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635A -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 Google Patents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635A
KR20220052635A KR1020200136807A KR20200136807A KR20220052635A KR 20220052635 A KR20220052635 A KR 20220052635A KR 1020200136807 A KR1020200136807 A KR 1020200136807A KR 20200136807 A KR20200136807 A KR 20200136807A KR 20220052635 A KR20220052635 A KR 2022005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code
user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5780B1 (en
Inventor
정채율
Original Assignee
정채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채율 filed Critical 정채율
Priority to KR102020013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780B1/en
Publication of KR2022005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6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ing service system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vertising QR codes are formed and distributed on the outer surfaces of disposable products discharged in various ways. Advertis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erminals of users scanning the QR codes. A certain reward is provided as the advertising content is viewed. As a result, the disposable product itself can be utilized as an advertising medium and the value and utility of the disposable product can be enhanced. On the part of a disposable product distributor, cost burden can be reduced by sharing disposable product purchase cost with an advertiser. The advertis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ffiliated stores providing disposable products on which QR codes are formed. The system includes: an advertiser terminal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an advertising contract using a disposable product; a user terminal scanning a QR code on the disposable product by driving a dedicated app, transmitting recognized QR information, and acquiring a reward by playing back the advertising content received as a result thereof; and an operating server transmitting the advertis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Q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a reward as a user views the advertising content.

Description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본 발명은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일회용품들의 외면에 광고용 QR코드를 형성시켜 배포하고 이 QR코드를 스캐닝한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광고 콘텐츠의 시청에 따라 소정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일회용품 자체가 광고 매개체로 활용되도록 하여 일회용품의 가치와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일회용품의 배포처에서는 일회용품의 구입비용을 광고주와 쉐어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s,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nd distribute a QR code for advertisement on the outer surface of disposable products discharged through various routes, and to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terminals of users who scan the QR code. By transmitting and providing a certain reward according to the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 the disposable product itself is used as an advertising medium to increase the value and utility of disposable products, as well as reducing the cost burden by sharing the purchase cost of disposable products with advertisers. It relates to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s.

일회용품은 주로 대량생산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물품이다. 특히 일회용을 전제로 하는 공산품은 그 용도에 맞도록 설계단계부터 구조가 간략화되어 종래의 일회용을 전제로 하지 않는 상품보다 내구성이 낮고 한 번의 사용으로 사명을 다하는 반면, 그 단가는 아주 저렴하다. 다만, 기능 면에서는 이용빈도나 제품의 가격, 내구성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어느 쪽이 낫다고 할 수 없는 관계로, 일회용과 다회용 제품이 평행적으로 이용되는 분야도 있다.Disposable products are mainly products tha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through mass production. In particular, industrial products premised on one-time use have a simplified structure from the design stage to suit their intended use, so their durability is lower than conventional products not premised on one-time use. However, in terms of function, one cannot be said to be better for various reasons such as frequency of use, product price, durability, etc. In some fields, disposable and multi-use products are used in parallel.

이 같은 일회용품은 그 재질이 종이나 플라스틱, 비닐인 것이 유난히 많다. 종이 제품은 썩는 물건이기에 종종 플라스틱이나 비닐을 대체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이 제품이라 해도 방수 등의 목적으로 비닐코팅된 제품이면 재활용이 어렵다.Such disposable items are exceptionally many of which are made of paper, plastic, or vinyl. Paper products are perishable and often replace plastic or vinyl. However, even if it is a paper product, it is difficult to recycle if it is a vinyl-coated product for the purpose of waterproofing.

특히 연간 생산되는 일회용 컵의 생산량은 3억개 이상이며, 이 수치는 전체 생활폐기물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수거 및 처리하는 비용 또한 연간 수백억원에 달한다. 또한 일회용품의 대부분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이며, 그 종류가 다양해 분류도 어렵다. 게다가 테이크아웃의 플라스틱류는 거의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매립하면 자연분해가 되지 않아 토양오염 및 매립지의 안정화를 저해하고 무게에 비해 부피를 많이 차지해 매립지 사용기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또한 소각처리할 경우 다이옥신이나 퓨란 등의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며 용융된 팔라스틱이 소각로 내벽에 붙어 소각 온도를 높이고 PVC의 경우 염소가스를 배출해 소각로 시설의 노후화를 촉진시켜 소각로의 수명을 단축시키기도 한다. In particular, the annual production of disposable cups is more than 300 million, which accounts for 1/3 of the total household waste. The cost of collecting and disposing of them also amounts to tens of billions of won per year. In addition, most of the disposable product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that cannot be recycled, and it is difficult to classify them due to the variety of types. In addition, takeout plastics are hardly recycled. When landfilled, it does not decompose naturally, hindering soil contamin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landfill, and occupies a large volume compared to its weight, thus shortening the period of use of the landfill. In addition, when incinerated,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oxins and furans are generated, and molten plastic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cinerator to increase the incineration temperature, and in the case of PVC, chlorine gas is emitted to accelerate the aging of the incinerator facility and shorten the life of the incinerator.

따라서 이 같은 일회용품의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면서 동시에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ncrease the value and utilization of such disposable products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recycling rate.

한편, 현재 대부분의 광고는 TV,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를 통하여 제공되어지며 종래의 무료신문 광고와 길거리 대행서비스 또는 가정으로 배달되는 신문 속에 끼워 넣기식 팜플렛 광고를 통해 광고 수요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체하고 있었다.Meanwhile, currently, most advertisements are provided through mass media such as TV,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advertisement demand is replaced at a low cost through conventional free newspaper advertisements, street agency services, or pamphlet advertisements inserted into newspapers delivered to homes. was doing

그러나 난무하는 무작위 광고들로 인하여 아파트 단지와 지역 중심상권의 거리들이 불법 광고물들로 쓰레기가 넘쳐나고 있으며 고가의 원료가 곧바로 쓰레기가 되어 수입원료가가 고공 행진을 하고 있는 국제적 에너지 시세 환경에서 국가적으로 엄청난 낭비요소가 되고 있다.However, due to random advertisements, the streets of apartment complexes and central commercial districts are overflowing with illegal advertisements. becoming a waste.

또한, 일회용품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폐기물 보증금 반환제도 또한 반환금의 소액성으로 인하여 그 유도책이 유명무실한 실정에서 광고가 실어진 일회용품은 특정 고객들에게 무작위로 광고를 행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광고 효과를 유추하기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 waste deposit return system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to suppress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is not well known due to the small amount of the refu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infer the advertising effect.

즉, 종래의 인쇄물 광고는 무작위 배포에만 집중하고 있어 고객 정보와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시스템이 전무하며 그러한 불특정 다수를 행한 광고의 효과는 미비할 뿐만 아니라 광고 인쇄물이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곧바로 쓰레기만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print advertisement concentrates only on random distribution, so there is no system that can collect customer information and data. It only resulted in the mass production of waste immediately.

최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라디오나 텔레비전 광고와 같은 음성이나 영상 매체를 이용한 광고보다 인터넷 매체(Internet Media)를 이용한 광고가 광고주 및 사용자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dvertisements using Internet media rather than advertisements using audio or video media such as radio or television advertisements are in the spotlight among advertisers and users.

이러한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광고는 사용자의 개인용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초창기 인터넷 매체를 통한 광고는 단순히 해당 광고 페이지를 보여주는 정도였지만,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프라인(Off-line)에서와 유사한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 방법이 크게 성행하고 있다.Advertisements using such Internet media can be provided not only on the user's personal desktop or laptop computer, but also on a portable mobile terminal. In the early days, advertisements through Internet media simply showed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page, but as systems and programs that provid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ve emerged recently, these systems and programs are mainly used offline. A similar viral marketing method is popular.

이러한 바이럴 마케팅은 인터넷 사용자가 이메일(E-Mail), 메신저(Messenger) 또는 블로그(Blog)와 같은 전파 가능한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어떤 기업이나 기업의 제품을 홍보하도록 만드는 마케팅 기법으로서,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확산된다고 해서 이와 같이 바이럴 마케팅이라 불리며, 넓은 범위에서는 입소문 마케팅과 같이 사용되기도 한다.Viral marketing is a marketing technique that allows Internet users to voluntarily promote a company or company's products through disseminated media such as e-mail, messenger, or blog. It spreads like a computer virus. In this way, it is called viral marketing, and in a wide range, it is also used together with word-of-mouth marketing.

구체적으로, 이러한 바이럴 마케팅은 기업이 직접 홍보를 하지 않고 소비자를 통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광고라는 점에서 일방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기존 광고와 다르며, 또한, 광고주의 상품이나 광고를 접한 인터넷 사용자들의 퍼가기 등을 통해서 광고 내용을 서로 전달하면서 자연스럽게 인터넷상에서 화제를 불러일으키는 마케팅 방식을 가지고 있다.Specifically, this viral marketing differs from the existing advertisements unilaterally delivered to consumers in that it is an advertisement that is passed from mouth to mouth through the consumer without direct promotion by the company. It has a marketing method that naturally arouses a topic on the Internet while delivering advertisement content to each other through embedding.

또한, 이러한 바이럴 마케팅은 기존 텔레비전, 영화 등 필름을 이용한 매체광고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현재 광고시장에서 사용 빈도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바이럴 마케팅은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카카오스토리(KakaoStory), 블로그, 인스타그램, 네이버 밴드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또는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등과 같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IMS)를 통해서 인터넷 커뮤니티 내에서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such viral marketing costs much lower than media advertisements using films such as TV and movies, the frequency of use is rapidly spreading in the current advertisement market. For example, such viral marketing is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uch as Facebook, Twitter, KakaoStory, blog, Instagram, Naver Band, or KakaoTalk, Line Through the instant messenger service (IMS) used on the Internet, such as (Line), it is becoming more active in the Internet community.

한편, 모바일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광고 배너, 팝업 광고, 홍보 동영상, SMS 광고 메시지 등을 이용하는 방식은 전달 매체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광고를 시청하는 소비자는 수동적인 입장이라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에 따라 소비자는 광고를 보기가 귀찮고 광고 효과가 충분치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using advertisement banners, pop-up advertisements, promotional videos, SMS advertisement messages, etc. based on the mobile web or mobile application differs only in the delivery medium,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consumers who watch advertisements are passive. Accordingly,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consumers are cumbersome to view advertisements and the advertisement effect is not sufficient.

이러한 일방적인 광고의 폐단을 줄이고자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광고 시스템이 도입되었는데, 예를 들면 소비자가 광고를 시청하면 일정한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광고 시스템이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such unilateral advertisements, an advertisement system in which consumers can actively participate has been introduced. For example, there is an advertisement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use certain mileage or points when they watch advertisements.

그러나 이러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도 소비자는 특정한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우에만 해당 광고에 관심이 있으며, 일반적인 소비자에게는 광고 효과가 충분치 못하고, 마일리지나 포인트 등을 실제 상품으로 교환하는 절차 등이 번거로운 문제점과 더불어 획득한 마일리지나 포인트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어 그 활용도가 극히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even in such an advertisement system, consumers are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only when they want to purchase a specific product, the advertisement effect is not sufficient for general consumers, and the procedure for exchanging mileage or points for actual products is cumbersome as well as inconvenient problem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ng-term stability of mileage or points cannot be guaranteed, so their utilization is extremely 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일회용품들의 외면에 광고용 QR코드를 형성시켜 배포하고 이 QR코드를 스캐닝한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광고 콘텐츠의 시청에 따라 소정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일회용품 자체가 광고 매개체로 활용되도록 하여 일회용품의 가치와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일회용품의 배포처에서는 일회용품의 구입비용을 광고주와 쉐어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form and distribute a QR code for advertisement on the outer surface of disposable products discharged through various routes, and transmit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terminals of users who scan the QR code In addition,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reward according to the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s, the disposable products themselves are used as an advertising medium to increase the value and utility of disposable products, as well as reduce the cost burden by sharing the purchase cost of disposable products with advertise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s.

본 발명에 따르면, QR코드가 형성된 일회용품을 제공하는 가맹점들을 이용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계약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 단말기; 전용앱을 구동하여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해 인식된 QR정보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수신되는 광고 콘텐츠를 재생해 보상을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QR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 시청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affiliate stores that provide disposable products with QR codes, comprising: an advertiser terminal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an advertisement contract using disposable products; a user terminal that operates a dedicated app to scan a QR code formed on a disposable product and transmit the recognized QR information, and reproduce the received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ly to obtain a reward; and an operation server that transmits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 reward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It provides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omprising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제공되어 설치된 서비스 전용 앱을 구동하여 로그온 과정을 수행하고, 가맹점에서 제공된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해 QR정보를 인식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며, 운영 서버에서 광고 콘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하며, QR코드 스캐닝 및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 전용포인트를 회원 전자지갑에 적립하는 앱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앱 구동부는, 상기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는 QR코드 스캔부; 스캐닝된 QR코드에 내재된 QR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QR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QR코드 처리부; 상기 QR코드 처리부에서 인식된 QR정보에 따라 운영 서버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재생부; 및 상기 광고 재생부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를 시청한 보상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전용포인트를 적립하는 전자지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perating server runs the service-only app provided and installed to perform the logon process, scans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s provided by the affiliated store, recognizes the QR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ng server, and the operating server sends the advertisement content An app driving unit that receives and plays, and accumulates exclusive points in the member's e-wallet as a reward for scanning QR codes and watching advertisements; Including, wherein the app driving unit, QR code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 A QR code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the QR information embedded in the scanned QR code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Q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an advertisement playback unit for playing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QR code processing unit; and an electronic wallet unit for accumulating exclusive points given to a user as a reward for viewing an advertisement provided through the advertisement reproduc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영 서버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일회용품에 인쇄되도록 하는 QR코드 관리부; 사용자 단말기의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 진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를 수신해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는 스캐닝 처리부; 상기 스캐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광고 관리부; 및 사용자의 광고 시청에 따라 스캐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보상 설정에 따른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보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operation serv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acces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 QR code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to be printed on disposable products; a scanning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process for disposable items of the user terminal and extracting related advertisement content and reward settings; an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to a user terminal; and a reward processing unit that accumulates exclusiv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ward setting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user's advertisement viewing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앱 구동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GPS 모듈을 활용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GPS정보 제공부; 및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전달하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소 정보를 수신해 폐기소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소까지의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폐기소 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해 전송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폐기 처리부; 상기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의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시간 카운팅부; 및 상기 시간 카운팅부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컵의 폐기가 가능한 폐기소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도출된 폐기소 정보 및 접근 경로 정보를 송신해 안내하는 폐기경로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and the app driv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GPS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operation server by using a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nd a dumping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disposal site of the takeout cup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provides an access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posal site together with the disposal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by scanning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recognize the cup type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processing unit; a time counting unit for checking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QR information, and counting the expected dispos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QR information; And when the time counting unit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posal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osal site where the cup can be disposed of is deriv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 discarded route generator for guiding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ccess rout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앱 구동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GPS 모듈을 활용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GPS정보 제공부;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전달하는 폐기 팔로워 지정에 따라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 스팟 정보를 수신해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표시하는 폐기 스팟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전달하는 폐기 스팟 지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팟 피쳐를 요청해 운영 서버로 전달하는 스팟 피쳐 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해 전송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폐기 처리부; 상기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의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시간 카운팅부; 상기 시간 카운팅부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의 주변에 폐기 스팟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 스팟 피쳐 정보를 수신하는 스팟 생성부; 및 상기 시간 카운팅부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의 주변에 폐기 스팟이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팔로워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and the app driv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GPS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operation server by using a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 discarding spo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discarded spot information of a takeout cup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a discarded followe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displays an access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carded spot together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ed spot; and a spot featur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requesting a spot feature from a user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the discarded spo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transmitting the request to the operation serv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by scanning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recognize the cup type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processing unit; a time counting unit for checking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QR information, and counting the expected dispos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QR information; When the time counting unit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card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if there is no discard spot around the current position, the user terminal is designated as the discard spot and the spot feature information is received. spot generator; and when the time counting unit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posal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if there is a discard spot around the current position, it is discarded at the current location together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ing spot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ollower generation unit that provides an access path to the sp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운영 서버가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가맹점 혹은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일회용품의 외면에 고유 QR코드가 인쇄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서비스 전용 앱을 전송해 전용 앱의 설치를 지원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 스캐닝 진행하고 전송하는 QR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하여 해당 QR정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운영 서버가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광고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운영 서버가 추출된 보상 설정을 참조해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operation server generating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d store or each product so that the unique QR code is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osable product used for the affiliated store or the corresponding product; (b) support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installation of the dedicated app by transmitting the service-only app to the user terminal; (c) the operation server receiving the QR information that the user terminal scans and transmits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 through the service-only app, and extracts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ensation settings related to the QR information; (d) transmitt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extracted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advertisement is played in the user terminal; and (e) accumulating, by the operation server, exclusive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with reference to the extracted reward settings; It provides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comprising a.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가 스캐닝된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하며, (f)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QR코드 이미지 저장에 따라 사용자가 고정 QR코드로 등록한 QR코드의 QR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와 함께 광고시청에 따른 회원 보상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 (g)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고정 QR코드를 이용해 QR정보를 운영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운영 서버가 전송된 QR 정보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고정 QR코드와 비교해 고정 QR코드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h)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으로 체크되면, 상기 운영 서버가 해당 사용자 계정의 개인소비정보를 근거로 분석해 해당 사용자에게 타겟 광고용 광고 콘텐츠를 추출해 전송하여 광고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및 (i) 상기 운영 서버가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광고 시청에 대하여 설정된 보상 설정을 추출해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fter step (e), the user terminal stores the scanned QR code image and registers it as a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f)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rver storing the QR code image of the user terminal Registering the QR information of the QR code registered by the user as a fixed QR code to the user's account and resetting the member compens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viewing along with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n the user's account; (g) when the user transmits Q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using the fixed QR code of his/her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compares the transmitted QR information with the fixed QR code of the user account to check whether the fixed QR code; (h) when a service request using a fixed QR code is checked, the operation server analyzes based on the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extracts and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 for the target advertisement to the user so that the advertisement is 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i) extracting, by the operation server, a reward setting set for a user's advertisement viewing using a fixed QR code, and accumulating exclusive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는 고정 QR코드 등록에 사용되는 QR코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 구매상품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위치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액수 정보, 사용자의 구매상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s user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a QR code used for fixed QR code registration, user product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user product purchase amount information, and user purchase product characteristic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c-2)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된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가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단계; (c-3)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4)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폐기분류 기준에 따라 해당 컵의 폐기가 가능한 폐기소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폐기소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이 폐기소까지의 접근 경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and the step (c) is, (c-1) in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for the user's takeout cup by the operation server. Recognizing the cup type according to the wast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orresponding cup by checking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p for takeout; (c-2)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received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pos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ime when this QR information is transmitted; (c-3)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when the expected discard time is reached; and (c-4) the operation server derives information about a disposal site where the cup can be disposed of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from the derived disposal information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 this disposal site transmitting and guiding the access path information together to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c) 단계는, (c-5)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c-6)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된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가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단계; (c-7)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8)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그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9)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스팟 피쳐 정보를 요청해 사용자로부터 작성된 스팟 피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10)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팔로워로 지정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안내해 팔로워의 스팟 접근을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and the step (c) includes: (c-5) In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for the user's takeout cup by the operation server Recognizing the cup type according to the wast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orresponding cup by checking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p for takeout; (c-6)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received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card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ime when this QR information is transmitted; (c-7)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when the expected discard time is reached; (c-8) determining whether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9) If there is no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as a discard spot, requests spot featur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reates receiving spot feature information; and (c-10) if there is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as a follower, and the user terminal at the current location together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 spot Supporting the follower's spot access by guiding the access path to the discarded sp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일회용품들의 외면에 광고용 QR코드를 형성시켜 배포하고 이 QR코드를 스캐닝한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광고 콘텐츠의 시청에 따라 소정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일회용품 자체가 광고 매개체로 활용되도록 하여 일회용품의 가치와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일회용품의 배포처에서는 일회용품의 구입비용을 광고주와 쉐어해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d distributing a QR code for advertisement on the outer surface of disposable products discharged through various routes, transmitting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terminals of users who have scanned the QR code,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reward according to the viewing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osables themselves are used as an advertising medium to increase the value and usability of disposables, as well as reducing the cost burden by sharing the cost of purchasing disposables with advertisers at the point of distribution of disposab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내 앱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의 부가적인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내 앱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내 앱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pp driving uni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ditional process of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pp driving uni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pp driving uni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일회용품을 포함하는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맹점에서 운용되는 가맹점 단말기(100)와, 광고 계약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 단말기(300)와, 전용앱을 구동하며 앱의 QR코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해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해 인식된 정보에 따라 광고를 재생해 보상을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QR코드 스캐닝 정보에 따라 광고를 전송하고 고객의 광고시청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disposable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operated in an affiliated store that provides products including disposables to customers, and an advertiser terminal 300 that provides advertising content according to an advertisement contract. Wow, a user terminal 200 that runs a dedicated app and uses the QR code scanning function of the app to scan a QR code formed on a disposable product and reproduce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recognized information to obtain a reward; and the user terminal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server 400 that transmits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stomer and provides rewards according to the customer's advertisement viewing.

여기에서 상기 일회용품은 한 번 또는 몇 번 쓰고 버리게 설계된 물건으로, 음료컵, 음식용기, 봉투, 면도기, 카메라, 수건, 휴지, 물티슈, 페트병 등일 수 있다. Here, the disposable product is a product designed to be used once or several times and may be a beverage cup, a food container, a bag, a razor, a camera, a towel, a tissue, a wet tissue, a plastic bottle, and the like.

특히 상기 일회용품은 커피전문점에서 커피 등의 음료를 담아 제공하는 테이크아웃용 컵일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isposable product may be a take-out cup that is provided with drinks such as coffee at a coffee shop.

2018년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금지 여파로 전세계가 폐플라스틱 대란을 겪으며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경각심이 확대되었다.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지난 10년간 42%나 증가해 2017년 3억 4,800만 톤을 기록했고, 버려진 플라스틱의 양은 2016년 기준으로 약 2억 4,200만 톤에 이른다. 플라스틱이 지구환경을 위협하는 주된 쓰레기로 인식되면서 2015년부터 플라스틱 사용을 규제하는 정책을 도입한 국가가 급증했는데, 지역단위의 규제까지 포함하면 현재 약 64개국이 플라스틱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다. In the wake of China's 2018 ban on imports of waste plastics, the world is experiencing a plastic waste crisis, raising awareness about the use of plastics. Global plastic production has increased by 42% over the past decade to reach 348 million tons in 2017, and the amount of plastic discarded reached 244 million tons as of 2016. As plastics are recognized as the main waste that threatens the global environment, the number of countries that have introduced policies to regulate the use of plastic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15. .

한국에서는 2022년까지 일회용 컵 및 비닐봉투 사용량을 35% 줄이고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50% 감축하기 위해 ‘재활용 폐기물 관리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고, 2020년까지 모든 생수·음료수용 유색 페트병을 무색으로 전환시키고 있으며, 2018년 8월부터 커피전문점 등 매장 내 일회용 플라스틱컵 사용 금지하고 있다. In Korea, the 'Comprehensive Recycling Waste Management Plan' is being promoted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cups and plastic bags by 35% by 2022 and the amount of plastic waste by 50% by 2030. The use of disposable plastic cups in stores such as coffee shops has been banned since August 2018.

따라서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불가피하게 사용된 일회용품의 적절히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시대 가장 중요한 당면 과제인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 같은 일회용품 중 특히 커피전문점에서 커피 등의 음료를 담아 제공하는 테이크아웃용 컵을 그 대상으로 하여 재활용이 어려운 기존 플라스틱 소재의 테이크아웃용 컵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액체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장벽 역할을 하는 PE나 PLA 코팅 방식의 라이너를 대신해 미생물에 의해 자연분해되는 생분해성 재질로 만드는 페이퍼컵이나 전체 재질이 곡류로 이루어져 폐기시 그대로 자연분해성 퇴비화가 가능한 곡물컵의 사용을 제안한다. Therefore, reducing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and allowing the inevitably used disposable products to be properly recycled is the most important task at the present time. We propose to replace the existing plastic takeout cups, which are difficult to recycle, with eco-friendly materials. In particular, a paper cup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 that is biodegradable by microorganisms instead of a PE or PLA-coated liner that acts as a barrier to prevent the liquid from leaking out, or a grain cup that can be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as it is when discarded as the entire material is made of grains suggest the use of

이 같은 기존 플라스틱 컵을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으로 대체하는데 있어 선결해야 할 과제는 이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의 제조 단가가 대단히 높다는 점에 있으며, 이는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의 확산 및 정착에 있어 큰 장애가 될 것이다. The task to be preceded in replacing such existing plastic cups with paper cups or grain cups is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se paper cups or grain cups is very high, which is a major obstacle in the spread and settlement of paper cups or grain cups. will be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가격이 높은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의 도입 비용이 일방적으로 사용처인 커피전문점에 부담되지 않도록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의 도입 비용을 쉐어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광고업체를 비스니스에 합류시키며, 이 광고업체의 광고 콘텐츠를 커피 테이크아웃용 컵의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광고 콘텐츠 접근용 QR 코드를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에 형성시켜 커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ing company joins the business as a partner who can share the introduction cost of the paper cup or grain cup so that the introduction cost of the relatively high price paper cup or grain cup is not unilaterally burdened by the coffee shop where it is used, In order for this advertising company's advertising content to be consumed easily and conveniently by users of coffee takeout cups, a QR code for accessing advertising content is formed on paper cups or grain cups and provided to coffee consumers.

따라서 막대한 양의 일회용 컵을 배포하고 있는 커피 전문점에서는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을 도입해 친환경 이미지를 획득하면서도 이 같은 페이퍼컵이나 곡물컵의 도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으며, 광고업체는 커피전문점 고객의 소비 형태를 분석해 타겟 광고를 실시함으로써 광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coffee shops that are distributing a huge amount of disposable cups can acquire an eco-friendly image by introducing paper cups or grain cups, while reducing the cost burden of introducing such paper cups or grain cups. By analyzing consumption patterns and executing targeted advertisements,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maximizing advertisement efficiency.

이하에서는 상술한 비즈니스의 구체적인 시스템 구성 및 운영 방법을 설명하게 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detailed system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business will be described.

즉 이 같은 일회용품에는 QR코드가 인쇄 등의 방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That is, the QR code is formed on such disposable products by print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가맹점은 운영 서버(400)의 운영자측과 계약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QR코드가 형성된 일회용품을 제공받아 매장을 운영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ffiliate store operates the store by receiving disposable products with QR codes formed at low cost through a contract with the operator of the operation server 400 .

상기 광고주는 광고 콘텐츠를 자신의 광고주 단말기(300)를 통해 운영 서버(400)로 제공하여 자신의 광고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운영 서버(400)는 광고의 고객 제공에 대한 단가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며, 이 같은 광고 단가는 광고 콘텐츠의 종류, 길이, 속성, 재생방식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advertiser provides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operation server 400 through its advertiser terminal 300 so that its advertisem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400 may conclude a unit price contract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to customers, and the advertisement unit price may be determin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type, length, attribute, and reproduction method of advertisement content.

따라서 이 같은 운영자측과 광고주측의 광고 계약에 의해 QR코드가 형성된 일회용품은 저렴한 비용으로 가맹점에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disposable products with QR codes formed by the advertisement contract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advertiser can be supplied to the affiliated store at a low cost.

상기 광고 콘텐츠는 광고이미지에 부가적인 음향이나 텍스트 등을 활용한 이미지 광고이거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동영상 광고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현되어 고객에게 노출될 수 있는 형식이라면 상술한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 외에 다른 형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advertisement content may be an image advertisement using sound or text additional to the advertisement image or a video advertisement consisting of a video, and if it is 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exposed to customers, the above-mentioned image or video Of course, formats other than advertisements are also possible.

여기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방문한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이 상품과 함께 제공되는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사용자 단말기(200)의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스캐닝하는 행위를 통해 상술한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게 되며, 이 같은 광고 콘텐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 미리 정해진 액수의 전용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Here, users purchase products from the affiliated stores they have visited and view the above-mentioned advertising contents through the act of scanning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s provided with the product through the service-only app of the user terminal 200. As a reward for watching such advertisement content, a predetermined amount of exclusive points can be acquired.

상기 전용포인트는 가맹점 네트워크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대금으로 현금과 같이 통용될 수 있는 포인트일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사용처를 갖는 쿠폰, 상품권, 행운권, 할인권, 당첨권과 같은 유사화폐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획득한 전용포인트를 서비스 전용 앱 내 전자지갑을 통해 적립 관리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가맹점 네트워크나 다양한 사용처에서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exclusive point may be a point that can be used as cash as the purchase price for products or services in the affiliate network, and may be a coupon, gift certificate, lucky ticket, discount coupon, or prize money with various uses, such as a similar currency, and a user can accumulate and manage the exclusive points acqui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electronic wallet in the service-only app, and will be able to freely consume it at any time, anywhere in the affiliated store network or in various places of use.

또한 전용포인트의 획득 액수는 해당 고객이 시청한 광고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이벤트 참여로 보다 많은 액수의 전용포인트 획득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맹점 네트워크는 화폐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전용포인트를 획득 및 적립을 목적으로 하는 많은 고객을 쉽게 유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exclusive points acquired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dvertisements viewed by the customer, and it is possible to acquire a larger amount of exclusive points by participating in a separate event. Therefore, the franchise network will be able to easily attract many customers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and accumulating exclusive points that function like money.

또한 전용포인트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가맹점 네트워크 내에서의 대금 결제 활용은 물론 별도의 포인트 전용몰을 온/오프 라인 상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상화폐인 전용코인과의 환전이나 실물화폐인 현금으로의 환전으로 그 서비스를 확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exclusive points, payment can be used within the franchise network, as well as separate point-only malls can be operated on/offline. You can also extend that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일회용품의 QR코드 스캐닝을 수행하여 전용포인트를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는 특별한 노력과 전문장비의 동원을 통한 보상이 아닌, 실생활에서 하던 소비활동을 그대로 이어가며 받을 수 있는 보상이다. 이러한 간편 보상 프로세스를 통해 지급받은 전용포인트들을 회원들은 가맹점 네트워크 내외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disposable produ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obtain exclusive points as a reward by scanning the QR code of the disposable products with their user terminal 200 . This is not a reward through special effort and mobilization of specialized equipment, but a reward that can be received by continuing consumption activities in real life. Members can use the exclusive points paid through this simple reward process like cash inside and outside the franchise network.

가맹점들은 일회용품을 활용한 전용포인트 보상을 통해 고객유치의 순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고, 광고주는 광고 매체의 수단으로 이 같은 일회용품 광고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게 될 것이다. 리워드 광고나 타겟 광고를 통해, 전용포인트를 얻고 싶은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고객에게 광고가 전달된만큼만 광고료가 지불되는 마케팅을 채택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Franchisees will be able to obtain the net function of attracting customers through exclusive point compensation using disposable products, and advertisers will actively utilize such a disposable advertisement platform as an advertising medium. Through reward advertisements or targeted advertisements, not only can the advertising effect be maximized b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ustomers who want to earn exclusive points, but also advertising can be executed more efficiently by adopting marketing in which advertising fees are paid only for the amount of advertising delivered to customers. will be able to

상술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가맹점 단말기(100)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200) 그리고 다수의 광고주 단말기(300)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400)에 접속하여 플랫폼에서 광고, 홍보, 콘텐츠 소비, QR코드 스캐닝, 부가수익 창출 등의 다양한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disposable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ffiliated store terminals 100 ,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 and a plurality of advertiser terminals 300 operate a server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By accessing the 400, various actions such as advertisement, publicity, content consumption, QR code scanning, and additional revenue generation are performed on the platform.

상기 가맹점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광고주 단말기(30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400)와 접속하는 엔드 유저측의 컴퓨터로서, 랩탑 컴퓨터나 핸드헬드 PC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정보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셀룰라폰, PCS, PDA 도 가맹점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광고주 단말기(300)가 될 수 있다.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advertiser terminal 300 are end-user computers that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is preferable to adopt a laptop computer or a handheld PC.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network. Accordingly, a smart phone, a cell phone, a PCS, and a PDA may also be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100 ,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advertiser terminal 300 .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광고주 단말기(300)는 통상적인 시스템 구성 요소로서,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에 근거하여 웹페이지를 불러오고, 이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 해석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 및 컴퓨터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advertiser terminal 300 are typical system components, which call a web page based on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nd use the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includes a web browser program that interprets code and displays it on a monitor, and an operating system (OS) program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computer system as a whole.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동성과 개인성이 강화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200 is preferab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PC with enhanced mobility and individual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고객에 의해 소지되어 관리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400)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210)와, 상기 운영 서버(400)에서 제공되어 설치된 서비스 전용 앱을 구동하여 로그온 과정을 수행하고, 가맹점에서 제공된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해 정보를 인식하고 운영 서버(400)에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아 고객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며 QR코드 스캐닝에 대한 보상으로 전용포인트를 회원 전자지갑에 적립하는 앱 구동부(220)와, 상기 앱 구동부(220)를 회원이 조작 및 설정하도록 하는 표시부(230) 및 입력부(240)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200 is owned and managed by a customer, and a communication unit 210 for connecting to the operation server 400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is provided and installed by the operation server 400 . Run the service-only app to perform the logon process, scan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s provided by the affiliated store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receive the advertisement cont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so that the customer can watch it, and scan the QR code An app driving unit 220 for accumulating exclusive points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as a reward for compensation, a display unit 230 and an input unit 240 for a member to operate and set the app driving unit 220, and an input unit 240 for controlling each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control unit (250).

상기 서비스 전용 앱은 사용자가 일회용품에서 QR코드를 스캐닝해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고 동시에 자신의 전자지갑에 보상 전용포인트를 안전하고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실생활 밀착형 생태계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The service-only app provides a real-life close ecosystem platform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view advertisement content by scanning the QR code on disposables and at the same time safely and easily store reward points in their e-wallet.

또한 회원은 일회용품에서 QR코드를 스캐닝하는 재미와 쉬운 보상 그리고 보상 전용포인트를 결제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들을 이 서비스 전용 앱으로부터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members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fun and easy rewards of scanning QR codes on disposables, and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use reward points as they are for payment from this service-only app.

또한 서비스 운영자는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가맹점과 고객 사용자 그리고 다양한 광고주들이 각각의 이익을 위해 공존하는 새로운 경제 플랫폼을 성장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service operators will be able to grow a new economic platform where merchants, customer users, and various advertisers coexist for their respective interests through the service-only app.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운영 서버(400)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접속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앱 구동부(220)는 사용자가 앱을 켠 후 로그온 과정을 거쳐 실행시킬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 같은 로그온 과정을 거친 후 서비스 전용 앱은 비활성화 상태로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게 되게 되며 이 같은 구동 전환은 가맹점 조회, QR코드 스캐닝 및 보상 그리고 보상 전용포인트 활용 기능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The app driver 220 may execute the app through a logon process after the user turns on the app. Basically, after going through this logon process, the service-only app is inactive and converted to an active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내 앱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pp driving uni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앱 구동부(220)는 로그인부(221), 가맹점 조회부(222), QR코드 스캔부(223), QR코드 처리부(224), 광고 재생부(225), 전자지갑부(226) 및 포인트사용 지원부(2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pp driving unit 220 includes a login unit 221 , an affiliated store inquiry unit 222 , a QR code scanning unit 223 , a QR code processing unit 224 , an advertisement reproducing unit 225 , an electronic wallet unit 226 and a poi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e support unit 227 .

상기 로그인부(221)는 사용자의 고객회원정보를 입력받아 로그온 과정을 진행하게 되며, 이 로그온 승인을 통해 사용자는 고객회원으로서 서비스 전용 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log-in unit 221 receives the user's customer member information and proceeds with a logon process, and through this logon approval,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 of the service-only app as a customer member.

상기 가맹점 조회부(222)는 실제 지리지도와 대응되는 조회맵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60)에 표시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 조회맵에는 각 가맹점의 위치 및 상점 정보가 함께 표시되며, GPS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가맹점까지의 경로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The affiliated store inquiry unit 222 displays and provides an inquiry map corresponding to the actual geographic map on the display unit 260 of the user terminal 200 . In this inquiry map, th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of each affiliated store are displayed together,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display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obtained from GPS to provide a route to the affiliated store selected by the user. They can also be displayed together.

여기에서 상기 조회맵 상에 나타나는 상점 정보에는 해당 가맹점이 제공하는 일회용품 및 QR코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stor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quiry map may include information on disposable items and QR codes provided by the affiliated store.

상기 QR코드 스캔부(223)는 가맹점에서 제공되는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캔하게 되며, 상기 QR코드 처리부(224)는 스캐닝된 QR코드에 내재된 QR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QR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QR코드 처리부(224)는 스캐닝된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하게 된다. 이 같은 고정 QR코드는 QR코드의 이미지를 그대로 저장해 둔 것이기 때문에 QR코드가 형성된 일회용품이 없더라도 언제 어디서든 해당 등록된 고정 QR코드를 통해 QR코드에 내재된 QR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QR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400)로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광고 시청 및 보상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The QR code scanning unit 223 scans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 provided by the affiliated store, and the QR code processing unit 224 recognizes the QR information embedded in the scanned QR code and outputs the recognized QR inform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400). Also, the QR code processing unit 224 stores the scanned image of the QR code and registers it as a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 Since such a fixed QR code stores the image of the QR code as it is, even if there is no disposable product with a QR code, the QR information embedded in the QR code can be recognized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registered fixed QR code, and the recognized QR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o the operation server 400,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same advertisement viewing and compensation service.

상기 광고 재생부(225)는 상기 QR코드 처리부(224)에서 인식된 QR정보에 따라 운영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표시부(230)에 표시하게 된다. The advertisement playback unit 225 plays back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QR code processing unit 224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30 of the user terminal 200 .

상기 광고 콘텐츠는 광고이미지에 부가적인 음향이나 텍스트 등을 활용한 이미지 광고이거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동영상 광고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재현되어 고객에게 노출될 수 있는 형식이라면 상술한 이미지나 동영상 광고 외에 다른 형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advertisement content may be an image advertisement using sound or text additional to the advertisement image or a video advertisement consisting of a video, and if it is 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exposed to customers, the above-mentioned image or video Of course, formats other than advertisements are also possible.

상기 전자지갑부(226)는 지정된 광고를 시청한 고객회원에게 주어지는 보상 전용포인트를 개인 전자지갑에 적립하게 된다. 따라서 보상 전용포인트는 해당 고객회원이 가맹점에 방문하여 가맹점에서 제공되는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하고 관련 광고 콘텐츠를 시청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 같은 QR코드 스캐닝 과정에서 전자지갑에 보상 전용포인트를 적립하는 조건으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광고 콘텐츠 시청을 강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광고 콘텐츠의 시청 없이도 보상 전용포인트를 고객의 전자지갑에 지급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wallet unit 226 accumulates reward exclusive points given to customer members who have viewed the specified advertisement in the personal electronic wallet. Therefore, reward exclusive points can be acquired by the customer member visiting the affiliate store, scanning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s provided by the affiliate store, and watching the related advertisement content.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force viewing of advertisement content in images or videos as a condition of accumulating reward points in the e-wallet during the QR code scanning process. can pay

상기 포인트사용 지원부(227)는 상기 전자지갑부(226)에서 관리되는 고객회원의 보상 전용포인트를 이용해 고객이 가맹점 네트워크 내 가맹점이나 다양한 사용처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 이용 대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The point use support unit 227 supports the customer to use the reward-only points managed by the electronic wallet unit 226 as payment for goods or services in the affiliated store network or in various places of us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400)는 서비스 전용 앱을 운영하는 운영사에 의해 관리되며,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410)와,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가맹점들의 입점정보 및 가맹정보를 수신해 가맹 네트워크 등록을 처리하고 관리하는 가맹 처리부(421),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다양한 일회용품에 인쇄되도록 하는 QR코드 관리부(422),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가맹점 위치 및 상점정보를 조회맵에 등록시켜 서비스 전용 앱에서 표시될 수 있는 가맹점 조회맵을 구축하는 조회맵 구축부(423)와, 조회맵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가맹점 조회 요청에 따라 상응하는 가맹점의 위치 및 상점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조회부(424)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 진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를 수신해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는 스캐닝 처리부(441)와,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광고 관리부(442)와, 사용자의 광고 시청에 따라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추출된 보상 설정에 따른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보상 처리부(443)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operation server 400 is managed by an operator operating a service-only app, and the communication unit 410 for access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100, store entry information and affiliate information of affiliated stores. Affiliate processing unit 421 that receives and processes and manages affiliate network registration, QR code management unit 422 that generates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and prints it on various disposable products, provided from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100 The inquiry map construction unit 423 that registers the affiliate stor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in the inquiry map to build an affiliated store inquiry map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service-only app, and the affiliated store inquiry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essing the inquiry map The information inquiry unit 424, which provides th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ffiliate store according to the A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for extract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ensation settings, an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442 for transmit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to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QR code scanning for disposable products, and a user; Comprising a compensation processing unit 443 for accumulating exclusiv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ward setting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member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viewing of the user, and a server control unit 43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units do.

상기 QR코드 관리부(422)는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각 가맹점 혹은 각 상품은 하나 이상의 고유 QR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각 QR코드를 통해 인식되는 QR정보에는 그 QR코드의 스캐닝에 따른 광고 콘텐츠 및 회원 보상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즉 QR코드의 스캐닝에 대한 보상액은 미리 운영 서버(400)에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 보상액은 가맹점과의 협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QR코드의 스캐닝에 따른 고객 보상은 광고 콘텐츠의 시청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QR code management unit 422 generates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Here,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may have one or more unique QR codes, and information on advertisement content and member compensation according to scanning of the QR code is set in QR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each QR code. That is, the compensation amount for scanning the QR code may be set and managed in the operation server 400 in advance, and this compensation amount may be adjusted by consultation with the affiliated store. In addition, customer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scanning of the QR code can be made on the premise of view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또한 상기 QR코드 관리부(422)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한번 스캐닝한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할 경우 별도의 광고 콘텐츠 및 회원 보상에 대한 정보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의 고정 QR코드 등록 행위는 광고 서비스에 대한 충성 고객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기존 일회성 QR코드의 스캐닝시 부여되던 보상 보다는 상위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것이다. 나아가 이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 등록시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는 고정 QR코드 등록에 사용되는 QR코드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용자 구매상품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위치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액수 정보, 사용자의 구매상품 특성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이 수집된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는 후술하는 광고 관리부(442)에 전달되어 해당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광고 시청시 타겟팅된 광고를 선별할 수 있는 근거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QR code management unit 422 stores the image of the QR code scanned by the user terminal 100 once, and when registering as a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information on separate advertisement content and member compensation is newly updated. can be set. Since such a user's fixed QR code registration behavior is an indicator of loyalty to the advertising service, it will be set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compensation than the compensation given when scanning the existing one-time QR code. Furthermore, when registering the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sent.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s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user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be found through the QR code used for fixed QR code registration, user product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user product purchase amount information, and user purchase product characteristics information. may be included. The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4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utilized as data as evidence for selecting a targeted advertisement when the user uses the fixed QR code to view advertisements.

이때 상기 QR코드는 운영 서버(400)의 QR코드 관리부(422)에서 생성되어 일회용품에 인쇄되도록 전달될 것이다. At this time, the QR code will be generated by the QR code management unit 422 of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delivered to be printed on disposable products.

상기 조회맵 구축부(423)는 실제 지리지도와 대응되는 기본 조회맵을 구축한 후,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가맹점 위치 및 상점정보를 기본 조회맵 내 가맹점 위치에 등록하여 가맹점 네트워크를 조회맵에 구축하게 된다. The inquiry map construction unit 423 builds a basic inquiry map corresponding to the actual geographic map, and then registers the affiliate stor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100 to the affiliate store location in the basic inquiry map to inquire the affiliated store network. build on the map.

상기 정보 조회부(424)는 조회맵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조건의 가맹점 조회 요청에 따라 가맹점 정보 데이터를 조회해 요청에 상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고 다시 사용자 단말기(200)로 추출된 가맹점의 위치 및 상점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The information inquiry unit 424 inquires affiliate stor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affiliate store inquiry requests of various condition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essing the inquiry map, extracts affiliate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and again the user terminal 200 It provides th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of the affiliated stores extracted by

상기 스캐닝 처리부(441)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QR코드 스캐닝의 결과물로 전송되는 QR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QR정보에 따라 설정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게 된다.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receives QR information transmitted as a result of scanning the QR code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extracts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ensation settings set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상기 광고 관리부(442)는 상기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QR정보에 따라 추출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고객이 해당 광고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442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s extracted by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o support the customer to view the advertisement contents.

상기 보상 처리부(443)는 상기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QR정보에 따라 추출한 보상 설정에 따라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되도록 지원하게 된다. The reward processing unit 443 supports the accumulation of exclusive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according to the reward settings extracted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by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운영 서버(400)는 가맹 처리부(421)를 통해 가맹점 단말기(100)로부터 가맹점들의 입점정보 및 가맹정보를 수신해 가맹 네트워크 등록을 처리하게 된다(S10).First, the operation server 400 receives the store entry information and affiliation information of the affiliated stores from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100 through the affiliate processing unit 421 and processes affiliate network registration (S10).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QR코드 관리부(422)를 통해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가맹점 혹은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일회용품의 외면에 고유 QR코드가 인쇄되도록 한다(S20). 이 과정을 통해 각 가맹점 혹은 각 상품은 하나 이상의 고유 QR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각 QR코드를 통해 인식되는 QR정보에는 그 QR코드의 스캐닝에 따른 회원 보상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generates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through the QR code management unit 422 so that the unique QR code is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osable product used for the affiliated store or the product (S20) ). Through this process, each merchant or each product can have one or more unique QR codes, and information on member compensation according to scanning of the QR code is set in the QR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each QR code.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조회맵 구축부(423)를 통해 실제 지리지도와 대응되는 기본 조회맵에 가맹 과정에서 전달받은 가맹점 위치 및 상점정보를 등록시켜 서비스 전용 앱에서 표시될 수 있는 가맹점 조회맵을 구축하게 된다(S30). After that, the operation server 400 registers the affiliate stor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affiliate process in the basic inquiry map corresponding to the actual geographic map through the inquiry map construction unit 423, so that the affiliate store inquiry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service-only app A map is built (S30).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속에 따라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에 서비스 전용 앱을 전송해 전용 앱의 설치를 지원하게 된다(S40). Then, the operation server 400 proceeds with the user's membership registra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service-only app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to support the installation of the dedicated app (S40).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가맹점 조회 요청에 따라 정보 조회부(424)를 통해 상응하는 가맹점의 위치 및 상점정보를 제공하게 된다(S50).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provides the location and stor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ffiliate store through the information inquiry unit 424 according to the affiliate store inquiry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essed through the service dedicated app (S50). ).

상술한 설명에서는 운영 서버(400)가 앱의 설치, 조회맵의 전송, 서비스 운영 등의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별개의 앱 제공 서버, 맵 제공 서버 등이 운영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peration server 400 has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all related processe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app, the transmission of the inquiry map, the service operation, etc.,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separate app providing server, a map providing server Of course, it can be operated.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자신의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 스캐닝 진행하고 이에 따라 전송하는 QR정보를 스캐닝 처리부(441)를 통해 수신하며, 해당 QR정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게 된다(S60).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receives the QR code that the user terminal 200 scans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 through its own service-only app, and receives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according to it through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and the corresponding QR Information-related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ensation settings are extracted (S60).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광고 관리부(44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광고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도록 한다(S70).Then,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for the disposabl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442, so that the designat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to be played back (S70).

또한 상기 운영 서버(400)는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추출된 보상 설정을 참조해 보상 처리부(443)를 통해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여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 및 광고 시청에 따른 사용자 보상을 처리하게 된다(S80).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400 refers to the reward settings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for the disposable products, and accumulates exclusive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through the compensation processing unit 443 for disposable products. User compensation according to QR code scanning and advertisement viewing is processed (S8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의 부가적인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ditional process of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sposable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가맹점에서 제공되는 일회용품의 QR코드를 스캔하여 광고 시청 및 보상 서비스를 받게 됨은 설명한 바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ser receives the advertisement viewing and compensation service by scanning the QR code of the disposable product provided by the affiliate store.

여기에 더해 사용자들은 최초 소지하고 있던 일회용품의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함으로써 굳이 QR코드가 형성된 일회용품이 없더라도 언제 어디서든 해당 등록된 고정 QR코드를 통해 동일한 광고 시청 및 보상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users store the image of the QR code of the disposable product they initially possessed and register it with the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You will be able to view advertisements and receive compensation services.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앱 구동부(220)에 있는 QR코드 처리부(224)는 최초 스캐닝된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하게 된다. 이 같은 고정 QR코드는 QR코드의 이미지를 그대로 저장해 두는 방식이다. To this end, the QR code processing unit 224 in the app driving unit 220 of the user terminal 200 stores the image of the first scanned QR code and registers it as a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 This fixed QR code is a method of storing the image of the QR code as it is.

또한 운영 서버(400)의 QR코드 관리부(422)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한번 스캐닝한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할 경우 별도의 광고 콘텐츠 및 회원 보상에 대한 정보를 스캐닝 처리부(441)에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QR code management unit 422 of the operation server 400 stores the image of the QR code scanned by the user terminal 100 once and registers it as a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separate advertisement content and member compensation The information on ' is newly set in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

이 같은 사용자의 고정 QR코드 등록 행위는 광고 서비스에 대한 충성 고객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기존 일회성 QR코드의 스캐닝시 부여되던 보상 보다는 상위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것이다. 나아가 이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정 QR코드 등록시 사용자의 동의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는 고정 QR코드 등록에 사용되는 QR코드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용자 구매상품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위치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액수 정보, 사용자의 구매상품 특성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이 수집된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는 후술하는 광고 관리부(442)에 전달되어 해당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광고 시청시 타겟팅된 광고를 선별할 수 있는 근거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such a user's fixed QR code registration behavior is an indicator of loyalty to the advertising service, it will be set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compensation than the compensation given when scanning the existing one-time QR code. Furthermore, when registering the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200 ,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sent.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s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user purchase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be found through the QR code used for fixed QR code registration, user product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user product purchase amount information, and user purchase product characteristics information. may be included. The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4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utilized as data as evidence for selecting a targeted advertisement when the user uses the fixed QR code to view advertisements.

그 부가적인 프로세스를 도 6을 참조해 설명하면, 상기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QR코드 이미지 저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와 개인소비정보 제공 동의 절차를 진행하며, 사용자가 고정 QR코드로 등록한 QR코드의 QR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와 함께 광고시청에 따른 회원 보상 정보를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S90). When the additional proces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operation server 400 proceeds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provision agreeme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QR code image storage of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user The QR information of the QR code registered as a fixed QR code is registered in the user's account, and member compens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viewing along with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s newly set in the user's account (S90).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00)를 통해 고정 QR코드를 이용해 QR정보를 운영 서버(40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운영 서버(400)는 전송된 QR 정보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고정 QR코드와 비교해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After that, when the user transmits Q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400 using a fixed QR code through his/her terminal 200,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transmitted QR information to the fixed QR code of the user account and It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a service request is made using a fixed QR code (S100).

상기 제 S100 단계의 판단결과,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인 경우, 상기 운영 서버(400)는 해당 사용자 계정의 개인소비정보를 근거로 분석해 해당 사용자에게 특화된 타겟 광고용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게 될 것이다(S1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100, in the case of a service request using a fixed QR code, the operation server 400 will analyze based on the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and extract the advertisement content for the target advertisement specialized for the user ( S110).

이후, 이렇게 추출된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시청될 것이며(S70), S80 단계에서 상기 운영 서버(400)는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광고 시청에 대하여 설정된 보상 설정을 스캐닝 처리부(441)에서 추출하고 보상 처리부(443)를 통해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여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광고 시청에 대한 사용자 보상을 처리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이 같은 사용자의 고정 QR코드 등록 및 광고 서비스 이용 행위는 충성 고객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기존 일회성 QR코드의 스캐닝시 부여되던 보상 보다는 상위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보상이 미리 설정될 것이다. After that, the advertisement content extracted in this way will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for viewing (S70), and in step S80, the operation server 400 scans the compensation setting for the user's advertisement viewing using the fixed QR code by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441 Extracted from , and accumulated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through the reward processing unit 443 to process user compensation for viewing advertisements using a fixed QR code. Of course, the user's fixed QR code registration and advertisement service usage behavior are indicators of loyal customers, so the user's compensation will be set in advance so that a higher level of compensation than the compensation given when scanning the existing one-time QR code is achiev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내 앱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pp driving uni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제 이 같은 일회용품 중 커피전문점에서 커피 등의 음료를 담아 제공하는 테이크아웃용 컵은 그 배포 수량이 막대하며 컵마다 재질과 제조방법이 제각각이어서 그 폐기 방식도 일정치 않다는 특징을 가진다. In fact, among these disposable products, takeout cups that are provided with beverages such as coffee in coffee shops are distributed in enormous quantities, and each cup has a different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so its disposal method is not uniform.

따라서 개개인이 커피전문점별로 서로 다른 컵 별 재질 및 제조 특성을 깊이있게 이해하고 선별해 이를 적절히 폐기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deeply understand, select, and properly dispose of the different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each cup at each coffee shop.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크아웃용 컵에 형성되는 QR코드를 상술한 광고 콘텐츠 시청 기능의 매개체로 사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동일한 재질 및 제조 특성을 갖는 테이크아웃용 컵을 다른 재질 및 제조 특성을 갖는 테이크아웃용 컵과 구별할 수 있는 정보 제공체로 활용하도록 하며 테이크아웃 음료의 음용 특성에 맞춰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폐기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적시에 제공하여 테이크아웃용 컵의 회수율과 재활용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할 것이다. 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R code formed on the takeout cup is not only used as a medium for the above-mentioned advertising content viewing function, but a takeout cup having the sam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is used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It is to be used as an information provider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akeout cup, and it provides eco-friendly and efficient disposal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in a timely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drinking characteristics of takeout drinks to dramatically improve the recovery and recycling rates of takeout cups. will make it happen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앱 구동부(220)에는 상술한 구성들에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모듈을 활용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운영 서버(400)로 제공하는 GPS정보 제공부(228)와 운영 서버(400)에서 전달하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소 정보를 수신해 폐기소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소까지의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폐기소 정보 처리부(229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 in the app driving unit 220 of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used by using the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operating server. Receives the disposal information of the takeout cup delivered from the GP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8 and the operation server 400 provided to the 400, and provides an access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posal site together with the disposal information. It will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aste dispos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9a).

테이크아웃용 컵들은 종이 재질만으로 제작된 컵, 종이 재질로 제작되되 내면에 수분흡수를 차단하는 필름 처리가 된 컵,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된 컵,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컵, 곡물을 분쇄처리하여 제작된 컵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렇게 다양한 컵들은 대부분 그대로 쓰레기통에 버려지고 있으며, 재활용함에 수거된다하더라도 그 폐기방식별로 이들 테이크아웃용 컵들을 분리하는 사후처리에는 막대한 비용과 인력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Cups for takeout are made of only paper, cups made of paper but with a film that blocks moisture absorption on the inside, cups made of polypropylene, cups made of plastic material, cups made of grain and crushed There are various types of cups, etc. Most of these cups are thrown away as they are, and even if they are collected in a recycling bin, the post-processing of separating these takeout cups by their disposal method is a structure that inevitably requires enormous cost and manpow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소는 커피전문점별로 한가지 재질의 컵에 대한 폐기소로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A 라는 커피전문점은 종이 재질만으로 제작된 컵만을 폐기할 수 있는 폐기소로 지정하고, 그 근방의 B 라는 커피전문점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컵만을 폐기할 수 있는 폐기소로 지정하며, 또 그 근방의 C 라는 커피전문점은 곡물 컵만을 폐기할 수 있는 폐기소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The disposal site for takeout cups defin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ated as a disposal site for cups of one material for each coffee shop. For example, a coffee shop named A is designated as a disposal place where only cups made of paper material can be disposed of, and a coffee shop named B nearby is designated as a disposal place that can only discard cups made of plastic material, and A coffee shop called C in the vicinity is designated as a disposal site that can only dispose of grain cups.

하지만 이 같은 커피전문점별 컵 전용 폐기소의 지정상황을 소비자들은 쉽게 인지하지 못할 것이며,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장소가 아니라면 더더욱 이 같은 지정상황을 알지 못할 것이다. However, consumers will not be able to easily recognize the designation of cup-only dumping stations for each coffee shop, and even more so, unless it is a place they use frequent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크아웃용 컵에 형성되는 QR코드에 해당 컵을 통해 제공하는 음료 정보와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추가하게 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운영 서버(400)가 해당 사용자가 가진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QR코드를 스캐닝한 사용자 단말기(200)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에 따른 폐기소 정보를 안내해 폐기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전문적인 컵 재질 정보를 가지지 않은 소비자라 하더라도 안내되는 정보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테이크아웃용 컵을 폐기할 수 있어 테이크아웃용 컵의 회수율과 재활용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nk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up and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are added to the QR code formed on the takeout cup, and the user uses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process of scanning the code, the operation server 400 checks the waste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keout cup owned by the user,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200 scans the QR code to classify the takeout cup disposal. By guiding the disposal si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inducing them to dispose of it, even consumers who do not have professional cup material information can dispose of takeout cups in an eco-friendly and efficient manner through the guided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recovery and recycling rates of takeout cups. to improve dramatically.

이를 위해 상기 운영 서버(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들에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해 전송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폐기 처리부(451), 상기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의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시간 카운팅부(452) 및 상기 시간 카운팅부(452)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컵의 폐기가 가능한 가장 가까운 폐기소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도출된 폐기소 정보 및 접근 경로 정보를 송신해 안내하는 폐기경로 생성부(4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To this end, the operation server 400,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cans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retrieve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Disposal processing unit 451 that checks and recognizes the type of cup according to the wast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QR information, and expects disposal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is QR information When the time counting unit 452 that counts the time point and the time counting unit 452 instruct the expected disposal time to arr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up is discard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posal route generator 453 for guiding by der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arest possible discarding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derived information and access path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여기에서 상기 시간 카운팅부(452)는 인식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예상 폐기 시점을 다르게 카운트할 수 있다. Here, the time counting unit 452 may count the expected disposal tim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ype of beverage.

이와 같은 운영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폐기 방법을 도 9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cup disposa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9 is as follows.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운영 서버(400)는 S60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게 된다(S151). Referring to FIG. 9 , first, the operation server 400 classifies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in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for the user's takeout cup in step S60. By checking the information, the type of cup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orresponding cup is recognized (S151).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수신된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가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게 된다(S152). 이 같은 예상 폐기 시점은 음료의 종류, 음료의 상태, 음료의 양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음료의 종류, 음료의 상태, 음료의 양 등에 따라 예상 폐기 시점을 다르게 카운트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received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pos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ime when this QR information is transmitted (S152). The expected disposal time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ype of beverage, the state of the beverage, and the amount of the beverage, and the expected disposal time may be differently cou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the state of the beverage, the amount of the beverage, and the like.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해(S153), 해당 컵에 대한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54).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expected disposal time has been reached (S153), and when the expected disposal time for the cup is reached,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to provide the us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s received (S154).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폐기분류 기준에 따라 해당 컵의 폐기가 가능한 가장 가까운 폐기소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S155).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derives information on the nearest disposal point where the cup can be disposed of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S155).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도출된 폐기소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이 폐기소까지의 접근 경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해 안내하게 된다(S156).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transmits the derived information on the disposal site and the access path information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 the disposal site together to the user terminal 200 to guide the information (S156).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테이크아웃용 컵의 QR코드를 스캐닝하는 행위만으로 광고시청 및 보상획득은 물론 컵별 폐기 기준에 대한 복잡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폐기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Therefore, users can view advertisements and obtain rewards just by scanning the QR code of the takeout cup they have, as well as eco-friendly and efficient disposal of the takeout cup without complex prior knowledge about the disposal standards for each cup. will be.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내 앱 구동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pp driving uni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음료를 마신 후 소지한 사용자에게 소지한 컵의 폐기 기준에 부합하는 근거리의 폐기소를 안내하여 테이크아웃용 컵의 효율적인 수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었으나, 이 방식은 폐기소까지 비교적 긴 거리를 사용자가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폐기소 안내 서비스를 충실히 이행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fter drinking the drink from the takeout cup, the user is guided to a nearby disposal site that meets the disposal standard of the cup in hand to enable efficient collection of the takeout cup, but this method Since the user has to travel a relatively long distance to the disposal site, it is unlikely that the user will faithfully implement the information service to the disposal site.

보통의 일회용품 특히 테이크아웃용 컵의 경우 환경 파괴의 원인으로 인하여 컵마다 반환 보증금을 책정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의 커피를 구매할 경우에 커피를 담는 컵에 반환 보증금이 일백원 정도 책정되어 있으며 이를 반환하고 일백원을 받기 위하여 다시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그냥 쓰레기통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스타벅스에 누적된 반환금은 스타벅스에 고스란히 이익으로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ordinary disposable items, especially takeout cups, a return deposit is set for each cup due to the cause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For example, when purchasing coffee from Starbucks, a deposit of 100 won is set on the cup containing the coffee, and due to the hassle of returning it and visiting again to receive the 100 won, it frequently goes into the trash. As a result, the accumulated refund to Starbucks will be directly generated as a profit for Starbucks.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사용자가 직접 컵을 반환하여 이에 따른 포인트 혹은 반환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테이크아웃용 컵의 쓰레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of the takeout cup directly returns the cup to provide the effect that points or a return deposit can be returned accordingly, so that the takeout cup is garbag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this, and it will be possible to exert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폐기소를 커피전문점과 같은 지역 매장으로 한정하지 않고 이동하며 커피를 즐기는 사람 자체를 폐기소로 지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동일한 재질 및 제조 특성을 갖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음료를 마신 후 소지한 사용자들 중 한 사람을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 이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의 근거리에 있는 동일 테이크아웃용 컵의 소지자들을 팔로워로 지정하여 팔로워들에게 이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의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이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동일한 재질 및 제조 특성을 갖는 테이크아웃용 컵들을 모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esignating a person who enjoys coffee while moving without limiting the waste station to a local store such as a coffee shop is proposed as the waste station. That is, after drinking a drink from a take-out cup having the sam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ne of the users who possessed it is designated as a disposal spot, and holders of the same take-out cup in the vicinity of the designated person as a follower are followers. By designating and guiding followers to the location of the person designated as the waste spot, the designated person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collect takeout cups with the sam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within a short time.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앱 구동부(220)에는 상술한 구성들에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모듈을 활용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운영 서버(400)로 제공하는 GPS정보 제공부(228)와, 운영 서버(400)에서 전달하는 폐기 팔로워 지정에 따라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 스팟 정보를 수신해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표시부(230)에 표시하는 폐기 스팟 정보 처리부(229b)와, 운영 서버(400)에서 전달하는 폐기 스팟 지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팟 피쳐를 요청해 운영 서버(400)로 전달하는 스팟 피쳐 정보 처리부(229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 in the app driving unit 220 of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used by using the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operating server. According to the GP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8 provided to 400 and the discarding follower design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the discarding spot information of the takeout cup is received and discarded at the current location together with the discarded spot feature information. Discarding spo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9b for displaying the access path to the spot on the display unit 230, and requesting a spot feature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discarding spot designation delivered from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delivering to the operation server 400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pot featur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9c.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 스팟은 근거리에 위치하면서 동일한 재질 및 제조 특성을 갖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음료를 마신 후 소지한 사용자이다. The disposal spot of the take-out cup defin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who drinks and possesses the take-out cup having the sam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whil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또한 스팟 피쳐는 팔로워로 지정된 사람이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이 제공하는 정보이다. 예컨데 스팟 피쳐는 "붉은색 모자를 씀", "체크무늬 셔츠를 입음", "파란색 백팩을 맴", "분수대 앞에 서 있음" 등과 같이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이 자신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외향 정보나 위치 정보일 것이다. 팔로워로 지정된 사람은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스팟 피쳐 정보를 이용해 쉽게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을 구별해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spot feature is information provided by a person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so that a person designated as a follower can easily recognize the person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For example, a spot feature is an extrovert that provides easy identification of the person designated as a disposal spot, such as "wearing a red hat", "wearing a plaid shirt", "hanging a blue backpack", "standing in front of a fountain", etc.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A person designated as a follower will be able to easily distinguish a person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by using the spot feature information together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크아웃용 컵에 형성되는 QR코드에 해당 컵을 통해 제공하는 음료 정보와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추가하게 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운영 서버(400)가 해당 사용자가 가진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QR코드를 스캐닝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거나 팔로워로 지정하여 동일한 종류의 테이크아웃용 컵이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람에게 모이도록 유도함으로써 전문적인 컵 재질 정보를 가지지 않은 소비자라 하더라도 안내되는 정보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테이크아웃용 컵을 폐기할 수 있어 테이크아웃용 컵의 회수율과 재활용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up and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are added to the QR code formed on the takeout cup, and 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200 to In the process of scanning the QR code, the operation server 400 check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keout cup possessed by the user, and designates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200 who scanned the QR code based on this information as a disposal spot or By designating a follower and inducing the same type of takeaway cups to gather at the designated disposal spot, even consumers who do not have professional cup material information can dispose of takeout cups environmentally and efficiently through the guided information. Therefore, the recovery rate and recycling rate of takeout cups are to be dramatically improved.

이를 위해 상기 운영 서버(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들에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해 전송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폐기 처리부(451), 상기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의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시간 카운팅부(452), 상기 시간 카운팅부(452)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의 주변에 폐기 스팟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 스팟 피쳐 정보를 수신하는 스팟 생성부(455), 상기 시간 카운팅부(452)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의 주변에 폐기 스팟이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팔로워 생성부(4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To this end, the operation server 400, as shown in FIG. 11,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cans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retrieve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The waste processing unit 451 that checks and recognizes the type of cup according to the waste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QR information, and expects disposal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is QR information When the time counting unit 452 for counting the time points and the time counting unit 452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card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and there is a discard spot around the current location. If not, the spot generation unit 455 for designating the user terminal 200 as a discard spot and receiving the spot feature information, and the time counting unit 452 instruct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card time, from the user terminal 200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re is a discard spot in the vicinity of the current location, a follower generating unit 456 that provides an access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card spot together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 spot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 More will be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시간 카운팅부(452)는 인식된 음료의 종류에 따라 예상 폐기 시점을 다르게 카운트할 수 있다. Here, the time counting unit 452 may count the expected disposal tim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cognized type of beverage.

이와 같은 운영 서버(400)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폐기 방법을 도 1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cup disposa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server 4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2 is as follows.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운영 서버(400)는 S60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게 된다(S161). Referring to FIG. 12 , first, the operation server 400 classifies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in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for the user's takeout cup in step S60. By checking the information, the type of cup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orresponding cup is recognized (S161).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수신된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가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게 된다(S162). 이 같은 예상 폐기 시점은 음료의 종류, 음료의 상태, 음료의 양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음료의 종류, 음료의 상태, 음료의 양 등에 따라 예상 폐기 시점을 다르게 카운트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received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pos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ime when this QR information is transmitted (S162). The expected disposal time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ype of beverage, the state of the beverage, and the amount of the beverage, and the expected disposal time may be differently cou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the state of the beverage, the amount of the beverage, and the like.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해(S163), 해당 컵에 대한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64). After that,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expected disposal time has been reached (S163), and when the expected disposal time for the cup is reached, the user terminal 200 reques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to provide the us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s received (S164).

이후 상기 운영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그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65). Thereafter, the operation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S165).

상기 제 S165의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40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S167),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 스팟 피쳐 정보를 요청해 사용자로부터 작성된 스팟 피쳐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168).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S165, if there is no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operation server 400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200 as a discard spot (S167) , to receive the spot feature information written from the user by requesting the spot featur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S168).

이렇게 폐기 스팟으로 지정되는 사용자는 별도의 거부 절차를 통해 폐기 스팟으로의 지정을 거부할 수도 있으며, 폐기 스팟으로의 지정시 성실히 스팟 피쳐 정보를 제공해 빠른 스팟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may reject designation as a disposal spot through a separate rejection procedure, and when designating a discard spot, spot feature information should be faithfully provided to enable quick spot identification.

이와 달리 상기 제 S165의 판단결과,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40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를 팔로워로 지정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로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안내해 팔로워의 스팟 접근을 지원하게 된다(S166).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165, if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exists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operation server 400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200 as a follower and the user terminal At 200, an access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carded spot is guided along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ed spot to support the follower's spot access (S166).

이 같은 과정을 통해 팔로워들은 동일한 종류의 테이크아웃용 컵을 폐기하기 위해 폐기 스팟의 위치로 이동해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에게 테이크아웃용 컵을 넘기게 되며,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들은 단시간에 빠르게 동일한 종류의 테이크아웃용 컵을 모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결국 전문적인 컵 재질 정보를 가지지 않은 소비자라 하더라도 안내되는 정보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테이크아웃용 컵을 폐기할 수 있도록 해 테이크아웃용 컵의 회수율과 재활용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할 것이다. Through this process, followers move to the location of the disposal spot to discard the same type of takeout cup and hand the takeout cup to the user designated as the disposal spot. You will be able to collect takeaway cups of In the end, even consumers who do not have professional cup material information can dispose of takeout cups in an eco-friendly and efficient manner through guided information,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the recovery and recycling rates of takeout cups.

이후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는 일정 수 이상의 컵을 모은 후에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운영 서버(400)에 폐기 스팟 중단요청을 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를 통해 운영 서버(4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해 더이상의 폐기 스팟 정보를 배포하지 않음으로써 일시적인 폐기 스팟 역할은 중단되게 될 것이다. Thereafter, the user designated as the disposal spot will be able to make a request to stop the disposal spot to the operation server 400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200 after collecting a certain number of cups, and through this, the operation server 400 is the corresponding user By not distributing any more revocation spot information for , the temporary revocation spot role will be discontinued.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가맹점 단말기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광고주 단말기 400 : 운영 서버
100: merchant terminal 200: user terminal
300: advertiser terminal 400: operation server

Claims (10)

QR코드가 형성된 일회용품을 제공하는 가맹점들을 이용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일회용품을 이용한 광고 계약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 단말기;
전용앱을 구동하여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해 인식된 QR정보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수신되는 광고 콘텐츠를 재생해 보상을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QR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 시청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As a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using affiliate stores that provide disposable products with QR codes,
an advertiser terminal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an advertisement contract using disposable products;
a user terminal that operates a dedicated app to scan a QR code formed on a disposable product, transmits recognized QR information, and reproduces the received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ly to obtain a reward; and
an operation server that transmits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a reward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제공되어 설치된 서비스 전용 앱을 구동하여 로그온 과정을 수행하고, 가맹점에서 제공된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캐닝해 QR정보를 인식해 운영 서버로 전송하며, 운영 서버에서 광고 콘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하며, QR코드 스캐닝 및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 전용포인트를 회원 전자지갑에 적립하는 앱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앱 구동부는,
상기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는 QR코드 스캔부;
스캐닝된 QR코드에 내재된 QR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QR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QR코드 처리부;
상기 QR코드 처리부에서 인식된 QR정보에 따라 운영 서버에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재생부; 및
상기 광고 재생부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를 시청한 보상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전용포인트를 적립하는 전자지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perating server runs the service-only app provided and installed to perform the logon process, scans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s provided by the affiliated store, recognizes the QR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ng server, and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 from the operating server an app driving unit that receives and plays, and accumulates exclusive points in the member's e-wallet as a reward for scanning QR codes and watching advertisements; includes,
The app driving unit,
QR code scanning unit for scanning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
A QR code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the QR information embedded in the scanned QR code and transmitting the recognized Q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an advertisement playback unit for playing advertisemen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QR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QR code processing unit; and
an electronic wallet unit for accumulating exclusive points given to a user as a reward for viewing an advertisement provided through the advertisement reproducing unit;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일회용품에 인쇄되도록 하는 QR코드 관리부;
사용자 단말기의 일회용품에 대한 QR코드 스캐닝 진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코드를 수신해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는 스캐닝 처리부;
상기 스캐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광고 관리부; 및
사용자의 광고 시청에 따라 스캐닝 처리부에서 추출된 보상 설정에 따른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보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ng server is
a communication unit for acces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 QR code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to be printed on disposable products;
a scanning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QR cod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ning process for disposable items of the user terminal and extracting related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ensation settings;
an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to a user terminal; and
a reward processing unit that accumulates exclusive poi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ward setting extracted from the scanning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user's advertisement viewing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앱 구동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GPS 모듈을 활용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GPS정보 제공부; 및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전달하는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소 정보를 수신해 폐기소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소까지의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폐기소 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해 전송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폐기 처리부;
상기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의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시간 카운팅부; 및
상기 시간 카운팅부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컵의 폐기가 가능한 폐기소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도출된 폐기소 정보 및 접근 경로 정보를 송신해 안내하는 폐기경로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The app driv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GPS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operation server by using the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nd
a dumping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disposal site of the takeout cup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providing an access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posal site together with the disposal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ng server is
a disposa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 of cup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by checking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by scanning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a time counting unit that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card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QR information; and
When the time counting unit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posal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osal site where the cup can be disposed of is deriv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posal site der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discarded path generating unit that transmits and guides access path informatio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앱 구동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GPS 모듈을 활용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GPS정보 제공부;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전달하는 폐기 팔로워 지정에 따라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 스팟 정보를 수신해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표시하는 폐기 스팟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운영 서버에서 전달하는 폐기 스팟 지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팟 피쳐를 요청해 운영 서버로 전달하는 스팟 피쳐 정보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QR코드를 스캐닝해 전송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폐기 처리부;
상기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의 전송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시간 카운팅부;
상기 시간 카운팅부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의 주변에 폐기 스팟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 스팟 피쳐 정보를 수신하는 스팟 생성부; 및
상기 시간 카운팅부가 예상 폐기 시점의 도달을 지시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현재 위치의 주변에 폐기 스팟이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팔로워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The app driv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GPS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operation server by using the GPS module of the user terminal;
a discarding spo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discarded spot information of the takeout cup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the discarded followe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displays an access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iscarded spot together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ed spot; and
a spot featur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requests a spot feature from a user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the discarded spot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on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ng server is
a disposal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 of cup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by checking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by scanning the QR code through the user terminal;
a time counting unit that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card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QR information;
When the time counting unit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posal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if there is no discard spot around the current position, the user terminal is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and the spot feature information is received. spot generator; and
When the time counting unit instructs the arrival of the expected disposal ti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if there is a discard spot around the current position, the discarding spot at the current location along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ing spot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ollower generation unit that provides an access path to;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운영 서버가 각 가맹점별 혹은 각 상품별로 고유 QR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가맹점 혹은 해당 상품에 사용되는 일회용품의 외면에 고유 QR코드가 인쇄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서비스 전용 앱을 전송해 전용 앱의 설치를 지원하는 단계;
(c)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일회용품에 형성되어 있는 QR코드 스캐닝 진행하고 전송하는 QR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하여 해당 QR정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와 보상 설정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운영 서버가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광고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운영 서버가 추출된 보상 설정을 참조해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a) generating, by the operation server, a unique QR code for each affiliate store or each product so that the unique QR code is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osable product used for the affiliated store or the product;
(b) support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installation of the dedicated app by transmitting the service-only app to the user terminal;
(c) the operation server receiving the QR information that the user terminal scans and transmits the QR code formed on the disposable product through the service-only app, and extracts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ensation settings related to the QR information;
(d) transmitt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extracted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advertisement is played in the user terminal; and
(e) accumulating, by the operation server, exclusive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with reference to the extracted reward settings; Advertising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가 스캐닝된 QR코드의 이미지를 저장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고정 QR코드로 등록하며,
(f)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QR코드 이미지 저장에 따라 사용자가 고정 QR코드로 등록한 QR코드의 QR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와 함께 광고시청에 따른 회원 보상 정보를 재설정하는 단계;
(g)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고정 QR코드를 이용해 QR정보를 운영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운영 서버가 전송된 QR 정보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고정 QR코드와 비교해 고정 QR코드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h)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으로 체크되면, 상기 운영 서버가 해당 사용자 계정의 개인소비정보를 근거로 분석해 해당 사용자에게 타겟 광고용 광고 콘텐츠를 추출해 전송하여 광고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및
(i) 상기 운영 서버가 고정 QR코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광고 시청에 대하여 설정된 보상 설정을 추출해 전용포인트 정보를 회원의 전자 지갑에 적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fter step (e),
The user terminal saves the scanned QR code image and registers it as a fixed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f) The operation server registers the QR information of the QR code registered as a fixed QR code by the user as a fixed QR code according to the storage of the QR code image in the user terminal in the user's account, and views the advertisement together with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n the user's account resetting member compens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g) when the user transmits Q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using the fixed QR code of his/her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compares the transmitted QR information with the fixed QR code of the user account to check whether the fixed QR code;
(h) when a service request using a fixed QR code is checked, the operation server analyzes based on the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extracts and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 for the target advertisement to the user so that the advertisement is 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i) extracting, by the operation server, a reward setting set for a user's advertisement viewing using a fixed QR code, and accumulating exclusive point information in the member's electronic wallet; Advertising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소비정보는 고정 QR코드 등록에 사용되는 QR코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사용자 구매상품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위치 정보, 사용자의 상품구매 액수 정보, 사용자의 구매상품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s personal consumption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user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user product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user product purchase amount information, and user purchased produ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a QR code used for fixed QR code registratio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c-2)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된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가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단계;
(c-3)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4)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폐기분류 기준에 따라 해당 컵의 폐기가 가능한 폐기소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폐기소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이 폐기소까지의 접근 경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Step (c) is,
(c-1)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QR code scanning for the takeout cup, and the cup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orresponding cup recognizing a kind;
(c-2)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received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card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ime when this QR information is transmitted;
(c-3)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when the expected discard time is reached; and
(c-4) The operation server derives information on a disposal site where the cup can be disposed of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transmitting and guiding the access path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Advertising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품은 테이크아웃용 컵이며,
상기 (c) 단계는,
(c-5)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의 테이크아웃용 컵에 대한 QR코드 스캐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QR정보에서 해당 테이크아웃용 컵의 폐기분류 정보를 체크해 해당 컵의 폐기분류 기준에 따른 컵 종류를 인식하는 단계;
(c-6) 상기 운영 서버가 수신된 QR정보를 통해 해당 컵으로 제공하는 음료 정보를 체크하고 이 QR정보가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음료 종류에 따른 예상 폐기 시점을 카운트하는 단계;
(c-7) 예상 폐기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8) 상기 운영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그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9)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폐기 스팟으로 지정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스팟 피쳐 정보를 요청해 사용자로부터 작성된 스팟 피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10)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폐기 스팟으로 지정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 서버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팔로워로 지정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폐기 스팟의 피쳐 정보와 함께 현재 위치에서 폐기 스팟까지의 접근경로를 안내해 팔로워의 스팟 접근을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서비스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osable product is a takeout cup,
Step (c) is,
(c-5)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dispos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keout cup from the Q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QR code scanning for the takeout cup, and the cup according to the dispos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the cup recognizing a kind;
(c-6) the operation server checks the bever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cup through the received QR information, and counts the expected disposal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based on the time when this QR information is transmitted;
(c-7)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questing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when the expected discard time is reached;
(c-8) determining whether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serv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9) If there is no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as a discard spot, requests spot featur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reates receiving spot feature information; and
(c-10) If there is a user designated as a discard spot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server designates the user terminal as a follower, and discards the user terminal at the current location together with feature information of the discard spot to the user terminal Supporting the follower's spot access by guiding the access route to the spot; Advertising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136807A 2020-10-21 2020-10-21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KR102515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07A KR102515780B1 (en) 2020-10-21 2020-10-21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07A KR102515780B1 (en) 2020-10-21 2020-10-21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635A true KR20220052635A (en) 2022-04-28
KR102515780B1 KR102515780B1 (en) 2023-03-31

Family

ID=8144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807A KR102515780B1 (en) 2020-10-21 2020-10-21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78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787A (en) * 2001-02-22 2002-08-28 주식회사 유니지넷닷컴 Method for reserving a settled money through a barcode
KR20140017913A (en) * 2012-08-02 2014-02-12 곽성원 Custmized qr-advertisement and reward-system and method using qr-code
KR20180101981A (en) * 2017-03-06 2018-09-14 김상용 Smart donation system using disposable products with sponsorship advertisement of company products and Method Thereof
KR20190095055A (en) * 2018-02-06 2019-08-14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ing food of refrigerator
KR20200004983A (en) * 2018-07-05 2020-01-15 (주) 나이스택스리펀드 Pos based customer make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16123B1 (en) * 2019-08-28 2020-05-27 이윤택 Plastics recycling method
KR102133863B1 (en) * 2019-11-19 2020-07-14 김천식 System for displaying and management purchase information using qr cod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787A (en) * 2001-02-22 2002-08-28 주식회사 유니지넷닷컴 Method for reserving a settled money through a barcode
KR20140017913A (en) * 2012-08-02 2014-02-12 곽성원 Custmized qr-advertisement and reward-system and method using qr-code
KR20180101981A (en) * 2017-03-06 2018-09-14 김상용 Smart donation system using disposable products with sponsorship advertisement of company products and Method Thereof
KR20190095055A (en) * 2018-02-06 2019-08-14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ing food of refrigerator
KR20200004983A (en) * 2018-07-05 2020-01-15 (주) 나이스택스리펀드 Pos based customer make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16123B1 (en) * 2019-08-28 2020-05-27 이윤택 Plastics recycling method
KR102133863B1 (en) * 2019-11-19 2020-07-14 김천식 System for displaying and management purchase information using qr cod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780B1 (en)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cchetti et al. Mobile marketing: an analysis of key success factors and the European value chain
CN102439619A (en) Mobile advertising syndication
CA2564028A1 (en) Mobile query system and method based on visual cues
US10803712B2 (en) Intelligent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uplex printer
KR101367248B1 (en) A platform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s by according to context-awareness and its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thereof
US20150095103A1 (en) Creating and managing commerce insights in waste management
CN101471801A (en) Advertisement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fault advertisement in wireless internet
EP2780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sed advertisements
CN107481052A (en) A kind of transmit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method and terminal
CN103679491A (en) Method for utilizing automatic tissue advertisement distributor to accurately advertise
KR2004002030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01048616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puter program storage medium wher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is stored
CN107483543A (en) Intelligent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based on duplex printer distribution map
KR20160027575A (en) Commercial server for providing commercial service using push message
CN108648337A (en) A kind of experience type popularization machine
KR102515780B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product
KR100722846B1 (en) Mobil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Shen et al. Application of social media among chinese outbound tourists: Platforms and behaviors
Diego et al. Sterling: a framework for serious games to encourage recycling
KR20150118592A (en) Method for Providing Online Optimized Advertisement Using Social Data Analysis
KR100425284B1 (en) Offer Method for Multimedia Advertisement Discount Coupon Using Standby Pi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20120552A (en) System and method for Keyword advertising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KR101016380B1 (en) Electric indicator system
CN106570724A (en) Advertisement push method based on virtual currency and advertisement push system thereof
KR20050088938A (en) Contents publicity using mobile phone terminal and free distribution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