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325A - 워터펌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워터펌프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325A
KR20220053325A KR1020200137641A KR20200137641A KR20220053325A KR 20220053325 A KR20220053325 A KR 20220053325A KR 1020200137641 A KR1020200137641 A KR 1020200137641A KR 20200137641 A KR20200137641 A KR 20200137641A KR 20220053325 A KR20220053325 A KR 2022005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case
side plate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019B1 (ko
Inventor
최승희
Original Assignee
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희 filed Critical 최승희
Priority to KR102020013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펌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흡수관 및 배출관이 연결된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대응부재를 구비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터펌프 보호장치 {Protection apparatus of water pump}
본 발명은 워터펌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펌프는 논에 담기는 물은 벼의 생육정도에 따라서 그 담수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모의 성장기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용수가 필요하게 되며 벼의 수확기에는 수분의 섭취가 거의 없으며 수확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의적으로 물을 빼주게 되는 것이며, 그 외에도 기후의 조건 즉 가뭄이나 장마 등의 발생시 역시 담수위를 조절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워터펌프는 입수구와 배수구를 가진 케이싱 내부에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급수제어구조를 마련하여 논의 담수위가 원하는 수위에서 미달하면 급수제어구조가 농업용수를 퍼 올릴수 있는 워터펌프의 작동스위치를 온 시켜 급수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반대로 원하는 수위에 도달하면 워터펌프의 작동스위치를 오프시켜 더 이상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워터펌프는 우천시 워터펌프 내부로 빗물 등이 흘러 들어와 부식되거나, 모터 부분에 빗물 등이 흘러 들어가 물기가 있는 상태로 모터를 작동시키면 워터펌프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워터펌프에 빗물 등이 흘러 들어가게 되면 잔고장 등을 수리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워터펌프를 보호하는 워터펌프 덮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수관 및 배출관이 연결된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대응부재를 구비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워터펌프가 안착되고, 상기 배출관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측판의 일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대응부재는, 상기 제2 측판의 일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수평부재,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1 대응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여 상기 제1 결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대응부재가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펌프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이동부재; 및
상기 수평이동부재가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는, 워터펌프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우천시 빗물 등으로부터 워터펌프를 보호할 수 있어, 워터펌프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워터펌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형상인 케이스를 상부 및 하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는 상부에 홀이 형성되어 배출홀이 끼움결합될 수 있어 워터펌프의 용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는 제1 결합부재와 제1 대응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케이스의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워터펌프의 펌프만이 개방된 상태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우천시 모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모터로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워터펌프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는, 케이스의 타측면이 개폐가능하여 스위치 조작이 용이하고, 조절부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절부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워터펌프가 장착된 상태로 삽입 또는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는, 수평이동부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수평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평이동부재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방향에서 바라본 워터펌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 보호장치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방향에서 바라본 워터펌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볼 때 위쪽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아래쪽을 하방으로 규정하며 왼쪽을 좌측으로 규정하고, 오른쪽을 우측으로 규정하여 설명하며, 배출홀(111)에서 전방플레이트(150, 250) 쪽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전방플레이트(150, 250)에서 배출홀(111) 쪽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펌프(10)는 농업 등에 사용되는 용수를 논에 주입하거나 배출하여 논에 제공되는 용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워터펌프(1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0, 200)는 하나의 형상의 케이스(100, 200)를 상부 및 하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워터펌프 보호장치(1)는 우천시 물이 모터 주변에 닿게 되면 모터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모터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에 조절부(500)가 설치되어 워터펌프(10)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워터펌프(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워터펌프(10)가 워터펌프 보호장치(1) 내부로 삽입되거나 워터펌프 보호장치(1)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여 워터펌프(10)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워터펌프 보호장치(1)는 워터펌프(10), 케이스(100) 및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펌프(10)는 용수를 흡입 또는 배출하여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1), 흡수관(13) 및 배출관(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사각 또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양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펌프(13)가 결합될 수 있다. 펌프(미도시)는 사각 또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어, 내부에 유입되는 용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전방에는 흡수관(13)이 연장되고, 하우징(11)의 상방에는 배출관(15)이 설치될 수 있다.
흡수관(13)은 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어 용수를 펌프의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배출관(15)은 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펌프(13)의 상방에 연장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15)은 흡수관(13)을 통해 흡수된 용수를 펌프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워터펌프(1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100, 200)는 워터펌프(10)의 하우징(11)이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우천시 하우징(11)에 빗물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흡수관(13) 및 배출관(15)이 외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100) 및 하부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00)는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110), 제1 및 제2 측판(131, 133) 및 제1 전방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워터펌프(10)의 상부에 워터펌프(10)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10)은 우천시 빗물이 떨어질 때, 하우징(11)에 직접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11)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배출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11)은 워터펌프(10)의 상부에 연결되는 배출관(15)이 밀착되면서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00) 내부로 우천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10)의 양측 단부에는 상부플레이트(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측판(131, 133)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판(133)은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110)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측판(131) 및 상부플레이트(110)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측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판(131)은 및 제2 측판(133)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131) 및 제2 측판(133)은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측판(131)과 제2 측판(133)은 플레이트(110)과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131) 및 제2 측판(133)의 전방에는 제1 전방플레이트(1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방플레이트(1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플레이트(150)는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전방이 개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131)과 제2 측판(133)의 하부에는 워터펌프(10)를 안착시킬 수 있는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200)는 워터펌프(1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부플레이트(210), 제3 및 제4 측판(231, 233) 및 제2 전방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워터펌프(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플레이트(210)의 양단부에는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측판(231, 233)은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될 수 있도록 하부플레이트(210)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3 측판(231) 및 하부플레이트(210)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4 측판(2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측판(231)은 제2 측판(133)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4 측판(233)은 제1 측판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은 하부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측판(231)과 제4 측판(233)은 하부플레이트(210)과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방플레이트(2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방플레이트(250)는 중심에 홀이 형성되어 전방이 개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되면 제1 전방플레이트(150)와 제2 전방플레이트(250)가 결합되어 전방이 개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어, 케이스(100, 20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할 수 있따.
이때,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측판(131), 제2 측판(133),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의 단부에는 결합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는 제1 측판(131) 및 제2 측판(133)의 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케이스(200)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재(311) 및 제1 대응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311)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311)는 제2 측판(13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응부재(313)는 제1 측판(13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응부재(313)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응부재(313)는 하방에 위치한, 하부케이스(200)의 제4 측판(233)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재(313a), 제1 수직부재(313b) 및 제1 수평부재(31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313a)는 제1 측판(131)의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재(313a)는 제1 측판(13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재(313a)의 외측 단부에는 제1 수직부재(313b)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부재(313b)는 제1 돌출부재(313a)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직부재(313b)는 제1 돌출부재(313a)의 외측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직부재(313b)의 하단부에는 제1 수직부재(313b)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수평부재(313c)가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대응부재(313)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재(333)가 개구된 방향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어, 하부케이스(200)의 제1 측판(131)이 제4 측판(233)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30)는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의 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00)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재(333) 및 제2 대응부재(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333)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재(333)는 제3 측판(23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대응부재(331)는 제4 측판(23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대응부재(331)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응부재(313)는 상방에 위치한, 상부케이스(100)의 제1 측판(131)의 제1 결합부재(31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돌출부재(331a), 제2 수직부재(331b) 및 제2 수평부재(3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재(331a)는 제4 측판(233)의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재(331a)는 제4 측판(233)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재(331a)의 외측 단부에는 제2 수직부재(331b)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부재(331b)는 제2 돌출부재(331a)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수직부재(331b)는 제2 돌출부재(331a)의 외측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직부재(331b)의 상단부에는 제2 수직부재(331b)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2 수평부재(331c)가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대응부재(33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방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재(311)가 개구된 방향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어, 상부케이스(100)의 제4 측판(233)이 제1 측판(131)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재(311)는 제2 대응부재(331)와 결합되고, 제2 결합부재(333)는 제1 대응부재(313)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100)의 형상과 하부케이스(200)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210) 내부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분리부(400)는 워터펌프(10)와 타이머 등의 외부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스(100, 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410) 및 분리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측판(130, 23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1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는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210)의 내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10)의 높이는 측판(130, 2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분리부재(430)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분리부재(430)는 상부케이스(100)에 형성된 지지부재(410)의 사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케이스(100, 20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고, 케이스(100, 200)의 내부 유입되는 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누전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분리부재(430)의 전방에는 조절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500)는 상부케이스(100)에 설치된 분리부재(43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500)는 워터펌프(10)와 연결되어 워터펌프(1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몸체(510)는 워터펌프(10)와 연결되고,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력홈(511), 조절부재(513) 및 공급부재(515)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몸체(510)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몸체(510)의 하방에 위치한 면에는 전력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력홈(511)은 조절몸체(5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홈(511)에는 워터펌프(1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는 전기선 등과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조절몸체(510)의 정면에는 시계 방향을 따라 숫자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조절몸체(510)의 정면에 표시된 숫자에 조절부재(513)를 회전시킴으로써, 시간을 정할 수 있어, 워터펌프(10)의 작동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조절부재(513)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절몸체(510)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조절부재(513)는 조절몸체(5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513)의 상부면에는 선이 표시되어 있어, 선을 조절몸체(510)에 기재된 숫자와 대응시키면 대응되는 숫자에 맞는 시간 동안 워터펌프(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급부재(515)는 조절몸체(510)의 우측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몸체(510)는 전력선 등일 수 있고. 공급부재(515)의 단부에는 콘서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급부재(515)는 외부와 연결될 수 있어, 조절몸체(510) 내측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가이드부(700)는 워터펌프(10)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710) 및 수평이동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0)은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에 고정되어 수평이동부재(730)를 케이스(1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수직몸체(711), 레일부재(713) 및 가이드홈(71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몸체(71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제3 측판(231) 및 제2 측판(233)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몸체(711)는 제3 측판(231) 및 제4 측판(233)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후방으로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몸체(711)의 상단부에는 케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레일부재(713)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재(713)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재(713)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몸체(711)와 레일부재(713)가 연결됨으로써, 수직몸체(711)와 레일부재(713) 사이에 가이드홈(7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15)에는 수평이동부재(73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 끼움 결합되어 가이드홈(715)을 따라 수평이동부재(730)가 케이스(100)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케이스(100, 200)의 전방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수평이동부재(7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부재(73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가이드홈(715)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어, 가이드홈(715)을 따라 수평이동부재(730)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부재(730)의 상부에는 워터펌프(10)가 안착될 수 있어, 중량이 무거울 수 있는 워터펌프(10)가 케이스(100, 2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케이스(100, 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수평이동부재(730)의 상부에는 진동감쇄부재(731)가 안착될 수 있다.
진동감쇄부재(7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진동감쇄부재(731)의 좌측 및 우측 단부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진동감쇄부재(731)는 수평이동부재(7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이동부재(7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진동감쇄부재(731)는 탄력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감쇄부재(731)는 워터펌프(10)가 작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감쇄함으로써, 워터펌프(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케이스(100)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킬 수 있고, 케이스(100, 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진동감쇄부재(731)이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감쇄돌기(731a)가 형성될 수 있다.
감쇄돌기(731a)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쇄돌기(731a)는 진동감쇄부재(731)와 수평이동부재(73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워터펌프(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케이스(100, 200)로 전달될 때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워터펌프(10)가 작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 케이스(100, 200)로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워터펌프 보호장치(1)는 워터펌프(10)가 외부와 용수의 흡수 또는 배출함과 동시에 우천시 하우징(11)을 보호할 수 있고, 워터펌프(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워터펌프(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 2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워터펌프(10)의 이동이 용이하여 워터펌프(10)의 설치 또는 해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워터펌프 보호장치
10: 워터펌프 11: 하우징
13: 흡수관 15: 배출관
100: 상부케이스 110: 상부플레이트
111: 배출홀 130: 상부측판
131: 제1 측판 133: 제2 측판
150: 제1 전방플레이트 200: 하부케이스
210: 하부플레이트 230: 하부측판
231: 제3 측판 233: 제4 측판
250: 제2 전방플레이트 300: 결합부
310: 제1 결합부 311: 제1 결합부재
313: 제1 대응부재 313a: 제1 돌출부재
313b: 제1 수직부재 313c: 제1 수평부재
330: 제2 결합부 331: 제2 대응부재
331a: 제2 돌출부재 331b: 제2 수직부재
331c: 제2 수평부재 333: 제2 결합부재
400: 분리부 410: 지지부재
430: 분리부재 500: 조절부
510: 조절몸체 511: 전력홈
513: 조절부재 515: 공급부재
700: 가이드부 710: 가이드레일
711: 수직몸체 713: 레일부재
715: 가이드홈 730: 수평이동부재
731: 진동감쇄부재 731a: 감쇄돌기

Claims (7)

  1. 흡수관 및 배출관이 연결된 워터펌프;
    상기 워터펌프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대응부재를 구비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워터펌프 보호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워터펌프가 안착되고, 상기 배출관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하는 워터펌프 보호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측판의 일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워터펌프 보호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부재는,
    상기 제2 측판의 일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수평부재;
    상기 제1 수평부재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워터펌프 보호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1 대응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여 상기 제1 결합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대응부재가 이동가능한 워터펌프 보호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펌프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워터펌프 보호장치.
  7.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이동부재; 및
    상기 수평이동부재가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워터펌프 보호장치.
KR1020200137641A 2020-10-22 2020-10-22 워터펌프 보호장치 KR10245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41A KR102451019B1 (ko) 2020-10-22 2020-10-22 워터펌프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641A KR102451019B1 (ko) 2020-10-22 2020-10-22 워터펌프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25A true KR20220053325A (ko) 2022-04-29
KR102451019B1 KR102451019B1 (ko) 2022-10-04

Family

ID=8142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641A KR102451019B1 (ko) 2020-10-22 2020-10-22 워터펌프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00U (ja) * 1993-07-28 1995-02-14 株式会社川本製作所 合成樹脂製ポンプケーシング
KR200342124Y1 (ko) * 2003-11-29 2004-02-14 병 환 최 조립식 장식등장치
WO2009008712A1 (en) * 2007-07-12 2009-01-15 B.B.A. Participaties B.V. Sound-damping housing for a pump and for a drive motor for said pump
US20090246039A1 (en) * 2006-01-09 2009-10-01 Grundfos Pumps Corporation Carrier assembly for a pump
KR20150043577A (ko) * 2013-10-11 2015-04-23 윌로펌프 주식회사 펌프
CN107178505A (zh) * 2017-07-11 2017-09-19 泰州泰东泵业有限公司 一种滑旋便维卧式单级泵
KR20190096222A (ko) * 2018-02-08 2019-08-19 윌로펌프 주식회사 수평형 펌프의 지지모듈
JP2020017510A (ja) * 2018-07-24 2020-01-30 厦門普為光電科技有限公司 安定的に結合される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00U (ja) * 1993-07-28 1995-02-14 株式会社川本製作所 合成樹脂製ポンプケーシング
KR200342124Y1 (ko) * 2003-11-29 2004-02-14 병 환 최 조립식 장식등장치
US20090246039A1 (en) * 2006-01-09 2009-10-01 Grundfos Pumps Corporation Carrier assembly for a pump
WO2009008712A1 (en) * 2007-07-12 2009-01-15 B.B.A. Participaties B.V. Sound-damping housing for a pump and for a drive motor for said pump
KR20150043577A (ko) * 2013-10-11 2015-04-23 윌로펌프 주식회사 펌프
CN107178505A (zh) * 2017-07-11 2017-09-19 泰州泰东泵业有限公司 一种滑旋便维卧式单级泵
KR20190096222A (ko) * 2018-02-08 2019-08-19 윌로펌프 주식회사 수평형 펌프의 지지모듈
JP2020017510A (ja) * 2018-07-24 2020-01-30 厦門普為光電科技有限公司 安定的に結合される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019B1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4526A1 (en) Weather guard for fan on air conditioner/heat pump condenser unit
KR101543603B1 (ko) 방수형 환기구캡
KR200485410Y1 (ko) 바이패스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 청정기능 및 공기 순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에어서큘레이터
KR100505385B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2451019B1 (ko) 워터펌프 보호장치
KR200358678Y1 (ko)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JP2015017438A (ja) 旋回式建設機械
CN210425436U (zh) 一种新型风幕机
EP4108999A1 (en) Mobile air conditioner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58286B1 (ko) 건물의 실내 환기장치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110109018A (ko) 급,배기 장치
KR10067942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KR20060018566A (ko) 냉,난방장치
KR100713295B1 (ko) 환기 청정 장치
WO2006068356A1 (en) Device to protect offensive odor and vermin from the sewage
JP2001050172A (ja) 給水装置
KR100539436B1 (ko) 공기조절장치 부착형 풍도용 소음저감장치
JP200919806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18635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욕실 환기구조
KR102407648B1 (ko) 공기조화기
KR101111241B1 (ko) 펌프 일체형 수문의 펌프 장착구조
JP4227256B2 (ja) 給水装置
JP3214908B2 (ja) 車両の振動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