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777A -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 Google Patents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777A
KR20220060777A KR1020200146758A KR20200146758A KR20220060777A KR 20220060777 A KR20220060777 A KR 20220060777A KR 1020200146758 A KR1020200146758 A KR 1020200146758A KR 20200146758 A KR20200146758 A KR 20200146758A KR 20220060777 A KR20220060777 A KR 2022006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gion
elastic
pillow
spr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257B1 (ko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안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호 filed Critical 안정호
Priority to KR102020014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2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를 지지하는 제1영역과, 목을 지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드부; 및 상기 쿠션부와 패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적어도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A pillow including pocket springs}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와 목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받치는 도구로써, 일반적으로 푹신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베갯속과, 베갯속을 감싸는 베갯잇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베개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통상의 베개는 베갯속에 솜이나 깃털 또는 곡물의 껍질이나 팥과 같은 것을 충진재로 채워 넣고, 베갯잇으로는 땀을 잘 흡수하거나 통풍이 원활한 재질로 감싸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베개 구조는 충진재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베개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베갯속에 채워지는 충진재의 양이 줄어들면 충진재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면서 충진재가 좌우로 이동하거나, 또는 어느 한 부분에서 뭉치면서 베개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충진재가 없는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진 베개가 시중에 공급되고 있다.
하지만, 라텍스 베개는 목과 머리 부분을 받쳐주는 지지 강도가 모든 영역에서 일정하기 때문에 목 부분의 경추를 견고하게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특정 기간이 지나면서 라텍스 재질이 경화됨에 따라 쿠션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21010호(2006.03.07 공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와 목을 지지하는 영역이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하여 경추 부분을 보다 강한 탄성 강도로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머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약한 탄성 강도로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를 지지하는 제1영역과, 목을 지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드부; 및 상기 쿠션부와 패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적어도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는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스프링 모듈과,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스프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가 상기 제1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와 제2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 사이의 탄성 강도를 갖는 제3스프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스프링 모듈은 상기 쿠션부의 외곽 부분에 마련된 제3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 모듈 내지 제3스프링 모듈은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 강도를 가지는 스프링 모듈과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 모듈 내지 제3스프링 모듈에 적용된 스프링의 굵기, 길이, 형상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를 달리하여 탄성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 모듈 내지 제3스프링 모듈은 각각의 상기 스프링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되되, 상기 제2스프링 모듈은 곡선의 코일 스프링 상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보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곡선의 코일 스프링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곽 부분에 마련된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타공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 이상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밀도의 타공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의 타공 패턴 지름이 가장 크거나 밀도가 높고, 상기 제2영역의 타공 패턴 지름이 가장 작거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상기 쿠션부와 패드부는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에 비하여 상기 제2영역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에 의하면,
첫째, 쿠션부와 패드부를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고, 내부에 탄성부를 탄성 강도 크기 별로 모듈화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탄성 강도를 맞추거나 조절할 수 있고,
둘째, 탄성부의 각 스프링 모듈 별로 탄성 강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머리에 비하여 목을 받쳐주는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셋째, 탄성부의 코일 스프링 형상이나 구조를 서로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탄성 강도를 사용자가 폭넓게 선택할 수 있고,
넷째, 쿠션부에 형성된 타공 패턴의 크기나 밀도를 조절하여 미세한 탄성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의 탄성부를 영역별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의 스프링 모듈을 종류별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를 다양한 실시예 별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의 스프링 모듈 구조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의 쿠션부에서 타공 패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100)는 쿠션부(110)와, 패드부(120) 및 탄성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쿠션부(110)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적절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쿠션부(110)와 패드부(120)를 동시에 감싸는 커버부(미도시, 예컨대 베갯잇)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는 선택적으로 베개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베개를 감싸도록 씌우거나 벗길 수 있다.
쿠션부(110)는 메모리폼, 라텍스, 솜이나 깃털과 같은 충진재가 채워진 베갯속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10)는 복수개의 타공 패턴(P1)을 포함한다. 타공 패턴(P1)은 복수개의 관통공(111)이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며, 타공 패턴(P1)의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쿠션부(110)는 내부에 탄성부(130)가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제1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이때, 타공 패턴(P1)은 제1안착홈(112) 상에서 노출되도록 쿠션부(110)를 관통할 수 있다.
쿠션부(110)는 사용자가 정 자세로 바로 누웠을 때, 머리 뒤쪽을 지지하는 제1영역(A1)과, 목 뒤쪽을 지지하는 제2영역(A2) 및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을 제외한 외곽 영역에 대응하는 제3영역(A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1영역(A1)은 뒤통수에 맞닿는 영역이고, 제2영역(A2)은 경추를 지지하는 영역이며, 제3영역(A3)은 사용자가 정 자세에서 옆으로 돌아 누울 때 얼굴 옆면과 접촉하는 양 측 외곽 영역과 정 자세로 바로 누웠을 때 머리 위쪽에 신체와 닿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영역(A3)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부(120)는 쿠션부(110)와 함께 결합되어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100)의 외곽을 이루는 구성으로 내부에 탄성부(130)가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제2안착홈(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130)는 쿠션부(110)와 패드부(120) 사이에서 각각 제1안착홈(112)과 제2안착홈(121)에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패드부(120) 역시 타공 패턴(P2)이 형성되며, 제2안착홈(121) 상에서 타공 패턴(P2)이 노출되도록 관통될 수 있다. 패드부(120)의 타공 패턴(P2)은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13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쿠션부(110)의 타공 패턴(P1)에 비하여 관통공(122)의 지름이 작거나 밀도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10)와 패드부(120)는 탄성부(13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쿠션부(110)와 패드부(120)는 지퍼, 단추, 벨크로 등의 탈부착 수단(123)을 통해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쿠션부(110)와 패드부(120)는 어느 일 면이 서로 일체로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길이가 짧은 일 측 모서리(124)가 서로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모서리가 탈부착 수단(123)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탈부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성부(130)는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제1스프링 모듈(M1) 내지 제3스프링 모듈(M3)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30)는 제1영역(A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스프링 모듈(M1)이 배치되고, 제2영역(A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스프링 모듈(M2)이 배치되며, 제3영역(A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스프링 모듈(M3)이 배치된다.
이때, 제1스프링 모듈(M1) 내지 제3스프링 모듈(M3)은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스프링 모듈(M1)은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탄성 강도가 작은 스프링이 적용되고, 제2스프링 모듈(M2)은 목을 지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제1스프링 모듈(M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탄성 강도가 큰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3스프링 모듈(M3)은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적정 높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1스프링 모듈(M1)의 탄성 강도와 제2스프링 모듈(M2)의 탄성 강도 중간에 해당하는 탄성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의 크기 또는 비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따라서 크기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영역(A3)이 최외곽에 배치된 한 줄의 스프링 모듈(M3)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대응하여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스프링 모듈에 적용되는 포켓 스프링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131)의 강선 굵기가 굵고, 코일 스프링 상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보강부(132)가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다. 도 4(b)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굵기가 굵고, 길이가 짧은(코일링 회전수가 적은) 구조를 도시한다. 도 4(c)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굵기가 굵고, 길이가 보통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d)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굵기가 굵고, 길이가 긴(코일링 회전수가 많은) 구조를 도시한다. 도 4(e)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굵기가 중간이면서 길이가 보통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f)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굵기가 얇고, 길이가 보통인 구조를 도시한다. 예컨대, 도 4의 스프링들은 도 4(a) 방향으로 갈수록 탄성 강도가 크고, 반대로 도 4(f) 방향으로 갈수록 탄성 강도가 작을 수 있다.
도 4(a)의 스프링 구조는 코일 스프링(131)의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보강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의 위쪽에서 눌려지는 압력은 모두 아래쪽으로 전달되는데, 보강부(132)는 위쪽에서 눌려지는 압력에 대해 저항력 또는 반력이 제공하기 때문에 보강부가 없는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변형량이 작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탄성 강도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보강부(132)는 코일 스프링(131)의 변형을 제한하는 효과가 중심 영역 보다는 위쪽(사용자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도 4(b)의 스프링 구조는 코일링 회전수가 약 3~4회 감긴 구조로 상대적으로 스프링 강선의 길이가 짧아 코일 스프링의 변형이 발생하는 영역이 감소하기 때문에 탄성 강도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도 4(b)와 대조적으로 도 4(c)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코일링 회전수가 약 6~7회 감긴 구조이다. 물론, 도 4(c)는 도 4(b)에 비하여 탄성 강도의 크기가 작을 수 있고, 도 4(d)는 코일링 회전수가 약 9~10회 감긴 구조로써 도 4(c)의 구조에 비하여 탄성 강도의 크기가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 구조는 가장 큰 크기의 탄성 강도를 필요로 하는 제2영역(A2)에 대응하여 제2스프링 모듈(M2)에 적용될 수 있고, 도 4(c) 및 도 4(d) 구조는 중간 크기의 탄성 강도를 필요로 하는 제3영역(A3)에 대응하여 제3스프링 모듈(M3)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e) 및 도 4(f) 구조는 가장 약한 크기의 탄성 강도를 필요로 하는 제1영역(A1)에 대응하여 제1스프링 모듈(M1)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도 4(a) 내지 도 4(f)의 스프링 구조는 상대적인 탄성 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다양한 조합을 통해서 탄성 강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길이는 같고, 굵기가 서로 다른 구조를 조합하여 영역별로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하며, 예컨대 도 5의 (a) 구조는 일반적인 체중 범위와 신장을 가진 성인에 최적화 된 베개 구조일 수 있다.
도 5의 (b)는 코일 스프링(131) 강선의 굵기는 같고, 코일링 회전수가 서로 다른 구조를 조합하여 영역별로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하며, 예컨대 도 5의 (b) 구조는 도 5의 (a)에 비하여 더 큰 탄성 강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평균 체중 범위를 상회하는 성인에 최적화 된 베개 구조일 수 있다.
도 5의 (c)는 특히 제2영역(A2)에 대응하는 제2스프링 모듈(M2)의 탄성 강도를 강화시킨 구조로써, 예컨대 거북목과 같은 경추 질환을 가진 사용자에게 최적화 된 베개 구조일 수 있다.
도 5의 (d)는 스프링 강선의 굵기가 같고, 코일링 회전수가 같은 경우를 도시한다. 코일 스프링의 길이가 가장 짧은 제1스프링 모듈(M1)이 제1영역(A1)에 배치되고, 스프링의 길이가 가장 긴 제2스프링 모듈(M2)이 제2영역(A2)에 배치되며, 스프링의 길이가 중간인 제3스프링 모듈(M3)이 제3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의 길이가 짧을수록 탄성 강도의 크기가 작고, 반대로 스프링의 길이가 길수록 큰 탄성 강도의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도 5(a) 내지 도 5(d) 구조는 서로 다른 스프링 모듈의 조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사용자의 체중이나 신장,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 이 외 다른 조합을 통한 탄성 강도 크기의 조절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가진 스프링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사용자에 최적화 된 탄성 강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 모듈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갑작스런 체중 변화에 대응하여 다른 최적의 탄성 강도를 가진 탄성부를 적용할 수 있으며, 남녀노소 또는 성장 중인 사용자도 탄성부를 개별 맞춤(customizing)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200)의 스프링 모듈 구조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200)는 탄성부(230)의 스프링 모듈이 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다.
즉, 전기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머리나 목을 지지하는 영역을 세분화 하여 오와 열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별로 스프링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였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열에 대응하는 스프링 모듈을 배치하여 열 별로 스프링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열 별로 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는 서로 다르거나, 일부 다르거나, 모두 같게 조정할 수 있다.
머리를 지지하는 제1영역(A1)에는 제2열 스프링 모듈(231)이 배치되고, 목을 지지하는 제2영역(A2)에는 제3열 스프링 모듈(232)이 배치되며, 제3영역(A3)에는 제1열 스프링 모듈(233)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제2열 스프링 모듈(231)과 제3열 스프링 모듈(232)는 같은 탄성 강도의 스프링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열 스프링 모듈(231)에는 전기한 제1스프링 모듈(M1)의 스프링과, 제3스프링 모듈(M3)의 스프링이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열에 배치된 스프링 모듈에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가진 복수개의 스프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열 스프링 모듈(231)과 제3열 스프링 모듈(232) 내부에는 각각 외곽 영역에 대응하여 제1열 스프링 모듈(233)의 탄성 강도를 가지는 스프링 모듈(M3)이 배치될 수 있다.또한, 각 열의 스프링 모듈끼리는 벨크로와 같은 체결구조(234)를 더 구비하여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탄성부(230)는 스프링 모듈(231, 232, 233)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탄성부의 구조와 구조별 조합에 따른 메인 탄성 강도의 조절에 대해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쿠션부의 구조 변화에 따른 미세 탄성 강도의 조절을 설명한다.
도 7은 타공 패턴(P1)의 관통공(111) 지름이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도 8은 타공 패턴(P1)의 관통공(111) 밀도가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100)는 쿠션부(110) 상에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을 포함한다. 쿠션부(110)는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영역(A1) 내지 제3영역(A3)에는 각각 복수개의 관통홀(111)로 이루어진 타공 패턴(AP1, AP2, AP3)이 형성된다.
이때, 제1영역(A1)의 타공 패턴(AP1)은 지름이 크거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의 타공 패턴(AP2)은 지름이 작거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즉, 쿠션부(110)를 통한 영역별 탄성 강도는 타공 패턴(P)의 지름 또는 밀도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데, 제1영역(A1)은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포근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탄성 강도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타공 패턴(AP1)의 관통공(111) 지름이 커지거나 밀도가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쿠션부의 영역이 줄어들면서 타공 패턴(AP1)이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쿠션부(110)를 통한 탄성 복원력이 작아지면서 탄성 강도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2영역(A2)은 목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지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탄성 강도의 크기가 클 수 있다. 타공 패턴(AP2)의 관통공(111) 지름이 작아지거나 밀도가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쿠션부(110)의 영역이 늘어나면서 타공 패턴(AP2)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쿠션부(110)를 통한 탄성 복원력이 커지면서 탄성 강도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제3영역(A3)의 타공 패턴(AP3)은 제1영역(A1)의 타공 패턴(AP1) 보다 지름이 작거나 밀도가 낮고, 제2영역(A2)의 타공 패턴(AP2) 보다 지름이 크거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110)는 영역(A1, A2, A3)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 강도를 제공할 수 있어 탄성부가 제공하는 탄성 강도의 크기와는 차이가 있지만 보다 세밀한 탄성 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물론, 쿠션부의 영역별 탄성 강도와 탄성부의 영역별 탄성 강도를 조합하면, 보다 다양한 탄성 강도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탄성 강도에 따른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110 : 쿠션부
120 : 패드부
130 : 탄성부

Claims (12)

  1. 머리를 지지하는 제1영역과, 목을 지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드부; 및
    상기 쿠션부와 패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적어도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서로 다른 탄성 강도를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스프링 모듈과,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스프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가 상기 제1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와 제2스프링 모듈의 탄성 강도 사이의 탄성 강도를 갖는 제3스프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3스프링 모듈은 상기 쿠션부의 외곽 부분에 마련된 제3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 모듈 내지 제3스프링 모듈은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 강도를 가지는 스프링 모듈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스프링 모듈 내지 제3스프링 모듈에 적용된 스프링의 굵기, 길이, 형상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를 달리하여 탄성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 모듈 내지 제3스프링 모듈은 각각의 상기 스프링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되되,
    상기 제2스프링 모듈은 곡선의 코일 스프링 상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보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곡선의 코일 스프링 중심 영역 또는 중심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곽 부분에 마련된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타공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 이상이 서로 다른 크기 또는 밀도의 타공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의 타공 패턴 지름이 가장 크거나 밀도가 높고,
    상기 제2영역의 타공 패턴 지름이 가장 작거나 밀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와 패드부는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제1영역에 비하여 상기 제2영역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KR1020200146758A 2020-11-05 2020-11-05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KR10241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58A KR102415257B1 (ko) 2020-11-05 2020-11-05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58A KR102415257B1 (ko) 2020-11-05 2020-11-05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77A true KR20220060777A (ko) 2022-05-12
KR102415257B1 KR102415257B1 (ko) 2022-07-01

Family

ID=8159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58A KR102415257B1 (ko) 2020-11-05 2020-11-05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043B1 (ko) * 2022-09-21 2024-01-09 신동국 기능성 베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798U (ja) * 1996-06-17 1997-02-07 松崎産業株式会社
KR20060021010A (ko) 2004-09-02 2006-03-07 (주)트윈 세이버 통풍 가능한 베개
KR20070043320A (ko) * 2005-10-21 2007-04-25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KR20100133337A (ko) * 2010-11-17 2010-12-21 황종범 높이조절코어가 구비된 베개
KR101459228B1 (ko) * 2013-05-15 2014-11-12 서상락 스프링 베개
KR20160011266A (ko) * 2014-07-21 2016-02-01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1715566B1 (ko) * 2016-06-22 2017-03-13 안정호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798B2 (ja) * 1992-06-22 2000-04-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文字放送受信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798U (ja) * 1996-06-17 1997-02-07 松崎産業株式会社
KR20060021010A (ko) 2004-09-02 2006-03-07 (주)트윈 세이버 통풍 가능한 베개
KR20070043320A (ko) * 2005-10-21 2007-04-25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KR20100133337A (ko) * 2010-11-17 2010-12-21 황종범 높이조절코어가 구비된 베개
KR101459228B1 (ko) * 2013-05-15 2014-11-12 서상락 스프링 베개
KR20160011266A (ko) * 2014-07-21 2016-02-01 안정호 서로 다른 탄성 변형도를 갖는 복수 종류의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1715566B1 (ko) * 2016-06-22 2017-03-13 안정호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043B1 (ko) * 2022-09-21 2024-01-09 신동국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257B1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670B2 (en) Pillow top for a cushion
US20100205746A1 (en) Adaptive pneumatic sitting and reclining cushion for vehicles and aircraft
JP5269591B2 (ja) 網目状材料身体支持体および方法
KR102415257B1 (ko) 포켓 스프링을 포함하는 베개
KR100997536B1 (ko) 숙면용 베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9038278A1 (en) A pillow with multi-layered structure
JP3121739U (ja) 枕構造
US20220202196A1 (en) Mattress
CN217959456U (zh) 一种床垫及床
KR102356586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KR102520310B1 (ko)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JP3108336U (ja) 快適ウレタンクッション材
CN219306444U (zh) 一种高度可调节的蝶形透气枕
JP5504684B2 (ja) マットレス及びそれに装填される弾性ユニット
KR102355396B1 (ko) 베개
JP7352802B1 (ja) 自動車の座席用クッションシート
KR102327678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CN113413036B (zh) 一种高平整度的床垫结构
KR102221517B1 (ko) 허리보강 구조를 갖는 개선된 침대 매트리스
KR102594561B1 (ko) 사용자 체형 맞춤 기능성 베개
EP2410890B1 (en) Seat backrest
KR20230167599A (ko) 베개
JP3094644U (ja)
JP3059800U (ja)
KR20000017704U (ko)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