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257A -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 Google Patents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257A
KR20220051257A KR1020227010287A KR20227010287A KR20220051257A KR 20220051257 A KR20220051257 A KR 20220051257A KR 1020227010287 A KR1020227010287 A KR 1020227010287A KR 20227010287 A KR20227010287 A KR 20227010287A KR 20220051257 A KR20220051257 A KR 20220051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ook
training
rubber ball
detach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미츠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덴
Publication of KR2022005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12Tools or devices for blowing up or clos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한다.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와,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14)와,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20)와,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38)를 구비하고, 제1 걸이 부재(20)와 제2 걸이 부재(38)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운동, 미용, 요통 개선 등의 건강, 보행 장애 등의 재활, 운동부족의 해소, 손과 발, 다리와 허리, 인지증의 예방, 등근육, 가슴근육 등의 강화에 의한 스포츠 트레이닝, 보디 빌딩 등, 그 외의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이하, 단순히 '트레이닝'이라고 한다)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여러 가지 트레이닝을 행하기 위한 트레이닝 용구로서, 예를 들면 운동용 고무 밴드, 루프 밴드, 트레이닝 튜브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용구로는, 종래,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 부재를 이용한 이른바 '익스팬더(expander)'로서 고리 형상(루프 형상) 루프 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루프 밴드에서는 루프 밴드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를 준비해야만 하여, 코스트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루프 밴드를 선택하고 트레이닝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번잡하고 번거롭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7-18243호 공보)에서는,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임의의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 툴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34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레이닝 툴의 사시도이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레이닝 툴(100)은, 제1 신축성 부재(102)와, 제1 신축성 부재(102)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제2 신축성 부재(104)로 이루어지는 루프(106)가 접합부(108)를 통해 복수 개 연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좌우의 손을 루프(106)에 넣어 잡는 개소(위치)를 여러 가지로 바꿈으로써 트레이닝 툴(100)의 길이를 변경하여, 트레이닝 중에 가해지는 부하의 강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트레이닝 툴(100)에서는, 제1 신축성 부재(102)와, 제1 신축성 부재(102)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제2 신축성 부재(104)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루프(106)를, 미리 접합부(108)를 개재해 제조해야만 하여, 구성이 복잡해 코스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트레이닝하는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또한 운반 등의 면에서도 부담을 강요하게도 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트레이닝 툴(100)에서는, 예를 들면 좌우의 손을 루프(106)에 넣어 잡는 개소(위치)에 따라 양단 부분에 남는 부분이 생겨, 트레이닝의 방해가 되거나 주변이나 몸의 다른 부위에 걸리는 등 문제가 생길 우려도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를, 예를 들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하려면,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해야만 하여 불편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제6446654호 공보)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루프 밴드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했다.
도 35는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분해 상면도이고, 도 37은 도 35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8은 도 35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5∼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복수 개의,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고리 형상의 벨트 부재(12)(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벨트 부재(12)(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벨트 부재(12)(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5∼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걸이 부재(14)는 중간 걸이 부재(14)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1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14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부(14b)를 개재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된, 제1 걸림 바 부재(14c)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공(16a)에는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의 제1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걸림공(16b)에는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의 제2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슬릿(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3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1 걸림공(16a)에, 제1 슬릿(18a)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의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2 걸림공(16b)에, 제2 슬릿(18b)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의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와 제2 벨트 부재(12b))를 간단하고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5∼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이 부재(20)가 버클형의 버클형 걸이 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37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버클 본체(24), 및 버클 본체(24)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26)를 개재해, 도 3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개폐 가능한 버클 개폐 부재(28)를 구비하는 종래의 버클 구조이다.
또한,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형 걸이 부재(22)에는, 버클 본체(24)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 걸림부(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클 개폐 부재(28)의 하면에는, 이들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에 대응해, 복수 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와는 위치가 어긋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 걸림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버클 개폐 부재(28)를 닫았을 때, 도 37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버클형 걸이 부재(22) 내에 삽입 장착된 제2 걸이 부재(38)를 구성하는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가 이들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와 제2 돌출 걸림부(32a, 32b) 사이에 협지되어 단단히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길이 위치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스냅핏(snap-fit)형의 제1 걸이 부재(20)를 제안하고 있다.
즉, 도 44는,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스냅핏형의 암형(female type) 걸이 부재(50)와 수형(male type) 걸이 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걸이 부재(50)에는, 후술하는 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암형 결합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형 걸이 부재(56)에는, 수형 걸이 부재(56)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은, 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를 암형 걸이 부재(50)의 암형 결합공(5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예를 들면, 허벅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
즉, 도 38의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다리(D)를 밖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부하를 가하거나, 도 38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으로 고무공(C)을 압축함으로써 부하를 가하는 것에 의해, 다리 전체의 트레이닝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외에도, 특허 문헌 2의 도 7∼도 1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트레이닝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제6664719호 공보), 특허 문헌 4(국제 공개 WO2020/039667호 공보)에서, 특허 문헌 2를 더 개량해, 트레이닝 효과를 향상시킨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특허 문헌 4는, 특허 문헌 2와 특허 문헌 3의 내용을 합체한 것에 상당한다.
도 39는,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0은 제3 걸이 부재(1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1의 (A)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정면도이고, 도 41의 (B)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평면도이고, 도 41의 (C)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단면도이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는,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걸이 부재 본체(15)는,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15a), 및 평판부(15a)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부(15b, 15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1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 부재 본체(15)가 개폐 가능한 고리 형상이다. 즉, 측판부(15b, 15c)가 서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평판부(15a)에는, 예를 들면 도 4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부재(15e)가 마련되어 벨트 부재(12)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걸이 부재 본체(15)의 고리 형상이 된 부분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a, 12b)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부(15b, 15c)에 걸이구멍(1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는,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 연결부(17)는 걸이 부재 본체(15)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연결부(17)는 링형 걸이 부재로 되어 있고,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17a) 및 링 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연결부(17)의 벨트 부재측, 즉,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측에는,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삽입 결합 부재(19)가 구비되어 있다.
삽입 결합 부재(19)는 대략 링 형상이며, 그 단부에는 개폐부(19a)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또한 고정 가능한 고정 걸림 기구(21)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나비 나사(21a)에 의해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고정 걸림 기구(21)를 해제·고정하여 개폐부(19a)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개폐부(19a)를 통해 링 구멍(19b)을 개폐함으로써,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의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트레이닝용 벨트(10)와 병용해 사용하는 고무공 부재를 제안하고 있다.
즉, 도 42는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의 사시도이고, 도 43은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는, 주지의 형상의 고무공으로 구성되는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구비하고 있다.
고무공 부재 본체(82)에는, 주지의 구성인 공기 도입구(82a)가 형성되고, 공기 도입구(82a)와는 별도로 개폐공(82c)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공(82c)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 부재(82b)를 구비한다.
마개 부재(82b)에 의해 개폐공(82c)을 막음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도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공 부재(80)는,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84)를 구비한다. 또한, 풍선 부재(84)는 주지의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8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84)는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장착된 노즐 부재(8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 부재(88)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대략 돔(dome)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8)는 노즐 형상이 된 선단부(88c)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88c)에는 복수의 공기구멍(88d)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구멍(88d)과 개구부(88b)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가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공지의 볼용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팽창시킨다.
한편, 이 때, 마개 부재(82b)에 의해 개폐공(82c)을 막음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도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마개 부재(82b)를 열고, 개폐공(82c)에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를 소정의 위치(고무공 부재 본체(8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에 따라,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때,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사용해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사용하고,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한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탄성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대로, 풍선 부재 본체(86) 내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로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팽창함과 함께 풍선 부재 본체(86)가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 운동, 악력 강화 등의 여러 가지 운동, 훈련에 있어서,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거나 수축되므로, 운동의 기준이 되어 매우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7-1824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644665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제6664719호 공보 특허 문헌 4: 국제 공개 WO2020/03966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가, 버클 본체(24), 및 버클 본체(24)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26)를 개재해, 도 3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개폐 가능한 버클 개폐 부재(28)를 구비하는 종래의 버클 구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버클 구조인 버클형의 버클형 걸이 부재(22)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해 코스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버클형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에서는, 도 37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버클형 걸이 부재(22) 내에 제2 걸이 부재(38)를 구성하는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를 삽입 장착하고, 도 37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버클 개폐 부재(28)를 닫아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착탈의 조작이 번잡하고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스냅핏형 제1 걸이 부재(20)에서는,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할 때, 손가락이 수형 걸이 부재(56)의 선단측에 걸려 잘못하여 손가락이 끼이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스냅핏형 제1 걸이 부재(20)에서는,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가 당겨진 상태에서, 잘못하여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걸이 부재(13)의 구조가 복잡하다.
즉, 특허 문헌 3의 제3 걸이 부재(13)에서는, 벨트 연결부(17)의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17a)와 링 구멍(17b)과 같이 복잡한 구조, 또한, 삽입 결합 부재(19)의 개폐부(19a)와 고정 걸림 기구(21)로서의 나비 나사(21a)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여, 코스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고정 걸림 기구(21)를 해제·고정하여 개폐부(19a)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개폐부(19a)를 통해 링 구멍(19b)을 개폐함으로써,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작이 번잡하다.
또한,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15)의 구조가 복잡하다.
즉, 도 39∼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걸이 부재 본체(15)가 평판부(15a), 평판부(15a)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부(15b, 15c), 보호 부재(15e) 등의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해, 코스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측판부(15b, 15c)를 서로 개폐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a, 12b)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해야만 하여, 조작이 번잡하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와는 별도로,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을 마련해야만 하여, 공기 도입구(82a), 마개 부재(82b) 등 구성이 복잡해 코스트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
또한,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 범용성이 부족하게 된다.
한편,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에 맞추어, 풍선 부재(84)의 노즐 부재(88), 선단부(88c), 복수의 공기구멍(88d) 등을 마련해야만 하여, 구성이 복잡해 코스트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루프 밴드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을 이용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스냅핏형 제1 걸이 부재(20)와 같이,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할 때, 손가락이 수형 걸이 부재(56)의 선단측에 걸려 잘못하여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없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스냅핏형 제1 걸이 부재(20)와 같이,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가 당겨진 상태에서, 잘못하여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등의 문제가 없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제3 걸이 부재(13), 걸이 부재 본체(15)와 같이 복잡한 구성이 아니라,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와 같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와 별도로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을 사용하고, 또한, 노즐 부재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코스트도 저감 가능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부재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트레이닝용 벨트이며,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와,
상기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이 부재 본체가,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제1 벨트 삽입공과,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제2 벨트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 연결부가, 후크(hook)형 연결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 부재에는, 일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벨트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 연결 부재에는,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에, 상기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벨트 연결 부재에는,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을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벨트 결합공과,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을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에 의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벨트 연결부에 의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의 제1 벨트 삽입공에,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에,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분리하기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제3 걸이 부재(13), 걸이 부재 본체(15)와 같이 복잡한 구성이 아니라,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에 대해 2개 마련되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3 걸이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에 대해 2개 마련되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에 대해 2개 마련되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부를 각각 결속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3 걸이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에 대해 2개 마련되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부를 각각 결속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을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함과 함께, 제2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을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고,
상기 제2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을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함과 함께, 제2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을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벨트 결합공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이며,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의 확경부가 슬릿공의 협폭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벨트 결합공의 형상을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으로 하고,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에 확경부를 제작하고, 이 확경부를 슬릿공의 협폭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2 벨트 결합공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이며,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의 확경부가 슬릿공의 협폭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벨트 결합공의 형상을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으로 하고,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에 확경부를 제작하고, 이 확경부를 슬릿공의 협폭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이며,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협폭부에 상기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형상을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으로 하여,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협폭부에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협폭부에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할 수 있어,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전술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와 함께 이용하는 고무공 부재로서,
상기 고무공 부재가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상기 트레이닝용 벨트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한 고무공 부재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트레이닝용 벨트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무공 부재를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로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의 탄성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대로, 풍선 부재 본체 내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로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팽창함과 함께 풍선 부재 본체가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 운동, 악력 강화 등의 여러 가지 운동, 훈련에 있어서,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거나 수축되므로, 운동의 기준이 되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양쪽 다리 사이에 고무공 부재의 고무공 부재 본체를 끼우고 다리를 오므리는 운동을 할 때, 이 운동의 가압력으로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그리고, 운동을 정지해, 예를 들면 이번에는 다리를 벌리는 운동이나 쉬고 있는 동안에, 풍선 부재 본체의 압력에 의해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로 공기가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다시 팽창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무공 부재에 의한 연속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 부재의 선단부를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특허 문헌 3의 종래의 고무공 부재(80)와 같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와 별도로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을 사용하고, 또한, 노즐 부재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코스트도 저감 가능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노즐 장착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노즐 장착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노즐 부재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장착 부재의 선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수나사부와 노즐 장착 부재의 암나사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노즐 부재의 수나사부와 노즐 장착 부재의 암나사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노즐 부재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보다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끼리가 중간 걸이 부재를 개재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방 단부에 제1 걸이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방 단부에 제2 걸이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후크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제1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걸이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2 걸이 부재의 제2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걸이 부재의 후크형 걸이 부재의 후크 본체와 제2 걸이 부재의 후크 걸림공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이 부재의 후크형 걸이 부재의 후크 본체와 제2 걸이 부재의 후크 걸림공을 걸어 고정하는 것만으로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스냅핏형 제1 걸이 부재(20)와 같이,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할 때, 손가락이 수형 걸이 부재(56)의 선단측에 걸려 잘못하여 손가락이 끼이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스냅핏형 제1 걸이 부재(20)와 같이,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가 당겨진 상태에서, 잘못하여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에 의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벨트 연결부에 의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의 제1 벨트 삽입공에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슬릿을 통해,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에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분리하기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제3 걸이 부재(13), 걸이 부재 본체(15)와 같이 복잡한 구성이 아니고,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공 부재를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로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의 탄성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대로, 풍선 부재 본체 내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로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팽창함과 함께 풍선 부재 본체가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 운동, 악력 강화 등의 여러 가지 운동, 훈련에 있어서,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거나 수축되므로, 운동의 기준이 되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양쪽 다리 사이에 고무공 부재의 고무공 부재 본체를 끼우고 다리를 오므리는 운동을 할 때, 이 운동의 가압력으로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그리고, 운동을 정지해, 예를 들면 이번에는 다리를 벌리는 운동이나 쉬고 있는 동안에, 풍선 부재 본체의 압력에 의해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로 공기가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다시 팽창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무공 부재에 의한 연속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 부재의 선단부를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와 같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와 별도로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을 사용하고, 또한, 노즐 부재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코스트도 저감 가능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분해 상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후크형 걸이 부재(22a)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걸이 부재(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정면도이고, 도 14의 (B)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부(17)의 연결 부재(19)를 도 17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풍선 부재(84)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풍선 부재(84)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부(17)의 연결 부재(19)를 도 17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를 도 17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레이닝 툴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분해 상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5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제3 걸이 부재(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의 (A)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정면도이고, 도 41의 (B)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평면도이고, 도 41의 (C)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특허 문헌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4는, 특허 문헌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분해 상면도이고, 도 3의 (A)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후크형 걸이 부재(22a)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B)는 (A)의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부분 상면도이고, (C)는 제1 걸이 부재(20)의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후크 본체(24a)와 제2 걸이 부재(30)의 후크 걸림공(32)을 걸어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5∼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은 전체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운동, 미용, 요통 개선 등의 건강, 보행 장애 등의 재활, 운동부족의 해소, 손과 발, 다리와 허리, 인지증의 예방, 등근육, 가슴근육 등의 강화에 의한 스포츠 트레이닝, 보디 빌딩 등, 그 외의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10)이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고리 형상의 벨트 부재(12)(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의 길이(원둘레), 개수 등은, 예를 들면 트레이닝 하는 부위, 트레이닝 방법, 피트레이닝자의 체격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벨트 부재(12)를, 예를 들면 이중, 삼중으로 하는 등 그 강도를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부하가 서로 다른 벨트 부재(12)를 복수 종류 겹쳐, 운동의 부하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벨트 부재(12)(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걸이 부재(14)는 중간 걸이 부재(14)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1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14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부(14b)를 개재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된, 제1 걸림 바 부재(14c)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공(16a)에는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인 제1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걸림공(16b)에는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인 제2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슬릿(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1 걸림공(16a)에, 제1 슬릿(18a)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인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2 걸림공(16b)에, 제2 슬릿(18b)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인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와 제2 벨트 부재(12b))를 간단하고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12)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12))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후크형 걸이 부재(22a)로 구성되어 있다.
후크형 걸이 부재(22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형 걸이 부재(22a)는 일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 본체(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벨트 부재(12a)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26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결합 부재(26a)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26b)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28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26a)의 슬릿(26b)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26a)의 제1 벨트 결합공(28a)에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걸이 부재(30)의 일단부에는,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후크 본체(24a)가 걸리는 후크 걸림공(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걸이 부재(30)에는,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걸이 부재(30)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2 걸이 부재(30)의 슬릿(34a)을 통해, 제2 걸이 부재(30)의 제2 벨트 결합공(34b)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걸이 부재(20)의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후크 본체(24a)와 제2 걸이 부재(30)의 후크 걸림공(32)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 의하면,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끼리를, 중간 걸이 부재(14)를 개재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게 되어 있다.
즉,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1 걸림공(16a)에, 제1 슬릿(18a)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의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2 걸림공(16b)에, 제2 슬릿(18b)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의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를 간단하고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제1 걸이 부재(2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에 제2 걸이 부재(3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이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26a)의 슬릿(26b)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26a)의 제1 벨트 결합공(28a)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걸이 부재(30)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걸이 부재(30)의 슬릿(34a)을 통해, 제2 걸이 부재(30)의 제2 벨트 결합공(34b)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걸이 부재(20)인 후크형 걸이 부재(22a)와 제2 걸이 부재(30)를, 도 3의 (A) 및 (B)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의 (C) 참조).
즉, 제1 걸이 부재(20)의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후크 본체(24a)와 제2 걸이 부재(30)의 후크 걸림공(32)을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12)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12))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이 부재(20)의 후크형 걸이 부재(22a)의 후크 본체(24a)와 제2 걸이 부재(30)의 후크 걸림공(32)을 걸어 고정하는 것만으로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예를 들면, 허벅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
즉, 도 4의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양쪽 다리(D)를 밖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부하를 가하거나, 도 4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으로 고무공(C)을 압축함으로써 부하를 가하는 것에 의해, 다리 전체의 트레이닝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외에도, 도 5∼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은 트레이닝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닝 방법으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전혀 아니고, 여러 가지 트레이닝 방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상완 셰이프', 즉, 한쪽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일단을 발로 밟고, 팔꿈치를 받침점으로 하여 팔을 후방으로 들어 올려 뻗고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복부 둘레 셰이프', 즉, 한쪽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일단을 발로 밟고, 상반신을 횡방향으로 기울여 늘린 다음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의자를 이용한 족부 셰이프', 즉,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굽히고, 한쪽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일단을 발바닥쪽에 걸고 밀었다가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족부 셰이프', 즉,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양쪽 다리에 트레이닝용 벨트(10)를 걸고, 늘린 후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닝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시에 의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와 같은 트레이닝 외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팔과 다리 사이에 걸치고 실시하는 트레이닝,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양쪽 다리의 장딴지, 발목 등에 걸치고 실시하는 트레이닝 등, 그 외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사용 가능하며, 트레이닝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 외, 스포츠 단체나, 각종 단체(클럽 활동 등)의 이동용 버스 내에서의 트레이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걸이 부재(1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의 (A)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정면도이고, (B)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1에 나타낸 실시예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2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계 4개)의 제3 걸이 부재(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2∼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는,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걸이 부재 본체(15)에는, 도 12∼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제1 벨트 삽입공(15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벨트 삽입공(15f)의 상부에는,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대략 타원 형상의 제2 벨트 삽입공(15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는,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벨트 연결부(17)는, 걸이 부재 본체(15)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연결부(17)는 후크형 연결 부재로 되어 있고, 일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 본체(1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연결부(17)의 벨트 부재측, 즉,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측에는, 벨트 부재(12e)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벨트 연결 부재(19c)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벨트 연결 부재(19c)에는,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벨트 결합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에,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를 걸어 고정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걸이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15)에 의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15)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벨트 연결부(17)에 의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1 벨트 삽입공(15f)에,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19c)의 벨트 결합공(21b)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에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분리하기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제3 걸이 부재(13), 걸이 부재 본체(15)와 같이 복잡한 구성이 아니고,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는, 제3 걸이 부재(13)가 하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에 대해 2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 부재(19c)의 벨트 결합공(21b)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가 각각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3 걸이 부재(13)가 하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에 대해 2개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 부재(19c)의 벨트 결합공(21b)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각각 걸어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가 하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에 대해 2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 부재(19c)의 벨트 결합공(21b)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가 각각 결속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결속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을 묶듯이 결속하는 것 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 12g)를 벨트 연결 부재(19c)의 벨트 결합공(21b)에 삽입하고 되감아 용착, 접착, 봉합 등에 의해 결속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3 걸이 부재(13)가 하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에 대해 2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 부재(19c)의 벨트 결합공(21b)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각각 결속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2∼도 15에 나타낸 실시예 2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벨트 연결부(17)의 벨트 연결 부재(19c)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벨트 결합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연결부(17)의 연결 부재(19)에는,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벨트 결합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벨트 결합공(23)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함과 함께, 제2 벨트 결합공(25)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g)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벨트 결합공(23)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가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벨트 결합공(25)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가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벨트 결합공(23)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함과 함께, 제2 벨트 결합공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를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결속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을 묶듯이 결속하는 것 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벨트 연결 부재(19c)의 제1 벨트 결합공(23), 제2 벨트 결합공(25)에 삽입하고 되감아 용착, 접착, 봉합 등에 의해 결속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2 벨트 결합공(25)의 형상이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열쇠구멍 형상의 협폭부(25a)와 광폭부(25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가, 슬릿공의 협폭부(25a)의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벨트 결합공(25)의 형상이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협폭부(25a)와 광폭부(25b)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에 확경부(27a)를 제작하고, 이 확경부(27a)를 제2 벨트 결합공(25)에 광폭부(25b)로부터 삽입하여, 제2 벨트 결합공(25)의 슬릿공의 협폭부(25a)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확경부(27a)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끈을 묶듯이 제작한 매듭, 다른 부재로 구성되는 확경 부재를,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에 고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는, 제1 벨트 삽입공(15f)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부(15b, 15c), 및 이들 측판부(15b, 15c)와 접합된 걸림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측판부(15b, 15c)와 걸림부(11b)로 둘러싸인 부분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제2 벨트 삽입공(15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에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를 걸어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벨트 결합공(23)의 타원 형상을 작게 하여, 제1 벨트 결합공(23) 주위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에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를 걸어 고정했을 때, 제2 벨트 삽입공(15g)의 나머지 공간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하여, 후크 본체(17c)가 제2 벨트 삽입공(15g)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1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부(17)의 연결 부재(19)를 도 17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벨트 결합공(23)과 제2 벨트 결합공(25)이 벨트 연결부(17)의 대략 평판 형상의 연결 부재(19)의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벨트 연결부(17)의 대략 평판 형상의 연결 부재(19)의 일부분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 본체(17c)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부(27)에 제2 벨트 결합공(25)이 형성되고, 제2 벨트 결합공(25)의 형상이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협폭부(25a)와 광폭부(25b)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벨트 결합공(25)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협폭부(25a)와 광폭부(25b)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에 확경부(27a)를 제작하고, 이 확경부(27a)를 제2 벨트 결합공(25)에 광폭부(25b)로부터 삽입하여, 제2 벨트 결합공(25)의 슬릿공의 협폭부(25a)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것이 보다 간단해진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연결부(17)의 기단부에 확대 구형부(17d)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제1 벨트 결합공(23)에 삽입하고, 예를 들면 결속하는 등으로 걸어 고정하는 것이 보다 강고하게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5)
도 19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8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는, 주지의 형상의 고무공으로 구성되는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구비하고 있다.
고무공 부재 본체(82)에는, 주지의 구성인 공기 도입구(8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공 부재(80)는,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84)를 구비한다. 또한, 풍선 부재(84)는 주지의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8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84)는,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장착된 노즐 부재(88)를 구비한다.
그리고,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대략 돔(dome)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8)는 노즐 형상이 된 선단부(88c)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88c)에는 복수의 공기구멍(88d)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구멍(88d)과 개구부(88b)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가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공지의 볼용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팽창시킨다.
그 후,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에,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를 소정의 위치(고무공 부재 본체(8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에 따라,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때,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사용해도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한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탄성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대로, 풍선 부재 본체(86) 내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로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팽창함과 함께 풍선 부재 본체(86)가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 운동, 악력 강화 등의 여러 가지 운동, 훈련에 있어서,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거나 수축되므로, 운동의 기준이 되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양쪽 다리 사이에 고무공 부재(80)의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끼우고 다리를 오므리는 운동을 할 때, 이 운동의 가압력으로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한다.
그리고, 운동을 정지해, 예를 들면 이번에는 다리를 벌리는 운동이나 쉬고 있는 동안에, 풍선 부재 본체(86)의 압력에 의해,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로 공기가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다시 팽창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무공 부재(80)에 의한 연속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를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특허 문헌 3의 고무공 부재(80)와 같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와 별도로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또한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을 사용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21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풍선 부재(84)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실시예 5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노즐 부재(88)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 고무공 부재(80)는, 풍선 부재(84)의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노즐 부재(88)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노즐 장착 부재(81)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풍선 부재(84)의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노즐 부재(88)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노즐 장착 부재(81)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노즐 부재(88)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 및 고무공 부재(8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와 반대측의 선단부에는 수나사부(83)가 형성되고, 노즐 장착 부재(81)의 기단부에는 암나사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 부재(88)의 수나사부(83)와 노즐 장착 부재(81)의 암나사부(85)를 결합함으로써, 풍선 부재(84)의 풍선 부재 본체(86)에 노즐 부재(88)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선 부재(84)의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는, 노즐 장착 부재(81)에 탈착 가능하게 풍선 부재 본체(86)를 장착한다, 예를 들면, 링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고정 부재(86b)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노즐 부재(88)의 수나사부(83)와 노즐 장착 부재(81)의 암나사부(85)를 결합함으로써, 풍선 부재(84)의 풍선 부재 본체(86)에, 노즐 부재(88)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노즐 부재(88)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사용할 수 있어, 조작이 보다 간단하고 범용성이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 및 고무공 부재(8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6∼도 20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합계 2개의 제3 걸이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제3 걸이 부재(13)로서,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 3의 벨트 연결부(17)와 걸이 부재 본체(15)를 이용하고 있다.
즉,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벨트 연결부(17)의 벨트 연결 부재(19c)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12g))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벨트 결합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연결부(17)의 연결 부재(19)에는,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벨트 결합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벨트 결합공(23)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일단부(12f)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함과 함께, 제2 벨트 결합공(25)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g)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2 벨트 결합공(25)의 형상이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협폭부(25a)와 광폭부(25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가 슬릿공의 협폭부(25a)의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예를 들면 확경부(27a)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부재(12)가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 제3 벨트 부재(12h)의 총 3개의 벨트 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3개의 중간 걸이 부재(14)가 구비되고, 이들 3개의 중간 걸이 부재(14)에 의해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 제3 벨트 부재(12h)가 연결되어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벨트 부재(12h)가 되감겨져 중앙에 배치된 중간 걸이 부재(14)에 결속되어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84)의 공기구(86a)에 장착된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후술하는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로부터 풍선 부재 본체(86)의 내부를 향해 그 직경이 확대되는 역원뿔 형상이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풍선 부재(84)의 공기구(86a)로부터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16∼도 20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8)
도 2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5∼도 22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걸이 부재(50)에는, 후술하는 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암형 결합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형 걸이 부재(56)에는, 수형 걸이 부재(56)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은 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암형 걸이 부재(50)에서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이 암형 걸이 부재(50)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를 암형 걸이 부재(50)의 암형 결합공(5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할 때, 손가락이 수형 걸이 부재(56)의 선단측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한 스토퍼부(51)가 수형 걸이 부재(56)의 바깥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형 걸이 부재(56)의 스토퍼부(51)에 의해,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할 때, 손가락이 수형 걸이 부재(56)의 선단측에 걸리지 않아, 잘못하여 손가락이 끼이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가 당겨진 상태에서는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고정 상태를 해제하지 못하고,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방지 부재(53)가 수형 걸이 부재(56)의 바깥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가 당겨진 상태에서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9)
도 24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풍선 부재(84)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21에 나타낸 실시예 6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는,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 전체가 풍선 부재(84)의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로부터 풍선 부재 본체(86)의 내부를 향해 그 직경이 확대되는 역원뿔 형상이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도, 노즐 부재(88)로서 시판·범용의 고무공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주입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2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부(17)에서, 제1 벨트 결합공(23)의 형상도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열쇠구멍 형상의 협폭부(23a)와 광폭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가, 슬릿공의 협폭부(23a)의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에 확경부(27b)를 제작하고, 이 확경부(27a)를 제1 벨트 결합공(23)에 광폭부(23b)로부터 삽입하여, 제1 벨트 결합공(23)의 슬릿공의 협폭부(23a)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2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부(17)의 연결 부재(19)를 도 17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 4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벨트 연결부(17)의 대략 평판 형상의 연결 부재(19)의 일부분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 본체(17c)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굴곡부(27)에 제2 벨트 결합공(25)이 형성되고, 제2 벨트 결합공(25)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협폭부(25a)와 광폭부(25b)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벨트 결합공(25)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협폭부(25a)와 광폭부(25b)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 3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벨트 연결부(17)에서 제1 벨트 결합공(23)의 형상도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열쇠구멍 형상의 협폭부(23a)와 광폭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가, 슬릿공의 협폭부(23a)의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의 타단부(12f(12g))에 확경부(27b)를 제작하고, 이 확경부(27b)를 제1 벨트 결합공(23)에 광폭부(23b)로부터 삽입하여, 제1 벨트 결합공(23)의 슬릿공의 협폭부(23a)에 탈착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고 쉽게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28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3 걸이 부재(13)의 다른 실시예를 도 17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실시예 1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의 형상이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열쇠구멍 형상의 협폭부(15h)와 광폭부(15i)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의 협폭부(15h)에,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를 걸어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의 형상이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열쇠구멍 형상의 협폭부(15h)와 광폭부(15i)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협폭부, 즉,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제2 벨트 삽입공(15g)의 협폭부(15h)에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 연결부(17)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17c)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에,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12e)를 보다 강고하게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 13)
도 29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5∼도 28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버클형의 걸이 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버클형 걸이 부재(22)로는, 의복의 벨트에 이용되는 종래 공지의 버클형 걸이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30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버클 본체(24) 및 버클 본체(24)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26)를 개재해, 도 3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개폐 가능한 버클 개폐 부재(28)를 구비하는 종래의 버클 구조이다.
또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형 걸이 부재(22)에는, 버클 본체(24)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 걸림부(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클 개폐 부재(28)의 하면에는, 이들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에 대응해, 복수 개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와는 위치가 어긋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 걸림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버클 개폐 부재(28)를 닫았을 때, 도 30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버클형 걸이 부재(22) 내에 삽입 장착된 후술하는 제2 걸이 부재(38)를 구성하는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가 이들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와 제2 돌출 걸림부(32a, 32b) 사이에 협지되어 단단히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길이 위치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해, 도 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4)
도 3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5∼도 28에 나타낸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14와 마찬가지로, 버클형 걸이 부재(22)로서, 버클 개폐 부재(28)의 단부에 돌출 걸림부(28a)만을 마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해, 도 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5)
도 3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5∼도 22에 나타낸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30의 실시예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제1 돌출 걸림부(30a, 30b), 제2 돌출 걸림부(32a, 32b)를 마련하는 대신에,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 개폐 부재(28)의 단부에 돌출 걸림부(28a)만을 마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버클 개폐 부재(28)을 닫았을 때, 도 3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버클형 걸이 부재(22) 내에 삽입 장착된 제2 걸이 부재(38)를 구성하는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가 버클 개폐 부재(28)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28a)와 버클 본체(24) 사이에 협지되어 단단히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길이 위치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 고무공 부재(80)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운동, 미용, 요통 개선 등의 건강, 보행 장애 등의 재활, 운동부족의 해소, 손과 발, 다리와 허리, 인지증의 예방, 등근육, 가슴근육 등의 강화에 의한 스포츠 트레이닝, 보디 빌딩 등, 그 외의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10: 트레이닝용 벨트
11b: 걸림부
12: 벨트 부재
12a: 제1 벨트 부재
12b: 제2 벨트 부재
12c: 일단부
12d: 타단부
12e: 벨트 부재
12f, 12g: 단부
12h: 제3 벨트 부재
13: 제3 걸이 부재
14: 중간 걸이 부재
14a: 걸림 바 본체
14b: 연장부
14c: 제1 걸림 바 부재
14d: 제2 걸림 바 부재
15: 걸이 부재 본체
15a: 평판부
15b, 15c: 측판부
15d: 걸이구멍
15e: 보호 부재
15f: 제1 벨트 삽입공
15g: 제2 벨트 삽입공
15h: 협폭부
15i: 광폭부
16a: 제1 걸림공
16b: 제2 걸림공
17: 벨트 연결부
17a: 개폐 부재
17b: 링 구멍
17c: 후크 본체
17d: 확대 구형부
18a: 제1 슬릿
18b: 제2 슬릿
19: 삽입 결합 부재
19a: 개폐부
19b: 링 구멍
19c: 벨트 연결 부재
20: 제1 걸이 부재
21: 고정 걸림 기구
21a: 나비 나사
21b: 벨트 결합공
22: 버클형 걸이 부재
22a: 후크형 걸이 부재
23: 제1 벨트 결합공
23a: 협폭부
23b: 광폭부
24: 버클 본체
24a: 후크 본체
25: 제2 벨트 결합공
25a: 협폭부
25b: 광폭부
26: 힌지
26a: 제1 삽입 결합 부재
26b: 슬릿
27: 굴곡부
27a, 27b: 확경부
28: 버클 개폐 부재
28a: 제1 벨트 결합공
30: 제2 걸이 부재
30a, 30b: 제1 돌출 걸림부
32: 후크 걸림공
32a, 32b: 제2 돌출 걸림부
34: 제1 삽입 결합 부재
34a: 슬릿
34b: 제2 벨트 결합공
36: 제1 벨트 결합공
38: 제2 걸이 부재
40: 벨트형 걸이 부재
42a: 슬릿
42: 제2 삽입 결합 부재
50: 암형 걸이 부재
50a: 암형 결합공
51: 스토퍼부
53: 해제 방지 부재
56: 수형 걸이 부재
56a: 수형 결합부
80: 고무공 부재
81: 노즐 장착 부재
82: 고무공 부재 본체
82a: 공기 도입구
82b: 마개 부재
82c: 개폐공
83: 수나사부
84: 풍선 부재
85: 암나사부
86: 풍선 부재 본체
86a: 공기구
86b: 풍선 고정 부재
88: 노즐 부재
88a: 기단부
88b: 개구부
88c: 선단부
88d: 공기구멍
100: 트레이닝 툴
102: 제1 신축성 부재
104: 제2 신축성 부재
106: 루프
108: 접합부
A, B: 화살표
D: 양쪽 다리
E, F: 화살표

Claims (13)

  1.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트레이닝용 벨트이며,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와,
    상기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벨트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이 부재 본체가,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제1 벨트 삽입공과,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제2 벨트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 연결부가, 후크형 연결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 부재에는, 일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형 연결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벨트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 연결 부재에는,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에, 상기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벨트 연결 부재에는,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을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벨트 결합공과,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을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에 대해 2개 마련되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부를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하나의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에 대해 2개 마련되고,
    각각의 제3 걸이 부재의 벨트 연결 부재의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부를 각각 결속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고,
    상기 제2 벨트 결합공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결합공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이며,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의 확경부가 슬릿공의 협폭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결합공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이며,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의 타단의 확경부가 슬릿공의 협폭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형상은 폭이 상이한 슬릿공 형상이며,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걸이 부재 본체의 제2 벨트 삽입공의 협폭부에 상기 벨트 연결부의 후크형 연결 부재의 후크 본체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상기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다른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와 함께 이용하는 고무공 부재로서,
    상기 고무공 부재가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상기 트레이닝용 벨트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노즐 장착 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장착 부재의 선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수나사부와 노즐 장착 부재의 암나사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1.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한 고무공 부재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트레이닝용 벨트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노즐 장착 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장착 부재의 선단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수나사부와 노즐 장착 부재의 암나사부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에 노즐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KR1020227010287A 2020-04-23 2021-04-05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KR20220051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6911 2020-04-23
JP2020076911A JP6820576B1 (ja) 2020-04-23 2020-04-23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PCT/JP2021/014489 WO2021215231A1 (ja) 2020-04-23 2021-04-05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257A true KR20220051257A (ko) 2022-04-26

Family

ID=7420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287A KR20220051257A (ko) 2020-04-23 2021-04-05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20576B1 (ko)
KR (1) KR20220051257A (ko)
CN (1) CN114144234A (ko)
TW (1) TWI748910B (ko)
WO (1) WO2021215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6438B1 (ja) * 2021-09-08 2022-06-20 株式会社英電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
JP7033358B1 (ja) 2021-09-08 2022-03-10 株式会社英電 トレーニング用ゴムまり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6654B2 (ko) 1984-02-17 1989-10-09 Nakajima Kogyo Kk
JPH0364719B2 (ko) 1986-07-14 1991-10-08 Hitachi Ltd
JP2017018243A (ja)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アルカ トレーニングツール
WO2020039667A1 (ja) 2018-08-22 2020-02-27 株式会社英電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2280B2 (ja) * 2002-11-28 2007-06-20 藤倉航装株式会社 バンド金具
US20060218761A1 (en) * 2005-04-04 2006-10-05 Joseph Anscher Buckle with strap securing bar
JP2010213759A (ja) * 2009-03-13 2010-09-30 Arusa Kikaku:Kk ゴルフ練習具
CN106267729B (zh) * 2016-09-26 2018-05-11 王厚坤 一种书法肌骨训练手带及其使用方法
US10150023B1 (en) * 2018-01-25 2018-12-11 James Cheng Wah Loh Sport skill training apparatus
JP6664719B1 (ja) * 2019-05-09 2020-03-13 株式会社英電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TWM586620U (zh) * 2019-08-21 2019-11-21 吳盈慶 彈力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6654B2 (ko) 1984-02-17 1989-10-09 Nakajima Kogyo Kk
JPH0364719B2 (ko) 1986-07-14 1991-10-08 Hitachi Ltd
JP2017018243A (ja)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アルカ トレーニングツール
WO2020039667A1 (ja) 2018-08-22 2020-02-27 株式会社英電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44234A (zh) 2022-03-04
TW202140108A (zh) 2021-11-01
JP6820576B1 (ja) 2021-01-27
WO2021215231A1 (ja) 2021-10-28
JP2021171267A (ja) 2021-11-01
TWI748910B (zh)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177B2 (en) Stretching device
US6923750B1 (en) Multiply slotted exercise handgrip
US7608026B1 (en) Device for strengthening, training, and rehabilitating isolated muscle groups us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s
KR20220051257A (ko)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CN101815560B (zh) 用于锻炼设备的组合锚固件
US9272178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US20130178345A1 (en) Exerciser with Easy-to-Adjust Inelastic Straps
US20220296951A1 (en) Fitness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180153758A1 (en) Stretching Device
EP3226817B1 (en) Traction splints
KR102199781B1 (ko)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US20180055710A1 (en) Flexible Ankle-Based Inversion Device
US10857408B2 (en) Body roller sleeve
JP6664719B1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US552971A (en) Appabatus
US20230201648A1 (en) Body stretch pose assisting strap and related method
US20020137608A1 (en) Leg exercising apparatus
KR200460697Y1 (ko) 근력강화기구
SK9316Y1 (sk) Tréningová pomôcka na prenos záťaže do segmentov muskuloskeletálneho systému
JP7033358B1 (ja) トレーニング用ゴムまり部材
KR102627759B1 (ko) 탄성체를 구비하는 운동 기구
JP6461417B1 (ja) 運動具
KR200485905Y1 (ko) 줄넘기
US20180229068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JP2023039389A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