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384A -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384A
KR20220062384A KR1020227012379A KR20227012379A KR20220062384A KR 20220062384 A KR20220062384 A KR 20220062384A KR 1020227012379 A KR1020227012379 A KR 1020227012379A KR 20227012379 A KR20227012379 A KR 20227012379A KR 20220062384 A KR20220062384 A KR 20220062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line
vacuum switch
fuel tank
control uni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피쉴러
토마스 쾨니히
Original Assignee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02M25/0818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having means for pressurising the evaporative emission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02M25/0827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by monitoring engine runn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8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the venting is actuated by specific signals or positions of particular parts
    • B60K2015/0358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the venting is actuated by specific signals or positions of particular parts by ga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유닛(ECU)을 갖고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2)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로서, 상기 환기 라인은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진단을 위해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은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알려진 탱크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탱크 시스템은 연료 탱크(1)를 갖는다.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는 환기 라인(2)이 제공된다. 연료 탱크에서 방출된 탄화수소는 활성탄 필터(3)에 결합된다. 탄화수소 가스는 활성탄 필터(3)로부터 탱크 환기 라인(2)을 통해 내연 엔진의 공기 경로로 도입된다. 스위칭 또는 선형 밸브로 설계된 탱크 환기 밸브(5)는 활성탄 필터(3)로부터 내연 엔진의 공기 경로로의 가스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엔진 제어기(ECU)에 의해 활성화된다. 연료 탱크(1)를 기밀 밀봉하기 위해 탱크 캡(6)이 제공된다. 탱크 압력 센서(7)가 연료 탱크(1)에 위치된다. 또한, 충전 레벨 센서(8)가 연료 탱크(1)에 제공되고, 이 충전 레벨 센서는 현재 연료 충전 레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엔진 제어기(ECU)는 각각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해 활성탄 필터(3)로부터 내연 엔진으로 청소 흐름을 위한 설정점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엔진 제어기(ECU)는 탱크 압력 센서(7)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출력 신호를 사용하여 흡기관의 흡기관 압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엔진 제어기(ECU)는 활성탄 필터(3)의 신선한 공기 연결부와 내연 엔진의 공기 경로의 입구 지점의 압력 사이의 압력 구배와 지정된 청소 흐름으로부터 탱크 환기 밸브(5)를 활성화하기 위한 PWM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엔진 제어기(ECU)는 내연 엔진의 각각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해 분사될 연료량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국가별 법률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 환기 시스템의 기능을 보장하거나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진단은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제공된 환기 라인(2)의 기능 또는 연통 여부를 점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환기 라인이 막히면, 연료 탱크에서 발생하는 탄화수소 증기를 활성탄 필터에서 흡수하는 것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막힘이 있는 경우, 연료 탱크에서 발생하는 양압으로 인해 자동차의 연료 보급이 매우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여, 그 결과 특히 탄화수소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연료 탱크(1)에 설치된 탱크 압력 센서(7)의 도움으로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내연 엔진의 특정 동작 상태에서, 탱크 환기 밸브(5)는 결과적인 질량 흐름에 의해 연료 탱크(1)의 배기를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된다. 그 결과, 환기 라인(2)의 품질을 점검하기 위해 탱크 환기 밸브의 활성화 동안 발생하는 연료 탱크의 압력 강하를 평가한다. 탱크 압력이 진단 동안 떨어지지 않으면, 환기 라인(2)은 결함 상태에 있거나 막힌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연료 탱크에 압력 센서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청구항 9는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유닛을 갖고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환기 라인은 연료 탱크와 활성탄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서 진단을 위해 진공 스위치의 상태를 평가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성탄 필터의 신선한 공기 측에 배치된 진공 스위치의 상태가 진단을 위해 평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 스위치의 상태 및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진단의 일부로서 평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공 스위치의 상태를 평가하기 전에 그리고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를 평가하기 전에 진공 스위치는 닫힌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가 공회전하는 동안 내연 엔진 동작 동안 진단이 수행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열린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것으로 검출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면 상기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연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이 수행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열린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것으로 검출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면 상기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이 정지되었을 때 상기 자동차에 연료 보급 후에 진단이 수행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재시작 후,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이전 정지 시점에서 측정된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이 상기 연료 탱크의 현재 측정된 충전 레벨과 비교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이전 정지 시점에서의 상기 진공 스위치의 위치가 상기 진공 스위치의 현재 위치와 비교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면 상기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것으로 검출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면 상기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이전 정지와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재시작 사이의 지속 시간이 측정되고, 측정된 지속 시간이 지정된 지속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진단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 제어 유닛을 갖고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환기 라인은 연료 탱크와 활성탄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엔진 제어 유닛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연료 탱크에 압력 센서를 배치하지 않고 내연 엔진에 의해 동작되는 자동차의 탱크 환기 라인을 진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방법은 연료 탱크 내 연료의 강한 기체 방출 및 관련된 압력의 증가에 둔감하다. 또한, 내연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 탱크 환기 제어에 능동적인 개입이 발생하지 않아 총 질량 처리량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활성탄 필터의 청소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방법은 연료 보급 과정 동안 그리고 엔진 제어 유닛이 시작된 직후에, 즉, 차량이 정지해 있을 때 수행되기 때문에 높은 차량 횡방향 또는 종방향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연료 탱크의 압력 변동의 영향이 없다. 마지막으로, 진단 방법은 탱크 압력 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현재 측정된 탱크 압력의 품질이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연료 충전 레벨과 독립적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특징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알려진 탱크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탱크 환기 라인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도 2에 도시된 탱크 시스템의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4는 탱크 환기 라인이 막힌 경우 도 2에 도시된 탱크 시스템의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5는 탱크 환기 라인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6은 탱크 환기 라인이 막힌 경우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7은 탱크 환기 라인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을 재시작한 후 진단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8은 탱크 환기 라인이 막힌 경우 제어 유닛을 재시작한 후 진단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 탱크 시스템은 연료 탱크(1), 탱크 환기 라인(2), 활성탄 필터(3), 진공 스위치(4), 탱크 환기 밸브(5), 탱크 캡(6), 충전 레벨 센서(8) 및 엔진 제어 유닛(ECU)을 포함한다.
탱크 환기 라인(2)을 진단하는 아래에 설명된 방법은 연료 탱크에 압력 센서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동차에 연료를 보급할 때 발생하는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과 함께 활성탄 필터(3)의 신선한 공기 측의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에 기초한다.
내연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 탱크 환기 밸브(5)는 활성탄 필터(3)를 청소할 목적으로 활성화된다. 그 결과, 결과적인 질량 흐름으로 인해 진공 스위치(4)가 닫힌다. 이 진공 스위치(4)는 연료 탱크(1)로부터 탱크 환기 밸브(5)까지의 전체 체적에서 압력 등화가 일어날 때까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압력 등화는 한편으로는 활성탄 필터(3)와 주위 공기 사이의 비기밀 연결로 인해 매우 느리게 발생할 수 있고, 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탱크 캡(6)이 열리는 것에 의해 갑자기 발생할 수 있다.
자동차에 연료를 보급할 때마다 탱크 캡(6)이 열리기 때문에, 연료 보급 과정으로 인해 유발되는 충전 레벨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과 함께 진공 스위치(4)의 위치를 평가하면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이 막혔는지에 관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를 위한 전제 조건은 연료 보급 과정 전에 진공 스위치(4)가 닫힌다는 것이다. 연료 보급 과정은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지만 또한 자동차의 점화가 꺼지는 엔진 제어기의 후속 단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진단 과정 동안 다음 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 내연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 진공 스위치(4)의 위치를 모니터링한다;
- 자동차가 정지 상태에 있고 공회전을 하고 있는 동안 연료 탱크(1)의 충전 레벨의 변화를 추가 모니터링한다;
- 연료 보급 과정이 발생하는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전환되면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2)이 손상되지 않거나 기능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 반면에, 연료 보급 과정이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는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는 경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2)은 막힌 것으로 추론된다.
도 3은 탱크 환기 라인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도 2에 도시된 탱크 시스템의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여기서 프로파일(K1)은 주위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2)은 연료 탱크의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3)은 탱크 환기 밸브(5)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4)은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5)은 탱크 캡의 상태를 예시하고, 프로파일(K6)은 탱크 충전 레벨을 예시한다. 이 도 3으로부터, 충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된 탱크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상태, 즉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4는 탱크 환기 라인이 막힌 경우 도 2에 도시된 탱크 시스템의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여기서 프로파일(K1)은 주위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2)은 연료 탱크의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3)은 탱크 환기 밸브(5)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4)은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5)은 탱크 캡의 상태를 예시하고, 프로파일(K6)은 탱크 충전의 레벨을 예시한다. 이 도 4로부터, 충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는 닫힌 상태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된 탱크 환기 라인이 결함 상태, 즉 막힌 상태에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아래에서는 내연 엔진이 오프 상태이고 제어 유닛이 온 상태에 있는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다음 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 내연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 진공 스위치(4)의 위치를 모니터링한다;
- 차량이 정지해 있는 동안 내연 엔진이 오프 상태에 있고 엔진 제어 유닛이 온 상태에 있을 때 연료 탱크(1)의 충전 레벨의 변화를 추가 모니터링한다;
-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2)이 손상되지 않거나 기능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 반면에, 연료 보급 과정이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는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면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2)은 막힌 것으로 추론된다.
도 5는 탱크 환기 라인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 과정을 예시하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여기서, 프로파일(K1)은 주위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2)은 연료 탱크의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3)은 탱크 환기 밸브(5)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4)은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5)은 탱크 캡의 상태를 예시하고, 프로파일(K6)은 탱크 충전 레벨을 예시한다. 이 도 5로부터, 충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된 탱크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상태, 즉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6은 탱크 환기 라인이 막힌 경우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 과정을 예시하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여기서, 프로파일(K1)은 주위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2)은 연료 탱크의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3)은 탱크 환기 밸브(5)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4)은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5)은 탱크 캡의 상태를 예시하고, 프로파일(K6)은 탱크 충전 레벨을 예시한다. 이 도 6으로부터, 충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는 닫힌 상태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된 탱크 환기 라인이 결함 상태, 즉 막힌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엔진 제어 유닛이 오프 상태에 있는 동안 연료 보급을 수행한 상태에서 엔진 제어 유닛의 재시작 후 진단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다음 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 엔진 제어 유닛이 켜진 후 그리고 내연 엔진이 꺼진 동안 엔진 제어 유닛이 꺼진 시점에서 측정된 연료 충전 레벨을 현재 측정된 연료 충전 레벨과 비교한다.
- 엔진 제어 유닛이 켜진 후 그리고 내연 엔진이 꺼진 동안 엔진 제어 유닛이 꺼진 시점에서의 진공 스위치(4)의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한다. 충전 레벨의 변화가 있는 연료 보급 과정이 동시에 식별되는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전환된 경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2)은 기능하는 상태, 즉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추론된다.
- 진공 스위치(4)의 스위치 위치를 평가하고, 탱크 충전 레벨을 평가하는, 이전의 두 단계에서 설명된 절차는 내연 엔진의 정지 시간이 설정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내연 엔진의 정지 시간을 고려하는 의도는 연료 시스템에서 위에서 설명된 자연 압력 등화 과정에 기초한 진공 스위치(4)의 전환이 잘못된 결과로 잘못 이어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 충전 레벨의 변하가 있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면,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의 탱크 환기 라인(2)은 결함 상태, 즉 막힌 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도 7은 탱크 환기 라인이 손상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을 재시작한 후 진단 과정을 예시하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여기서 프로파일(K1)은 주위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2)은 연료 탱크의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3)은 탱크 환기 밸브(5)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4)은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5)은 탱크 캡의 상태를 예시하고, 프로파일(K6)은 탱크 충전 레벨을 예시한다. 이 도 7로부터, 충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된 탱크 환기 라인은 기능하는 상태, 즉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8은 탱크 환기 라인이 막힌 경우 제어 유닛을 재시작한 후 진단 과정을 예시하는 신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여기서 프로파일(K1)은 주위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2)은 연료 탱크의 압력을 예시하며, 프로파일(K3)은 탱크 환기 밸브(5)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4)은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예시하며, 프로파일(K5)은 탱크 캡의 상태를 예시하고, 프로파일(K6)은 탱크 충전 레벨을 예시한다. 이 도 8로부터, 충전 레벨의 변화가 검출되는 연료 보급 과정 동안, 진공 스위치(4)는 닫힌 상태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된 탱크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 즉 막힌 상태에 있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Claims (9)

  1. 엔진 제어 유닛(ECU)을 갖고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2)을 진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기 라인은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되고, 진단을 위해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필터(3)의 신선한 공기 측에 배치된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진단을 위해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스위치(4)의 상태 및 상기 연료 탱크(1)의 충전 레벨의 변화를 진단의 일부로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스위치(4)의 상태를 평가하기 전에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1)의 충전 레벨의 변화를 평가하기 전에 상기 진공 스위치(4)는 닫힌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가 공회전하는 동안 내연 엔진 동작 동안 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열린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면 상기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제어 유닛의 후속 동작 동안 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열린 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면 상기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이 정지되었을 때 상기 자동차에 연료 보급 후에 진단을 수행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재시작 후,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이전 정지 시점에서 측정된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을 상기 연료 탱크의 현재 측정된 충전 레벨과 비교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이전 정지 시점에서의 상기 진공 스위치의 위치를 상기 진공 스위치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면 상기 환기 라인이 기능하는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진공 스위치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충전 레벨의 변화가 식별되면 상기 환기 라인은 결함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이전 정지와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의 재시작 사이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지속 시간이 지정된 지속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9. 제어 유닛(ECU)을 갖고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환기 라인(2)을 진단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환기 라인은 연료 탱크(1)와 활성탄 필터(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ECU)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227012379A 2019-09-18 2020-09-01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062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14241.9 2019-09-18
DE102019214241.9A DE102019214241A1 (de) 2019-09-18 2019-09-1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der Entlüftungsleitung des Kraftstofftanks eines verbrennungsmotorisch betreibbaren Kraftfahrzeugs
PCT/EP2020/074342 WO2021052747A1 (de) 2019-09-18 2020-09-0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der entlüftungsleitung des kraftstofftanks eines verbrennungsmotorisch betreibbaren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384A true KR20220062384A (ko) 2022-05-16

Family

ID=7238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379A KR20220062384A (ko) 2019-09-18 2020-09-01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환기 라인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05414A1 (ko)
KR (1) KR20220062384A (ko)
CN (1) CN114364871A (ko)
DE (1) DE102019214241A1 (ko)
WO (1) WO2021052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5991A1 (de) 2022-06-14 2023-12-14 Psa Automobiles Sa Ta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081A (en) * 1998-01-27 2000-07-18 Siemens Canada Limited Automotive evaporative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530265B2 (en) * 1999-08-30 2003-03-1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mall/gross leak check
US6508235B2 (en) * 2000-02-22 2003-01-21 Siemens Canada Limited Vacuum detection component
DE102005054880B3 (de) * 2005-11-17 2007-06-28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r Dichtheit einer Tankentlüftungsanlage ohne Drucksensor
US9797809B2 (en) * 2013-11-19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s for diagnosing premature refueling shutoff
JP6642329B2 (ja) * 2016-08-10 2020-02-05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処理システム
JP6597661B2 (ja) * 2017-02-07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力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4871A (zh) 2022-04-15
DE102019214241A1 (de) 2021-03-18
WO2021052747A1 (de) 2021-03-25
US20220205414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525B2 (en) Method for testing the operability of a tank shutoff valve of a fuel tank system
US5186153A (en) Tank-vent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operability thereof
US7350512B1 (en) Method of validating a diagnostic purge valve leak detection test
US9797346B2 (en) Fuel evaporative emission processing system
JPH04300727A (ja) タンク通気装置とその駆動方法
US8381705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a fuel tank ventilation valve
JP200500296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KR20090073198A (ko) 차량 연료 탱크의 캡 탈거 상황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67981B1 (ko) 연료 증발가스의 누설 진단장치 및 방법
JP2001012319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US6679111B2 (en) Malfunction diagnostic apparatus for evaporated fuel purge system
US11073112B2 (e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6487892B1 (en) Faul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vapor purge system
KR20110009236A (ko) 모터 차량의 내연 기관용 탱크 환기 시스템의 압력 스위치의 기능 시험 방법 및 장치
US20220205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Ventilation Lin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Tank
KR20180011818A (ko) 탱크 환기 시스템 및 탱크 환기 시스템의 진단 방법
JP200903615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0748662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CN111691995B (zh) 燃油蒸汽控制方法及装置
KR20150130244A (ko) 탱크 환기 밸브 진단 방법
JP3899857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2580929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827648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JP2004293438A (ja) エバポ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KR100786525B1 (ko) 자동차의 고장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