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882A -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882A
KR20220054882A KR1020227011515A KR20227011515A KR20220054882A KR 20220054882 A KR20220054882 A KR 20220054882A KR 1020227011515 A KR1020227011515 A KR 1020227011515A KR 20227011515 A KR20227011515 A KR 20227011515A KR 20220054882 A KR20220054882 A KR 2022005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numbered bit
odd
phas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 화
위 씬
쥔 쒸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5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5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 H04L27/20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 H04L27/2067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 H04L27/2078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in which the phase change per symbol period is constra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15Reduction thereof using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상기 시퀀스 생성 방법은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modulus value)은 동일하며,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9년 09월 10일자로 중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제2 01910854925.5호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편입된다.
본 출원은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시나리오에서, 경로 손실 및 음영 페이딩(shadow fading)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셀 엣지 영역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가 매우 낮다. 그리고, 고주파 시나리오에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신호 대 잡음비를 높이고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베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UE 방출 신호의 피크 대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PAPR)를 가능하면 낮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낮은 PAPR를 갖는 참조 신호 시퀀스를 구성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참조 신호 시퀀스의 PAPR를 효율적으로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modulus value)은 동일하며,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시퀀스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상기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동일하고,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상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시퀀스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방법을 구현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 발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 신호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신호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MRS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TRS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SRS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I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NR(New Radio)에서 더 낮은 PAPR을 전송하기 위해,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DFT-s-OFDM) 파형을 사용할 수 있다. DFT-s-OFDM 파형의 데이터가 시간 도메인에서 맵핑되므로 PAPR은 CP-OFDM(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보다 낮게 된다. 그러나 참조 신호가 zadoff-chu 시퀀스(zc 시퀀스) 또는 1/2π 이진 위상 편이 변조(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시퀀스를 선택하면 PAPR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zc 시퀀스 또는 1/2π BPSK 시퀀스의 PAPR이 여전히 꽤 높으므로 다른 시퀀스를 사용하여 더 낮은 PAPR를 얻음으로써 5G 이동통신 시스템(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또는 6G 중 참조 신호 시퀀스의 오버헤드가 큰 경우와 같이 더 낮은 PAPR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더욱 낮은 PAPR를 갖는 참조 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더욱 낮은 PAPR의 참조 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며, 본 실시예는 기지국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U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S120 내지 S140를 포함한다.
S120: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한다.
S140: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한다.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동일하고, 이웃하는 임의의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상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하나의 랜덤 시퀀스를 미리 생성한 후,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고,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시퀀스는 의사 랜덤 시퀀스(pseudo random sequenc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동일하며, DFT-s-OFDM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를 오버 샘플링(over sampling)한 후의 신호의 PAPR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신호의 진폭을 의미하며, 신호 세기의 일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예시적으로, 제1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보다 작거나 같다. 실시예에서, π/2 BPSK 시퀀스에 비해, 제1 시퀀스 내의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가 더욱 작으므로 참조 신호의 PAPR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첫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첫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보다 작거나 같다.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첫 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이므로 첫번째 시퀀스의 수미(首尾)를 연결할 수 있으며, 오버 샘플링한 후 신호의 PAPR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는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고,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이고,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 또는 0이다.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쉽게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시퀀스가 충분한 랜덤성을 가지게 하여 주파수 도메인 상의 파워가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제1 시퀀스를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로 분해하고,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을 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는 1/2π BPSK 시퀀스이다.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쉽게 생성하고 제1 시퀀스가 충분한 랜덤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는 1/2π BPSK 시퀀스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요소가 제1 요소 집합에 포함된 경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현재 요소의 위상으로 하되, 제1 요소 집합은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마지막 요소를 제외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마지막 두번째 요소와 첫번째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마지막 요소의 위상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마지막 요소를 제외한 모든 요소의 위상은 제1 시퀀스 중 상기 요소와 이웃한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통해 계산하여 얻을 수 있으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마지막 요소의 위상은 제1 시퀀스 중 마지막 두 번째 요소와 첫번째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통해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생성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는 첫번째 시퀀스의 이웃하는 위상차가 1/4π인 것을 만족할 수 있으므로 PAPR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요소가 제2 요소 집합에 포함된 경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비트 요소의 위상이 3/4π이면, 현재 요소의 위상을 π로 조정하되, 제2 요소 집합은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서 위상이 0인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서 위상이 0인 요소에 대하여, 상기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요소의 위상이 3/4π이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요소의 위상을 π로 조정하므로 위상 보간의 오류를 수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1이다. 실시예에서, 파워를 쉽게 노멀라이제이션하기 위해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을 1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은 -3/4π, -1/2π, -1/4π, 0, 1/4π, 1/2π, 3/4π 또는 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 결정 방식은,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요소에 의해 1/4π 또는 -1/4π 회전하여 얻고,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다음 홀수 번째 요소와의 위상차가 1/4π인 것을 만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은 이전 홀수 번째 요소를 1/4π 또는 -1/4π 회전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된 후의 요소는 다음 조건, 즉 회전된 후의 요소와, 상기 요소와 이웃한 홀수 번째 요소 사이의 위상차가 1/4π인 조건을 만족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시퀀스
Figure pct00001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02
사이의 관계식이
Figure pct00003
인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4
이고, m=1,2,3,...M이고, n=1,2,3,...N이고,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modulo function)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imaginary part)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eq(a,b)의 결과 값은 1이며; a와 b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eq(a,b)의 결과 값은 0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가 동일한 경우에
Figure pct00008
함수의 결과가 1이고;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Figure pct00011
함수의 결과가 0임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Figure pct00012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13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014
를 얻은 경우, N=2M이고, 또한 b(M+1)=b(1)를 추가하여 제1 시퀀스의 수미(首尾)를 연결시키므로 참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시퀀스를 오버 샘플링한 후, PAPR가 더욱 낮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15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16
사이의 관계식이
Figure pct00017
인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m=1,2,3,...M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과 동일하고;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현재 요소의 위상은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서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인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에 순차적으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차례로 배열된 하나의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18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19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20
를 생성한 다음,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과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이 동일하도록 설정하고,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현재 요소의 위상을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으로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제1 시퀀스의 홀수 번째 비트에 위치시키고, 또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제1 시퀀스의 짝수 번째 비트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위상이 0인 요소에서, 하나의 요소가 증가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위상이 0인 요소와 순번이 같은 요소 위상의 절대값은 1/4π이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위상이 0인 요소의 위상을 π로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서, 랜덤 시퀀스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PN) 시퀀스, Gold 시퀀스 또는 m 시퀀스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랜덤 시퀀스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PN) 시퀀스, Gold 시퀀스 또는 m 시퀀스가 될 수 있으므로 생성된 참조 신호 시퀀스에서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위상은 충분한 랜덤성을 가지며 주파수 도메인 상의 파워가 더욱 안정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21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22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23
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퀀스
Figure pct00024
는 이미 알고 있고, m=1,2,3,...M이며,
Figure pct00025
는 길이가 M인 의사 랜덤 시퀀스(예컨대, PN 시퀀스, Gold 시퀀스 또는 m 시퀀스)이면,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028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의 관계식은
Figure pct00031
일 수 있다.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32
을 얻은 후,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33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시퀀스
Figure pct00034
를 얻는다. 여기서, m'이고,
Figure pct00035
이다. 여기서, m=1,2,3,...M이고,
Figure pct00036
이고, 시퀀스
Figure pct00037
내의 이웃하는 두 요소에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38
를 삽입한다. 여기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39
의 모듈러스 값과
Figure pct00040
의 모듈러스 값이 동일하고, 또한
Figure pct00041
의 위상은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의 평균 위상 값인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44
의 위상이 0이고
Figure pct00045
의 위상 절대값이 1/4π이면,
Figure pct00046
의 위상을 π로 변경한다. 그 다음, 시퀀스
Figure pct00047
를 제1 시퀀스
Figure pct00048
의 홀수 번째 비트에 위치시키며, 시퀀스
Figure pct00049
를 제1 시퀀스
Figure pct00050
의 짝수 번째 비트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n=1,2,3,...N이고, N=2M이다. 제1 시퀀스
Figure pct00051
는 길이가 N인 참조 신호 시퀀스가 되므로 더욱 낮은 PAPR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신호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ld 시퀀스를 랜덤 시퀀스로 사용하며,
Figure pct00052
로 표기하고,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055
을 얻는다. 예를 들면,
Figure pct00056
은 1/2π BPSK 시퀀스이고,
Figure pct00057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Figure pct00058
를 얻고,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 및 위상에 의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대응하는 요소의 모듈러스 값 및 위상, 즉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059
를 얻으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각각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삽입하여 제1 시퀀스
Figure pct00060
, 즉 참조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61
를 얻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Figure pct00062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063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064
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퀀스
Figure pct00065
는 이미 알고 있고, m=1,2,3,...M이고, 그리고,
Figure pct00066
는 길이가 M인 의사 랜덤 시퀀스(예컨대, PN 시퀀스, Gold 시퀀스, m 시퀀스)이다. 시퀀스
Figure pct00067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시퀀스
Figure pct00068
를 얻되, 여기서, m'이므로
Figure pct00069
가 된다. 여기서, m=1,2,3,...M,
Figure pct00070
이면,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073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사이의 관계식은
Figure pct00076
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77
이고, m=1,2,3,...M이고, n=1,2,3,...N이고,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며,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고, a와 b가 동일한 경우, 결과 값은 1이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은 0이다.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d(n) 는 길이가 N인 참조 신호 시퀀스이고, 더욱 낮은 PAPR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 신호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ld 시퀀스를 랜덤 시퀀스로 사용하며,
Figure pct00078
로 표기하고,
Figure pct00079
에 1비트를 증가하여
Figure pct00080
를 얻으며,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083
, 즉 참조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084
를 얻는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시퀀스,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s, PTRS) 시퀀스 또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가 DMRS 시퀀스인 경우, 시퀀스 생성 방법은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DM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DMRS 시퀀스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퀀스
Figure pct00085
는 이미 알고 있고, m=1,2,3,...M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86
는 길이가 M인 의사 랜덤 시퀀스(예컨대,PN시퀀스,Gold시퀀스,m시퀀스)이며, 시퀀스
Figure pct00087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시퀀스
Figure pct00088
를 얻는다. 여기서, m’이므로
Figure pct00089
가 된다. 여기서, m=1,2,3,...M,
Figure pct00090
이면,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093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사이의 관계식은
Figure pct00096
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097
이고, m=1,2,3,...M, n=1,2,3,...N,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결과 값은 1이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은 0이다.
제1 시퀀스
Figure pct00098
는 길이가 N인 참조 신호 시퀀스이고, 참조 신호 시퀀스가 DMRS시퀀스인 경우, 생성된 제1 시퀀스
Figure pct00099
를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하여 DM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DM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DFT-s-OFDM의 DMRS가 위치한 시간 주파수 자원 내에 위치시켜 DMRS로서 발송하므로 더욱 낮은 PAPR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MRS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ld 시퀀스를 랜덤 시퀀스로 사용하며,
Figure pct00100
로 표기하고,
Figure pct00101
에 1비트를 증가하여
Figure pct00102
를 얻으며,
Figure pct00103
Figure pct00104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105
, 즉 참조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106
를 얻는다. 생성된
Figure pct00107
에 대하여 DFT변환하여 DM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은 후 DM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DFT-S-OFDM의 DMRS가 위치한 시간 주파수 자원 내에 위치시켜 DMRS로서 발송한다. 실시예에서, 하나의 slot를 예로 들면, DM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DFT-S-OFDM의 DMRS가 위치한 시간 주파수 자원 내에 위치시켜 DMRS로서 발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PTRS 시퀀스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퀀스
Figure pct00108
,
Figure pct00109
는 이미 알고 있고, m=1,2,3,...M, 그리고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은 길이가 M인 의사 랜덤 시퀀스(예컨대, PN 시퀀스, Gold 시퀀스, m 시퀀스)이고, 시퀀스
Figure pct00112
및 시퀀스
Figure pct00113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시퀀스
Figure pct00114
Figure pct00115
를 얻는다. 여기서, m'이므로
Figure pct00116
가 되며, 여기서, m=1,2,3,...M,
Figure pct00117
이고;
Figure pct00118
이며, 여기서, m=1,2,3,...M,
Figure pct00119
이면,
Figure pct00120
Figure pct00121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122
Figure pct00123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124
Figure pct00125
사이의 관계식은
Figure pct00126
일 수 있다.
Figure pct00127
이고, m=1,2,3,...M이고, n=1,2,3,...N이고,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며,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결과 값은 1이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은 0이다.
생성된 시퀀스
Figure pct00128
Figure pct00129
을 PTRS 시퀀스로 사용하여 PTRS 시퀀스를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양단에 위치시켜 PTRS로서 발송하므로 더욱 낮은 PAPR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TRS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ld 시퀀스를 랜덤 시퀀스로 사용하며,
Figure pct00130
Figure pct00131
로 표기하고,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에 각각 1비트를 증가하여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을 얻으며,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을 얻는다. 즉 참조 신호 PTRS1를
Figure pct00140
로 표기하고, 참조 신호 PTRS2을
Figure pct00141
로 표기한다. 일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를 각각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양단(즉 앞단 및 말단)에 각각 위치시키고, PTRS로서 발송하므로 더욱 낮은 PAPR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가 SRS 시퀀스인 경우, 시퀀스 생성 방법은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S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SRS 시퀀스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퀀스
Figure pct00144
는 이미 알고 있고, m=1,2,3,...M이고,
Figure pct00145
는 길이가 M인 의사 랜덤 시퀀스(예컨대, PN 시퀀스, Gold 시퀀스, m 시퀀스)이며, 시퀀스
Figure pct00146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시퀀스
Figure pct00147
를 얻는다. 여기서, m'이므로
Figure pct00148
가 되고, 여기서, m=1,2,3,...M,
Figure pct00149
이면,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152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153
Figure pct00154
사이의 관계식은
Figure pct00155
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156
이고, m=1,2,3,...M, n=1,2,3,...N,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결과 값은 1이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은 0이다.
제1 시퀀스
Figure pct00157
는 길이가 N인 참조 신호 시퀀스이고, 참조 신호 시퀀스가 SRS 시퀀스이면, 생성된 제1 시퀀스
Figure pct00158
를 DFT변환하여 S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을 수 있으며, S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DFT-s-OFDM의 SRS가 위치한 시간 주파수 자원 내에 위치시켜 SRS로서 발송하므로 더욱 낮은 PAPR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SRS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ld 시퀀스를 랜덤 시퀀스로 사용하고,
Figure pct00159
로 표기하며,
Figure pct00160
에 1비트를 증가하여
Figure pct00161
을 얻고,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164
, 즉 참조 신호 시퀀스
Figure pct00165
를 얻는다. 생성된
Figure pct00166
에 대하여 DFT변환하여 S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은 후 SRS의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DFT-S-OFDM의 SRS 위치한 시간 주파수 자원 내에 위치시켜 SRS로서 발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퀀스 생성 방법은 제1 시퀀스를 보호 구간(Guard Interval, GI)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GI 시퀀스 등과 같이 이미 알려진 시퀀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GI 시퀀스로 하는 단계는 제1 시퀀스를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앞 단에 위치시켜 GI 시퀀스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GI시퀀스로 사용한다. 실시예에서, 시퀀스
Figure pct00167
는 이미 알고 있고, m=1,2,3,...M이며
Figure pct00168
는 길이가 M인 의사 랜덤 시퀀스(예컨대, PN 시퀀스, Gold 시퀀스, m 시퀀스)이고, 시퀀스
Figure pct00169
에 하나의 요소를 증가하여 시퀀스
Figure pct00170
를 얻는다. 여기서, m'이므로
Figure pct00171
가 된다. 여기서, m=1,2,3,...M,
Figure pct00172
이면,
Figure pct00173
Figure pct00174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대응하는
Figure pct00175
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176
Figure pct00177
사이의 관계식은
Figure pct00178
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ct00179
이고, m=1,2,3,...M, n=1,2,3,...N,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결과 값은 1이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은 0이다.
생성된 시퀀스
Figure pct00180
를 GI 시퀀스로 사용하고, GI 시퀀스를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앞단에 위치시켜 GI로서 발송하므로 더욱 낮은 PAPR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I 시퀀스의 생성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old 시퀀스를 랜덤 시퀀스로 사용하고,
Figure pct00181
로 표기하며,
Figure pct00182
에 1비트를 증가하여
Figure pct00183
를 얻고,
Figure pct00184
Figure pct00185
사이의 관계식에 의해 제1 시퀀스
Figure pct00186
, 즉 GI 시퀀스를 얻는다. 일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87
를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앞단(즉, 전단)에 위치시켜 GI로서 발송하므로 더욱 낮은 PAPR를 갖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시퀀스 생성 장치는 생성 모듈(220) 및 결정 모듈(240)을 포함한다.
생성 모듈(220)은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결정 모듈(240)는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동일하고,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시퀀스 생성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장치의 구현 원리 및 기술효과는 위 내용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첫번째 요소 및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보다 작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첫 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보다 작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는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이고,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임의의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 또는 0이다.
일 실시예에서,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는 1/2π 이진 위상 편이 변조(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시퀀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요소가 제1 요소 집합에 포함된 경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현재 요소의 위상으로 하되, 제1 요소 집합은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마지막 요소를 제외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마지막 두번째 요소와 첫번째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마지막 요소의 위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요소가 제2 요소 집합에 포함된 경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비트 요소의 위상이 3/4π이면, 현재 요소의 위상을 π로 조정하되, 제2 요소 집합은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서 위상이 0인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1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은 -3/4π, -1/2π, -1/4π, 0, 1/4π, 1/2π, 3/4π 또는 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 결정 방식은,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요소에 의해 1/4π 또는 -1/4π 회전하여 얻고,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다음 홀수 번째 요소와의 위상차가 1/4π인 것을 만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시퀀스
Figure pct00188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189
사이의 관계식이
Figure pct00190
인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191
이고, m=1,2,3,...M, n=1,2,3,...N,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결과 값은 1이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은 0이다.
일 실시예에서, 생성 모듈은,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생성 유닛;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생성 유닛;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3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생성 유닛은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192
와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193
사이의 관계식인
Figure pct00194
을 포함하며,
여기서, m=1,2,3,...M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며,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생성 유닛은,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과 동일하고;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현재 요소의 위상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인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생성 유닛은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에 순차적으로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차례로 배열된 하나의 요소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랜덤 시퀀스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PN) 시퀀스, Gold 시퀀스 또는 m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시퀀스,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s, PTRS) 시퀀스 또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퀀스 생성 장치는 제1 시퀀스를 보호 간격 (GI) 시퀀스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가 DMRS 시퀀스인 경우, 시퀀스 생성 장치는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DM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도록 구성된 제1 변환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가 SRS 시퀀스인 경우, 시퀀스 생성 장치는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S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도록 구성된 제2 변환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퀀스를 GI 시퀀스로 하는 과정은 제1 시퀀스를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앞단에 위치시켜 GI 시퀀스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기기는 프로세서(310) 및 메모리(320)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310)를 구비할 수 있으나, 도 9는 하나의 프로세서(310)인 경우를 예로 한다.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320)를 구비할 수 있으나, 도 9는 하나의 메모리(320)인 경우를 예로 한다. 상기 기기의 프로세서(310) 및 메모리(320)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되나, 도 9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는 기지국이다.
메모리(32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예들 들어,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시퀀스 생성 장치 중의 생성 모듈 및 결정 모듈)이다. 메모리(320)는 프로그램 저장 구역 및 데이터 저장 구역을 주로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은 OS,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데이터 저장 구역은 기기의 사용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3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자기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 들에서,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10)에 대해 원격으로 배치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예들은 인터넷, 회사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따른 기기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응되는 기능과 효과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시퀀스 생성 방법을 실행한다. 기지국 측에 적용되는 상기 방법은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동일하고, 임의의 이웃하는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상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낸다.
"사용자 기기"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휴대폰,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용 웹 브라우저 또는 차량 탑재 이동국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무선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전용 회로,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양태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양태는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 엔티티에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어셈블리 명령어, ISA(Instruction-Set Architecture) 명령어, 기계 명령어, 기계 관련 명령어, 마이크로코드, 펌웨어 명령어,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된 소스 또는 객체 코드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도면에서의 임의의 논리 흐름의 블록도는 프로그램 단계를 나타내거나 서로 연결된 논리 회로, 모듈 및 기능을 나타내거나 프로그램 단계와 논리 회로, 모듈 및 기능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임의의 데이터 저장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롬(ROM), 램(RAM), 광학 저장 장치 및 시스템(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애플리케이션별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GPA) 및 멀티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반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5)

  1.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modulus value)은 동일하며,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상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시퀀스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첫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은, 시퀀스 생성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보다 작거나 같은, 시퀀스 생성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첫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4보다 작거나 같은, 시퀀스 생성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는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이고,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 또는 0인, 시퀀스 생성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는 1/2π 이진 위상 편이 변조(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시퀀스인, 시퀀스 생성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현재 요소가 제1 요소 집합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상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상기 현재 요소의 위상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 집합은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마지막 요소를 제외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마지막 두번째 요소와 첫번째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을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마지막 요소의 위상으로 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현재 요소가 제2 요소 집합에 포함되고 상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비트 요소의 위상이 3/4π인 경우, 상기 현재 요소의 위상을 π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소 집합은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위상이 0인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1인, 시퀀스 생성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은 -3/4π, -1/2π, -1/4π, 0, 1/4π, 1/2π, 3/4π 또는 π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위상 결정 방식은,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이전 홀수 번째 요소에 의해 1/4π 또는 -1/4π 회전하여 상기 현재 요소의 위상을 얻으며, 상기 현재 요소의 위상은 상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다음 홀수 번째 요소와의 위상차가 1/4π인 것을 만족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퀀스
    Figure pct00195
    와 상기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196
    사이의 관계식이
    Figure pct00197
    인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Figure pct00198
    이고, m=1,2,3,...M이고, n=1,2,3,...N이고, N=2M이며, exp는 밑이 자연 상수(e)인 지수함수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modulo function)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imaginary part)를 표시하고, eq(a,b)는 동일성 결정 함수이며, a와 b가 동일한 경우, eq(a,b)의 결과 값은 1이며; a와 b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eq(a,b)의 결과 값은 0인, 시퀀스 생성 방법.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Figure pct00199
    와 상기 랜덤 시퀀스
    Figure pct00200
    사이의 관계식이
    Figure pct00201
    인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m=1,2,3,...M이고, mod는 모듈로 함수이고, j는 복소수의 허수부를 표시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이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각 요소의 모듈러스 값과 동일하고;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현재 요소의 위상이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상기 현재 요소와 이웃하는 두 요소의 평균 위상 값인 것을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및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에 의해 상기 제1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의 이웃한 두 요소 사이에 순차적으로 상기 짝수 번째 비트 시퀀스 중 차례로 배열된 하나의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덤 시퀀스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PN) 시퀀스, Gold 시퀀스 또는 m 시퀀스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시퀀스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시퀀스,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시퀀스 또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시퀀스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를 보호 구간(Guard Interval, GI)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시퀀스가 DMRS 시퀀스인 경우,
    상기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DM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시퀀스가 SRS 시퀀스인 경우,
    상기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SRS 주파수 도메인 시퀀스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를 GI 시퀀스로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의 DFT 이전의 하나의 OFDM 부호 앞단에 위치시켜 상기 GI 시퀀스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퀀스 생성 방법.
  24. 미리 생성된 랜덤 시퀀스에 의해 제1 시퀀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상기 제1 시퀀스를 참조 신호 시퀀스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시퀀스 중의 복수의 요소는 모두 복소수 형식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의 모듈러스 값은 동일하고, 이웃한 두 요소 사이의 위상차는 π/2보다 작으며, 상기 모듈러스 값은 진폭이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시퀀스 생성 장치.
  25.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퀀스 생성 방법을 구현하는 저장 매체.
KR1020227011515A 2019-09-10 2020-07-21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20054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54925.5A CN111092838B (zh) 2019-09-10 2019-09-10 一种序列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201910854925.5 2019-09-10
PCT/CN2020/103195 WO2021047291A1 (zh) 2019-09-10 2020-07-21 序列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882A true KR20220054882A (ko) 2022-05-03

Family

ID=7039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515A KR20220054882A (ko) 2019-09-10 2020-07-21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60391A1 (ko)
EP (1) EP4030714A4 (ko)
KR (1) KR20220054882A (ko)
CN (1) CN111092838B (ko)
WO (1) WO2021047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2838B (zh) * 2019-09-10 2024-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序列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1125A1 (en) * 2005-09-29 2007-03-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fdma transmission
US8264946B2 (en) * 2008-12-31 2012-09-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APR reduction in SC-FDMA systems
US9042481B2 (en) * 2012-09-07 2015-05-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WO2017078607A1 (en) * 2015-11-06 2017-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cessing a constant amplitude sequence for transmission
CN106878213B (zh) * 2015-12-10 2019-12-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lte上行频偏估计的方法
CN108809586B (zh) * 2017-05-05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设备
US11259248B2 (en) * 2017-09-18 2022-02-22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power transitions in new radio
CN115102822A (zh) * 2018-07-26 2022-09-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调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092838B (zh) * 2019-09-10 2024-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序列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2838B (zh) 2024-05-24
EP4030714A4 (en) 2023-10-25
US20220360391A1 (en) 2022-11-10
WO2021047291A1 (zh) 2021-03-18
EP4030714A1 (en) 2022-07-20
CN111092838A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2873B2 (en) Sequence-base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2007507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17532895A (ja) マルチユーザー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方法及び対応する送信機、受信機
US11606238B2 (en) Sequence-base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O2016150241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120219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transmitting a fr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synchronization estimat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73610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220054882A (ko) 시퀀스 생성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A3164401A1 (en) Frequency-domain modulation scheme for low peak average power ratio
JP2023027402A (ja) 参考信号のためのシーケンスを発生させること
WO2019096268A1 (zh) 基于序列的信号处理方法及信号处理装置
CN110768922B (zh) 一种数据调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111285B (zh) 一种传输参考信号的方法及装置
JP2022537597A (ja) 低ピーク平均電力比(papr)に関する変調スキーム
CN110299980B (zh) 一种传输参考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CA3164466C (en) Time-domain modulation scheme for low peak average power ratio
KR102635707B1 (ko) 데이터 송신, 수신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저장 매체
JP7223841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機器
CN114747185B (zh) 用于低峰值平均功率比的基于非零插入的调制方案
WO2019095203A1 (zh) 一种系统消息传输的方法及网络设备
WO2020063930A1 (zh) 一种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