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359A -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359A
KR20220057359A KR1020200142534A KR20200142534A KR20220057359A KR 20220057359 A KR20220057359 A KR 20220057359A KR 1020200142534 A KR1020200142534 A KR 1020200142534A KR 20200142534 A KR20200142534 A KR 20200142534A KR 20220057359 A KR20220057359 A KR 2022005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natural killer
cancer
composition
polyether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순
박근홍
최승희
김혜진
안희정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0014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359A/ko
Priority to JP2023526242A priority patent/JP2023549078A/ja
Priority to US18/250,876 priority patent/US20230390326A1/en
Priority to PCT/KR2021/015147 priority patent/WO2022092784A1/ko
Priority to CN202180088281.9A priority patent/CN117255853A/zh
Publication of KR2022005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359A/ko
Priority to KR1020230078496A priority patent/KR20230093226A/ko
Priority to KR1020230102231A priority patent/KR20230119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4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amines, polyanhyd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6Natural killers cells [NK], NKT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50Soluble polymers, e.g. polyethyleneglycol [PE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8Protei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퍼포린 단백질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의 축척을 유도함으로서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comprising cationic substance and use thereof}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은 선천면역계에서 체내 1차 방어작용을 수행하는 면역세포이다. 자연살해세포는 비정상세포를 인지하는 수용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정한 항원 없이도 암세포 또는 바이러스 등의 비정상세포를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제거하여 면역계를 조절하고, 암 세포의 증식과 재발,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자연살해세포의 특징을 이용하여, 최근 자연살해세포를 이용한 항암면역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면역항암치료의 방법 중 면역세포치료제란, 체내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유전공학적으로 변형시켜 다시 체내에 투입하는 치료제를 말한다. 면역항암치료제는 세포성 면역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나,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세포)는 유전자 조작이 복잡하고, 치료비용이 고가라는 단점이 존재하였으며, T 세포의 특성으로 인하여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및 여러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연살해세포가 면역항암치료 분야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양이온성 물질을 면역세포에 처리한 경우 퍼포린 단백질의 안정화가 증가됨을 확인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일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세포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 및 면역세포를 12시간 내지 60시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촉진하는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세포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양이온성 물질(Cationic substance)”는 표면에 양이온을 띄는 물질일 수 있고, 표면에 양전하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폴리에테르아미드(Polyetherimide: PEI) 또는 키토산(chitosan)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폴리에테르아미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폴리에테르아미드(Polyetherimide: PEI)”는 (C37H24O6N2)n 의 화학식을 갖는 폴리머로서, 밀도는 1.27 g/cm³ 이다.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는 양이온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의 양이온성은 세포 내부로 유전자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면역 세포일 수 있으며, T세포, B세포, 수지상세포 또는 자연살해세포일 수 있다.
상기 면역세포 활성 증진은 모세포, 예를 들면, 조혈 세포, 또는 전구세포에 비해, 세포의 면역조절능, 세포 독성 또는 세포사멸능이 활성화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면역세포는 CAR-면역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는 면역을 담당하는 혈액 속 백혈구의 일종으로, 간과 골수에서 성숙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자연살해세포는 비특이적 면역을 담당하며, 바이러스, 암세포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자연살해세포에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면역조절능, 세포 독성 또는 세포사멸능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조절능, 세포 독성 또는 세포사멸능이 증가된 자연살해세포를 포함함으로서, 자연살해세포의 바이러스 또는 암세포 사멸 능력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퍼포린(Perforin) 단백질”은 세포의 원형질막에 구멍을 만들어서 세포를 파괴하는 당단백질을 의미한다. 세포의 상기 퍼포린 단백질은 면역세포 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분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지는 화학적 구조가 선형이 아니고 가지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아민은 1차, 2차 또는 3차 아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의 분자량은 10,000 mM 내지 30,000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28,000, 10,000 내지 27,000, 12,000 내지 30,000, 12,000 내지 28,000, 12,000 내지 27,000, 15,000 내지 30,000, 15,000 내지 28,000 또는 15,000 내지 27,000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25,000 mM 일 수 있다. 유전자 전달 효율은 양이온의 밀도와 비례하여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분자량의 범위가 상기 수치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 유전자 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분지형(brancned) 또는 직선형(linea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지형은 한 분자안에 1차, 2차 및 3차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지형은 한 분자안에 아민 구조를 1개 이상 가지고 있어 넓은 pH 범위 내에서 양이온으로 변할 수 있는 양이온 스펀지(Proton Sponge)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물질의 함량은 0.1 ㎍/㎖ 내지 10 ㎍/㎖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이온성 물질의 함량은 0.1 내지 9, 0.1 내지 8, 0.5 내지 10, 0.5 내지 9, 0.5 내지 8, 1 내지 10, 1 내지 9, 1 내지 8, 2 내지 10, 2 내지 9, 2 내지 8, 3 내지 10, 3 내지 9 또는 3 내지 8 ㎍/㎖ 일 수 있다. 이때, 양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인 경우, 면역세포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거나, 퍼포린 단백질의 축척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배지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또는 면역세포 활성 증진용 조성물은, 배지 조성물로서 면역세포와 함께 배양할 경우, 면역세포 내의 퍼포린 단백질의 안정화 또는 축척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나노입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나노입자(Nanoparticles)”란, 표면을 갖는 1 내지 100 nm 크기의 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나노입자는 자성 나노입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입자의 코어는 Zn 또는 F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상기 코어층으로 인해 자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나노입자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나노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으며, 나노입자의 표면과 화학적으로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나노입자 및 양이온성 물질을 일정 시간 배양함으로서, 나노입자의 표면에 폴리에테르아민을 결합시키고, 상기 나노입자 및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퍼포린 단백질을 안정화시킴으로서, 세포 내 퍼프린 단백질의 축적을 유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정화는 퍼포린 단백질량의 증가를 유도하는 단백질 분해(proteolytic degradation) 저항성 및 퍼포린 mRNA로부터의 번역 효율성(translation efficacy) 향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의 퍼포린 단백질의 개수 또는 양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면역항암제와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면역항암제와 동시 투여되는 경우, 면역항암제의 활성도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감마 PGA(Gamma-PGA), 글리콜 키토산(glycol chitosan), 및 프로타민(prot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이 전처리되어 정상 세포에 비해 퍼포린 발현량 또는 함량이 증가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 세포, 퍼포린, 면역세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료용 조성물은 면역 항암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암제로, 환자 스스로의 면역 강화를 통해 암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 항암제는 면역 세포 치료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세포 치료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는 T 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 관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 예컨대, 종양세포에서 발현되는 PD-L1과 같은 단백질의 활성화를 차단함으로써 T 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 항암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 치료제는 상기 면역 세포 치료제는 NK 세포 치료제, T 세포 치료제, CAR-면역세포 치료제, DC 백신, CTL 치료제, 항-PD-L1, 항-PD-1, 및 항-CTLA-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K 세포 치료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CAR-면역세포 치료제는 CAR T(Chimeric antigen receptor-T) 또는 CAR-NK(Chimeric antigen receptor-NK)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세포 치료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 폴리에테르아민 또는 면역세포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체”는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상기 암은 유방암,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췌장암, 담낭암, 담도암, 비호지킨 림프종, 구강암, 구순암, 고환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기저세포암, 난소상피암, 뇌종양, 다발성골수종, 혈액암,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 백혈병, 방광암, 복막암, 설암,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소장암, 식도암, 신장암, 심장암, 악성림프종, 요도암, 자궁경부암, 직장암, 편도암 및 후두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암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을 지칭하거나, 그를 포함하며, "유효성분" 또는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양이온성 물질로 인해 퍼포린의 함량이 증가된 면역세포를 포함함으로서, 면역 반응이 활성화된 면역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른 면역항원보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면역항원보강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monophosphoryl lipid A, MPL) 및 GLA-SE(Glucopyranosyl Lipid Adjuvant, formulated in a stable nano-emulsion of squalene oilin- water)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정맥내, 피하, 복강 내, 흡입 또는 국소적용과 같이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됨으로써 경감된 질병 상태에 대한 치료에 충분한 일 양상에 따른 치료용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용 물질의 효과적인 양은 특정 화합물, 질병 상태 및 그의 심각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 형태, 건강 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예를 들어 약 1,000~10,000 세포/회, 1,000~100,000세포/회, 1,000~1000,000 세포/회, 1,000~10,000,000, 1,000~100,000,000 세포/회, 1,000~1,000,000,000세포/회, 1,000~10,000,000,000 세포/회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에 분할 투여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식염수, 관용의 완충제(인산, 구연산, 그 밖의 유기산 등), 안정제, 염, 산화방지제(아스코르브산 등), 계면활성제, 현탁제, 등장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해, 생체고분자(biopolymer) 등의 유기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무기물,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매트릭스, 폴리락트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그의 화학적 유도체 등과 조합시키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이 주사에 적당한 제형으로 조제되는 경우에는, 면역세포, 또는 그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물질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용해되어 있거나 또는 용해되어 있는 용액상태로 동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환원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예시된 것들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이 전처리되어 정상 세포에 비해 퍼포린 발현량 또는 함량이 증가한 면역세포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면역세포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 세포, 퍼포린, 면역세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치료용 조성물은 면역 항암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암제로, 환자 스스로의 면역 강화를 통해 암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 항암제는 면역 세포 치료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 세포 치료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는 T 세포 억제에 관여하는 면역 관문 단백질(immune checkpoint protein) 예컨대, 종양세포에서 발현되는 PD-L1과 같은 단백질의 활성화를 차단함으로써 T 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 항암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 치료제는 상기 면역 세포 치료제는 NK 세포 치료제, T 세포 치료제, CAR-면역세포 치료제, DC 백신, CTL 치료제, 항-PD-L1, 항-PD-1, 및 항-CTLA-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K 세포 치료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CAR-면역세포 치료제는 CAR T(Chimeric antigen receptor-T) 또는 CAR-NK(Chimeric antigen receptor-NK) 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세포 치료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양이온성 물질 및 면역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세포의 활성을 촉진 또는 면역세포 내의 퍼포린 함량 또는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 폴리에테르아미드, 면역세포, 활성 촉진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양이온성 물질 및 면역세포를 5 내지 60시간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6 내지 58시간, 6 내지 55시간, 6 내지 53시간, 6 내지 50시간, 8 내지 60시간, 8 내지 58시간, 8 내지 55시간, 8 내지 53시간, 8 내지 50시간, 10 내지 60시간, 10 내지 58시간, 10 내지 55시간, 10 내지 53시간, 10 내지 50시간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시간이 상기 수치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 퍼포린의 안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양이온성 물질 및 면역세포를 배양함으로서, 퍼포린 단백질의 안정화를 증가시키고 세포 내 축척을 유도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세포사멸능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퍼포린 단백질의 안정도를 증가시켜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의 축척을 유도함으로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폴리에테르아미드를 자연살해세포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자연살해세포에 분지된 또는 선형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유방암세포에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유방암세포에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유방암 세포 및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 5 ㎍/㎖을 E:T 비율별로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의 세포 사멸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유방암 세포 및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 5 ㎍/㎖을 E:T 비율별로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의 세포 사멸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폴리에테르아미드의 양이온성을 저해하여 자연살해세포에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폴리에테르아미드의 양이온성을 저해하여 자연살해세포에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시간별로 배양한 결과, 그랜자임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시간별로 배양한 결과,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시간별로 배양한 결과, 그랜자임 단백질 및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2는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그랜자임 및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자연살해세포에 MG132를 처리하여 배양한 결과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동물 모델의 준비
1.1. 화합물의 준비과정 또는 구입처
Branched form의 Polyethylenimine을(시그마-알드리치, Sigma 408727) 증류수에 5mg/ml로 희석하여 용량에 맞게 사용하였다.
1.2. NK 세포의 준비과정
Alpha-MEM media(gibco12561-056) media base에 12.5% FBS(gibco 16000-044), 1% P/S(gibco15140-122), 2 mM L-glutamine(gibco25030-081), 0.2 mM inositol (Sigma I7508); 0.1 mM 2-mercaptoethanol; 0.02 mM folic acid(Sigma F8785) 를 균일하게 희석한 후 filter(corning 430758)를 사용하여 멸균한뒤 사용하였다. NK 세포는 T75 flask에서 3X105/ml로 37도씨 CO2 5% 인큐베이터 안에서 배양하였다.
1.3. 인 비트로에서 자연살해세포의 활성 유도능의 분석 방법
초록 계열의 형광을 표지한 MDA MB 231세포와 자연살해세포를 1.5 ml의 eppendorf tube에 각각의 비율로 넣고 혼합하여 37도씨 CO2 5%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반응 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에는 7AAD (Invitrogen A1310)로 20분간 염색하고 고정하였다.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혼합되어있는 세포들중 초록 형광의 유무도 두 세포군집을 구분한 뒤 죽은세포의 비율을 측정, 그룹별로 비교하여 활성을 분석하였다.
1.4. 웨스턴 블롯 분석 방법
자연살해세포의 단백질 추출물을 10% SDS-PAGE를 사용하여 분리하고, 폴 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막(polyvinylidene difluoride amersham Biosciences) 으로 120V 조건하에 90분 동안 transfer 하였다. 3%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를 함유하는 트리스-완충 생리식 염수-트윈(Tris-buffered saline-Tween)[TBST; 0.2 M NaCl, 0.1% Tween-20, 및 10 mM Tris (pH 7.4)] 내에서 상기 막을 1시간 동안 blocking 하였다. blocking 된 막을 래빗 다클론 항-Perforin 항체(1:1000; ab180773, abcam) 또는 래빗 단일클론 항-GAPDH 항체(1:1000; 3683S, Cell signaling)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막을 항-래빗 다클론 IgG(1:5000; #7074, Cell Signaling Technology)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단계 후에, 막을 TBST로 수차례 세척하였고, 결합된 항체를 화학발광 검출 시스템(enhanced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ystem)(Thermo Fisher Scientific Biosciences)을 사용하여 제조사 지침에 따라 검출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테르아미드의 구조별 자연살해세포 활성 유도능 확인
폴리에테르아민의 분자량 및 형태별 자연살해세포 활성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자연살해세포에 분자량 및 형태별 폴리에테르아미드 또는 비교군을 혼합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분자량 및 형태별 폴리에테르아미드 또는 비교 화합물의 분자량, 전하, 및 구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자량 1.8K의 분지된 폴리에테르아미드, 분자량 10K의 분지된 폴리에테르아미드, 분자량 25K의 선형 폴리에테르아미드, 분자량 25K의 분지된 폴리에테르아미드, 분자량 750K의 감마-PGA(gamma-PGA), 분자량 5K의 글리콜 키토산, 분자량 4.5K의 프로타민(Protamine)을 자연살해세포와 혼합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분지된 폴리에테르아민은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민을 사용하였으며, 선행의 폴리에테르아민은 2차 아민을 사용하였다.
번호 화합물명 (Mw) 분자량 전하 아민의 구조
1 Branched PET (25K) 25,000 (+ + +) 1차, 2차 및 3차
2 Linear PEL (25K) 25,000 (+) 2차
3 Branched PET (10K) 10,000 (+) 1차, 2차 및 3차
4 Branched PET (1.8K) 1,800 (+) 1차, 2차 및 3차
5 Gamma-PGA 750,000 (-) -
6 Glycol Chitosan 5,000 (+) 1차 및 2차
7 Protamine 4,500 (+) 1차 및 2차
다음으로, 배양한 자연살해세포를 세척하고, 신선한 배양액에 재배치(resuspension)시켰다. 이후, 상기 자연살해세포와 삼중음성유방암세포주인 MDA_MB231을 E:T 비율 10:1으로 혼합하여 4시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양된 세포를 CFSE-7AAD 분석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의 세포사멸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도 2는 자연살해세포에 분지된 또는 선형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연살해세포 및 분자량 25K의 분지된 폴리에테르아미드를 배양하였을 경우가 비교군에 비해 삼중음성암세포의 세포사멸정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10K이상의, 분지된 형태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사용하였을 경우다 타 화합물과 비교하여,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킴을 의미한다.
실시예 3. 폴리에테르아미드의 농도별 암세포 사멸능 확인
폴리에테르아민의 농도별 자연살해세포 활성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자연살해세포에 분자량 25K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농도별(0 ㎍/㎖, 0.63 ㎍/㎖, 1.25 ㎍/㎖, 2.5 ㎍/㎖, 또는 5 ㎍/㎖)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한 자연살해세포를 세척하고, 신선한 배양액에 재배치(resuspension)시켰다. 이후, 상기 자연살해세포와 삼중음성유방암세포주인 MDA_MB231을 E:T 비율 10:1으로 혼합하여 4시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양된 세포를 CFSE-7AAD 분석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의 세포사멸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도 3은 유방암세포에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유방암세포에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3 및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폴리이틸렌이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사멸능은 상승하고, 5 ㎍/㎖의 농도에서 NK세포의 활성을 90%이상 유지하면서, 가장 높은 면역활성을 나타내며, 10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 사멸능이 현저하게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유방암세포의 비율별 세포 사멸능 확인
폴리에테르아민 및 암세포의 혼합 비율별 암세포 사멸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자연살해세포에 분자량 25K, 5㎍/㎖ 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처리한 자연살해세포를 삼중음성유방암 세포 MDA-MB231와 E:T 비율별(1.25:1, 2.5:1, 5:1 또는 10:1)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한 자연살해세포를 세척하고, 신선한 배양액에 재배치(resuspension)시켰다. 이후, 상기 자연살해세포와 삼중음성유방암세포주인 MDA_MB231을 E:T 비율 10:1으로 혼합하여 4시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양된 세포를 CFSE-7AAD 분석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의 세포사멸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도 5는 유방암 세포 및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 5 ㎍/㎖을 E:T 비율별로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의 세포 사멸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유방암 세포 및 25K 분자량의 폴리아틸렌아민 5 ㎍/㎖을 E:T 비율별로 배양한 결과, 유방암 세포의 세포 사멸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5 및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든 E:T 비율의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이 무처리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E:T 비율이 10:1인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5. 폴리에테르아미드의 양이온-의존성 분석
폴리에테르아민의 전하에 대한 자연살해세포 활성 유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나노입자에 음이온성을 띄는 hyalunic acid를 코팅하였다.
구체적으로 Zn/Fe 나노입자에 electric interaction에 의한 방법으로 양이온성 폴리에테르아미드를 먼저 결합시키고, 그 위에 음이온성 hyalunic acid를 양이온성 폴리에테르아미드와 결합시켰으며, 나노입자의 전하(zeta potential)을 측정하여, 음이온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배양한 자연살해세포를 세척하고, 신선한 배양액에 재배치(resuspension)시켰다. 이후, 상기 자연살해세포와 삼중음성유방암세포주인 MDA_MB231을 E:T 비율 10:1으로 혼합하여 4시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양된 세포를 CFSE-7AAD 분석법을 이용하여 표적세포의 세포사멸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도 7은 폴리에테르아미드의 양이온성을 저해하여 자연살해세포에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폴리에테르아미드의 양이온성을 저해하여 자연살해세포에 처리한 결과,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7 및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음이온성 코팅으로 양이온성을 감소시킨 경우,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능이 저해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에테르아민의 자연살해세포 활성화능이 양이온성에 의존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6. 폴리에테르아미드의 퍼포린 단백질 안정화 능력 분석
6.1 배양 시간별 안정화 능력 분석
폴리에테르아민이 세포 내 퍼포린 양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자연살해세포에 5 ㎍/㎖의 폴리에테르아미드를 처리하고, 시간별(0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또는 48시간)로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한 자연살해세포에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그랜자임 B 및 퍼포린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였다.
도 9는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시간별로 배양한 결과, 그랜자임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시간별로 배양한 결과,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시간별로 배양한 결과, 그랜자임 단백질 및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2는 폴리에테르아미드 5 ㎍/㎖ 및 자연살해세포를 4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그랜자임 및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배양된 자연살해세포는 그랜자임 B의 단백질 양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퍼포린 단백질 양은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9 내지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48시간 동안 배양한 경우, 48 시간 미만으로 배양한 세포와 비교하여 퍼포린 단백질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에테르아민이 퍼포린 단백질의 안정화를 유도하여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함을 의미한다.
6.2 세포내 퍼포린 양의 퍼포린 안정도 의존성 확인
상기 실시예 6.2의 세포 내 퍼포린 양 증가가, 세포 내 퍼포린 안정화 정도와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자연살해세포에 단백질 분해 저해제인 MG132를 처리하여 세포 내 단백질 분해를 막은 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한 자연살해세포에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그랜자임 B 및 퍼포린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폴리에테르아미드 및 자연살해세포에 MG132를 처리하여 배양한 결과 퍼포린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포내 단백질 분해를 막은 후, 퍼포린 단백질량을 분석한 결과, MG132 처리에 의해 퍼포린 단백질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에테르아민 처리가 단백질 안정도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양이 증가하므로, MG132 처리에 의해 퍼포린 단백질량이 추가적으로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자연살해세포 내 퍼포린 양은 단백질 안정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Claims (8)

  1.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면역 세포인 것인,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폴리에테르아미드(Polyetherimide: PEI)인 것인,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의 분자량은 10,000 mM 내지 30,000 mM 인 것인,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분지된 것인,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아미드의 함량은 1 ㎍/㎖ 내지 10 ㎍/㎖ 인 것인, 세포 내 퍼포린 단백질 증가용 조성물.
  7. 양이온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세포 활성 증진용 조성물.
  8. 양이온성 물질 및 면역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세포의 활성을 촉진하는 배양 방법.
KR1020200142534A 2020-10-29 2020-10-2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57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534A KR20220057359A (ko) 2020-10-29 2020-10-2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23526242A JP2023549078A (ja) 2020-10-29 2021-10-27 陽イオン性物質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18/250,876 US20230390326A1 (en) 2020-10-29 2021-10-27 Composition comprising cationic substance, and use for same
PCT/KR2021/015147 WO2022092784A1 (ko) 2020-10-29 2021-10-27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202180088281.9A CN117255853A (zh) 2020-10-29 2021-10-27 包括阳离子物质的组合物以及该组合物的用途
KR1020230078496A KR20230093226A (ko) 2020-10-29 2023-06-1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230102231A KR20230119094A (ko) 2020-10-29 2023-08-04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534A KR20220057359A (ko) 2020-10-29 2020-10-2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496A Division KR20230093226A (ko) 2020-10-29 2023-06-1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359A true KR20220057359A (ko) 2022-05-09

Family

ID=813828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534A KR20220057359A (ko) 2020-10-29 2020-10-2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230078496A KR20230093226A (ko) 2020-10-29 2023-06-1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230102231A KR20230119094A (ko) 2020-10-29 2023-08-04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496A KR20230093226A (ko) 2020-10-29 2023-06-19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230102231A KR20230119094A (ko) 2020-10-29 2023-08-04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90326A1 (ko)
JP (1) JP2023549078A (ko)
KR (3) KR20220057359A (ko)
CN (1) CN117255853A (ko)
WO (1) WO20220927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887A (ja) * 2001-11-07 2003-05-21 Gotoo Corporation:Kk Nk細胞活性化作用を有する製剤および飲食品
JP2007509040A (ja) * 2003-10-11 2007-04-12 イネ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先天性免疫及び抗体依存性細胞傷害を強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WO2010088927A1 (en) * 2009-02-09 2010-08-12 Curevac Gmbh Use of pei for the improvement of endosomal release and expression of transfected nucleic acids, complexed with cationic or polycation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094A (ko) 2023-08-16
CN117255853A (zh) 2023-12-19
US20230390326A1 (en) 2023-12-07
WO2022092784A1 (ko) 2022-05-05
JP2023549078A (ja) 2023-11-22
KR20230093226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Boosting natural killer cell-based cancer immunotherapy with selenocystine/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hibitor-encapsulated nanoemulsion
Müller et al. Both type I and type II interferons can activate antitumor M1 macrophages when combined with TLR stimulation
Kwok et al. Interleukin‐21 promotes osteoclastogenesis in human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in mice with collagen‐induced arthritis
Shakhov et al.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acute radiation syndrome in mice by synthetic lipopeptide agonists of Toll-like receptor 2 (TLR2)
Atsuta et al. Mesenchymal stem cells inhibit multiple myeloma cells via the Fas/Fas ligand pathway
AU2014342477B2 (en) Tumoricidal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Zhang et al. Type I interferon response in radiation-induced anti-tumor immunity
US20210060095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Xu et al. IL33 activates CD8+ T and NK cells through MyD88 pathway to suppress the lung cancer cell growth in mice
Shi et al. Carboxyamidotriazole combined with IDO1-Kyn-AhR pathway inhibitors profoundly enhances cancer immunotherapy
EP3525802A1 (en) Cancer stem cell exosomes
US20190175755A1 (en) Immunoswitch nanoparticles for reprogrammed t cell responses
Zhang et al. A Trojan‐Horse‐Like Biomimetic Nano‐NK to Elicit an Immunostimulatory Tumor Microenvironment for Enhanced GBM Chemo‐Immunotherapy
CN113876946A (zh) 一种pd-1抗体和绿脓杆菌的联合制药用途及药物组合物
Badr et al.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underlie the anti-tumor activities exerted by Walterinnesia aegyptia venom combined with silica nanoparticles against multiple myeloma cancer cell types
DeCicco et al. All‐trans‐retinoic acid and polyriboinosinic: polyribocytidylic acid in combination potentiate specific antibody production and cell‐mediated immunity
Aboalsoud et al. The effect of low-dose naltrexone on solid Ehrlich carcinoma in mice: The role of OGFr, BCL2, and immune response
KR20220057359A (ko) 양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5837037A (zh) 一种乳酸肠球菌在制备治疗黑色素瘤的药物中的应用
JP2021517908A (ja) トランスポーター阻害剤を含有する医薬品、医薬組成物及びその使用
WO2015194643A1 (ja) Pdgf依存性細胞増殖抑制剤、pdgf依存性細胞増殖の抑制方法、細胞分散抑制剤、細胞分散の抑制方法、テモゾロミド活性増強剤及び抗腫瘍剤
US20210060093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Gao et al. The combination of lps and melatonin induces m2 macrophage apoptosis to prevent lung cancer
Adithan et al. A gastric cancer cell derived extracellular compounds suppresses CD161+ CD3-lymphocytes and aggravates tumor formation in a syngeneic mouse model
WO2017159835A1 (ja) 形質細胞性腫瘍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