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089B1 -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089B1
KR102108089B1 KR1020170132082A KR20170132082A KR102108089B1 KR 102108089 B1 KR102108089 B1 KR 102108089B1 KR 1020170132082 A KR1020170132082 A KR 1020170132082A KR 20170132082 A KR20170132082 A KR 20170132082A KR 102108089 B1 KR102108089 B1 KR 10210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ntent
cognitive
cognitive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081A (ko
Inventor
유영선
국윤규
성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13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게임, 설문 등의 콘텐츠에서 발생가능한 이벤트가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로 생성 및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입력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보점수를 생성 및 저장하고,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에 따른 장애지수를 진단하는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내에서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점수화하여 저장하며,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장애지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Evaluation system of cognitive ability based on virtual reality for diagnosis of cognitive impairment}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을 기반으로 인지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인지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게임, 설문 등의 콘텐츠에서 발생가능한 이벤트가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로 생성 및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입력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보점수를 생성 및 저장하고,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에 따른 장애지수를 진단하는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도인지장애는 동일 연령대에 비해 인지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며,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되어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 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이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경도인지장애는 알츠하이머병을 가장 이른 시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단계이며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의 첫 번째 단계로 환자가 경도인지장애 증후군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즉, 환자 자신이나 가족이 인지기능장애를 호소하고, 신경심리학적 평가를 통해 인지기능장애가 증명 되고, 전반적인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는 뚜렷한 장애가 없으며, 치매의 진단기준을 만족하지 않아야 한다. 이후 경도인지장애의 하부유형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밝히고, 원인 질환을 규명할 수 있다면 검사를 통해 이를 확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경심리검사가 경도인지장애를 증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정상노화, 경도인지장애, 치매 간에 공통된 부분이 많으므로 이들을 서로 구분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뇌 자기공명영상촬영(뇌 MRI)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이용한 영상검사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 번의 영상검사만으로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1~2년에 걸친 추적 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11093호(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치매 진단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구 운동 및 지각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치매를 조기에 진단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치매 진단 검사 장치가 제공되며, 안구 이동 및 안구 초점을 추적하기 위한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객체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된 안구의 초점을 추적하는 안구 추적 장치를 포함하는 안구 운동 검사부, 지각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지각 검사 데이터를 출력하고, 지각 검사 데이터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데이터를 입력받는 지각 기능 검사부, 및 안구 운동 검사부 또는 지각 기능 검사부의 입출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피검자의 안구 운동 및 지각 기능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치매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은 안구 운동과 지각 기능을 복합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뇌질환, 노화 등과 치매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사용자의 안구 운동과 지각 기능을 통해 치매를 진단하는 기술로써, 지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 장애를 진단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경도인지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일상생활의 반응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경도인지장애를 식별하며,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경도장애를 식별하여 사용자의 경도장애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11093호(발명의 명칭 : 치매의 자가 조기 진단 및 훈련을 위한 안구 운동 및 지각 기능 기반 가상현실 시스템, 등록일 : 2017.01.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현실 내에서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점수화하여 저장하며,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장애지수를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반응정보를 분석하며, 사용자의 장애지수를 특성 및 능력별로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헤드에 장착하며,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 내에서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점수화하여 저장하며,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장애지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반응정보를 분석하며, 사용자의 장애지수를 특성 및 능력별로 진단함으로써, 인지장애를 세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헤드에 장착하며,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사용자의 실제행동을 통해 인지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기반 인지능력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이벤트정보 및 인지능력평가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평가요소별 반응정보를 수치화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정보가 발생된 영상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적된 반응정보 점수에 따라 장애지수 도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R기반 인지능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기반 인지능력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R기반 인지능력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입력장치(1000), 서비스제공장치(2000), 디스플레이장치(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장치이다. 사용자입력장치(1000)는 패드(pad),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버튼(button), 조이스틱(joystick) 등과 같이 특정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제공장치(2000)는 콘텐츠저장부(2100), 이벤트저장부(2200), 콘텐츠변환부(2300), 이벤트발생부(2400), 반응정보생성부(2500), 반응정보저장부(2600), 장애지수도출부(2700), 추천콘텐츠제공부(28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저장부(21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장치이다. 콘텐츠저장부(210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운전, 운동, 게임, 민원처리, 영화감상 등 사용자의 반응을 요구하는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저장부(2100)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족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벤트저장부(2200)는 콘텐츠저장부(2100)에 저장된 콘텐츠에서 발생가능한 이벤트정보가 저장되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의 콘텐츠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정보는 목적지 정보 질문, 현재 위치 질문, 사물 또는 사람 인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물 및 동물 키우기' 콘텐츠의 이벤트 정보는 먹이 주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퀴즈' 콘텐츠의 이벤트 정보는 수학, 사물 맞추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콘텐츠의 이벤트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도 2의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으며, 변경 설계될 수 있는 사항이다.
콘텐츠변환부(2300)는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용자입력장치(1000)에 의해 선택된 특정콘텐츠를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로 생성하는 장치이다. 한편, 콘텐츠변환부(2300)에 의해 생성된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는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 3차원의 영상정보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2차원의 영상정보로도 생성될 수 있다.
3차원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실사가 실제화된 영상일 수 있으며, 컴퓨터그래픽(CG)로 이루어진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VR)을 통해 공간적 또는 물리적 제약에 의해 현실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사용자는 가상공간(Virtual Environment, Cyberspace) 속에서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이벤트발생부(2400)는 특정 콘텐츠에서 발생가능한 특정 이벤트정보를 영상정보에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3은 이벤트발생부(2400)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정보가 영상내에 출력된 화면이다. 도 3에서 발생된 이벤트정보는, '현재 위치 질문'이며, 현재 위치 질문인 '현재 위치는 어디일까요?', 위치정보 '버스정류장', 1부터 4까지의 보기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었다.
이벤트발생부(2400)는 평가요소저장부(2410)와 평가요소추출부(2420)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요소저장부(2410)는 이벤트정보에 부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지능력평가요소가 저장되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 콘텐츠의 이벤트정보인 '목적지 정보 질문'의 인지능력평가요소는 '기억력'이며, '현재 위치 질문'의 인지능력평가요소는 '지남력'이다. 또한, '사물 또는 사람 인지'의 인지능력평가요소는 '집중력'과 '지연회상'이다.
평가요소추출부(2420)는 특정 이벤트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특정 인지능력평가요소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이벤트정보인 '현재 위치 질문'이 발생되면, 평가요소추출부(2420)는 '현재 위치 질문'에 대응하는 '지남력'의 인지능력평가요소를 평가요소저장부(2410)로부터 추출한다.
반응정보생성부(2500)는 이벤트정보가 발생된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된 입력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치화하는 하는 장치이다. 반응정보생성부(2500)는 평가요소매칭부(2510)와 평가요소분석부(2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반응정보생성부(25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의 기재된 항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콘텐츠코드, 시작, 종료에 대한 콘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현재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계정이며, 콘텐츠코드는 콘텐츠저장부(2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코드정보이다. 시작은 콘텐츠 사용을 시작한 시간이며, 종료는 콘텐츠 사용을 종요한 시간이다.
콘텐츠 종류, 이벤트정보, 인지능력 평가요소는 앞서 설명한 정보로써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예시는 콘텐츠 종류가 '운전'으로써, 발생 가능한 이벤트정보는 '목적지 정보 질문', '현재 위치 질문'. '사물 또는 사람 인지' 등이 있다.
도 4의 상단의 표는 목적지 정보 질문에 사용자가 '정답', 현재 위치질문에 사용자가 '정답', 사물 또는 사람을 인지에 따른 반응시간이 5.4초이며, 처음 '오답' 보기를 선택 후, '정답'을 선택한 경우이다.
사용자입력장치(100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평가요소매칭부(2510)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인지능력평가요소를 매칭한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는 목적지 정보 질문에 대한 입력신호인 '정답'과 인지능력평가요소 '기억력'을 매칭한다. 또한, 현재 위치 질문에 대한 입력신호인 '정답'과 인지능력형가요소 '지남력'을 매칭한다. 또한, 사물 또는 사람 인지에 대한 '반응시간 5.4'초와 '집중력'을 매칭하며, 인지여부에 대한 입력신호인 '오답 1회 '정답'과 '지연회상'을 매칭한다.
평가요소분석부(2520)는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반응정보를 분석하여 수치화하여 반응정보점수를 생성한다. '기억력' 및 '지남력'은 '정답'과 매칭되어 100의 반응정보점수가 생성되며, '집중력'은 '5.4초'와 매칭되어 60, '지연회상'은 '오답1회, 정답'과 매칭되어 67의 반응정보점수가 생성된다.
한편, 도 5의 하단의 표는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콘텐츠를 다른 시간대에 이용한 경우이다. 이에 '기억력'은 '오답 1회, 정답'과 매칭되어 67, 지남력은 정답과 매칭되어 100의 반응정보 점수가 생성된다. 또한, '집중력'은 7.1초와 매칭되어 40, '지연회상'은 정답과 매칭되어 100의 반응정보 점수가 생성된다.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생성된 사용자의 반응정보점수는 반응정보저장부(2600)에 저장된다.
장애지수도출부(2700)는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를 식별하여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장애지수를 도출한다.
이하 도 5를 통해 반응정보저장부(2600)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정보점수에 따라 장애지수를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인지능력 평가요소 '기억력'의 최초 반응정보점수가 100일때는 장애지수가 발생되지 않지만, 2번째 반응정보점수는 67로 장애지수가 발생된다. 장애지수도출부(2700)는 67점에 대한 장애지수를 도출하는 것이 아닌 100과 67이 누적된 167에 대한 장애지수를 도출한다. 따라서 평균 반응정보점수가 83.5로 장애지수는 16.5가 된다. 도 5의 실시예는 장애지수의 도출식으로 (100-평균 반응정보점수)를 사용하지만 장애지수의 도출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함으로, 도 5의 수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반응점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주어 달리 도출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는 운전에 대한 콘텐츠로써, 기억력, 지남력, 집중력, 지연회상에 대한 반응점수의 가중치가 '1'인 경우이다. 하지만, 기억력을 좀 더 요구하는 콘텐츠의 경우는 장애지수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가중치를 10%(1.1) 더 준다면 (반응점수*sqrt(가중치)/100)에 따라 반응점수가 달리 계산될 수 있다. 콘텐츠에 따른 가중치는 관리자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는 사항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인지능력 평가요소 '지남력'의 최초 반응정보점수와 2번째 반응정보점수는 100으로 0의 장애지수가 발생된다.
인지능력 평가요소 '집중력'의 최초 반응정보점수는 60이며, 2번째 반응정보점수는 40이다. 따라서 장애지수도출부(2700)는 60, 40이 누적된 100에 대한 장애지수를 도출한다. 평균 반응정보점수가 50으로 장애지수는 50이 된다.
인지능력 평가요소 '지연회상'의 최초 반응정보점수는 67이며, 2번째 반응정보점수는 100이다. '지연회상'의 경우는 최초 반응점보점수가 67로써, 장애지수는 34가 될수 있지만, 2번째 반응정보점수가 100이 나옴으로써, 평균 반응정보점수 83.5에 대한 장애지수 16.5가 도출된다.
도 5는 동일한 콘텐츠를 사용한 경우의 예시이지만, 또 다른 콘텐츠를 사용함에 따라 인지능력 평가요소별 반응정보점수가 누적됨에 따라 사용자의 장애지수는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에 따라 변경된다.
일 예로, 반응정보저장부(2600)에 저장된 '지남력'의 반응정보점수가 '100', '67', '25', '50'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장애지수도출부(2700)는 누적된 반응정보점수 '242'에 대한 39.5의 장애지수를 도출한다.
장애지수도출부(2700)에 의해 사용자의 장애지수는 반응정보점수가 누적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바뀐다. 반응정보저장부(2600)에 저장된 반응정보점수가 100일 때는 장애지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100, 67일 때의 평균 반응정보점수 '83.5', 100, 67, 25일 때의 평균 반응정보점수 '64', 100, 67, 25, 50때의 평균 반응정보점수 '60.5'와 같이 반응정보점수가 지속적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반응정보점수가 100일 때의 장애지수는 0이지만, 100, 67일 때는 16.5의 장애지수, 100, 67, 25일 때는 36의 장애지수, 100, 67, 25, 50일 때는 39.5의 장애지수가 도출된다.
이와 같이, 장애지수가 누적된 반응정보점수를 통해 도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장애지수의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애지수를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천콘텐츠제공부(2800)는 장애지수에 따른 추천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5의 경우는 '집중력'의 장애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진단되었다. 따라서 추천콘텐츠제공부(800)는 콘텐츠저장부(2100)에 저장된 콘텐츠 중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3000)는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며, 사용자에게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300)가 사용자의 헤드에 장착되는 입체형 HMD(Head Mounted Display)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3차원 가상의 공간안에 실제로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R기반 인지능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의 설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의 구성이 보다 명확히 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사항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서술한다.
신호입력장치(1000)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S100)되면, 콘텐츠변환부(2300)는 콘텐츠저장부(2100)로부터 선택된 특정 콘텐츠를 추출하여 가상현실로 이루어지는 영상정보를 생성한다(S200). 일 예로, 콘텐츠변환부(2300)에 의해 변환된 특정 콘텐츠가 '운전'일 경우라면, 차량내부 일인칭 시점의 영상정보일 수 있다.
콘텐츠변환부(200)에 의해 변환된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3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300).
이벤트발생부(2400)는 S100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서 발생가능한 평가이벤트를 영상정보에 발생시킨다(S400). 일 예로, 특정 콘텐츠가 '운전'인 경우, 이벤트발생부(2400)는 운전에 대응하는 평가이벤트를 이벤트저장부(2200)로부터 추출한다. 이벤트발생부(2400)에 의해 추출된 '운전'의 콘텐츠의 평가이벤트 정보인 목적지 정보 질문, 현재 위치 질문, 사물 또는 사람 인지 등이 영상정보로 출력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장치(1000)를 통해 평가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입력한다(S500). 예를 들어, '운전' 콘텐츠의 평가이벤트 중 현재 위치 질문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영상출력된 보기정보 중 특정 숫자를 입력한다.
반응정보생성부(2500)는 특정 이벤트정보가 발생된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입력된 입력신호를 통해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수치화한다(S600).
일 예로, 신호입력장치(500)를 통해 현재 위치 질문관련 보기정보 중 '1'번이 입력되었다. '1'번이 정답일 경우, 반응정보생성부(500)는 현재 위치 질문에 지정되어 있는 '지남력'의 반응정보 점수를 생성한다.
반응정보생성부(500)에 의해 생성된 반응정보점수는 반응정보저장부(2600)에 저장된다(S700).
장애지수도출부(2700)는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를 식별(S800)하여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장애지수를 도출한다(S900).
사용자의 장애지수가 진단되면, 사용자는 콘텐츠 이용을 종료할지, 추천콘텐츠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선택한다(S1000).
사용자에 의해 추천콘텐츠 제공이 선택되면, 추천콘텐츠제공부(2800)는 장애지수에 따른 추천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100).
1000 : 신호입력장치 2000 : 서비스제공장치
2100 : 콘텐츠저장부 2200 : 이벤트저장부
2300 : 콘텐츠변환부 2400 : 이벤트발생부
2410 : 평가요소저장부 2420 : 평가요소추출부
2500 : 반응정보생성부 2510 : 평가요소매칭부
2520 : 평가요소분석부 2600 : 반응정보저장부
2700 : 장애지수도출부 2800 : 추천콘텐츠제공부
30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사용자입력장치;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저장부; 상기 콘텐츠에서 발생가능한 이벤트정보가 저장되는 이벤트저장부; 상기 사용자입력장치에 의해 선택된 특정 콘텐츠를 가상현실의 영상정보로 생성하는 콘텐츠변환부; 상기 특정 콘텐츠에서 발생 가능한 특정 이벤트정보를 상기 영상정보에 발생시키는 이벤트발생부; 상기 입력신호의 반응시간, 정답여부, 인지여부와 기억력, 지남력, 집중력, 지연회상, 계산능력, 언어능력의 인지능력평가요소를 매칭하는 평가요소매칭부;와 상기 특정 콘텐츠에 지정된 평가요소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반응시간, 정답여부, 인지여부와 매칭된 각각의 인지능력평가요소에 대한 반응정보를 분석하여 수치화하는 평가요소분석부를 포함하는 반응정보생성부; 상기 수치화된 반응정보점수가 누적되어 저장되는 반응정보저장부; 상기 누적된 반응정보점수의 변화를 식별하여 장애지수를 도출하는 장애지수도출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발생부는 상기 이벤트정보에 부여되는 상기 기억력, 상기 지남력, 상기 집중력, 상기 지연회상, 상기 계산능력, 상기 언어능력의 인지능력평가요소가 저장되는 평가요소저장부; 및 특정 이벤트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기억력, 지남력, 집중력, 지연회상, 계산능력, 언어능력의 인지능력평가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하는 평가요소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저장부는 상기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상기 사용자의 반응정보점수를 저장하며, 상기 장애지수도출부는 반응정보점수의 변화에 따른 장애지수를 상기 인지능력평가요소별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지수에 따른 추천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추천콘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KR1020170132082A 2017-10-12 2017-10-12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KR10210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082A KR102108089B1 (ko) 2017-10-12 2017-10-12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082A KR102108089B1 (ko) 2017-10-12 2017-10-12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81A KR20190041081A (ko) 2019-04-22
KR102108089B1 true KR102108089B1 (ko) 2020-05-07

Family

ID=6628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082A KR102108089B1 (ko) 2017-10-12 2017-10-12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71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이노베이션시스템 Vr을 이용한 치매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20062197A (ko) 2020-11-06 2022-05-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228B1 (ko) * 2019-11-27 2022-06-27 박도영 경도인지장애 개선 시스템
KR102106752B1 (ko) 2019-12-30 2020-05-06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뇌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복수 그룹의 상호 작용 가능한 인터렉티브형 vr 시스템
KR102401609B1 (ko) * 2020-02-20 2022-06-10 김창호 인지강화훈련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26939B1 (ko) * 2020-03-24 2022-07-28 부산대학교병원 가상현실 기반 인지게임 점수에 따른 인지장애 분석을 이용한 맞춤형 인지개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075B1 (ko) 2020-07-28 2023-12-0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가상 현실 기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환자의 뇌 훈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2617831B (zh) * 2020-09-18 2021-08-31 东北大学 基于虚拟现实与脑-机接口的阿尔兹海默症辅助治疗装置
KR102336900B1 (ko) * 2021-03-11 2021-12-08 서영철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지훈련 커리큘럼 구성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157A (ja) * 2012-03-29 2015-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アルツハイマー病に関する神経科医のワークフローを改良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93B1 (ko) 2015-02-11 2017-03-02 울산과학기술원 치매의 자가 조기 진단 및 훈련을 위한 안구 운동 및 지각 기능 기반 가상현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3157A (ja) * 2012-03-29 2015-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アルツハイマー病に関する神経科医のワークフローを改良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덕용 외 6명, ‘3차원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Vol. 33, no. 1, pp. 12-20, 2009*
비특허문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71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이노베이션시스템 Vr을 이용한 치매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20062197A (ko) 2020-11-06 2022-05-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기능 평가 시스템 및 인지 기능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81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089B1 (ko)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vr기반 인지능력 평가시스템
JP6122130B2 (ja) 脳機能障害評価方法、脳機能障害評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301775B2 (en) Data anno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machine learning
US20170273552A1 (en) Visual disability detec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CA2790394C (en) Adaptive visual performance testing system
CN111343927A (zh) 认知功能障碍诊断装置以及认知功能障碍诊断程序
KR101983279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Youngblut Experienc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CN101453943B (zh) 图像记录装置和图像记录方法
JP6291107B2 (ja) 脳機能障害評価方法、脳機能障害評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10864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so as to be able to evaluate and self-evaluate exercises
KR20190074563A (ko) 모션인식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매고위험군과 경도인지장애를 위한 평가 및 훈련장치와 그 방법
Feigl et al. Sick moves! motion parameters as indicators of simulator sickness
CN113658697B (zh) 一种基于视频注视差异的心理测评系统
Meusel Exploring mental effort and nausea via electrodermal activity within scenario-based tasks
JP678442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1192802A (ja) 高次脳機能検査用の三次元表示装置
KR20210144208A (ko) 증강현실 기반 인지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883B1 (ko)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4443A (ko) 시공간 기억 및/또는 현출성의 자동 수동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e Bruin Automated usability analysis and visualisation of eye tracking data
Josupeit Cybersickness as the virtual reality sickness questionnaire (VRSQ) measures it!?–an environment-specific revision of the VRSQ
Montenegro et al. Cognitive tests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ased on virtual environments
Montenegro et 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ased on virtual environments
CN115607159B (zh) 基于眼动序列时空特征分析的抑郁状态鉴别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