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002A -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002A
KR20220057002A KR1020200141747A KR20200141747A KR20220057002A KR 20220057002 A KR20220057002 A KR 20220057002A KR 1020200141747 A KR1020200141747 A KR 1020200141747A KR 20200141747 A KR20200141747 A KR 20200141747A KR 20220057002 A KR20220057002 A KR 2022005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
toilet
sand
main body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208B1 (ko
Inventor
석동욱
Original Assignee
석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동욱 filed Critical 석동욱
Priority to KR102020014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2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의 용변(用便)을 처리하는 화장실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5)를 지닌 박스형 구조이고, 내부에 각각 구획되도록 공간부(11)(13)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상의 공간부(11)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고양이모래(21)가 쌓여 용변 보도록 배설통(25)을 구비하는 용변실(20); 및 상기 본체(10) 상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환풍기(43)를 구비하는 환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용변실(20)의 타측에 위치한 공간부(13) 상에 비치하고, 고양이가 모래를 털어내는 습성을 통해 바깥으로 나올 때 발에서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홀(35)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는 털이판(33)을 지닌 모래 털이실(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화장실을 콤팩트한 구조를 기반으로 서랍식의 배설통에 의해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배설통을 손쉽게 교체 가능하여 쾌적성과 청결성을 유지하고, 용변 후 변을 바로 치우지 않아도 환풍기에 의해 냄새를 즉시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실내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 동시에 변이 빨리 굳어 고양이 몸에 묻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Ventilated cat toilet}
본 발명은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화장실을 콤팩트한 구조를 기반으로 서랍식의 배설통에 의해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배설통을 손쉽게 교체 가능하여 쾌적성과 청결성을 유지하고, 용변 후 변을 바로 치우지 않아도 환풍기에 의해 냄새를 즉시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실내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 동시에 변이 빨리 굳어 고양이 몸에 묻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의 가속화 및 개인화된 생활양식 등 사회현상의 변화로 인해 고양이나 개 등의 애완동물을 인간생활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애완동물을 가정에서 기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은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해 반려동물이라 불리고 있으며, 아파트나 빌라 등 사람들의 주거 공간 내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
특히, 고양이는 적절한 훈련을 통해 고양이 화장실 등을 비롯하여 일정 장소에서 배변하는 습관을 배울 수 있는 영리한 애완동물에 해당하는데, 고양이를 실내에서 기르는 데에는 배변 문제로 골치를 앓는 경우가 많으므로 배변 처리가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 대한 배변 처리에 있어서는 모래나 펠릿이 구비된 고양이 화장실을 일정 장소에 비치하여 배변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화장실이 실내에 비치될 수밖에 없는 환경 때문에 고양이의 배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병균 발생 등으로 실내 환경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까지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하며, 심지어는 질병에 걸리기도 하므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972호(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228호(선행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098호(선행문헌 3)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변기시트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와 연결되어 5~30ㅀ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하측으로 경사 형성되고,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광하협의 원추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경사면; 상기 내측경사면의 하단에 관통 형성되고, 양변기의 하부인 배출부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어 고양이의 배설물이 원활하게 상기 양변기의 내부로 떨어질 수 있게 하는 70~150mm의 크기를 갖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하면, 고양이가 배변 후 모래를 직접 밟지 않도록 함에 따라 고양이의 습성 상 자신의 용변을 덮어주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양이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2는 모래용 변기와 그 주변을 함께 덮어서 사용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회동외측판, 회동내측판, 앞판, 뒷판, 상판, 지면과 마주보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단개구부 및 애완 동물이 출입가능한 출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화장실 커버의 회동외측판과 회동내측판의 무게를 달리하여, 무게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회동내측판의 하단을 기준으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회동 개폐되고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에 의하면, 고양이는 배치된 모래 상에 직접 배설이 이루어지므로, 위생이나 냄새 등의 이유로 모래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있어 불편이 있었고, 고양이가 나와서 털을 털어서 모래가 실내에 흩어져 잦은 실내 청소의 불편한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3은 바닥면에 모래통이 구비되는 케이지; 케이지를 상하로 구획하고, 통행구가 형성되는 모래털이판; 케이지의 하층에 형성되는 입구; 입구에 설치되어 고양이가 입구를 통해 케이지의 외부로부터 케이지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하도록 하는 단방향 진입부; 및 케이지의 상층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고양이 화장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3에 의하면, 출구가 상부에 구비되어, 고양이가 화장실을 경사로를 오르거나 위로 점프해야한다. 이때 위로 오르는 고양이는 발바닥을 오므리게 되어 발바닥 사이에 묻은 모래가 제거되지 않았고, 고양이의 몸통 부분인 털에 묻은 모래를 제거할 수 없어 고양이가 화장실 외부에서 몸을 털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이 사막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972호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등록일자: 2012. 03. 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228호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등록일자: 2013. 07. 2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4098호 "고양이 화장실"(공개일자: 2015. 11. 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화장실을 콤팩트한 구조를 기반으로 서랍식의 배설통에 의해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배설통을 손쉽게 교체 가능하여 쾌적성과 청결성을 유지하고, 용변 후 변을 바로 치우지 않아도 환풍기에 의해 냄새를 즉시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실내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 동시에 변이 빨리 굳어 고양이 몸에 묻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양이의 용변(用便)을 처리하는 화장실에 있어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지닌 박스형 구조이고, 내부에 각각 구획되도록 공간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의 공간부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고양이모래가 쌓여 용변 보도록 배설통을 구비하는 용변실; 및 상기 본체 상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환풍기를 구비하는 환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도어는 외주면 상에 고양이가 손쉽게 출입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문이 개재되는 자연 개폐형의 출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변실의 배설통은 본체의 공간부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재되고, 청소와 고양이모래를 교환하기 위해 여닫기가 편리하도록 손잡이를 지닌 서랍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환기수단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 처리하도록 전원스위치를 지닌 환풍기, 상기 환풍기에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의 연결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는 용변실의 타측에 위치한 공간부 상에 비치하고, 고양이가 모래를 털어내는 습성을 통해 바깥으로 나올 때 발에서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홀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는 털이판을 지닌 모래 털이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은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화장실을 콤팩트한 구조를 기반으로 서랍식의 배설통에 의해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배설통을 손쉽게 교체 가능하여 쾌적성과 청결성을 유지하고, 용변 후 변을 바로 치우지 않아도 환풍기에 의해 냄새를 즉시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실내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 동시에 변이 빨리 굳어 고양이 몸에 묻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의 실시 제품을 나타내는 사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양이의 용변(用便)을 처리하는 화장실에 관하여 제안한다. 특히,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구조를 기반으로 서랍식의 배설통에 의해 청소가 용이하여 쾌적성과 청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환풍기에 의해 냄새를 즉시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악취가 전혀 나지 않아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에 관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5)를 지닌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는 내부에 각각 구획되도록 공간부(11)(13)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8처럼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5)를 지니면서 내부에 각각 구획된 넉넉한 내부 공간부(11)(13)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을 이용하여 불투명, 반투명, 투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하거나 철재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본체(10)는 넉넉한 내부공간을 지닌 프라이빗(private) 공간을 채택함과 함께 고양이 본능을 지켜주기 위한 박스형 구조로 이루어져 고양이가 안심하게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도어(15)는 외주면 상에 고양이가 손쉽게 출입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문(18)이 개재되는 자연 개폐형의 출입구(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도 3 및 도 4처럼 도어(15)에 의해 출입이 가능하면서도 또 다른 출입구(17)를 통해 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출입구(17)는 도어(15)의 외주면 상에 자연 개폐형의 회동문(18)이 설치되어 고양이가 손쉽게 출입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다. 이는 고양이가 본체(10)의 도어(15) 뿐만 아니라, 출입구(17)의 회동문(18)을 통하여 손쉽게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상의 공간부(11)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용변실(20)은 내부에 고양이모래(21)가 쌓여 용변 보도록 배설통(25)을 구비한다. 용변실(20)은 도 1 내지 도 8처럼 본체(10)의 공간부(11)에 비치되도록 설치되어 고양이가 편히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용변실(20)은 내부에 고양이모래(21)가 쌓인 배설통(25)을 통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손쉽게 모래의 교환과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용변실(20)의 배설통(23)은 본체(10)의 공간부(1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재되고, 청소와 고양이모래(21)를 교환하기 위해 여닫기가 편리하도록 손잡이(27)를 지닌 서랍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변실(20)의 배설통(23)은 도 2처럼 청소와 모래 교환이 간편하도록 서랍식구조를 채택하여 본체(10)의 공간부(1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배설통(23)은 일면에 손잡이(27)가 개재되어 본체(10)로부터 여닫기가 편리하다. 이로 인해 배설통(23)은 필요시 손잡이(27)를 통해 가볍게 당겨서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는 물론 모래 교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 상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환기수단(40)은 외부로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환풍기(43)를 구비한다. 환기수단(40)은 본 발명의 핵심 구조로서 고양이가 배설통(23)에 용변을 볼 경우 용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환기수단(40)은 도 1 및 도 2처럼 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서 환기수단(40)에 의해 용변 후 변을 바로 치우지 않아도 냄새를 즉시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실내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 동시에 변이 빨리 굳게 되어 고양이 몸에 묻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른 상세한 구조 및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환기수단(40)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 처리하도록 전원스위치를 지닌 환풍기(43), 상기 환풍기(43)에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의 연결호스(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기수단(40)은 도 1 및 도 2처럼 냄새를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환풍기(43), 연결호스(45)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환풍기(43)는 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환풍기(43)는 전원스위치를 통해 작동하며 용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 처리한다. 연결호스(45)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를 연장 가능하고, 환풍기(43)와 마찬가지로 환풍기(43)로부터 일체로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면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외에도,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 상에 고양이의 출입을 감지 또는 용변 냄새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이러한 감지센서는 도어(15) 또는 출입구(17)에 설치하여 고양이의 출입을 감지하여 환기수단(40)의 환풍기(43)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여부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환기수단(40)의 환풍기(43) 상에 고양이털의 유입으로 인해 고장 등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거름망을 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용변실(20)의 타측에 위치한 공간부(13) 상에 비치하고, 고양이가 모래를 털어내는 습성을 통해 바깥으로 나올 때 발에서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홀(35)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는 털이판(33)을 지닌 모래 털이실(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는 도 7 및 도 8처럼 용변실(20)의 타측에 위치한 공간부(13) 상에 용변 후 고양이발에 묻은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도록 모래 털이실(30)을 비치한다. 모래 털이실(30)은 도 7 및 도 8처럼 본체(10)의 공간부(13) 상에 다수의 홀(35)이 개재된 털이판(33)을 비치하여 고양이가 모래를 털어내는 습성을 통해 바깥으로 나올 때 발에서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모래 털이실(30)은 용변실(20)의 타측에 위치하여 필히 용변 후 본체(10)로부터 나올 때 털이판(33)의 홀(35)을 거쳐 나오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고양이발에 묻은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게 되어 고양이 발과 집안 모두 청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양이의 배설 습관을 고려한 화장실을 콤팩트한 구조를 기반으로 서랍식의 배설통에 의해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배설통을 손쉽게 교체 가능하여 쾌적성과 청결성을 유지하고, 용변 후 변을 바로 치우지 않아도 환풍기에 의해 냄새를 즉시 효율적인 외부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여 실내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 동시에 변이 빨리 굳어 고양이 몸에 묻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사용과 관리의 편리성과 청결의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13: 공간부
15: 도어 17: 출입구
18: 회동문 20: 용변실
21: 고양이모래 25: 배설통
27: 손잡이 30: 모래 털이실
33: 털이판 35: 홀
40: 환기수단 43: 환풍기
45: 연결호스

Claims (5)

  1. 고양이의 용변(用便)을 처리하는 화장실에 있어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5)를 지닌 박스형 구조이고, 내부에 각각 구획되도록 공간부(11)(13)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상의 공간부(11)에 개재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고양이모래(21)가 쌓여 용변 보도록 배설통(25)을 구비하는 용변실(20); 및
    상기 본체(10) 상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부로 배출 및 환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환풍기(43)를 구비하는 환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도어(15)는 외주면 상에 고양이가 손쉽게 출입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문(18)이 개재되는 자연 개폐형의 출입구(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용변실(20)의 타측에 위치한 공간부(13) 상에 비치하고, 고양이가 모래를 털어내는 습성을 통해 바깥으로 나올 때 발에서 모래가 떨어지거나 모래를 털어낼 수 있도록 다수의 홀(35)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는 털이판(33)을 지닌 모래 털이실(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실(20)의 배설통(23)은 본체(10)의 공간부(1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재되고, 청소와 고양이모래(21)를 교환하기 위해 여닫기가 편리하도록 손잡이(27)를 지닌 서랍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40)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 처리하도록 전원스위치를 지닌 환풍기(43), 상기 환풍기(43)에 일체 결합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주름관 형태의 연결호스(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KR1020200141747A 2020-10-29 2020-10-29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KR10254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47A KR102542208B1 (ko) 2020-10-29 2020-10-29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47A KR102542208B1 (ko) 2020-10-29 2020-10-29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02A true KR20220057002A (ko) 2022-05-09
KR102542208B1 KR102542208B1 (ko) 2023-06-12

Family

ID=8158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747A KR102542208B1 (ko) 2020-10-29 2020-10-29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20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600A (ja) * 2000-11-15 2002-05-21 Kazuhiko Hayashi 猫用トイレ
US20060201437A1 (en) * 2005-03-14 2006-09-14 Ryan Kenneth J Animal housing structure and apparatus
KR101125972B1 (ko) 2009-05-11 2012-03-20 장우혁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
KR200468228Y1 (ko) 2011-06-15 2013-08-01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20150124098A (ko)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KR101762367B1 (ko) * 2017-03-22 2017-08-04 주식회사 데오큐브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KR101861670B1 (ko) * 2017-05-18 2018-05-28 (주)키즈퍼니쳐 고양이 화장실
KR20190092909A (ko) * 2018-01-31 2019-08-08 김믿음 고양이 모래 사막화 방지 고양이 화장실
KR20200067467A (ko) *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제이디자인 고양이 화장실
KR20200082541A (ko) * 2018-12-29 2020-07-08 노승환 실외 배기구를 구비한 배설물 자동분리 고양이 화장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600A (ja) * 2000-11-15 2002-05-21 Kazuhiko Hayashi 猫用トイレ
US20060201437A1 (en) * 2005-03-14 2006-09-14 Ryan Kenneth J Animal housing structure and apparatus
KR101125972B1 (ko) 2009-05-11 2012-03-20 장우혁 배변 유도가 용이한 양변기 설치형 고양이 화장실
KR200468228Y1 (ko) 2011-06-15 2013-08-01 임윤주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20150124098A (ko) 2014-04-28 2015-11-05 강경희 고양이 화장실
KR101762367B1 (ko) * 2017-03-22 2017-08-04 주식회사 데오큐브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KR101861670B1 (ko) * 2017-05-18 2018-05-28 (주)키즈퍼니쳐 고양이 화장실
KR20190092909A (ko) * 2018-01-31 2019-08-08 김믿음 고양이 모래 사막화 방지 고양이 화장실
KR20200067467A (ko) *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제이디자인 고양이 화장실
KR20200082541A (ko) * 2018-12-29 2020-07-08 노승환 실외 배기구를 구비한 배설물 자동분리 고양이 화장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고양이 화장실에 환풍기 달기’(2012.04.26., 주소: https://bluebrown.net)* *
블로그 ‘곰같이 우직한 낭만콤티 블로그!’ (2017.09.01., 주소: rgomt.blogspot.com/2017/09/blog-post_11.htm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208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880B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JP3824887B2 (ja) ペット用トイレ
US3949429A (en) Animal commode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KR20060086648A (ko)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KR20210066409A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US20130133583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JP2006204230A (ja) ペット用トイレ
US20070234966A1 (en) Cat litter box cabinet system
KR200493055Y1 (ko) 반려동물의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KR101762367B1 (ko) 애완용 동물의 화장실
TWI386159B (zh) Automatic cleaning of excrement pet potty
US20110030619A1 (en) Litter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KR102542208B1 (ko) 환기형 고양이 화장실
KR102437490B1 (ko) 고양이 화장실의 필터링 커버장치
KR101738630B1 (ko) 애완 동물 수세식 배변기
CN203290038U (zh) 宠物饲养房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220035903A (ko) 고양이 화장실의 공기정화장치
JP2013116060A (ja) 愛玩動物用トイレ
KR200497279Y1 (ko) 반려동물 배변용기 수거함
KR200201907Y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102636822B1 (ko) 반려동물용 수세식 자동 화장실
CN219288410U (zh) 一种自动清洁猫砂盆
CN213127527U (zh) 一种双层猫砂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