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063A - 무인 택배 보관함 - Google Patents

무인 택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063A
KR20220054063A KR1020200138532A KR20200138532A KR20220054063A KR 20220054063 A KR20220054063 A KR 20220054063A KR 1020200138532 A KR1020200138532 A KR 1020200138532A KR 20200138532 A KR20200138532 A KR 20200138532A KR 20220054063 A KR20220054063 A KR 2022005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parcel
storage
doo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560B1 (ko
Inventor
김명선
Original Assignee
김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선 filed Critical 김명선
Priority to KR102020013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5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구분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 무인 택배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1 센서, 상기 격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2 센서, 및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별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사이에 개재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택배 보관함 {UNMANNED SAFE DROP}
본 발명은 무인 택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 보관함 내부에 택배물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을 포함한 온라인 쇼핑 및 TV 홈쇼핑 등의 급증으로, 고객이 구매한 제품을 배송하는 택배 서비스는 쇼핑몰과 고객을 연결하는데 보편화된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그 시장 역시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바쁜 현대인들의 생활 특성상 택배물을 직접 수령하지 못하는 비율은 80% 이상으로 매우 높아서, 택배를 대리 수령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리수령자의 업무 과중이나 택배물의 분실, 택배기사를 사칭하는 범죄발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전염을 미연에 예방하고자 비대면 배달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어, 최근에는 소정 장소에 택배물을 보관 관리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택배 보관함 역시, 택배기사가 택배물을 보관함에 보관함으로써 배송을 완료하더라도, 여러가지 이유로 택배함에 택배물이 보관되지 않고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에 대한 기술 구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1678673 B1 KR 10-1988836 B1 KR 10-2009-0000074 A
본 발명은, 택배보관함 내 격벽으로 구분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 별 택배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격벽을 이동하여 변화된 수납공간 내 택배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구분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 무인 택배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1 센서, 상기 격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2 센서, 및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별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사이에 개재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격벽의 양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이 탈착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격벽의 탈착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에 대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격벽의 양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이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이동 고정시키면, 상기 무인 택배 보관함은 하나의 전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전체 수용공간에 대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입력을 받는 조작부와, 상기 사용자입력을 근거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인증절차의 수행결과에 따라 구동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을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걸림핀을 포함한 도어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택배물이 있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택배물이 없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을 언락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 제어부는 택배물이 없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벽이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이동 고정시키면, 상기 무인 택배 보관함은 하나의 전체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이 인접하였는지 판단하고, 보관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 제어부는 모든 상기 도어를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모든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센서는,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근접 위치에 장애물이 위치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빛을 발광시켜,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보관함 내 격벽으로 구분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 별 택배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격벽을 이동하여 변화된 수납공간 내 택배물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과 연동하여 사용자 출입문 개폐와 함께 택배보관함의 도어도 동시에 개방하여, 도어락에 별도의 조작부를 구비하거나 장착하지 않아도 도어락의 보안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택배보관함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 내 택배물을 보관하기 위해 조작부가 보관입력을 받으면, 택배물이 없는 수납공간의 도어만 개방되기 때문에, 택배물의 분실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의 동작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100)은, 적어도 하나의 격벽(150)에 의해 구분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101, 102)과, 수납공간(101, 102)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111, 112)를 포함하되, 수납공간(101, 102)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1 센서(131a, 131b)와, 격벽(150)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2 센서(132a, 132b)와, 적어도 한 쌍의 제1 및 제2 센서(131a, 131b, 132a, 132b)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복수 개의 수납공간(101, 102)별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40)는, 무인 택배 보관함(100) 중 택배보관함(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40)는 격벽(150)에 의해 구획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101, 102)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센서(131, 132)를 이용하여 해당 수납공간(101, 102) 내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가 각 수납공간(101, 102)별로 택배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01, 102) 내측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1 센서(131a, 131b)와, 격벽(150)의 양면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2 센서(132a, 132b)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131, 132)는 서로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으며,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빛(일 예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이고, 다른 하나는 조사된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는, 격벽(150)이 하나인 경우, 일 예로,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2개, 즉 총 4개일 수 있고, 그 중 2개는 발광다이오드, 나머지 2개는 수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131, 132)가 수납공간(101, 102)에 배치될 때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부 수납공간(101)의 안쪽 상측면에 발광다이오드(131a)가 배치되면 격벽(150)의 상면에는 수광다이오드(132a)가 배치될 수 있고, 하부 수납공간(102)의 안쪽 하측면에 수광다이오드(131b)가 배치되면 격벽(150)의 하면에는 발광다이오드(132b)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제1 센서(131a, 131b) 역시 빛을 수발광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가 쌍을 이루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납공간에 가로 및/또는 세로로 배치되는 격벽(150)의 각 면에도 마찬가지로 빛을 수발광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가 쌍을 이루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131, 132)를 이용하여, 수납공간에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빛이 수광다이오드에 수광되지 않는다면 마주한 발광다이오드 및 수광다이오드 사이에 택배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빛이 수광다이오드에 수광되면 마주한 발광다이오드 및 수광다이오드 사이에 택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센서(131, 132)는 격벽(150)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마다 마련될 수 있으며, 또 격벽(15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공간마다 그에 대응하여 도어(111, 112)가 마련될 수 있다.
수납공간(101, 102)을 개폐하는 도어(111, 112)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측단이 수용공간(101, 102)을 형성케하는 캐비넷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은 잠금장치(141, 142)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잠금장치(141, 142)는 제1 및/또는 제2 제어부(140, 124)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걸쇠 따위로 도어(111, 112)를 락킹하거나, 또는 언락킹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40)는, 도어(111, 112)가 개방된 경우에만 제1 및 제2 센서(131, 132)의 발광다이오드가 빛을 조사(또는 발광)하도록 하고, 도어(111, 112)가 폐쇄(또는 락킹)되었을 때 수광다이오드가 상기 빛을 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가 판단한, 즉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에 대한 택배물의 유무를 가리키는 상태값은 저장수단(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고,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상태값에 따라 제2 제어부(124)가 제1 제어부(140)를 통해 도어(111, 112)를 개방할 때, 택배물이 있는 수납공간의 도어만 개방토록할 수 있다.
한편, 제2 센서(132a, 132b)가 마련된 격벽(150)은 택배 보관함(110)에 탈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오사용으로 격벽(150)이 뒤집어져서 수납공간에 장착되었을 때, 제1 제어부(140)가 택배물의 유무에 대한 오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격벽(150)에는 후면에 중앙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돌기(151)나, 이와 다르게 바람직한 예로 요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기(1511)와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돌기(1511)에 끼워지도록 택배보관함(110)의 후면에는 요홈(1101)이나, 이와 다르게 바람직한 예로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택배보관함(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요홈(1101) 또는 돌기는,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50)이 위치하는 대략 중간 높이에 마련될 수 있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격벽(150)이 수납공간의 안쪽 상측단이나 안쪽 하측단에 위치하였을 때 그 격벽(150)에 상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판상의 격벽(150)의 후면과, 택배보관함(110)의 후면 각각에 돌기(151)와 요홈(1101)이 마주 형성되면, 격벽(150)이 뒤집어졌을 때, 요홈(1101)에 돌기(151)가 끼워지지 않고, 격벽(150)의 돌출로 도어(111, 112)가 닫혀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로하여금 격벽(150)이 뒤집어져 있음을 인지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와 다르게, 판상의 격벽(150)의 후면에는 돌기(151)가 아닌 요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와 상응하여 택배보관함(110)의 후면에는 돌기(미도시)가 요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격벽(150)이 수납공간의 안쪽 상측단 또는 하측단에 위치할 경우, 격벽(150)이 뒤집어져 위치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에, 택배보관함(110)의 후면에는 하나의 돌기만 형성되어도 족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기 격벽(150)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횡격벽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종격벽일 수 있고, 나아가 횡격벽과 종격벽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150)은 수납공간 내에서 이동하거나 탈장착되어 수납공간 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지지대(161)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지지대(161)는 수납공간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주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안착된 격벽(150)을 지지하거나, 또는 'ㄷ'자의 단면을 가져 'ㄷ'자의 내측 요홈에 판상의 격벽(150)이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격벽(150)이 수납공간으로부터 탈착된 경우, 제1 제어부(140)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센서(131a, 131b)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격벽(150)의 탈착으로 인해 넓게 형성된 전체 수납공간 내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40)는 상부 수납공간(101)의 안쪽 상측면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131a)와, 이와 대향하도록 하부 수납공간(102)의 안쪽 하측면에 배치된 수광다이오드(131b)만을 이용하여, 전(全) 수납공간 내에 택배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격벽(150)이 수납공간의 내측벽 중 어느 한 측벽으로, 구체적으로 제1 센서(131a, 131b)의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이동하여 고정되면, 제1 제어부(140)는 넓게 형성된 전체 수납공간에 대하여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격벽(150)의 일면에 마련된 제2 센서(132a, 132b)와, 이에 마주하는 제1 센서(131a, 131b) 상호 간 빛을 수발광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50)을 수납공간의 안쪽 상측면으로 이동 고정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40)는 격벽(150)의 하면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132b)와, 수납공간의 안쪽 하측면에 위치한 수광다이오드(131b)를 이용하여, 격벽의 이동으로 넓게 형성된 해당 수납공간에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격벽(150)을 수납공간의 안쪽 하측면으로 이동 고정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40)는 격벽(150)의 상면에 위치한 수광다이오드(132a)와, 수납공간의 안쪽 상측면에 위치한 발광다이오드(131a)를 이용하여, 격벽의 이동으로 넓게 형성된 해당 수납공간에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격벽(150)이 수납공간 안쪽의 어느 일측으로 이동하여 어느 한 제1 센서(131a, 131b)와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도어(111, 112)가 개방될 때, 도어(111, 112)는 어느 하나가 아닌 전부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센서(131a, 131b)는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거나, 또는 근접한 위치에 장애물이 위치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제1 센서(131a, 131b)의 발광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다이오드에 수신될 때, 수광다이오드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전방 장애물의 근접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40)는 제1 센서(131a, 131b)를 이용하여 격벽(150)이 제1 센서(131a, 131b)의 전방에 인접하여 위치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150)에는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수광다이오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40)가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수광다이오드를 구동하거나 또는 제1 제어부(140)가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수광다이오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격벽(150)의 일측면에는 제1 단자(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단자와 상응하는 제2 단자는 택배보관함(11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단자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단자는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가진 포고핀(pogo pin)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단자의 위치나 구체적인 구현예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해, 격벽(150)에 마련된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수광다이오드는, 격벽(150) 외 택배보관함(110)에 마련되거나 또는 도어락(120)에 마련된 제1 제어부(140)와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1 제어부(140)에 공급되는 외부 전력 역시,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해 격벽(150)에 마련된 발광다이오드 및/또는 수광다이오드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40)에 공급되는 외부 전력은, 도어락(120)과 별도로 마련된 배터리나 상용전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도어락(120)에 마련되어 제2 제어부(124)에 공급되는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인 택배 보관함(100)은 도어락(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락(120)은 열쇠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조작부(121)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RFID 카드 접촉 등의 방식으로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락(1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을 받는 조작부(121)와, 사용자입력을 근거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제2 제어부(124)와, 인증절차의 수행결과에 따라 구동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을 락킹(locking) 또는 언락킹(unlocking)시키는 걸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조작부(12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권한 있는 RFID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 이를 근거로 제2 제어부(124)는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인증성공시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걸림핀을 언락킹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24)는 무인 택배 보관함(100) 중 도어락(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도어락 내에 제1 제어부(140)와 함께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제어부(140)와 제2 제어부(124)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제어부(124)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출입문을 개방함과 동시에, 제1 제어부(140)를 통하여 택배물이 있는 수납공간(101, 102)에 상응하는 도어(111, 112)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124)는 인증절차 성공시 출입문을 언락킹함과 동시에, 제1 제어부(140)를 통하여 택배물이 없는 수납공간(101, 102)에 대응하는 도어(111, 112)는 개방하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되, 택배물이 있는 수납공간(101, 102)에 대응하는 도어(111, 112)만 개방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21)는 택배원이 택배보관함(110)의 수납공간(101, 102)에 택배물을 보관할 때, 택배원으로부터 보관입력을 받을 수 있고, 보관입력이 있으면 제1 제어부(140)는 택배물이 없는 수납공간(101, 102)에 대응하는 도어(111, 1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40)는 제1 및/또는 제2 센서(131, 132)를 구동하여 수납공간(101, 102) 내 택배물의 존부를 판단하지 않고,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태값을 근거로 택배물이 없는 수납공간(101, 102)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111, 112)를 개방토록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어(111, 112)가 개방되었을 때, 제1 및/또는 제2 센서(131, 132)의 발광다이오드는 빛을 조사할 수 있고, 택배원이 도어(111, 112)가 개방된 수납공간(101, 102)에 택배물을 놓고 도어(111, 112)를 닫으면, 제1 제어부(140)는 택배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그 상태를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도어(111, 112)가 복수이고, 택배물의 크기가 어느 한 수납공간(101, 102)보다 큰 경우, 격벽(150)을 어느 일측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킨 후, 택배물을 수납공간(101, 102)에 놓고 도어(111, 112)를 닫으면, 제1 제어부(140)는 격벽의 위치 및 택배물의 존부를 판단하고, 그 상태를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제어부(124)가 인증성공시 제1 제어부(140)를 통해 복수의 도어(111, 112)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보관함(100)은 조작부(121)를 통한 사용자입력 또는 사용자조작과는 무관하게 도어(111, 112)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와,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를 내부에 수용한 스위치함(125)과, 스위치함(125)의 일면에 시건장치(126)에 의해 잠궈지는 스위치함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21)가 의도치 않게 고장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도어(111, 112)를 개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조작부(121)가 아닌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의 작동에 의해 잠금장치(141, 142)가 도어(111, 112)를 락킹하거나, 또는 언락킹하도록 걸쇠 따위의 운동을 강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를 회전시키거나 누름 등의 작동으로 잠금장치(141, 142)에 대한 조작부(121)의 제어명령을 차단하여 조작부(121)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외력으로 도어(111, 112)를 락킹하거나, 또는 언락킹할 수 있는 제1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조작부(121)에 의한 제어명령으로 잠금장치(141, 142)가 도어(111, 112)를 락킹하거나, 또는 언락킹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 및/또는 제2 제어부(140, 124)는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에 의해 설정된 작동모드에 따라 잠금장치(141, 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는 기계적으로 걸림핀(123)과 맞물려 동작하게 구현되어,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의 회전 등의 작동에 따라 도어(111, 112)가 강제적으로 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는 강제로 도어(111, 112)를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권한 없는 자가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를 작동시킬 수 없도록, 작동모드전환스위치(127)가 마련된 스위치함(125)의 외측 일면에는 열쇠 따위로 개폐가능한 시건장치(126)를 가진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무인 택배 보관함 101, 102: 수납공간
110: 택배보관함 1101: 요홈
111, 112: 도어 120: 도어락
121: 조작부 122: 구동수단
123: 걸림핀 124: 제2 제어부
125: 스위치함 126: 시건장치
127: 작동모드전환스위치 131, 131a, 131b: 제1 센서
132, 132a, 132b: 제2 센서 140: 제1 제어부
141, 142: 잠금장치 150: 격벽
151: 돌기 161, 162: 격벽지지대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구분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 무인 택배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1 센서;
    상기 격벽에 마련되어 빛을 수발광하는 제2 센서; 및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별로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사이에 개재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격벽의 양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이 탈착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격벽의 탈착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에 대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격벽의 양면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이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이동 고정시키면, 상기 무인 택배 보관함은 하나의 전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1 및 제2 센서가 서로 간에 빛을 수발광하여, 상기 전체 수용공간에 대한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을 받는 조작부와, 상기 사용자입력을 근거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인증절차의 수행결과에 따라 구동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을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걸림핀을 포함한 도어락;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택배물이 있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택배물이 없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출입문을 언락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6. 제 4 항에 있어서,
    보관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 제어부는 택배물이 없는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이동 고정시키면, 상기 무인 택배 보관함은 하나의 전체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이 인접하였는지 판단하고,
    보관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 제어부는 모든 상기 도어를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한 상기 인증절차가 성공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모든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근접 위치에 장애물이 위치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빛을 발광시켜,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택배물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KR1020200138532A 2020-10-23 2020-10-23 무인 택배 보관함 KR10250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32A KR102507560B1 (ko) 2020-10-23 2020-10-23 무인 택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32A KR102507560B1 (ko) 2020-10-23 2020-10-23 무인 택배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63A true KR20220054063A (ko) 2022-05-02
KR102507560B1 KR102507560B1 (ko) 2023-03-08

Family

ID=8159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532A KR102507560B1 (ko) 2020-10-23 2020-10-23 무인 택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5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691A (ja) * 1991-08-23 1993-06-15 Tokyo Electric Co Ltd 荷物自動受渡し装置
KR20090000074A (ko) 2006-12-27 2009-01-07 주식회사 이지라커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10100336A (ko) * 2010-03-04 2011-09-14 이기섭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KR20140045795A (ko) * 2012-10-09 2014-04-17 김형철 무인 택배장치
KR101678673B1 (ko) 2015-11-16 2016-11-22 (주)솔루션아이티 무인택배 보관함 및 그 제어방법
KR101988836B1 (ko) 2018-11-22 2019-06-13 김용호 수납공간이 가변되는 무인택배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691A (ja) * 1991-08-23 1993-06-15 Tokyo Electric Co Ltd 荷物自動受渡し装置
KR20090000074A (ko) 2006-12-27 2009-01-07 주식회사 이지라커 무인화물중계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10100336A (ko) * 2010-03-04 2011-09-14 이기섭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KR20140045795A (ko) * 2012-10-09 2014-04-17 김형철 무인 택배장치
KR101678673B1 (ko) 2015-11-16 2016-11-22 (주)솔루션아이티 무인택배 보관함 및 그 제어방법
KR101988836B1 (ko) 2018-11-22 2019-06-13 김용호 수납공간이 가변되는 무인택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560B1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0380B2 (en) Lockable enclosure having improved access system
US4471905A (en) Fare collec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security
CN101107413A (zh) 锁定系统
US9574817B2 (en) Medical products storage device with viewing window having variable opacity
KR20160075967A (ko) 분실방지 기능이 구비된 공구박스
JP5085024B2 (ja) 移動棚装置
KR20220054063A (ko) 무인 택배 보관함
CN102599772B (zh) 一种药瓶存取机构
KR100707518B1 (ko)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60604A (ja) 重要物管理装置
JP4126319B2 (ja) 保管庫
KR102370689B1 (ko) 자율주행 스마트 도서관 장치
KR100455462B1 (ko) 다세대용 전자제어식 우편함
WO2008069210A1 (ja) 鍵付保管庫
KR102237496B1 (ko) 보조개방 장치를 구비한 도어용 전자식 잠금장치
JP2608516B2 (ja) キーホルダー付き鍵の保管装置
KR200453384Y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의 가구 개폐장치
KR20100092308A (ko) 도어 잠금장치
KR20220013040A (ko) 무인 택배함
CN114084175B (zh) 用于轨道车辆的便携式操控器、轨道车辆及其控制方法
KR20220071333A (ko) 지문 인증 방식의 도어 락 장치
JP2007016556A (ja) 保管庫
JP3037302B1 (ja) カートリッジ式記録媒体用誤挿入防止装置
KR200274767Y1 (ko) 다세대용 전자제어식 우편함
KR102098177B1 (ko)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