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739A - 의류용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의류용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739A
KR20220055739A KR1020200140152A KR20200140152A KR20220055739A KR 20220055739 A KR20220055739 A KR 20220055739A KR 1020200140152 A KR1020200140152 A KR 1020200140152A KR 20200140152 A KR20200140152 A KR 20200140152A KR 20220055739 A KR20220055739 A KR 20220055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storage space
accommodated
box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332B1 (ko
Inventor
양익순
이미연
양준호
전성표
유한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유진판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유진판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4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3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이상에서와 같은 의류용 포장박스에 의하면, 외부박스 내부가 내부박스에 의해 상, 하측으로 구획되고, 지지부재 측에는 옷걸이 후크가 고정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구획부재에 의해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과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으로 구획되되 옷걸이와 의류의 카라 또는 후드 부분이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하더라도 보관 및 배송 과정에서 구김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어 배송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품성 유지가 가능한 의류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 개폐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는 함체형상의 외부박스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되, 일측에는 상기 수납공간 일측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는 날개부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재 사이에는 상기 수납공간이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과 의류 상부로부터 접혀진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으로 구획되게 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내부박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용 포장박스{PACKAGING BOX FOR CLOTHING}
개시된 내용은 코트, 다운쟈켓과 같은 상의가 보관 및 배송될 때 사용되는 의류용 포장박스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그 내부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최근 인터넷을 통한 통신판매가 널리 이용되면서 그 사용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박스에 보관 및 운반되는 물품 중에서도 의류는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구겨지지 않도록 수납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고가의 의류나 쉽게 구겨지는 소재로 제조된 의류의 경우 소비자의 기대를 만족시키고 상품성을 유지 측면에서 구겨짐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보통은 박스에 의류를 수납할 때 특별한 구성없이 박스 내부에 의류를 수납한 상태로 운반되고 있으며, 박스 크기를 줄여 배송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의류가 펼쳐진 상태가 아닌 접혀진 상태로 배송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의류에 구김이 많이 발생되어 판매된 옷이 반품되거나 스팀 다리미 등으로 구겨진 상태를 개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후드에 모피가 부착된 다운쟈켓이나 모피코트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고급 의류의 경우 모피부분이 눌려 그 형상이 변형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옷이 펼쳐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박스 내부에 옷걸이용 행거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는 박스가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박스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박스 운반과정에서 의류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행거에서 떨어져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박스 내에 행거가 구비될 경우 박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밖에 없어 배송비용이 크게 증가됨은 물론, 박스의 제조단가 또한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05364호(1999.02.18)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59575호(2013.06.07)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1979호(2011.02.28)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하더라도 보관 및 배송 과정에서 구김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어 배송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품성 유지가 가능한 의류용 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 개폐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는 함체형상의 외부박스와,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되, 일측에는 상기 수납공간 일측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는 날개부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재 사이에는 상기 수납공간이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과 의류 상부로부터 접혀진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으로 구획되게 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내부박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포장박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지지부재 측에는 상기 옷걸이의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옷걸이와, 의류의 카라 또는 후드 부분이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확보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이로인해 상기 날개부재 상단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의류용 포장박스에 의하면, 외부박스 내부가 내부박스에 의해 상, 하측으로 구획되고, 지지부재 측에는 옷걸이 후크가 고정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구획부재에 의해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과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으로 구획되되 옷걸이와 의류의 카라 또는 후드 부분이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하더라도 보관 및 배송 과정에서 구김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어 배송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품성 유지가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의 내부박스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의 내부박스에 대한 부분 작동도.
도 5a 내지 도 5d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d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작동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외부박스(10)가 구비된다. 이 외부박스(10)는 추후에 설명될 내부박스(20)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된 의류가 수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부박스(10)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측에 개폐 가능한 덮개(12)가 구비되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외부박스(10)는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되 필요에 따라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덮개(12)의 형상은 수납공간(11)을 개폐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든 변경될 수 있으며, 개폐방법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박스 개폐방법 중 하나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수납공간(11) 내에는 내부박스(20)가 수납된다. 이 내부박스(20)는 의류, 그 중에서도 코트, 다운쟈켓과 같은 상의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구김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박스(20)는 그 일측에 수납공간(11) 일측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1)가 구비되고 지지부재(21) 양단에는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는 날개부재(22)가 각각 구비되며 날개부재(22) 사이에는 수납공간(11)이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111)과 의류 상부로부터 접혀진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112)으로 구획되게 하는 구획부재(23)가 구비된다.
지지부재(21)는 외부박스(10) 수납공간(11)의 일측 내벽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수납공간(11)으로 돌출된 모서리 일측에는 의류에 구비된 옷걸이의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구(22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관 및 배송시에도 삽입구(221)에 삽입 고정된 옷걸이에 의해 의류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부재(21) 양측으로 수납공간(11)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는 날개부재(22)는 전술한 삽입구(221)에 그 후크가 삽입된 옷걸이와 의류의 카라 또는 후드 부분이 구비되어 비교적 두꺼운 의류 상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확보가 가능하도록 지지부재(21)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로인해 날개부재(22) 상단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부재(23) 또한 지지부재(21)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측 수납공간(111)은 지지부재(21)가 위치된 일측 내벽이 타측 내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갖게되며, 반대로 하측 수납공간(112)은 타측 내벽이 일측 내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갖게된다. 이로인해 의류에 발생되는 구김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구획부재(23) 단부에는 상측 수납공간(111)에 그 상부가 수납된 의류의 하부가 하측 수납공간(112) 내에 수납가능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지 않고 타측 내벽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측 수납공간(112)을 향해 절첩되는 절첩부(231)가 형성된다. 또한 절첩부(231)는 수납공간(11) 내에 수납되는 의류의 두께에 따라 절첩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세 개 이상의 절첩선(232)이 형성된다.
즉, 상측 수납공간(111)에 위치된 의류 상부는 구획부재(23) 상에 놓여지고, 의류 하부는 구획부재(23) 단부를 따라 접혀져 하측 수납공간(112) 내에 수납되는데, 이를 위해 구획부재(23) 단부가 절첩되되, 의류의 두께에 따라 절첩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절첩선(232)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의류가 수납될 경우 절첩되는 길이가 길어지도록 절첩선(232)을 따라 절첩부(231)를 절첩시켜주고, 상대적으로 얇은 의류가 수납될 경우 절첩되는 길이가 짧아지도록 절첩선(232)을 따라 절첩부(231)를 절첩시켜준다. 이렇게 의류의 두께에 따라 절첩부(231)가 절첩되는 길이를 조절해 주게 되면 의류의 구김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11) 내에서 의류가 유동되는 현상 또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용 포장박스(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부박스(20)의 구획부재(23) 상에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 상부를 안착시키고 옷걸이의 후크를 지지부재(21)의 삽입구(221) 내에 삽입한 다음, 의류를 구획부재(23)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접어 의류 하부가 구획부재(23) 하측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구획부재(23)의 절첩부(231)는 의류의 두께에 맞게 절첩선(232)을 따라 절첩된 상태이다.
그런 다음,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위치된 내부박스(20)를 외부박스(10)의 수납공간(11) 내에 위치시키고, 구겨지거나 접혀진 부분이 없는지 확인한 뒤에 외부박스(10)의 덮개(12)를 덮어 밀봉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위치된 내부박스(20) 전체가 폴리백이나 부직포백 등에 먼저 담겨진 후에 외부박스(10)의 수납공간(11)에 수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의류용 포장박스에 의하면, 외부박스 내부가 내부박스에 의해 상, 하측으로 구획되고, 지지부재 측에는 옷걸이 후크가 고정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며, 구획부재에 의해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과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으로 구획되되 옷걸이와 의류의 카라 또는 후드 부분이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하더라도 보관 및 배송 과정에서 구김 발생이 최소화 될 수 있어 배송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품성 유지가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의류용 포장박스
10 : 외부박스
11 : 수납공간
111 : 상측 수납공간
112 : 하측 수납공간
12 : 덮개
20 : 내부박스
21 : 지지부재
211 : 삽입구
22 : 날개부재
23 : 구획부재
231 : 절첩부
232 : 절첩선

Claims (5)

  1.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측에 개폐 가능한 덮개(12)가 구비되는 함체형상의 외부박스(10); 및
    상기 수납공간(11) 내에 수납되되, 일측에는 상기 수납공간(11)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21)의 양단에는 상기 일측 내벽과 마주보는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는 날개부재(2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날개부재(22) 사이에는 상기 수납공간(11)이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되는 상측 수납공간(111)과 의류 상부로부터 접혀진 의류 하부가 수납되는 하측 수납공간(112)으로 구획되게 하는 구획부재(23)가 구비되는 내부박스(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포장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1) 측에는 상기 옷걸이의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구(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포장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22)는 상기 옷걸이와 의류의 카라 또는 후드 부분이 구비된 의류 상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확보가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1)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이로인해 상기 날개부재(22)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구획부재(23)는 상기 지지부재(21)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포장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23)의 단부에는 상기 상측 수납공간(111)에 그 상부가 수납된 의류의 하부가 하측 수납공간(112) 내에 수납가능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기 타측 내벽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측 수납공간(112)을 향해 절첩되는 절첩부(2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포장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231)는 상기 수납공간(11) 내에 수납되는 의류의 두께에 따라 절첩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세 개 이상의 절첩선(2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포장박스.
KR1020200140152A 2020-10-27 2020-10-27 의류용 포장박스 KR10242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52A KR102424332B1 (ko) 2020-10-27 2020-10-27 의류용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52A KR102424332B1 (ko) 2020-10-27 2020-10-27 의류용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739A true KR20220055739A (ko) 2022-05-04
KR102424332B1 KR102424332B1 (ko) 2022-07-25

Family

ID=8158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152A KR102424332B1 (ko) 2020-10-27 2020-10-27 의류용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3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4U (ko) 1997-07-15 1999-02-18 한재성 의류 운반용 박스
KR20110001979U (ko)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크린토피아 의류포장박스용 옷걸이 행거
KR20130059575A (ko) 2011-11-29 2013-06-07 신승욱 의류 포장 박스
US20130345036A1 (en) * 2012-06-12 2013-12-2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Garment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4U (ko) 1997-07-15 1999-02-18 한재성 의류 운반용 박스
KR20110001979U (ko)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크린토피아 의류포장박스용 옷걸이 행거
KR20130059575A (ko) 2011-11-29 2013-06-07 신승욱 의류 포장 박스
US20130345036A1 (en) * 2012-06-12 2013-12-2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Garment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332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209230A (ja) 梱包箱
US2796977A (en) Wardrobe box and holder hanger therefor
KR102424332B1 (ko) 의류용 포장박스
JP2020193016A (ja) 紙箱
US3999657A (en) Garment shipping carton
CN111108050B (zh) 衣物用包装箱
KR100912683B1 (ko) 옷걸이용 고리가 구비된 의류포장상자
KR200381611Y1 (ko) 통기성 포장용 상자
US20230114330A1 (en) Collapsible hamper with swinging lid
US6523740B2 (en) Floral container
JP3210339U (ja) 包装箱
JP6046415B2 (ja) 衣類用梱包箱
WO2020249051A1 (zh) 物流筐
KR101635308B1 (ko) 형상 변형으로 정보 제공이 가능한 포장상자
CN104136332B (zh) 香烟的硬包装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20170101380A (ko) 접이식 포장박스
US20040154944A1 (en) Quilter's block box
KR102279646B1 (ko) 상자뚜껑
JPS5917831Y2 (ja) 衣類の収納ケ−ス
US1141076A (en) Collapsible shipping-package.
KR200398096Y1 (ko) 의류포장용 팩
CN218056065U (zh) 一种全纸西服运输包装箱
KR20120041561A (ko) 수납박스
JP3246955U (ja) 折り畳み可能な容器及び容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