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392A - 클리너 헤드 - Google Patents

클리너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392A
KR20220057392A KR1020200183066A KR20200183066A KR20220057392A KR 20220057392 A KR20220057392 A KR 20220057392A KR 1020200183066 A KR1020200183066 A KR 1020200183066A KR 20200183066 A KR20200183066 A KR 20200183066A KR 20220057392 A KR20220057392 A KR 2022005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ir
wall portion
cleaner head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코 소에모토
히로시 우자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타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타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타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5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5/026Cleaning moving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5/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use of gas or ai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토출용 슬릿의 미소 간극 치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클리너 헤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클리너 헤드 본체의 한 쌍의 측벽부(1B, 1B)의 외부(11)로부터 회전 조작하여, 가압력(F1)·인장력을 구획 내벽부(3, 3)에 대하여 부여하여,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는 가압 인장 수단(Y)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클리너 헤드{CLEANER HEAD}
본 발명은 클리너 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7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의 클리너 헤드가 공지이다(특허문헌 1 참조).
즉,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포위 외벽부(51)와, 이 포위 외벽부(51)의 내부를, 배큐엄 공간(52)과 프레셔 공간(53)과, 배큐엄 공간(52)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54, 54)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5)를 갖추고 있다.
중앙의 프레셔 공간(53) 내의 고압 에어는 화살표(56)와 같이 분출되어, 워크(피제진면)(57)에 부딪치고, 즉시 화살표(58, 58)와 같이 배큐엄 공간(52)으로 흡인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피제진면)(57)에 대향하는 1변(59)을 가지는데, 도 8과 도 9에서, 이 1변(59)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한 쌍의 구획 내벽부(54)의 하단을 연결하는 부위의 중간에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6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흡입용 슬릿(61, 61)이 1변(59)에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940323호 공보
그런데, 토출용 슬릿(60)의 간극 치수(ε)는 흡입용 슬릿(61, 61)의 각 간극 치수보다도 충분히 작고, 이 토출용 슬릿(60)의 미소 간극 치수(ε)가 규정값보다도 약간 클 경우에는, 에어 분출 속도가 작아져, 안정한 충분한 제진 작용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이 토출용 슬릿(60)의 미소 간극 치수(ε)가 규정값보다도 약간 작을 경우에는, 에어 분출시의 압력 손실이 증가하므로, 에어 분출 속도가 증가하지 않아, 충분한 제진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도 8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토출용 슬릿(60)의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기 위한 간극 조정 기구(65)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간극 조정 기구(65)는 나사 구멍(62, 62) 형성된 띠판(63)과, 각 나사 구멍(62)에 나사결합되는 볼트(64, 64)와, 1변(59)의 외부에서 스폿페이싱 형성된 대직경 스폿페이싱 구멍(66)과 (내경(D67)의) 중직경 구멍(67)을 갖춘다. 게다가, 띠판(63)은 토출용 슬릿(60)에 연통함과 아울러 얕은 오목홈(68)을 가짐과 동시에, 오목홈(68)과 프레셔 공간(53)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69)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간극 조정 기구(65)에 의해, 토출용 슬릿(60)의 미소 간극 치수(ε)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도 9에 있어서, 하방(외부)으로부터 육각 렌치 등의 작업 공구로 (다수 개의) 볼트(64)를 느슨하게 풀고, 얇은 띠편 모양의 계측 게이지로 간극 치수(ε)를 몇번이고 계측하면서, 구획 내벽부(54, 54)가 서로 접근(또는 분리)하도록 (단면에서) 요동 변형시키면서, 간극 치수(ε)를 규정값에 유지하고, 즉시 볼트(64)를 체결하여, 간극 치수(ε)를 규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 8, 도 9를 가지고 설명한 간극 조정 기구(65)에 의한 토출용 슬릿(60)의 미소 간극 치수(ε)의 조정 작업은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즉, (i) 다수의 볼트(64)의 나사 진행·나사 후퇴의 작업과, 구획 내벽부(54, 54)를 서로 접근·분리시켜 간극 치수(ε)를 감소·증가시키는 작업을 동시 또는 번갈아 행하는 것은, 숙련을 요하며, 극히 어려운 작업인 점, (ii) 1변(59)의 외부로부터 전술의 구획 내벽부(54, 54)를 서로 접근시키는 작업은, 미소한 치수의 흡입용 슬릿(61, 61)에 바이스 등을 걸칠 필요가 있어, 작업이 어려움과 아울러, 흡입용 슬릿(61)에 상처를 낼 우려가 있는 점, (iii) 인쇄 롤러, 연신 롤러, 플라스틱 필름 등의 제진 작업 중에, 만일, 볼트(64)가 풀어지면, 낙하하기 쉬워, 즉시 상기 인쇄롤러 등의 피제진면에 접촉하여, 손상을 주는 중대 사고의 우려가 있는 점.
종래의 클리너 헤드의 토출용 슬릿(60)의 간극 조정 기구(6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점 (i), (ii), (iii)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포위 외벽부와, 이 포위 외벽부의 내부 공간을 배큐엄 공간과 프레셔 공간과 배큐엄 공간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을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의 토출용 슬릿을 상기 1변에 뚫어 설치한 클리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1변에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의 각각의 외부로부터 회전 조작하여, 가압력·인장력을 상기 구획 내벽부에 대하여 부여하여, 상기 미소 간극 치수를 증감 조정하는 가압 인장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가압 인장 수단은 한 쌍의 상기 측벽부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가압 볼트와 인장 볼트를 번갈아 배열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가압 인장 수단은; 한 쌍의 측벽부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대직경 나사 구멍을 배열 설치하고; 또한,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피치와 동일 피치를 가지고, 또한,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과 동일 축심 상에 소직경 나사 구멍을 배열 설치하고; 가압 볼트는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에 적합(適合)하는 대직경 수나사를 가지고; 인장 볼트는 선단에 상기 소직경 나사 구멍에 적합하는 소직경 수나사를 가짐과 아울러, 기단에는,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에 헐겁게 삽입 자유로운 중직경 수나사를 가지고, 이 중직경 수나사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한 부위에 나사결합하는 인장용 조정 너트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측벽부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 볼트와 인장 볼트를 번갈아 배열 설치하도록 구성했다.
또, 포위 외벽부와, 이 포위 외벽부의 내부 공간을 배큐엄 공간과 프레셔 공간과 배큐엄 공간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을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의 토출용 슬릿을 상기 1변에 뚫어 설치한 클리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1변에 대하여, 횡단면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가압 규제 볼트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프레셔 공간이, 소정 가압 상태하에서, 상기 가압 규제 볼트의 선단면이 상기 구획 내벽부에 맞닿도록, 상기 측벽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압 규제 볼트를 나사 진행·나사 후퇴시켜; 상기 미소 간극 치수를 증감 조정하도록 구성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용 슬릿의 미소 간극 치수의 조정을 측벽부의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흡입용 슬릿 등에 상처를 내지 않고 용이·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토출용 슬릿의 미소 간극 치수의 계측 작업 위치와, 가압 인장 수단의 작업 위치가 90° 상위하게 되어, 양쪽 작업을 서로 간섭하지 않고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도시한 클리너 헤드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 (b)는 (a)의 우측 방향에서 본 주요부 구성 설명도, (c)는 클리너 헤드의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주요부 단면 정면도, (b)는 일부 단면 정면도, (c)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주요부 단면 정면도, (b)는 (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간극 조정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시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클리너 헤드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포위 외벽부(1)와, 이 포위 외벽부(1)의 내부 공간(1M)을, 배큐엄 공간(10)과 프레셔 공간(15)과 배큐엄 공간(10)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를 갖추고 있다.
이 클리너 헤드 본체(5)는 도 2(c)에, 그 일부를 사시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길이 방향 치수가 큰 장척체이다. 즉, 외관은 장척의 각통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너 헤드 본체(5)의 좌우 각 끝의 개구부는 직사각형 판(6)으로 폐쇄되고, 일방의 직사각형 판(6)에는, 고압 에어 공급관(7)과, 에어 흡출관(8, 8)이 부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 본체(5)란 직사각형 판(6)이나 고압 에어 공급관(7)·에어 흡출관(8, 8) 등의 부속 부재를 제외한 장척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포위 외벽부(1)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9)에 대향하여 (평행 형상으로) 배열 설치되는 1변(1A)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 사이에 형성된 프레셔 공간(15)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2)이 상기 1변(1A)의 중앙 위치에 뚫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1변(1A)에 직교 형상의 (좌우 한 쌍의) 측벽부(1B, 1B)의 각각의 외부(11)로부터, 회전 조작하여, 가압력(F1)·인장력(F2)을 상기 구획 내벽부(3)에 대하여 부여하여, 상기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는 가압 인장 수단(Y)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이 가압 인장 수단(Y)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대부분은 도시 생략하고, 클리너 헤드 본체(5)만을 주로 도시하고 있는 것이지만, 일점쇄선(12)은 가압 인장 수단(Y)이 배열 설치되는 높이 위치 및 배열 설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가압 인장 수단(Y)은, 한 쌍의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도 2(c) 참조)를 가지고 배열 설치한 가압 볼트(21)(도 3 참조)와 인장 볼트(22)(도 4 참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세하게 가압 인장 수단(Y)에 대해 설명하면, 도 1∼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를 가지고 대직경 나사 구멍(13)을 배열 설치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피치(P0)와 동일 피치를 가지고, 소직경 나사 구멍(14)을 배열 설치한다.
게다가, 이 소직경 나사 구멍(14)의 축심과 대직경 나사 구멍(13)의 축심은 동일 축심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직경 나사 구멍(13)과 동일 축심(일점쇄선(12)) 상에 소직경 나사 구멍(14)을 배열 설치한다.
즉, 도 2(a)에 도시한 측벽부(1B)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직경 나사 구멍(13)의 내부에, 소직경 나사 구멍(14)이 (동심 형상으로) 보인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볼트(21)는 측벽부(1B)의 대직경 나사 구멍(13)에 적합(나사결합)하는 대직경 수나사(21A)를 가진다. 또한, 가압 볼트(21)의 선단면(21B)으로부터 위치 결정용 짧은 소직경 돌기부(21C)가 돌출 설치되고, 이 소직경 돌기부(21C)는,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 나사 구멍(14)에 헐겁게 끼워진 모양으로 삽입되어, 가압 볼트(21)의 선단 진동을 방지한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트(27)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 볼트(21)는 그 외측 끝에 육각 구멍 형성 머리부(21E)를 가진다(또한, 육각형 머리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볼트(22)는, 선단에, 구획 내벽부(3)의 소직경 나사 구멍(14)에 적합(나사결합)하는 소직경 수나사(22A)를 가진다. 또한, 인장 볼트(22)의 기단(23)에는, 중직경 수나사(24)를 가지고, 이 중직경 수나사(24)는 측벽부(1B)의 대직경 나사 구멍(13)에 헐겁게 삽입 자유롭도록, 나사 외경이 설정되어 있다(도 4(b) 참조).
그리고, 인장 볼트(22)의 중직경 수나사(24)가 측벽부(1B)로부터 돌출한 부위(24E)에 나사결합하는 인장용 조정 너트(25)를 가지고 있다. 또, 인장 볼트(22)의 외측 끝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회전 토크 부여 공구를 꽂는 슬릿(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과 구성의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를, 번갈아, 측벽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상으로, 배열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부(1B)의 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를 가지고, 가압력(F1)과 인장력(F2)을 번갈아 부여하여, 구획 내벽부(3)를 요동시킴으로써(도 3 또는 도 4의 화살표(M3) 참조), 토출용 슬릿(2)의 미소 간극 치수(ε)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대직경 나사(13) 및 대직경 수나사(21A)를 M6으로 하고, 중직경 수나사(24)를 M4로 하고, 상기 소나사 구멍(14) 및 소직경 수나사(22A)를 M3로 하고, 돌기부(21C)의 외경 치수를 2.6mm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로 설정하면, 치수와 형상과 기능이 대폭 상위한 가압 볼트(21) 및 그 부속 부품과, 인장 볼트(22) 및 그 부속 부품을 완전히 동일한 치수와 형상의 대직경 나사 구멍(13)·소직경 나사 구멍(14)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다.
다음에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클리너 헤드 본체(5)의 기본적 형상과 구조는 도 1∼도 4의 이미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도 5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위 외벽부(1)와, 이 포위 외벽부(1)의 내부 공간(1M)을 배큐엄 공간(10)과 프레셔 공간(15)과 배큐엄 공간(10)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1)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9)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1A)을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15)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2)을 상기 1변(1A)에 뚫어 설치한 구성이다.
그렇지만, 이하의 구성(형상·구조)이 상위하다. 즉, 1변(1A)에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1B, 1B)에는, 길이 방향에 소정 피치로, 가압 규제 볼트(30)가 복수개, 배열 설치된다.
즉, 전술의 실시형태(도 1∼도 4 참조)에서는,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의 2종류의 볼트가 사용되고 있었던 것에 대해, 도 5, 도 6에 도시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규제 볼트(30)만이 복수개, 도 5, 도 6에 있어서의 지면과 직교 방향―클리너 헤드 본체(5)의 길이 방향―에 배열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셔 공간(15)의 압력이 0인 상태(대기압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용 슬릿(2)의 간극 치수(ε')가 정규 치수보다도 작을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가압 규제 볼트(30)의 선단면(30A)과 구획 내벽부(3)의 사이에, 소정의 소간극(ΔG)을 마련한다.
그 후, 프레셔 공간(15) 내의 압력(P15)을 소정 값까지 상승시킨 소정 가압 상태하에서, 가압 규제 볼트(30)의 선단면(30A)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 내벽부(3)에 맞닿도록, 측벽부(1B)의 외부(11)로부터, 가압 규제 볼트(30)를 나사 진행·나사 후퇴하여, 토출용 슬릿(2)의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클리너 헤드가 제진을 필요로 하는 설비에 사용될 때, 프레셔 공간(15)에 공급(사용)되는 에어 압력과 동일한 값으로, (도 6(b)에서 설명한) 압력(P15)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도 4, 또는, 도 5, 도 6에 도시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출용 슬릿(2)의 미소 간극 치수(ε)를, 슬릿 게이지 등의 정밀 측정 기구를 가지고, 계측하면서, 볼트(21, 22, 30)를 나사 진행·나사 후퇴시키는 작업을, 정확하고 또한 용이·신속하게 행하기 위해, (도시 생략했지만) 도 1∼도 4, 도 5, 도 6과는 완전 반대로, 바닥면 등에 설치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에어를 빨아들이는 흡입 슬릿(4)의 간극 치수는 토출용 슬릿(2)의 간극 치수(ε) 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미소 간극 치수(ε)의 조정 변화량에 의한, 흡입 슬릿(4)으로부터의 흡입 에어 유량의 변화는 미소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설계 변경 자유이며, 각 구획 내벽부(3)가 측벽부(1B)에서부터 1변(1A)으로 연결 형상인 경우를 도시했지만, 이것을 상벽부(1C)에서부터 1변(1A)으로 연결 형상으로 하는 것도 자유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포위 외벽부(1)와, 이 포위 외벽부(1)의 내부 공간(1M)을 배큐엄 공간(10)과 프레셔 공간(15)과 배큐엄 공간(10)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1)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9)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1A)을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15)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2)을 상기 1변(1A)에 뚫어 설치한 클리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1변(1A)에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1B, 1B)의 각각의 외부(11)로부터 회전 조작하여, 가압력(F1)·인장력(F2)을 상기 구획 내벽부(3, 3)에 대하여 부여하여, 상기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는 가압 인장 수단(Y)을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측벽부(1B)의 외부(11)(의 넓은 작업 공간)로부터 용이하게 가압력(F1)·인장력(F2)을 순차 부여하면서,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정확한 미소 간극 치수(ε)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측벽부(1B, 1B)에 직접적으로 외력을 부여하는 구조이므로,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압 인장 수단(Y)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를 번갈아 배열 설치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간극 치수(ε)가 과대하면, 가압 볼트(21)를 나사 진행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미묘한 감소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반대로, 간극 치수(ε)가 과소하면, 인장 볼트(22)를 회전시켜, 간단하게 미묘한 증가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압 인장 수단(Y)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피치(P0)를 가지고 대직경 나사 구멍(13)을 배열 설치하고; 또한,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와 동일 피치를 가지고, 또한,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13)과 동일 축심 상에 소직경 나사 구멍(14)을 배열 설치하고; 가압 볼트(21)는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13)에 적합하는 대직경 수나사(21A)를 가지고; 인장 볼트(22)는 선단에 상기 소직경 나사 구멍(14)에 적합하는 소직경 수나사(22A)를 가짐과 아울러, 기단(23)에는,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13)에 헐겁게 삽입 자유롭도록 중직경 수나사(24)를 가지고, 이 중직경 수나사(24)가 상기 측벽부(1B)로부터 돌출한 부위(24E)에 나사결합하는 인장용 조정 너트(25)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를 번갈아 배열 설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측벽부(1B)에는 완전히 동일한 대직경 나사 구멍(13)을 소정 피치로 나열 설치하면 되므로, 가공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구획 내벽부(3)에는 완전히 동일한 소직경 나사 구멍(14)을 소정 피치로 나열 설치하면 되어, 가공 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동일 축심 상의 대직경 나사 구멍(13)과 소직경 나사 구멍(14)이 1세트로서, 나열 설치된 상태하에서, 측벽부(1B)의 길이 방향에,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를 번갈아 나사결합하여 배열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긴 치수를 가지는 토출용 슬릿(2)의 길이 방향의 각 위치에서, 고정밀도의 간극 치수(ε)를 증감하는 조정 작업을, 숙련을 요하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또, 포위 외벽부(1)와, 이 포위 외벽부(1)의 내부 공간(1M)을 배큐엄 공간(10)과 프레셔 공간(15)과 배큐엄 공간(10)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1)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9)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1A)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15)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2)을 상기 1변(1A)에 뚫어 설치한 클리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1변(1A)에 대하여, 횡단면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1B, 1B)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로 가압 규제 볼트(30)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프레셔 공간(15)이, 소정 가압 상태하에서, 상기 가압 규제 볼트(30)의 선단면(30A)이 상기 구획 내벽부(3)에 맞닿도록, 상기 측벽부(1B)의 외부(11)로부터 상기 가압 규제 볼트(30)를 나사 진행·나사 후퇴시켜; 상기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인장 볼트를 생략할 수 있어, 가압 규제 볼트(30)만으로 되므로, 구성 부품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셔 공간(15)의 가압 상태하의 압력(P15)을, 실제로 가동하는 설비에서 사용되는 에어 압력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한 동일 압력으로 조정한 간극 치수(ε)는, 실제로 가동했을 때에, 최적의 에어 분출 속도를 가져 확실히 우수한 제진 성능을 발휘한다.
1 포위 외벽부
1A 1변
lB 측벽부
1M 내부 공간
2 토출용 슬릿
3 구획 내벽부
5 클리너 헤드 본체
9 피제진면
10 배큐엄 공간
11 외부
13 대직경 나사 구멍
14 소직경 나사 구멍
15 프레셔 공간
21 가압 볼트
21A 대직경 수나사
22 인장 볼트
22A 소직경 수나사
23 기단
24 중직경 수나사
24E 돌출한 부위
25 인장용 조정 너트
30 가압 규제 볼트
30A 선단면
F1 가압력
F2 인장력
P0 소정 피치
Y 가압 인장 수단
ε 미소 간극 치수

Claims (4)

  1. 포위 외벽부(1)와, 이 포위 외벽부(1)의 내부 공간(1M)을 배큐엄 공간(10)과 프레셔 공간(15)과 배큐엄 공간(10)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1)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9)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1A)을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15)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2)을 상기 1변(1A)에 뚫어 설치한 클리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1변(1A)에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1B, 1B)의 각각의 외부(11)로부터 회전 조작하여, 가압력(F1)·인장력(F2)을 상기 구획 내벽부(3, 3)에 대하여 부여하여, 상기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는 가압 인장 수단(Y)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너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인장 수단(Y)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를 가지고,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를 번갈아 배열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너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인장 수단(Y)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피치(P0)를 가지고 대직경 나사 구멍(13)을 배열 설치하고,
    또한,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와 동일 피치를 가지고, 또한,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13)과 동일 축심 상에 소직경 나사 구멍(14)을 배열 설치하고,
    가압 볼트(21)는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13)에 적합하는 대직경 수나사(21A)를 가지고,
    인장 볼트(22)는 선단에 상기 소직경 나사 구멍(14)에 적합하는 소직경 수나사(22A)를 가짐과 아울러, 기단(23)에는, 상기 대직경 나사 구멍(13)에 헐겁게 삽입 자유로운 중직경 수나사(24)를 가지고, 이 중직경 수나사(24)가 상기 측벽부(1B)로부터 돌출한 부위(24E)에 나사결합하는 인장용 조정 너트(25)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측벽부(1B, 1B)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 볼트(21)와 인장 볼트(22)를 번갈아 배열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너 헤드.
  4. 포위 외벽부(1)와, 이 포위 외벽부(1)의 내부 공간(1M)을 배큐엄 공간(10)과 프레셔 공간(15)과 배큐엄 공간(10)으로 구획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 내벽부(3, 3)를 일체로 가지는 압출 형재로 작성된 클리너 헤드 본체(5)를 갖추고,
    상기 포위 외벽부(1)는, 횡단면에 있어서, 피제진면(9)에 대향하여 배열 설치되는 1변(1A)을 가지고,
    한 쌍의 상기 구획 내벽부(3, 3)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프레셔 공간(15) 내의 고압 에어를 분출하는 미소 간극 치수(ε)의 토출용 슬릿(2)을 상기 1변(1A)에 뚫어 설치한 클리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1변(1A)에 대하여, 횡단면 직교 형상의 한 쌍의 측벽부(1B, 1B)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P0)로 가압 규제 볼트(30)가 배열 설치되고, 상기 프레셔 공간(15)이, 소정 가압 상태하에서, 상기 가압 규제 볼트(30)의 선단면(30A)이 상기 구획 내벽부(3)에 맞닿도록, 상기 측벽부(1B)의 외부(11)로부터 상기 가압 규제 볼트(30)를 나사 진행·나사 후퇴시켜,
    상기 미소 간극 치수(ε)를 증감 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너 헤드.
KR1020200183066A 2020-10-29 2020-12-24 클리너 헤드 KR20220057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1104 2020-10-29
JP2020181104A JP7160376B2 (ja) 2020-10-29 2020-10-29 クリーナヘ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392A true KR20220057392A (ko) 2022-05-09

Family

ID=8130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066A KR20220057392A (ko) 2020-10-29 2020-12-24 클리너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160376B2 (ko)
KR (1) KR20220057392A (ko)
CN (1) CN114424902A (ko)
TW (1) TWI79211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0323B1 (ko) 1970-11-16 1974-11-01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852U (ko) * 1989-12-04 1991-08-15
EP0701022B1 (de) * 1994-09-09 2001-04-04 Voith Paper Patent GmbH Auftragswerk zum direkten oder indirekten Auftragen eines flüssigen oder pastösen Mediums auf eine laufende Materialbahn
JP3540673B2 (ja) * 1999-05-31 2004-07-07 大浩研熱株式会社 丸パイプと角パイプの組合わせノズル機構
JP3995971B2 (ja) 2002-03-09 2007-10-24 株式会社竹綱製作所 送風ノズル
JP2004188321A (ja) * 2002-12-11 2004-07-08 Tokyo Electron Ltd 気体吐出装置及び気体吐出幅の調整方法
US8490571B2 (en) * 2007-02-27 2013-07-23 Kabushiki Kaisha Toshiba Coater,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article, and fluid blowing unit
JP4940323B2 (ja) * 2009-07-29 2012-05-30 有限会社タクショー 除塵装置及び除塵システム
JP3158301U (ja) 2010-01-12 2010-03-25 株式会社齊藤商会 平吹きノズル
JP2014064987A (ja) 2012-09-26 2014-04-17 Nec Embedded Products Ltd ノズル制御装置、ダスト除去装置及びノズル制御方法
TW201420219A (zh) * 2012-11-16 2014-06-01 Nitto Ind Co Ltd 除塵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0323B1 (ko) 1970-11-16 1974-11-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2118B (zh) 2023-02-11
JP2022071955A (ja) 2022-05-17
TW202216310A (zh) 2022-05-01
CN114424902A (zh) 2022-05-03
JP2022125159A (ja) 2022-08-26
JP7160376B2 (ja)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958B2 (en) Self centering dual direction clamping vise
US5466098A (en) Drill bit guiding device
CN202752880U (zh) 柱状工件的夹持装置
CN1221354C (zh) 用于定位和固定工件的夹具
KR20220057392A (ko) 클리너 헤드
JP6046396B2 (ja) ドリル駆動装置及びドリル駆動方法
US20040136802A1 (en) Expansion bolt
CN113252472B (zh) 一种夹具及剪切试验装置
CN101441069A (zh) 通用型测量装置及其定位机构
DE102017114536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r Hydro-Dehnspanneinrichtung
WO2020050756A1 (en) Mass damper device and working tool
JPS63502812A (ja) 平らな物体の保持および操作のための装置
CN109882505B (zh) 一种节流比可调的微细沟槽节流器
JP2006326744A (ja) 旋盤用チャック機構のチャック爪
KR101449423B1 (ko) 도관 고정 장치
US6832541B2 (en) Linear actuator
US11913781B2 (en) Measurement device
JP2008194588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1280196A (ja) 気化器の燃料調整針弁の取付構造
US11897069B2 (en) Device for stabilizing a workpiece in a machine tool
US6957561B1 (en) Apparatus for paintless dent removal
US5579885A (en) Fixture for handling articles
CN214350878U (zh) 一种工作台锁紧定位装置
CN219504189U (zh) 一种压板紧固螺杆
CN220062825U (zh) 一种隧道预埋槽道组间距测量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