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991A -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 Google Patents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991A
KR20220054991A KR1020200139019A KR20200139019A KR20220054991A KR 20220054991 A KR20220054991 A KR 20220054991A KR 1020200139019 A KR1020200139019 A KR 1020200139019A KR 20200139019 A KR20200139019 A KR 20200139019A KR 20220054991 A KR20220054991 A KR 2022005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op
transfer
crop harvester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9998B1 (en
Inventor
최일수
김영근
최용
최덕규
김영화
우제근
김재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김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김재동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13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98B1/en
Publication of KR2022005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01D2017/105Driving means for the bel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The crop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excavate a crop underground. In addition, the crop harvester can efficiently remove a soil and a foreign substance contained in the crop while minimizing a damage to the excavated crop. The crop harvester comprises: a main body unit; an excavation unit; a soil removing unit; a transfer unit; a selection unit; and a storage unit.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Crop Harvester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양파 등의 구근 작물을 손상 없이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p harvester capable of easily harvesting bulb crops such as garlic and onions without damage.

일반적으로, 밭에서 재배되는 구근 작물로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인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근 작물(이하, '작물'이라 약칭함)을 외피의 손상 없이 수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In general, there are potatoes, sweet potatoes, onions, garlic, carrots, ginseng and the like as bulb crops grown in the field.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to harvest such bulbous crops (hereinafter abbreviated as 'crops') without damage to the skin.

이에 따라, 구근 작물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땅속작물 수확기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5270호(2015.04.28.)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Accordingly, a prior application for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easily harvesting bulbous crops has been previously filed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45270 (2015.04.28.) and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채굴된 작물에서 흙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구조로, 흙을 분리하는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nderground crop harves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oil is not properly separated from the mined crop through a transfer conveyor, and the efficiency of separating the soil may be reduced.

또한 이송컨베이어의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작물이 상방으로 튀어 외부로 이탈하거나 작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rops transferred by the vibration of the conveyer may be thrown upwards and may be separated to the outside or damage to the crops may occu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5270호(2015.04.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5270 (2015.04.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땅속의 작물을 용이하게 굴취해줄 수 있으며, 굴취되는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에 포함된 흙과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 crop harvester that can easily excavate crops in the ground, and can efficiently remov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crops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excavated crops. Its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작물 수확기는,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견인되는 방향의 하부 선단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굴취날이 구비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해주는 굴취부; 상기 굴취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체가 구비되어, 상기 굴취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착된 흙을 1차로 제거해주는 흙제거부; 상기 흙제거부를 통과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회전롤이 상기 작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한 작물에 포함된 흙덩어리나 이물질을 작업자가 골라낼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주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 후단의 거치대에 설치되며, 선별 이송되는 작물을 수납해주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op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towing unit so that it can be towed by being connected to a moving means,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wheel at the lower portion; an excavation unit provided with an excavation blade installed inclined downwardly in the front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unit is towed, excavating crops in the ground; a soil removal unit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rotating bodie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excavation unit to primarily remove soil attached to crops transferred to the rear through the excavation unit; A plurality of rotating rolls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provid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rop so that the crop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oil removal unit are transported to the rear, and the soil remaining on the crops can be removed secondarily. a transfer unit spaced apart; a sorting unit for transporting the crop rearward by installing a transfer convey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so that an operator can pick out a lump of soil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ro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a receiving unit installed on a cradle a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unit and accommodating the selected and transported crops.

이 경우 상기 흙제거부의 회전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타격봉;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tating body of the soil removal un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and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또한 상기 이송부의 회전롤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롤축; 및 상기 롤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돌기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roll of the transfer unit, a roll shaft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and a bundle of protrusions that are fit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 shaft and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돌기뭉치는, 상기 작물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bundle may b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to minimize damage to the crop.

또한 상기 회전롤은,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상기 돌기뭉치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뭉치 사이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roll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fitted between the bundles of projections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bundles of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crop to be harvested.

또한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물의 이송통로를 형성해주는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uni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transfer unit to prevent the crop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uni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o form a transfer path for the crops therebetween. can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 개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양측의 슬라이드장공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부재; 및 상기 누름판부재를 상기 이송부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transfer portion, the pressing plate member is coupled to the sliding hol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lidably up and down; and an elastic press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plate member toward the transfer unit.

또한 상기 선별부의 이송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가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ying conveyor of the sorting unit may be installed rotatably in an endless track method by receiving power from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one after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이송부와 감아 걸기 전동요소를 매개로 소정의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ying conveyor may be operated interlockingly by receiving power at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via the conveying unit and the winding transmission element.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롤러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에서 이웃하는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상기 회동판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고, 하부 리턴구간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의 타측이 하향 선회되면서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개방해줌으로써,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떨어지는 흙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ying conveyor,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ller, and the other side is plac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ighboring roller in the upper conveying sec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to form a flat surface; further including, the upper In the conveying section, the rotating plate fills the gap between the rollers, and in the lower return secti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turns downward by gravity and opens the gap between the rollers, so that the soil falling from the upper conveying section is the It can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llers.

또힌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롤러와의 사이 틈새를 메워줄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튜브가 끼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oft rubber tube fitted so as to fill a gap between the roller and the adjacent roller.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본체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작업자용 발판;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r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or's footrest on one or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perform the sorting operation while the operator is on board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을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으로 구획해줌과 아울러 그 사이에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가 이송되는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r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that divides the upper transport section of the transport conveyor into a left transport section and a right transport section, and provides a partition space therebetween, further comprising,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conveyor Work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may sort the soil or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transferred crop and then put it in the compartment and separate and discharge it.

또한 상기 구획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이 개구된 '<' 이나 'ㄷ' 자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며,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된 흙덩이나 이물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된 후 분리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is formed in a '<' or 'C' shape with an open rear when viewed in a plan view to provide the partition space therein. It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after being transported.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후단에는, 상기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상기 수납부 내에 유도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이 이격 배치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의 구획공간을 통해 분리 이송되는 흙덩이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a pair of discharge guide pl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so that the crops transferred through the left transfer section and the right transfer section can be induced into the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guide plates so that a lump of dirt o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epara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partition space of the partition plate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거치대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걸고리가 구비되는 톤백(Ton bag);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부에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거치대에 걸린 톤백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톤백의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the upper side is pivo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one bag hung on the cradle; and an actuator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toneback.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는, 굴취부를 통해 땅속의 작물을 용이하게 굴취해줄 수 있고, 흙제거부와 이송부를 통해 굴취되는 작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에 부착된 흙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다.The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asily excavate the crops in the ground through the excavation unit, and efficiently remove the soil attached to the crop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crops excavated through the soil removal unit and the transfer unit. can do it

또한 선별부를 통해 작업자가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부에 양질의 작물을 수납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igh-quality crop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allowing the operator to easily remove the dirt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rops through the sor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취부 및 흙제거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취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흙제거부의 회전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회전롤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의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 및 누름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는 이송부와 선별부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부분 상세 측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를 구성하는 회동판의 사시도 및 조립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xcavation part and a soil remova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cavation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body of the soil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roll of the conve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8 and 9 are another embodiment of a rotary r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ying unit and a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detailed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s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y state diagram of a rotating plate constituting a s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ranspor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sid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mark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1)는, 본체부(100), 굴취부(200), 흙제거부(300), 이송부(400), 선별부(500), 수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rop harveste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excavation unit 200, a soil removal unit 300, a transfer unit 400, and a sorting unit. 500 , and a receiving unit 600 may be included.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체부(100)는 농작물 수확기(1)이 주된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이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 방향의 선단에 견인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견인부(101)를 중심으로 하부 양측에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103)가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main body 100 may constitute the main frame of the crop harvester 1 .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a mov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cultivator or a tractor, and a traction unit 101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traction direction so that it can be towed. In addition, at least a pair of wheels 10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centering on the traction unit 101 .

굴취부(200)는 본체부(100) 선단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굴취부(200)는 두둑 등에서 재배된 땅속에 굴취날(201)의 선단이 삽입된 상태로 전진하면서 마늘, 양파 등의 구근 작물을 굴취해줄 수 있다.The excavation part 200 is to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this excavation part 200 moves forward with the tip of the gulchwial 201 inserted into the ground cultivated in the ridge, etc. Can excavate bulbous crop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굴취날(201)은 본체부(100)가 견인되는 방향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3 and 4 , the excavation blade 201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towed.

흙제거부(300)는 굴취부(200)를 통해 굴취된 후 후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착된 흙을 1차로 제거해줄 수 있다. 이러한 흙제거부(300)는 굴취부(200)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체(3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oil removal unit 300 may first remove the soil attached to the crop that is excavated through the excavation unit 20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rear. The soil removal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rotating bodies 310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excavation unit 200 .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체(310)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311)과, 회전축(311)의 방사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회전축(311)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굴취부(200)를 통해 굴취 이송되는 작물을 타격해주는 복수의 타격봉(31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봉(313)은 회전축(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원판브라켓(312)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외둘레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rotating body 310 includes a rotating shaft 311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not shown), and i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shaft 311 to be integral with the rotating shaft 311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313 that hit the crops being excava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excavation unit 200 while being rotated. The striking rod 313 may be spaced apart parallel to the outer circumference around the rotation shaft 311 via a disk bracket 312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311 .

다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부(400)는 흙제거부(300)를 통과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줌과 아울러, 이송되는 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줄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400)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413a)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회전롤(410)이 작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6 , the transfer unit 400 may transfer the crop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oil removal unit 300 to the rear, and may secondarily remove the soil remaining in the transferred crops. A plurality of rotation rolls 410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ions 413a radiall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crop.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롤(410)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롤축(411)과, 롤축(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413a)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되는 돌기뭉치(41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 the rotary roll 410 is fitted with a plurality of roll shafts 411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motor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roll shafts 411 are fit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oll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jections 413a may include a bundle of projections 413 form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이 경우 상기 돌기(413a)가 구비된 돌기뭉치(413)는 이송되는 작물(P)에 손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이웃하는 회전롤(410)의 돌기(413a) 끼리 간섭되어 부딪히더라도 돌기(413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bundle 413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413a minimizes damage to the transferred crop P, and even if the protrusions 413a of the adjacent rotary roll 410 interfere and collide, the protrusions ( 413a) is preferably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to prevent damage.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뭉치(413)의 돌기(413a)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 the projections 413a of the bundle of projections 413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410)은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돌기뭉치(413)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돌기뭉치(413) 사이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페이서(415)를 구비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rotary roll 410 is inserted between the bundles of projections 413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bundles of projections 413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crop to be harvested. A spacer 415 to be coupled may be provid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400)에는 이송되는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이송부(400)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물의 이송통로(C)를 형성해주는 누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conveying unit 4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conveying unit 400 to prevent the conveyed crops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a conveying path C of the crops is formed therebetween. It may include a pressing unit 420 to do so.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420)는 이송부(400)의 상측 개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누름판부재(421)와, 누름판부재(421)를 이송부(400)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가압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essing unit 420 includes a pressing plate member 421 having a corresponding size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transport unit 400, and the elastic supporting the pressing plate member 421 toward the transport unit 400. A pressing member 423 may be included.

이 경우 상기 누름판부재(421)는 본체부(100) 양측의 슬라이드장공(422)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ing plate member 421 may be guided by being coupled to the slide long holes 422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o be vertically slidable.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가압부재(423)은 실린더(423a) 내에 탄성스프링(423b)을 매개로 탄성지지되는 피스톤로드(423c)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 the elastic pressing member 423 may have a structure of a piston rod 423c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an elastic spring 423b in a cylinder 423a.

이러한 구조의 누름부(42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작물(P)의 크기에 따라 실린더(423a)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가압해주는 장력을 조절해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11b , the pressing part 420 of this structure can adjust the tension to press by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ylinder 423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op P to be transported.

한편, 상기 누름부(420)는 실린더(423a)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 실린더(423a) 일측에 구비된 조작 레버(미도시)의 위치를 조절하여 탄성스프링(423b)의 탄성 계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누름부(420)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art 42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423a without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423a to adjust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spring 423b.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pressing part 420 may be further provided.

이러한 구조의 이송부(400)는 전체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길이를 줄여주어 이송수단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400 having this structure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00 to facilitat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ans.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선별부(500)는 이송부(400)를 통과한 작물에 포함된 흙덩어리나 이물질을 작업자가 골라낼 수 있도록 이송부(400)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510)가 설치되어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줄 수 있다.12 to 14, the sorting unit 500 is a transport convey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transport unit 400 so that the operator can pick out the soil lumps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rops that have passed the transport unit 400 ( 510) can be installed to transport crops to the rear.

구체적으로, 이송컨베이어(5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511)가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veying conveyor 51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an endless track manner by receiving power from a plurality of rollers 511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510)는 이송부(400)와 체인과 스프로킷 등의 감아 걸기 전동요소(513)를 매개로 소정의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400)의 회전롤(410)과 이송컨베이어(510)의 감속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fer conveyor 510 may be operated interlockingly by receiving power at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through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winding electric elements 513 such as chains and sprockets. In addition, a reduction gea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easily adjust the reduction ratio of the rotary roll 410 of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transfer conveyor 510 .

상기 이송컨베이어(510)는 롤러(511)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이송컨베이어(510)의 상부 이송구간(L1)에서 이웃하는 롤러(511)의 상측 외주면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회동판(515)을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veying conveyor 5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ller 511, and the other side is plac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ighboring roller 511 in the upper conveying section L1 of the conveying conveyor 510 to form a flat surface. It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515 that does.

이에 따라 이송컨베이어(510)의 상부 이송구간(L1)에서 회동판(515)이 롤러(511) 사이의 틈새를 메워줄 수 있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510)의 하부 리턴구간(L2)에서는 중력에 의해 회동판(515)의 타측이 하향 선회되면서 롤러(511) 사이의 틈새를 개방해줄 수 있다. 이러한 회동판(515)의 회동 구조를 통해 상부 이송구간(L1)에서 떨어지는 흙이 롤러(5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ng plate 515 may fill the gap between the rollers 511 in the upper transfer section L1 of the transfer conveyor 510 . And in the lower return section L2 of the conveying conveyor 510,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515 is rotated downward by gravity, thereby opening a gap between the rollers 511. Through 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rotating plate 515 , the soil falling from the upper transfer section L1 can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llers 511 .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상기 롤러(511)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롤러(511)와의 사이 틈새를 메워줄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튜브(517)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롤러(511)와의 사이 틈새를 통해 작물(P)이 끼이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in another embodiment, a soft rubber tube 517 may b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511 to fill a gap between the roller 511 and the adjacent roller 51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p (P) from being caugh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roller (511).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500)는 본체부(10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의 양측에 작업자용 발판(520)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sorting unit 500 is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 preferably of the main body 100 , so that the sor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operator is on board the main body 100 . Footrests 520 for workers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또한 상기 선별부(500)는 이송컨베이어(510)의 상부 이송구간(L1)을 좌측 이송구간(L1a)과 우측 이송구간(L1b)으로 구획해줌과 아울러 그 사이에 구획공간(L1c)을 마련해주는 구획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5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본체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가 이송되는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선별한 후 구획공간(L1c) 내에 투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rting unit 500 divides the upper transport section (L1) of the transport conveyor 510 into a left transport section (L1a) and a right transport section (L1b) and provides a partition space (L1c) therebetween. A partition plate 530 may be included. Accordingly, based o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510, the work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sorts the soil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ransferred crop, and then puts it in the partition space L1c to separate and discharge it. can

구체적으로, 상기 구획판(530)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이 개구된 '<' 이나 'ㄷ' 자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구획공간(L1c)을 마련해줄 수 있다. 구획공간(L1c) 내에 투입된 흙덩이나 이물질은 이송컨베이어(510)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된 후 배출구(541)를 통해 분리 배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artition plate 530 is viewed in a plan view, it is formed in a '<' or 'C' shape with an open rear to provide the partition space L1c therein. The dirt or foreign material injected into the partition space L1c may be transferred to the rear end along the transfer conveyor 510 and then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41 .

이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510)의 후단에는 좌측 이송구간(L1a)과 우측 이송구간(L1b)을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수납부(600) 내에 유도 투입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510)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540)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510, the crops transferred through the left transfer section L1a and the right transfer section L1b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unit 6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510. A pair of discharge guide plates 540 may be spaced apart.

그리고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540) 사이에는 구획판(530)의 구획공간(L1C)을 통해 분리 이송되는 흙덩이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541)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54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guide plates 540 so that the dirt o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epara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partition space L1C of the partition plate 530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수납부(600)는 선별부(500) 후단의 거치대(601)에 설치되어 선별부(500)를 통해 선별 이송되는 작물을 수납해줄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 600 may be installed on the cradle 601 a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unit 500 to receive crops that are sor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sorting unit 500 .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600)는 거치대(601)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걸고리(611)가 구비되는 톤백(Ton bag)(610) 등의 마대자루가 적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sack bag such as a Ton bag 610 having a hook 611 on the accommodating part 600 to be hung on the cradle 601 can be applied.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600)는 작물이 수납되는 톤백(61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기울기 조절유닛(62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600)는 본체부(100)에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거치대(601)에 걸린 톤백(610)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621)과, 지지프레임(621)의 일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톤백(610)의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액추에이터(6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톤백(610) 내에 작물(P)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하거나, 작물(P)이 수납된 톤백(610)을 용이하게 분리 이동시킬 수 있다.16 and 17 , the accommodating part 600 may be provided with a tilt adjustment unit 620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tone bag 610 in which crops are accommodated.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part 600 has an upper side pivot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 and a lower side of the support frame 621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one bag 610 hung on the cradle 601 , and a support frame It may include an actuator 62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621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toneback 610 . Accordingly, the ang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rop P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tone bag 610, or the tone bag 610 in which the crop P is accommodate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moved.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1)를 이용하여 작물(P)을 수확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Then, the process of harvesting the crop P using the crop harves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먼저, 농작물 수확기(1)의 선단에 구비된 견인부(101)가 트랙터 등의 이송수단(미도시)에 구비된 연결부(미도시)에 연결된 상태로 견인될 수 있다. 이송수단은 두둑을 따라 농작물 수확기(1)를 견인해가며 본체부(100) 선단의 굴취부(200)를 통해 땅속의 작물(P)을 굴취해준다.First, the towing unit 101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rop harvester 1 may be towed while being connected to a connect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a transport means (not shown) such as a tractor. The conveying means pulls the crop harvester 1 along the ridge and excavates the crop P in the ground through the excavation part 200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100 .

굴취부(200)에 의해 후방으로 굴취 이송되는 작물(P)은 흙제거부(300)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체(310) 상부를 통과하게 되고, 회전체(310)가 회전되면서 작물(P)을 타격해줌으로써 작물(P)에 부착된 흙을 1차로 털어 제거해준다.The crop P, which is excavated and transported to the rear by the excavation unit 200,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a pair of rotating bodies 310 provided in the soil removal unit 300, and as the rotating body 310 rotates, the crops P ) to remove the soil attached to the crop (P) by first shaking it.

굴취부(200)를 통과한 작물(P)은 이송부(400)의 회전롤(410)의 회전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회전롤(4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413a)에 의해 작물(P)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준다.The crop 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cavation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oll 410 of the conveying unit 400 , and a protrusion 413a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roll 410 . ) to remove the soil remaining in the crop (P) secondarily.

이송부(400)를 통해 2차로 흙이 제거된 작물(P)은 선별부(500)로 이송되고, 선별부(500)의 상부 이송구간(L1)(도 12 참조)을 따라 이송되는 작물(P)은 구획판(530)에 의해 좌측 이송구간(L1a)과 우측 이송구간(L1b)으로 이등분된다.The crop (P) from which the soil has been secondarily removed through the transfer unit 400 is transferred to the sorting unit 500, and the crop P transferred along the upper transfer section L1 (see FIG. 12) of the sorting unit 500 ) is bisected into a left transfer section (L1a) and a right transfer section (L1b) by the partition plate (530).

이때 본체부(100) 양측 발판(520)에 서 있는 두 명의 작업자는 상기 이등분된 상태로 이송되는 작물(P)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 통칭함)을 골라내어 구획판(530) 내의 구획공간(L1c)에 투입해준다. 구획공간(L1c) 내에 투입된 이물질은 이송컨베이어(510) 후단의 배출구(541)를 통해 분리 배출된다.At this time, two workers standing on the footrests 52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pick out the dirt or foreign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rop P transferred in the bisected state and select the partition plate 530 ) in the compartment space (L1c).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partition space L1c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541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510 .

아울러 이물질이 걸러진 양질의 작물(P)은 좌, 우측 이송구간(L1a, L1b)을 따라 이송된 후 배출가이드판(540)을 통해 수납부(600)에 거치된 톤백(610) 내에 수납된다.In addition, the high-quality crops P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filtered are transported along the left and right transport sections L1a and L1b, and then are accommodated in the tone bag 610 mounted on the receiving unit 600 through the discharge guide plate 54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농작물 수확기 100 : 본체부
101 : 견인부 103 : 바퀴
200 : 굴취부 201 : 굴취날
300 : 흙제거부 310 : 회전체
311 : 회전축 312 : 원판브라켓
313 : 타격봉 400 : 이송부
410 : 회전롤 411 : 롤축
413 : 돌기뭉치 413a : 돌기
415 : 스페이서 420 : 누름부
C : 이송통로 421 : 누름판부재
422 : 슬라이드장공 423 : 탄성가압부재
500 : 선별부 510 : 이송컨베이어
511 : 롤러 513 : 감아 걸기 전동요소
L1 : 상부 이송구간 L1a : 좌측 이송구간
L1b : 우측 이송구간 L1c : 구획공간
L2 : 하부 리턴구간 515 : 회동판
517 : 고무튜브 520 : 발판
530 : 구획판 540 : 배출가이드판
541 : 배출구 600 : 수납부
601 : 거치대 610 : 톤백
611 : 걸고리 620 : 기울기 조절유닛
621 : 지지프레임 623 : 액추에이터
1: crop harvester 100: main body
101: traction unit 103: wheel
200: excavation part 201: excavation blade
300: soil removal unit 310: rotating body
311: rotation shaft 312: disk bracket
313: striking rod 400: transfer unit
410: rotary roll 411: roll shaft
413: lump of stones 413a: projection
415: spacer 420: press
C: transfer passage 421: press plate member
422: slide long hole 423: elastic pressing member
500: sorting unit 510: transfer conveyor
511: roller 513: winding electric element
L1: Upper transfer section L1a: Left transfer section
L1b : Right transfer section L1c : Compartment space
L2: Lower return section 515: Rotating plate
517: rubber tube 520: footrest
530: partition plate 540: discharge guide plate
541: outlet 600: receiving part
601: cradle 610: tone back
611: hook 620: tilt adjustment unit
621: support frame 623: actuator

Claims (17)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견인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견인되는 방향의 하부 선단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굴취날이 구비되어, 땅속의 작물을 굴취해주는 굴취부;
상기 굴취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회전체가 구비되어, 상기 굴취부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작물에 부착된 흙을 1차로 제거해주는 흙제거부;
상기 흙제거부를 통과한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줌과 아울러, 상기 작물에 잔류하는 흙을 2차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회전롤이 상기 작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 개 이격 배치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한 작물에 포함된 흙덩어리나 이물질을 작업자가 골라낼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후단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켜주는 선별부; 및
상기 선별부 후단의 거치대에 설치되며, 선별 이송되는 작물을 수납해주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 main body part having a traction part connected to a moving means and being towed, and having a wheel at the lower part;
an excavation unit provided with an excavation blade installed inclined downwardly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lower tip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unit is towed, and excavating crops in the ground;
a soil removal unit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rotating bodie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excavation unit to primarily remove soil attached to crops transferred to the rear through the excavation unit;
A plurality of rotating rolls hav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provid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rop so as to transport the crop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oil removal unit to the rear, and to remove the soil remaining on the crops secondarily. a transfer unit spaced apart;
a sorting unit for transporting the crop rearward by installing a transfer convey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so that an operator can pick out a lump of soil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ro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A crop harvester including a; is installed on the cradle at the rear end of the sorting unit, and receives the selected and transported cro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제거부의 회전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방사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타격봉;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body of the soil removal unit,
a rotating shaft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and
A crop harvester comprising a;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회전롤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롤축; 및
상기 롤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돌기뭉치;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roll of the conveying unit,
A roll shaft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and
A crop harvester comprising a;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it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 shaft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뭉치는,
상기 작물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ump of protrusions,
A crop harvester that is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to minimize damage to the cro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은,
수확 대상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상기 돌기뭉치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뭉치 사이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roll is
Crop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spacer fitted between the projections to be able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rojection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crop to be harve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작물의 이송통로를 형성해주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ransfer unit,
Crop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a pressing unit tha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conveying unit to prevent the crops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o form a conveying path for the crops therebetw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 개구를 커버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양측의 슬라이드장공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판부재; 및
상기 누름판부재를 상기 이송부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ssing part,
a pressing plate member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size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transfer unit and slidably coupled to the slide hol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Crop harvester comprising; an elastic press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plate member toward the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의 이송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가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conveyor of the sorting unit,
A crop harves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in succes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rotatably installed in a caterpillar manner by receiving pow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이송부와 감아 걸기 전동요소를 매개로 소정의 감속비로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작동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fer conveyor is
A crop harvester that is operated interlockingly by receiving power at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through the transfer unit and the winding transmission eleme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롤러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에서 이웃하는 롤러의 상측 외주면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해주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상기 회동판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고, 하부 리턴구간에서는 중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의 타측이 하향 선회되면서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개방해줌으로써, 상기 상부 이송구간에서 떨어지는 흙이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인 농작물 수확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fer conveyor is
A rotating plate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roller, and the other side being plac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ighboring roller in the upper conveying section of the conveying conveyor to form a flat surface; further including,
In the upper transfer section, the rotating plate fills the gap between the rollers, and in the lower return secti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turns downward by gravity and opens the gap between the rollers, so that the soil falling from the upper transfer section A crop harvester that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ll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롤러와의 사이 틈새를 메워줄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튜브가 끼움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9. The method of claim 8,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Crop harvester further comprising a soft rubber tube fitt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roll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본체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작업자용 발판;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lection unit,
Crop harvester comprising: a step for a work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perform a sorting operation while the operator is on board the main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이송구간을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으로 구획해줌과 아울러 그 사이에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배치된 작업자가 이송되는 작물에 포함된 흙덩이나 이물질을 선별한 후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농작물 수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lection unit,
It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late that divides the upper transfer s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into a left transfer section and a right transfer section and provides a partition space therebetween,
A crop harvester in which work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on the basis of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select soil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transferred crop and then put it in the compartment to separate and discharge 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이 개구된 '<' 이나 'ㄷ' 자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구획공간을 마련해주며, 상기 구획공간 내에 투입된 흙덩이나 이물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후단으로 이송된 후 분리 배출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artition plate is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rear is formed in an open '<' or 'C' shape to provide the compartment space therein, and the soil or foreign material injected into the compartment space is transported to the rear end along the transport conveyor and then separated and discharged. A crop harvester that i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후단에는,
상기 좌측 이송구간과 우측 이송구간을 통해 이송되는 작물이 상기 수납부 내에 유도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이 이격 배치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출가이드판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의 구획공간을 통해 분리 이송되는 흙덩이나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인 농작물 수확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A pair of discharge guide pl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so that the crops transferred through the left transfer section and the right transfer section can be guided and put into the receiv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paced apart arrangement;
A crop harvester that is provided with an outlet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guide plates so that the dirt o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eparat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partition space of the partition plate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거치대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에 걸고리가 구비되는 톤백(Ton bag);을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Crop harvester comprising a; Tonbag (Ton bag) provided with a hook on the top so that it can be installed by hanging on the cradl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본체부에 상측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상기 거치대에 걸린 톤백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톤백의 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orage unit,
a support frame having an upper side pivo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lower side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one bag hung on the cradle; and
Crop harvester comprising; an actuator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toneback.
KR1020200139019A 2020-10-26 2020-10-26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KR102549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9A KR102549998B1 (en) 2020-10-26 2020-10-26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19A KR102549998B1 (en) 2020-10-26 2020-10-26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91A true KR20220054991A (en) 2022-05-03
KR102549998B1 KR102549998B1 (en) 2023-07-03

Family

ID=815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19A KR102549998B1 (en) 2020-10-26 2020-10-26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9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26A (en) * 2006-01-06 2007-07-19 Matsuyama Plow Mfg Co Ltd Farm implement
KR20150045270A (en) 2013-10-18 2015-04-28 윤태욱 Digging apparatus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KR20190048066A (en) * 2017-10-30 2019-05-09 정다운 Underground crop harvesting device with soil separation function
KR20200062622A (en)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Underground crop harvester
KR20200065238A (en) * 2018-11-30 2020-06-09 김재동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equipped with gath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26A (en) * 2006-01-06 2007-07-19 Matsuyama Plow Mfg Co Ltd Farm implement
KR20150045270A (en) 2013-10-18 2015-04-28 윤태욱 Digging apparatus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KR20190048066A (en) * 2017-10-30 2019-05-09 정다운 Underground crop harvesting device with soil separation function
KR20200062622A (en)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Underground crop harvester
KR20200065238A (en) * 2018-11-30 2020-06-09 김재동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equipped with gath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998B1 (en)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39B1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US2974467A (en) Pickup and threshing unit for peanut combine
KR101942767B1 (en) Root crops Collective type harvesting device
JP5509788B2 (en) Crop excavator
EP0586087B1 (en) Harvester for root vegetables
KR20160025861A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KR101961857B1 (en) a self-propelled pull out type garlic harvester
JP5476698B2 (en) Crop separation harvester
JP4795710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KR102549998B1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KR20200024389A (en) 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JP2009171902A (en) Crop separating harvester
JP2014060982A (en) Crop uprooting/harvesting machine
JP2014176354A (en) Tomato harvester
JP6069908B2 (en) Crop harvesting machine
JP4848578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US1953317A (en) Potato harvesting apparatus
JP6055199B2 (en)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JP3662726B2 (en) Self-propelled root vegetable harvester
KR102144962B1 (en) A screening equipment for the globe-shaped farm products
US2053643A (en) Potato harvesting apparatus
JP5407481B2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JP2000032824A (en) Harvesting machine and selecting conveyor for harvesting machine
JP2017051101A (en) Root crop harvester
JP3743947B2 (en) Self-propelled root vegetable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