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508A -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0508A KR20220050508A KR1020200134261A KR20200134261A KR20220050508A KR 20220050508 A KR20220050508 A KR 20220050508A KR 1020200134261 A KR1020200134261 A KR 1020200134261A KR 20200134261 A KR20200134261 A KR 20200134261A KR 20220050508 A KR20220050508 A KR 202200505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losing
- inner box
- automatic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6071 Rhi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101 Rhi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래크-피니언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개폐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를 도모하고, 본체에 내장된 내부함을 도어 개폐와 동시에 자동으로 인출시켜 사용자가 본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 도어의 일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도어를 지지하면서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 도어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함과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내부함에 수용된 물건이 이탈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함과 동시에 내부함을 본체 외부로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 인입시키는 도어/내부함 이동부를 마련하여,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함과 동시에 내부함을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크-피니언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개폐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를 도모하고,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내부함을 도어 개폐와 동시에 자동으로 인출시켜 사용자가 본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나 택배 함 등과 같이 도어를 구비하고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함체는, 함체 내부에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함체 내부에 물건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직접 열어야 하고, 수용할 물건을 함체 내부에 수용한 후 도어를 수동으로 닫는다.
이와 같이 도어가 있는 함체에 물건을 수용하거나 수용된 물건을 인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도어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근래의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대유행으로, 전 세계가 방역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특히,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은 기본적으로 비말감염으로 전파된다고 알려졌다. 비말감염은 감염된 사람의 침이나 콧물 등이 다른 사람의 코나 입으로 들어가며 감염되는 방식이다.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비말감염으로도 감염이 이루어지고, 감염된 사람의 침이나 콧물 등이 물건에 묻은 후 타인이 해당 물건을 만지는 과정에서 감염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타인이 건네주는 물건을 직접 받는 것 또한 COVID-19 감염 우려로 거리낌이 있어, 물건 배송 업체나 음식 배달 업체 등은 가능한 수신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의 수동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다.
<특허문헌 1> 은 상하부에 각각 횡 방향으로 제1가이드레일 결합체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부, 슬라이딩 도어 전면 또는 후면의 상하단에 각각 제2가이드레일 결합체가 상기 제1가이드레일 결합체와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도록 고정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부, 상기 제1가이드레일 결합체 및 제2가이드레일 결합체와 가이드결합 및 기어물림되어 있어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1가이드레일 결합체 및 제2가이드레일 결합체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를 함께 연동시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 이동식구동부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은 슬라이딩 도어가 슬라이딩 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는 있으나, 슬라이딩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이므로 슬라이딩 공간이 필요하여, 공간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물건을 수용하는 함체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래크-피니언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개폐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를 도모하고,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내부함을 도어 개폐와 동시에 자동으로 인출시켜 사용자가 본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 시 도어가 본체에 인입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 시 본체 이외에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공간을 제거하여, 본체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는,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지지하면서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
상기 도어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물품 감지부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이 인출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지바는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좌우측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별도로 구비된 도어 개방/폐쇄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물품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물품이 유무를 감지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내장되어 무게 감지를 통해 물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는 초음파의 도달 시간을 기초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물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어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도어의 끝단에 형성된 직선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이송시키는 래크;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으로 상기 래크를 직선 운동시키는 피니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지지하면서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
상기 도어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며,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내부함;
상기 내부함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물품 감지부에 의해 상기 내부함에 수용된 물건이 이탈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함을 본체 외부로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 인입시키는 도어/내부함 이동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지지바는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좌우측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별도로 구비된 도어 개방/폐쇄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물품 감지부는 상기 내부함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함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유무를 무게로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어/내부함 이동부는 상기 모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중심으로 양단에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상기 도어와 내부함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한 쌍의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크-피니언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개폐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내부함을 도어 개폐와 동시에 자동으로 인출시켜 사용자가 본체의 내부에 내장된 물품의 인출 시 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시 도어가 본체에 인입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 시 본체 이외에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공간을 제거하여, 본체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가 적용된 제품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된 제품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된 제품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가 적용된 제품(1)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품(1)은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공간이 있으며, 도어가 개폐되는 모든 형태의 제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포장용 박스나 무인 택배 함, 주차장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품(1)을 무인 택배 함이라고 가정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는,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101), 상기 도어(101)의 일단과 링크(103)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101)를 지지하면서 도어(101)의 개폐 시 상기 도어(101)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101)는 스윙 바를 내장하거나 스윙 바 기능을 하는 도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바(102)는 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10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좌우측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제품(1)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본체(10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지지바(10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품(10의 사이즈가 클 경우에는 본체(100)의 좌우측면에 모두 지지바를 설치하여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도어(101)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0)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부(110)는 본체(100)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구비된 도어 개방/폐쇄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10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감지부(108)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물품이 유무를 감지하는 카메라부를 이용하거나,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내장되어 무게 감지를 통해 물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이용하거나,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는 초음파의 도달 시간을 기초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언급된 물품 감지 장치 이외에 본체(100)의 내부의 물품 수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장치를 이용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잔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물품 감지부(108)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이 인출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07)가 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06), 상기 모터 구동부(106)에 포함된 모터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도어(10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개폐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부(105)는 일단이 상기 도어(101)의 끝단에 형성된 직선축(104)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101)를 이송시키는 래크(105a),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으로 상기 래크(105a)를 직선 운동시키는 피니언(10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1 실시 예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인 택배 함인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어(101)가 닫혔다고 가정을 한다. 닫힌 도어(101)를 열고 물건을 본체 내부의 공간에 수용한 후, 도어(101)를 닫는 동작은 결과적으로 본체(100)의 내부에 물품을 수용한 후 도어(101)를 닫은 상태에서, 다시 물건을 인출하기 위해서 도어(101)를 개방하는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하나의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무인 택배 함의 본체(100)에 물품을 내장된 상태에서, 결제 등이 이루어지거나 사용자로 등록을 하면, 사용자가 무인 택배 함의 도어(101)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
여기서, 무인 택배 함의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어 열림 버튼 또는 도어 열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도어 열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무인 택배 함을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도어 열림 버튼이나 도어 닫힘 버튼을 이용하면, 남의 택배 함에 보관된 물품의 도난이 쉬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재가 이루어지거나 사용 등록이 이루어진 사용자만이 무인 택배 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결재자나 사용 등록자에게만 도어 개폐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어 개폐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 개발(열림) 명령을 발신한다.
단말기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발신되면, 수신부(110)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여기서 도어 개방 및 폐쇄 신호의 송수신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와 수신부(110) 간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와 수신부(110) 간에 도어 개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알려진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07)는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모터 구동부(106)에 도어 개방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동작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터가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을 정방향, 모터가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명명한다. 모터는 정방향 및 역방향 동작이 가능한 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각각의 부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내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전원 공급부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거나, 태양전지 셀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부(106)는 제어부(107)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내장된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모터 개폐부(105) 내의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105a)이 정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여기서 피니언(105a)의 정방향은 도어(101)를 개방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피니언(105a)이 정방향으로 동작을 하면, 그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을 하는 래크(105b)가 이동을 한다. 이때, 래크(105b)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축(104)에 결합된 도어가(101)가 상기 래크(105b)의 이동량에 비례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승을 하여, 닫힌 도어(101)의 개방이 시작되며, 동시에 본체(100)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109)에 도어(101)를 인입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101)의 일부에는 링크(103)로 지지바(1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01)가 회전을 하면서 상승을 하면, 그와 동시에 링크(103)에 연결된 지지바(102)도 상승을 시작한다.
즉, 상기 도어(101)의 일단과 링크(103)로 결합된 지지바(102)는 상기 도어(101)를 지지하면서 도어(101)의 개폐 시 상기 도어(101)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103)는 상기 래크(105b)의 이동 동작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도어(101)에 형성된 홈으로 구현된 이동 가이드(101a)로 도어(101)를 승강시키게 되고, 링크(103)에 연결된 지지바(102)도 홈으로 이루어진 지지바 이동 가이드(102a)로 상승하면서 링크(13)와 직선 축(104), 래크(105b)가 함께 연동하여, 도어(101)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109)으로 수용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도어가 슬라이딩되기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공간이 필요 없어, 제품(1)의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개방 동작에 의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1)가 완전 개방되면, 제어부(107)는 모터 구동부(106)의 모터 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모터 제어는 미리 실험을 통해 획득한 구동 시간 또는 회전량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어가 완전 개방되면 사용자는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인출한다.
사용자는 상기 물품을 인출한 후,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 폐쇄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 폐쇄 명령을 전송하면 수신부(110)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107)에 물품 이탈 신호를 전달한다.
좀 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도어 폐쇄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108)가 자동으로 수용된 물품의 이탈을 감지하면, 물품 이탈 감지신호를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제어부(107)는 수신부(110)를 통해 도어 폐쇄 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물품 감지부(108)에 의해 물품 이탈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모터 구동부(106)에 도어 폐쇄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가 도어 폐쇄 방향으로 동작을 하도록 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106)는 제어부(107)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면, 내장된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모터 개폐부(105) 내의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105a)이 역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여기서 피니언(105a)의 역방향은 도어(101)를 폐쇄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피니언(105a)이 역방향으로 동작을 하면, 그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을 하는 래크(105b)가 이동을 한다. 이때, 래크(105b)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축(104)에 결합된 도어가(101)가 상기 래크(105b)의 이동량에 비례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하강을 하여, 도어(101)의 폐쇄가 시작되며, 동시에 본체(100)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109)에 인입된 도어(101)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101)의 일부에는 링크(103)로 지지바(1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101)가 회전을 하면서 하강을 하면, 그와 동시에 링크(103)에 연결된 지지바(102)도 하강을 시작한다.
즉, 상기 도어(101)의 일단과 링크(103)로 결합된 지지바(102)는 상기 도어(101)를 지지하면서 도어(101)의 개폐 시 상기 도어(101)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103)는 상기 래크(105b)의 이동 동작에 의해 하강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도어(101)에 형성된 홈으로 구현된 이동 가이드(101a)로 도어(101)를 하강시키게 되고, 링크(103)에 연결된 지지바(102)도 홈으로 이루어진 지지바 이동 가이드(102a)로 하강하면서 링크(13)와 직선 축(104), 래크(105b)가 함께 연동하여, 도어(101)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109)으로 인출되어 하강을 한다.
하강이 완료되면 제어부(107)는 모터 구동부(106)의 모터 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모터 제어는 미리 실험을 통해 획득한 구동 시간 또는 회전량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단순히 도어(101)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며, 도어 자동 개폐와 동시에 본체의 내부에 내부함을 설치하고, 내부함을 도어와 연동시켜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가 적용된 제품(2)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품(2)은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공간이 있으며, 도어가 개폐되는 모든 형태의 제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포장용 박스나 무인 택배 함, 주차장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품(2)을 무인 택배 함이라고 가정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리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203), 상기 도어(203)의 일단과 링크(212)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203)를 지지하면서 도어(203)의 개폐 시 상기 도어(203)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2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203)는 스윙 바를 내장하거나 스윙 바 기능을 하는 도어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바(204)는 본체(200)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20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좌우측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제품(2)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본체(20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지지바(20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품(2)의 사이즈가 클 경우에는 본체(200)의 좌우측면에 모두 지지바를 설치하여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도어(203)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0)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부(210)는 본체(200)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구비된 도어 개방/폐쇄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 내장되며,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내부함(2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내부함(201)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 감지부(211)는 상기 내부함(201)의 바닥면에 내장되어 무게 감지를 통해 물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수신부(210)에 의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물품 감지부(211)에 의해 내부함(201)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이 이탈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09)가 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제어부(209)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208), 상기 모터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도어(203)를 개방 또는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함(201)을 본체(200) 외부로 인출 또는 본체(200) 내부로 인입시키는 도어/내부함 이동부(206), 상기 본체(2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함(201)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2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내부함 이동부(206)는 상기 모터 구동부(208)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피니언(206a), 상기 피니언(206a)을 중심으로 양단에 대칭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206a)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상기 도어(203)와 내부함(201)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한 쌍의 래크(206b, 206c)를 포함한다. 여기서 래크 206b를 제1래크라고 하고, 래크 206c를 제2래크라고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의 제2 실시 예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인 택배 함인 본체(200)의 내부에 내장된 내부함(201)에 형성된 공간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 4a와 같이 도어(203)가 닫혔다고 가정을 한다. 닫힌 도어(203)를 열고 물건을 내부함(201)의 내부 공간에 수용한 후, 도어(203)를 닫는 동작은 결과적으로 내부함(201)의 내부에 물품을 수용한 후 도어(203)를 닫은 상태에서, 다시 물건을 인출하기 위해서 도어(203)를 개방하는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하나의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무인 택배 함의 본체(2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내부함(201)에 물품이 내장된 상태에서, 결제 등이 이루어지거나 사용자로 등록을 하면, 사용자가 무인 택배 함의 도어(203)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
여기서, 무인 택배 함의 본체(200)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내부함(201)의 내부에 수용된 물품을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어 열림 버튼 또는 도어 열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도어 열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무인 택배 함을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도어 열림 버튼이나 도어 닫힘 버튼을 이용하면, 남의 택배 함에 보관된 물품의 도난이 쉬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재가 이루어지거나 사용 등록이 이루어진 사용자만이 무인 택배 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결재자나 사용 등록자에게만 도어 개폐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어 개폐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 개발(열림) 명령을 발신한다.
단말기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발신되면, 수신부(210)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09)에 전달한다. 여기서 도어 개방 및 폐쇄 신호의 송수신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와 수신부(210) 간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도어 개폐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와 수신부(210) 간에 도어 개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알려진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209)는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모터 구동부(208)에 도어 개방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동작을 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터가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을 정방향, 모터가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명명한다. 모터는 정방향 및 역방향 동작이 가능한 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각각의 부분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내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전원 공급부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거나, 태양전지 셀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부(208)는 제어부(209)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내장된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도어/내부함 이동부(206) 내의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206a)이 정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여기서 피니언(206a)의 정방향은 도어(203)를 개방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피니언(206a)이 정방향으로 동작을 하면, 그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을 하는 한 쌍의 래크(206b, 206c)가 서로 반대 반향으로 이동을 한다. 즉, 한 쌍의 래크(206b, 206c) 중 제1 래크(206b)는 도어(203)를 기준으로 후진 방향으로, 그리고 제2 래크(206c)는 도어(203)를 기준으로 전진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이때, 제1래크(206b)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축(205)에 결합된 도어(203)가 상기 제1래크(206b)의 이동량에 비례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승을 하여, 닫힌 도어(203)의 개방이 시작되며, 동시에 본체(200)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에 도어(203)를 인입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래크(206c)에 연결된 내부함(201)이 상기 제2래크(206c)의 이동량에 비례적으로 전진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본체(200)의 외부로 인출을 시작한다.
즉, 래크-피니언으로 이루어진 도어/내부함 이동부(206)를 하나의 피니언(206a)에 2개의 래크(206b)(206c)를 대칭적으로 연결하고, 서로 반대 동작을 하도록 형성하여, 도어(203)의 개방과 동시에 내부함(201)의 본체(200) 외부 인출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함(201) 이동의 편리함을 위해 이동 레일(214)이 마련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쉽게 내부함(201)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203)의 일부에는 링크(212)로 지지바(20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203)가 회전을 하면서 상승을 하면, 그와 동시에 링크(212)에 연결된 지지바(204)도 상승을 시작한다.
즉, 상기 도어(203)의 일단과 링크(212)로 결합된 지지바(204)는 상기 도어(203)를 지지하면서 도어(203)의 개폐 시 상기 도어(203)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212)는 상기 제1래크(206b)의 이동 동작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도어(203)에 형성된 홈으로 구현된 이동 가이드(203a)로 도어(203)를 승강시키게 되고, 링크(212)에 연결된 지지바(204)도 홈으로 이루어진 지지바 이동 가이드(204a)로 상승하면서 링크(212)와 직선 축(205), 제1래크(206b)가 함께 연동하여, 도어(203)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본체(200)의 상부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으로 수용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도어가 슬라이딩되기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공간이 필요 없어, 제품(2)의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개방 동작에 의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3)가 완전 개방되면, 상대적으로 본체(2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내부함(201)의 인출도 완료가 된다. 여기서 내부함(201)의 형상을 완전 인출시 상부와 정면이 개방되고 바닥면과 후면만 구비되는 "┘" 형상으로 구현하면, 사용자가 쉽게 내부함(201)에 수용된 물품을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탈은 사용자가 물품을 내부함(20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어(203)의 개방과 내부함(201)의 인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9)는 모터 구동부(208)의 모터 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모터 제어는 미리 실험을 통해 획득한 구동 시간 또는 회전량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어가 완전 개방되고 내부함(201)이 인출되면 사용자는 내부함(201)에 수용된 물품을 이탈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물품을 내부함(201)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 폐쇄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 폐쇄 명령을 전송하면 수신부(210)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09)에 물품 이탈 신호를 전달한다.
좀 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도어 폐쇄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내부함(201)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211)가 자동으로 수용된 물품의 이탈을 감지하면, 물품 이탈 감지신호를 제어부(209)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09)는 수신부(210)를 통해 도어 폐쇄 신호가 전달되거나, 상기 물품 감지부(211)에 의해 물품 이탈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모터 구동부(208)에 도어 폐쇄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가 도어 폐쇄 방향으로 동작을 하도록 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208)는 제어부(209)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면, 내장된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도어/내부함 이동부(206) 내의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206a)이 역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여기서 피니언(206a)의 역방향은 도어(203)를 폐쇄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피니언(206a)이 역방향으로 동작을 하면, 그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을 하는 제1 및 제2 래크(206b, 206c)가 서로 반대 동작을 한다.
이때, 제1래크(206b)의 일단에 연결된 회전축(205)에 결합된 도어가(203)가 상기 제1래크(206b)의 이동량에 비례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하강을 하여, 도어(203)의 폐쇄가 시작되며, 동시에 본체(200)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에 인입된 도어(203)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203)의 일부에는 링크(212)로 지지바(1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203)가 회전을 하면서 하강을 하면, 그와 동시에 링크(212)에 연결된 지지바(204)도 하강을 시작한다.
즉, 상기 도어(203)의 일단과 링크(212)로 결합된 지지바(204)는 상기 도어(203)를 지지하면서 도어(203)의 개폐 시 상기 도어(203)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212)는 상기 제1래크(206b)의 이동 동작에 의해 하강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도어(203)에 형성된 홈으로 구현된 이동 가이드(203a)로 도어(203)를 하강시키게 되고, 링크(212)에 연결된 지지바(204)도 홈으로 이루어진 지지바 이동 가이드(204a)로 하강하면서 링크(212)와 직선 축(205), 제1래크(206b)가 함께 연동하여, 도어(203)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본체(200)의 상부에 형성된 도어 수용 공간으로 인출되어 하강을 한다.
또한, 피니언(206a)이 역방향으로 동작을 하면, 그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을 하는 한 쌍의 래크(206b, 206c)가 서로 반대 반향으로 이동을 한다. 즉, 한 쌍의 래크(206b, 206c) 중 제1 래크(206b)는 도어(203)를 기준으로 전진 방향으로, 그리고 제2 래크(206c)는 도어(203)를 기준으로 후진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상기 피니언(206a)이 역방향으로 동작을 하면, 제2래크(206c)에 연결된 내부함(201)이 상기 제2래크(206c)의 이동량에 비례적으로 후진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본체(200)의 내부로 인입을 시작한다.
즉, 래크-피니언으로 이루어진 도어/내부함 이동부(206)를 하나의 피니언(206a)에 2개의 래크(206b)(206c)를 대칭적으로 연결하고, 서로 반대 동작을 하도록 형성하여, 도어(203)의 폐쇄와 동시에 내부함(201)이 본체(200)의 내부로 인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함(201) 이동의 편리함을 위해 이동 레일(214)이 마련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쉽게 내부함(201)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어(203)의 하강과 내부함(201)의 인입이 완료되면 제어부(209)는 모터 구동부(208)의 모터 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모터 제어는 미리 실험을 통해 획득한 구동 시간 또는 회전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래크-피니언 방식으로 도어를 자동 개폐함과 동시에 내부함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함을 제공해줌과 동시에 무인 택배 함에 접촉하지 않고서도 내부의 물품을 사용자가 가져갈 수 있어, COVID-19와 같이 감염병 대유행 환경에서도 감염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 2: 제품
100, 200: 본체
101, 203: 도어
102, 204: 지지바
103, 212: 링크
104, 205: 직선 축
105: 도어 개폐부
106, 208: 모터 구동부
107, 209: 제어부
108, 211: 물품 감지부
110, 210: 수신부
201: 내부함
206: 도어/내부함 이동부
214: 이동 레일
100, 200: 본체
101, 203: 도어
102, 204: 지지바
103, 212: 링크
104, 205: 직선 축
105: 도어 개폐부
106, 208: 모터 구동부
107, 209: 제어부
108, 211: 물품 감지부
110, 210: 수신부
201: 내부함
206: 도어/내부함 이동부
214: 이동 레일
Claims (12)
-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지지하면서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
상기 도어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물품 감지부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이 인출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신부, 제어부, 모터 구동부, 물품 감지부 및 도어 개폐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신부는 본체에 별도로 구비된 도어 개방/폐쇄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물품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물품이 유무를 감지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내장되어 무게 감지를 통해 물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품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는 초음파의 도달 시간을 기초로 물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물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1에서, 상기 도어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도어의 끝단에 형성된 직선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이송시키는 래크;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으로 상기 래크를 직선 운동시키는 피니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단과 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지지하면서 도어의 개폐 시 상기 도어의 스윙동작과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지바;
상기 도어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며,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내부함;
상기 내부함에 수용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 감지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물품 감지부에 의해 상기 내부함에 수용된 물건이 이탈되면 자동으로 도어 폐쇄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도어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상기 모터의 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함을 본체 외부로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 인입시키는 도어/내부함 이동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7에서, 상기 수신부, 내부함, 제어부, 모터 구동부, 물품 감지부 및 도어/내부함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7에서, 상기 지지바는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면 또는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7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본체에 별도로 구비된 도어 개방/폐쇄 버튼의 조작에 따른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7에서, 상기 물품 감지부는 상기 내부함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함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물품의 유무를 무게로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청구항 7에서, 상기 도어/내부함 이동부는 상기 모터 구동부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중심으로 양단에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상기 도어와 내부함을 동시에 연동시키는 한 쌍의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4261A KR20220050508A (ko) | 2020-10-16 | 2020-10-16 |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4261A KR20220050508A (ko) | 2020-10-16 | 2020-10-16 |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0508A true KR20220050508A (ko) | 2022-04-25 |
Family
ID=8145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4261A KR20220050508A (ko) | 2020-10-16 | 2020-10-16 |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5050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90664A (zh) * | 2022-07-05 | 2022-08-12 | 江娣招 | 一种玻璃加工的淬火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364B1 (ko) | 2007-02-22 | 2008-02-21 | (주) 이엔이씨 |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
-
2020
- 2020-10-16 KR KR1020200134261A patent/KR202200505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364B1 (ko) | 2007-02-22 | 2008-02-21 | (주) 이엔이씨 |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90664A (zh) * | 2022-07-05 | 2022-08-12 | 江娣招 | 一种玻璃加工的淬火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17159B1 (en) |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 |
CN100512716C (zh) | 具有可运动的家具部分的家具 | |
US7794000B2 (en) | Configuration for operating interior device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 |
US7625052B2 (en) |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ntainer moving system | |
CN101052445B (zh) | 奖品取得游戏装置 | |
KR102211191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20220050508A (ko) | 도어 자동개폐 및 내부함 자동 인출장치 | |
PL223292B1 (pl) | Mechanizm automatycznego otwierania drzwi komory ważenia wagi analitycznej | |
CN108961553A (zh) | 一种自助售货机的取货装置、自助售货机及取货方法 | |
CN212666074U (zh) | 一种搬运机器人 | |
US20180128032A1 (en) | Piece of Furniture, in Particular a Cabinet Unit | |
CN110984807B (zh) | 物联网社区防盗门 | |
KR20200044495A (ko) | 냉장고 | |
KR101685064B1 (ko) | 칩 카운팅 장치 | |
CN106726361B (zh) | 一种天轨式护理用悬吊轨道装置 | |
CN210685704U (zh) | 一种自动开门系统 | |
CN208863933U (zh) | 便于取出展品的展示保险柜 | |
CN215306139U (zh) | 一种拭子投放仪 | |
ES2837498T3 (es) | Distribuidor automático de artículos de productos y de mercancías | |
CN217693967U (zh) | 一种具有自动升降操作面板的自助终端设备 | |
CN109113535B (zh) | 远程智能监控传输防盗门装置 | |
CN110549344B (zh) | 一种机械手及具有该机械手的自动取药装置 | |
CN108275426B (zh) | 一种列车行李自动装载系统 | |
CN208363909U (zh) | 一种无人书柜自动门 | |
CN106004691A (zh) | 一种车载保险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