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795A -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795A
KR20220061795A KR1020200189616A KR20200189616A KR20220061795A KR 20220061795 A KR20220061795 A KR 20220061795A KR 1020200189616 A KR1020200189616 A KR 1020200189616A KR 20200189616 A KR20200189616 A KR 20200189616A KR 20220061795 A KR20220061795 A KR 20220061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427B1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6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음성 처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 음성 정보 및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음성 내의 객체 중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oice Processing}
본 발명은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나 블랙박스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의 영상을 촬영하고 음성을 녹음하는 시스템에서 무분별하게 노출될 수 있는 개인의 음성을 원하지 않는 공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화 기술의 발전,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도입과 함께, 현대사회는 각종 파이프나 물리적인 선으로 연결되는 공공서비스망(전기, 가스, 상하수도 등) 기반의 인프라를 넘어서 공공서비스, 콘텐트와 새로운 부가서비스를 전달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첨단 정보통신망을 주목하고 있다.
또한, 사회가 발전하면서 범죄는 갈수록 지능화, 고속화되고 있으며, 흉포하고 동기가 없는 범죄들도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범죄는 특성상 목격자나 증거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고 진술 확보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다.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이러한 상황에서 범죄를 감시하고, 사회의 안전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여성, 어린이, 치매노인, 독거노인 등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확인 서비스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CCTV 카메라를 이용하면, 광범위한 영역을 대상으로 모니터 요원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면서 사건 발생 시 조치를 취하거나 사건 발생 후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여 범죄발생의 증거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에 부탁되는 주행 또는 주차 시에 발생하는 사고를 촬영하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사용하여 CCTV와 같은 용도로 활용하는 시스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 이러한 CCTV나 블랙박스는 불특정 다수를 촬영하는 것이므로 본인이 촬영되기를 원하지 않더라도 영상 또는 음성이 촬영된 멀티미디어에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의 아니게 공개되기도 한다. 특히 종래에는 개인의 초상권뿐만 아니라 개인이 공개하기 원치 않는 음성에 대한 보호가 보장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94103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특정 다수의 영상을 촬영하고 음성을 녹음하는 시스템에서 무분별하게 노출될 수 있는 개인의 음성을 원하지 않는 공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음성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은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샘플 및 음성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또는 노이즈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은, 음성 재생부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은,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음성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 처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처리부; 및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샘플 및 음성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또는 노이즈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고,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음성 재생부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서 음성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음성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음성 취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샘플 및 음성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또는 노이즈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고,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음성 취득부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취득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음성 취득부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영상을 촬영하고 음성을 녹음하는 시스템에서 무분별하게 노출될 수 있는 개인의 음성을 원하지 않는 공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한 설정 기반의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서버에 의하여 복수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서버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상권 보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 음성 취득부(30) 및 음성 재생부(40) 등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예컨대 사용자의 스마트폰, 노트패드, 노트북 등과 같은 포터블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PC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하여 서버(20)에 접속 가능하며 음성 취득부(30)에 의하여 취득되는 음성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공개할 것인지 비공개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음성 취득부(30)는 음성을 취득하는 촬영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취득부(30)는 예컨대 녹음기, 음성의 녹취가 가능한 CCTV 또는 블랙박스 등일 수 있다. 음성 재생부(40)는 음성 취득부(30)에 의하여 취득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재생부(40)는 CCTV 모니터링 시스템, 블랙박스 영상 재생부, CCTV나 블랙박스와 연결되는 보안 시스템, 홈 모니터링 시스템 등일 수 있으며, 또는, 도 1의 도시에서는 다르게 표시되었으나, 사용자 단말기(10)일 수도 있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허가되지 않은 녹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설정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하고, 음성 취득부(30)에 의하여 취득된 음성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히든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서버(2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는 정보 처리부(22), 음성 처리부(24) 및 데이터베이스(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부는 상호 간에 연동 가능하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부, 출력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2)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22)는 음성 재생부(40)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2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고,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음성 처리부(24)는 음성 취득부(30)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처리부(24)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24)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20)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권 보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S1).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ID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을 취득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음성 샘플, 음성 분석데이터 또는 음성이 포함된 영상 등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는 음성 취득부(30)에 의하여 취득된 음성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하기 위한 근거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는 음성 취득부(30)에 의하여 취득된 음성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공개할 것인지 비공개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정보로서, 예컨대 "공개/비공개", "True/False", "Yes/No", "Non-Hidden/Hidden"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는 수신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S2).
한편, 음성 취득부(30)는 음성을 취득할 수 있으며 취득된 음성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음성 취득부(30)는 취득된 음성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는 음성 취득부(30)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S3).
다음으로,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되어 있으며 또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학습되어 있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S4).
서버(20)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S5). 예를 들어,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취득된 음성의 재생 시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묵음 처리, 노이즈 처리, 변조 처리 등) 등일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6)에 사용자 식별 정보 등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관련된 내용을 알려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락처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0)가 모바일폰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서버(20)는 문자나 메신저, 음성 안내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예컨대 "XX시 XX동에서 촬영된 CCTV 영상에 귀하의 음성이 포함되어 있어 들리지 않도록 변조 처리하였습니다" 등과 같은 처리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음성 재생부(40)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는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난 사건 수사 중 음성 재생부(40)에서 CCTV를 확인하기 위하여 촬영 음성을 재생하던 중 사용자와 범인과의 연관성 여부를 대화 내용 청취를 통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음성 재생부(4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서버(20)는 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등과 같은 정보를 음성 재생부(40)로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서버(20)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든 처리 후에는 사용자의 음성 부분이 어느 부분인지 청취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를 확인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서버(20)는 히든 처리된 사용자의 음성 부분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연관시켜 놓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한 설정 기반의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취득된 음성에서 개인 별 음성을 공개 또는 비공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음성 취득부(30)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S11). 이때, 취득된 음성에는 복수 개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의 프로세서는 상기 취득된 음성 내에서 복수 개의 음성을 식별할 수 있다(단계:S12). 다음으로, 서버(20)는 식별된 상기 복수 개의 음성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S13).
도 5는 서버(2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서버(20)는 사용자 별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6)를 조회하여 식별된 복수 개의 음성과 매칭되는 복수 개의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S21). 이어서 서버(20)는 검출된 복수 개의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S22). 상기 사용자 별 음성 정보는 사용자 별 음성 샘플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20)는 검출된 복수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S14).
도 6은 서버(20)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는 복수 개의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음성 중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S31). 이어서 서버(20)는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성에 대하여 히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S32).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취득된 음성의 재생 시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처리 처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및 노이즈 처리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취득된 음성에는 4명의 사용자의 음성,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음성, 제 2 사용자의 음성, 제 3 사용자의 음성, 제 4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어 있다.
이중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 및 제 4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는 음성을 공개해도 상관 없음이고,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 및 제 3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및 제 4 사용자의 음성은 공개되어 있는 반면 제 2 및 제 3 사용자의 음성은 변조 처리되어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음성 재생부(40)로부터 히든 처리된 음성에 대한 히든 해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히든 해제 요청된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해제하여 들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예에서 재생 음성을 확인하던 제 3 사용자가 사용자가 히든 처리된 자신의 음성을 확인하고 싶어 제 3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이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히든 해제 요청이 서버(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는 제 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히든 해제 요청에 따라 서버(20)는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히든 해제 요청된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해제하여 들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인증된 요청에 따라 취득된 음성에서 제 3 사용자의 음성(U3)이 히든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한편, 서버(20)는 음성 재생부(40)로부터 히든 처리된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상기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히든 처리된 음성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히든 처리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 및 상기 히든 처리된 음성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 별 음성의 부분을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든 처리 후에는 사용자 별 음성 부분이 누구에 대응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만약 특정 사용자를 확인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서버(20)는 히든 처리된 사용자의 음성 부분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연관시켜 놓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서버
22 : 정보 처리부
24 : 음성 처리부
26 : 데이터베이스
30 : 음성 취득부
40 : 음성 재생부

Claims (22)

  1.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샘플 및 음성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하는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및 노이즈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 재생부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8.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처리부; 및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샘플 및 음성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하는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및 노이즈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것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고,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음성 재생부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재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장치.
  15. 사용자 단말기;
    음성 취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샘플 및 음성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하지 않음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히든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공개함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들리지 않도록 하는 묵음 처리, 변조 처리 및 노이즈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고,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히든 처리의 수행 여부와 연관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음성 취득부로부터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음성 취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취득된 음성에서 히든 처리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처리 시스템.
  22. 컴퓨터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음성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된 상기 음성 내의 객체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공개 여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히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음성 취득부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89616A 2020-11-06 2020-12-31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42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10 2020-11-06
KR20200147210 2020-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795A true KR20220061795A (ko) 2022-05-13
KR102442427B1 KR102442427B1 (ko) 2022-09-14

Family

ID=8158315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86A KR102555680B1 (ko) 2020-11-06 2020-12-31 초상권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89621A KR102525077B1 (ko) 2020-11-06 2020-12-31 설정 기반의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89616A KR102442427B1 (ko) 2020-11-06 2020-12-31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89583A KR102502105B1 (ko) 2020-11-06 2020-12-31 초상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86A KR102555680B1 (ko) 2020-11-06 2020-12-31 초상권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89621A KR102525077B1 (ko) 2020-11-06 2020-12-31 설정 기반의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83A KR102502105B1 (ko) 2020-11-06 2020-12-31 초상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55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080B1 (ko) 2023-03-21 2023-11-06 (주)노웨어소프트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초상권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103A (ko)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Cctv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0168A (ko) * 2013-07-09 2016-03-16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음성 인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92756B1 (ko) * 2014-01-29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KR20200095719A (ko) *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95B1 (ko) * 2013-02-14 2013-08-14 우원소프트 주식회사 얼굴인식 보안 관제 시스템
KR101859433B1 (ko) * 2017-02-14 2018-05-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모자이크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06898B1 (ko) * 2018-06-18 2020-05-06 주식회사 쓰임기술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인물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2113879B1 (ko) * 2018-12-19 2020-05-26 주식회사 공훈 참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화자 음성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3248B1 (ko) * 2020-01-30 2020-06-16 김선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얼굴인식 기반 실시간 영상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103A (ko)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Cctv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0168A (ko) * 2013-07-09 2016-03-16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음성 인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92756B1 (ko) * 2014-01-29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보안 통신 방법
KR20200095719A (ko) *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음성인식 기반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처리 실태 분석 및 이용자 보로 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12. *
조영임 외 1인, 'GMM을 이용한 응급 단어와 비응급 단어의 검출 및 인식 기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2011, Vol. 21, No. 2, pp.254-25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796A (ko) 2022-05-13
KR102525077B1 (ko) 2023-04-24
KR102442427B1 (ko) 2022-09-14
KR102555680B1 (ko) 2023-07-17
KR20220061794A (ko) 2022-05-13
KR102502105B1 (ko) 2023-02-23
KR20220061793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0203B2 (en)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udio/video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desired recipient(s)
US8254572B2 (en) Secure provisioning of a portable device using a representation of a key
RU263893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вещения о входящем вызове
CN109376552A (zh) 一种基于区块链存证的证据采集方法及系统
JP4072821B2 (ja) 顔情報の検出により基地局のセキュリティを提供する装置とその方法、顔情報を検出する端末機の画像通信装置と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0765434A (zh) 身份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8272063B2 (en) DRM scheme extension
EP397962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video conference
Hosein et al. Modern safeguards for modern surveillance: An analysis of innovations in communications surveillance techniques
WO2013189263A1 (zh) 在移动终端中监控api函数调用的方法和装置
KR20230036100A (ko) 합성 재암호화된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분배
KR102442427B1 (ko) 음성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995381B (zh) 一种报警终端、云端及其报警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US110554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suring privacy in online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s
CN117715048A (zh) 电信诈骗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71068A (zh) 用于语音数据加密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Han et al. The privacy protection framework for biometric information in network based CCTV environment
CN106559575A (zh) 信息隐私保护方法
EP3398108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visual privacy protection for mobile and wearable devices
US20220053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authentication of video
US10505876B2 (en) Instant communication method and server
CN111083273A (zh) 一种语音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2098074A1 (ko) 초상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458365B1 (ko) 영상기기 보이스 알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0335464B (zh) 交通事故数据的处理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