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003A -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그의 제조방법, 의약 조성물 및 용도 - Google Patents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그의 제조방법, 의약 조성물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003A
KR20220053003A KR1020227010240A KR20227010240A KR20220053003A KR 20220053003 A KR20220053003 A KR 20220053003A KR 1020227010240 A KR1020227010240 A KR 1020227010240A KR 20227010240 A KR20227010240 A KR 20227010240A KR 20220053003 A KR20220053003 A KR 20220053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
ser
thr
cys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안 마누엘 페레즈 사에즈
레오나르도 에드문도 부스만
Original Assignee
신텍스 에세.아.
아벤틴, 알레한드로 다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텍스 에세.아., 아벤틴, 알레한드로 다리오 filed Critical 신텍스 에세.아.
Publication of KR2022005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59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Chorionic gonadotropins, e.g.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Luteinising hormone [LH];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코실화 부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열에 연결된 말의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의 베타 사슬 및 알파 사슬을 인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탁월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활성을 야기하는,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폴리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재조합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DNA 분자 역시도 교시되며, 이들 DNA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상기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도 개시된다.

Description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그의 제조방법, 의약 조성물 및 용도
[001] 말의 융모막 고나도트로핀(eCG: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은 임신한 암말의 자궁내막 컵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이다(Christakos and Bahl, 1979). 이전에 임신한 암말의 혈청 고나도트로핀(PMSG: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으로 알려져 있던 이 호르몬은 가축 활동에서 인공 수정 전에 배란을 유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두 개의 α- 및 β- 이종이량체 사슬로 구성된 고도로 글리코실화된 당단백질이다. 알파 소단위는 모든 당단백질 호르몬(LH, FSH, TSH, CG)에 공통적인 반면 베타 소단위는 각 호르몬에 특이적이며 수용체 결합에 있어서의 특이성을 담당하지만 GC의 경우 LH와 동일한 수용체에 결합한다. 말과(equidae)(말, 당나귀, 얼룩말)에서, 태반 CG와 뇌하수체 LH는 동일한 유전자에서 발현되므로, 단백질 서열이 동일하며 단지, 탄수화물 측쇄, 특히 베타 소단위에 위치하는 탄수화물 측쇄만 상이하므로, 공통서열을 가지며 eLH/CG라고도 부른다(Sherman et al., 1992).
[002] eLH 및 eCG는 상기 기술된 것과 동일한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고, 알파 소단위에 두 개의 N-글리코실화를 갖는 것에 더해, 베타 소단위에서 O-글리코실화된 C-말단 연장 및 N-글리코실화를 갖지만(Murphy 및 Martinuk, 1991), 상이한 조직에서 발현 및 분비되는 경우, 이들은 그의 탄수화물 측쇄 N 및 O가 크게 다르며(Smith et al. 1993, Matsui et al. 1994, Bousfield 및 Butnev 2001), 이로 인해 이들은 eLH와 비교하여 eCG의 더 긴 반감기 및 다른 열적 안정성으로 인해 생체 내에서 다른 생물학적 능력을 갖는다(Galet et al. 2004).
[003] eCG의 생산은 현재 임신 40일에서 130일 사이에 호르몬을 분비하는 임신한 암말의 출혈에 의해 수행된다(Allen and Moor, 1972). 일단 정제, 제제화되어 제어된 후, 이 호르몬은 특히 암컷 염소, 소, 돼지 등에서 인공 발정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eCG는 황체형성 활성만 있는 말에서와 달리, 축산업에서 사용하기에 두 가지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종에서 이 호르몬은 난포자극호르몬(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의 활성 두가지 모두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그의 4차 구조와 다중 글리코실화 부위로 인해 혈류에서 반감기가 증가한다(Stewart et al., 1976; Combarnous et al., 1981).
[004] 현재의 생산 공정은 추출 호르몬의 생산 및 정제와 관련된 모든 문제, 특히 동물의 유지 및 건강 비용과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최종 제제의 순도를 극대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체 생산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다.
[005] 본 발명자들은 뇌하수체에 의해 분비되는 eLH와 영양막(trophoblast)에서 분비되는 eCG의 생물학적 활성의 차이가 근본적으로 글리칸의 길이와 시알화의 차이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 시스템에서 적절한 글리코실화의 부족이, 생체내에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혈장 반감기를 갖는 재조합 eLH/CG를 지금까지 방해했다는 것도 분명한다.
[006] 문서 ["트랜스제닉 토끼의 젖에서 말 LH/CG의 단일 베타 알파 사슬 단백질의 발현 및 그의 생물학적 활성". Galet et al,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174 (2000) 31-40에 게재됨]는, 링커의 추가 없이 베타/알파 사슬 융합 단백질의 구성을 교시한다. 상기 구조는 형질전환 토끼의 젖에서 발현된다. 수득된 단백질은 천연 단백질과 시험관내 활성이 유사하지만, 생체내에서는 활성이 없고 생산된 재조합 호르몬의 반감기는 매우 낮다.
[007] 한편, MIN Kwan-Sik et al. 등은 문헌 ["테더링된 말의 융모막 고나도트로핀(eCG) 및 그의 탈당화된 돌연변이체의 생물학적 활성", Journal of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Vol. 50, No. 3, 2004 게재]에서, 글리코실화를 감소시키는 돌연변이가 있거나 없는 CHO-K1 세포에서 베타 및 알파 사슬의 융합을 증명하였는데 이들은 알파 사슬과 베타 사슬을 융합하기 위해 어떠한 링커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 연구자들은 LH 및 FSH 활성 모두에 대한 시험관내 활성(세포 배양)만을 평가하고 있고 글리코실화되지 않은 돌연변이체에서는 더 낮다. 활성 호르몬을 섭취하지만 시험관 내에서만 가능한다.
[008] SF9 및 모방 곤충 세포(5개의 추가된 글리코실트랜스페라제를 갖는 SF9)에서 개별적으로 베타 및 알파 사슬이 발현됨을 보여주는, 문헌 ["Sf9 및 모방 곤충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재조합 말 황체형성 호르몬/융모막 고나도트로핀(eLH/CG)의 생물학적 활성", Legardinier, et al., Journal of Molecular Endocrinology (2005) 34, 47-60]에 보고된, 재조합 호르몬을 수득하기 시도 역시 성공하지 못하였다. Sf9 및 모방 세포에서 생산된 두 개의 eLH/CG는 LH 및 FSH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검정에서 활성이었고 eCG와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지만, 여포 자극 호르몬(FSH) 또는 eCG 특정 분석에서, 유의한 생체내 생물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모방 세포에서 생산된 재조합 eLH/CG는 Sf9 세포에서 생산된 것보다 더 많이 글리코실화되어 있지만, 탄수화물 사슬의 말단 시알화(sialylation)가 불충분하여 혈액을 빠르게 제거하기 때문에, 생체내 활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009] 또 다른 그룹은 문헌 ["단쇄 재조합 말 황체형성 호르몬(reLH)의 발현 및 생물활성", Jablonka-Shariff et al. Theriogenology 67 (2007) 311-320]에서 어떠한 링커도 사용하지 않고 베타 및 알파 사슬을 융합하는 것에 관해 보고하였다. 발현은 CHO-K1 세포에서 수행된다. 이들은 말에서의 테스토스테론 생산의 피크에 의해, 시험관내(라이디히(Leydig) 세포에 의한 테스토스테론 생산) 및 생체내 LH 활성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FSH 활성이 존재함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뇌하수체에서 생성된 LH가 영양막에서 생성된 GC보다 덜 글리코실화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연구자들은, 그들이 얻는 재조합 산물(reLH)이 eCG보다 eLH에 더 유사하며, 따라서 CHO 세포가, eCG 합성에 필요한 적절한 글리코실트랜스페라제 활성을 결여한다고 주장하였다.
[010] 마지막으로, Sogayar 등은 특허출원 WO 2017/112987 A1에서 CHO dg44 세포(Jablonka-Shariff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융합을 갖는 dhfr 유전자에 대해 알려진 CHO K1 계통)의 형질전환을 보고하고, 이들을 선택 및 증폭시켜 재조합 글리코실화 eCG의 높은 생산 클론을 선택한다. 그들은 그들의 CHO 세포가 글리코실화와 관련된 모든 효소를 발현한다고 평가하고 그것이 그들의 eCG가 시험관내 및 생체내(쥐와 소)에서 활성적일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제안된 공정은 우연히 영양막과 유사한 프로필을 갖는 글리코실화되는 특정 클론의 선택을 요구하므로, 상기 클론의 안정성은 대규모 생산을 위한 상기 전략의 유용성을 상대적인 것으로 만든다.
[011] 이것이 본 발명자들이 eLH/CG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를 변경함이 없이 재조합 발현 시스템에서 번역후 보다 효율적으로 글리코실화될 가능성을 높이고, 그의 유체역학적 부피를 증가시켜 종국적으로 생체내에서의 그의 생물학적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eLH/CG의 구조를 수정하기로 결정한 이유이다.
발명의 개요
[012] 본 발명은 폴리펩타이드가, 글리코실화 부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열에 연결된 말의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의 베타 사슬 및 알파 사슬을 인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폴리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013]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폴리펩타이드는 SEQ ID NO: 2, SEQ ID NO: 4, SEQ ID NO: 6, SEQ ID NO: 8 및 SEQ ID NO: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014] 재조합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DNA 분자는 또한 본 출원의 관련 구체예이기도 하다. 특히, SEQ ID NO: 1, SEQ ID NO: 3, SEQ ID NO: 5 및 SEQ ID NO: 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을 갖는 것들이 그러하다.
[015] 이들 DNA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도 본 출원의 대상이다.
[016] 일 구체예에서, 이들 폴리펩타이드는 의약 조성물의 일부이다.
[017] 이들 재조합 단백질 및 조성물은 소, 돼지, 양, 개, 토끼, 사슴, 염소 및 실험 동물과 같은 포유동물에서 과배란, 배란 부전, 난소 기능저하증, 산후 발정 유도 또는 고환저하증과 같은 포유동물의 생식 또는 배란과 관련된 상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유용하다.
[018] 또 다른 구체예는 벡터를 형질감염시키고, 이를 CHO 세포에서 발현시키며, 선택적으로 면역친화성을 정제함으로써,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을 생산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019] 도 1은 상이한 링커에 의해 연결된 베타/알파 융합 단백질의 변이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발현 벡터를 나타낸다.
[020] 도 2는 시험관내 성선 자극(gonadotropic) 생물학적 활성(FSH)의 측정, eCG에 대한 전형적인 용량 반응 곡선을 나타낸다.
[021] 도 3은 hCG에 대한 시험관내 용량 반응 곡선에서 황체형성 생물학적 활성(LH)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022] 도 4는 HEK293T 세포에서 발현된 작제물에 대한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 측정치를 나타낸다.
[023] 도 5는 HEK293T 또는 CHOKI 세포에서 발현된 작제물에 대한 시험관내 FSH 생물학적 활성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024] 도 6은 HEK293T 또는 CHOK1 세포에서 발현 산물의 상등액의 분석 결과를 도시한다. 10% 천연 아크릴아미드 젤이 표시된다. 각 레인에 17ug의 총 단백질을 접종하였다. H 시리즈는 CHO K1에서 HEK 및 C 세포에 의해 합성된 것들이다. BSA 5ug 및 PMSG 0.25IU. 17 ug의 질량에 해당하는 단위는 다음과 같았다: 2H(pCG 2) 4 IU; 5H(pCG 5) 7.2 IU; 8H(pCG.8) 4.5IU; 10H(pCG 10) 1.4IU; 5C(pCG5) 0.55IU; 8C(pCG 8) 0.22IU.
[025] 도 7은 안정하게 단백질을 생산하는 클론의 시험관내 FSH 생물학적 활성 측정을 보여준다.
[026] 도 8은 면역친화도에 의한 정제된 reCG 단백질의 분석을 나타낸다. 접종된 eCG 패턴은 쿠마씨 및 웨스턴으로 염색하기 위해 10 및 1 ug이었고, 작제물 #5 및 #8에는 동일한 조건에 대해 3.5 및 0.5 ug이 로딩되었다.
[027] 도 9는 안정한 클론 5G 및 8F의 시험관내 FSH 및 LH 생물학적 활성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028] 도 10은 소의 현장 시험에서 프로게스테론이 있는 장치로 처리하는 동안 난포 수의 측정치를 보여준다. P4가 있는 장치를 제거하기 전의 기간 동안 eCG(네이티브; n = 13) 또는 reCG(n = 14)로 처리된 소의 난포 크기 및 처리일에 따른 난포 수(평균) (P > 0.1).
[029] 도 11은 소의 현장 시험에서 프로게스테론이 있는 장치를 제거한 후 난포 수의 측정치를 보여준다. P4가 있는 장치를 제거한 후 eCG(네이티브; n = 13) 또는 reCG(n = 14)로 처리된 소의 난포 크기 및 처리일에 따른 난포 수(평균) (P > 0.1).
[030] 도 12는 두 처리군 모두에서 P4 수준을 갖는 장치를 제거한 후의 난포 수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eCG 알파-베타 융합 단백질의 재조합 변이체 획득
[031]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은 혈장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글리코실화 부위를 추가하여 eCG(reCG)의 단일 재조합 알파/베타 사슬의 생산을 설명한다. 단일 사슬의 작제는 링커로서 다중 글리코실화 부위의 서열의 도입을 허용하고 소단위의 회합/해리 문제를 회피시켜준다.
[032]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다중 O-글리코실화 또는 N-글리코실화 부위를 갖는 2개의 서열을 추가함으로써 유전자 서열을 변형시켰다. O-글리코실화 서열은 베타 사슬의 특징이며 카르복시 말단 펩타이드(CTP: Carboxy Terminal Peptide)에 있는 것이 특징이고, N-글리코실화 서열은 포유동물의 N-글리코실화의 공통 서열로부터 설계되었으며 우리는 이것을 CTP와 대조적으로 NTP라고 칭하는데, 이는 이것이 아미노(N) 말단 펩타이드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033] 상이한 링커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작제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 이들 각각의 변이체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아미노산 서열은 첨부된 서열 목록에 제시되어 있다:
[034] SEQ ID NO: 1은 NTP-베타CTP-NTP-알파를 인코딩하는 작제물(작제물 # 2)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응하고, SEQ ID NO: 2는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한다. SEQ ID NO: 3은 NTP-베타CTP-CTP-알파를 인코딩하는 작제물(작제물 # 5)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응하고 SEQ ID NO: 4는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한다. SEQ ID NO: 5는 NTP-베타CTP-알파를 인코딩하는 작제물(작제물 # 8)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해당하고 SEQ ID NO: 6은 아미노산 서열에 해당한다. SEQ ID NO: 7은 NTP-베타-NTP-알파를 인코딩하는 작제물(작제물 # 10)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응하고 SEQ ID NO: 8은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한다. SEQ ID NO: 9는 CTP-베타CTP-CTP-알파를 인코딩하는 작제물(작제물 # 6)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상응하고 SEQ ID NO: 10은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한다. SEQ ID NO: 11은 베타CTP-CTP-알파를 인코딩하는 작제물(작제물 # 4)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해당하고 SEQ ID NO: 12는 그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응한다.
경쟁적 ELISA를 통한 eCG 결정 방법 개발
[035] 포획 항체(Ab)는 Syntex에서 제공된 토끼 항-eCG 폴리클로날 항체이다. CL 아가로스에 공유 결합된 eCG 친화성 컬럼으로 정제하여 특정 면역글로불린을 얻었다. 트레이서는 시알산 잔기를 알콕시아민-PEG12-비오틴으로 비오틴화하여 얻었다.
[036] 알칼리성 스트렙타비딘 포스파타제(Strp-FA)를 사용하여 샘플 또는 표준 곡선에 존재하는, 치환되지 않은(non-displaced) Biot-eCG를 정량화하였다.
[037] 테스트는 96-웰 ELISA 플레이트에서 수행되며, 표준 곡선은 Std 1 eCG Syntex 표준을 이용하여 작제한다. 알칼리 포스파타제 농도는 100mM Tris pH9.2, 1mM MgCl2에서 기질 4-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405 nm에서 판독. 분석의 동적 범위는 20-0.16ng/웰이다.
시험관내 성선 자극(FSH) 생물학적 활성 측정 테스트
[038] HEK 293T 세포를 소의 FSH 호르몬 수용체 이식유전자 및 선별 항생제 네오마이신을 보유하는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켰다. 항생제 내성을 선별하고 내성 클론을 증폭시킨 후, 특이적 결합을 입증하기 위해 경쟁자로서 INAME가 제공한 표준의 1 IU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bFSH 수용체의 발현을 125I-FSH 결합에 의해 확인하였다.
[039] 높은 친화도로 리간드에 결합하고 이 결합이 제2 메신저 cAMP를 합성하는 반응을 생성하는 FSH 수용체를 발현하는 클론을, CRE 프로모터(pGL4 Promega) 하에 루시페라제 리포터 작제물로 형질감염시켰다. cAMP의 존재 하에서 이 작제물을 지니는 세포들은 두 번째 메신저의 양에 비례하여 루시퍼라제를 생성한다. 효소 루시페라아제는 ATP + O2의 존재 하에서 루시페린을 대사산물과 빛으로 변형시킨다. 이 발광은 전체 시스템이 조립될 때, 난포-자극 활성을 갖는 피검물의 농도에 비례한다. 테스트의 동적 범위는 12.5 - 0.4mU/튜브이다.
[040]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의 전형적인 용량-반응 곡선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관내 황체의(luteotrooic) 생물학적 활성 측정 시험
[041] 마우스 라이디히(Leydig) 세포주는 성선 자극이 cAMP 생산 및 프로게스테론 분비에 반응하기 전에 LH 수용체를 구성적으로 발현한다. 현재 세포주를 LH/hCG에 대한 반응의 부분적 손실에 의해 재클론하고, hCG에 대해 가장 높은 반응성을 갖는 클론을 선택하여, 이를 FSH 활성 분석의 HEK 세포와 마찬가지로 CRE-Luc 리포터 유전자로 형질감염시켰다.
[042] 웰당 25,000개의 세포를 파종하고 48시간 동안 예비 인큐베이션하여 콜라겐으로 코팅된 P96 플레이트에서 시험을 수행한 다음, hGC 또는 샘플의 표준 곡선을 추가하여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을 계속한다. 자극 시간이 경과한 후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약을 추가하여 이전 테스트에서와 같이 루시퍼라제 활성을 결정한다. 테스트의 동적 범위는 50-0.8 mIU/웰이다.
[043] hCG에 대한 전형적인 용량-반응 곡선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 측정 시험
[044] 유럽 약전 9판(Eh. Ph.9),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Monograph for veterinary use를 분석 표준으로 사용하여 샘플을 분석하였다.
[045] 천연 또는 재조합 말 융모막 고나도트로핀(eCG)의 존재 및 이에 따른 생물학적 활성(FSH)은, 제품을 주사한 미성숙 암컷 래트에서 난소 질량의 증가를 야기해야 한다. 이 증가는 처리 후 얻은 한 쌍의 난소의 평균 무게를, 처리되지 않은 한 쌍의 난소 무게(기준 무게)와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연구에 사용된 스트레인(Sprague Dawley(sd))의 난소 쌍의 기준 무게는 25mg 미만이다.
[046] 방법론: 0.2 ml의 샘플을 선택된 래트에 피하 주사하였다.
[047] 1차 주사한지 18, 21, 24, 42 및 48시간 후에 주사를 반복하였다(용액은 냉장고에 보관). 동물을 마지막 주사 후 40시간 이상 및 72시간 이내에 희생시켰다. 그 후, 난소를 제거하고, 각 동물의 지방, 유착 및 난관을 분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각 처리된 래트의 양쪽 난소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048] 모든 동물 취급, 주사, 도축, 추출, 세척 및 난소 무게 측정은 이러한 방법론 및 동물 취급에 대해 훈련된 인력에 의해 수행되었다.
[049] 생후 21일 내지 28일(연령 차가 3일 이하임)이고 체중이 약 50-55g(±10g 범위)인 Sprague Dawley(sd) 종의 암컷 랫트들을 선택한 그룹 내에서 사용하였다.
작제물의 기능성 결정
A - HEK293T 세포에서의 평가
[050] 여러 상이한 reCG 작제물들의 성선 자극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합성 플랫폼으로서 HEK293T 세포주를 선택하였다. 이 세포주는 SV40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면 플라스미드의 증식을 일으키는 T 항원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일시적인 형질감염으로 적절한 플라스미드에 클로닝된 재조합 단백질의 비정상적 발현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이 세포주에 의해 합성된 재조합 단백질로 하여금, 일단 복잡한 시스템에 존재하면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갖게 만드는 글리코실화 패턴의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거되지 않은 시스템에서의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이러한 단백질은 시험관내 시스템에서의 활성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
[051] HEK293T 세포에서 발현된 작제물 2, 5, 8 및 10 각각에 대해 측정된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험관내 HEK 세포의 결과(도 4가 대표적인 것)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설계된 융합 단백질들이 시험관내에서 두 가지 eGC 활성을 모두 갖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052] 다른 한편으로, HEK293T 세포주에서 합성된 이들 동일한 reCG 작제물(재조합)의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을 연구하였다. 샘플들의 생물학적 활성은 시험관 내 테스트에서 얻은 결과에 따라 500 lU/mL로 추정되었다.
[053] 얻어진 결과는 모든 경우에, 평균 난소 중량이 25mg 미만, 즉 연구 중인 균주의 기준 중량과 유사함을 보여준다.
[054] 따라서, HEK 세포에서 합성된 작제물은, 비록 시험관내에서는 생물학적 활성이 있지만 생체내에서는 생물학적 활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B - CHOK1 세포에서의 평가
[055] HEK293T 세포에서 얻은 결과로 인해, 일반적으로 HEK 및 SF9보다 더 긴 혈장 반감기를 갖는 당단백질을 생산하는 CHOK1 세포를 플랫폼으로 사용하여 reCG의 개발을 지속하였다. 선택된 작제물은 #5 및 #8이었는데, 이는 이들이 시험관내 테스트에서 더 많은 양으로 발현되었기 때문이었다.
[056] 10x106개의 HEK 또는 CHO 세포에 의해 합성된 단백질의 시험관내 FSH 생물학적 활성 비교를 도 5에 나타내었다.
[057] 다른 한편, 상등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은 2개의 천연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중 하나를 쿠마씨 G250 염색으로 전체 단백질 검출에 사용하고 eCG 네이티브에 대해 토끼에서 생성된 항체를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다른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으로 옮겼다. 얻어진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058] HEK 세포에서 합성된 재조합 단백질의 겉보기 크기는 추출 eGC의 패턴과 유사하다. 이것은 관찰된 생체내 활성의 결여가 HEK 세포에서 합성된 폴리펩타이드의 유체역학적 부피 또는 글리코실화의 양 때문이 아니라 그의 품질에 기인함을 가리킨다.
[059] 따라서 CHOK1 세포에서 생산된 재조합 단백질과 더 많은 양으로 발현되는 작제물 #5 및 #8을 이용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060]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 시험은 표준 곡선의 최소 자극 값 내에서 난소 중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대조군 조정 배지는 대조군 이외의 값을 생성하지 않았다.
[061] eCG 네이티브에 대해 생성된 항체를 이용하여 수행된 웨스턴 블롯에서 재조합 호르몬의 인식을 감안할 때, 일시적으로 형질감염된 CHO 세포의 상등액을 eCG #5 작제물과의 친화성 컬럼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총 61 IU의 시험관내 FSH 활성으로 13ug의 단백질을 얻었다. 203.9 mg, 119.8 mg 및 172.9 mg의 난소 중량을 나타내는 3마리 동물에서 생체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자극 값은 표준 곡선의 최대값과 유사하였다.
안정적으로 단백질을 생산하는 클론의 생성
[062] CHO K1 세포를 eCG #5 및 #8 작제물로 형질감염시키고 G418 항생제로 선택하여 이식유전자를 안정적으로 보유하는 세포를 수득하였다. 컨플루언스 상태에 도달하면 호르몬의 발현을 ELISA에 의해 결정하고, 상등액 50 ul 분취량에서 0.6 ng 활성을 검출하도록 설정하였다.
[063] 클론의 선택 기준은 1.5 lU/ml 초과의 양호한 성장 및 생산이었고, 작제물 #5 중 4개 및 작제물 #8 중 3개가 후보로 남아 있었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064] 클론 5D, 5G, 5J 및 8F를 확장하여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고, 결과에 따라 클론 5G 및 8F를 선택하여 이의 추가 특성화를 위해 2개의 작제물의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재조합 단백질의 단리를 계속하였다.
면역친화성(i mmunoaffinitv)에 의한 ReCG 정제
[065] Syntex에 의해 양에서 생성된 항 eCG 면역 혈청을 사용하였다. 특이적 IgG가 eCG-Sepharose 컬럼을 이용한 친화도에 따라 분리되었으며 혈청 ml당 3mg의 항-eCG IgG가 수득되었다. 항-eCG의 분취량을 커플링 완충액(중탄산염-NaCl)에 대해 투석하여 9 ml의 Sepharose-NHS에 결합된 총 90mg의 IgG를 얻었다.
[066] 0.22ug으로 여과된 조정 배지를 1ml/cm2/분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기준선으로 돌아올 때까지 PBS로 베드를 세척하고 3 ml의 글리신 pH3으로 용출시킨 다음, 280nm에서 흡광도 피크를 수집하였다. 글리신 용출액 pH3을 중화하고 PBS에 대해 정용여과하고 농축하였다.
[067] 850 ug의 작제물 #5 및 360 ug의 작제물 #8을 얻었다. 이들을 환원제 없이 PAGE로 분석하여 쿠마씨 염색으로 전체 단백질 밴드를 나타내고, 토끼의 천연 호르몬으로 Syntex에서 생성한 것을 첫 번째 항체로 사용하는 웨스턴 블롯으로 특정 밴드를 나타내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068] 재조합 호르몬의 경우 항체에 의해 나타나는 유일한 밴드는 쿠마씨로 염색된 밴드와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매우 높은 중량 밴드는 융합 단백질의 이량체일 가능성이 있는 반면 천연 단백질에서 관찰된 낮은 중량 밴드는 SDS를 사용하지만 환원제가 없는 실행 조건 하에서 이종이량체의 부분 해리로 인한 것이다.
[069] 단백질 및 표준 eCG Syntex 모두의 시험관내 성선 자극 및 황체 자극 활성을 측정하였다. 질량의 용량-반응 활성과 상대 발광 단위(RLU)로 표현된 루시페라제 활성의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재조합 호르몬과 천연 호르몬의 비활성 차이는 현저하며, 황체형성 호르몬의 경우 더 두드러졌는데, 여기서 천연 호르몬은 고용량에서 조차 활성을 포화시키지 않는다.
안정적으로 생성된 단백질-생산 클론의 생물학적 활성 연구
[070] CHOK1 세포를 작제물 #5 및 #8로 형질감염시키고 이식유전자를 안정적으로 보유하는 세포를 선택 및 수득하였다.
[071] 5D, 5G, 5J 및 8F 클론을 확장하여 성장 및 생산이 좋은 클론을 선택하고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reCg의 안정한 클론의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
샘플/클론 평가된 능력 결과(mg) 확인 생물학적 활성
단일 평균

5D

15 IU/mL
209.3
200.2

양성

있음
183.0
208.4

5G

15 IU/mL
225.1
204.9

양성

있음
199.6
189.9

5J

15 IU/mL
231.0
215.7

양성

있음
232.1
184.0

8F

15 IU/mL
131.7
157.7

양성

있음
163.0
178.3
[072] 치료된 동물의 양성 eCG 및 높은 정도의 난소 성장의 확인 결과로 인해, 25mg의 기준 중량과 비교하여, 상기 샘플의 평가의 첫 번째 근사치를 만들기로 결정하였다.
[073] 이를 위해, 다른 클론의 샘플은 Syntex에서 생성되고 표준: "국제 표준 NIBSC 코드 62/001(NIBSC)"에 대해 평가된 Syntex 2차 ecG 표준을 사용하여 농도가 다른 표준 3점 eCG 곡선을 기반으로 하는 분석 기술에 의해 분석하였다.
[074] 이전 테스트의 높은 응답으로 인해 샘플은 30 IU/mL의 이론적 능력으로 추정되며, 얻은 결과는 얻은 원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형식으로 표시된다:
한 지점의 PMSG에서 생물학적 활성 측정
Figure pct00001
용량에 따른 난소 중량(mg) 표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075] 분석된 클론은 난소 중량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긍정적인 생물학적 활성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076] 모든 처리된 동물(분석된 각 샘플에 대해 8마리의 동물)은 예외 없이 처리에 반응하였다.
[077] 또한, 천연 호르몬으로 처리된 동물에서 우리가 알고 얻은 반응과 비교할 때, 재조합체로 입증된 반응은 동일하고 처리된 동물에서 이상한 신호 또는 비정형 행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078] 얻어진 데이터에 따른 클론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
▶ 5D: 26 lU/ml
▶ 5G: 33 lU/ml
▶ 5J: 20 lU/ml
▶ 8F: 17 lU/ml
정제 과정 연구:
[079] 목적은 정제가 분자를 분해하는지 또는 공정의 결과로 분자의 손실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080] 정제 과정을 거친 5G 작제물의 샘플을, 3마리의 동물에 주입하였다. 얻어진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 203.9 mg - 172.9 mg - 119.8 mg
[081] 성장 값은 상기 정제되지 않은 클론으로 얻은 값과 일치하기 때문에, eCG는 정제 동안 손실되거나 분해되지 않는다고 결론지어졌다.
[082] 작제물 8F의 경우,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 측정을 위한 충분한 질량을 얻으려는 후속 시도는 부정적이었다. 따라서 제작 방법이 정의될 때까지 작제물 #5만 프로젝트 진행을 지속하였다.
황체형성 활성 연구(LH):
[083] 샘플 #5로 처리된 21일 내지 28일령 수컷 Sprague Dawley(sd) 래트의 생물학적 반응을 연구하였다.
[084] 방법론:
[085] 21 내지 28일령의 Sprague Dawley 수컷 랫트(sd)(이들간의 연령 차이는 3일 이하임) 및 선택된 약 60-65g의 체중(±10g의 간격으로)의 그룹 그룹을 준비하였다.
[086] 샘플을 24시간마다 0.5ml의 부피로 연속 4일 동안 피하 주사하였다.
[087] 마지막 주사 후 24시간 후에 래트를 희생시킨 후, 정낭을 제거하고, 세척한 다음, 여과지로 건조시키고, 칭량하였다.
[088] 동물 조작, 주사, 도살, 추출, 세척 및 정낭의 무게 측정 작업은 동물 관리 시설의 훈련된 직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089] 시료 용액은 그 역가에 따라 채취할 질량 또는 부피를 계산한 다음 5,264 lU/mL의 농도가 되도록 하여 제조하였다.
[090] 결과: 4마리의 동물이 처리되었고, 처리 후 정낭의 무게는 다음과 같았다:
▶ 44.0 mg - 58.0 mg - 48.0 mg - 52.0 mg
[091] 사용된 랫트 종에 있어 정낭(처리 없음)의 기준 중량이 12mg 미만이고 50mg 내에서 반응이 포화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황체형성 활성의 존재가 확인되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092] 이 분석은 재조합 eCG의 이중 활성, 즉: 난포-자극 활성 및 황체형성 활성 존재를 확증해주는 것이다.
최종 5G 샘플의 난포-자극 및 황체형성 활성 측정
[093] 황체형성 및 난포-자극 활성은 유럽 약전 9판에 따라 분석되었다.
[094] 8마리 이상의 동물 그룹을 hCG의 내셔널 INAME 표준 및 eCG의 2차 표준인 Syntex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Figure pct00004
[095] 이상을 바탕으로, 작제물 #5에서 유래된 재조합 eCG는 천연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난포-자극(FSH) 및 황체형성 호르몬(LH)의 두 가지 뛰어난 활성을 모드 갖는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생체내 활성에 대한 아미노 말단 펩타이드에 의한 변형의 이점 결정
[096] SF9 및 모방 세포(Legardinier, J Mol Endo (2005) 34), CHO K1(Min, Endocrine Journal(1996), 43 585-593)에서 합성된 두 가지 eCG 모두, 또는 형질전환 토끼의 유선(Galet et al, Mol Cell Endocrinol 174(2000) 31)에서 생산된 eCG의 β-사슬의 CTP를 링커로서 사용하는 융합 단백질의 생체내 생물학적 활성의 결여는, 글리코실화의 양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품질의 중요성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5에 대한 두 개의 대체 작제물을 테스트하였다. 그 하나는 작제물 #5처럼 융합된 α- 및 β-사슬의 융합체이지만, 아미노 말단은 변형되지 않은 작제물 #4이고, 다른 하나는, 아미노 말단이 변형되었다는 점에서 #5와 유사하지만, 이 경우 CTP 펩타이드 서열이 있는 작제물 #6이다. 이 변형은 동일한 링커 서열에 있어서 아미노 말단 변형의 중요성을 평가한다.
[097] CHO K1 세포를 작제물 #4 및 #6을 인코딩하는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시키고 네오마이신 내성에 대해 선택하였다. 내성 세포는 ELISA에 의해 결정된 가장 많은 양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클론 4C 및 6A)를 선택하여 희석함으로써 클로닝하였다. 이들을 DMEN-F12 5% SFB 배지에서 배양하고, 조건 배지를 수집하고, 단백질을 황산암모늄으로 침전시켜, PBS에 현탁시키고, 3회의 완충액 교환으로 PBS에 대해 36-48시간 동안 투석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를 ELISA 및 루시페라제 활성의 자극에 의한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eCG 작제물 4C 13341 lU/mg
eCG 작제물 5G 4013 lU/mg
eCG 작제물 6A 4768 lU/mg
[098] 4C 작제물에 의해 합성된 단백질의 더 큰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은 베타-알파 사슬의 융합체에서 발견된 결과와 유사하다(Min, Endocrine Journal (1996), 43 585-593). 또한 생체내 시스템에서, 이 단백질이 활성을 나타내면 다른 재조합 단백질(reCG-5G 및 reGC-6C)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099] 이들 단백질을 생체내 검정에서 시험하였을 때, 아미노 말단에 NTP 펩타이드를 갖는, 5G 작제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단백질은 5477 lU/mg의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아미노 말단에 CTP 펩타이드가 있는 작제물 및 변형되지 않은 작제물 양자 모두는(각각 6A 및 4C), 처리된 동물의 난소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100] 이러한 데이터는 말의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의 알파 및 베타 사슬의 융합 단백질의 NTP 펩타이드로 아미노 말단을 변형시키면 반감기가 증가하고 따라서 생체내 활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분명히 입증하는 것이다.
비교 현장 시험
[101] 재조합 호르몬의 현장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작제물 #5(reCG #5)에서 유래한 재조합 eCG 단백질을 2000 IU의 추정 용량으로 근육내 주사하는 것이, 2000 IU 용량의 eCG Native(Novormon 5000, Syntex)를 주사하여 얻은 결과와 동일하게 수퍼-자극 및 수퍼-배란 반응을 생성하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102] 배란 후 3일 및 7일째의 프로게스테론(P4) 수준은 2000IU 용량의 eCG Native 또는 reCG #5로 처리된 소에서 유사한다.
[103] 이 시험은 2019년 5월, 6월, 7월에 걸쳐 코르도바 가톨릭 대학교(UCC) 산타 줄리아 동물원(Santa Julia Zootechnics Station)에서 수행되었다.
[104] 3세에서 5세 사이의 14마리의 오픈 앵거스/헤리포드 소가 사용되었다(테스트는 그룹당 7마리 동물에 대해 반복하여 수행하되, 2회 반복으로 수행됨); 모든 소는 처리(주기적) 시작시 황체(corpus luteum)를 제공하였다. 신체 상태(BCS)는 평균 2.5였다(척도 1-5, 이미지 1).
[105] 동물에게 양질의 알팔파 롤과 하루에 15kg의 다진 옥수수 사일로를 피더에 공급하고 배급 믹서가 있는 트랙터로 전달하는 1일 2회 사료를 자유롭게 먹도록 하였다.
처리 그룹
[106] 처리 -10일째 총 18마리의 소에 클로프로스테놀(Cyclase, Syntex) 500㎍ 용량을 처리하고, PGF 적용 후 열 감지를 수행하였으며, PGF 투여 후 발열을 보인 소 14마리를 시험에 포함되도록 선택하였다.
[107] 대략 처리 제4일차에 새로운 난포파(follicular wave)의 출현이 동기화되도록, 모든 소(14마리)을 처리 0일째에 질내 장치(DIB, 1g의 P4, Syntex)와 2mg의 에스트라디올 벤조에이트(Gonadiol, Syntex)로 처리하였다(Bo et al, 1994).
[108] 제4일에, 소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2000IU의 eCG Native(eCG Group, n = 7) 또는 Syntex에서 생산한 제품(reCG Group #5, n = 7)을 350 ㎍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는데, 이 양은 eCG Native의 2000IU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모든 주사 부피 10 ml로 하였고 근육내 깊숙이 주사하였다.
[109] 치료 6.5일째에 500 ㎍ 용량의 PGF(Cyclase, Syntex) 및 두 번째 용량을 7일째에 적용했으며, 이때 P4(DIB 1g, Syntex Argentina)가 있는 장치를 제거하였다. 하루 후(8일째) 100 ㎍의 GnRH(Gonasyn, Syntex) 용량을 적용하였다.
[110] 1차 반복 종료(17일)로부터 20일(2차 복제-10일, 20일(복제 2일 -10일) 후, 동일한 프로토콜로 소를 처리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eCG Native 그룹의 소를 reCG #5로 처리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소들은 두 처리 그룹을 모두 통과하였다.
복제 1
일자 처리일 활성
5월 10일 제10일 PGF US
5월 20일 제0일 DIB + 2 mg EB US
5월 24일 제4일 2000 IU eCG o reCG #5* US
5월 25일 제5일 US
5월 26일 제6일 US
5월 26일 제6.5일 PGF US
5월 27일 제7일 x DIB + PGF US
5월 28일 제8일 GnRH US
5월 29일 제9일 US
5월 30일 제10일 US
5월 31일 제11일
6월 3일 제14일 US + 혈액
6월 6일 제17일 US + 혈액
복제 2
일자 처리일 활성
6월 26일 제10일 PGF US
7월 6일 제0일 DIB + 2 mg EB US
7월 10일 제4일 2000 IU Nov o reCG #5* US
7월 11일 제5일 US
7월 12일 제6일 US
7월 12일 제6.5일 PGF
7월 13일 제7일 x DIB + PGF US
7월 14일 제8일 GnRH US
7월 15일 제9일 US
7월 16일 제10일 US
7월 17일 제11일
7월 20일 제14일 US + 혈액
7월 23일 제17일 PGF US + 혈액
* 소 당 용량 = 10 ml - im
[111] 상기 표 4 및 5에 표시된 날짜에 난소 초음파 스캔을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설계된 스프레드시트에 난소 구조를 그리고 기록하였다.
[112] 경직장 초음파(Chison 500; 7.5MHz, Doppler)를 사용하여 동물을 검사하였다. 직경이 3 mm보다 큰 모든 난포를 식별, 측정하고 난소에서의 위치와 관련하여 도표를 작성하여 각각의 변화를 개별적으로 평가하였다. 사용된 후속 기술은 (Knopf et al., 1989)의 작업에서 설명되고 Bo(Bo et al., 1994)에 의해 수정된 것이다. 평가할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우성 난포 및 주요 하위 조직의 직경, 난소에 존재하는 > 3 mm 난포의 수. eCG 또는 reCG #5 주입 후 직경 8 mm를 초과하는 모든 난포를 확인하였다. GnRH를 적용한 후 배란은 이전 관찰에서 확인된 8 mm 이상의 난포의 소멸로 정의되었다. 배란 후 배란으로 인한 황체(CL)의 크기와 양을 측정하였다(Adams et al., 1992).
[113] 한편, 표 4 및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란 후 프로게스테론(P4)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처리 14일 및 17일에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114] 혈장 프로게스테론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모든 소의 경정맥을 천공하여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각 동물에 대해 일회용 바늘(18G)을 사용하고 고무 캡이 달린 멸균 10 ml 유리 튜브로부터 혈액을 수집하였다. 샘플은 항상 헤파린 튜브에서 채취하였고 수집 직후 이들을 원심분리하고 혈장을 -20℃에서 이중으로(A 또는 B) 동결하고, 소 태그 번호, 처리 날짜 및 시간 및 A 또는 B에 따라 정식으로 식별하였다.
[115] 샘플을 Immuno chemo luminececia 방법(ECLIA, COBAS Module e601, Roche)으로 처리하였다.
[116] 크기(8~10 mm, 10~12 mm, 12~14 mm 및 > 14 mm) 및 치료일(제5일, 제6일, 제7일, 제8일, 제9일 및 제10일)에 따른 난포의 평균 수를 ANOVA로 비교하였다.
[117] 동일한 통계를 사용하여 처리일당 평균 배란 횟수를 비교하였다.
[118]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토콜의 제14일과 제17일에 P4 수준을 비교하였다. 모든 경우에 처리군 효과, 복제 및 그의 상호작용이 고려되었다. Infostat 소프트웨어가 사용되었다(Di Rienzo et al., 2018).
[119] 결과:
[120] 복제 2의 eCG 그룹의 소는 호흡기 질환 치료를 위해 제6일째에 시험에서 배제되었다. 이 소는 담당 수의사의 감독하에 연구 센터의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치료되었다.
[121] 모든 처리일(P>0.1)에 난포의 수(크기에 따른)에는 아무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복제 효과(P>0.07)나 복제 상호작용*그룹(P>0.4)은 없었다.
표 6. eCG(Native; n = 13) 또는 reCG # 5(n = 14)로 처리된 소의 난포 크기 및 처리일에 따른 난포 수(평균 ± SEM)
Figure pct00005
그룹 = P>0.10
복제 = P>0.07
그룹*복제 = P>0.4
[122] 이러한 결과는 또한 도 10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질내 장치로 치료하는 동안(프로토콜의 5-7일) 난포 수(크기로 구분)에 대한 정보를 관찰할 수 있다. 두 그룹에 모두 존재하는 난포의 양이 다르지 않음을 그래프로부터 관찰할 수 있다.
[123] 같은 방식으로 도 11에서 프로게스테론이 있는 장치를 제거한 후의 난포의 수를 알 수 있다.
[124] 진단된 총 배란(난포 > 8 mm 소실)은 처리 제9일, 제10일 및 제11일 사이에 발생하였다(eCG 그룹 중 1 마리에서만 제11일에 배란됨). 두 처리군 사이의 배란 횟수에는 차이가 없었다(P = 0.83; 표 3). 또한 복제 효과(P = 0.06) 또는 복제 그룹 상호작용(P = 0.85)도 없었다.
[125] 처리 제14일차와 제17일차에 두 처리군 사이에는 P4의 평균 수준에서 아무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7). 복제 효과도 발견되지 않았다(P>0.9). 다음 표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7. 처리 제14일 및 제17일에, eCG로 처리된 용량에서 2000 IU 또는 그의 등가 용량으로 처리된 소에서의 P4 수준.
P4 제14일 P4 제17일
평균 ± SEM 평균 ± SEM
eCG (n=13) 45.92 ± 8.67 76.45 ± 16.29
eCG-유사 (n=14) 49.66 ± 8.40 77.73 ± 18.54
P> 0.7
[126] 도 12는 두 그룹 모두에서의 P4의 수준 및 샘플링 날짜를 나타낸다.
[127]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시험 동물에 주사된 reCG #5가 eCG Native(Novormon)에 의해 생성된 것과 유사한 생식선 자극 활성을 초래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는 두 그룹 모두의 소에서 발견된 수퍼-자극 반응이 프로게스테론이 있는 장치를 제거하기 전과 제거한 후 유사했으며 장치를 제거한 후 발견된 배란 횟수가 유사했기 때문이다.
[128] 반면에, 난포 성장 속도가 두 그룹에서 비슷했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두 제품의 반감기가 비슷하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반감기를 결정하기 위한 특정 시험이 향후에 수행되어야 한다.
[129] 이 연구에서 2000IU의 eCG를 사용하여 발견된 배란율은 생물학적으로 유사한 소에서 동일한 용량을 사용하여 다른 저자가 보고한 것과 유사하였다(Alfuraiji et al., 1993; Goulding et al., 1996).
[130] 치료 제14일과 제17일차의 P4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각 치료군에 존재하는 황체의 기능과 양이 서로 동등함을 나타낸다.
[131] 마지막으로, 그리고 얻어진 유사한 반응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 연구에서 사용된 reCG #5를 더 낮은 용량(400 IU)으로 사용하여도, 무발정 육우(anoestrus beef cows)와 젖소에서 FTAI 프로그램에서 얻은 임신율을 높일 수 있다고 믿는다. 즉, 그 용도로 사용하면 Native eCG와 동일한 효과를 낼 가능성이 있다.
SEQUENCE LISTING <110> Syntex S.A. Abentin, Alejandro D. <120> RECOMBINANT CHORIONIC GONADOTROPIN, PROCEDURE FO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OF THE SAME <130> MOM 234048 <160> 1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0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NTP-BetaCTP-NTP-Alpha <400> 1 atggagaccc tgcagggcct gctgctgtgg atgctgctga gcgtgggagg cgtgtgggct 60 ggcgatatcg gcctgaacat caccggcagc ggcctgaata tcacaggctc tggcctgaac 120 attaccggct ctggcctgaa tatcaccggc cctggctcta cagatatcag cagaggacca 180 ctgaggcctc tgtgccggcc tatcaacgcc accctggctg ctgagaagga ggcttgccca 240 atctgtatca cattcaccac aagcatctgc gccggctact gtccatccat ggtgcgcgtg 300 atgccagccg ctctgccagc tatccctcag ccagtgtgca cctatcggga gctgaggttc 360 gcttccatca ggctgccagg atgtccacct ggagtggacc ctatggtgtc ctttccagtg 420 gctctgtctt gccactgtgg cccctgccag atcaagacca cagactgtgg cgtgtttagg 480 gatcagccac tggcttgtgc tcctcaggct agctcctcta gcaaggatcc accctcccag 540 cccctgacca gcacatccac ccccacacct ggcgcttctc ggaggtcctc tcacccactg 600 cccatcaaga cctctggcag cggcctgaac atcacaggtt ctggcctgaa tattactggc 660 tctggcctga acatcaccgg ttccggcctg aatattaccg gcccaggctc cacatctttc 720 cccgacggcg agtttaccac acaggattgc cccgagtgta agctgaggga gaacaagtac 780 ttctttaagc tgggcgtgcc tatctatcag tgcaagggct gctgtttcag ccgggcctac 840 cctaccccag ctagaagccg caagacaatg ctggtgccta agaatatcac cagcgagtcc 900 acatgctgcg tggccaaggc ttttatccgg gtgaccgtga tgggcaacat caagctggag 960 aatcacaccc agtgctactg ttctacatgt tatcaccaca agatctgatt tcctgatgga 1020 gagtttacaa cgcaggattg cccagaaccc ccatcccaac ctc 1063 <210> 2 <211> 33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protein NTP-BetaCTP-NTP-Alpha <400> 2 Met Glu Thr Leu Gln Gly Leu Leu Leu Trp Met Leu Leu Ser Val Gly 1 5 10 15 Gly Val Trp Ala Gly Asp Ile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20 25 30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35 40 45 Thr Gly Pro Gly Ser Thr Asp Ile Ser Arg Gly Pro Leu Arg Pro Leu 50 55 60 Cys Arg Pro Ile Asn Ala Thr Leu Ala Ala Glu Lys Glu Ala Cys Pro 65 70 75 80 Ile Cys Ile Thr Phe Thr Thr Ser Ile Cys Ala Gly Tyr Cys Pro Ser 85 90 95 Met Val Arg Val Met Pro Ala Ala Leu Pro Ala Ile Pro Gln Pro Val 100 105 110 Cys Thr Tyr Arg Glu Leu Arg Phe Ala Ser Ile Arg Leu Pro Gly Cys 115 120 125 Pro Pro Gly Val Asp Pro Met Val Ser Phe Pro Val Ala Leu Ser Cys 130 135 140 His Cys Gly Pro Cys Gln Ile Lys Thr Thr Asp Cys Gly Val Phe Arg 145 150 155 160 Asp Gln Pro Leu Ala Cys Ala Pro Gln Ala Ser Ser Ser Ser Lys Asp 165 170 175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Thr Pro Gly Ala 180 185 190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Ser Gly Ser Gly 195 200 205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210 215 220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Pro Gly Ser Thr Ser Phe 225 230 235 240 Pro Asp Gly Glu Phe Thr Thr Gln Asp Cys Pro Glu Cys Lys Leu Arg 245 250 255 Glu Asn Lys Tyr Phe Phe Lys Leu Gly Val Pro Ile Tyr Gln Cys Lys 260 265 270 Gly Cys Cys Phe Ser Arg Ala Tyr Pro Thr Pro Ala Arg Ser Arg Lys 275 280 285 Thr Met Leu Val Pro Lys Asn Ile Thr Ser Glu Ser Thr Cys Cys Val 290 295 300 Ala Lys Ala Phe Ile Arg Val Thr Val Met Gly Asn Ile Lys Leu Glu 305 310 315 320 Asn His Thr Gln Cys Tyr Cys Ser Thr Cys Tyr His His Lys Ile 325 330 335 <210> 3 <211> 1023 <212> DNA <213>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NTP-BetaCTP-CTP-Alpha <400> 3 atggagaccc tgcagggcct gctgctgtgg atgctgctgt ctgtgggagg cgtgtgggct 60 ggcgatatcg gcctgaacat caccggctcc ggcctgaata tcacaggctc tggcctgaac 120 atcaccggaa gcggcctgaa tatcaccgga ccaggcagca cagatatctc ccggggacca 180 ctgaggcctc tgtgcagacc tatcaacgcc acactggccg ctgagaagga ggcttgccca 240 atctgtatca ccttcaccac atccatctgc gccggctact gtccttctat ggtgagagtg 300 atgccagccg ctctgccagc tatcccacag cccgtgtgca cctatagaga gctgcgcttc 360 gctagcatca gactgccagg atgtccacct ggagtggacc ctatggtgtc ttttccagtg 420 gctctgagct gccactgtgg cccctgccag atcaagacca cagactgtgg cgtgtttcgc 480 gatcagccac tggcttgtgc tcctcaggct agctcctcta gcaaggaccc accaagccag 540 ccactgacca gcacatccac cccaacaccc ggcgcttctc ggaggtcctc tcaccctctg 600 ccaatcaaga caagcgcccc ccaggcctct tcctctagca aggatcctcc atcccagcct 660 ctgacctcta caagcacccc aacacctgga gcttccagac gctcctctca cccactgccc 720 atcaagacct ctttcccaga cggcgagttt accacacagg attgccccga gtgtaagctg 780 cgcgagaaca agtacttctt taagctgggc gtgcctatct atcagtgcaa gggctgctgt 840 ttcagccggg cctaccctac accagctcgg tccaggaaga ccatgctggt gccaaagaat 900 atcacctccg agtctacatg ctgcgtggcc aaggctttta tccgggtgac cgtgatgggc 960 aacatcaagc tggagaatca cacccagtgc tactgttcca catgttatca ccacaagatc 1020 tga 1023 <210> 4 <211> 3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protein NTP-BetaCTP-CTP-Alpha <400> 4 Met Glu Thr Leu Gln Gly Leu Leu Leu Trp Met Leu Leu Ser Val Gly 1 5 10 15 Gly Val Trp Ala Gly Asp Ile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20 25 30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35 40 45 Thr Gly Pro Gly Ser Thr Asp Ile Ser Arg Gly Pro Leu Arg Pro Leu 50 55 60 Cys Arg Pro Ile Asn Ala Thr Leu Ala Ala Glu Lys Glu Ala Cys Pro 65 70 75 80 Ile Cys Ile Thr Phe Thr Thr Ser Ile Cys Ala Gly Tyr Cys Pro Ser 85 90 95 Met Val Arg Val Met Pro Ala Ala Leu Pro Ala Ile Pro Gln Pro Val 100 105 110 Cys Thr Tyr Arg Glu Leu Arg Phe Ala Ser Ile Arg Leu Pro Gly Cys 115 120 125 Pro Pro Gly Val Asp Pro Met Val Ser Phe Pro Val Ala Leu Ser Cys 130 135 140 His Cys Gly Pro Cys Gln Ile Lys Thr Thr Asp Cys Gly Val Phe Arg 145 150 155 160 Asp Gln Pro Leu Ala Cys Ala Pro Gln Ala Ser Ser Ser Ser Lys Asp 165 170 175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Thr Pro Gly Ala 180 185 190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Ser Ala Pro Gln 195 200 205 Ala Ser Ser Ser Ser Lys Asp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Thr 210 215 220 Ser Thr Pro Thr Pro Gly Ala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Pro 225 230 235 240 Ile Lys Thr Ser Phe Pro Asp Gly Glu Phe Thr Thr Gln Asp Cys Pro 245 250 255 Glu Cys Lys Leu Arg Glu Asn Lys Tyr Phe Phe Lys Leu Gly Val Pro 260 265 270 Ile Tyr Gln Cys Lys Gly Cys Cys Phe Ser Arg Ala Tyr Pro Thr Pro 275 280 285 Ala Arg Ser Arg Lys Thr Met Leu Val Pro Lys Asn Ile Thr Ser Glu 290 295 300 Ser Thr Cys Cys Val Ala Lys Ala Phe Ile Arg Val Thr Val Met Gly 305 310 315 320 Asn Ile Lys Leu Glu Asn His Thr Gln Cys Tyr Cys Ser Thr Cys Tyr 325 330 335 His His Lys Ile 340 <210> 5 <211> 90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NTP-BetaCTP-Alpha <400> 5 atggagaccc tgcagggcct gctgctgtgg atgctgctgt ccgtgggagg cgtgtgggct 60 ggcgatatcg gcctgaacat caccggctct ggcctgaata tcacaggatc tggcctgaac 120 attaccggat ccggcctgaa tatcaccggc cctggctcca cagatatcag ccggggacca 180 ctgaggcctc tgtgccggcc tatcaacgcc acactggccg ctgagaagga ggcttgccca 240 atctgtatca ccttcaccac atctatctgc gccggctact gtccaagcat ggtgcgcgtg 300 atgccagccg ctctgccagc tatccctcag ccagtgtgca cctatcggga gctgaggttc 360 gcttctatca ggctgccagg atgtccacct ggagtggacc ctatggtgag ctttccagtg 420 gctctgtcct gccactgtgg cccttgccag atcaagacca cagactgtgg cgtgtttagg 480 gatcagccac tggcttgtgc tcctcaggct agctcctcta gcaaggatcc acccagccag 540 cccctgacca gcacatccac cccaacacct ggagctagcc ggaggtcctc tcacccactg 600 cccatcaaga catccttccc agacggcgag tttaccacac aggattgccc cgagtgtaag 660 ctgagggaga acaagtactt ctttaagctg ggcgtgccaa tctatcagtg caagggctgc 720 tgtttctcca gagcctaccc tacaccagct agatctcgca agaccatgct ggtgcccaag 780 aatatcacct ctgagagcac atgctgcgtg gccaaggctt ttatccgggt gaccgtgatg 840 ggcaacatca agctggagaa tcacacccag tgctactgtt ctacatgtta tcaccacaag 900 atctga 906 <210> 6 <211> 30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protein NTP-BetaCTP-Alpha <400> 6 Met Glu Thr Leu Gln Gly Leu Leu Leu Trp Met Leu Leu Ser Val Gly 1 5 10 15 Gly Val Trp Ala Gly Asp Ile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20 25 30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35 40 45 Thr Gly Pro Gly Ser Thr Asp Ile Ser Arg Gly Pro Leu Arg Pro Leu 50 55 60 Cys Arg Pro Ile Asn Ala Thr Leu Ala Ala Glu Lys Glu Ala Cys Pro 65 70 75 80 Ile Cys Ile Thr Phe Thr Thr Ser Ile Cys Ala Gly Tyr Cys Pro Ser 85 90 95 Met Val Arg Val Met Pro Ala Ala Leu Pro Ala Ile Pro Gln Pro Val 100 105 110 Cys Thr Tyr Arg Glu Leu Arg Phe Ala Ser Ile Arg Leu Pro Gly Cys 115 120 125 Pro Pro Gly Val Asp Pro Met Val Ser Phe Pro Val Ala Leu Ser Cys 130 135 140 His Cys Gly Pro Cys Gln Ile Lys Thr Thr Asp Cys Gly Val Phe Arg 145 150 155 160 Asp Gln Pro Leu Ala Cys Ala Pro Gln Ala Ser Ser Ser Ser Lys Asp 165 170 175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Thr Pro Gly Ala 180 185 190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Ser Phe Pro Asp 195 200 205 Gly Glu Phe Thr Thr Gln Asp Cys Pro Glu Cys Lys Leu Arg Glu Asn 210 215 220 Lys Tyr Phe Phe Lys Leu Gly Val Pro Ile Tyr Gln Cys Lys Gly Cys 225 230 235 240 Cys Phe Ser Arg Ala Tyr Pro Thr Pro Ala Arg Ser Arg Lys Thr Met 245 250 255 Leu Val Pro Lys Asn Ile Thr Ser Glu Ser Thr Cys Cys Val Ala Lys 260 265 270 Ala Phe Ile Arg Val Thr Val Met Gly Asn Ile Lys Leu Glu Asn His 275 280 285 Thr Gln Cys Tyr Cys Ser Thr Cys Tyr His His Lys Ile 290 295 300 <210> 7 <211> 89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NTP-Beta-NTP-Alpha <400> 7 atggagaccc tgcagggcct gctgctgtgg atgctgctgt ccgtgggagg cgtgtgggct 60 ggcgatatcg gcctgaacat caccggctct ggcctgaata tcacaggatc tggcctgaac 120 attaccggat ccggcctgaa tatcaccggc cctggctcca cagatatctc tcggggacca 180 ctgaggcctc tgtgcagacc aatcaacgcc accctggccg ctgagaagga ggcttgcccc 240 atctgtatca cattcaccac aagcatctgc gccggctact gtccatccat ggtgagagtg 300 atgccagccg ctctgccagc tatcccacag cccgtgtgca cctatagaga gctgcgcttc 360 gcttctatca gactgccagg atgtccacct ggagtggacc ctatggtgag ctttccagtg 420 gccctgtcct gccactgtgg cccttgccag atcaagacca cagactgtgg cgtgtttcgc 480 gatcagccac tggcttgtgg ctctggcctg aacatcacag gcagtggcct gaatattacc 540 ggctccggcc tgaacattac cggttccggc ctgaatatta ctggaccagg cagcacatcc 600 ttccctgacg gcgagtttac cacacaggat tgccccgagt gtaagctgcg cgagaacaag 660 tacttcttta agctgggcgt gcctatctat cagtgcaagg gctgctgttt ctctcgggct 720 taccctaccc cagctcggag caggaagaca atgctggtgc ccaagaatat cacctctgag 780 agcacatgct gcgtggccaa ggcttttatc cgggtgaccg tgatgggcaa catcaagctg 840 gagaatcaca cccagtgcta ctgttccaca tgttatcacc acaagatctg a 891 <210> 8 <211> 29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protein NTP-Beta-NTP-Alpha <400> 8 Met Glu Thr Leu Gln Gly Leu Leu Leu Trp Met Leu Leu Ser Val Gly 1 5 10 15 Gly Val Trp Ala Gly Asp Ile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20 25 30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35 40 45 Thr Gly Pro Gly Ser Thr Asp Ile Ser Arg Gly Pro Leu Arg Pro Leu 50 55 60 Cys Arg Pro Ile Asn Ala Thr Leu Ala Ala Glu Lys Glu Ala Cys Pro 65 70 75 80 Ile Cys Ile Thr Phe Thr Thr Ser Ile Cys Ala Gly Tyr Cys Pro Ser 85 90 95 Met Val Arg Val Met Pro Ala Ala Leu Pro Ala Ile Pro Gln Pro Val 100 105 110 Cys Thr Tyr Arg Glu Leu Arg Phe Ala Ser Ile Arg Leu Pro Gly Cys 115 120 125 Pro Pro Gly Val Asp Pro Met Val Ser Phe Pro Val Ala Leu Ser Cys 130 135 140 His Cys Gly Pro Cys Gln Ile Lys Thr Thr Asp Cys Gly Val Phe Arg 145 150 155 160 Asp Gln Pro Leu Ala Cys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165 170 175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Ile Thr Gly Ser Gly Leu Asn 180 185 190 Ile Thr Gly Pro Gly Ser Thr Ser Phe Pro Asp Gly Glu Phe Thr Thr 195 200 205 Gln Asp Cys Pro Glu Cys Lys Leu Arg Glu Asn Lys Tyr Phe Phe Lys 210 215 220 Leu Gly Val Pro Ile Tyr Gln Cys Lys Gly Cys Cys Phe Ser Arg Ala 225 230 235 240 Tyr Pro Thr Pro Ala Arg Ser Arg Lys Thr Met Leu Val Pro Lys Asn 245 250 255 Ile Thr Ser Glu Ser Thr Cys Cys Val Ala Lys Ala Phe Ile Arg Val 260 265 270 Thr Val Met Gly Asn Ile Lys Leu Glu Asn His Thr Gln Cys Tyr Cys 275 280 285 Ser Thr Cys Tyr His His Lys Ile 290 295 <210> 9 <211> 106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CTP-Beta-CTP-CTP-Alpha <400> 9 atggagaccc tgcagggcct gctgctgtgg atgctgctgt ccgtgggagg cgtgtgggct 60 ggcgtgttcc gggaccagcc tctggcttgc gctccacagg cttccagctc ttccaaggat 120 cccccttctc agccactgac ctctacatcc accccaacac caggagcttc caggcggagc 180 tctcaccctc tgccaatcaa gacctccagc agaggaccac tgaggcctct gtgcaggccc 240 atcaacgcca ccctggctgc tgagaaggag gcttgcccta tctgtatcac attcaccaca 300 tccatctgcg ctggctactg tcctagcatg gtgcgcgtga tgccagccgc tctgccagct 360 atcccacagc ccgtgtgcac ctatagggag ctgcggttcg ctagcatcag gctgcctgga 420 tgtccaccag gagtggaccc aatggtgagc tttcctgtgg ccctgtcttg ccattgtggc 480 ccatgccaga tcaagaccac agactgtggc gtgtttagag atcagccact ggcctgtgct 540 ccacaggctt cttccagctc taaggaccct ccaagccagc ccctgaccag cacatctacc 600 cctaccccag gagctagcag acgctccagc catccactgc caatcaagac ctctgcccct 660 caggcctctt ccagctctaa agacccccct tctcagcccc tgacctccac aagcacccca 720 acacctggag cttccaggcg gtccagccat ccactgccca tcaagacaag cttccctgac 780 ggcgagttta ccacacagga ttgcccagag tgtaagctgc gggagaacaa gtacttcttt 840 aagctgggcg tgcccatcta tcagtgcaag ggctgctgtt tctccagggc ctaccctacc 900 ccagctagat cccgcaagac aatgctggtg cctaagaata tcacctctga gtccacatgc 960 tgcgtggcca aggcttttat ccgcgtgacc gtgatgggca acatcaagct ggagaatcac 1020 acccagtgct actgttctac atgttatcac cataagatct ga 1062 <210> 10 <211> 353 <212> PRT <213> Recombinant protein CTP-Beta-CTP-CTP-Alpha <400> 10 Met Glu Thr Leu Gln Gly Leu Leu Leu Trp Met Leu Leu Ser Val Gly 1 5 10 15 Gly Val Trp Ala Gly Val Phe Arg Asp Gln Pro Leu Ala Cys Ala Pro 20 25 30 Gln Ala Ser Ser Ser Ser Lys Asp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35 40 45 Thr Ser Thr Pro Thr Pro Gly Ala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50 55 60 Pro Ile Lys Thr Ser Ser Arg Gly Pro Leu Arg Pro Leu Cys Arg Pro 65 70 75 80 Ile Asn Ala Thr Leu Ala Ala Glu Lys Glu Ala Cys Pro Ile Cys Ile 85 90 95 Thr Phe Thr Thr Ser Ile Cys Ala Gly Tyr Cys Pro Ser Met Val Arg 100 105 110 Val Met Pro Ala Ala Leu Pro Ala Ile Pro Gln Pro Val Cys Thr Tyr 115 120 125 Arg Glu Leu Arg Phe Ala Ser Ile Arg Leu Pro Gly Cys Pro Pro Gly 130 135 140 Val Asp Pro Met Val Ser Phe Pro Val Ala Leu Ser Cys His Cys Gly 145 150 155 160 Pro Cys Gln Ile Lys Thr Thr Asp Cys Gly Val Phe Arg Asp Gln Pro 165 170 175 Leu Ala Cys Ala Pro Gln Ala Ser Ser Ser Ser Lys Asp Pro Pro Ser 180 185 190 Gln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Thr Pro Gly Ala Ser Arg Arg 195 200 205 Ser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Ser Ala Pro Gln Ala Ser Ser 210 215 220 Ser Ser Lys Asp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225 230 235 240 Thr Pro Gly Ala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245 250 255 Ser Phe Pro Asp Gly Glu Phe Thr Thr Gln Asp Cys Pro Glu Cys Lys 260 265 270 Leu Arg Glu Asn Lys Tyr Phe Phe Lys Leu Gly Val Pro Ile Tyr Gln 275 280 285 Cys Lys Gly Cys Cys Phe Ser Arg Ala Tyr Pro Thr Pro Ala Arg Ser 290 295 300 Arg Lys Thr Met Leu Val Pro Lys Asn Ile Thr Ser Glu Ser Thr Cys 305 310 315 320 Cys Val Ala Lys Ala Phe Ile Arg Val Thr Val Met Gly Asn Ile Lys 325 330 335 Leu Glu Asn His Thr Gln Cys Tyr Cys Ser Thr Cys Tyr His His Lys 340 345 350 Ile <210> 11 <211> 9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otide sequence encoding Beta-CTP-CTP-Alpha <400> 11 atggagaccc tgcagggcct gctgctgtgg atgctgctgt ctgtgggagg cgtgtgggct 60 tccaggggac cactgcggcc tctgtgcaga cctatcaacg ccaccctggc cgctgagaag 120 gaggcttgcc caatctgtat cacattcacc acaagcatct gcgctggcta ctgtccctct 180 atggtgagag tgatgccagc cgctctgcca gctatcccac agcccgtgtg cacctataga 240 gagctgcgct tcgcttctat cagactgcca ggatgtccac ctggagtgga ccctatggtg 300 tcctttccag tggccctgag ctgccactgt ggaccatgcc agatcaagac cacagactgt 360 ggcgtgtttc gcgatcagcc actggcttgt gctcctcagg cttccagctc ttccaaggac 420 ccaccctccc agcctctgac ctccacaagc accccaacac ccggcgcttc taggcggagc 480 tctcaccctc tgccaatcaa gacctccgcc ccccaggcct ctagctcttc caaggatcct 540 ccaagccagc ctctgacctc tacatccacc cccacacctg gcgctagcag acgcagctct 600 catccactgc ccatcaagac atctttccca gacggcgagt ttaccacaca ggattgcccc 660 gagtgtaagc tgcgcgagaa caagtacttc tttaagctgg gcgtgcctat ctatcagtgc 720 aagggctgct gtttctccag ggcctaccct accccagcta ggagccggaa gacaatgctg 780 gtgccaaaga atatcaccag cgagtctaca tgctgcgtgg ccaaggcttt tatccgggtg 840 accgtgatgg gcaacatcaa gctggagaat catacccagt gctactgttc cacatgttat 900 caccataaga tctga 915 <210> 12 <211> 30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protein Beta-CTP-CTP-Alpha <400> 12 Met Glu Thr Leu Gln Gly Leu Leu Leu Trp Met Leu Leu Ser Val Gly 1 5 10 15 Gly Val Trp Ala Ser Arg Gly Pro Leu Arg Pro Leu Cys Arg Pro Ile 20 25 30 Asn Ala Thr Leu Ala Ala Glu Lys Glu Ala Cys Pro Ile Cys Ile Thr 35 40 45 Phe Thr Thr Ser Ile Cys Ala Gly Tyr Cys Pro Ser Met Val Arg Val 50 55 60 Met Pro Ala Ala Leu Pro Ala Ile Pro Gln Pro Val Cys Thr Tyr Arg 65 70 75 80 Glu Leu Arg Phe Ala Ser Ile Arg Leu Pro Gly Cys Pro Pro Gly Val 85 90 95 Asp Pro Met Val Ser Phe Pro Val Ala Leu Ser Cys His Cys Gly Pro 100 105 110 Cys Gln Ile Lys Thr Thr Asp Cys Gly Val Phe Arg Asp Gln Pro Leu 115 120 125 Ala Cys Ala Pro Gln Ala Ser Ser Ser Ser Lys Asp Pro Pro Ser Gln 130 135 140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Thr Pro Gly Ala Ser Arg Arg Ser 145 150 155 160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Ser Ala Pro Gln Ala Ser Ser Ser 165 170 175 Ser Lys Asp Pro Pro Ser Gln Pro Leu Thr Ser Thr Ser Thr Pro Thr 180 185 190 Pro Gly Ala Ser Arg Arg Ser Ser His Pro Leu Pro Ile Lys Thr Ser 195 200 205 Phe Pro Asp Gly Glu Phe Thr Thr Gln Asp Cys Pro Glu Cys Lys Leu 210 215 220 Arg Glu Asn Lys Tyr Phe Phe Lys Leu Gly Val Pro Ile Tyr Gln Cys 225 230 235 240 Lys Gly Cys Cys Phe Ser Arg Ala Tyr Pro Thr Pro Ala Arg Ser Arg 245 250 255 Lys Thr Met Leu Val Pro Lys Asn Ile Thr Ser Glu Ser Thr Cys Cys 260 265 270 Val Ala Lys Ala Phe Ile Arg Val Thr Val Met Gly Asn Ile Lys Leu 275 280 285 Glu Asn His Thr Gln Cys Tyr Cys Ser Thr Cys Tyr His His Lys Ile 290 295 300

Claims (13)

  1.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폴리펩타이드로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글리코실화 부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열에 연결된 말의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의 베타 사슬 및 알파 사슬을 인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폴리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SEQ ID NO: 2, SEQ ID NO: 4, SEQ ID NO: 6, SEQ ID NO: 8, SEQ ID NO: 10 및 SEQ ID NO.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인,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폴리펩타이드.
  3. 제1항에 기재된 재조합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분자.
  4. 제3항에 있어서, SEQ ID NO: 1, SEQ ID NO: 3, SEQ ID NO: 5, SEQ ID NO: 7, SEQ ID NO: 9 및 SEQ ID NO: 1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 분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DNA 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7. 포유동물의 생식 또는 배란과 관련된 상태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의 용도.
  8. 과배란, 배란 부전, 난소 기능저하증, 산후 발정 유도 또는 고환저하증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의 용도.
  9. 포유동물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의 용도.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소, 돼지, 양, 개, 토끼, 사슴, 염소 및 실험 동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5항에 기재된 벡터를 포유동물 세포에 형질감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세포는 CHO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면역친화성에 의해 재조합 단일 사슬 융모막 고나도트로핀을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KR1020227010240A 2019-08-30 2019-08-30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그의 제조방법, 의약 조성물 및 용도 KR20220053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73277 WO2021037384A1 (en) 2019-08-30 2019-08-30 Recombinant chorionic gonadotropin, procedure fo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003A true KR20220053003A (ko) 2022-04-28

Family

ID=6787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240A KR20220053003A (ko) 2019-08-30 2019-08-30 재조합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그의 제조방법, 의약 조성물 및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289810A1 (ko)
EP (1) EP4021930A1 (ko)
JP (1) JP2022546427A (ko)
KR (1) KR20220053003A (ko)
CN (1) CN114391020A (ko)
AR (1) AR119867A1 (ko)
AU (1) AU2019464037B2 (ko)
BR (1) BR112022003575A2 (ko)
CA (1) CA3149596A1 (ko)
UY (1) UY38862A (ko)
WO (1) WO20210373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4615B2 (ja) * 1994-08-12 2009-09-30 ワシントン・ユニバーシティ 糖タンパク質ホルモンカルテットの一本鎖形態
AU4964197A (en) * 1996-11-12 1998-06-03 Teikoku Hormone Mfg. Co., Ltd. Recombinant single-stranded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US6103501A (en) * 1997-11-17 2000-08-15 Washington University Single chain glycoprotein hormones comprising two β and one α subunits and recombinant production thereof
US7553941B2 (en) * 2006-02-03 2009-06-30 Modigene Inc Long-acting polypeptid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ES2693697T3 (es) * 2007-11-30 2018-12-13 Aspenbio Pharma, Inc. Actividad de la hormona folículo estimulante equina recombinante
BR102015032660B1 (pt) 2015-12-28 2019-05-28 Ouro Fino Saúde Animal Participações S.A. PROCESSO DE PRODUÇÃO DE UMA GONADOTROFINA CORIÔNICA EQUINA RECOMBINANTE (reCG): COMPOSIÇÃO VETERINÁRIA E US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1930A1 (en) 2022-07-06
JP2022546427A (ja) 2022-11-04
BR112022003575A2 (pt) 2022-05-24
US20220289810A1 (en) 2022-09-15
CA3149596A1 (en) 2021-03-04
AR119867A1 (es) 2022-01-19
AU2019464037B2 (en) 2023-06-15
UY38862A (es) 2021-01-29
AU2019464037A1 (en) 2022-03-24
WO2021037384A1 (en) 2021-03-04
CN114391020A (zh)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7345A1 (en) Glycoprotein Hormone Long-Acting Superagonists
AU2014346859B2 (en) Glycoprotein hormone long-acting superagonists
AU2019464037B2 (en) Recombinant chorionic gonadotropin, procedure for prepa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of the same
RU2803047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хорионический гонадотропин,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и применения
US10457713B2 (en) Glycoprotein hormone long-acting superagon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