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96A -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196A
KR20220055196A KR1020200139426A KR20200139426A KR20220055196A KR 20220055196 A KR20220055196 A KR 20220055196A KR 1020200139426 A KR1020200139426 A KR 1020200139426A KR 20200139426 A KR20200139426 A KR 20200139426A KR 20220055196 A KR20220055196 A KR 2022005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module
sensing unit
fpcb
modul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3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196A/ko
Priority to CN202180039637.XA priority patent/CN115702357A/zh
Priority to JP2022571851A priority patent/JP2023526681A/ja
Priority to US17/927,613 priority patent/US20230207909A1/en
Priority to EP21886724.0A priority patent/EP4148440A1/en
Priority to PCT/KR2021/015003 priority patent/WO2022092730A1/ko
Publication of KR2022005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한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부재(120); 상기 센싱부재(120)를 포함하는 FPCB(100); 상기 FPCB(100)와 연결되는 버스바 프레임(300); 및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버스바(200); 를 포함하되, 상기 FPCB(100)와 상기 버스바(200)는 중첩되면서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Battery Module Sensing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와 FPCB가 직접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모듈의 슬림화와 원가절감을 달성하기 위해 부품 공용화를 목적으로 규격화된 표준 배터리 모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표준 배터리 모듈에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각 배터리 셀을 관리하기 위해서 각 배터리 셀의 전압 등을 측정해야 한다. 예컨대, 각 배터리 셀에 기계식 또는 전자식 센서를 용접하거나 클립방식으로 체결하고, 각 배터리 셀
과 전압을 측정하는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 등을 장착하여,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개별 배터리 셀을 제어한다. 만약,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지 못하면, 해당 배터리 셀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충전과 방전을 할 수 없어 배터리 셀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이처럼 친환경 자동차에서는 배터리 셀 단위의 전압을 센싱하여 과충전 방지 및 전압 밸런싱 등의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배터리 셀 단위의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 유닛은 센싱 버스바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이하 "FPCB"라 한다)로 구성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와이어 및 커넥터 등이 필요하다. 즉, 센싱 버스바와 FPCB 간의 연결은 커넥팅, 용접, 단자 압착 등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고, 별도의 부수적인 부품들이 사용되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센싱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 개수가 많고, 제작 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센싱 모듈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센싱 유닛의 개략도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 유닛은 FPCB(10), 버스바(20), 버스바 프레임(30) 및 센싱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여기서, FPCB(10)은 센싱 플레이트(40)와 에폭시 도포 등 방식으로 결합되고, 센싱 플레이트(40)와 버스바(20)는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FPCB(10)와 센싱 플레이트(40)는 일측면으로 연장되면서 에폭시 도포로 결합되어, 전체 길이가 길어져 센싱 유닛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FPCB, 버스바 수용실을 포함하는 측정부 본체, 버스바, 상기 버스바와 측정부 본체를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센싱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배터리 셀 각각에 연결된 셀 버스바를 구비하는 배터리 셀 조립체에 결합되는 센싱 하우징, 센싱 버스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s Board; 이하 "PCB"라 한다) 및 PCB와 연결된 굴곡된 형상 변형부를 형성하여 버스바들 간의 접속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구비한 센싱 유닛이 개시되었다.
이들 특허문헌 1 및 2 모두 센싱 유닛의 결합구조를 간소화하려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나, 센싱 유닛의 부피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센싱 유닛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45409호 (2003.02.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91325호 (2018.08.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피를 감소하여 주위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은, 센싱부재(120), 상기 센싱부재(120)를 포함하는 FPCB(100), 상기 FPCB(100)와 연결되는 버스바 프레임(300) 및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버스바(200)를 포함하되, 상기 FPCB(100)와 상기 버스바(200)는 중첩되면서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중첩되는 FPCB(100)와 상기 버스바(200)의 사이에는 센싱부재(12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버스바(200)는 센싱부재(120)와 직접 밀착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센싱부재(120)는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버스바(200)는 상기 돌출부(122)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는 FPCB(100)을 장착할 수 있는 수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수용부(310)는 상기 FPCB(100)가 안착되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만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FPCB(100)와 상기 수용부(310)가 대면하는 면은 점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는 후크(320)가 위치하여 상기 버스바(2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a)버스바 프레임(300)에 수용부(310)를 형성하는 단계, (b)센싱부재(120)를 포함하는 FPCB(100)를 상기 수용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c)버스바(200)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 상기 수용부 표면에 점착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들 중 상충되지 않는 구성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을 구성하는 FPCB와 버스바가 단순 조립으로 연결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시간을 축수할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FPCB와 버스바가 중첩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기존 센싱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제조 공정에서의 부품이 줄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을 설명하면, 버스바 프레임(300), 버스바 프레임(300)에 위치하는 FPCB(100), FPCB(100)에 위치하는 센싱부재(120) 및 버스바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버스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버스바 프레임(300)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스바 프레임(300)은 FPCB(100)이 안착되는 수용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310)는 FPCB(100)이 버스바 프레임(300)의 일측에 수용되고 탑재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바닥면이 평평한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용부(310)에는 FPCB(100)이 안착되고, 수용부(310)의 바닥면과 FPCB(100)의 접촉면 사이에는 점착제, 양면 테이프 등 점착수단이 개재되어 FPCB(100)이 수용부(310)에서의 뒤틀림 혹은 이탈 등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용부(310)의 바닥면이 수평면일 경우 FPCB(100)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상기 점착수단은 상기 수용부(310)의 바닥면과 FPCB(100)가 대면하는 전체 혹은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점착수단은 전도성 점착제(electroconductive adhesive)일 수 있고, 상기 전도성 점착제는 회로 배선의 접합을 위해 종래의 납땜 대신에 사용되는 전도성과 점착성을 가진 점착제로서, 구성 물질 또는 성질에 따라 상온건조형 점착제, 상온경화형 점착제, 열경화형 점착제, 고온소성형 점착제, UV 경화형 점착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10)의 바닥면까지의 깊이는 FPCB(100)의 후술 돌출부(122)로부터 후술 기판필름(110)까지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0)에 FPCB(100)를 탑재한 버스바 프레임(300)은 버스바(200)와 결합되고, 버스바(200)는 FPCB(100)의 돌출부(122)와 밀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FPCB(10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인 돌출부(122)에서 기판필름(110)까지의 두께가 상기 수용부(310)의 깊이보다 클 경우 상기 돌출부(122)가 상부에 위치하는 버스바(200)에 밀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수용부(310)의 변두리에는 후술 버스바(20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후크(hook)식 결합 구조일 수 있고,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홈과 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홈과 돌기는 슬라이딩 도브테일(dovetail)형 방식일 수 있다. 버스바(200)와 버스바 프레임(30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다음은 FPCB(100) 및 센싱부재(12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버스바 프레임(300)의 수용부(310)에 위치되는 FPCB(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필름(110)과 센싱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FPCB(100)는 기판 필름(110) 위에 센싱시트(121)로 회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 필름(110)은 기판 필름(110)상에 회로 배선(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해 전도성 인쇄 잉크가 밀도 있게 인쇄될 수 있거나 정도성 필름을 배치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 필름(110)은 투명, 반투명 도는 불투명할 수 있다. 투명하고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계열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고온에 견딜 수 있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imide), PU(polyurethane) 계열의 합성 수지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센싱시트(121)는 동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동박은 프레싱을 통해 하나 이상의 구형 돌출부(122)를 형성하여 센싱부재(1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22)의 높이는 수용부(310)의 바닥면까지의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돌출부(122)의 높이가 수용부의 깊이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와 중첩되면서 위치하는 버스바(200)와 접촉면이 형성되면서 전기적 결합을 이루는데 유리하다.
상기 돌출부(122)의 내부 즉 버스바 프레임(300)의 수용부(310)와 대면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보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공간내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122)가 버스바(200)와 밀착 시 순간 밀착 압력 등에 의해 돌출 반대 방향으로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FPCB(100)와 버스바(200)의 원활한 전기적 연결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재는 UV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무계열, 합성수지계열의 용재가 이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버스바(2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버스바(200)는 상방에서 볼 때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버스바(200 )는 금속판재를 소정의 형상에 프레스 가공해서 이루어진다. 버스바(200)는 비철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리, 구리합금, 스테인리스 강(SUS) 등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스바(200)의 표면에는 주석, 니켈 등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의 제조 방법은, (a) 버스바 프레임(300)에 수용부(310)를 형성하는 단계; (b)센싱부재(120)을 포함하는 FPCB(100)을 상기 수용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c) 버스바(200)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센싱부재(120)의 센싱시트(121)가 상기 수용부(31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돌출부(122)는 상기 바닥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버스바(200)와 대면하여 밀착할 수 있게 배치된다.
물론, FPCB(100)를 버스바 프레임(300)의 수용부(310)에 배치 하기전에 점착제를 배치하는 단계를 선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재(120)의 정면도이다.
돌출부의 형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센싱시트(121)를 프레시 하여 형성된 돌출부(122)는 긴 터널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터널형 돌출부(122)는 버스바(200)와 반구형 돌출부의 한 개의 포인트가 아닌 하나의 직선으로 복수개의 연결점 혹은 선형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재(120)와 버스바(200)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는데 유리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은 배터리 모듈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파우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우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에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후, 테두리가 융착됨으로써 수납부가 밀폐되며, 전극 조립체 양측 또는 일측으로는 한 쌍의 전극리드가 연결된 채 파우치 외측으로 돌출된다. 물론 전극 조립체의 양극 탭과 음극 탭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셀 파우치 외부로 노출되거나, 탭을 생략하고 셀 조립체와 전극리드가 직접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전극조립체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스택형 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조립체, 또는 전지 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액체전해질 외에도, 고체전해질이나, 고체전해질에 첨가제를 부가하여 액체와 고체 중간형태를 띄는 겔 형태의 준고체전해질로 치환되어도 문제가 없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전극조립체는 파우치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파우치는 통상적으로 내부층/금속층/외부층의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층은 전극 조립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과 내전해액성을 가져야 하고, 또 외부와의 밀폐를 위하여 실링성 즉, 내부층끼리 열 점착된 실링 부위는 우수한 열점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부층의 재료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실링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크릴산,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이미드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내부층과 접하고 있는 금속층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각종 가스가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해당되고, 이러한 금속층의 바람직한 재료로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막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층의 타측면에는 외부층이 구비되며, 이러한 외부층은 전극 조립체를 보호하면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투습방지성 및 공기투과 방지성이 우수한 내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은 파우치형 배터리 셀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배터리 셀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은 단독 또는 복수개가 하나의 집합체를 구성하는 배터리 팩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은 각종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100: FPCB
20, 200: 버스바
30, 300: 버스바 프레임
40: 센싱 플레이트
110: 기판 필름
120: 센싱부재
121: 센싱시트
122: 돌출부
310: 수용부
320: 후크

Claims (13)

  1. 센싱부재(120);
    상기 센싱부재(120)를 포함하는 FPCB(100);
    상기 FPCB(100)와 연결되는 버스바 프레임(300); 및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과 결합되는 버스바(200);
    를 포함하되,
    상기 FPCB(100)와 상기 버스바(200)는 중첩되면서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되는 FPCB(100)와 상기 버스바(200)의 사이에는 센싱부재(12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200)는 센싱부재(120)와 직접 밀착되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재(120)는 돌출부(1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200)는 상기 돌출부(122)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는 FPCB(100)을 장착할 수 있는 수용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10)는 상기 FPCB(100)가 안착되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PCB(100)와 상기 수용부(310)가 대면하는 면은 점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는 후크(320)가 위치하여 상기 버스바(2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2. (a) 버스바 프레임(300)에 수용부(310)를 형성하는 단계;
    (b) 센싱부재(120)를 포함하는 FPCB(100)를 상기 수용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c) 버스바(200)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 사이에 상기 수용부(310) 표면에 점착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제조 방법.
KR1020200139426A 2020-10-26 2020-10-26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5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26A KR20220055196A (ko) 2020-10-26 2020-10-26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180039637.XA CN115702357A (zh) 2020-10-26 2021-10-25 电池模块感测单元及其制造方法
JP2022571851A JP2023526681A (ja) 2020-10-26 2021-10-25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センシング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7/927,613 US20230207909A1 (en) 2020-10-26 2021-10-25 Battery module sens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1886724.0A EP4148440A1 (en) 2020-10-26 2021-10-25 Battery module sens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21/015003 WO2022092730A1 (ko) 2020-10-26 2021-10-25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26A KR20220055196A (ko) 2020-10-26 2020-10-26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96A true KR20220055196A (ko) 2022-05-03

Family

ID=8138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426A KR20220055196A (ko) 2020-10-26 2020-10-26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07909A1 (ko)
EP (1) EP4148440A1 (ko)
JP (1) JP2023526681A (ko)
KR (1) KR20220055196A (ko)
CN (1) CN115702357A (ko)
WO (1) WO202209273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409A (ja) 2001-07-31 2003-02-14 Yazaki Corp 電源装置
KR20180091325A (ko) 2017-02-06 2018-08-16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621B2 (en) * 2013-08-28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 circuit system for a battery assembly of an electrified vehicle
KR102032999B1 (ko) * 2017-02-28 2019-10-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259416B1 (ko) * 2017-12-14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07779574U (zh) * 2018-01-31 2018-08-2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的温感器安装组件及电池
KR102150679B1 (ko) * 2018-03-13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139426A (ko)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막,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409A (ja) 2001-07-31 2003-02-14 Yazaki Corp 電源装置
KR20180091325A (ko) 2017-02-06 2018-08-16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7909A1 (en) 2023-06-29
WO2022092730A1 (ko) 2022-05-05
JP2023526681A (ja) 2023-06-22
EP4148440A1 (en) 2023-03-15
CN115702357A (zh)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4178B2 (en) Battery module and combination battery
CN102804452B (zh) 电池模块
JP5194584B2 (ja) 配線基板、及び積層型蓄電デバイス
US11139539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JP5154451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110622341B (zh) 具有增强的电连接稳定性的电池模块
US9349998B2 (en) Battery pack
US9343723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EP2693511B1 (en) Battery pack
CN117895258A (zh) 电池模块
CN104253252A (zh) 电池模块
CN103972461B (zh) 可再充电电池包
CN110268551B (zh) 电池模块、电池模块制造方法、电池组和车辆
CN104425851A (zh) 用于电气化车辆的蓄电池总成的柔性电路系统
JP2012123980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プレート組立体
US20220166117A1 (en) Cover Assembly for a Cell Housing of a Prismatic Battery Cell With Connection Contacts for a Heating Device, Battery Cell and High-Voltage Battery
KR20220055196A (ko) 배터리 모듈 센싱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6711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12037A (ko)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428331B2 (ja) パウチセルの内圧測定用の軟性印刷回路基板及びパウチセルの内圧測定方法
US20210313554A1 (en) Laminate-type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inspecting short-circuiting of the same
US20220102820A1 (en) Battery
EP1936716A1 (en) Wiring board, stacked battery device, and vehicle having stacked battery device
CN117242627A (zh) 包括柔性印刷电路板的袋型电池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