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767A -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767A
KR20220055767A KR1020200140202A KR20200140202A KR20220055767A KR 20220055767 A KR20220055767 A KR 20220055767A KR 1020200140202 A KR1020200140202 A KR 1020200140202A KR 20200140202 A KR20200140202 A KR 20200140202A KR 20220055767 A KR20220055767 A KR 2022005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conductivity
alloy
high thermal
cast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767A/ko
Priority to US17/497,751 priority patent/US11674201B2/en
Publication of KR2022005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22C1/026Alloys based on aluminium

Abstract

본 발명은 Al-Ni-Fe계 합금으로서,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1.3wt%, 철(Fe) 0.3~0.9wt%, 및 잔부로서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이다.

Description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High thermal conductive casting Aluminum allo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00W/mK이상 열전도도를 가지는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히트싱크 등과 같이 발열체와 접촉하여 열을 빠르게 전달해야 하는 자동차용 부품에는 고열전도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
순 알루미늄(Al)이 열전도도가 가장 높긴 하나, 기계적 성질 및 생산성이 좋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그대신 기본적인 주조성 및 최소한의 물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첨가 원소를 최소화한 합금들이 고열전도 합금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압출재 및 주조재로 구분할 수 있다.
압출재는 열전도도가 우수하나, 소재 가격이 비싸고, 주조성이 열위하기 때문에 부품 제조시 원가 높은 문제가 있다. 주조재의 경우 열전도도가 대략 160W/mK으로 열전도 특성이 열위하거나, 핫크랙 특성이 열위한 문제가 있다. 열전도도가 대략 160W/mK인 주조재의 경우, 압출재 대비 방열 특성이 20%이상 떨어지는 수준이다.
이와 같이, 열전도도가 향상과 더불어 핫크랙 특성이 개선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으로, 200W/mK이상 열전도도를 가지고, 동시에 핫크랙 특성이 우수한 합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은 Al-Ni-Fe계 합금으로서,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 내지 1.3wt%, 철(Fe) 0.3 내지 0.9wt%, 및 잔부로서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 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에서 공정(Eutectic) FeNiAl9 상은 5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9 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철의 함량은 니켈 함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에서 Al 기지상의 분율이 94 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의 열전도도는 200W/mK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은 망간(Mn) 0.1 내지 0.4wt%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의 열전도도는 205W/mK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은 다른 합금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합금 원소의 함량은 합금 총량 기준 0.5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합금 원소는 구리(Cu), 마그네슘(Mg), 및 실리콘(Si)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리(Cu)함량이 합금 총량 기준 0.2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Mg) 함량이 합금 총량 기준 0.3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Si) 함량이 합금 총량 기준 0.3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을 용해하는 단계 및 용해된 알루미늄에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 내지 1.3wt%, 철(Fe) 0.3 내지 0.9wt%, 및 잔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첨가하는 것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 내지 1.9 wt% 로 첨가하는 것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합금은 공정(Eutectic)상 FeNiAl9의 분율이 5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합금은 Al 기지상의 분율이 94 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 wt%을 기준으로, 구리(Cu)함량이 0.2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 wt%을 기준으로, 마그네슘(Mg) 함량이 0.3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 wt%을 기준으로, 실리콘(Si) 함량이 0.3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으로, 200W/mK이상 열전도도를 가지며, 개선된 핫크랙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합금은 특별한 열처리가 없어도 최대 열전도도를 얻을 수 있는 비열처리형 합금으로써, 추가적인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은 제조 원가 절감과 더불어, 기존의 주조형 알루미늄 합금 대비 120%의 열전도도 향상, 및 이에 따른 냉각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l-Ni-Fe계 합금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니켈(Ni) 함량 1.0wt%인 경우, 철(Fe)의 함량에 따른 공정(Eutectic) FeNiAl9 상 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는 니켈(Ni) 함량 1.1wt%인 경우, 철(Fe)의 함량에 따른 공정(Eutectic) FeNiAl9 상 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니켈(Ni) 함량 1.2wt%인 경우, 철(Fe)의 함량에 따른 공정(Eutectic) FeNiAl9 상 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니켈(Ni) 함량 1.3wt%인 경우, 철(Fe)의 함량에 따른 공정(Eutectic) FeNiAl9 상 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FeNiAl9 상분율이 5wt% 미만인 경우, 주조품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은 비교예 2의 FeNiAl9 상분율이 5wt% 미만인 경우, 주조품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2의 FeNiAl9 상분율이 5wt% 이상인 경우, 주조품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2의 FeNiAl9 상분율이 5wt% 이상인 경우, 주조품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다.
도 10은 구리(Cu) 함량에 따른 알루미늄(Al) 기지 상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마그네슘(Mg) 함량에 따른 알루미늄(Al) 기지 상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은 규소(Si) 함량에 따른 알루미늄(Al) 기지 상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제시된 과정들 외에 추가적인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른 합금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의 의미는 다른 원소의 추가량만큼 잔부인 알루미늄(Al)을 대체하여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본 발명은 Al-Ni-Fe계 합금이다.
본 발명 Al-Ni-Fe계 합금은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1.3wt%, 철(Fe) 0.3~0.9wt%, 및 잔부로서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합금은 고열전도성, 및 우수한 주조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니켈(Ni)과 철(Fe)의 첨가는 고열전도 특성을 유지하면서 순수한 알루미늄 대비 우수한 주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l-Ni-Fe-Mn계 합금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미세조직은 초정상인 알루미늄 수지상과 공정상인 Al-FeNiAl9 상으로 구성되며, 공정상인 FeNiAl9 상의 경우 도 1에서 어두운 부분으로 나타나며, 미세한 섬유상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7wt%, 1.8wt% 또는 1.9wt%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은 1.9wt%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8wt%, 1.7wt% 또는 1.6wt%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에서 공정(Eutectic) FeNiAl9 상은 5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알루미늄, 니켈, 및 철은 합금 내에서 공정(Eutectic) FeNiAl9 상을 생성한다. 상기 니켈과 철 함량의 합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공정(Eutectic) FeNiAl9 상이 최소 5wt% 이상 생성될 수 있다.
합금 내에서 공정(Eutectic) FeNiAl9 상이 최소 5wt% 이상 존재하여야 충분한 주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에서 Al 기지상의 분율이 94 wt%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에서 Al 기지상의 분율은 95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기지 상이란 미세조직을 구성하는 기본 매트릭스 상을 의미한다.
합금 내의 공정(Eutectic) FeNiAl9 상이 증가할수록 전체 합금의 열전도도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200W/mK 이상의 고열전도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Al 기지상의 분율이 94%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9 이하이어야 한다.
상기 합금 내의 철의 함량은 니켈 함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철 함량이 니켈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부가적인 Al3Fe상이 생성되어 열전도도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의 열전도도는 200W/mK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1W/mK, 204W/mK, 205W/mK, 207W/mK, 209W/mK, 210W/mK, 211W/mK, 215W/mK, 또는 217W/mK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한 열전도도를 가지는 것으로, 이를 적용한 부품 및 장치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의 열전도도는 230W/mK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25W/mK, 220W/mK, 217W/mK, 또는 210W/mK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망간(Mn)을 0.1 내지 0.4wt%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망간(Mn)은 Fe 및 기타 원소(특히, Cu, Si 등)와 결합하여, 이들 원소의 고용을 억제하고, 추가적인 열전도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경도 향상을 통해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일 실시예에 따른 합금은 다른 합금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합금 원소는 알루미늄(Al), 니켈(Ni). 및 철(Fe)이외의 합금 원소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합금 원소는 구리(Cu), 마그네슘(Mg), 및 실리콘(Si)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른 합금 원소의 함량은 합금 총량 기준 0.5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다른 합금 원소에 함유에 따른 열전도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의 구리(Cu)함량이 0.3 wt% 미만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리 함량의 상한은 0.25 wt% 이하, 0.2 wt% 이하, 0.15 wt% 이하, 0.1 wt% 이하 또는 0.05 wt% 이하일 수 있고, 구리 함량의 하한은 0 wt% 이상, 0 wt% 초과, 0.05 wt% 이상, 0.1 wt% 이상, 0.15 wt% 이상 또는 0.2 wt%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의 구리(Cu)함량이 0.2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 내지 0.2wt%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의 마그네슘(Mg) 함량이 0.45 wt%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함량의 상한은 0.4 wt% 이하, 0.35 wt% 이하, 0.3 wt% 이하, 0.25 wt% 이하, 0.2 wt% 이하, 0.15 wt% 이하, 0.1 wt% 이하, 0.05 wt% 이하일 수 있고, 마그네슘 함량의 하한은 0 wt% 이상, 0 wt% 초과, 0.05 wt% 이상, 0.1 wt% 이상, 0.15 wt% 이상, 0.2 wt% 이상, 0.25 wt% 이상 또는 0.3 wt%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의 마그네슘(Mg) 함량이 0.3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 내지 0.3wt%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의 실리콘(Si) 함량이 0.33 wt%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은 0.3 wt% 이하, 0.25 wt% 이하, 0.2 wt% 이하, 0.15 wt% 이하, 0.1 wt% 이하, 0.05 wt% 이하일 수 있고, 실리콘(Si) 함량의 하한은 0 wt% 이상, 0 wt% 초과, 0.05 wt% 이상, 0.1 wt% 이상, 0.15 wt% 이상, 0.2 wt% 이상, 또는 0.25 wt%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합금 내의 실리콘(Si) 함량이 0.3wt%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 내지 0.3wt%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합금의 열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을 용해하는 단계 및 용해된 알루미늄에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알루미늄을 용해시킨 후에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경우, 알루미늄에 고용도가 매우 낮은 철(Fe), 및 니켈(Ni)을 안정적으로 합금화하여 편석을 방지하고, 용해 속도를 높힐 수 있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수한 알루미늄을 용해시킨 후, 철(Fe), 및 니켈(Ni)을 소량씩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이고, 알루미늄에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한 후, 용융하여, 합금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1.3wt%, 철(Fe) 0.3~0.9wt%, 및 잔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 주조성과 고열전도도를 만족하는 니켈(Ni)과 철(Fe)의 함량 평가
도 2, 도 3, 도 4, 및 도 5는 주조성과 고열전도도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니켈(Ni) 함량에 따른 철(Fe)의 함량 구간을 나타난 그래프이다. 우수한 주조성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 5wt% 이상의 공정(Eutectic) FeNiAl9 상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고열전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Al 기지 상분율 역시 최소 94wt% 이상 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니켈(Ni) 함량별 철(Fe) 함량을 구한 결과가 표 1과 같다.
구분 함량비(wt%) Ni+Fe 함량
(wt%)
FeNiAl9
(wt%)
Al 기지
(wt%)
Al Ni Fe 함량 구간
실시예 1-1 잔부 1 0.6~0.9 1.6~1.9 5~6 94~95
실시예 1-2 잔부 1.1 0.5~0.8 1.6~1.9
실시예 1-3 잔부 1.2 0.4~0.7 1.6~1.9
실시예 1-4 잔부 1.3 0.3~0.6 1.6~1.9
실험예 2 : 공정(Eutectic) FeNiAl9 상분율에 따른 주조성 평가
표 2는 공정(Eutectic) FeNiAl9 상분율에 따른 주조성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FeNiAl9
상분율
화학성분 (wt%) 주조성 평가 결과
구분 Al Ni Fe Ni+Fe
5wt% 미만
(비교예2)
비교예 2-1 잔부 1  0.3  1.3 1.3~1.5 유동성 부족에 의한 미충진 또는 제품상에 핫크랙이 다수 생성됨
비교예 2-2 잔부 1.1  0.3  1.4
비교예 2-3 잔부 1.2  0.2 1.4
비교예 2-4 잔부 1.3  0.2  1.5
5wt% 이상
(실시예2)
실시예 2-1 잔부 1 0.6 1.6 1.6~1.9 충진 및 크랙
문제 없음
실시예 2-2 잔부 1.1 0.6 1.7
실시예 2-3 잔부 1.2 0.6 1.8
실시예 2-4 잔부 1.3 0.6 1.9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wt% 미만인 경우, 공정(Eutectic) FeNiAl9 상분율은 5wt% 미만이 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비교예 2-1, 및 비교예 2-4 샘플의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의 경우, 합금의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제품에 미충진이 발생하거나, 핫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wt% 이상인 경우, 5wt% 이상의 공정(Eutectic) FeNiAl9 상이 생성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실시예 2-1, 및 실시예 2-4 샘플의 사진이다. 도 8, 및 도 9의 경우, 제품 미충진 또는 핫크랙 등의 주조성 문제 없이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알루미늄 기지 상분율에 따른 열전도도 평가
표 3는 알루미늄 기지 상분율에 따른 열전도도 변화를 정리한 것이다.
구분 함량비(wt%) Al 기지 상분율(wt%) 열전도도
Al Ni Ni+Fe (W/mK)
실시예 3-1 잔부 1 1.7 94.71 215
실시예 3-2 잔부 1 1.8 94.39 210
실시예 3-3 잔부 1 1.9 94.07 204
비교예 3-1 잔부 1 2 93.76 197
실시예 3-4 잔부 1.3 1.7 94.74 217
실시예 3-5 잔부 1.3 1.8 94.42 211
실시예 3-6 잔부 1.3 1.9 94.11 205
비교예 3-2 잔부 1.3 2 93.79 198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증가하면 Al 기지 상분율이 낮아지면서 열전도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신재 수준인 200W/mK이상의 고열전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 94wt%이상의 Al 기지 상분율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9wt% 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실험예 4: 망간 첨가에 따른 열전도도 변화 평가
표 4는 망간 첨가에 따른 열전도도 변화를 나타낸다.
구분 함량비(wt%) 열전도도
Al Ni Ni+Fe Mn (W/mK)
비교예 4-1 잔부 1 1.9 0 204
비교예 4-2 잔부 1 1.9 0.05 204
실시예 4-1 잔부 1 1.9 0.1 209
실시예 4-2 잔부 1 1.9 0.2 210
실시예 4-3 잔부 1 1.9 0.3 209
실시예 4-4 잔부 1 1.9 0.4 207
비교예 4-3 잔부 1 1.9 0.5 201
망간의 경우, Fe 이외에 불가피하게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되는 Cu, Si 등과 결합해서 열전도도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망간(Mn)이 0.1wt% 이상 들어가면 열전도도 향상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망간(Mn)이 0.4wt% 초과해서 들어가는 경우, 오히려 열전도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망간(Mn)은 합금의 표면 경도 향상 효과도 가지고 있어서, 합금의 가공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5 : 기타 합금 원소가 Al 기지상 분율에 미치는 영향 평가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기타 합금 원소인 구리(Cu), 마그네슘(Mg), 및 실리콘(Si) 각각의 함량에 따른 Al 기지상 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리(Cu), 마그네슘(Mg), 실리콘(Si) 등 일반적인 알루미늄 합금에서 사용되는 강화 원소들은 도 10,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Al-Ni-Fe계 합금에서의 알루미늄 기지 상분율을 낮춰서 열전도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구리(Cu), 마그네슘(Mg), 실리콘(Si)은 각각 아래 함량을 만족할 것이 요구된다.
① 구리(Cu) : 0.2 wt% 이하
② 마그네슘(Mg) : 0.4wt% 이하
③ 실리콘(Si) : 0.3wt% 이하
④ 불순물 총 함량 규제 : 0.5wt% 이하일 것.
이와 같이, 본 발명의 Al-Ni-Fe계 합금은 전신재 대비 제조 원가 절감과 더불어, 기존의 주조형 알루미늄 합금 대비 120%의 열전도도 향상, 및 이에 따른 냉각효율 증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9)

  1. Al-Ni-Fe계 합금으로서,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 내지 1.3wt%,
    철(Fe) 0.3 내지 0.9wt%, 및
    잔부로서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 wt%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합금 내에서 공정(Eutectic) FeNiAl9 상은 5wt%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9 wt% 이하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5. 제1항에 있어서,
    철의 함량은 니켈 함량 이하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6. 제1항에 있어서,
    합금 내에서 Al 기지상의 분율이 94 wt%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합금의 열전도도는 200W/mK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8. 제1항에 있어서,
    망간(Mn) 0.1 내지 0.4wt%를 더 포함하는,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9. 제8항에 있어서,
    합금의 열전도도는 205W/mK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10. 제1항에 있어서,
    다른 합금 원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합금 원소의 함량은 합금 총량 기준 0.5wt% 이하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11. 제6항에 있어서,
    구리(Cu)함량이 0.2wt% 이하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12. 제6항에 있어서,
    마그네슘(Mg) 함량이 0.3wt% 이하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13. 제6항에 있어서,
    실리콘(Si) 함량이 0.3wt% 이하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14. 알루미늄을 용해하는 단계; 및
    용해된 알루미늄에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wt%을 기준으로, 니켈(Ni) 1.0 내지 1.3wt%, 철(Fe) 0.3 내지 0.9wt%, 및 잔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첨가하는 것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1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니켈과 철 함량의 합(Ni+Fe)이 1.6 내지 1.9 wt% 로 첨가하는 것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1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합금은 공정(Eutectic)상 FeNiAl9의 분율이 5wt%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합금은 Al 기지상의 분율이 94 wt% 이상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철(Fe) 및 니켈(Ni)을 첨가하는 단계는,
    전체 합금 100 wt%을 기준으로,
    구리(Cu)함량 0.2wt% 이하,
    마그네슘(Mg) 함량 0.3wt% 이하, 및
    실리콘(Si) 함량 0.3wt% 이하를 만족하는 것인,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제조 방법.
KR1020200140202A 2020-10-27 2020-10-27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5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02A KR20220055767A (ko) 2020-10-27 2020-10-27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497,751 US11674201B2 (en) 2020-10-27 2021-10-08 High thermal conductive casting aluminum allo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02A KR20220055767A (ko) 2020-10-27 2020-10-27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767A true KR20220055767A (ko) 2022-05-04

Family

ID=8125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2A KR20220055767A (ko) 2020-10-27 2020-10-27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74201B2 (ko)
KR (1) KR20220055767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63936B2 (en) * 1992-08-05 1995-10-26 Denso Corporation Aluminum alloy fin material for heat-exchanger
JP3197251B2 (ja) * 1998-09-22 2001-08-1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用犠牲防食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熱交換器用高耐食性アルミニウム合金複合材
US10822675B2 (en) * 2015-03-06 2020-11-03 NanoAL LLC High temperature creep resistant aluminum superalloys
CN107022698A (zh) * 2016-02-02 2017-08-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导热压铸铝合金及其制备方法
KR20220063940A (ko) * 2020-11-11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강도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7699A1 (en) 2022-04-28
US11674201B2 (en)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7440B1 (en) Aluminum allo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3954798B1 (en) Die-cast aluminum allo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structural member for communication product
CN108265207B (zh) 一种高导热铝合金及其制备方法和散热体
US20230193429A1 (en) Aluminum alloy and use thereof
KR20140034557A (ko) 다이캐스팅용 고열전도도 Al-Cu 합금
KR20210118852A (ko) 고압 진공 다이 캐스팅용 파운드리 합금
EP4253584A1 (en) Aluminum alloy and aluminum alloy structural member
CN101709444B (zh) 一种无铅铝合金的热处理方法
JP4210020B2 (ja) 熱伝導性に優れたヒートシンク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
KR20220055767A (ko)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63940A (ko) 고강도 고열전도성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 방법
JP7472318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鋳物材
CN114836656A (zh) 一种可时效强化的高强度高导热压铸铝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575234A (zh) 一种5g手机用高导热高强韧耐腐蚀的铝合金及制造方法
JP2000017355A (ja)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およびその加工方法
CN113215454B (zh) 一种手机板材制造用铝合金
JP2002226932A (ja) 強度及び熱伝導性に優れたヒートシンク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及びその製造法
CN111455234B (zh) 一种真空泵转子用含Sm铝合金及其制备方法
WO2012111674A1 (ja) 高強度銅合金鍛造材
JP3407527B2 (ja) 電子機器用銅合金材
KR102617997B1 (ko)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의 제조방법
CN114717450B (zh) 一种高导热多元共晶铸造铝合金及其制备方法
CN117165817A (zh) 一种可钎焊的高导热系数高压铸造铝合金
KR102622846B1 (ko)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합금
KR101034862B1 (ko) 비열처리형 가공송전선용 알루미늄 합금 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