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062A -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 Google Patents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062A
KR20220052062A KR1020200135968A KR20200135968A KR20220052062A KR 20220052062 A KR20220052062 A KR 20220052062A KR 1020200135968 A KR1020200135968 A KR 1020200135968A KR 20200135968 A KR20200135968 A KR 20200135968A KR 20220052062 A KR20220052062 A KR 20220052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shing rod
hook
fixing holder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이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열 filed Critical 이종열
Priority to KR102020013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062A/ko
Publication of KR2022005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2)가 끼워지는 벨트걸이부(10)가 전면에 갖춰지고, 만곡형 곡면을 이루는 지지부(20)가 후면에 갖춰 고정홀더본체(100)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벨트걸이부(10)의 전면에 사선방향으로 일제를 이루도록 걸이부재(30)를 갖추게 하고,상기 걸이부재(30)는 사선방향의 상부에 받침부(32)가 갖춰지고, 사선방향의 하부에는 걸이지지부(34)가 갖춰지되, 상기 고정홀더본체(100)를 중심으로 받침부(32)의 위치가 걸이지지부(34)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고정홀더본체(100)를 이루는 지지부(20)와 벨트걸이부(30)는 측면상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형을 이루며, 상기 벨트걸이부(1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벨트이탈방지부(12)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사용자의 벨트를 이용하여 옆구리에 착용을 하면 상기 고정홀더본체가 만곡형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체를 좌우로 굽히는데 불편함을 느낄수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Fishing rod fixing holder for belt hanger}
본 발명은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를 잡은 사람의 허리에 착용하고 있는 벨트에 끼움식으로 착탈가능하도록 하고, 착용시 낚시대의 후단부가 걸리면서 얹어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민물낚시를 하거나 바다낚시를 할 때, 낚시를 하는 사람은 낚시를 하는 동안 낚시대를 잡고 물고기의 입질을 기다리거나, 바닥에 받침대를 설치하여 낚시대를 거치시키고 주간에는 찌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야간에는 낚시대의 선단에 별도의 소리장치 또는 발광장치를 장착하여 소리나 빛의 움직임을 보며 낚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낚시 진행방식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낚시진행 방식의 경우, 낚시대를 잡고 입질을 느끼기 위해 손으로 잡고 기다리는 것은 매우 지루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일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받침대를 지면에 설치하여 낚시대를 거치시켜 낚시를 하는 방식은 순간적으로 찌가 움직이거나 소리장치나 발광장치에서 신호가 있을 경우, 낚시하는 사람이 순간적으로 몸을 구부리며 낚시대를 낚아채야 하므로 낚아채는 타이밍을 놓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낚시대를 잡고 이동하며 낚시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낚시를 하는 도중에 미끼를 갈아 주거나 잡힌 고기를 낚시바늘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 낚시대를 바닥에 놓고 작업을 하거나 본인의 겨드랑이에 낚시대를 끼워 엉거주춤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하는 등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1-0038072호(명칭: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구, 이하 "종래기술1"이라고 함)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991-0018558호(명칭:아이스막스의 낚시받침대 창치, 이하 "종래기술2"라고 함)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의 구성은 낚시하는 사람의 벨트에 결착할 수 있도록 후면에 요자형 절곡판재를 갖추고 전면에는 하부에 낚시대의 후단부를 거치시킬 수 있는 받침판을 갖춘 평판형의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2의 구성은 아이스박스의 일측에 톱니치를 갖추고 중앙에 결합용 너트홀을 갖춘 고정 톱니판과, 상기 고정 톱니판과 치합되는 톱니치를 갖추고 외면에 끼움홈을 갖춘 회전 톱니판과, 상기 회전 톱니판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받침곡간과 제어곡간을 갖춘 받침대와, 상기 고정 톱니판과 회전 톱니판 및 받침대를 고정시키는 볼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1과 종래기술2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종래기술1은 기판의 전면에 낚시대의 후단부를 거치하고 받쳐 줄 수 있는 받침판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특히 낚시대의 후단부 만을 거치시키면서 손으로 낚시대를 잡아 줘야 하는 문제점있다.
또한, 상기 기대는 낚시하는 사람의 정면부분의 벨트에 장착하여 낚시대의 후단부를 복부로 받치게 됨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낚시하는 사람의 복부를 압박하여 복부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낚시대를 한손으로 잡아주어야 함으로 낚인 물고기를 수면으로 당긴 후에 채비를 이용하여 물에서 건져 올리는 작업을 하고자 할 때 매우 불안정한 상태를 이루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낚시용품인 아이스박스의 일측에 고정 톱니판과 회전톱니판 및 받침대를 설치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인 낚시대를 낚아채는 순간 타이밍을 잡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대를 일정 각도가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볼트에 의해 고정 톱니판과 회전 톱니판의 톱니치가 치합되어 있으나, 받침대의 각도를 임의적으로 자주 조정을 하다 보면 각 톱니판의 톱니치가 마모되면서 치합력이 약해지는 문제로 인하여 낚시에 걸린 물고기에 따라 낚시대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톱니치가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2는 아이스박스의 일측면에 설치된 것이므로 중량이 나가는 아이스박스를 들고 이동하며 낚시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1-0038072호(2001.12.10.출원) (특허문헌)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1991-0018558호(1991.11.01.출원)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1과 종래기술2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낚시하는 사람(이하 "사용자"라 함)의 허리벨트에서 사용자의 옆구리부분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양단부에 지지부와 거치부를 갖춘 받침부재는 사용자가 서있을 때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시켜 사용자가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록하며, 또한 걸어 놓은 낚시대를 순간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돌록한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사용자의 허리 특히 옆구리에 장착하게 함으로서, 채비를 사용하거나 이동하며 낚시를 하는데 용이하도록 한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벨트가 끼워지는 벨트걸이부가 전면에 갖춰지고, 만곡형 곡면을 이루는 지지부가 후면에 갖춰 고정홀더본체를 이루고, 상기 벨트걸이부의 전면에 사선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걸이부재를 갖추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재는 사선방향의 상부에 받침부가 갖춰지고, 사선방향의 하부에는 걸이지지부가 갖춰지되, 상기 고정홀더본체를 중심으로 받침부의 위치가 걸이지지부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홀더본체를 이루는 지지부와 벨트걸이부는 측면상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형을 이루며, 상기 벨트걸이부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벨트이탈방지부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사용자의 벨트를 이용하여 옆구리에 착용을 하면 상기 고정홀더본체가 만곡형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체를 좌우로 굽히는데 불편함을 느낄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된 벨드걸이부의 하단부에는 벨트이탈방지부가 갖춰져 있어 인의적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부재가 벨트걸이부의 전면에 사선방향으로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상태에서 낚시대를 걸이부재의 받침부에 얹어 놓고 낚시대의 후단부가 걸이지지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낚시대의 자중에 의해 받침대에 받쳐진 상태에서 낚시대의 후단부는 걸이지지부에 걸린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사용자는 낚시대를 잡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도 있으며, 순간적으로 낚시대를 잡아 챌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의 요부를 표현하기 위한 종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그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표현한 사시도 이고,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의 사용상태도이며,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의 요부를 표현하기 위한 종 단면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2)가 끼워지는 벨트걸이부(10)가 전면에 갖춰지고, 만곡형 곡면을 이루는 지지부(20)가 후면에 갖춰 고정홀더본체(100)를 이루고, 상기 벨트걸이부(10)의 전면에 사선방향으로 일제를 이루도록 걸이부재(30)를 갖추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재(30)는 사선방향의 상부에 받침부(32)가 갖춰지고, 사선방향의 하부에는 걸이지지부(34)가 갖춰지되, 상기 고정홀더본체(100)를 중심으로 받침부(32)의 위치가 걸이지지부(34)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홀더본체(100)를 이루는 지지부(20)와 벨트걸이부(30)는 측면상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형을 이루며, 상기 벨트걸이부(1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벨트이탈방지부(12)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홀더본체(100)가 장착되는 사용자의 벨트는 일반 정장이나 케쥬얼복장에 착용하는 벨트류가 아니고 상체에 힘을 많이 쓸 때 사용되는 허리보호용도 또는 복부보호용도의 벨트폭이 넓은 벨트류에 착용되도록 한 것이다.
즉, 낚시를 하는 사용자는 낚시에 걸린 물고기를 건저 올리기 위해서 단순히 팔힘만으로 올리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몇 시간씩 물고기와 힘겨루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상체는 물론 하체의 힘까지 쓰기위해 자연적으로 복부에 힘을 주게 되어 허리나 복부보호를 위하여 폭이 넓은 벨트를 착용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는 만곡형의 곡면을 이루는 지지부(20)와 벨트걸이부(10)가 종단면상 "∩"자형으로 일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허리의 일부분인 옆구리부분에 지지부(20)가 접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0)는 만곡형 곡면을 이루고 있어 종단면상 상하단부가 사용자의 옆구리 외측으로 향하고 있어, 사용자가 옆구리를 좌우로 굽히거나 움직이는데 부딪김이 없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고 있는 지지부(20)와 "∩"자형으로 일체를 이루고 있는 벨트걸이부(10)에 사용자의 벨트(2)가 끼워진 상태에서 낚시대(1)를 걸이부재(30)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낚시대(1)의 후단부는 걸이부재(30)의 걸이지지부(34)에 위치하게 되면서 낚시대(1)는 걸이부재(30)의 받침부(32)에 얹어져 받쳐지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30)에 장착된 낚시대(1)는 그 선단부에 낚시줄에 갖춰진 일정 중량을 지닌 납덩어리와 미끼가 끼워진 낚시바늘이 물속에 잠겨있는 상태이고, 특히 걸이부재(30)가 벨트걸이부(10)의 전면에 사선방향으로 세워진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낚시대(1)의 무게중심은 선단에 치우쳐 있으므로, 걸이부재(30)의 받침부(32)에 낚시대(1)는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낚시대(1)의 후단부는 걸이부재(30)의 걸이지지부(34)에 걸려있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결과적으로 낚시대(1)는 걸이부재(30)의 사선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안정된 상대를 이루게 된다.
이때, 물고기가 입질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허리(옆구리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면접촉을 이루고 있는 지지부(20)를 통해 촉감이 오게 되어 사용자는 바로 낚시대(1)를 손으로 잡아 들어 올릴 수 있는데, 이것은 걸이부재(30)에 장착된 낚시대(1)의 앞부분은 받침부(32)에 얹어진 상태이고 낚시대(1)의 후단부는 걸이지지부(34)에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단순히 낚시대(1)를 들어 올리는 것으로 낚시대(1)는 걸이부재(30)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낚시대(1)를 들어 올려 낚아챈 물고기를 물밖으로 들어 올리는 일은 20cm내외의 작은 물고기일 경우에나 가능한 일이고, 30cm이상 물고기는 그 하중과 요동치는 물고기의 힘에 의해 물밖으로 들어 올리지 못하고 별도의 채비를 이용하여 수면에서 건저 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면가까이 까지 당겨진 물고기를 채비를 이용하여 건져 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함으로, 사용자는 낚시대(1)를 다시 걸이부재(30)에 장착하여 손을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채비를 들어 수면근방에 있는 낚인 물고기를 건져 올리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낚시대는 낚시대(1)의 선단부는 낚시대(1)의 자중과 낚인 물고기의 하중이 더해저 받침부(32)에 가해지게 되고, 상기 받침부(32)에 가해지는 하중과 비례하여 낚시대(1)의 후단부는 걸이지지부(34)를 밀어 올리는 힘이 발생하여 매우 안정된 상태로 낚시대(1)는 걸이부재(30)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고정홀더본체(100)의 벨트걸이부(10)에 설치되는 걸이부재(30)는 낚시대(1)의 후단부를 잡아주는 걸이지지부(34)의 위치가 단순히 낚시대(1)을 받쳐주고 있는 받침부(32)의 위치보다 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낚시대(1)를 받쳐주는 받침부(32)에 낚시대(1)의 하중이 집중해서 가해지게 됨으로 벨트(2)에 장착된 벨트걸이부(10)와 근접된 위치에 있어야 고정홀더본체(100)가 벨트(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며, 설령 과중한 하중으로 인하여 벨트(2)로부터 고정홀더본체(100)가 분리되려 할 경우에는 벨트걸이부재(10)의 하단부에 갖춰진 벨트이탈방지부(12)에 벨트(2)가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받침부(32)의 위치가 벨트걸이부(10)에 근접된 상태를 이루고 걸이지지부(34)가 벨트걸이부(10)로 부터 멀리 떨어저 있을 경우에 걸이지지부(34)는 보다 안정적으로 낚시대(1)를 걸린상태로 지지해 줄 수 있는게 이것은 생활속에 원리린 지레의법칙 즉 시소의원리와 같다.
여기서, 받침부(32)와 걸이지지부(3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려있는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걸이부재(30)에 장착되어 있는 낚시대(1)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손으로잡아 들어 올리면 분리가 되므로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손을 대고 있거나 손을 놓고 있더라도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사용자가 낚시대(1)를 낚아 챌수 있다.
100 - 고정홀더본체,
10 - 벨트걸이부,
12 - 벨트이탈방지부,
20 - 지지부,
30 - 걸이부재,
32 - 받침부, 34 - 걸이지지부,
1 - 낚시대 2 - 벨트.

Claims (3)

  1. 벨트(2)가 끼워지는 벨트걸이부(10)가 전면에 갖춰지고, 만곡형 곡면을 이루는 지지부(20)가 후면에 갖춰 고정홀더본체(100)를 이루되, 상기 벨트걸이부(10)의 전면에 사선방향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걸이부재(30)를 갖추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0)는 사선방향의 상부에 받침부(32)가 갖춰지고, 사선방향의 하부에는 걸이지지부(34)가 갖춰지되, 상기 고정홀더본체(100)를 중심으로 받침부(32)의 위치가 걸이지지부(34)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홀더본체(100)를 이루는 지지부(20)와 벨트걸이부(30)는 측면상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형을 이루며, 상기 벨트걸이부(1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벨트이탈방지부(12)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KR1020200135968A 2020-10-20 2020-10-20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KR20220052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68A KR20220052062A (ko) 2020-10-20 2020-10-20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68A KR20220052062A (ko) 2020-10-20 2020-10-20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62A true KR20220052062A (ko) 2022-04-27

Family

ID=8139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68A KR20220052062A (ko) 2020-10-20 2020-10-20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0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558A (ko) 1990-04-16 1991-11-30 전성원 고강도 주철제품의 제조방법
KR20010038072A (ko) 1999-10-21 2001-05-15 서준호 다중 흡착-탈착 반응조에 의해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방법, 이에 사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흡착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558A (ko) 1990-04-16 1991-11-30 전성원 고강도 주철제품의 제조방법
KR20010038072A (ko) 1999-10-21 2001-05-15 서준호 다중 흡착-탈착 반응조에 의해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방법, 이에 사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흡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891B2 (en) Instant response protective sinker and hook combination
WO2005110077A3 (en) Fishing lure for sinking presentation
USD536763S1 (en) Device for attaching fishing lure to line
US7478498B1 (en) Tangle free fishing bobber system
US20100205848A1 (en) Double fishing lure
US20110108596A1 (en) Back strain alleviating fishing pole harness
US2589007A (en) Artificial fish bait with weighted hook member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KR20220052062A (ko) 벨트걸이용 낚시대 고정홀더
US3006103A (en) Fishermen's sinkers capable of being used as lures or spinners
US2759290A (en) Fishing rig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US2884735A (en) Leader with releasable sinker
US4941279A (en) Fishing lure
USD559347S1 (en) Fishing pole with a scale to show the weight of a fish
KR200307669Y1 (ko) 낚싯대홀더
USD903045S1 (en) Fishing bait, weight, and hook holder
US1232804A (en) Bait.
US20140250948A1 (en) Counterweight for jewelry pendant
JP5913716B1 (ja) 複合テンヤ
US3076282A (en) Fishing lure
CN214414609U (zh) 防抖饭勺
CN104378977B (zh) 钓鱼装置
USD675285S1 (en) Fishing lure body and weed guar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