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555A -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555A
KR20220056555A KR1020200141239A KR20200141239A KR20220056555A KR 20220056555 A KR20220056555 A KR 20220056555A KR 1020200141239 A KR1020200141239 A KR 1020200141239A KR 20200141239 A KR20200141239 A KR 20200141239A KR 20220056555 A KR20220056555 A KR 2022005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in pipe
closing
main passage
clo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혁
조용범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555A/ko
Publication of KR2022005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되는 메인통로(42,42',42'')가 파이프몸체(40)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통로(42,42',42'')에는 상기 메인통로(42,42',42'')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차폐게이트(4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부(50)는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폐부(50)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가로막아 상기 메인통로(42,42',42'')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막고, 유체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폐게이트(41c)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파이프(30)의 구조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드레인파이프(30)의 크기가 줄어들어 냉장고 등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Drain pipe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본 발명은 드레인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등에 설치되어 제상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파이프와,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후에 증발기에서 증발됨에 따라 고내(庫內)의 열을 흡수하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의 내부에는 증발기 등에 착상된 성에가 녹은 제상수 및 저장공간에서 발생된 수분(이하 '제상수') 등을 배출시키는 드레인파이프와, 드레인파이프로부터 배출되는 제상수를 받는 트레이가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는 (i) 제상수가 이동하는 메인통로 역할과, (ii) 더운 공기가 저장실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과, (iii) 도어의 개폐에 의해 음압(negative pressure)이 고내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드레인파이프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제상수가 통과하거나 음압(negative pressure)의 제거를 위해 공기가 통과할 때만 드레인파이프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드레인파이프가 분기된 이중관으로 구성되기도 하였다. 즉, 제1관인 배수관을 통해서는 제상수가 배출되고, 제2관인 분기관을 통해서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964호 및 제10-0214621호에 공지되어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계실의 구조도 점점 복잡해지고, 각 부품의 설치공간이 협소해지는 추세이다. 이에 더하여 저장실의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기계실을 보다 작게 만들 필요도 있다. 그런데, 상기 드레인파이프가 분기된 이중 구조의 관(배수관 및 분기관)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기계실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활용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기된 이중관을 차폐하기 위한 댐퍼도 각각의 관(배수관 및 분기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드레인파이프의 부품수도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분기된 이중관으로 구성된 드레인파이프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도 두 군데가 되므로, 기계실의 고온의 공기가 드레인파이프를 타고 냉장고의 저장실로 역류할 경로도 많아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드레인파이프에 적용된 댐퍼는 탄성변형을 통해서 여닫히게 되는데, 반복동작으로 댐퍼의 탄성력이 줄어들거나, 가공/조립 오차가 발생하면 댐퍼가 드레인파이프의 입구 부분을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드레인파이프의 배수관에 이물질들이 쌓이면, 배수관이 막히거나 배수관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제상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기계실 내부의 드레인파이프로 접근하는 것이 어렵다. 드레인파이프는 기계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기계실 자체가 협소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146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96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파이프에 구비된 하나의 메인통로를 통해서 제상수 및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되, 하나의 개폐부가 승강하면서 메인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부가 상승하면서 유체경로(제상수배출/음압제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부가 상승하면 메인통로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이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넓게 확보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되는 메인통로가 파이프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통로에는 상기 메인통로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차폐게이트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부는 상기 메인통로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폐부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가로막아 상기 메인통로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막고, 유체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폐게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파이프의 구조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드레인파이프의 크기가 줄어들어 냉장고 등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차폐게이트 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개폐부가 승강되는 작동공간의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구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상수 등 유체가 상기 개폐부와 상기 차폐게이트의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면서 개폐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게이트는 상기 메인통로의 하단 보다 상기 메인통로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작동공간은 하부에 있는 연결공간 및 배출공간 보다 체적이 작고, 따라서 길게 확보된 연결공간 및 배출공간을 이용해서 제상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차폐게이트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메인통로의 내면에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경사면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개폐부를 상기 차폐게이트의 중앙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비중이 1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는 제상수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몸체에서 상기 차폐게이트 보다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은 상기 파이프몸체의 전체 길이나 연장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이프몸체에는 상기 메인통로의 하단에 있는 배출구가 개방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보조관통공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관통공을 통해서 압력차를 보상하기 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통로의 상단에는 유입구가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의 직경은 상기 유입구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차폐게이트의 내경 보다는 크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는 유입구를 통해 쉽게 조립될 수 있고, 차폐게이트는 확실하게 차단해줄 수 있다.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연결공간 및 상기 차폐게이트의 중심부는 서로 동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파이프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 될 수 있고,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파이프몸체의 상기 차폐게이트에는 개폐가이드가 안착되고, 상기 개폐가이드의 중심에는 가이드포스트가 돌출된다. 상기 메인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승강가능되는 개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가로막아 상기 메인통로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막고, 유체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폐게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개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는 내부를 관통하는 하나의 메인통로를 통해서 제상수 및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고, 드레인파이프에 내장된 차폐부가 승강하면서 유체경로(제상수배출경로와 음압제거경로)를 형성해줄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파이프의 구조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드레인파이프의 크기가 줄어들어 냉장고 등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에 내장된 개폐부는 탄성력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승강하면서 유체경로를 여닫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는 부품의 탄성복원력이 줄어들 염려가 없고,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폐부의 하강은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승은 제상수에 의한 부력 또는 냉장고 내부의 기압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개폐부의 상승은 제상수에 의한 부력이나 기압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상수 배출경로의 폭은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의 상승으로 고내의 음압제거는 원활하게 하면서도, 제상수 배출경로를 통해 고내로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냉장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고내 또는 증발기 쪽으로 역류하는 것은 개폐부가 제상수 배출경로를 가로막아 방지하게 되는데, 개폐부는 탄성변형이나 힌지회전 구조가 아니라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배출경로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파이프를 구성하는 부품의 제조/조립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배출경로의 틈새를 충분히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부는 구형 또는 판형으로 구성되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드레인파이프의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부를 단순히 파이프몸체의 안쪽에 수납만 하면 드레인파이프의 조립이 완성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파이프몸체에 있는 가이드경사면이 구형의 개폐부를 항상 차폐게이트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해주거나, 가이드포스트가 개폐부를 일정한 경로로 안내주기 때문에, 개폐부는 하강과정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항상 정확한 위치로 하강할 수 있어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가 적용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후방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기계실을 확대하여 보인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사각형 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개폐부가 파이프몸체에서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개폐부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드레인파이프의 다른 실시례에서 개폐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개폐부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개폐부가 하강 및 상승한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드레인파이프(3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냉장고(10)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상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상수란 냉동사이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는 저온상태이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증발기의 표면이 결빙하여 성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에는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제상히터 등을 이용하여 녹여야 하며, 상기 성에가 녹아서 생성되는 물을 제상수라고 한다.
이러한 제상수는 집수부에 집수된 후에, 드레인파이프(30)를 통해서 기계실(20)의 제상수트레이(27) 등으로 이동되며, 상기 기계실(20)과 열교환을 통해 상기 기계실(20)의 온도를 낮추고 증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이러한 제상수의 배출 뿐 아니라, 기계실(20)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냉장고(10)의 저장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냉장고(10)의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고내에 발생하는 음압(negative pressure)을 해제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상수트레이(27)가 냉장고(10)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제상수트레이(27)는 냉장고(10)가 아니라 스타일러, 와인냉장고(10), 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 등과 같이 냉동사이클이 적용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을 보면, 냉장고(10)의 캐비넷(11)에는 도어가 있다. 상기 도어를 열면 저장실이 노출되는데, 상기 도어는 상부도어(13)와 하부도어(15)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도어(13)는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하부도어(15)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냉동실을 개폐하는 하부도어(15)를 여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큰 힘 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의 화살표 ①방향으로 하부도어(15)를 당길 때, 큰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도어(15)를 여는 순간에는 냉장고(10)의 저장실(냉동실)의 체적 증가로 인한 음압과,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장고(10)의 내부로 들어가 냉각되면서 생기는 음압으로 인해 상기 하부도어(15)를 여는데 큰 힘이 들어가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드레인파이프(30)가 이러한 저항력을 줄일 수 있는데,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보면 냉장고(10)의 하부에 구비된 기계실(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20)은 실제로는 냉장고(10)의 하부에 차폐된 상태로 있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2에는 기계실(20)이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20)의 내부(S)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5)와, 상기 압축기(25)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1)와, 상기 압축기(25)와 상기 응축기(21)의 발열로 인해 온도가 높아진 기계실(20)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3)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화살표 ②는 상기 냉각팬(23)에 의한 공기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의 내부(S)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발생한 제상수와 저장실에서 발생된 수분을 배출시키는 드레인파이프(30)와, 드레인파이프(30)로부터 배출되는 제상수와 수분 등 유체(이하, 제상수)을 받는 제상수트레이(2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제상수가 이동하는 통로역할과, 기계실(20) 내부의 더운 공기가 저장실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과, 하부도어(15)의 개폐에 의한 음압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상부가 냉장고(10)의 캐비넷(11)에 고정되고 하부가 제상수트레이(27)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상부는 제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쪽을 향하고,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하부는 상기 제상수트레이(27)를 향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집수부는 증발기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실시례에 의한 드레인파이프(30)가 기계실(20)에 설치된 모습이 확대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상하방향, 즉 중력방향으로 상기 기계실(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주변에는 상기 냉각팬(23)이나 상기 압축기(25) 등이 매우 밀집되어 있으므로, 이들과 간섭되지 쉽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봉 형태이므로, 상기 기계실(20)의 내부(S)에서 차지하는 폭이 좁고, 전체 부피가 매우 작다.
도 4에서 화살표③과 화살표④는 상기 집수부에서 전달된 제상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제상수는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메인통로(42,42',42'')의 상단으로 유입되고,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메인통로(42,42',42'')를 거쳐 하단에 있는 배출구(44a)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44a)로 배출된 제상수는 바닥에 있는 상기 제상수트레이(27)에 모인다.
참고로, 상기 배출구(44a, 도 8참조)는 제상수가 배출되는 출구이기도 하지만, 외부의 공기가 일부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배출구(44a)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이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은 적다.
이처럼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제상수를 배출하는 통로역할도 하지만, 반대방향(도 4를 기준으로 아래쪽에서 위쪽방향)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i) 개폐부(5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상수를 배출하는 통로역할과, 기계실(20)-저장실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두 공간의 기압차를 줄여 저장실의 음압을 없애는 역할을 하고, (ii) 개폐부(5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기계실(20)의 고온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보면, 본 실시례의 드레인파이프(30)는 크게 파이프몸체(40)와 개폐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몸체(40)의 내부에 상기 개폐부(50)가 수납되고, 상기 개폐부(50)는 파이프몸체(40)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구조이다. 도 5에서는 상기 개폐부(50)가 상기 파이프몸체(40)에서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파이프몸체(40)를 보면, 상기 파이프몸체(40)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상기 파이프몸체(40)는 내부에 메인통로(42,42',42'')가 관통되고,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양단은 각각 위쪽과 아래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양단 중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입구를 통해서 상기 개폐부(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몸체(40)는 다시 제1몸체(41), 제2몸체(41') 및 제3몸체(41'')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41), 상기 제2몸체(41') 및 제3몸체(41'')는 실제로는 일체로 만들어진 것이고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41)는 제2몸체(41')를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몸체(40)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구비된 것이고, 제3몸체(41'')는 아래쪽에 구비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3몸체(41'')는 생략되거나, 상기 제2몸체(41')에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41)의 내부에는 작동공간(42)이 있다. 상기 작동공간(42)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상기 개폐부(50)가 수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몸체(41)는 원통형상인데, 이와 달리 다각형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41)의 아래쪽에는 제2몸체(41')가 있다. 상기 제2몸체(41')는 상기 제1몸체(41)에 연결되는 것으로, 역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몸체(41')의 내부에는 연결공간(42', 도 8 참조)이 있는데, 상기 연결공간(42')은 상기 작동공간(42) 및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공간(42'')과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메인통로(42,42',42'')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공간(42), 상기 연결공간(42') 및 배출공간(42'')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관(tube) 구조인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공간(42')은 상기 작동공간(42) 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상기 연결공간(42')의 안쪽에는 상기 개폐부(50)가 수납되지 않고, 제상수나 공기만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연결공간(42')을 상기 작동공간(42) 보다 폭이 작기 때문에 이를 통해 역류하는 유체, 특히 공기의 양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연결공간(42')과 상기 작동공간(42)의 경계 부분에는 차폐게이트(41c)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게이트(41c)는 상기 작동공간(42)에서 폭이 가장 작은 부분이기도 한데, 상기 작동공간(42)의 하단에 위치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차폐게이트(41c)에는 상기 개폐부(50)가 걸릴 수 있다.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상단, 즉 상기 작동공간(42)의 상단을 구성하는 유입구(41a)는 제상수 집수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하단인 배출공간(42'')의 배출구(44a)는 제상수 트레이를 향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게이트(41c)는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하단 보다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작동공간(42)은 하부에 있는 연결공간(42') 및 배출공간(42'') 보다 체적이 작고, 따라서 길게 확보된 연결공간(42') 및 배출공간(42'')을 이용해서 제상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게이트(41c)가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하단 보다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면, 상기 작동공간(42)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작동공간(42)에 과도한 제상수가 머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출공간(42'')의 하부출구에 해당하는 배출구(44a)에는 별도의 개폐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공간(42'')에 제상수가 쌓이면 상기 개폐판이 열려 제상수를 배출하고, 제상수가 배출되면 상기 개폐판은 원형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출공간(42'')의 폭이 좁기 때문에 상기 개폐판이 없더라도 공기의 역류량은 매우 적을 수밖에 없다.
상기 제2몸체(41')의 아래쪽에는 제3몸체(4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몸체(41'')는 상기 제2몸체(41') 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다. 상기 제3몸체(41'')에는 집수튜브와 같은 빈 관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몸체(41'')의 내부에 있는 배출공간(42'')의 폭은 상기 제2몸체(41') 내부의 연결공간(42')의 폭 보다 작고,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간(42'')은 제상수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부분이지만, 반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3몸체(41'')에는 상기 배출구(44a)가 개방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보조관통공(45)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조관통공(45)은 상기 배출구(44a)와 직교한 방향으로 개방된 것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즉, 상기 배출구(44a)를 통해서도 공기가 유동할 수 있지만, 상기 보조관통공(45)이 공기의 유동 경로를 더 확대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관통공(45)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기 기계실(20)과 저장실 사이의 기압차를 더욱 빠르게 줄일 수 있다. 상기 보조관통공(45)은 상기 제3몸체(41'')의 원주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도어(15)가 열리고 저장실로 외부의 고온 공기가 들어와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음압이 생기면, 압력구배에 의해 상기 개폐부(50)가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차폐게이트(41c)를 개방한다. 여기서 압력구배는 공기가 고압에서 저압으로 흐를 때 두 압력 영역의 강도와 근접성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기계실(20)의 내부(S)가 고압의 환경이 되고, 저장실이 저압의 환경이 된다.
따라서 기계실(20)에서 저장실로 공기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관통공(45)도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상기 개폐부(50)가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50)가 들어올려진 상태로 공기가 흐르게 되면 압력 구배가 보상되어 저장실의 음압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몸체(41')에는 주름관(43)이 있다. 상기 주름관(43)은 상기 제2몸체(41')의 길이조절을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주름관(43)은 상기 제2몸체(4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주름관(43)을 이용해서 상기 파이프몸체의 전체 길이 또는 연장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기 주름관(43)은 상기 제2몸체(41')에서 생략되거나, 상기 파이프몸체의 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작동공간(42)의 내면은 동일한 폭으로 형상되지만, 상기 작동공간(42)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경사면(41b)이 시작되는 지점부터는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은 상기 차폐게이트(41c)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작동공간(42)의 내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개폐부(50)를 상기 차폐게이트(41c)의 중앙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은 상기 제1몸체(41)의 원주방향을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50)가 중력에 의해 하강할 때, 어느 방향으로 하강해도 결국 상기 차폐게이트(41c)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의 끝부분에 상기 차폐게이트(41c)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의 끝에 형성된 상기 차폐게이트(41c)의 직경(L1)은 상기 개폐부(50)의 외경(L2) 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의 외경(L2)은 상기 작동공간(42)의 내경 보다 작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부(50)는 차폐게이트(41c)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개폐부(50)의 표면과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의 사이에 해당하는 빈 공간으로 제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폐부(50)를 살펴보면, 상기 개폐부(50)는 상기 메인통로(42,42',4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개폐부(50)는 상기 제1몸체(41) 내부에 있는 상기 작동공간(42)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개폐부(50)는 하강하면 그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폐하고, 상승하면 그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개방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개폐부(50)가 상기 작동공간(42)에서 승강하면서 제상수배출경로를 형성하거나, 음압제거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상수배출경로란,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여 만드는 것으로, 상기 작동공간(42), 상기 연결공간(42') 및 및 배출공간(42'')이 서로 연속된 하나의 유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상수배출경로를 통해서 제상수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압제거경로란,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여 만드는 것으로, 역시 상기 배출공간(42''), 상기 연결공간(42') 및 상기 작동공간(42)이 서로 연속된 하나의 유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음압제거경로는 상기 제상수배출경로와 반대방향의 형성된 유로로 볼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기계실(20)의 고압의 공기가 저압인 저장실로 유입될 수 있고, 압력 구배를 보상해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상수배출경로와 상기 읍압제거경로는 동일한 유로이며, 이를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상수는 유로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되고, 기압차를 제거할 때 공기는 고압인 기계실(20)에서 저장실로 이동하므로 상기 유로를 통해 아래에서 위로 흐를 수 있다.
상기 개폐부(50)는 (i) 상기 제상수가 상기 개폐부(50)와 상기 가이드경사면(41b) 사이로 유입될 때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ii) 기압차가 발생해서 공기가 고압인 기계실(20)에서 저장실로 이동할 때 압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50)는 유체의 작동에 의해 상승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 유체의 작동은 상기 제상수의 흐름과 기압차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유체의 작동으로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해야 하므로, 상기 개폐부(50)는 물에 뜨는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폐부(50)는 비중이 1보다 작고, 합성수지나 저비중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폐부(50)는 구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50)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개폐부(50)의 하부는 상기 차폐게이트(41c)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상기 차폐게이트(41c)의 하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서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50)가 구형이므로, 상기 개폐부(5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개폐부(50)는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50)가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단하기 위한 방향성이 없고, 상기 개폐부(50)는 항상 정확하게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단해줄 수 있다. 다만, 상기 개폐부(50)는 완벽한 구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50)는 좌우폭 보다 상하길이가 더 긴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냉장고(10)의 동작과정에서 증발기 주변에는 성에가 발생하고, 녹은 성에는 집수부를 거쳐 드레인파이프(30)로 전달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파이프몸체(40)에는 상기 개폐부(50)가 내장되는데, 상기 개폐부(50)는 중력으로 인해 하강한 상태이다. 즉,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도 4 및 도 8의 상태가 되는 것인데, 이때 드레인파이프(30)는 제상수배출경로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제상수가 드레인파이프(30)를 통해 하부로 흐를 수 없는 상태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상수배출경로는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여 만드는 것으로, 상기 작동공간(42), 상기 연결공간(42') 및 상기 배출공간(42'')으로 이어지는 서로 연속된 하나의 통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상수배출경로는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해서 열리게 된다.
상기 제상수가 도 8의 화살표 ③방향으로 흐르면, 상기 제상수는 상기 개폐부(50)와 상기 가이드경사면(41b)의 사이로 유입되고,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게 된다. 즉, 도 9의 화살표 ⑤방향으로 개폐부(50)가 떠오르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부(50)가 차단하고 있던 차폐게이트(41c)가 열리게 되고, 제상수는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통해서 아래쪽(화살표 ⑥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가 모두 아래쪽으로 배출되면,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배출구(44a)를 통해 배출된 제상수는 제상수트레이(27)에 모이고, 다시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50)는 중력에 의해 다시 하강해서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제상수배출경로를 통해서 제상수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본 실시례의 드레인파이프(30)는 그 구조가 간단해질 뿐 아니라, 드레인파이프(30)는 동심인 하나의 통로를 가지므로, 드레인파이프(30) 자체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제상수가 제상수배출경로 이외의 경로로 흐르는 것이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은 드레인파이프(30)의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차폐게이트(41c)는 상기 개폐부(50)가 막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15)가 열리고 닫히게 되면, 고내가 저압의 환경이 되고, 기계실(20)의 내부(S)는 상대적으로 고압의 환경이 된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기계실(20) 내부에서 저장실 쪽으로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가 상기 개폐부(50)를 들어올리게 된다.
도 10을 보면, 공기가 개폐부(50)의 표면을 눌러(화살표⑤),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게 만든다. 이렇게 되면 상기 차폐게이트(41c)가 개방되고, 음압제거경로가 만들어진다. 상기 음압제거경로는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여 만드는 것으로, 상기 배출공간(42''), 상기 연결공간(42'), 상기 차폐게이트(41c) 및 상기 작동공간(42)으로 구성되는 서로 연속된 하나의 통로이다. 이러한 음압제거경로를 통해서 기계실(20)의 고압의 공기가 저압인 저장실로 유입될 수 있고, 압력 구배를 보상해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만약 상기 개폐부(50)의 주변에 이물질과 유체가 쌓여있다면, 상기 개폐부(50)가 상승하는 순간 차폐게이트(41c)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이물질이나 유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차폐게이트(41c)의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구배가 모두 보상되면, 상기 개폐부(50)는 중력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상기 차폐게이트(41c)를 차폐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례의 드레인파이프(30)는 개폐부(50)의 중력을 이용하므로, 부품의 탄성복원력이 줄어들 염려가 없고,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100번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보면, 본 실시례의 드레인파이프(30)는 크게 파이프몸체(140), 개폐가이드(151)와 개폐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몸체(140)의 내부에 상기 개폐가이드(151)와 상기 개폐부(160)가 수납되고, 상기 개폐부(160)는 파이프몸체(140)의 내부에서 성가 개폐가이드(151)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는 구조이다. 도 10에서는 상기 개폐부(160)가 상기 파이프몸체(140)에서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파이프몸체(140)를 보면, 상기 파이프몸체(140)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상기 파이프몸체(140)는 내부에 메인통로(142,142',142'')가 관통되고, 상기 메인통로(142,142',142'')의 양단은 각각 위쪽과 아래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메인통로(142,142',142'')의 양단 중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입구를 통해서 상기 개폐부(16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몸체(140)는 다시 제1몸체(141), 제2몸체(141') 및 제3몸체(141'')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41), 상기 제2몸체(141') 및 제3몸체(141'')는 실제로는 일체로 만들어진 것이고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141)는 제2몸체(141')를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몸체(140)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구비된 것이고, 제3몸체(141'')는 아래쪽에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1몸체(141), 상기 제2몸체(141') 및 상기 제3몸체(141'')의 구조는 앞선 실시례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몸체(141)를 보면, 상기 제1몸체(141)의 내부에 있는 작동공간(142)은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폭이 다르다. 도 13을 보면, 상기 상부공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하부공간은 폭이 좁다.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개폐가이드(151)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작동공간(142)의 바닥면에는 단차부(141b)가 있어서, 상기 단차부(141b)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있는 상기 연결공간(142')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단차부(141b)로부터 차폐게이트(141c) 사이의 빈 공간은 일종의 완충공간으로, 많은 양의 제상수가 배출될 때 좁아지는 상기 연결공간(142')의 입구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경계부분에 차폐게이트(141c)가 형성된다. 상기 차폐게이트(141c)는 상기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부분이고, 상기 차폐게이트(141c)는 상기 개폐부(1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가이드(151)와 상기 개폐부(160)를 보면, 상기 개폐가이드(151)와 상기 개폐부(160)는 하나의 개폐수단(150)이 된다. 상기 개폐가이드(151)를 따라서 상기 개폐부(16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부(160)가 상기 차폐게이트(141c)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 개폐가이드(151)를 보면, 상기 개폐가이드(151)는 상기 차폐게이트(141c)에 안착되고, 대략 판상구조이다. 상기 개폐가이드(151)는 상기 개폐부(16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가이드(151)는 상기 차폐게이트(141c)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구조를 보면,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개폐가이드(151)는 대략 원판형상이고,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중심에는 상기 메인통로(142,142',142'')와 연결되는 연통홀(153a)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153a)은 상기 차폐게이트(141c)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통홀(153a)은 상기 작동공간(142)과, 상기 연결공간(14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중심에는 가이드포스트(155)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155)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스포크들(153)이 구비된다. 상기 스포크들(153)의 끝부분은 하나의 링형상인 링부(152)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155)는 상기 메인통로(142,142',142'')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도 10에서 보듯이 위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포스트(155)는 원기둥 형상이 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15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폐부(160)의 가이드홀(162)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포스트(155)는 상기 개폐가이드(151)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개폐가이드(151)와 함께 상기 작동공간(142)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포크들(153) 사이에는 연통홀(153a)이 형성된다. 상기 스포크들(153)은 다수개로 구성되므로, 상기 연통홀(153a)도 상기 스포크들(153)의 개수와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153a)의 형상과 크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가이드(151)에는 체결후크(154)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후크(15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구조이고, 상기 작동공간(142)의 내면에 있는 체결홀(141d)에 걸린다. 상기 체결후크(154)가 상기 체결홀(141d)에 걸리면, 상기 개폐가이드(151)가 상기 작동공간(142)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가이드(151)가 상기 작동공간(142) 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후크(154)는 상기 가이드포스트(155)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체결후크(154)의 끝부분이 상기 체결홀(141d)에 삽입되는 순간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개폐가이드(151)에는 상기 개폐부(160)가 조립된다. 상기 개폐부(160)는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가이드포스트(155)를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차폐게이트(141c)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60)는 상기 개폐가이드(151)와 달리 상기 작동공간(142)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160)는 원판 형상의 개폐몸체(161)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몸체(161)의 중심에는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가이드포스트(155)에 끼워지는 가이드홀(162)이 관통된다. 상기 가이드홀(162)에 상기 가이드포스트(155)가 끼워지면, 상기 개폐부(160)는 가이드포스트(155)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경로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62)은 상기 개폐몸체(161)에서 돌출된 플랜지부(163)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63)는 상기 개폐부(160)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가이드홀(162)과 상기 가이드포스트(155) 사이의 접촉면적을 늘려줄 수 있다.
상기 개폐부(160)가 하강하면 상기 개폐부(160)는 상기 연통홀(153a)을 가로막는다. 즉, 상기 개폐부(160)의 개폐몸체(161)가 상기 연통홀(153a)의 덮어 막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연통홀(153a)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차폐게이트(141c)가 차단되고, 제상수와 공기 등 유체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개폐몸체(161)의 폭(N1)은 (i)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폭(N2)과 상기 메인통로(142,142',142'')의 상단에 있는 유입구(141a)의 폭 보다 작고, (ii) 상기 개폐가이드(151)에 형성된 연통홀(153a)의 전체 폭 보다는 크다. 여기서, 상기 메인통로(142,142',142'')의 상단에 있는 유입구(141a)의 폭은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폭(N2)과 같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가이드(151)는 상기 메인통로(142,142',142'')의 상단을 통해서 작동공간(142) 안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가장자리는 상기 작동공간(142)의 내면과 이격되어, 그 사이로 제상수가 유입될 수 있고, 하강했을 때 상기 개폐가이드(151)가 상기 연통홀(153a)의 전체를 가로막을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홀(153a)의 전체 폭이란 다수개의 연통홀(153a)들이 형성하는 가장 긴 폭을 의미한다.
상기 개폐부(160)는 (i) 상기 제상수가 상기 개폐부(160)와 상기 개폐가이드(151) 사이로 유입될 때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ii) 기압차가 발생해서 공기가 고압인 기계실(20)에서 저장실로 이동할 때 압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160)는 유체의 작동에 의해 상승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 유체의 작동은 상기 제상수의 흐름과 기압차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유체의 작동으로 상기 개폐부(160)가 상승해야 하므로, 상기 개폐부(160)는 물에 뜨는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폐부(160)는 비중이 1보다 작고, 합성수지나 저비중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160)의 상면에는 파지돌기(16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파지돌기(165)는 작업자가 상기 개폐부(160)를 파지하기 쉽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몸체(16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앞선 실시례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파이프몸체(140)에는 상기 개폐부(160)가 내장되는데, 상기 개폐부(160)는 중력으로 인해 하강한 상태이다. 즉, 상기 드레인파이프(30)는 도 4 및 도 13의 상태가 되는 것인데, 이때 드레인파이프(30)는 제상수배출경로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제상수가 드레인파이프(30)를 통해 하부로 흐를 수 없다. 이러한 제상수배출경로는 상기 개폐부(160)가 상승해서 열리게 된다.
상기 제상수가 도 13의 화살표 ③방향으로 흐르면, 상기 제상수는 상기 개폐부(160)와 상기 개폐가이드(151)의 사이로 유입되고,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160)가 상승하게 된다. 즉, 도 14의 화살표 ⑤방향으로 개폐부(160)가 떠오르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개폐부(160)가 차단하고 있던 차폐게이트(141c)가 열리게 되고, 제상수는 상기 차폐게이트(141c)를 통해서 아래쪽(화살표 ⑥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가 모두 아래쪽으로 배출되면, 상기 드레인파이프(30)의 배출구(144a)를 통해 배출된 제상수는 제상수트레이(27)에 모이고, 다시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160)는 중력에 의해 다시 하강해서 상기 차폐게이트(141c)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제상수가 제상수배출경로 이외의 경로로 흐르는 것이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은 드레인파이프(30)의 구조에 의해 제한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차폐게이트(141c)는 상기 개폐부(160)가 막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15)가 열리고 닫히게 되면, 고내가 저압의 환경이 되고, 기계실(20)의 내부(S)는 상대적으로 고압의 환경이 된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기계실(20) 내부에서 저장실 쪽으로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가 상기 개폐부(160)를 들어올리게 된다.
도 13을 보면, 공기가 개폐부(160)의 저면을 위쪽으로 눌러(화살표⑤), 상기 개폐부(160)가 상승하게 만든다. 이렇게 되면 상기 차폐게이트(141c)가 개방되고, 음압제거경로가 만들어진다.
이와 동시에, 만약 상기 개폐부(160)의 주변에 이물질과 유체가 쌓여있다면, 상기 개폐부(160)가 상승하는 순간 차폐게이트(141c)를 통해서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이물질이나 유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차폐게이트(141c)의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구배가 모두 보상되면, 상기 개폐부(160)는 중력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상기 차폐게이트(141c)를 차폐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례의 드레인파이프(30)는 개폐부(160)의 중력을 이용하므로, 부품의 탄성복원력이 줄어들 염려가 없고,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냉장고 11: 캐비넷
13: 상부도어 15: 하부도어
20: 기계실 21: 응축기
23: 냉각팬 25: 압축기
27: 제상수트레이 30: 드레인파이프
40: 파이프몸체 41: 제1몸체
41a: 유입구 41b: 가이드경사면
41c: 차폐게이트 41': 제2몸체
41'': 제3몸체 42: 작동공간
42': 연결공간 42'': 배출공간
50: 개폐부

Claims (18)

  1. 내부에는 양단이 개방되는 메인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통로에는 상기 메인통로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차폐게이트가 형성되는 파이프몸체;와
    상기 메인통로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가로막아 상기 메인통로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막고, 유체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폐게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드레인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차폐게이트 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개폐부가 승강되는 작동공간의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구형으로 구성되는 드레인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게이트는 상기 메인통로의 하단 보다 상기 메인통로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드레인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게이트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메인통로의 내면에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경사면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개폐부를 상기 차폐게이트의 중앙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비중이 1보다 작은 드레인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몸체에서 상기 차폐게이트 보다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름관이 구비되는 드레인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몸체에는 상기 메인통로의 하단에 있는 배출구가 개방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보조관통공이 개방되는 드레인파이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통로의 상단에는 유입구가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의 직경은 상기 유입구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차폐게이트의 내경 보다는 큰 드레인파이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몸체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공간에 연결되되 상기 작동공간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연결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연결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메인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작동공간 내부에서 승강되는 드레인파이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연결공간 및 상기 차폐게이트의 중심부는 서로 동심으로 형성되는 드레인파이프.
  11. 내부에는 양단이 개방되는 메인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통로에는 직경이 달라지는 차폐게이트가 형성되는 파이프몸체;
    상기 차폐게이트에 안착되고, 중심에는 가이드포스트가 돌출되는 개폐가이드;와
    상기 메인통로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 표면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가로막아 상기 메인통로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막고, 유체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상기 차폐게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차폐게이트를 개방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드레인파이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이드의 중심에는 상기 메인통로와 연결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하강하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통홀을 가로막는 드레인파이프.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스포크들이 구비되고, 상기 스포크들 사이에는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드레인파이프.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폭은 상기 개폐가이드의 폭과 상기 메인통로의 상단에 있는 유입구의 폭 보다 작고, 상기 개폐부의 폭은 상기 개폐가이드에 형성된 연통홀의 전체 폭 보다 큰 드레인파이프.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원판형상이고, 상기 개폐부의 중심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있는 드레인파이프.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는 파지돌기가 돌출되는 드레인파이프.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이드에는 상기 메인통로의 내면에 있는 체결홀에 체결되는 체결후크가 돌출되는 드레인파이프.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의 드레인파이프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200141239A 2020-10-28 2020-10-28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20056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39A KR20220056555A (ko) 2020-10-28 2020-10-28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239A KR20220056555A (ko) 2020-10-28 2020-10-28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55A true KR20220056555A (ko) 2022-05-06

Family

ID=8158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239A KR20220056555A (ko) 2020-10-28 2020-10-28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65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621B1 (ko) 1996-11-28 1999-08-02 구자홍 냉장고의 드레인 파이프
KR101461964B1 (ko) 2008-08-07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드레인 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621B1 (ko) 1996-11-28 1999-08-02 구자홍 냉장고의 드레인 파이프
KR101461964B1 (ko) 2008-08-07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드레인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753B2 (en) Variable capacity scroll compressor
US20060277934A1 (en) Refrigerator
US9625181B2 (en) Refrigerator cycle system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including a gas-liquid separator and a liquid refrigerant remover
KR20110019240A (ko) 드레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A243302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vapour and liquid
KR101686009B1 (ko)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20120107159A1 (en) Bypass Unloader Valve For Compressor Capacity Control
KR20220056555A (ko)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201746B1 (ko) 이코노마이저를 포함하는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CN203980699U (zh) 空调系统
KR20220050444A (ko) 드레인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846112B1 (ko) 냉장고의 배수관 및 개폐기구
JPS59209628A (ja) ドレン分離器
EP3851016A1 (en) Dishwashing machine
CN220959101U (zh) 排水装置和制冷设备
KR20090069694A (ko) 다로형 교축밸브-구비 다단 압축방식 터보냉동기
KR100578348B1 (ko)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구조
KR200226090Y1 (ko) 냉장고의 도어개방을 위한 압력조절 장치
CN220338786U (zh) 冷柜
CN220507351U (zh) 冷柜
CN219693625U (zh) 一种风机罩和包括该风机罩的冷藏箱
KR200495035Y1 (ko) 배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컨
KR102105960B1 (ko) 가변팽창장치, 이코노마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KR100229188B1 (ko) 냉장고
JPH02404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