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134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134A
KR20220057134A KR1020200142052A KR20200142052A KR20220057134A KR 20220057134 A KR20220057134 A KR 20220057134A KR 1020200142052 A KR1020200142052 A KR 1020200142052A KR 20200142052 A KR20200142052 A KR 20200142052A KR 20220057134 A KR20220057134 A KR 2022005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onnector
user
chair
ba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097B1 (ko
Inventor
이영탁
윤대호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to KR102020014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0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등받이부의 전후각도 조절 시, 등받이부 프레임을 휘어지게 하여, 럼버가 사용자의 허리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사용자의 하중을 등받이부 전체가 지지할 수 있고,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켜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한 등판 포스트와, 상기 등판 포스트 중 상기 힌지보다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 슬라이더와,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및 상기 등판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등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부에 등을 기댄 채 상기 등판 포스트를 뒤로 젖히면, 상기 등판 슬라이더가 아래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상기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휘어져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을 상기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는, 사용자가 등받이부에 등을 기대어 틸팅(Tilting; 등받이부의 전후각도 조절) 시, 등받이부 형상이 변하지 않고 그대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상기 틸팅 작동을 할 때, 럼버(등받이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구성)에 허리를 붙인 채 기대더라도, 다리와 엉덩이의 각도는 그대로 멈춰있고 등만 움직이게 된다.
이 때, 허리가 상기 럼버에서 떨어져 간격이 생기게 되고, 이 때문에 대부분의 의자들은 상기 틸팅하여 뒤로 기울였을 때 허리를 잡아주지 못하고, 등의 일부만 등받이부에 닿게 되어 상기 등이 닿는 부분에만 압력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등받이부의 전후각도 조절 시, 등받이부 프레임을 휘어지게 하여, 럼버가 사용자의 허리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사용자의 하중을 등받이부 전체가 지지할 수 있고,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켜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등받이부가 뒤로 젖혀질 때 상기 럼버가 하측으로 힘을 작용하게 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밀어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몸을 좌우로 움직였을 때 등받이부도 함께 움직이도록 하여서, 등판과 사용자의 몸이 떨어지지 않고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등받이부 프레임, 등판 포스트, 등판 슬라이더 및 등판 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등받이부를 지지한다. 상기 등판 포스트에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등판 포스트는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등판 슬라이더는 상기 등판 포스트 중 상기 힌지보다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및 상기 등판 슬라이더를 연결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부에 등을 기댄 채 상기 등판 포스트를 뒤로 젖히면, 상기 등판 슬라이더가 아래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상기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휘어져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부에 등을 기댄 채 상기 등판 포스트를 뒤로 젖히면,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을 상기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연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 슬라이더의 전면에는 커넥터 삽입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에는 전면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 커넥터는 커넥터 링, 리어 커넥터 및 프론트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링에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넥터의 후단부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부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링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는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부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후면에는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 슬라이더에는 상기 삽입공간의 중심으로 통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중심에는 전후로 통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넥터의 중심에는 전후로 통하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홀은 후단부가 전단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는 암체결부재 및 수체결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체결부재는 제1 머리부 및 암스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머리부는 상기 등판 슬라이더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암스템부는 상기 제1 머리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스템부는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체결홀의 후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체결부재는 제2 머리부 및 수스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머리부는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수스템부는 상기 제2 머리부의 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스템부는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체결홀로 삽입되어 상기 암스템부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전면 중심에는 상기 제2 머리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2 머리부 커버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링의 전단 외주면에는 제2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링의 전단 내주면에는 제3 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후단 외주면에는 제3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플랜지는 상기 제3 플랜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넥터에는 제4 체결홀이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체결홀에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등받이 플레이트 및 럼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에는 상기 등판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럼버는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의 하단부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럼버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럼버의 좌우방향 중앙 하단에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에는 전후로 통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틸팅(등받이부의 전후각도 조절) 시 허리지지부가 전진하여 허리와의 사이 빈 공간을 채워주며, 몸 전체가 등받이부에 닿아서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국부적인 압박을 하지 않으므로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틸팅 시 등판 커넥터가 등받이부 프레임을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등받이부의 좌우가 사용자의 등에 항상 붙어있을 수 있고, 업무 중이나 의자에서 몸을 움직일 때 등받이부와 함께 몸이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착좌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틸팅 시 등받이 플레이트의 휘는 각도에 의해 럼버가 아래쪽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요추를 밀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틸팅 시에 등받이부가 자연스럽게 내려가며 등과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등받이부와의 마찰로 옷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내는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주요 구성을 분해한 도면,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등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등받이부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등판 포스트의 상단부와, 등판 슬라이더 및 등판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등판 슬라이더 및 등판 커넥터에 의해 등받이부 프레임이 등판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와 등판 포스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등판 포스트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사용자가 등받이부에 등을 기댄 채 등판 포스트를 뒤로 젖힐 때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내는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1)는, 의자본체(100)와, 조절장치(200)와, 다리부(300)와, 등판 포스트(400)와, 팔걸이부(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자본체(100)는 좌석부(110), 등받이부(120) 및 머리받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부(110), 등받이부(120) 및 머리받침부(13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석부(110)는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좌석부(11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일 수 있다. 좌석부(11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사용자의 양다리 각각의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다.
좌석부(110)의 상면 중,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인 후방부는 하측으로 약간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양쪽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인 전방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에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상하로 연장되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연장될 수 있다. 등받이부(120)의 하단부는 등판 포스트(400)에 힌지(H, 도 11 참조) 결합될 수 있다. 힌지(H)는 좌우로 긴 수평축을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좌석부(110)와 분리된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받침부(130)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머리받침부(130)는 등받이부(120)의 상단부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머리받침부(130)는 등받이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머리받침부(130)는 하단부가 등받이부(120)의 상단부 전면에 좌우로 긴 수평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좌석부(110)는 좌석 쿠션(111) 및 좌석 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쿠션(111)은 좌석 플레이트(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좌석 쿠션(111)은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좌석 플레이트(112)는 좌석 쿠션(111)보다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좌석 쿠션(111)을 지지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등받이 쿠션(121) 및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쿠션(121)은 등받이부 프레임(1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등받이 쿠션(121)은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등받이부 프레임(122)은 등받이 쿠션(121)보다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등받이 쿠션(121)을 지지할 수 있다.
등받이부 프레임(122)은 등받이 플레이트(123) 및 럼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플레이트(123)는 상기 사용자의 등 및 허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후면에는 후술할 등판 커넥터(700, 도 3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았을 때,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하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럼버(124)는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하단부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머리받침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머리받침부(130)는 머리받침 쿠션(131) 및 머리받침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받침 쿠션(131)은 머리받침 플레이트(13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머리받침 쿠션(131)은 쿠션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머리받침 플레이트(132)는 머리받침 쿠션(131)보다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머리받침 쿠션(131)을 지지할 수 있다.
좌석 쿠션(111), 등받이 쿠션(121) 및 머리받침 쿠션(131)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좌석 플레이트(112), 등받이부 프레임(122) 및 머리받침 플레이트(132)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좌석 플레이트(112) 및 머리받침 플레이트(132)는 약간 유연하게 형성되어 의자(1)에 앉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약간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등받이 플레이트(123)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등받이부(12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서, 의자(1)에 앉는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절장치(200)는 좌석부(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장치(200)는 좌석부(110)의 좌석 플레이트(112)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장치(200)는 의자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판 포스트(400)의 전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의해 조작되는 두 개의 레버(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레버(210, 220) 중, 제1 레버(210)는 조절장치(200)의 우측에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의자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레버일 수 있고, 제2 레버(220)는 조절장치(200)의 좌측에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등판 포스트(400)의 전후각도를 조절하는 레버일 수 있다.
다리부(300)의 중심에는 의자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실린더장치(35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50)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350)는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다리부(300)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다리부(300)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은 조절장치(20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자본체(100)에 앉은 채로 제1 레버(210)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인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자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조절장치(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리부(300)는 조절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리부(300)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다리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다리본체(310)는 5개로 형성되나, 3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가능하다. 복수개의 다리본체(310) 각각의 끝단에는 바퀴(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는 등받이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상부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등판 포스트(400)의 하부는 등판 포스트(400)의 상부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상단은 등받이부(120)의 상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상단은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상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좌우폭은 등받이부(120)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좌우폭은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상부는 등받이부(120)의 후면 중 등받이부(120)의 좌우방향 중심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상부는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후면 중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좌우방향 중심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팔걸이부(510, 520)는 사용자의 좌우 팔을 지지할 수 있다. 팔걸이부(510, 520)는, 사용자의 좌측 팔을 지지하는 좌측 팔걸이부(510)와, 사용자의 우측 팔을 지지하는 우측 팔걸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팔걸이부(510) 및 우측 팔걸이부(52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팔걸이부(510)는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 및 좌측 팔걸이(5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의 상부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의 하부는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의 상부 하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의 하부 끝단은 등판 포스트(400)의 하부 끝단부 좌측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팔걸이(512)는 사용자의 좌측 팔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좌측 팔걸이(512)의 가장 상부 구성인 좌측 패드는 사용자의 좌측 팔과 접촉될 수 있다. 좌측 팔걸이(512)는 상기 좌측 패드의 하측에 좌측 로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로드는,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측 팔걸이 포스트(511) 내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됨으로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패드는 상기 좌측 로드에 대해 전후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의 상부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의 하부는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의 상부 하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어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의 하부 끝단은 등판 포스트(400)의 하부 끝단부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팔걸이(522)는 사용자의 우측 팔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우측 팔걸이(522)의 가장 상부 구성인 우측 패드는 사용자의 우측 팔과 접촉될 수 있다. 우측 팔걸이(522)는 상기 우측 패드의 하측에 우측 로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측 로드는,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우측 팔걸이 포스트(521) 내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됨으로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패드는 상기 우측 로드에 대해 전후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주요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등판 포스트(400)의 하단부는 좌우방향으로 긴 수평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등판 포스트(400)는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어서 틸팅(전후각도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즉, 조절장치(2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틸팅 브릿지(250)를 포함할 수 있고, 등판 포스트(400)의 하단부는 틸팅 브릿지(250)의 후단부에 수평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틸팅 브릿지(250)의 전단부는 조절장치(200)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 브릿지(250)의 후단부에는 등판 포스트(400)의 하단부가 좌우방향으로 긴 수평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은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의자(1)에 앉아 등받이부(120)에 등을 기댄 채로 등판 포스트(400)를 뒤로 젖히면, 등받이부 프레임(122)은 등받이부(120)가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등받이부 프레임(122)의 하단부는 등판 포스트(400)에 힌지(H, 도 11 참조) 결합될 수 있고, 등받이부 프레임(122)의 상단부는 등판 포스트(400)의 상단부에 등판 슬라이더(600) 및 등판 커넥터(7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등판 슬라이더(600)는 등판 포스트(400) 중 힌지(H)보다 상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등판 커넥터(700)는 등판 슬라이더(600) 및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등받이부(120)에 등을 기댄 채로 등판 포스트(400)를 뒤로 젖히면, 등판 슬라이더(600)는 아래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등받이부 프레임(122)은 힌지(H)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휘어져 등받이부(120)의 상하부가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등판 커넥터(700)는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등받이부(120)의 좌우가 사용자의 등과 허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등받이부(120)를 틸팅 시, 등판 커넥터(700)가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판 커넥터(70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연질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등받이부(120)를 틸팅 시, 등판 커넥터(700)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등받이부(120)를 틸팅 작동시킬 때 작용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하고, 아래에서는 등받이부 프레임(122), 등판 슬라이더(600) 및 등판 커넥터(700)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등받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등받이부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등받이부 프레임(122)은 등받이 플레이트(123) 및 럼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전면에는 등받이 쿠션(121)이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후면에는 앞서 설명한 등판 커넥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등판 플레이트(123)의 외부에는 섬유재의 커버가 씌워져, 등판 플레이트(123)는 상기 섬유재의 커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럼버(124)는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하단부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럼버(124)의 전면에는 결합판(125)이 결합될 수 있고, 결합판(125)은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하단부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섬유재의 커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럼버(124)는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하단부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럼버(124)의 좌우방향 중앙 하단에는 힌지(H, 도 11 참조)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1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27)는 탄성체로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등받이부(120)를 틸팅 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등받이 플레이트(123)는 탄성체로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등받이부(120)를 틸팅 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등받이 플레이트(123)에는 전후로 통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복수개의 슬릿(126)이 형성되어서, 등받이 플레이트(123)는 사용자의 등 및 허리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등판 포스트의 상단부와, 등판 슬라이더 및 등판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등판 슬라이더 및 등판 커넥터에 의해 등받이부 프레임이 등판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등판 슬라이더(600)는 등판 포스트(400)의 상단부 전면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상단부 전면에는 등판 슬라이더(600)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410)의 상하길이는 등판 슬라이더(60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등판 슬라이더(600)의 상단이 삽입홈(410) 내의 상측에 접촉될 때까지와, 등판 슬라이더(600)의 하단이 삽입홈(410) 내의 하측에 접촉될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등판 슬라이더(600)는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등판 슬라이더(600)는 상하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등판 슬라이더(600)의 후면에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테두리는 좌우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삽입홈(410) 내에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결합홈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홈부(415)의 상하 길이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상단이 슬라이드 결합홈부(415) 내의 상측에 접촉될 때까지와,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하단이 슬라이드 결합홈부(415) 내의 하측에 접촉될 때가지의, 범위 내에서 등판 슬라이더(600)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좌우양측 각각에는 슬라이드 돌기(616, 617)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616, 617)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슬라이드 돌기(616)와,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슬라이드 돌기(6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616)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좌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슬라이드 돌기(616)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좌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돌기(617)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우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슬라이드 돌기(617)는 슬라이드 결합돌기부(615)의 우측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홈부(415) 내의 좌우양측 각각에는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어서, 슬라이드 돌기(616, 617)가 상기 슬라이드 홈 또는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판 슬라이더(600)의 전면에는 커넥터 삽입부(6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삽입부(620)에는 전면이 개구된 삽입공간(6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삽입부(620)는 전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삽입부(620)의 종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커넥터 삽입부(620)의 종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등판 슬라이더(600)에는 삽입공간(621)의 중심으로 통하는 제1 체결홀(622)이 형성될 수 있다.
등판 커넥터(700)는 커넥터 링(710), 리어 커넥터(720) 및 프론트 커넥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링(710), 리어 커넥터(720) 및 프론트 커넥터(730)는 커넥터 삽입부(6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 링(710), 리어 커넥터(720) 및 프론트 커넥터(730) 각각의 종단면 형상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링(710)에는 커넥터 삽입부(620)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711)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넥터(720)의 후단부는 커넥터 삽입부(620)의 삽입공간(6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리어 커넥터(720)의 전단부는 커넥터 삽입부(6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넥터 링(710)의 관통홀(7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는 커넥터 링(710)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는 리어 커넥터(720)의 전단부와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의 후면에는 리어 커넥터(720)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731)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의 중심에는 전후로 통하는 제2 체결홀(732)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넥터(720)의 중심에는 전후로 통하는 제3 체결홀(7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홀(722)은 후단부(722A)가 전단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링(710), 리어 커넥터(720), 프론트 커넥터(730) 및 등판 슬라이더(600)는 암체결부재(740) 및 수체결부재(75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즉, 등판 커넥터(700)는 암체결부재(740) 및 수체결부재(750)를 통해 등판 슬라이더(600)에 체결될 수 있다.
암체결부재(740)는 제1 머리부(741) 및 암스템부(742)를 가질 수 있다. 제1 머리부(741)는 등판 슬라이더(60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암스템부(742)는 제1 머리부(74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암스템부(742)는 제1 체결홀(622)을 관통하여 제3 체결홀(722)의 후단부(722A)에 삽입될 수 있다.
수체결부재(750)는 제2 머리부(751) 및 수스템부(752)를 가질 수 있다. 제2 머리부(751)는 프론트 커넥터(730)의 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수스템부(752)는 제2 머리부(751)의 후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스템부(752)는 제2 체결홀(732)을 관통하여 제3 체결홀(722)로 삽입되어 암스템부(742)와 체결될 수 있다.
암스템부(74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수스템부(752)의 외주면에는 암스템부(74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산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암스템부(742) 및 수스템부(752)는 제3 체결홀(722)의 후단부(722A) 내에서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의 전면 중심에는 제2 머리부(751)의 둘레를 감싸는 제2 머리부 커버(7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732)은 제2 머리부 커버(733)의 내부공간 중심에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머리부 커버(733)의 내주면은 후방으로 오목한 제1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머리부(751)의 후면은 제1 곡면과 매칭되게 후방으로 볼록한 제2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넥터(720)의 전단 외주면에는 프론트 커넥터(733)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홈(731)에 삽입되는 제1 플랜지(725)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링(710)의 전단 외주면에는 제2 플랜지(715)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링(710)의 전단 내주면에는 제3 플랜지 삽입홈(716, 도 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의 후단 외주면에는 제3 플랜지(735)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랜지(735)는 제3 플랜지 삽입홈(716)에 삽입될 수 있다.
프론트 커넥터(730)에는 제4 체결홀(737)이 전후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체결홀(737)에는 등받이부 프레임(122)의 등받이 플레이트(123)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예를 들면 볼트, 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다. 리어 커넥터(720)의 전면에는 체결홈(727)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727)에는 제4 체결홀(737)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즉, 등판 커넥터(700)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등받이부 프레임(122)의 등받이 플레이트(123)에 체결될 수 있다.
제4 체결홀(737)은 제2 머리부 커버(733)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체결홀(737) 및 체결홈(72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4 체결홀(737) 및 체결홀(727) 각각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와 등판 포스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등판 포스트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럼버(124)의 하단에는 등판 포스트(400)에 힌지(H)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1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27)는 둘로 분지되어,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힌지 결합부(127A)와,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힌지 결합부(127B)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힌지 결합부(127A)의 하단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 각각에는 좌우로 통하는 제1 힌지홀(128A)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힌지 결합부(127B)의 하단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 각각에는 좌우로 통하는 제2 힌지홀(129A)이 형성될 수 있다.
등판 포스트(400)의 전면에는,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가 삽입되는 제1 힌지홈(420)과,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가 삽입되는 제2 힌지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홈(420) 및 제2 힌지홈(430)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힌지홈(420) 내에는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 사이로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돌기(421)의 좌우측면에는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에 각각 형성된 제1 힌지홀(128A)로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홈(430) 내에는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 사이로 삽입되는 제2 삽입돌기(4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돌기(431)의 좌우측면에는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에 각각 형성된 제2 힌지홀(129A)로 삽입되어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4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힌지돌기(128)와, 한 쌍의 제2 힌지돌기(129)와, 제1 삽입돌기(421)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422)와, 제2 삽입돌기(431)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432)는, 힌지(H) 결합되는 실질적인 구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사용자가 등받이부에 등을 기댄 채 등판 포스트를 뒤로 젖힐 때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등받이부(120)에 등을 기댄 채 등판 포스트(400)를 뒤로 젖히면, 등판 슬라이더(600)가 아래로 슬라이드 되어, 등받이부 프레임(122)은 힌지(H)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휘어져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부(12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도 등받이부(12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등받이부(120)에 등을 기댄 채 등판 포스트(400)를 뒤로 젖히면, 등판 커넥터(700)는 등판 커넥터(70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상기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등받이부(120)의 좌우가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1)는, 틸팅(등받이부의 전후각도 조절) 시 허리지지부인 등받이부(120)의 하부가 전진하여 허리와의 사이 빈 공간을 채워주며, 몸 전체가 등받이부(120)에 닿아서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국부적인 압박을 하지 않으므로 착좌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1)는, 틸팅 시 등판 커넥터(700)가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등받이부(120)의 좌우가 사용자의 등에 항상 붙어있을 수 있고, 업무 중이나 의자에서 몸을 움직일 때 등받이부(120)와 함께 몸이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착좌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1)는, 틸팅 시 등받이 플레이트(123)의 휘는 각도에 의해 럼버(124)가 아래쪽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요추를 밀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자(1)는, 틸팅 시에 등받이부(120)가 자연스럽게 내려가며 등과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등받이부(120)와의 마찰로 옷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0 : 등받이부 122 : 등받이부 프레임
123 : 등받이 플레이트 124 : 럼버
126 : 슬릿 127 : 힌지 결합부
400 : 등판 포스트 600 : 등판 슬라이더
620 : 커넥터 삽입부 621 : 삽입공간
622 : 제1 체결홀 700 : 등판 커넥터
710 : 커넥터 링 711 : 관통홀
715 : 제2 플랜지 716 : 제3 플랜지 삽입홈
720 : 리어 커넥터 722 : 제3 체결홀
725 : 제1 플랜지 727 : 체결홈
730 : 프론트 커넥터 731 : 삽입홈
732 : 제2 체결홀 733 : 제2 머리부 커버
735 : 제3 플랜지 737 : 제4 체결홀
740 : 암체결부재 741 : 제1 머리부
742 : 암스템부 750 : 수체결부재
751 : 제2 머리부 752 : 수스템부
H : 힌지

Claims (11)

  1.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프레임;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를 회전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한 등판 포스트;
    상기 등판 포스트 중 상기 힌지보다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 슬라이더; 및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 및 상기 등판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등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부에 등을 기댄 채 상기 등판 포스트를 뒤로 젖히면, 상기 등판 슬라이더가 아래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상기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휘어져 상부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하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을 상기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연질 소재로 형성되는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판 슬라이더의 전면에는 전면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커넥터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등판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 커넥터 링;
    상기 삽입공간으로 후단부가 삽입되고, 전단부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는 리어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링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부와 체결되는 프론트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후면에는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의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등판 슬라이더에는 상기 삽입공간의 중심으로 통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중심에는 전후로 통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커넥터의 중심에는 전후로 통하는 제3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체결홀은 후단부가 전단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등판 슬라이더의 후면에 접촉되는 제1 머리부와, 상기 제1 머리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체결홀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암스템부를 가지는 암체결부재; 및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전면에 접촉되는 제2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체결홀로 삽입되어 상기 암스템부와 체결되는 수스템부를 가지는 수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전면 중심에는 상기 제2 머리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2 머리부 커버가 돌출 형성되는 의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단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링의 전단 외주면에는 제2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링의 전단 내주면에는 제3 플랜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넥터의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제3 플랜지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3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의자.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넥터에는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제4 체결홀이 전후로 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커넥터의 전면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의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상기 등판 커넥터가 결합되는 등받이 플레이트; 및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의 하단부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 하중을 지지하는 럼버;를 포함하고,
    상기 럼버의 좌우방향 중앙 하단에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의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의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플레이트에는 전후로 통하고 좌우방향으로 긴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의자.
KR1020200142052A 2020-10-29 2020-10-29 의자 KR102468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052A KR102468097B1 (ko) 2020-10-29 2020-10-29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052A KR102468097B1 (ko) 2020-10-29 2020-10-29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34A true KR20220057134A (ko) 2022-05-09
KR102468097B1 KR102468097B1 (ko) 2022-11-22

Family

ID=8158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052A KR102468097B1 (ko) 2020-10-29 2020-10-29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6995A1 (ko) * 2022-03-17 2023-09-21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009Y1 (ko) * 2003-07-30 2003-12-12 주식회사 일룸 의자 등판의 조절장치
JP2006168658A (ja) * 2004-12-20 2006-06-29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100903215B1 (ko) * 2008-10-10 2009-06-18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가능 의자
JP2009165659A (ja) * 2008-01-16 2009-07-30 Kokuyo Co Ltd 椅子
KR101603998B1 (ko) * 2015-10-13 2016-03-16 성용기업 주식회사 요추의 지지위치가 가변되는 의자
KR102071448B1 (ko) * 2019-05-16 2020-01-30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등받이의 이중구조 틸팅장치
KR102088189B1 (ko) * 2019-10-22 2020-03-12 성용기업 주식회사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009Y1 (ko) * 2003-07-30 2003-12-12 주식회사 일룸 의자 등판의 조절장치
JP2006168658A (ja) * 2004-12-20 2006-06-29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09165659A (ja) * 2008-01-16 2009-07-30 Kokuyo Co Ltd 椅子
KR100903215B1 (ko) * 2008-10-10 2009-06-18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가능 의자
KR101603998B1 (ko) * 2015-10-13 2016-03-16 성용기업 주식회사 요추의 지지위치가 가변되는 의자
KR102071448B1 (ko) * 2019-05-16 2020-01-30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등받이의 이중구조 틸팅장치
KR102088189B1 (ko) * 2019-10-22 2020-03-12 성용기업 주식회사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6995A1 (ko) * 2022-03-17 2023-09-21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097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426A (en) Office chair
US9538849B2 (en) Chair back with lumbar and pelvic supports
US8251448B2 (en) Dynamic chair back lumbar support system
US6439661B1 (en) Chair mechanism
EP0722283B1 (en) Split back chair
US6923503B2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US5318345A (en) Tilt back chair and control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NZ524338A (en) Seat for a reclining office chair with depth adjustment and transverse folding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US7484803B2 (en) Chair, especially and office or work chair
JP2018519102A (ja) 背部支持体
KR20220057134A (ko) 의자
EP3854264A1 (en) Armchair
US5040846A (en) Rocker chair
KR102399313B1 (ko) 의자
WO2001076418A1 (en) Chair
KR200422115Y1 (ko) 수평회동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JP6777281B2 (ja) 椅子
KR200432389Y1 (ko) 의자용 좌판의 완충구조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JP5935320B2 (ja) 椅子
KR100202065B1 (ko) 의자
KR200254271Y1 (ko) 사무실용 의자
JPH06133828A (ja) 椅子における着座者の背もたれによる支持方法とこの支持方法を用いた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