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809A -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809A
KR20220057809A KR1020200142853A KR20200142853A KR20220057809A KR 20220057809 A KR20220057809 A KR 20220057809A KR 1020200142853 A KR1020200142853 A KR 1020200142853A KR 20200142853 A KR20200142853 A KR 20200142853A KR 20220057809 A KR20220057809 A KR 20220057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per
suture
uni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091B1 (ko
Inventor
김종은
Original Assignee
삼일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테크(주) filed Critical 삼일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4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0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와이어의 둘레방향에 배열된 성형유닛들로 미늘을 성형하면서, 제1 그리퍼들과 제2 그리퍼를 이용해 성형 완료된 봉합사의 배출과 미늘 성형을 위한 와이어의 토출이 연속되면서 성형 작업 사이의 작업 로스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는,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토출유닛; 테이블의 상면에 와이어 통과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이상 배열되어 있으며, 와이어의 측방향에서 접근하여 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부분 절개함으로써 와이어의 외주면에 미늘을 성형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성형유닛;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교차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의 하단부를 잡아당겨 와이어를 성형 위치로 토출시키는 한 쌍의 제1 그리퍼,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의 상단부를 잡아서 상기 제1 그리퍼와 함께 하강하여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배출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한 배출유닛; 및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VERTICAL HOOK CUTTING APPARATUS FOR SUTURE}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와이어의 둘레방향에 배열된 성형유닛으로 미늘을 성형하면서, 제1 그리퍼들과 제2 그리퍼를 이용해 성형 완료된 봉합사의 배출과 미늘 성형을 위한 와이어의 토출이 연속되면서 성형 작업 사이의 작업 로스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 수술에서 일반 봉합사(와이어, 실)를 사용하여 봉합할 경우, 봉합의 효과가 반감되면서 피부 조직을 고정 즉, 잡아주지 못하여 수술 후 외관상 미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봉합 수술에 있어서 사용되던 수술용 봉합사를 대신하여, 와이어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미늘을 구비하여 와이어 자체가 피부 조직 등을 잡아당기면서 고정, 유지할 수 있는 봉합사에 관한 기술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754967호 "수직형 와이어의 360도 미늘형성 자동화장비"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상기 등록특허는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서 풀린 와이어 끝단이 노출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끝단을 잡아당겨, 상기 와이어를 소정 길이만큼 토출시키는 당김부; 토출된 와이어의 측방향에서 접근하여, 와이어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부분 절개함으로써 와이어의 외주면에 미늘을 성형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절개부가 상기 와이어를 향해 전, 후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서 상기 와이어를 향해 전, 후진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의 칼날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얇은 두께의 수술용 와이어에 미늘 형성을 자동화하고, 미늘들의 돌출 높이, 두께 등을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와이어의 일측에 1개의 성형부가 구비되어 미늘 성형 시 성형부가 회전하여 미늘들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기술로써, 성형부가 회전하는 시간만큼 작업 로스가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미늘 성형 완료 후 봉합사를 배출하는 동안 추가 미늘 성형 작업이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작업 로스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성형 완료된 봉합사가 길게 펴진 상태로 배출되지 않고 흐트러짐에 따라 작업자가 봉합사를 일일이 수거하여 재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와이어의 둘레방향에 배열된 성형유닛으로 미늘을 성형하면서, 제1 그리퍼들과 제2 그리퍼를 이용해 성형 완료된 봉합사의 배출과 미늘 성형을 위한 와이어의 토출이 연속되면서 성형 작업 사이의 작업 로스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는,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토출유닛;
테이블의 상면에 와이어 통과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1개 이상 배열되어 있으며, 와이어의 측방향에서 접근하여 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부분 절개함으로써 와이어의 외주면에 미늘을 성형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성형유닛;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교차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의 하단부를 잡아당겨 와이어를 성형 위치로 토출시키는 한 쌍의 제1 그리퍼,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의 상단부를 잡아서 상기 제1 그리퍼와 함께 하강하여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배출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한 배출유닛; 및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에서,
상기 제2 그리퍼는 교차 상승하는 각각의 제1 그리퍼와 함께 동시 상승 작동하되, 제1 그리퍼가 제2 그리퍼보다 더 높게 상승 작동하며,
상기 커팅유닛은 상승 완료된 제1 그리퍼와 제2 그리퍼 사이의 높이에서 전후진하여 봉합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에서,
상기 토출유닛은, 와이어가 토출되는 노즐부의 외면에서 상하로 승강하되 노즐부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와이어 토출 시 노즐부 내경을 넓혀서 와이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미늘 성형 시 노즐부 내경을 좁혀서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토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에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하부 일측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상하 회동하게 구비되며, 하강 완료된 봉합사의 최하단을 잡아서 봉합사를 '-'자형으로 정렬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는,
기존의 수직 토출 방식으로 봉합사의 미늘을 성형하여 미늘들의 돌출 높이, 두께 등을 균일하게 성형하면서도, 와이어의 둘레에 배열된 성형유닛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하여 미늘 성형을 실시해 테이블의 회전 없이 와이어의 외주면 둘레로 미늘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성형 가능하게 하며, 미늘 성형 완료 후 절단 시 와이어에 대한 미늘 성형 작업이 바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성형 완료 후 가공 재개까지의 작업대기에 따른 작업 로스를 없애, 종래의 수직형 미늘 성형장치에 비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커팅 성형 중 와이어를 잡아서 고정시켜 성형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봉합사가 무작위로 흐트러지지 않고, 길게 '-'자형으로 펴져서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어, 봉합사의 수거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의 요부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유닛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별 요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봉합사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확대도에서 제1, 제2 그리퍼(31A)(31B)들이 서로 겹친 상태로 동일 높이로 함께 도시하였음.), 크게 토출유닛(10), 성형유닛(20), 배출유닛(30), 커팅유닛(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와이어(W)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토출유닛(10);
테이블(T)의 상면에 와이어 통과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1개 이상 배열되어 있으며, 와이어(W)의 측방향에서 접근하여 와이어(W)를 길이방향으로 부분 절개함으로써 와이어(W)의 외주면에 미늘(B)을 성형하는 칼날부(21)를 포함하는 성형유닛(20);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교차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W)의 하단부를 잡아당겨 와이어(W)를 성형 위치로 토출시키는 한 쌍의 제1 그리퍼(31A)(31B),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W)의 상단부를 잡아서 상기 제1 그리퍼(31A)(31B)와 함께 하강하여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배출하는 제2 그리퍼(32)를 포함한 배출유닛(30); 및
성형 완료된 봉합사(S)를 절단하는 커팅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W) 및 봉합사(S)는 실질적으로 절단 전 단계에서 하나의 실로 연결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미늘(B) 유무 및 절단 여부에 따른 편의상의 구분이다.
상기 각 유닛(10)(20)(30)(40)들은 함체(미도시) 내부에 설치되며, 와이어(W) 및 상기 배출유닛(30)의 제1, 제2 그리퍼(31A)(31B)(32)가 통과되는 통과부가 형성된 테이블(T)의 상면에 상기 성형유닛(20)과 토출유닛(10)의 순차적으로 상향 설치되고, 상기 토출유닛(10)의 직하방으로 상기 제1, 제2 그리퍼(31A)(31B)(32)의 승강을 안내하는 프레임이 통과부를 통과하게 입설되면서, 테이블(T) 하부 일측(전방측)에 상기 배출유닛(30)의 제3 그리퍼(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닛(10)은 최상단에 설치된 와이어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권취된 와이어(W)가 저장된 공급통(11)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와이어(W)의 공급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일례로 상기 등록특허와 같이 와이어가 권취된 별도의 공급릴이 함체 외부에 구비되어 안내롤러를 통해 와이어가 토출유닛(10)으로 공급될 수 있음).
이러한 토출유닛(10)은 와이어(W)가 토출되는 노즐부(12)가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배출유닛(30)에 의해 와이어(W)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토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토출유닛(10)은 상기 노즐부(12)의 외면에서 상하로 승강하되 노즐부(12)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와이어(W) 토출 시 노즐부(12) 내경을 넓혀서 와이어(W)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미늘(B) 성형 시 노즐부(12) 내경을 좁혀서 와이어(W)를 고정시키는 토출 제어부(13)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노즐부(12)는 토출공의 내경이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방사상 배열되면서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가압편(12a)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편(12a)들에 외삽된 푸시링(12b)이 상기 토출 제어부(13)에 의해 상하 승강되어, 푸시링(12b)이 상승하여 토출공의 내경이 확장되었을 때 와이어(W)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고, 푸시링(12b)이 하강하여 토출공의 내경이 좁혀지면서 와이어(W)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성형유닛(20)은 수직방향으로 토출된 와이어(W)의 외주면을 부분 절개하여 미늘(B)을 성형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총 3개의 성형유닛(20)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형유닛(20)은 테이블(T) 상면에 결합된 플레이트(2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와이어(W)를 향해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성형유닛(20)이 전진한 상태에서 와이어(W)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며 미늘(B) 성형용 칼날이 장착되는 칼날부(21), 상기 칼날부(21)와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며 와이어(W)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받침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칼날부(21)와 받침부(22)는 각각 서로를 향해 전후진 가능하게 프레임부(24)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부(21)가 둘레방향으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성형유닛(20)이 와이어(W)를 향해 전진한 후, 상기 받침부(22)와 칼날부(21)가 순차적으로 와이어(W)를 향해 전진하면서 서로 근접된 상태에서, 전진 작동 중 회전하는 칼날부(21)가 상기 받침부(22)의 내측면에 지지된 와이어(W)의 일측면 일부를 부분 절개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미늘(B)이 돌출 성형된다. 즉, 상기 받침부(22)는 칼날부(21)의 부분 절개 작업 중 흡사 도마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출유닛(30)은 미늘(B) 성형 전의 와이어(W)를 잡아당겨 토출시킴과 동시에 성형 완료 후 절단된 봉합사(S)를 배출하는 것으로, 와이어(W)를 잡아당기는 2개의 제1 그리퍼(31A)(31B)와, 봉합사(S)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는 제2 그리퍼(32) 및 봉합사(S)를 길게 '-'자형으로 정렬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 그리퍼(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그리퍼(31A)(31B)(32)는 중앙의 제2 그리퍼(32)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 그리퍼(31A)(31B)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ㅗ'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그리퍼(31A)(31B)(32)는 각각 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하 승강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승 후 와이어(W)를 향해 전후진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그리퍼(32)는 교차 상승하는 각각의 제1 그리퍼(31A)(31B)와 함께 동시 상승 작동하되, 제1 그리퍼(31A)(31B)가 제2 그리퍼(32)보다 더 높게 상승 작동하며,
상기 커팅유닛(40)은 상승 완료된 제1 그리퍼(31A)(31B)와 제2 그리퍼(32) 사이의 높이에서 전후진하여 봉합사(S)를 절단한다.
상기 커팅유닛(40)은 집게 형태로 배열된 절단날(41)들이 서로 근접하게 전후진하게 장착된 것으로, 상기 노즐부(12)의 하부, 각 제1 그리퍼(31A)(31B)의 상승 완료 높이와 제2 그리퍼(32)의 상승 완료 높이 사이의 소정 높이에서 와이어(W)를 향해 전후진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유닛(30)과 커팅유닛(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일측 제1 그리퍼(31A)가 노즐부(12) 하부로 상승 후 전진하여 와이어(W)를 파지한 상태에서, 푸시링(12b)이 상승하면 일측 제1 그리퍼(31A)가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여 와이어(W)를 토출시킨 후, 제1 그리퍼(31A)(31B)의 하강이 정지되면 푸시링(12b)이 하강해 와이어(W)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성형유닛(20) 중 하나가 전진하여 미늘(B)을 성형한다.
그리고 일측 제1 그리퍼(31A)가 하강-정지 작동을 반복하면서 성형유닛(20)들이 순차적으로 미늘(B)을 성형하면, 와이어(W)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미늘(B)들이 돌출 형성된다.
미늘(B) 성형이 완료되면, 일측 제1 그리퍼(31A)가 하강하여 와이어(W)를 배출 대기 높이까지 빼낸다.
와이어(W)가 배출 대기 높이까지 하강 완료되면, 나머지 타측 제1 그리퍼(31B)와 제2 그리퍼(32)가 동시 상승 작동하며, 이때 제2 그리퍼(32)는 타측 제1 그리퍼(31B)보다 낮은 높이까지만 상승한다.
타측 제1 그리퍼(31B)와, 제2 그리퍼(32)가 동시에 전진하여 와이어(W)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유닛(40)이 전진한 후 와이어(W)를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된 봉합사(S)는 제2 그리퍼(32)와 일측 제1 그리퍼(31A)로 상, 하단이 모두 파지되어 수직방향으로 팽팽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유닛(40)이 후진한 다음 제2 그리퍼(32)와 일측 제1 그리퍼(31A)가 동시 하강하면, 절단된 봉합사(S)가 테이블(T) 하부로 하강, 배출되며, 이때 본 발명은 일측 제1 그리퍼(31A)가 다시 상승하여 작업을 재개하지 않고, 타측 제2 그리퍼(32)가 와이어(W)를 잡아 당겨서 미늘(B) 성형 작업이 바로 재개되며,
이후 일측 제1 그리퍼(31A)와 제2 그리퍼(32)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재작동하면서, 제1, 제2 그리퍼(31A)(31B)(32)의 작동이 교차 반복됨에 따라, 봉합사(S) 배출 후 작업 재개 사이의 작업 시간 로스가 없어진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W) 둘레로 2개 이상의 성형유닛(20)의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성형유닛(20)이 회전하면서 미늘(B)을 성형하는 것보다 작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종래의 미늘 성형장치에 비해 본 발명의 생선상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유닛(30)은, 상기 테이블(T)의 하부 일측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상하 회동하게 구비되며, 하강 완료된 봉합사(S)의 최하단을 잡아서 봉합사(S)를 '-'자형으로 정렬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 그리퍼(3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그리퍼(33)는 상단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통과부 하부를 향해 상하 회동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3 그리퍼(33)는, 상기 제1, 제2 그리퍼(31A)(31B)(32)에 의한 봉합사(S)의 하강 배출이 완료된 후, 미늘(B) 성형 작업이 재개되는 중에, 제3 그리퍼(33)가 제1 그리퍼(31A)(31B) 하부를 향해 수평하게 회동하여 제1 그리퍼(31A)(31B) 하부에서 전진 후 봉합사(S)의 최하단을 파지한다.
이어서 제1, 제2 그리퍼(31A)(31B)(32)가 와이어(W)를 놓으면, 제3 그리퍼(33)가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도록 하향 회동하게 되며, 이때 봉합사(S)가 제2 그리퍼(32)에서 놓아지면서 무작위로 흐트러지면서 낙하하는데, 제3 그리퍼(33)가 봉합사(S)의 최하단을 잡고 회동하면서 끌고 오기 때문에, 배출되는 봉합사(S)는 수평방향으로 '-'자형으로 길게 펴지면서 정렬되며, 제3 그리퍼(33)가 봉합사(S)를 높으면 길게 펴진 상태의 봉합사(S)가 그대로 수거통(34)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배출된 봉합사(S)를 수거 후 길게 풀어서 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므로, 봉합사(S)의 수거 후 포장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수직형 와이어(W) 미늘 성형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 : 와이어 S : 봉합사
B : 미늘 T : 테이블
10 : 토출유닛 11 : 공급통
12 : 노즐부 13 : 토출 제어부
20 : 성형유닛 21 : 칼날부
22 : 받침부 23 : 플레이트
24 : 프레임부 30 : 배출유닛
31A, 31B : 제1 그리퍼 32 : 제2 그리퍼
33 : 제3 그리퍼 40 : 커팅유닛
41 : 절단날

Claims (4)

  1.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토출되는 토출유닛;
    테이블의 상면에 와이어 통과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1개 이상 배열되어 있으며, 와이어의 측방향에서 접근하여 와이어를 길이방향으로 부분 절개함으로써 와이어의 외주면에 미늘을 성형하는 성형날을 포함하는 성형유닛;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교차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의 하단부를 잡아당겨 와이어를 성형 위치로 토출시키는 한 쌍의 제1 그리퍼, 상기 와이어 통과부를 상하로 승강하게 구비되며 와이어의 상단부를 잡아서 상기 제1 그리퍼와 함께 하강하여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배출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한 배출유닛; 및
    성형 완료된 봉합사를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리퍼는 교차 상승하는 각각의 제1 그리퍼와 함께 동시 상승 작동하되, 제1 그리퍼가 제2 그리퍼보다 더 높게 상승 작동하며,
    상기 커팅유닛은 상승 완료된 제1 그리퍼와 제2 그리퍼 사이의 높이에서 전후진하여 봉합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와이어가 토출되는 노즐부의 외면에서 상하로 승강하되 노즐부 내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와이어 토출 시 노즐부 내경을 넓혀서 와이어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미늘 성형 시 노즐부 내경을 좁혀서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토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하부 일측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상하 회동하게 구비되며, 하강 완료된 봉합사의 최하단을 잡아서 봉합사를 '-'자형으로 정렬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KR1020200142853A 2020-10-30 2020-10-30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KR10245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853A KR102456091B1 (ko) 2020-10-30 2020-10-30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853A KR102456091B1 (ko) 2020-10-30 2020-10-30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09A true KR20220057809A (ko) 2022-05-09
KR102456091B1 KR102456091B1 (ko) 2022-10-19

Family

ID=8158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53A KR102456091B1 (ko) 2020-10-30 2020-10-30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0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964A (ko) * 2010-05-04 2013-05-27 에티컨, 엘엘씨 자가-유지형 봉합재를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879A (ko) * 2014-03-06 2015-09-16 양홍은 봉합사 제조장치
KR20150104881A (ko) * 2014-03-06 2015-09-16 양홍은 봉합사 제조용 그립퍼 어셈블리
KR101611880B1 (ko) * 2014-11-20 2016-04-14 이인숙 와이어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964A (ko) * 2010-05-04 2013-05-27 에티컨, 엘엘씨 자가-유지형 봉합재를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879A (ko) * 2014-03-06 2015-09-16 양홍은 봉합사 제조장치
KR20150104881A (ko) * 2014-03-06 2015-09-16 양홍은 봉합사 제조용 그립퍼 어셈블리
KR101611880B1 (ko) * 2014-11-20 2016-04-14 이인숙 와이어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091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9746B1 (en)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KR101833547B1 (ko) 사과, 감, 배, 양파의 농작물용의 발심, 박피 및 분할 장치
KR102167098B1 (ko)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KR102456091B1 (ko) 수직형 와이어 미늘 성형장치
CN209755893U (zh) 一种具有开模关模装置的圆盘注塑机
CN210110526U (zh) 一种屏蔽电感α绕线方式的全自动绕线机
JP2631454B2 (ja) 孔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10123975A (ko) 봉합사용 프레스 성형장치
CN214613007U (zh) 一种自动罗马帘缝纫机
CN112889587B (zh) 一种食用菌搔菌处理工艺
JP4616452B2 (ja) ベルトスリーブ脱型装置及び脱型方法
CN210236745U (zh) 新型线盘自动装卸系统
CN114664689A (zh) 一种数码显示类模组led器件制备用预处理扩晶设备
CN216123606U (zh) 一种菌菇棒加工装置
JP2002284114A (ja) イチゴ自動充填方法、イチゴ自動充填装置及びイチゴ充填用容器。
KR102567652B1 (ko) 교차승하강장치
CN205874679U (zh) 托起缝纫机构
EP1736046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rrangement of devices for training plants, apparatus therefore and arrangement
CN111617392B (zh) 一种放疗热塑膜快速定位开孔装置
CN220766287U (zh) 一种用于吊装电缆盘及钢丝绳盘的工具
CN209528340U (zh) 一种高度可调节的桌面屏风
CN216796421U (zh) 一种苹果去核承托装置
CN215478223U (zh) 一种拉链头电镀自动下挂抓夹机械手
CN211613872U (zh) 绕线机和绕线执行系统
CN211846601U (zh) 一种集装箱内衬袋卸货装置用内衬袋切割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