method and apparatus
US675907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CA2380439C (e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US20080201241A1 (en) Automated coffee system
EP1637055B1 (en) Method and systems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US20220313007A1 (en) Machine to prepare coffee beverages and corresponding regulation method
KR102467252B1 (ko) 커피머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CN107292712A (zh) 基于物联网技术的具有终端体验的解决茶品识别的方法
KR102070510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070509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161569B1 (ko) 사용자 맞춤형 반자동 커피머신
KR102435167B1 (ko) 온도 및 압력 측정용 포타필터장치와 연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JP2003506185A (ja) 入れたてコーヒーのカストマイズしたバラエティをオンデマンドで提供するために遅延希釈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371312B1 (en) Methods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KR20200009098A (ko) IoT 기반 실시간 커피머신 관리 시스템
KR20200009097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커피머신 관리 시스템
KR102435168B1 (ko) 포타필터장치
KR20100117254A (ko) 드립식 음료 제조장치 사용방법
JP2023530614A (ja) コーヒー豆のための焙煎及び処理装置
CN117273843A (zh) 冲泡饮品选购管理系统
CN117255213A (zh) 冲泡饮品影音互动系统
CN117273833A (zh) 冲泡饮品交易互动系统
CA2531245C (e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ration for providing customized beverages on dem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