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197A -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197A
KR20220062197A KR1020200147889A KR20200147889A KR20220062197A KR 20220062197 A KR20220062197 A KR 20220062197A KR 1020200147889 A KR1020200147889 A KR 1020200147889A KR 20200147889 A KR20200147889 A KR 20200147889A KR 20220062197 A KR20220062197 A KR 2022006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evaluation
index
cognitive function
feedba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438B1 (ko
Inventor
정진욱
조선영
주유미
이기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은 복수 종류의 게임 형태들로 구현된 인지 평가 프로그램을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특정 종목의 게임을 피험자가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피험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듈 및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험자의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피험자의 반응 시간 및 정답율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 기능 지수는 상기 반응 시간 또는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값으로 산출된다.

Description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OF ASSESSING COGNITIVE FUNTION}
본 발명은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에게 게임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게임이 수행되는 동안 피험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시간 및 정답률 등의 평가지표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하여 피험자의 인지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개인의 건강관리와 맞춤형 의료관리를 실시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헬스케어는 일반 개인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장소와 시간에 제약이 많은 발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헬스케어는 제대로 구현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훈련을 통하여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은 복수 종류의 게임 형태들로 구현된 인지 평가 프로그램을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특정 종목의 게임을 피험자가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피험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듈, 및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험자의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피험자의 반응 시간 및 정답율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 기능 지수는 상기 반응 시간 및 상기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값으로 산출된다.
상기 사용자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여 상기 피험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피험자에게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피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피험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피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피험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피험자의 시선을 센싱하는 게이징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모듈에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피험자 정보, 상기 인지 평가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인지 기능 지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기평가된 수식 모델 정보들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수식 모델들 중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수식 모델과 비교한 비교값을 참조하여 상기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인지 기능 지수는 주의력 지수, 시공간 지각력 지수, 기억력 지수, 문제해결력 지수, 반응억제력 지수 및 주의전환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피험자가 상기 특정 게임 종목을 복수번 수행하여 누적되는 데이터이다.
상기 인지 평가 프로그램은 보물 찾기, 큰 그림 찾기, 연관성 찾기, 물고기 잡기, 사탕 따기, 틀린 그림 찾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은 게임 형태로 구현되는 복수의 인지 평가 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평가 종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평가 종목을 수행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복수회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피험자의 반응시간 또는 정답율을 포함하는 평가지표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지표를 연산하여 평가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값은 상기 피험자의 반응시간 및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다.
상기 평가 지표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복수회 수행한 피드백 데이터를 1차 수집하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수식모델들 중 상기 피드백 데이터와 유사도가 높은 수식모델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수식모델과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피드백 데이터를 2차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수집 및 2차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수식모델과 재비교하여 최종 비교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장된 수식모델들은 복수의 피험자의 평가지표들 및 평가 결과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 결과값은 상기 평가 지표를 연산한 값에 상기 최종 비교값이 적용된 값이다.
상기 평가 결과값은 인지 기능 지수로써, 주의력 지수, 시공간 지각력 지수, 기억력 지수, 문제해결력 지수, 반응억제력 지수 및 주의전환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인지 평가 종목들은 보물 찾기, 큰 그림 찾기, 연관성 찾기, 물고기 잡기, 사탕 따기, 틀린 그림 찾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달 장애를 가진 피험자의 인지 기능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평가 종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평가 종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평가 종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평가 종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평가 종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평가 종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 예들과 다르게 변형되어 다양한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공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기재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른 것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은 피험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발달 장애를 가진 아동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은 게임 형태로 구현되는 복수의 인지 평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은 피험자가 게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게임 수행 결과를 기초하여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은 피험자가 수행할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피험자 자신 또는 본 시스템(1000)의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험자 또는 사용자가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이 자동적으로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선택하여, 피험자에게 적절한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제안할 수 있다.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은 사용자 모듈(100) 및 제어 모듈(2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모듈(100)은 제어모듈(200)에 저장된 인지 평가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피험자에게 제공한다. 피험자는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모듈(100)은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120), 입력 인터페이스(130), 및 센싱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표시하여, 피험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한다. 시각적 정보는 게임 콘텐츠 안의 아이콘, 그림, 애니메이션 및 자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태블릿 PC, TV, 모바일 전자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3차원 영상을 피험자에게 제공하는 VR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피험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일 수 있다.
스피커(120)는 피험자에게 청각적 정보를 제공한다. 청각적 정보는, 효과음, 음악, 목소리 등일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피드백 데이터는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평가 지표로써, 반응 시간, 정답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피험자는 입력 인터페이스(130)를 통하여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키보드, 컨트롤러, 마우스, 버튼, 리모콘, 마이크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130)가 터치 스크린 패널(TSP)일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13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인터페이스(130)의 종류, 형태 및 구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부(140)는 피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여,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한다. 센싱부(140)는 피험자의 의사가 반영된 의도적인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나, 피험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는 신체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센싱부(140)는 게임 상에서 보여지는 물체 또는 게임 상에서 제공되는 소리에 대한 피험자의 즉각적인 신체 반응을 센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모듈(100)이 입력 인터페이스(130) 외에,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센싱부(140)를 포함하므로, 피드백 데이터의 다양성 및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싱부(140)는 카메라, 모션 센서, 및 게이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피험자의 모습 및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피험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예. 팔, 다리, 발 등)에 착용되어 피험자의 움직임을 센싱한다. 예시적으로,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모션 센서는 입력 인터페이스(130)의 컨트롤러에 내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게이징 센서는 피험자의 동공 움직임, 즉 피험자의 시선을 센싱한다.
제어 모듈(200)은 사용자모듈(100)로부터 전송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피험자의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200)은 제어부(210), 연산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모듈(100), 연산부(220), 및 저장부(230) 각각에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명령 신호는 게임 구동 명령 신호, 정보 제공 명령 신호 등일 수 있다.
연산부(220)는 사용자 모듈(100)로부터 전송받은 피드백 데이터를 가공 및 연산하여 최종 평가 결과인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지 기능 지수는 피험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의 반응 시간 및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험자가 게임을 수행하는 수행 시간 또는 반응 시간이 짧을수록, 정답율이 높을수록 인지 기능 지수가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인지 기능 지수는 주의력 지수, 시공간 지각력 지수, 기억력 지수, 문제해결력 지수, 반응억제력 지수 및 주의전환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인지 기능 지수의 종류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산부(220)가 수신한 피드백 데이터는 피험자가 해당 게임을 복수회 반복 수행하여 누적된 결과값일 수 있다. 게임 수행 횟수는 기설정될 수 있으며, 피험자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 게임을 수행한 뒤에 인지 기능 지수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산부(220)는 피험자가 해당 게임을 수행하는 각각의 회차당의 피드백 데이터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수행 회차에 따른 반응시간 및 정답율의 변화율 등이 인지 기능 지수에 반영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피험자 정보, 인지 평가 프로그램, 인지 기능 지수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지 기능을 게임을 통하여 평가할 수 있으므로, 피험자가 수행하는 데에 친숙함 및 편의성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입력 수단 및 센서들을 통하여 피험자에게 게임을 복수번 수행하게 함으로써, 평가 지표인 피드백 데이터의 종류 및 양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인지 기능 평가 지수의 신뢰성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의 단계도이다. 후술되는 설명에서, 전술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고, 해당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게임 형태로 구현되는 복수의 인지 평가 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평가 종목을 선택한다(S10). 평가 종목은 피험자 자신 또는 피험자를 평가하고자 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의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피험자 또는 사용자가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1000)이 자동적으로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선택하여, 피험자에게 적절한 평가 종목(게임 종목)을 제안할 수 있다.
이후, 평가 종목을 수행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한다(S20). 피험자는 해당 평가 종목을 복수회 수행할 수 있다. 피험자가 해당 평가 종목을 수행하는 동안, 저장부(230)는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한다(S30).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는 연산부(220)에 의하여 가공 및 연산되어(S40) 평가 결과값인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한다(S50). 인지 기능 지수는 피험자의 반응시간 및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산자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 기능 평가 방법은, 기저장된 수식모델들을 참조하여 인지 기능 지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수식모델들은 사전에 평가가 완료된 다른 피험자들의 피드백 데이터 및 인지 기능 지수 정보를 포함한다. 수식모델들은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평가 종목의 선택(S11)이 완료된 후, 피험자는 평가 종목을 복수회 수행한다(S21). 이 때, 저장부(230)는 피드백 데이터를 1차 수집한다(S31). 이후, 연산부(22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수식모델들 중 1차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와 유사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수식모델을 탐색한다(S41). 비교군으로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식모델을 1차 피드백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한다.
이후, 피험자에게 동일 평가 종목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S51). 본 발명에서 피험자가 해당 평가 종목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하는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 수행 시간 동안 저장부(230)는 피드백 데이터를 2차 수집한다. 2차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는 1차 수집된 피드백과 통합된다. 이후, 통합된 데이터를 비교군으로서 선정된 수식모델과 재비교하여 최종 비교값을 산출한다(S61). 산출된 최종 비교값은 피험자의 반응시간 및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값을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저장된 표준 데이터인 수식모델들을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데 참고 및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최소 피드백 데이터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즉, 게임 수행 횟수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인지 기능 평가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인지 기능 지수를 최종적으로 산출하는데 기평가된 수식모델들을 참고 및 활용하므로, 인지 기능 평가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내지 도 9는 인지 평가 프로그램, 즉,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한 평가 종목의 일 예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가 받고자 하는 인지 기능 지수의 종류에 따라 평가 종목들이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지 평가 종목들은 보물 찾기, 큰 그림 찾기, 연관성 찾기, 물고기 잡기, 사탕 따기, 틀린 그림 찾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후술되는 평가 종목들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및 도 4b는 보물 찾기 과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보물 찾기 과제는 피험자의 시공간적 작업 기억력 지수, 작업 기억 용량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4a는 화면에 복수개의 상자가 표시되고, 복수개의 상자들 중 어느 일부 상자에 보물(곰돌이)을 숨겨놓은 뒤, 피험자에게 보물을 기억했다가 찾도록 요청하는 과제이다. 상자의 개수는 과제 수행 횟수가 늘어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보물이 담긴 상자를 순서대로 열어서 확인시킨 후, 해당 순서를 기억했다가 찾도록 요청하는 과제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큰 크림 찾기 과제가 도시된 도면이다. 큰 그림 찾기 과제는 피험자가 큰 그림과 그 큰 그림을 이루는 작은 그림들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제로써, 피험자의 시지각처리력, 주의전환기능 등을 평가할 수 있다. 화면 1을 통하여 피험자에게 큰 그림(큰 꽃, 큰 나비)을 인식시킨 후, 화면 2를 통하여 작은 도형들(작은 꽃, 작은 나비)을 인식시킨다. 이후, 화면 3을 통하여 큰 그림과 작은 그림들을 교차 배치시킴으로써, 피험자가 큰 그림, 작은 그림(큰 꽃, 작은 나비, 큰 나비, 작은 꽃)을 구분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도 6a 및 도 6b는 연관성 찾기 과제가 도시된 도면이다. 연관성 찾기 과제는 피험자의 집행 기능 및 계획 기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제이다. 도 6a에는 크기가 각기 다른 그림들(강아지, 뼈)을 피험자에게 보여주고, 각각의 그림들을 크기 순으로 나열할 수 있는가 및 각각의 그림들을 크기에 대응하도록 짝을 맞출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제가 도시되었다. 도 6b에는 서로 성격이 다른 그림군들을 섞어서 배치하고(강아지가족, 고양이가족), 그 중 어느 한 그림군만을 선택하여 해당 그림군 내의 그림들을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는 가를 평가하는 과제가 도시되었다.
도 7a 및 도 7b는 물고기 잡기 과제가 도시된 도면이다. 물고기 잡기 과제는 피험자의 집행 기능 및 반응억제기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제이다. 도 7a에는 서로 다른 그림(물고기, 상어)을 보여주고, 어느 하나의 그림(물고기)에만 반응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함으로써,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과제가 도시되었다. 도 7b에는 서로 다른 그림군들(물고기들, 상어들) 사이의 특성을 구분하고, 어느 하나의 그림군에만 반응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는 과제가 도시되었다.
도 8은 사탕 따기 과제가 도시된 도면이다. 사탕 따기 과제를 통하여 피험자의 집행 기능. 억제 기능, 목적 지향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탕 따기 과제는, 안이 들여다 보이는 두 상자 중 하나의 상자에는 피험자를 유혹하는 객체인 사탕이 들어있고, 다른 하나의 상자에는 사탕이 들어있지 않게 설정한 뒤, 사탕이 들어있지 않은 상자를 선택해야만 보상(사탕)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9는 틀린 그림 찾기 과제가 도시된 도면이다. 틀린 그림 찾기 과제는 피험자의 시각적 기억력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제로써, 피험자에게 복수의 그림들 사이의 차이점을 찾도록 하는 과제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100: 사용자 모듈
110: 디스플레이부 120: 스피커
130: 입력인터페이스 140: 센싱부
200: 제어 모듈 210: 제어부
220: 연산부 230: 저장부

Claims (12)

  1. 복수 종류의 게임 형태들로 구현된 인지 평가 프로그램을 피험자에게 제공하고, 특정 종목의 게임을 피험자가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피험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모듈; 및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험자의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피험자의 반응 시간 및 정답율을 포함하고, 상기 인지 기능 지수는 상기 반응 시간 및 상기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값으로 산출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여 상기 피험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피험자에게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피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피험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피험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피험자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피험자의 시선을 센싱하는 게이징 센서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모듈에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피험자 정보, 상기 인지 평가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인지 기능 지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기평가된 수식 모델 정보들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수식 모델들 중 상기 피험자의 피드백 데이터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수식 모델과 비교한 비교값을 참조하여 상기 인지 기능 지수를 산출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기능 지수는 주의력 지수, 시공간 지각력 지수, 기억력 지수, 문제해결력 지수, 반응억제력 지수 및 주의전환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피험자가 상기 특정 게임 종목을 복수번 수행하여 누적되는 데이터인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평가 프로그램은 보물 찾기, 큰 그림 찾기, 연관성 찾기, 물고기 잡기, 사탕 따기, 틀린 그림 찾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9. 게임 형태로 구현되는 복수의 인지 평가 종목들 중 어느 하나의 평가 종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평가 종목을 수행하도록 피험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복수회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피험자의 반응시간 또는 정답율을 포함하는 평가지표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지표를 연산하여 평가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값은 상기 피험자의 반응시간 및 정답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평균 및 분산을 통계 분석한 인지 기능 평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지표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복수회 수행한 피드백 데이터를 1차 수집하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수식모델들 중 상기 피드백 데이터와 유사도가 높은 수식모델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수식모델과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가 상기 평가 종목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피드백 데이터를 2차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수집 및 2차 수집된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수식모델과 재비교하여 최종 비교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장된 수식모델들은 복수의 피험자의 평가지표들 및 평가 결과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 결과값은 상기 평가 지표를 연산한 값에 상기 최종 비교값이 적용된 값인 인지 기능 평가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값은 인지 기능 지수로써, 주의력 지수, 시공간 지각력 지수, 기억력 지수, 문제해결력 지수, 반응억제력 지수 및 주의전환력 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평가 종목들은 보물 찾기, 큰 그림 찾기, 연관성 찾기, 물고기 잡기, 사탕 따기, 틀린 그림 찾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 평가 방법.
KR1020200147889A 2020-11-06 2020-11-06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KR10246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89A KR102466438B1 (ko) 2020-11-06 2020-11-06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89A KR102466438B1 (ko) 2020-11-06 2020-11-06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197A true KR20220062197A (ko) 2022-05-16
KR102466438B1 KR102466438B1 (ko) 2022-11-14

Family

ID=8180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889A KR102466438B1 (ko) 2020-11-06 2020-11-06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4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94989C1 (ru) * 2022-08-19 2023-04-27 Елена Леонидовна Малиновская Способ оценки когнитивно-поведенческих функций испытуемого посредством технологий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KR102568554B1 (ko) * 2022-12-19 2023-08-22 주식회사 아티피셜 소사이어티 게임 컨텐츠 기반 사용자 인지 능력 평가 방법 및 장치
CN116746930A (zh) * 2023-08-21 2023-09-15 杭州汇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老年人认知功能评估预警方法及系统
WO2024072196A1 (ko) * 2022-09-28 2024-04-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딩 블루 통합 우울 스크리닝 애플리케이션
WO2024075924A1 (ko) * 2022-10-07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211A (ja) * 2001-08-10 2005-03-31 コッグステイト リミテッド 認知機能のテ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143212A (ko) * 2014-06-13 2015-12-23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인지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024139A (ko) 2014-08-25 2016-03-04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마커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식별 방법
KR102108089B1 (ko) 2017-10-12 2020-05-07 주식회사 라스테크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KR20200073765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211A (ja) * 2001-08-10 2005-03-31 コッグステイト リミテッド 認知機能のテ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143212A (ko) * 2014-06-13 2015-12-23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인지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20160024139A (ko) 2014-08-25 2016-03-04 바이오코아 주식회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식별용 유전자 마커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식별 방법
KR102108089B1 (ko) 2017-10-12 2020-05-07 주식회사 라스테크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KR20200073765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94989C1 (ru) * 2022-08-19 2023-04-27 Елена Леонидовна Малиновская Способ оценки когнитивно-поведенческих функций испытуемого посредством технологий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WO2024072196A1 (ko) * 2022-09-28 2024-04-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딩 블루 통합 우울 스크리닝 애플리케이션
WO2024075924A1 (ko) * 2022-10-07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68554B1 (ko) * 2022-12-19 2023-08-22 주식회사 아티피셜 소사이어티 게임 컨텐츠 기반 사용자 인지 능력 평가 방법 및 장치
CN116746930A (zh) * 2023-08-21 2023-09-15 杭州汇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老年人认知功能评估预警方法及系统
CN116746930B (zh) * 2023-08-21 2023-11-03 杭州汇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深度学习的老年人认知功能评估预警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438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9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e calibration
KR102466438B1 (ko)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US202101961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analyzing biometric user feedback for use in social media and advertising applications
KR101680995B1 (ko) 생물 물리학적 신호의 수집된 시간적 및 공간적 패턴에 기초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시스템
US20200405213A1 (en) Content generation and control using sensor data for detection of neurological state
US201801327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nd predicting emotional states and affects and providing real time feedback
US11301775B2 (en) Data anno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machine learning
WO20190868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and analysing human states
KR20220028654A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태권도 동작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523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e calibration
CN111798978A (zh) 用户健康评估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6969859B2 (ja) アソシエーティブメモリに連結された動作検知装置を用いた運動の識別
CN110603550A (zh) 利用导航任务识别生物标志物和利用导航任务进行治疗的平台
US20170076618A1 (en) Physical Object Training Feedback Based On Object-Collected Usage Data
Mimouna et al. A survey of human action recognition using accelerometer data
US202201925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65834A (ko) 신체 반응 정보를 포함한 다중정보를 통해 가상현실 사용자의 상태분석 및 피드백 시스템, 맞춤형 콘텐츠 제공의 방법
JP6659011B2 (ja) 検索システム、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KR2017006105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20220079738A (ko) 사회성 평가 시스템 및 사회성 평가 방법
US11429188B1 (en) Measuring self awareness utiliz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220051021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user activities through egocentric vision
RU2671869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тенциала развития высших психических функций и навыков человека посредством нейрометрии
Gutiérrez López de la Franca et al. Activity Recognition in Intelligent Assistive Environments Through Video Analysis with Body-Angles Algorithm: A First Step for Future Behaviour Recognition
Saxena et al. Human Activity Tracker and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