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076A -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 Google Patents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076A
KR20220054076A KR1020200138558A KR20200138558A KR20220054076A KR 20220054076 A KR20220054076 A KR 20220054076A KR 1020200138558 A KR1020200138558 A KR 1020200138558A KR 20200138558 A KR20200138558 A KR 20200138558A KR 20220054076 A KR20220054076 A KR 2022005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bacterial cellulose
complex
porous structure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458B1 (ko
Inventor
김혜림
김현진
송지은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4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0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mechanical properties
    • D06N2209/103Resistant to mechanical forces, e.g. shock, impact, puncture, flexion, shear, compression, t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 상기 다공성 구조체 내부의 기공 또는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버섯 유래 입자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Bacteria Cellulose-Mushroom Derive Particle Complex and Artificial Leath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에 관한 것이다.
가죽은 내구성과 신축성이 뛰어나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가죽의 사용은 동물 보호 문제와 환경 문제 등 끊임없는 문제가 되고 있어 많은 제품에 인조가죽이 사용되고 있다.
인조가죽이란, 부직포와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가죽 모조품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인조가죽은 동물가죽만큼 유연성, 방추도 및 인장강도가 좋지 않아 동물 가죽을 대체할 수 있는 가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2128872호(2020.07.08)
Han, Shim and Kim. Effects of cultivation, washing, and bleaching conditions on bacterial cellulose fabric production. Textile Research Journal 2018, 89(6): 1094-1104
일 양상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 상기 다공성 구조체 내부의 기공 또는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버섯 유래 입자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복합체로부터 제조된 인조가죽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정제수에 글리세롤과 버섯분말을 혼합하여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와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내부 기공 또는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버섯 유래 입자가 구비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 상기 다공성 구조체 내부의 기공 또는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버섯 유래 입자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용어'복합체'는 두 가지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물체를 말한다. 예를 들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및 버섯 유래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겔(BC gel)을 효모 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스코비(SCOBY, symbiotic culture of bacteria and yeast)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루코스, 수크로스, 만니톨 등 탄소원(Carbon source) 분말에 효모 추출물 및 펩톤 분말 등 질소원(Nitrogen source)을 증류수와 함께 혼합하여 가열한 후 25℃에서 식히는 단계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겔(BC gel)을 혼합물에 투여하여 8일간 배양하는 단계, 그 후 NaOH로 세척하는 단계, 아세트산(Acetic acid)로 중화시키는 단계, H2O2로 표백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논문 [Han, Shim and Kim. Effects of cultivation, washing, and bleaching conditions on bacterial cellulose fabric production. Textile Research Journal 2018, 89(6): 1094-1104]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의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균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셀룰로오스를 생산할 수 있는 모든 균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는 아세토박터 자일리늄(Acetobacter xylinum), 코마가타이박터 자일리누스(Komagataeibacter xylinus) 또는 글루코나세토박터 자일리누스(Gluconacetobacter xylinus)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섯 유래 입자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식용 버섯에서 유래한 입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표고 버섯, 느타리 버섯, 새송이 버섯, 꽃송이 버섯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버섯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유래 입자는 표고 버섯 입자일 수 있다. 상기 버섯 유래 입자는 버섯 원물 또는 건조한 버섯의 분말 또는 이들이 응집된 형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유래 입자의 함량은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40 내지 60, 또는 45 내지 55% 일 수 있다. 상기 복합체가 버섯 유래 입자를 다공성 구조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55% 포함하면 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는 글리세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은 복합체의 유연성 및 방추도(crease recovery)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체의 글리세롤 함량은 상기 다공성 구조체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35%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복합체로부터 제조된 인조가죽을 제공한다.
상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는 천연 가죽과 유사한 질감을 가지므로 인조가죽의 외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조가죽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를 외피로서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면 통상의 인조가죽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인조가죽은 상기 외피의 반대면에 부착되는 탄성시트, 탄성시트의 이면에 부착되는 내피를 적층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코팅할 수 있고, 외피에 천연 가죽 무늬나 기하학 무늬를 구현하기 위해 엠보싱 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정제수에 글리세롤과 버섯분말을 혼합하여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와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내부 기공 또는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버섯 유래 입자가 구비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백질 변성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변성 공정은 pH 10으로 적정하고 진탕 배양을 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진탕 배양은 75 내지 85℃에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탕 배양은 10분 내지 30분 동안 60 내지 100rpm으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유래 입자가 구비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버섯 유래 입자 용액에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를 침지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가죽을 제조하면 유연성, 인장 강도, 방추성 등이 뛰어난 가죽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조가죽은 바이오 가죽으로 동물 가죽을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A는 BC-SPI 복합체(박테리아 셀룰로오스-콩 단백 단리물 복합체)의 콩 단백 단리물의 함량비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BC-MP 복합체(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의 버섯 유래 입자의 함량비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FT-IR 분광 광도계로 화학구조를 분석한 데이터로, A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Untreated BC,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의 데이터이고, B는 BC-SPI 복합체의 화학구조를 비교할 수 있게 표현한 데이터이고, C는 BC-MP 복합체의 화학구조를 비교할 수 있게 표현한 데이터이다.
도 3는 유연성을 비교 분석한 사진으로, A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의 밴딩(bending) 후 1분 경과 사진이고, B는 BC-SPI 복합체의 밴딩(bending) 후 1분 경과 사진이고, C는 BC-MP 복합체의 밴딩(bending) 후 1분 경과 사진이며, D는 동물 가죽의 밴딩(bending) 후 1분 경과 사진이다.
도 4은 유연성을 비교 분석한 데이터로 밴딩(bending) 후 길이 변화에 따른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BC-SPI 복합체, BC-MP 복합체 및 동물가죽의 방추도를 비교한 데이터이다.
도 6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BC-SPI 복합체, BC-MP 복합체 및 동물가죽의 시간에 따른 치수 안정성을 비교한 데이터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제조
논문 [Han, Shim and Kim. Effects of cultivation, washing, and bleaching conditions on bacterial cellulose fabric production. Textile Research Journal 2018, 89(6): 1094-1104]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를 제작, 세척 및 표백을 하였으며, 논문 [Song JE, Su J, Loureiro A, Martins M, Cavaco-Paulo A, Kim HR, Silva C (2017) Ultrasound-assisted swelling of bacterial cellulose. Engineering in Life Science 17(10): 1108-1117.]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팽윤 전처리를 하였다.
실시예 1: 버섯 분말 원소 분석
버섯 분말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element analyzer로 연두(의정부)에서 구입한 표고버섯 분말의 원소를 분석하였고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ample Nitrogen Carbon Hydrogen Sulphur
Mushroom powder 1.9537 37.5500 6.3283 0.1839
Unit: wt%
상기 표 1에 나타나듯, 표고버섯 분말에서 단백질을 구성하는 원소 Nitrogen과 Sulphur가 각각 1.9537 %, 0.1839 %였다. 따라서, 실험에서 사용한 버섯 분말에는 100 g 당 약 2.1376 g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제조
연두(의정부)에서 구입한 표고버섯 분말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10 내지 60 중량% 및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30 중량% 글리세롤을 비커에 담고, 이 혼합물의 10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 용액을 25℃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를 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pH 10으로 조정하고, 80℃에서 20분간 80rpm으로 진탕 배양하여 혼합물 내 단백질의 변성 공정을 거치게 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를 변성 공정을 거친 혼합물에 침지시킨 후, 25℃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1시간 동안 30℃, 80rpm으로 진탕 배양 하였다. 진탕 배양한 후, 버섯 분말이 충진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를 2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BC-MP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콩 단백 단리물 복합체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버섯분말을 대두 단백질(Avention(인천)에서 구입)로 변경하고 그 외 동일한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콩 단백 단리물 복합체(BC-SPI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복합체의 최적의 비율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BC-MP 복합체와 BC-SPI 복합체의 최적의 비율을 찾아내기 위하여, 복합체의 콩 단백질 및 버섯 분말의 양을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10, 20, 30, 40, 50, 60 중량%로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비율을 변경하여 제조한 후, 샘플의 크기를 5 x 10 cm로 수정하여 KS K 0520 그래브법(Grab method)으로 인장강도를 분석하였으며, 각 샘플에 대해 5회 수행되었고, 결과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과 같이, 분석한 결과로 BC-SPI 복합체의 경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20 중량%일 때 인장강도가 향상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중량%가 증가하여도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BC-MP 복합체의 경우, 도 1과 같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50 중량%일 때 인장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60 중량%일 때는 인장강도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후 모든 실험은 BC-SPI 복합체의 경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20 중량%의 콩 단백질로 제조한 것이며, BC-MP 복합체의 경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 100 중량% 대비 50 중량%의 버섯분말로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4: 화학구조 분석
FT-IR 분광 광도계(Nicolet IS50;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 및 상기 비교예 1의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32 스캔으로 해상도 0.4 cm-1 파수 650 내지 4000 cm-1 범위에서 FT-IR 스펙트럼을 수집하였다. OMNIC 소프트웨어(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각 스펙트럼의 기준선을 정규화하였다.
화학 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2와 같으며, 모든 샘플에서 3400 근처에서의 peak 1과 2900 근처에서의 peak 2가 나타났으나, peak 3 및 4는 BC-SPI 복합체와 BC-MP 복합체에서만 나타났다. Peak 3 및 4는 약 1630 및 1545 근처로 C=O 신축(stretch) 진동 및 N-H 굽힘(bending) 진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BC-SPI 복합체 및 BC-MP 복합체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avenumber (cm -1 ) Peak assignment
Peak no. Untreated BC BC-SPI BC-MP
1 3448 3350 3346 ―OH stretching
2 2916 3010 2915 C―H stretching
3 - 1630 1627 C〓O stretching
4 - 1543 1548 N―H bending
실시예 5: 표면의 원소 분석
에너지 분산 X선 분광(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RD)을 측정하였다. EDAX®유닛 (X-Max, Oxford Instruments, Abingdon, UK)을 사용하였고, 각 샘플을 magnetron sputter coater(108 auto, Cressington Scientific Instruments, Watford, UK)를 사용하여 백금을 스퍼터코팅(sputter coating) 한 후 3kV의 가속 전압에서 샘플의 표면 원소를 분석하였다.
원소 분석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원소가 검출되었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C-SPI 복합체 및 BC-MP 복합체에서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P 및 S 원소가 복합체의 표면에서 검출되었다. BC-SPI 복합체 및 BC-MP 복합체에서 검출된 S 원소는 단백질의 황화 아미노산(sulphureted amino acid)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BC-SPI 복합체 및 BC-MP 복합체 모두 0.03 중량% 로 동일한 양의 S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ample C O Na P S
Untreated BC 5.76 5.18 1.36 - -
BC-SPI 6.27 3.71 0.48 0.03 0.03
BC-MP 7.01 4.74 0.14 0.01 0.03
실시예 6: 두께, 무게 및 인장 강도 비교 분석
동물 가죽의 대체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소가죽(Cowhide leather)과 두께, 무게 및 인장강도를 비교하였다. 두께는 다이얼 시그네스 게이지7301(Mitutoyo)로 측정하였고, 무게는 일반 실험실 저울을 사용하였다. 인장 강도는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ample Thickness (mm) Weight (g/m2) Tensile strength (N/mm2)
Untreated BC 0.92 ± 0.13 186.67 ± 12.47 0.69 ± 0.09
BC-SPI 0.66 ± 0.18 466.00 ± 34.52 8.16 ± 0.73
BC-MP 0.49 ± 0.07 364.00 ± 32.75 13.06 ± 0.51
Cowhide leather 0.72 ± 0.14 466.67 ± 18.26 9.34 ± 2.25
상기 표 4를 보면 알 수 있듯,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Untreated BC)는 두께는 가장 두꺼웠으나, 가장 가볍고 인장 강도도 가장 낮았다. BC-SPI 복합체(BC-SPI)의 경우, 소가죽(Cowhide leather)과 두께 및 무게가 비슷하였고, 인장 강도 또한 비슷하였다. BC-MP 복합체(BC-MP)의 경우, 소가죽(Cowhide leather)에 비하여 두께도 얇고 가벼웠으나 인장 강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BC-SPI 복합체 및 BC-MP 복합체가 소가죽(Cowhide leather)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 무게 및 인장 강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중 BC-MP 복합체의 경우에는 무게 및 인장 강도 부분에서 소가죽(Cowhide leather)보다 더 좋은 품질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유연성 비교 분석
유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S K 0538 하트루프법(the heart-loop metho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5 cm X 10 cm로 수정하였고, 실험 시간을 1분으로 수정하여 루프를 만들고 1분 후 각 샘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모든 실험은 5회 수행하고 평균 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샘플이 유연할수록 루프 길이 변화율은 증가하므로 루프의 길이 변화율은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Change in the distance of loop (루프 길이 변화율 %)=
Figure pat00001
x 100
그 결과, 도 3 및 도 4와 같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의 경우에는 유연성이 없어, 루프로 만들었을 때 부러져 각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나머지 동물 가죽 및 복합체들은 루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처음 루프 형성 길이보다 1분 후 루프 형성 길이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의 길이 변화율을 보면 BC-SPI 복합체는 동물 가죽보다 길이 변화율이 약 1.37배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BC-MP 복합체는 동물 가죽보다 길이 변화율이 약 1.76배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8: 방추도 비교 분석
방추도란 샘플을 구부렸다가 폈을 때 샘플이 손상되지 않고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로, 방추도가 우수할수록 샘플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추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KS K 0550 개각도법(the recovery angle method)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5 cm X 10 cm로, 실험 시간은 1분으로 수정하여 수행하였다. 주름 회복률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5회 수행하고 평균 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Crease recovery(방추도 %)=
Figure pat00002
x 100
표 5 및 도 5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에 비하여 BC-SPI 복합체 및 BC-MP 복합체의 방추도가 현저히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C-MP 복합체의 경우에는 동물 가죽보다 방추도가 높아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Sample Crease recovery (%)
Untreated BC 27.8 ± 0.1
BC-SPI 71.8 ± 6.2
BC-MP 93.9 ± 1.2
Cowhide leather 90.0 ± 4.2
실시예 9: 치수 안정성(Dimentional stability) 비교 분석
치수 안정성이란, 물체가 온도, 습도 등의 조건에서 치수 및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 성질을 일컫는다. 따라서 치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KS K ISO 7771:1985 냉수 침지에 의한 천의 치수 변화 측정(Determination of dimensional changes of fabrics induced by cold-water immersion)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5 cm X 10 cm로, 실험 시간은 60~180분으로 수정하여 수행하였다. 치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샘플을 습윤제인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C18H29NaO3S))에 일정 시간 담근 후 건조했을 때 치수가 변화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치수 안정성은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5회 수행하고 평균 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Dimensional stability(치수 안정성 %)=
Figure pat00003
x 100
표 6 및 도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구조체의 경우 형태가 변형되어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C-SPI 복합체의 경우 1시간까지는 원래 형태로 돌아온 반면 2시간째부터는 조금씩 변형되어 3시간째에는 원래 형태의 약 88% 정도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BC-MP 복합체의 경우도 2시간째부터 조금씩 변형되었으나 3시간째까지 원래 형태의 약 96%까지 복구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100% 복구되는 동물 가죽과 매우 유사한 치수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ime (min) Dimensional stability (%)
Untreated BC BC-SPI BC-MP Cowhide leather
60 74.48 100 100 100
120 74 96 98 100
180 72.96 88.32 96 100

Claims (6)

  1.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 및
    상기 다공성 구조체 내부의 기공 또는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버섯 유래 입자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유래 입자는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인 복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글리세롤을 더 포함하는 복합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은 상기 다공성 구조체 중량을 기준으로 25 내지 35 중량%인 복합체.
  5. 제 1항 내지 4항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인조가죽.
  6. 정제수에 글리세롤과 버섯분말을 혼합하여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체와 버섯 유래 입자 용액을 혼합하여 상기 다공성 구조체의 내부 기공 또는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버섯 유래 입자를 구비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제조 방법.

KR1020200138558A 2020-10-23 2020-10-23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KR10250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58A KR102501458B1 (ko) 2020-10-23 2020-10-23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58A KR102501458B1 (ko) 2020-10-23 2020-10-23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76A true KR20220054076A (ko) 2022-05-02
KR102501458B1 KR102501458B1 (ko) 2023-02-20

Family

ID=8159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558A KR102501458B1 (ko) 2020-10-23 2020-10-23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4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75A (ko) * 2021-07-09 2023-01-17 김은영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식물성 가죽 제조방법
WO2023090387A1 (ja) * 2021-11-18 2023-05-25 株式会社伯耆のきのこ キノコ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080409A1 (ko) * 2022-10-13 2024-04-18 김은영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식물성 가죽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3854A1 (ja) * 2005-11-29 2007-06-0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2010529832A (ja) * 2006-12-15 2010-09-02 レンセラー ポリテクニク インスティチュート 成長材料の生産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作製される製品
JP5180971B2 (ja) * 2007-01-12 2013-04-10 アールストロム コーポレイション 層状化沈殿不織生成物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生成物
JP2019131912A (ja) * 2018-01-30 2019-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シート製造方法
KR20200035899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8872B1 (ko) 2020-01-09 2020-07-08 (주)수문상사 친환경 가죽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3854A1 (ja) * 2005-11-29 2007-06-0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JP2010529832A (ja) * 2006-12-15 2010-09-02 レンセラー ポリテクニク インスティチュート 成長材料の生産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作製される製品
JP5180971B2 (ja) * 2007-01-12 2013-04-10 アールストロム コーポレイション 層状化沈殿不織生成物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生成物
JP2019131912A (ja) * 2018-01-30 2019-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シート製造方法
KR20200035899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8872B1 (ko) 2020-01-09 2020-07-08 (주)수문상사 친환경 가죽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Shim and Kim. Effects of cultivation, washing, and bleaching conditions on bacterial cellulose fabric production. Textile Research Journal 2018, 89(6): 1094-110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75A (ko) * 2021-07-09 2023-01-17 김은영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식물성 가죽 제조방법
WO2023090387A1 (ja) * 2021-11-18 2023-05-25 株式会社伯耆のきのこ キノコ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080409A1 (ko) * 2022-10-13 2024-04-18 김은영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식물성 가죽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458B1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458B1 (ko)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버섯 유래 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가죽
EP1405947B1 (en) Porous sheet, fiber composite shee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se
Hassan et al. The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cellulose produced by Acetobacter xylinum and Komgataeibacter saccharovorans under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Cordeiro et al. Epoxy–fiber of peach palm trees composites: the effect of composition and fiber modification on mechanical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CN108797145B (zh) 一种蛋白消音pvc人造革及其制备方法
KR102192110B1 (ko)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죽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Swain et al. The influence of moisture absorption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hemically treated DPL reinforced hybrid composite
Cao et al. A novel strategy for producing high‐performance continuous regenerated fibers with wool‐like structure
Liu et al. Construction of biological flame retardant layer on cotton fabric via photografting of nucleotide/amino acid monomers
CN112996922A (zh) 工程复合材料
KR20080004995A (ko) 천연가죽의 제조방법
KR101258907B1 (ko) 탄닌을 이용한 친환경 섬유 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 처리된 섬유
Ji et al. Biomimetic electroactive polyimide with rose petal-like surface structure for anticorrosive coating application.
KR20200053148A (ko) 비불소 발수제를 이용한 친환경 발수 합성 피혁 제조방법
CN1957787A (zh) 一种仿真花及其制造方法
CN110202890B (zh) 一种薄型耐开裂装饰板
Zhao et al. Fabrication of reinforced hydrophobic coatings for the protection of silk fabric
CN105544181A (zh) 一种亲水防缩双面呢
Qin et al. Study on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Polyurethane in Leather Finishing
CN111791402A (zh) 一种人造超润湿荷叶状Janus薄膜的制备
CN111136742B (zh) 一种提高速生木材家具耐久性的方法
CN115197476B (zh) 生物基气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774181A (zh) 强力磨涂附磨具制备方法及其制备的强力磨涂附磨具
KR20170123962A (ko) 부들섬유/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바이오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5467174B (zh) 一种导电pu合成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