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469A - Egi휀스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Egi휀스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469A
KR20220061469A KR1020200147480A KR20200147480A KR20220061469A KR 20220061469 A KR20220061469 A KR 20220061469A KR 1020200147480 A KR1020200147480 A KR 1020200147480A KR 20200147480 A KR20200147480 A KR 20200147480A KR 20220061469 A KR20220061469 A KR 2022006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i
fence
fastener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섭
Original Assignee
최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섭 filed Critical 최성섭
Priority to KR102020014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469A/ko
Publication of KR2022006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EGI휀스와 상기 EGI휀스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EGI휀스용 체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는, 파이프의 외부에 삽입되며 파이프가 이탈방지되도록 파이프를 탄성적으로 홀딩하는 홀더부와, 홀더부의 일측 단부에 절곡 연장 형성되며 EGI휀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형성되며 EGI휀스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 고정부를 상기 EGI휀스에 고정하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EGI휀스용 체결구{CONNECTING TOOL FOR EGI FENCE}
본 발명은 EGI휀스 설치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EGI휀스와 상기 EGI휀스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EGI휀스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조물 시공현장에서는 소음과 분진이 다량 발생하게 되며, 인근에 거주민이 많은 경우에는 현장 인근지역의 주민으로부터 민원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공사현장이 빌딩 혹은 민가 밀집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소음문제로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공사 소음과 분진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공사현장에는 휀스를 설치하게 된다.
최근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 Electrolytic Galvanized Iron)을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EGI휀스는 전해법에 의해 냉연강판 표면에 아연피복을 도금하여 내식성을 높인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용융아연 도금강판보다 도금 부착량이 적고 균일하며 평활하기 때문에 뛰어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EGI휀스(1)는 기본적으로 공사현장의 외곽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중 앵커를 박아넣은 상태에서 각 지중 앵커마다 철재 기둥을 세우고 기둥의 소정 높이마다 기둥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횡 파이프(3)를 나란히 설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횡 파이프(3)에 후크형 체결구(10)를 사용하여 EGI휀스(1)를 체결한다.
종래의 EGI휀스용 체결구(10)는 고리형태를 갖는 후크부(11)와, 후크부(11)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13)와, 볼트(13)에 체결되는 너트(15)로 구성된다.
EGI휀스(1) 설치시 후크부(11)의 볼트(13) 부분을 EGI휀스(1)에 형성된 구멍(1a)에 삽입한 후 볼트(13)에 너트(15)를 체결하여 EGI휀스용 체결구(10)를 EGI휀스(1)에 고정하고, 후크부(11)에 횡 파이프(3)를 안착되게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EGI휀스용 체결구(10)는 볼트(13)와 너트(15) 체결방식이므로 복수의 EGI휀스(1)를 파이프(3)에 고정 설치하거나 해체시 많은 수의 볼트(13)와 너트(15) 체결 및 해체 작업이 수반되므로 작업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EGI휀스(1)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속도가 느리므로 더위 또는 혹한시에는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너트(15)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공구가 추가로 필요하고, EGI휀스(1)의 설치 및 해체 작업시 너트 분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크형태로 파이프(3)에 단순히 걸쳐진 상태에서 안착지지되므로 외력 또는 강풍에 의해 EGI휀스(1)가 파이프(3)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부(11)와 파이프(3) 간 용접 등 별도 공정이 필요하므로 설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해체시 용접을 제거해야 하므로 해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EGI휀스를 횡 파이프에 설치시 클립핀 형태로 EGI휀스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볼트와 너트 체결방식의 후크형 체결구에 비해 EGI휀스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속도가 빠르며 더위 또는 혹한시에도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클립형 EGI휀스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는, 복수의 EGI휀스와 상기 EGI휀스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EGI휀스용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가 이탈방지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탄성적으로 홀딩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측 단부에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EGI휀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며, 상기 EGI휀스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를 상기 EGI휀스에 고정하는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형상으로 절개한 절개면을 상기 고정부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하여 상향으로 절곡 형성하는 클립핀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핀을 상기 EGI휀스의 끼움홀에 끼움 결합시 상기 클립핀과 상기 고정부의 사이 간격에 상기 EGI휀스 단면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상기 클립핀의 하단부까지 완전 절개되지 않고 절곡 하단부보다 위쪽까지만 부분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GI휀스용 체결구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홀더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가 상기 간격유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고정홀을 통해 피스나 리벳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에 따르면, 클립핀 형태로 이루어진 끼움부를 EGI휀스의 끼움홀에 간편하게 끼워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기존의 볼트와 너트 체결방식의 후크형 체결구에 비해 EGI휀스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속도가 빠르므로 작업자가 더위 또는 혹한시에도 작업이 수월하며, 클립형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후크형 체결구에 적용하는 볼트와 너트를 생략하므로 너트 고정을 위한 별도의 전용공구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EGI휀스용 체결구의 홀더부가 파이프를 탄성적으로 홀딩하는 탄성판형 클램핑 구조이므로 파이프의 고정 지지력이 커서 외력 및 강풍시 파이프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GI휀스용 체결구의 클립핀을 통해 EGI휀스의 끼움홀에 끼움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파이프의 수평 수직 배열에 따른 각도 조정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를 EGI휀스에 끼움 결합하는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EGI휀스와 파이프를 체결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EGI휀스용 체결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EGI휀스용 체결구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EGI휀스용 체결구의 우측면도이고, 도 7은 EGI휀스용 체결구의 평면도이며, 도 8은 EGI휀스용 체결구의 저면도이며, 도 9는 EGI휀스용 체결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100)는 홀더부(110), 고정부(120), 끼움부(130) 및 간격유지부(140)를 포함하며, 복수의 EGI휀스(1)와 EGI휀스(1)를 지지하기 위한 횡 파이프(3)를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100)는 클립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금속재로 제작된다.
홀더부(110)는 복수의 EGI휀스(1)를 지지하기 위한 횡 파이프(3)의 외부에 삽입되며, 파이프(3)가 이탈방지되도록 파이프(3)를 탄성적으로 홀딩한다.
홀더부(110)는 탄성판으로 이루어지고, 파이프(3)의 외부에 삽입될 때 파이프(3)의 상측면을 파지하는 제 1 홀더판(111)과, 제 1 홀더판(111)으로부터 호형상으로 하향 연장되어 파이프(3)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파이프(3)가 이탈방지되도록 자체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3)를 홀딩하는 제 2 홀더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110)는 직선형 아암 형상을 갖는 제 1 홀더판(111)과, 제 1 홀더판(111)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C형상의 곡선형상을 갖는 제 2 홀더판(112)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측이 개방된 클립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10)의 제 2 홀더판(112)에는 고정홀(113)이 관통 형성되며, 홀더부(110)에 삽입된 파이프(3)를 고정홀(113)을 통해 피스나 리벳(115)으로 홀더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10)의 제 2 홀더판(11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파이프(3)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제 2 홀더판(112)과 대향되도록 홀더부(110)의 일측 단부에 절곡 연장 형성되는 고정판이며, EGI휀스(1)에 고정된다.
끼움부(130)는 고정부(120)에 형성되며, EGI휀스(1)에 형성되는 끼움홀(1a)에 끼워져 고정부(120)를 EGI휀스(1)에 고정한다.
끼움부(130)는 고정부(120)의 일부를 ∩형상으로 절개(120a)한 절개면을 고정부(120)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구체적으로 EGI휀스(1)의 단면 두께와 대응하는 간격 틈(132)만큼 이격되게 고정부(120)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하여 상향으로 절곡 형성하는 클립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끼움부(1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120)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클립핀(131)의 하단부(131a) 가까이 완전 절개된다.
이처럼 고정부(120)에 클립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클립핀(131)을 EGI휀스(1)의 끼움홀(1a)에 끼움 결합시 클립핀(131)과 고정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 틈(132)에 EGI휀스(1) 단면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클립핀(131)의 상단부(131b)는 고정부(120)의 판면과 간격 틈(132)이 확장되게 외측으로 절곡되어 클립핀(131)을 EGI휀스(1)의 끼움홀(1a)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클립핀(131)의 폭 크기를 EGI휀스(1)의 끼움홀(1a)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클립핀(131)을 끼움홀(1a)에 단단히 억지끼움 결합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140)는 고정부(120)에 홀더부(11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120)의 양측단으로부터 홀더부(110)의 제 2 홀더판(112)을 향해 절곡되게 돌출 연장하여 간격유지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EGI휀스(1) 설치시 다수의 파이프(3)를 클램핑하는 클램프장치(미도시)의 돌출된 헤드부에 의한 EGI휀스(1)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EGI휀스(1)와 파이프(3)간 이격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부(110)에 삽입된 파이프(3)가 간격유지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EGI휀스(1)에 고정되는 고정부(12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클램프장치의 헤드부가 EGI휀스(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GI휀스용 체결구(100)는 홀더부(110), 고정부(120), 끼움부(130) 및 간격유지부(14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끼움부(130)는 고정부(120)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클립핀(131)의 하단부(131a)까지 완전 절개되지 않고 절곡된 하단부(131a)보다 위쪽까지만 부분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핀(131)의 절곡된 하단부(131a) 뿐만 아니라 하단부(131a)의 양측단(131c)까지 절개없이 고정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클립핀(131)의 절곡된 하단부(131a)의 강도를 보강하므로 EGI휀스(1) 또는 파이프(3)의 하중에 의한 클립핀(131)의 절곡된 하단부(131a)의 꺾임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를 EGI휀스에 끼움 결합하는 사용상태도로서, (a)는 끼움 결합 휀스 앞쪽 체결상태, (b)는 끼움 결합 휀스 뒤쪽 체결상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EGI휀스와 파이프를 체결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100)는 복수의 EGI휀스(1)와 EGI휀스(1)를 지지하기 위한 횡 파이프(3)를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먼저, EGI휀스용 체결구(100)를 EGI휀스(1)에 체결하게 되는데, EGI휀스용 체결구(100)의 고정부(120)에 클립형태로 형성된 클립핀(131)을 EGI휀스(1)에 형성된 끼움홀(1a)에 끼움 결합한다. 이처럼 클립핀(131)을 EGI휀스(1)의 끼움홀(1a)에 끼움 결합시 클립핀(131)과 고정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 틈(132)에 EGI휀스(1) 단면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EGI휀스용 체결구(100)를 EGI휀스(1)에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EGI휀스용 체결구(100)를 EGI휀스(1)를 지지하기 위한 횡 파이프(3)에 체결하게 되는데, EGI휀스용 체결구(100)의 홀더부(110)를 파이프(3)의 외부에 삽입한다.
홀더부(110)가 파이프(3)의 외부에 삽입될 때, 제 1 홀더판(111)이 파이프(3)의 상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 2 홀더판(112)이 파이프(3)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3)를 탄성적으로 홀딩함으로써, 파이프(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10)에 삽입된 파이프(3)를 고정홀(113)을 통해 피스나 리벳(115)으로 홀더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10)에 삽입된 파이프(3)가 간격유지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EGI휀스(1)에 고정되는 고정부(12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클램프장치의 헤드부가 EGI휀스(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100)는 클립핀(131) 형태로 이루어진 끼움부(130)를 EGI휀스(1)의 끼움홀(1a)에 간편하게 끼워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기존의 볼트(13, 도 1 참조)와 너트(15, 도 1 참조) 체결방식의 후크형 체결구(10, 도 1 참조)에 비해 EGI휀스(1)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속도가 빠르므로 작업자가 더위 또는 혹한시에도 작업이 수월하며, 클립형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후크형 체결구(10)에 적용하는 볼트(13)와 너트(15)를 생략하므로 너트(15) 고정을 위한 별도의 전용공구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EGI휀스용 체결구(100)의 홀더부(110)가 파이프(3)를 탄성적으로 홀딩하는 탄성판형 클램핑 구조이므로 파이프(3)의 고정 지지력이 커서 외력 및 강풍시 파이프(3)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GI휀스용 체결구(100)의 클립핀(131)을 통해 EGI휀스(1)의 끼움홀(1a)에 끼움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파이프(3)의 수평 수직 배열에 따른 각도 조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EGI휀스용 체결구(100)는 EGI휀스(1)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속재질의 휀스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EGI휀스용 체결구 110 : 홀더부
111 : 제 1 홀더판 112 : 제 2 홀더판
113 : 고정홀 120 : 고정부
130 : 끼움부 131 : 클립핀
140 : 간격유지부 150 : 가이드부

Claims (5)

  1. 복수의 EGI휀스와 상기 EGI휀스를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EGI휀스용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가 이탈방지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탄성적으로 홀딩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일측 단부에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EGI휀스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며, 상기 EGI휀스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를 상기 EGI휀스에 고정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EGI휀스용 체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형상으로 절개한 절개면을 상기 고정부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하여 상향으로 절곡 형성하는 클립핀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핀을 상기 EGI휀스의 끼움홀에 끼움 결합시 상기 클립핀과 상기 고정부의 사이 간격에 상기 EGI휀스 단면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I휀스용 체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상기 클립핀의 하단부까지 완전 절개되지 않고 절곡 하단부보다 위쪽까지만 부분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I휀스용 체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GI휀스용 체결구는 상기 고정부에 상기 홀더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가 상기 간격유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I휀스용 체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고정홀을 통해 피스나 리벳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I휀스용 체결구.
KR1020200147480A 2020-11-06 2020-11-06 Egi휀스용 체결구 KR20220061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80A KR20220061469A (ko) 2020-11-06 2020-11-06 Egi휀스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80A KR20220061469A (ko) 2020-11-06 2020-11-06 Egi휀스용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69A true KR20220061469A (ko) 2022-05-13

Family

ID=8158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80A KR20220061469A (ko) 2020-11-06 2020-11-06 Egi휀스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4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567B2 (en) System for mounting and supporting photovoltaic modules
US20160047493A1 (en) Magnetic Cable Fastener
KR100883391B1 (ko) 파이프 체결장치
KR20220061469A (ko) Egi휀스용 체결구
US11781282B2 (en) Locking t-bolts, post sleeves, post sleeves with shear connectio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7040036A (ja) 天井下地固定金具
RU2423588C1 (ru) Кронштейн навесной фасадной системы с воздушным зазором
KR100647219B1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후크볼트
JP6085826B2 (ja) 外装構造体の改修金具およびその渡し部材、その突出部固定部材、外装構造体の改修構造
JP3448267B2 (ja) 改修屋根用の下地構造
JP2016008479A (ja) 天井板材の取付装置並びにこれを使用した天井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159980U7 (ko)
KR102198422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JP3708937B2 (ja) 新設屋根取り付け具および新設屋根取り付け方法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JP2004108069A (ja) 外装材葺替え用冶具及び外装材葺替え構造
CN217874909U (zh) 一种内爬式布料机支撑固定装置
WO2005078326A1 (en) Mounting bracket
JP3186256U (ja) トンネル内装板取付け部の補修部材
JP7409945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吊り金具の固定方法
JP2014077254A (ja) コンクリート壁の吸音板取付構造
JP5232998B2 (ja) スレート葺屋根補修用屋根板保持金具、スレート葺屋根の補修構造およびその補修工法
RU96888U1 (ru) Кронштейн навесной фасадной системы с воздушным зазором (варианты)
JP7069481B1 (ja) 既存h形支柱と補強h形支柱の連結用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