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785A -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785A
KR20220059785A KR1020200145378A KR20200145378A KR20220059785A KR 20220059785 A KR20220059785 A KR 20220059785A KR 1020200145378 A KR1020200145378 A KR 1020200145378A KR 20200145378 A KR20200145378 A KR 20200145378A KR 20220059785 A KR20220059785 A KR 2022005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nectors
detection circuit
interlock
re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근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785A/ko
Priority to US17/380,437 priority patent/US11747406B2/en
Publication of KR2022005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785A/ko
Priority to US18/223,401 priority patent/US202303588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4Testing for continu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 각각이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 및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INTERLOCK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FOR HIGH VOLTAGE DEVICE}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에 적용되는 고전압 정션박스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체결을 확인하는 인터락 회로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을 비롯하여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차량의 고전압 회로 구성시 친환경차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고전압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나 작업자가 고전압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전압 커넥터의 분리를 막거나 커넥터가 분리되었을 경우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전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특히, 안전 규정에는 커넥터가 분리된 후 1초 이내에 도체 부품의 전압이 DC 60V이하 이거나 AC 30V(RMS)이하가 되어야 하는 조건이 포함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분리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 및 전압을 기준치 이하로 짧은 시간 내에 방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커넥터의 분리를 인식할 경우 방전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중에서, 커넥터의 분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터락 회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인터락 회로가 커넥터의 체결시에는 폐회로를 형성하고, 탈거/분리시에는 개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이용하여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구분할 수 있고, 커넥터의 분리시 노출된 도선부의 전압을 낮추기 위한 수단으로는 고전압 배터리 등의 전압원을 고전압 경로로 부터 차단하는 방법과 고전압 경로상의 커패시터 등에 남아 있는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락 검출 회로는 커넥터에 내장된 제1회로라인과, 인렛에 내장된 제2회로라인을 포함하고, 제2회로라인은 인터락 검출 회로에 대한 전원공급 및 검출부와 연결된다.
특히,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인터락 검출 회로와 연결된 전원공급 및 검출부와, 인렛의 제2회로라인과, 커넥터의 제1회로라인이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한다. 반면, 커넥터가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는 개회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전원공급 및 검출부에서 인터락 회로 양단의 전압 등을 측정함으로써 커넥터의 체결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제어기가 다수의 커넥터를 통과하는 인터락 회로를 모니터링하면서 다수의 커넥터 중 어떤 커넥터가 탈거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터락 회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됨에 따라 저항이 소손되어 직접 접속(쇼트 발생)된 경우 커넥터의 연결이 정상으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708822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넥터의 인터락을 진단함에 있어서 저항의 쇼트에 따른 영향을 제거하면서 커넥터의 인터락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은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 각각이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 및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저항은 일체화된 저항보드에 포함될 수 있다.
송신부에는 전압제공부 및 전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분배하는 분압저항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넥터는 각각 검출회로 및 복수 개의 저항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된 저항을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검출부는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및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의 저항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저항은 각각의 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며, 검출부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 중 미체결된 커넥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은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 및 각각이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이 포함된 인터락 진단 회로를 이용한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및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저항은 각각의 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며,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 중 미체결된 커넥터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동시에 진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저항의 소손 등에 따라 쇼트가 발생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한 커넥터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고전압 구성 부품 및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차량의 고전압 구성 부품 및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버터, 메인배터리, 에어컴프레서, PTC 소자 등 고전압 부품들이 커넥터(C1,C2,C3,C4)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C1,C2,C3,C4)에는 인터락 회로가 통과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 PTC, 급속충전 포트와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C1,C2,C3,C4) 인터락 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하여 하나의 제어기(BMS)로 검출함으로써 회로구성을 단순화하고, 사용 제어기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수의 커넥터(C1,C2,C3,C4) 중 하나가 탈거되었을 때 탈거 여부는 알 수 있으나, 몇 개의 커넥터(C1,C2,C3,C4)가 탈거되었는지, 또는 어느 위치의 커넥터(C1,C2,C3,C4)가 탈거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며, 따라서 실제 검출 부위를 알기 위해서는 하나의 인터락 회로에 연결된 모든 커넥터(C1,C2,C3,C4)를 조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하나의 인터락 회로가 다수의 커넥터(C1,C2,C3,C4) 체결부위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커넥터(C1,C2,C3,C4) 탈거가 검출되었을 때 커넥터(C1,C2,C3,C4)가 탈거된 위치와 탈거된 개수 등 진단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은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30)와 송신부(30)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40)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10); 각각이 검출회로(10)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10)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20); 및 송신부(30)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40)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5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회로(10)는 친환경 차량의 고전압 부품들(인버터, 메인배터리, 에어컴프레서, PTC 소자 등)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1,C2,C3,C4)에 내장된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회로(10)는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30)와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40) 사이에서 연장되며, 커넥터(C1,C2,C3,C4)에 내장된 회로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저항(20)은 커넥터(C1,C2,C3,C4)를 경유하여 검출회로(10)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저항(20)은 각각의 저항(20)과 연결된 커넥터(C1,C2,C3,C4)가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C1,C2,C3,C4)에 내장된 회로를 통해 검출회로(10)에 연결된다. 반면, 각각의 저항(20)에 연결된 커넥터(C1,C2,C3,C4)가 미체결된 상태에서는 저항(20)은 저항(20)회로와의 연결이 단락될 수 있다.
검출부(50)는 복수 개의 저항(20)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가변되는 검출회로(10)의 전압 및 전류값 변화를 검출하고,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검출부(50)는 검출회로(10)와 연결된 송신부(30)에서 제공하는 전압과 수신부(40)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저항(20)가 검출회로(10)에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커넥터(C1,C2,C3,C4)의 접촉 불량/단선/단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검출부(50)는 커넥터(C1,C2,C3,C4)가 탈거되었을 때, 고전압 회로 노출부위의 전압을 1초 이내에 60V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 혹은 작업자가 전기적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검출부(50)는 커넥터(C1,C2,C3,C4) 탈거시 인터락 회로의 변화를 감지하여 CAN 통신 신호 등을 통해 타 제어기에 커넥터(C1,C2,C3,C4) 탈거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기들은 이 신호를 수신할 경우 메인릴레이를 차단하여 고전압 배터리를 고전압 경로로부터 분리하고, 고전압 경로상의 커패시턴스 성분에 남아있는 에너지를 강제 방전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저항(20)은 일체화된 저항보드(B)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항보드(B)는 복수 개의 저항(20)으로 일체화되고 모듈화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송신부(30)에는 전압제공부(31) 및 전압제공부(31)에서 제공된 전압을 분배하는 분압저항(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이 포함될 수 있다.
전압제공부(31)는 직류 전압(DC)을 발생시키는 배터리일 수 있다. 전압제공부(31)는 일 실시예로, 13.5[V], 16[V], 8[V] 또는 5[V]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분압저항(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은 일 실시예로 풀업 저항(
Figure pat00005
)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풀다운 저항(
Figure pat00006
)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것과 같이 풀업 저항(
Figure pat00007
) 및 풀다운 저항(
Figure pat00008
)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 검출회로(10)는 송신부(30)의 풀업 저항(
Figure pat00009
)과 풀다운 저항(
Figure pat00010
) 사이에서 수신부(40)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는 각각 검출회로(10) 및 복수 개의 저항(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된 저항(20)을 검출회로(10)에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저항(20)은 각각의 커넥터(C1,C2,C3,C4)를 경유하여 검출회로(1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커넥터(C1,C2,C3,C4)에는 복수 개의 핀(P1,P2)이 포함되고, 어느 하나의 핀(P1)은 검출회로(10)와 연결되며, 다른 핀(P2)은 저항(20)에 연결될 수 있다.
검출부(50)는 송신부(30)에서 제공하는 전압 및 수신부(40)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10)의 저항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50)는 송신부(30)에서 전압제공부(31)를 통해 제공하는 전압과 수신부(40)에 포함된 수신저항(
Figure pat00011
)의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10)에 연결되는 저항(20)에 의한 합성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저항(20)은 각각의 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며, 검출부(50)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 중 미체결된 커넥터(C1,C2,C3,C4)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에 대한 각 탈거 위치를 개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저항(20)들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것으로 채택됨으로써, 어떤 커넥터(C1,C2,C3,C4)가 분리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복수 개의 저항(20)이 검출회로(10)에 연결된 경우 커넥터(C1,C2,C3,C4)의 체결에 따른 수신전압의 결과이다.
Figure pat00012
인터락 저항은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 중 체결된 수량에 따른 검출회로(10)의 합성저항(20)일 수 있다. 수신전압은 수신부(40)에 포함된 수신저항(
Figure pat00013
)에 인가되는 전압일 수 있다.
검출부(50)는 상기와 같은 표를 저장하고, 센싱한 수신전압을 기반으로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여부 또는 체결 수량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에 대한 탈거 갯수를 진단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저항(20)들은 서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는 것으로 채택될 수 있고, 이에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커넥터(C1,C2,C3,C4) 중 분리된 커넥터(C1,C2,C3,C4) 갯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친환경 차량의 고전압 부품 연결용 커넥터(C1,C2,C3,C4)와 연결된 검출회로(10)를 모니터링할 때, 저항(20)을 이용하여 다수의 커넥터(C1,C2,C3,C4) 중 어떤 커넥터(C1,C2,C3,C4)가 탈거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다수의 커넥터(C1,C2,C3,C4) 중 몇 개가 탈거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점검 및 수리시 이상이 발생된 커넥터(C1,C2,C3,C4)만을 효과적으로 찾아 대응 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은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30)와 송신부(30)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40)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10) 및 각각이 검출회로(10)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10)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20)이 포함된 인터락 진단 회로를 이용한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부(30)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40)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S300) 이전에, 송신부(30)에서 제공하는 전압 및 수신부(40)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10)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회로(10)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S200) 이전에, 수신부(40)에서 수신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저항(20)은 각각의 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며,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C1,C2,C3,C4) 중 미체결된 커넥터(C1,C2,C3,C4)를 검출할 수 있다.
커넥터(C1,C2,C3,C4)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S300) 이후에, 커넥터(C1,C2,C3,C4)의 체결이 비정상인 경우에는 비정상 DTC를 기록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검출회로 20 : 저항
30 : 송신부 40 : 수신부
50 : 검출부

Claims (9)

  1.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
    각각이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 및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저항은 일체화된 저항보드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송신부에는 전압제공부 및 전압제공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분배하는 분압저항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커넥터는 각각 검출회로 및 복수 개의 저항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된 저항을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출부는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및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의 저항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저항은 각각의 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며,
    검출부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 중 미체결된 커넥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7.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제공된 전압을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로 연장된 검출회로 및 각각이 검출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검출회로와의 사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각각 경유하도록 연결된 복수 개의 저항이 포함된 인터락 진단 회로를 이용한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또는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송신부에서 제공하는 전압 및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압을 기반으로 검출회로의 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저항은 각각의 저항값이 서로 상이하며,
    커넥터의 체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산출한 저항값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 중 미체결된 커넥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방법.
KR1020200145378A 2020-11-03 2020-11-03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9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78A KR20220059785A (ko) 2020-11-03 2020-11-03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7/380,437 US11747406B2 (en) 2020-11-03 2021-07-20 Interlock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for a high voltage device
US18/223,401 US20230358824A1 (en) 2020-11-03 2023-07-18 Interlock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for a high volt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378A KR20220059785A (ko) 2020-11-03 2020-11-03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785A true KR20220059785A (ko) 2022-05-10

Family

ID=8137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378A KR20220059785A (ko) 2020-11-03 2020-11-03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747406B2 (ko)
KR (1) KR202200597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8382B (zh) * 2023-03-07 2023-07-21 深圳艾为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端口状态检测系统及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22B1 (ko) 2010-06-24 2017-02-2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인터락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락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9141A1 (de) * 2013-09-24 2015-03-26 Robert Bosch Gmbh Interlock-Schaltkreis zur Absicherung eines elektrischen Bordnetzes
KR101567261B1 (ko) 2014-12-03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고장 진단 회로
US10534030B2 (en) * 2017-06-09 2020-0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igh voltage shield based interlock
CN110261712B (zh) * 2018-09-21 2020-05-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高压互锁系统及其检测方法
DE102018130575A1 (de) * 2018-11-30 2020-06-04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Überwachungsschaltung für ein Interlocksystem, Interlocksystem, Anordnung mit einem Interlocksystem und einer Funktionseinhei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Interlocksystems
CN113777521B (zh) * 2020-05-22 2023-05-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高压互锁电路及其检测方法
CN113866666B (zh) * 2020-06-12 2023-11-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高压互锁电路及其故障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22B1 (ko) 2010-06-24 2017-02-2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인터락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인터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58824A1 (en) 2023-11-09
US11747406B2 (en) 2023-09-05
US20220137156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0807B2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leak detecting device
US9716520B2 (en) Integrated standard-compliant data acquisition device
KR101567261B1 (ko) 고전압 기기의 인터락 고장 진단 회로
CN109655708A (zh) 电动汽车及其高压互锁系统的故障检测装置和方法
CN111443276A (zh) 一种高压互锁回路的检测电路、方法、装置及汽车
CN109739211B (zh) 用于负载电路的诊断系统及电动车
CN104428682A (zh) 用于检查控制信号线的诊断设备
KR102004310B1 (ko)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자동차의 커넥터 연결 확인 장치
US20100289499A1 (e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terminal of a terminal component
CN106154145A (zh) 一种应用于高压电池接触器的故障检测设备和故障检测方法
US20160164318A1 (en) Battery monitoring unit
CN102782305B (zh) 用于控制电路的发动机控制器以及方法
KR20130032504A (ko) 릴레이 모니터링 회로
US20230358824A1 (en) Interlock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for a high voltage device
CN104553810A (zh) 用于车辆的电池安全装置及其故障的检测方法
KR102291762B1 (ko) 릴레이 진단 회로
CN111016658B (zh) 一种高压互锁回路、故障检测方法及车辆
CN113335096A (zh) 一种cc/cp诊断电路及充电机
CN104540704A (zh) 用于检测控制信号线的诊断装置
CN111650541B (zh) 电动汽车高压互锁检测系统及电动汽车
US2013027090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agnosing Drivers of Contactors, Battery,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Battery
JP4597278B2 (ja) 電気回路装置及び検査方法
CN106300229A (zh) 一种用于保护高压电池用电系统的设备和方法
CN110077271A (zh) 用于车辆的通信单元
CN211942979U (zh) 一种高压连接电路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