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705A -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705A
KR20220060705A KR1020200146594A KR20200146594A KR20220060705A KR 20220060705 A KR20220060705 A KR 20220060705A KR 1020200146594 A KR1020200146594 A KR 1020200146594A KR 20200146594 A KR20200146594 A KR 20200146594A KR 20220060705 A KR20220060705 A KR 2022006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all
fixing
bracket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식
박용환
채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705A/ko
Priority to PCT/KR2021/012622 priority patent/WO2022097907A1/ko
Publication of KR2022006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는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벽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 제2고정 브라켓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고정 브라켓 및 제2 고정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고정시키는 제1 연결 브라켓 및 제2 연결 브라켓과, 제1 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1 경사 슬릿 및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2 경사 슬릿 각각을 관통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제1 연결 브라켓 및 제2 연결 브라켓 각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및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제1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WALL MOUNT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시디(LCD), 피디피(PDP)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화면이 커지고 두께가 얇아지게 됨에 따라 많은 사용자에게 각광받고 있다. 영상이 우수할 뿐 아니라 두께가 얇아 실내공간 점유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내의 벽면에 직접 장착할 수 있고, 별도의 스탠드를 이용하면 실내의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벽걸이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장착하는 경우, 벽걸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크기 이상을 가지며 강성을 가진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벽걸이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도록 일일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벽걸이 장치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갖게 되어 벽에 체결할 때 이 작업에 숙달되지 않은 설치자가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걸이 장치 사이 간격이 좁아 설치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걸이 장치에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걸이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자리파기를 적용하여 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저해될 수 있다.
나아가, 벽걸이 장치의 최초 설치 시 벽걸이 장치가 정확한 수평으로 설치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이 틀어질 수 있는데,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설치자는 벽걸이 장치를 벽면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벽면에 다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를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벽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하지 않고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어 케이블 정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탈 방지를 위한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는,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벽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 제2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2 고정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제1 연결 브라켓 및 제2 연결 브라켓;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1 경사 슬릿 및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2 경사 슬릿 각각을 관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2 연결 브라켓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후면의 베사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경사 슬릿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상기 홀더 바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슬릿 각각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각각은, 고정브라켓 바디와, 상기 고정브라켓 바디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브라켓 바디와, 상기 연결브라켓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절곡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이 상기 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은, 상기 자석이 부착되도록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석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이 연결 상태 일 때,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의 하단과 간섭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와이어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는 제1이탈방지부와, 상기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절곡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는, 벽의 일 측 및 타 측 각각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라켓 및 제2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2 고정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며,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사 슬릿을 각각 포함하는 제1 연결 브라켓 및 제2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들 각각의 경사 슬릿을 관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지지부와, 상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홀더 지지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경사 슬릿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상기 홀더 바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슬릿 각각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이 상기 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및 이탈 방지를 위한 구조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과 이탈 방지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중에 의한 쳐짐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어, 케이블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브라켓 고정부재와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도 5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경사 슬릿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회전 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벽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도 10 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설치될 때,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연결 브라켓의 자석이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에 연결된 고정 브라켓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도 13의 B-B' 부분의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이탈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는 도 14의 C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과 연결 브라켓의 이탈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광고판, 전광판, 스크린, 텔레비전,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본 개시에 따른 벽걸이 장치(10)를 통해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용 벽걸이 장치(10)는 벽(W)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100)과,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연결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는 연결 브라켓(200)에 마련된 경사 슬릿(213,223)을 각각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연결 브라켓(20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장착시키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연결 브라켓(200)은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위치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중심에 위치한 베사(1b)에 위치 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을 디스플레이 장치(1)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300)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는 제1연결 브라켓(210)에 설치되고, 제2고정부재(320)는 제2연결 브라켓(220)에 설치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1고정부재(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측에 위치되고, 제2연결 브라켓(220)과 제2고정부재(3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고정 브라켓(100)은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은 각각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베사(1b)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은 제1연결 브라켓(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2고정 브라켓(120)은 제2연결 브라켓(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잇다.
벽걸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장치(1)에 고정된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벽(W)에 고정된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브라켓 고정부재와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도 5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경사 슬릿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회전 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장치의 벽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장착된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이 벽(W)에 장착된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W)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잇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브라켓 바디(211,221)와, 연결브라켓 바디(211,2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와이어(21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 바디(211,221)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밀착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212,22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브라켓 바디(211,2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212,222)는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은 제1연결브라켓 바디(211)를 가지며, 제1연결브라켓 바디(211)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브라켓 바디(211)는 제1경사 슬릿(213)과, 제1와이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브라켓 바디(211)의 하단에는 제1와이어(2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와이어 설치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212)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212)는 제1와이어 설치부(2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와이어 설치부(215)는 제1연결브라켓 바디(211) 하부에 제1와이어(2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와이어(212)는 후술하는 제1고정 브라켓(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연결 브라켓(220)은 제2연결브라켓 바디(221)를 가지며, 제2연결브라켓 바디(221)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브라켓 바디(221)는 제2경사 슬릿(223)과, 제2와이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브라켓 바디(221)의 하단에는 제2와이어(2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와이어 설치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222)는 사각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222)는 제2와이어 설치부(2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와이어 설치부(225)는 제2연결브라켓 바디(221) 하부에 제2와이어(22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와이어(222)는 후술하는 제2고정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경사 슬릿(213,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은 제1경사 슬릿(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 브라켓(220)은 제2경사 슬릿(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은 좌우 대칭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경사 슬릿(213)은 제1사선 슬릿(213a)과 제1사선 슬릿(213a)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수직 슬릿(2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선 슬릿(213a)은 사선으로 형성되며, 제1수직 슬릿(213b)은 제1사선 슬릿(213a)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선 슬릿(213a)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직 슬릿(213b)은 제1사선 슬릿(213a)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경사 슬릿(223)은 제2사선 슬릿(223a)과 제2사선 슬릿(223a)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수직 슬릿(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선 슬릿(223a)은 사선으로 형성되며, 제2수직 슬릿(223b)은 제2사선 슬릿(223a)의 상측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사선 슬릿(223a)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상항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사선 슬릿(223a)은 제1사선 슬릿(213a)과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 슬릿(223b)은 제2사선 슬릿(223a)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은 고정부재(300)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300)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는 제1경사 슬릿(213)에 결합되고, 제2고정부재(320)는 제2경사 슬릿(22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자석(260)을 포함하고, 자석(260)은 고정 브라켓(10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W)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자석(260)은 자력을 발생시켜 금속 재질의 고정 브라켓(100)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석(260)은 제1연결 브라켓(210)에 마련되는 제1자석(261)과 제2연결 브라켓(220)에 마련되는 제2자석(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석(261)과 제2자석(262)은 각각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 각각은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제1고정부재(310)는 제1경사 슬릿(213)을 관통하여 제1연결 브라켓(21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한다. 제2고정부재(320)는 제2경사 슬릿(223)을 관통하여 제2연결 브라켓(22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한다.
제1고정부재(310)는 제1경사 슬릿(213)의 제1수직 슬릿(213b)에 결합되고, 제2고정부재(320)는 제2경사 슬릿(223)의 제2수직 슬릿(223b)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을 각각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을 각각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결합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장치(10)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방지부(400)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회전 방지부(400)는 제1고정부재(310)에 결합되어 제1연결 브라켓(2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방지부(400)는 제2고정부재(320)에 결합되어 제2연결 브라켓(2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 각각은 고정 바디(330)와, 고정 바디(330)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 헤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디(3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 헤드(340)는 고정 바디(330)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고정 바디(330)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헤드(34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부(400)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방지부(400)는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에 각각 결합되며,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방지부(400)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에 마련되어, 홀더(430)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지지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지지부(440)는 홀더 지지 리브(441,4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지지 리브(441,442)는 홀더(430)의 일측 및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지지 리브(441,442)는 홀더(43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지지 리브(441,442)는 홀더(430)의 일측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1홀더리브(441)와 제1홀더리브(44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홀더(430)의 타측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2홀더리브(44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430)는 제1고정부재(310)에 결합되는 제1홀더(430a)와 제2고정부재(320)에 결합되는 제2홀더(430b)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430)는 판 형상의 홀더 바디(431)와, 홀더 바디(431)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홀(433)과, 관통홀(43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리브(43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431)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3)은 홀더 바디(431)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3)은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관통되도록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432)는 관통홀(43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및 제2 경사슬릿(213,223)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제적으로, 제1홀더(430a)는 제1홀더바디(431a)와, 제1홀더바디(431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홀(433a)과, 제1관통홀(433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지지리브(4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홀더(430a)의 제1관통홀(433a)을 관통하는 제1고정부재(310)는 제1연결 브라켓(210)의 제1 경사슬릿(213)에 결합되어, 제1연결 브라켓(21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한다.
제2홀더(430b)는 제2홀더바디(431b)와, 제2홀더바디(431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홀(433b)과, 제2관통홀(433b)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지지리브(4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홀더(430b)의 제2관통홀(433b)을 관통하는 제2고정부재(320)는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2 경사슬릿(223)에 결합되어, 제2연결 브라켓(22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한다.
제1홀더(430a)와 제2홀더(430b)는 각각 제1관통홀(433a)을 관통하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관통홀(433b)을 관통하는 제2고정부재(3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홀더(430a)의 제1지지리브(432a)는 제1경사 슬릿(213)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리브(432a)는 제1경사 슬릿(213)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리브(432a)는 제1직경(d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리브(432a)가 결합되는 제1경사 슬릿(213)의 적어도 일부는 제1직경(d1)에 대응되는 제2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 슬릿(213)의 제1수직 슬릿(213b)은 제2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430b)의 제2지지리브(432b)는 제2경사 슬릿(223)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리브(432b)는 제2경사 슬릿(223)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리브(432b)는 제1직경(d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리브(432b)가 결합되는 제2경사 슬릿(223)의 적어도 일부는 제1직경(d1)에 대응되는 제2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 슬릿(223)의 제2수직 슬릿(223b)은 제2직경(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은 각각 제1홀더(430a)와 제2홀더(430b)가 결합되어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턱(24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1경사 슬릿(213)의 제1수직 슬릿(213b)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1수직 슬릿(213b)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1수직 슬릿(213b)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홀더(430a)의 제1지지리브(432a)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2경사 슬릿(223)의 제2수직 슬릿(223b)이 적어도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2수직 슬릿(223b)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40)은 제2수직 슬릿(223b)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홀더(430b)의 제2지지리브(432b)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는 각각 제1홀더(430a)와 제2홀더(430b)에 결합되어, 제1연결 브라켓(210)의 제1경사 슬릿(213) 및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2경사 슬릿(22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가 각각 제1경사 슬릿(213)의 제1수직 슬롯(213b)과 제2경사 슬릿(223)의 제2수직 슬롯(223b)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걸림턱(2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는 제1홀더(430a)와 제2홀더(430b)에 의해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홀더(430a)와 제2홀더(430b)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에 각각 마련된 홀더 지지 리브(441,4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와 제1홀더(430a) 및 제2홀더(430b)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을 따라 이동 하는 구성은 후술한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과 연결되도록 벽(W)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00)은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 각각은 고정브라켓 바디(111,121)와, 고정브라켓 바디(111,12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형성되며,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112,122)와, 절곡부(112,122)에 형성되며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과 연결되는 안착부(113,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 브라켓(110)은 판 형상의 제1고정브라켓 바디(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브라켓 바디(111)에는 복수의 제1고정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의 제1고정홀(111a)을 통해 복수의 체결부재(B)가 제1고정 브라켓(110)을 벽(W)에 고정할 수 있다.
제2고정 브라켓(120)은 판 형상의 제2고정브라켓 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브라켓 바디(121)에는 복수의 제2고정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제2고정홀(121a)을 통해 복수의 체결부재(B)가 제2고정 브라켓(120)을 벽(W)에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의 제1절곡부(112)는 제1고정브라켓 바디(111)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내측에 제1안착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와이어(212)는 제1안착부(113)에 안착됨으로써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1연결 브라켓(210)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 브라켓(110)은 제1고정브라켓 바디(1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자석 결합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석 결합부(116)는 제1고정 브라켓(110)의 절곡부(112,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자석 결합부(116)는 제1연결 브라켓(210)의 제1자석(261)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자석 결합부(116)는 제1연결 브라켓(210)의 제1자석(26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제2절곡부(122)는 제2고정브라켓 바디(121)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내측에 제2안착부(12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연결 브라켓(2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와이어(222)는 제2안착부(123)에 안착됨으로써 제2고정 브라켓(12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 브라켓(120)은 제2고정브라켓 바디(1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자석 결합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자석 결합부(126)는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절곡부(112,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자석 결합부(126)는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2자석(262)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자석 결합부(126)는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2자석(262)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1자석(261) 및 제2자석(262)은 벽(W)에 고정된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제1자석결합부(116)와 제2자석결합부(126)와 결합되어 인력을 작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W)에 더욱더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회전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 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장치(10)의 회전 방지부(100A)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방지부(100A)는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에 각각 결합되며, 제1연결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430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방지부(400A)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에 마련되어, 홀더(430A)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지지부(4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지지부(410A)는 홀더(430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지지부(410A)는 홀더(430A)의 상면을 지지 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부(411A)와 제1지지부(411A)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홀더(430A)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측지지부(421A)과 제2측지지부(422A)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지지부(410A)는 홀더(430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 지지부(410A)가 적용된 홀더(430A)와 제1연결 브라켓(210) 및 제2연결 브라켓(220)의 동작 및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연결브라켓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도 10 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설치될 때,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연결 브라켓의 자석이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에 연결된 고정 브라켓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벽(W)에 벽걸이 장치(10)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벽(W)에 고정된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된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을 결합시킴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 중심에 마련된 베사(1b)에 위치할 수 있어 별도의 체결 구성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에 각각 마련되는 제1와이어(212)와 제2와이어(222)를 벽(W)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와 벽(W) 사이의 일정 간격이 확보 될 수 있다. 설치자는 육안으로 확인된 벽(W)과 디스플레이 장치(1) 사이 간격을 확인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W)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중에 의해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1와이어(212) 및 제2와이어(222)는 벽(W)과 평행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W)에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좌우로 이동 시키고,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는 제1경사 슬릿(213)과 제2경사 슬릿(223)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은 각각 그 상부에 자석(26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에 마련된 제1자석(261)과 제2자석(262)은 각각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의 제1자석결합부(116)와 제2자석 결합부(126)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및 제2연결 브라켓(220)과 제1및 제2고정 브라켓(120)은 제1및 제2와이어(222)가 제1및 제2 안착부(113,123)에 안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W)에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이다.
제1자석(261)과 제2자석(262)에 의해 제1및 제2고정 브라켓(120)에 부착되는 제1및 제2연결 브라켓(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쳐지지 않고 벽(W)에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14 는 도 13의 B-B' 부분의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이탈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 는 도 14의 C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과 연결 브라켓의 이탈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장치(10)에 의해 벽(W)에 밀착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고정 브라켓(100)으로부터 연결 브라켓(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W)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의 이탈방지부(500)는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과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이 연결 상태 일 때,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 또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과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 사이의 간섭을 위해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상단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510)는 제1고정 브라켓(110) 및 제2고정 브라켓(120)의 하단부와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상단이 서로 간섭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510)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상단에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510)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상단 테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510)는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상단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의 하단이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탈방지부(500)는 제1연결 브라켓(210) 및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1와이어(212) 및 제2와이어(222)가 제1고정 브라켓(110) 및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제1안착부(113)와 제2안착부(123)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제1와이어(212)와 제2와이어(222)가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제1절곡부(112)와 제2절곡부(122)에 가이드 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130)는 탄성을 갖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130)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제1와이어(212)와 제2와이어(222)가 각각 제1절곡부(112)와 제2절곡부(122)에 안착되도록 탄력적으로 가이드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제1와이어(212)와 제2와이어(222)가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절곡부(112)와 제2절곡부(122)에는 가이드(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결합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130a)는 제1절곡부(112)와 제2절곡부(122)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130a)는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가이드(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각각의 와이어(212,222)가 안착부(113,123)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탈방지부(500)는 제1와이어(212)가 제1안착부(113)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안착부(113)에 장착된 가이드(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제2와이어(222)가 제2안착부(123)로부터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안착부(123)에 장착된 가이드(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500)는 가이드(130)의 단부에 마련되어 와이어(212,22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와이어(212,22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이탈방지부(520)와 가이드(130)의 적어도 일부가 절곡부(112,12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부(520)와 제2이탈방지부(530)는 제1와이어(212)와 제2와이어(22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와이어(212)가 결합된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와이어(222)가 결합된 제2고정 브라켓(120)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이 제1고정 브라켓(110) 및 제2고정 브라켓(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10)와, 제1연결 브라켓(210)과 제2연결 브라켓(220)의 제1와이어(212)와 제2와이어(222)가 제1고정 브라켓(110)과 제2고정 브라켓(120)의 제1안착부(113) 및 제2안착부(123)로부터 각각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제1이탈방지부(520)와 제2이탈방지부(5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벽(W)으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벽(W)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걸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와 벽(W)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620)와, 고정부(620)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벽(W)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디(611)는 고정부(620)와 지지부(6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630)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20)는 별도의 고정부재(64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1a)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지지부재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식 고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고정부(62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 후면(1a)에 고정된 지지부재(600)는 일단은 디스플레이 장치(1)에 고정되고 타단, 즉 지지부(610)는 벽(W)에 지지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자체 무게에 벽(W)으로부터 일정 간격(l1) 이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벽(W)과 디스플레이 장치(1) 사이의 간격(l1)은 지지부재(600)의 지지부 거리(l1)와 일치한다. 지지부재(6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단부가 벽(W)으로부터 일정 간격(l1) 이격되면 케이블(미도시)의 정형이 용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설치 및 서비스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b : 베사
W : 벽 10 : 벽걸이 장치
100 : 고정 브라켓 110 : 제1고정브라켓
120 : 제2고정 브라켓 200 : 연결 브라켓
210, 220 : 제1,2연결 브라켓 212,222 : 제1, 2 와이어
213, 223 : 제1,2 경사슬 300 : 고정 부재
400 : 회전 방지부 410,420 : 제1,2 회전방지부
430, 430a, 430b: 홀더, 제1,2 홀더 500 : 이탈 방지부
510 : 이탈방지돌기 520,530 : 제1,2 이탈방지부
600 : 지지부재

Claims (20)

  1. 벽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벽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 제2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2 고정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제1 연결 브라켓 및 제2 연결 브라켓;
    상기 제1 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1 경사 슬릿 및 상기 제2 연결 브라켓에 마련된 제2 경사 슬릿 각각을 관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2 연결 브라켓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과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후면의 베사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경사 슬릿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상기 홀더 바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슬릿 각각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 브라켓 각각은,
    고정브라켓 바디와,
    상기 고정브라켓 바디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브라켓 바디;
    상기 연결브라켓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절곡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이 상기 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은,
    상기 자석이 부착되도록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석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이 연결 상태 일 때, 상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의 하단과 간섭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와이어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는 제1이탈방지부와,
    상기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절곡부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6. 벽의 일 측 및 타 측 각각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라켓 및 제2 고정 브라켓;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2 고정 브라켓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며,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사 슬릿을 각각 포함하는 제1 연결 브라켓 및 제2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들 각각의 경사 슬릿을 관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브라켓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지지부와, 상기 제1및 제2연결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홀더 지지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제1및 제2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경사 슬릿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상기 홀더 바디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경사 슬릿 각각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어 위치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연결 브라켓 각각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및 제2고정 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이 상기 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KR1020200146594A 2020-11-05 2020-11-05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KR20220060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594A KR20220060705A (ko) 2020-11-05 2020-11-05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PCT/KR2021/012622 WO2022097907A1 (ko) 2020-11-05 2021-09-15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594A KR20220060705A (ko) 2020-11-05 2020-11-05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705A true KR20220060705A (ko) 2022-05-12

Family

ID=8145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594A KR20220060705A (ko) 2020-11-05 2020-11-05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0705A (ko)
WO (1) WO20220979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18B1 (ko) * 2002-09-04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 장치
SE526502C2 (sv) * 2004-03-18 2005-09-27 Rapidly Happy Ab Anordning för väggmontering av bildskärmar
JP4277754B2 (ja) * 2004-07-12 2009-06-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壁掛け支持装置
JP4967533B2 (ja) * 2006-08-25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薄型ディスプレイの壁掛け装置および壁掛け方法
KR100962008B1 (ko) * 2009-04-21 2010-06-08 동오정밀 주식회사 평면 티비용 벽걸이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907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77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ески
CN102112795B (zh) 面板显示器悬挂系统和设有面板显示器悬挂系统的面板显示器
EP1852560A2 (en) Mount interface for suspended ceiling
WO2007014227A2 (en)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JP2008070889A (ja) ディスプレイ取付具用のインウォール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取付方法
US20030201376A1 (en) Devices and method for hanging a display board
KR2022006070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CN111641162A (zh) 一种适应不同缆径的分层限位支架
US11395548B2 (en) Wall moun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797237B2 (ja) 照明器具
US20110011993A1 (en) Rail-type support device
KR101361297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스탠드
KR2021011909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장치
CN102200804B (zh) 光驱固定机构及使用该光驱固定机构的电子装置
JP6055654B2 (ja) 取付構造、取付装置
JP5147118B2 (ja) 照明器具
JP6494077B2 (ja) テーブル什器
KR20150108658A (ko) 매립형 디스플레이장치용 개폐장치
CN218268438U (zh) 壁挂支架
CN216316302U (zh) 一种银行办公桌
CN216792783U (zh) 一种区块链用多屏固定装置
KR100633063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54104A (ja) 薄型機器の壁面設置機構
JP7241315B2 (ja) 照明器具
US20200032987A1 (en) Light fix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