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70A -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170A
KR20220055170A KR1020200139371A KR20200139371A KR20220055170A KR 20220055170 A KR20220055170 A KR 20220055170A KR 1020200139371 A KR1020200139371 A KR 1020200139371A KR 20200139371 A KR20200139371 A KR 20200139371A KR 20220055170 A KR20220055170 A KR 20220055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rder
affiliated store
custom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랫폼에이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랫폼에이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랫폼에이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3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170A/ko
Publication of KR2022005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Abstract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다수의 매장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이 제공된다. 상품주문방법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거리 순으로 정렬된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상품주문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Real-time product orde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주문한 상품을 해당 가맹점에서 즉시 수령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식점이나 까페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해당 장소를 직접 방문하고, 종업원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 예컨대 메뉴를 주문한 후, 이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고객은 커피 등의 음료를 구입하고자 하는 까페에 방문하고, 해당 까페의 카운터에서 차례로 음료를 주문한 후, 까페 내에서 대기하여 주문한 음료를 취식하거나 포장하는 방식으로 이를 수령한다. 이로 인해, 고객은 주문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까페에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해당 까페에서도 고객의 주문을 응대하기 위한 별도의 종업원이 필요하여 운영의 부담이 발생되고 있었다.
최근,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의 모바일 통신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음식점이나 까페 등에서 원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원격 주문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 주문서비스는 고객이 직접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매장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선택된 매장의 포스(point of sales, POS) 시스템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주문해야 하므로, 상품 주문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원격 주문서비스는 해당 매장에서 다수의 고객들이 주문한 순서대로 상품을 준비하고 있어, 고객은 해당 상품을 수령하기 위하여 매장 내에서 장시간 대기해야 하며, 이에 기존의 고객이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방식과 큰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다수의 매장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상품주문방법을 위한 상품주문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품주문시스템은,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고객단말기,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구비된 가맹점단말기 및 고객단말기와 가맹점단말기에 온라인으로 연결된 상기 고객단말기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문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주문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은, 주문관리서버에 접속된 고객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관리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가맹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기로부터 상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단말기에서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가맹점에서 고객의 상품수령이 완료되면, 상기 고객단말기에서 결제된 상품 구매에 따른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기에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은,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거리 순으로 정렬된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검색없이도 고객이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어 상품주문 및 이의 수령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맹점에서 접수된 다수의 구매정보를 접수 시간 또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완료함으로써, 가맹점의 주문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고객에게 주문접수 알림과 함께 이를 수령하기 위한 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이 해당 가맹점에서 상품 수령을 하기 위해 장시간 대기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객의 상품주문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고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맹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고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가맹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실시간 상품주문시스템은 고객단말기(100), 주문관리서버(200) 및 다수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이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사용자, 즉 고객이 소지하는 단말장치로, 컴퓨터, 노트PC, 태블릿PC, 스마트폰 등과 같이 주문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인증부(110), 비용결제부(120), 정보저장부(130) 및 주문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에는 고객용 주문프로그램 또는 주문앱(Application, App)이 탑재되고, 이의 구동에 따라 인증부(110), 비용결제부(120), 정보저장부(130) 및 주문모듈(150)이 동작되어 주문관리서버(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의 인증부(110)는 주문관리서버(200)에 고객단말기(100)의 접속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110)는 주문관리서버(200)로 내부, 예컨대 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고객접속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접속을 인증할 수 있다. 고객접속정보는 고객이 주문관리서버(200)에 회원가입을 통해 등록한 고객ID 및 패스워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10)는 고객접속정보와 함께 고객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즉 고객단말기(100)의 현재 지피에스(GPS)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용결제부(120)는 후술될 주문모듈(150)에 의해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예컨대 다수의 가맹점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메뉴에 대한 구매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비용결제부(120)는 주문관리서버(200) 또는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부터 해당 상품의 구매비용에 대한 비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용결제부(120)는 비용정보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결제방식, 예컨대 계좌이체 결제방식,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결제방식 또는 전용 가상화폐 결제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정보저장부(130)에는 고객의 다양한 정보, 예컨대 전술된 고객접속정보, 고객의 이름, 연락처, 결제수단정보 등의 개인정보 및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이루어진 기존의 구매내역, 이에 따른 적립 마일리지내역 등의 구매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주문모듈(150)은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이를 판매하는 가맹점 및 상품의 수령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주문관리서버(200)에 구매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모듈(150)은 가맹점선택부(151), 상품선택부(153) 및 수령선택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선택부(151)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가맹점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선택할 수 있다. 가맹점정보는 각 가맹점의 상호, 운영시간, 위치, 편의시설 등의 영업정보 또는 고객들의 주문수, 리뷰 등의 평가정보 또는 매장 내 빈좌석정보 또는 할인, 마일리지 적립 등의 부가서비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에서 수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또는 고객단말기(100)의 현 위치에서 소정 반경, 예컨대 1~2km의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맹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고객단말기(100)의 가맹점선택부(151)는 수신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거리 순으로 정렬하고, 이를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가맹점선택부(151)는 상기 다수의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현재 고객의 위치에 가장 근접된 가맹점정보가 최상단에 배치되도록 정렬하여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주문관리서버(200)에서 고객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소정 반경 내의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거리 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이에, 고객단말기(100)의 가맹점선택부(151)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거리 순으로 정렬된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품선택부(153)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 예컨대 음식이나 음료 등의 메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상품정보는 전술된 가맹점선택부(151)의 선택에 따라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에 대한 이름, 용량, 가격, 선택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선택부(153)는 표시부를 통해 고객이 선택한 가맹점의 다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수령선택부(155)는 상품선택부(153)에 의해 선택된 상품의 수령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상품의 수령방법은 가맹점 내 취식, 포장, 배달 등의 방법 중 하나일 수 있다.
주문모듈(150)은 전술된 가맹점선택부(151), 상품선택부(153) 및 수령선택부(155) 각각의 선택결과를 종합하여 고객이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모듈(150)을 생성된 구매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간을 연계하여 고객의 실시간 상품주문 및 이에 따른 해당 가맹점에서의 상품준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고성능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객관리모듈(210), 위치정보관리모듈(220), 가맹점관리모듈(230), 주문관리모듈(240), 부가정보관리모듈(250) 및 비용관리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관리서버(200)에는 실시간 주문관리 프로그램 또는 앱이 탑재되고, 이의 구동에 따라 동작되어 고객단말기(100) 및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 실시간 고객의 상품주문 및 이에 따른 상품 준비와 수령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의 고객관리모듈(210)은 고객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회원가입정보, 예컨대 고객ID, 패스워드, 이름, 연락처, 결제수단 등을 포함하는 회원가입정보로부터 고객단말기(100)를 등록할 수 있다.
고객관리모듈(210)은 등록된 고객단말기(100)가 주문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저장된 회원가입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고객단말기(100)의 접속을 인증할 수 있다.
위치정보관리모듈(220)은 고객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즉 고객단말기(100)의 현재 지피에스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맹점관리모듈(230)은 다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부터 전송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로부터 해당 가맹점을 등록할 수 있다.
가맹점정보는 각 가맹점의 상호, 운영시간, 위치, 편의시설 등의 영업정보 또는 고객들의 주문수, 리뷰 등의 평가정보 또는 매장 내 빈좌석정보 또는 할인, 마일리지 적립 등의 부가서비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정보는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에 대한 이름, 용량, 가격, 선택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는 후술될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 의해 소정 주기로 갱신될 수 있다.
가맹점관리모듈(230)은 위치정보관리모듈(220)에 수집된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가맹점관리모듈(230)은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반경, 즉, 고객의 현재 위치에서 1~2km 내에 있는 다수의 가맹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를 리스트로 하여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고객단말기(100)에서는 가맹점관리모듈(230)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고객단말기(100)는 상기 리스트를 거리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되, 현재 고객단말기(100)의 위치와 근접된 가맹점정보가 최상단에 표시되도록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단말기(100)는 가맹점관리모듈(230)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리스트 각각을 가맹점 상호(A), 빈좌석정보(B) 및 가맹점까지의 거리(C)가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맹점관리모듈(230)이 추출된 다수의 가맹점을 고객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거리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가맹점관리모듈(230)은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짧은 거리 순서로 가맹점들을 정렬하여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관리모듈(240)은 고객단말기(100)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문관리모듈(240)은 구매정보를 수신한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부터 전송된 주문접수정보 또는 주문완료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관리모듈(240)은 구매정보에 고객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는 고객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대기시간정보가 포함된 주문접수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부가정보관리모듈(250)은 가맹점정보의 부가서비스정보에 기초하여 주문관리모듈(240)에 수신된 구매정보로부터 고객의 상품구매에 따른 비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용정보는 상품에 대한 최초구매비용에 부가서비스정보의 할인이 반영된 구매비용일 수 있다. 부가정보관리모듈(250)은 생성된 비용정보를 고객단말기(100) 및 해당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비용관리모듈(260)은 비용정보에 따라 고객단말기(100)로부터의 비용결제를 관리할 수 있다. 비용관리모듈(260)은 고객단말기(100)로 비용결제를 요청하고, 고객단말기(100)에서 이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제정보는 고객단말기(100) 및 해당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가맹점 내에 위치하는 포스 시스템일 수 있다. 다수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은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고객의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이에 대한 상품을 준비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은 가맹점정보등록부(310), 주문처리모듈(320) 및 결제관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에는 가맹점용 주문프로그램 또는 주문앱이 탑재되고, 이의 구동에 따라 동작되어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구매정보에 따른 상품을 준비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정보등록부(310)는 해당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와 판매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가맹점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정보등록부(310)는 해당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갱신할 수 있다.
가맹점정보는 각 가맹점의 상호, 운영시간, 위치, 편의시설 등의 영업정보 또는 고객들의 주문수, 리뷰 등의 평가정보 또는 매장 내 빈좌석정보 또는 할인, 마일리지 적립 등의 부가서비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정보는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에 대한 이름, 용량, 가격, 선택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정보 중 빈좌석정보는 후술될 주문처리모듈(320)에 의한 주문접수 및 주문완료의 수로부터 빈좌석의 수가 자동으로 산출되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가맹점정보등록부(310)는 변경된 빈좌석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기 저장된 가맹점정보를 수시로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빈좌석정보는 가맹점에서의 주문접수 수 및 주문완료 수에 따라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빈좌석정보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 구매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그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빈좌석정보는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 주문완료된 수가 증가되는 경우에 그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맹점정보등록부(310)는 가맹점에서의 주문접수 및 주문완료에 따라 변경되는 빈좌석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수시로 전송하여 기 저장된 가맹점정보가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빈좌석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점주 또는 종업원에 의해 비정기적으로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가맹점정보등록부(310)는 입력된 빈좌석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기 저장된 가맹점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는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구매정보에 따라 가맹점의 빈좌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가맹점정보로 주문관리서버(20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고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고객단말기(100)로 제공된 다수의 가맹점들에 대하여 각 가맹점의 빈좌석 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맹점의 주문접수 및 주문완료의 수로부터 빈좌석 개수가 자동으로 산출되어 빈좌석정보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가맹점에 별도의 센서 등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가맹점 내의 빈좌석 수를 산출하여 고객에게 빈좌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문처리모듈(320)은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로부터 고객의 주문을 접수하고, 접수된 주문에 따라 상품을 준비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주문을 완료할 수 있다. 주문처리모듈(320)은 주문접수부(321) 및 주문완료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접수부(321)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를 가맹점의 주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주문접수부(321)는 소정의 접수주기마다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구매정보를 이의 수신시간 순서대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
또한, 주문접수부(321)는 상기 접수주기마다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른 거리 순서대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접수부(321)는 취합된 구매정보 각각에 포함된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가맹점과 가장 근거리에 있는 고객단말기(100)의 구매정보가 최상단에 배치되도록 취합된 구매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접수부(321)는 정렬된 구매정보를 순차적으로 가맹점의 주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접수부(321)는 정렬된 구매정보를 가맹점의 점주나 종업원에게 표시하여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문접수부(321)는 구매정보의 수신시간 또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라 소정 주기로 취합된 고객의 구매정보를 순차적으로 주문으로 접수함으로써, 가맹점주 또는 종업원이 접수된 주문의 순서대로 상품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고객이 주문 상품을 수령하기 위해 가맹점 내에서 대기하는 수 또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 고객 및 가맹점의 상품주문 및 준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문접수부(321)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에 따라 주문을 접수함과 함께, 해당 주문의 주문접수정보를 생성하여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수신된 주문접수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접수정보에는 주문접수부(321)에 의한 주문 접수 순서에 따른 대기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문접수부(321)는 구매정보의 수신시간 또는 고객의 현재 위치에 따라 주문접수의 순서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주문접수부(321)의 주문접수정보에 포함된 대기시간정보는 선순위 주문접수와 대비하여 후순위 주문접수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이에, 고객은 자신의 고객단말기(100)로 전송된 주문접수정보의 대기시간정보를 참조하여 그 시간 내에 해당 가맹점을 방문하여 상품을 수령할 수 있어, 상품 수령을 위한 가맹점 내 대기시간을 현저하게 줄여 실시간 상품주문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주문완료부(325)는 접수된 주문에 따라 해당 상품의 준비가 완료되거나 또는 해당 상품을 고객이 수취한 경우에,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완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완료부(325)는 주문완료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수신된 주문완료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관리부(330)는 주문완료정보에 따라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비용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제관리부(330)는 최초 상품구매비용에 해당 가맹점의 부가서비스정보, 예컨대 할인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최종비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제관리부(330)는 해당 가맹점을 방문한 고객에게 최종비용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비용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의 비용결제가 완료되면 결제관리부(330)는 결제완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제관리부(330)는 결제완료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수신된 결제완료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고객단말기(100)가 주문관리서버(200)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한 경우에, 결제관리부(330)는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고객의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결제관리부(330)는 주문완료정보와 함께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의 결제완료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관리서버(200)는 수신된 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품주문시스템은 고객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거리 순으로 정렬된 다수의 가맹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별도의 검색없이도 인접한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실시간 주문을 할 수 있어 편리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품주문시스템은 고객단말기(100)로부터 접수되는 구매정보의 수신시간 또는 구매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현재 위치에 따라 가맹점에서 순차적으로 상품을 준비함으로써, 고객이 상품 수령을 위해 가맹점에 방문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줄여 고객 및 가맹점의 상품주문 및 준비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와 함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위치기반 모바일 주문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객은 자신의 단말기, 즉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주문관리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가맹점들 각각은 자신의 단말기, 즉 가맹점단말기(300-1~300-N)를 통해 주문관리서버(200)에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다(S10).
고객단말기(100)는 고객의 ID 및 패스워드, 이름, 연락처, 결제수단 등의 고객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다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정보는 각 가맹점의 상호, 운영시간, 위치, 편의시설 등의 영업정보 또는 고객들의 주문수, 리뷰 등의 평가정보 또는 매장 내 빈좌석정보 또는 할인, 마일리지 적립 등의 부가서비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정보는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에 대한 이름, 용량, 가격, 선택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는 해당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 의해 수시 또는 소정 주기로 갱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단말기(100)는 고객접속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접속을 인증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접속이 인증된 고객단말기(100)로부터 현재의 고객 위치정보, 즉 고객단말기(100)의 현재 지피에스정보를 위치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고객의 위치에 근접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S20).
주문관리서버(200)는 저장된 다수의 가맹점정보를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라 추출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의 현재 위치로부터 1~2km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맹점들 각각을 추출하고, 이들의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의 리스트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단말기(100)는 수신한 리스트를 거리 순, 즉 현재 위치로부터 짧은 거리 순서로 정렬하여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의 상호(A), 가맹점 내의 빈좌석정보(B) 및 고객 위치에 따른 가맹점까지의 거리정보(C)를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기(100)는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은 가맹점정보, 예컨대 영업정보, 평가정보 및 부가서비스정보 등은 해당 가맹점에 대한 상세보기 등을 통해 고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문관리서버(200)에서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라 추출된 가맹점정보 및 상품정보를 고객 또는 고객단말기(100)와의 거리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리스트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다수의 가맹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가맹점을 선택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의 선택에 따라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0).
계속해서, 고객단말기(100)는 제공된 다수의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기(100)는 선택한 상품에 대한 수령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단말기(100)는 선택된 가맹점정보, 상품정보 및 수령방법을 포함하는 구매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40).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를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에서 선택된 상품의 구매에 대한 비용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S50).
이때, 주문관리서버(200)는 저장된 가맹점정보의 부가서비스정보, 예컨대 할인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최초 구매비용에서 할인이 반영된 비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다양한 결제방식을 이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해당 비용정보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의 결제완료에 따른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고객단말기(100) 및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고객단말기(100)는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한 구매정보에 따라 해당 가맹점에서 주문이 완료된 경우, 다시 말해 가맹점에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되어 이를 수령한 후,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한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해당 구매정보에 따라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접수된 주문이 완료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접수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를 통해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60).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를 주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소정의 접수주기마다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구매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수신시간 또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른 거리 순으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가맹점의 주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관리서버(200)로부터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 전송되는 구매정보에는 해당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는 취합된 다수의 구매정보 각각의 고객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가맹점과 최단거리에 있는 고객의 구매정보가 최상단에 배치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정렬된 다수의 구매정보 각각을 가맹점의 주문으로 접수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주문의 접수순서에 따라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산출된 대기시간을 포함하는 주문접수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주문관리서버(200)는 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 주문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된 구매정보의 수신시간 또는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른 거리 순으로 순차적인 주문을 접수함으로써, 해당 가맹점에 대한 구매정보를 먼저 전송한 고객 또는 상기 해당 가맹점에 가장 근접되어 위치하는 고객의 주문이 선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가맹점주 또는 종업원의 주문처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접수된 주문의 순서대로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주문접수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이 해당 가맹점에서 상품 수령을 하기 위해 장시간 대기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객의 상품주문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접수된 주문의 수에 따라 가맹점 내의 빈좌석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정된 빈좌석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가맹점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7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맹점의 빈좌석정보는 가맹점단말기(300-1~300-N)의 주문접수의 수와 가맹점에서 처리된 주문완료의 수의 차이값에 따라 자동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가맹점의 전체 좌석 숫자가 10, 주문접수의 숫자가 7 및 완료된 주문의 숫자가 2인 경우에, 해당 가맹점에 대한 빈좌석정보는 전체 좌석 수에서 접수된 주문과 완료된 주문의 차이를 차감한 값, 예컨대 5로 산출될 수 있다.
이에,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주문접수 및 주문완료에 따라 수정되는 빈좌석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수시 전송하여 기존의 가맹점정보를 갱신하고, 주문관리서버(200)는 고객단말기(100)에 빈좌석정보가 갱신된 가맹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가맹점의 빈좌석 수를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맹점의 점주 또는 종업원은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 접수된 주문에 따라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이 해당 가맹점에 방문하여 준비된 상품을 수령하면,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주문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문관리서버(200)는 주문완료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80).
이어,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주문완료정보에 따라 고객의 상품구매에 따른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고객의 최초 상품구매비용에 해당 가맹점의 부가서비스정보, 즉 할인을 적용하여 최종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고객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가맹점단말기(300-1~300-N)에서 제공된 비용정보에 따라 해당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고객단말기(100)의 비용결제에 따른 결제완료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관리서버(200)는 수신된 결제완료정보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주문관리서버(200)에서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 고객의 결제정보가 전송된 경우에, 가맹점단말기(300-1~300-N)는 해당 고객의 주문에 대한 주문완료정보와 함께 상품에 대한 비용의 결제완료정보를 주문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문관리서버(200)는 가맹점단말기(300-1~300-N)로부터 전송된 결제완료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가맹점정보의 부가서비스정보, 예컨대 마일리지 적립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고객에게 소정의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다(S90).
그리고, 주문관리서버(200)는 적립 마일리지를 고객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100)는 수신된 적립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저장된 적립 마일리지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주문방법은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거리 순으로 정렬된 다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검색없이도 고객이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어 상품주문 및 구매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품주문방법은,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구동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고객단말기(100), 주문관리서버(200) 및 다수의 가맹점단말기(300-1~300-N) 각각에는 전술된 상품주문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이의 구동에 따라 각 장치에서 고객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 비용결제 및 가맹점에서의 상품수령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고객단말기 110: 인증부
120: 비용결제부 130: 정보저장부
150: 주문모듈 200: 주문관리서버
210: 고객관리모듈 220: 위치정보관리모듈
230: 가맹점관리모듈 240: 주문관리모듈
250: 부가정보관리모듈 260: 비용관리모듈
300-1~300-N: 가맹점단말기 310: 가맹점정보등록부
320: 주문처리모듈 330: 결제관리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에 있어서,
    주문관리서버에 접속된 고객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관리서버에 등록된 다수의 가맹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기로부터 상품의 구매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단말기에서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가맹점에서 고객의 상품수령이 완료되면, 상기 고객단말기에서 결제된 상품 구매에 따른 비용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기에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주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관리서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가맹점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기에서 수신된 상기 가맹점정보 리스트를 거리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단말기에서 선택된 가맹점정보에 따라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정보 및 수령방법을 포함하는 상기 구매정보를 상기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는,
    상기 가맹점단말기에 수신된 다수의 구매정보를 수신시간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로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다수의 구매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해당 가맹점의 주문으로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는,
    접수된 주문의 순서에 따라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시간을 포함하는 주문접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문관리서버 및 고객단말기 각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주문을 접수하여 상기 해당 가맹점의 빈좌석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빈좌석정보를 상기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해당 가맹점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주문이 접수된 후,
    상기 해당 가맹점의 상기 가맹점정보 중 부가서비스정보에 기초하여 최초 상품구매비용에 할인을 적용한 최종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기에서 상기 최종비용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및
    비용결제에 따른 결제완료정보를 상기 주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정보는,
    각 가맹점의 상호, 운영시간, 위치, 편의시설 등의 영업정보, 고객들의 주문수, 리뷰 등의 평가정보, 각 가맹점 내 빈좌석정보 및 할인, 마일리지 적립 등의 부가서비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상품주문방법을 위한 상품주문시스템으로,
    상기 고객단말기, 상기 주문관리서버 및 상기 가맹점단말기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주문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상품주문방법을 위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00139371A 2020-10-26 2020-10-26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KR20220055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71A KR20220055170A (ko) 2020-10-26 2020-10-26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71A KR20220055170A (ko) 2020-10-26 2020-10-26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70A true KR20220055170A (ko) 2022-05-03

Family

ID=8159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371A KR20220055170A (ko) 2020-10-26 2020-10-26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1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9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multi-channel order
US10467559B1 (en) Order fulfillment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10943311B1 (en) Order fulfillment and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201602754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food by using rfid
US8577734B2 (en) Method and medium for facilitate mobile shopping
KR100789222B1 (ko) 원격 주문 시스템
KR101339651B1 (ko) 대면거래에서의 온라인 결제 방법
US20120310408A1 (en) Vending machine ordering
WO2013098661A1 (en) Collaborative,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ercial transactions
WO2012027730A1 (en) Location aware mobile marketplace application and system
AU201121390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ed to purchasing and/or performing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a mobile phone
KR20190085763A (ko)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가맹점 정보 제공 장치
KR20130012167A (ko) 자동판매기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제품 판매 장치 및 방법
EP3324370A1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17003247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ing and Paying
JP2014002453A (ja) 販売システム、販売サーバ及び販売方法
CN112655033A (zh) 移动终端、称重设备、pos终端、程序、存储介质、销售处理系统和销售处理方法
JP2019003634A (ja) 決済システム
AU2021254560A1 (en) Bill splitting system
KR20150014554A (ko) 정보코드를 이용한 개선형 주문 및 결제 시스템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20220055170A (ko)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실시간 상품주문방법 및 이를 위한 상품주문시스템
KR10168901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117119A (ja) 商品・サービス注文システム及び注文方法
JP715726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