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064A -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064A
KR20220050064A KR1020210136265A KR20210136265A KR20220050064A KR 20220050064 A KR20220050064 A KR 20220050064A KR 1020210136265 A KR1020210136265 A KR 1020210136265A KR 20210136265 A KR20210136265 A KR 20210136265A KR 20220050064 A KR20220050064 A KR 2022005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reflector
projecto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열
박연용
이정직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05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거치되는 거치대로서,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가로 방향 파이프와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지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가로 방향 파이프와 제2 가로 방향 파이프에 양 끝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사각 틀을 생성하는 제1 세로 방향 파이프와 제2 세로 방향 파이프를 포함한다.
가로 방향 파이프들과 세로 방향 파이프들을 통해 형성된 두 개의 사각 틀을 연결하여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과, 가로 방향 파이프들과 세로 방향 파이프들, 그리고 연결 파이프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프, 그리고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의 중간에 일측이 연결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상기 반사경이 거치되도록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Spherical reflector assembly mount}
본 발명은 한 대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360도 파노라마를 구현하기 위해 구형 반사경을 거치할 수 있는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에 대한 기술이다.
기존의 360도 파노라마 기술은 프로젝터의 최소 초점거리 이상의 거리를 가진 넓은 공간에서, 복수의 프로젝터들을 이용하여 프로젝션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360도 파노라마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사경을 공간상에 특정위치에 고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파노라마 프로젝션 반사경을 공간 내 바닥에 둘 경우, 관객의 동선에 제약이 발생하여 관람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관객의 동선 제약 없이 360도 파노라마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터를 천장에 거치하고 반사경도 동시에 공간 상에 거치하는 형태가 요구된다.
그러나,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이미지의 스크린 크기와 프로젝터와의 거리 등이 고려되지 않은 채 프로젝션 반사경이 설치되기 때문에, 완벽한 360도 파노라마가 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60도 프로젝션을 위해 천장에 거치한 프로젝터 렌즈에 구형 반사경을 가까이 거치하기 위하여,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거치되는 거치대는,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가로 방향 파이프와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상기 지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로 방향 파이프와 제2 가로 방향 파이프에 양 끝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사각 틀을 생성하는 제1 세로 방향 파이프와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가로 방향 파이프들과 세로 방향 파이프들을 통해 형성된 두 개의 사각 틀을 연결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기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 상기 가로 방향 파이프들과 세로 방향 파이프들, 그리고 연결 파이프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의 중간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상기 반사경이 거치되도록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1 세로 방향 파이프,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제1 가로 방향 파이프,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그리고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은 알루미늄 재질의 사각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세로 방향 파이프,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제1 가로 방향 파이프,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또는 연결 파이프가 상기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현된 제1 구멍, 상기 제1 세로 방향 파이프,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제1 가로 방향 파이프,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또는 연결 파이프가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현된 제2 구멍, 그리고
관통된 파이프가 상기 클램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와 상기 세로 방향 파이프들과 가로 방향 파이프들은 노브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사각형의 구조물에서 상기 광을 출력시키는 렌즈가 상기 지면 방향에 오도록 삽입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렌즈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반사경에 반사되어 360도 파노라마로 제공될 수 있는 최소 초점 위치에 상기 반사경이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술관, 전시관, 박물관, 노래방 등 복수의 프로젝터의 설치와 투사가 어려웠던 좁은 공간에서도 360도 파노라마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프로젝터 렌즈와 구형 반사경 사이의 거리와 위치 변경, 높이 조절 등이 자유롭게 가능하며, 손쉽게 거치대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형 반사경이 설치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에 구비되는 클램프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360도 파노라마를 위한 돔 반사경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형 반사경이 설치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사각형, 돔형, 다면형 등)로 구성된 공간(10) 내에서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를 투사하기 위한 이미지 생성 시스템(20)은,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프로젝터(100)에 연동한다. 프로젝터(100)는 일정 거리 좌우 또는 상하로 이격되어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반사경(200)과 연동한다. 반사경(200)은 반구형 반사경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로젝터(100)가 공간(10)의 천정 중간에 위치하고, 프로젝터(100)에서 일정 거리 지면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의 반사경(200)이 공간(10)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프로젝터(100)와 반사경(200)은 공간(10)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동선을 제약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한 그림자 형성 문제도 해결하면서 공간(10)에 설치된 스크린(30)에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프로젝터(100)는 이미지 생성 시스템(200)이 생성한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한다. 그리고 반사경(200)은 프로젝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를 반사시켜, 공간(10)에 설치된 스크린(300)에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가 투영되도록 한다.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도록 공간(10)의 사면에는 스크린(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반사경(200)이 프로젝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400)의 일측을 프로젝터(100)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에는 반사경(200)을 거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터(100)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거나, 반대쪽에 반사경(200)을 거치하는 거치대(400)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예시도이다.
프로젝터(100)는 기종마다 외관 형태마다 각기 다르므로 맞춤형 거치대가 필요하고, 각기 다른 형태의 거치대(400)의 제작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기 다른 형태의 거치대를 제작할 필요 없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거치대(400)를 구현하여, 어떠한 형태의 프로젝터(100)라도 반사경(200)과 함께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프로젝터(100)는 상부에서 하단으로 이미지를 투영할 때, 프로젝터(100)의 무게와 미세한 떨림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반사경(200)의 중심점이 바뀌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경(200)의 위치를 수시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반사경(200)의 위치 조정 또는 프로젝터(100)의 교체 등의 이유로 거치대(400)를 조작하다가 거치대(400)가 바닥으로 추락하여 파손될 시,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현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00)는 복수의 파이프(410, 420, 430)들, 그리고 파이프(410~430)들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440)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410~430)의 형태는 사각형으로 구현되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가볍고 내구성이 큰 특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440)도 사각형의 파이프(410~430)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각형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파이프(410~43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410~430)들이 1cm x 1cm 사각 파이프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410~430)들은 일반적인 알루미늄 재질의 사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과 같은 방향의 가로 방향 파이프(410-1, 410-2)와, 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로 방향 파이프(420-1, 420-2)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배치한 파이프(410, 420)들을 클램프(430)로 연결하여, 하나의 거치대(400)를 구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클램프(430)와 파이프(410, 420)는 노브볼프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 방향 파이프(410)와 세로 방향 파이프(420)를 클램프(430)로 연결하여 프로젝터(100) 크기보다 큰 두 개의 사각형 틀을 만든다. 그리고, 두 개의 사각형틀을 가로 방향의 연결 파이프(430-1~430-4)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두 개의 사각형 틀이 연결 파이프(430-1~430-4)를 통해 연결되어 박스 형태를 유지하면, 박스 형태의 내부에 프로젝터(100)가 삽입된다.
이때, 가로 방향 파이프(410)와 세로 방향 파이프(420), 그리고 연결 파이프(430)들의 길이는 각각 프로젝터(100)의 사이즈에 맞춰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프로젝터(100)는 이미지 광이 출력되는 렌즈 부분이 지면을 향하도록 역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거치대(400)는 반사경(200)을 거치할 수 있는 받침대(4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경(200)이 거치되는 가로 방향 파이프(410)를 일정 두께로 두께를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받침대(440)가 일정 위치에 형성된 가로 방향 파이프의 상단에 추가로 형성되어, 반사경(200)이 받침대(440) 위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받침대(440)는 연결 파이프(430-3, 430-4)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수직 형성된 세로 방향 파이프(420-3, 420-4)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받침대(440)는 프로젝터(100)의 렌즈로부터 출력된 광이 반사경(200)에 반사되어 360도 파노라마로 제공될 수 있는 최소 초점 위치에 반사경(200)이 위치하도록 구현된다.
이때, 최소 초점 위치는 프로젝터(100)에서 투사된 이미지의 선명도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프로젝터(100)의 렌즈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즉, 반사경(200)은 프로젝터(100)의 렌즈의 종류에 따라 반사경(200)이 설치될 Y축 위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프로젝터(100)의 렌즈의 중심 위치에 반사경(200)이 위치하도록, 받침대(440)에서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반사경(200)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이와 같은 거치대(400)의 평면도와 정면도, 그리고 측면도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측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도 파노라마를 위한 구형 반사경을 프로젝터(100)의 렌즈 가까이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400)는 반사경(20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프로젝터(10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연결하기 위해, 거치대(400)는 알루미늄 재질의 복수의 파이프(410~430)들, 그리고 파이프(410~430)와 파이프(410~430)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440)로 구현된다. 그리고 거치대(400)에는 반사경(200)을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할 받침대(450)가 있다.
거치대(400)의 평면도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위치한 가로 방향 파이프(410)들이, 클램프(440)에 의해 직사각형의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프로젝터(100)가 끼워져, 프로젝터(100)의 상단이 제1 방향의 가로 방향 파이프(410)들에 맞닿게 삽입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400)를 정면과 측면에서 살펴보면, 세로 방향 파이프(420)들과 가로 방향 파이프(410)들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프로젝터(100)가 삽입된다. 이때, 세로 방향 파이프(420)들의 일측에는 거치대(400)가 설치되는 장소의 천장에 거치대(400)가 연결되도록 연결 수단(도면 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410~430)들을 연결하는 클램프(440)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치대에 구비되는 클램프의 예시도이다.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440)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각 통으로 구현되며, 파이프(410~4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의 제1 면, 그리고 제1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면에 각각 구멍(441, 4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멍(441, 442)의 옆에는 파이프(410~4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 장치(443, 44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파이프(410)가 제2 구멍(442)을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로 관통하면, 제1 잠금 장치(443)는 관통한 파이프(410)가 클램프(44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돌려져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 파이프(420)가 제1 구멍(441)을 지면 기준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면, 제2 잠금 장치(434)는 관통한 파이프(4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잠금 장치(443, 444)가 파이프(410~43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거치되는 거치대로서,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가로 방향 파이프와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상기 지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로 방향 파이프와 제2 가로 방향 파이프에 양 끝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사각 틀을 생성하는 제1 세로 방향 파이프와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가로 방향 파이프들과 세로 방향 파이프들을 통해 형성된 두 개의 사각 틀을 연결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기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
    상기 가로 방향 파이프들과 세로 방향 파이프들, 그리고 연결 파이프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고정시키는 클램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의 중간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상기 반사경이 거치되도록 구성된 받침대
    를 포함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세로 방향 파이프,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제1 가로 방향 파이프,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그리고 복수의 연결 파이프들은 알루미늄 재질의 사각형태로 구현되는,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세로 방향 파이프,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제1 가로 방향 파이프,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또는 연결 파이프가 상기 지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현된 제1 구멍,
    상기 제1 세로 방향 파이프, 제2 세로 방향 파이프, 제1 가로 방향 파이프, 제2 가로 방향 파이프, 또는 연결 파이프가 상기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현된 제2 구멍, 그리고
    관통된 파이프가 상기 클램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
    를 포함하는,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는,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와 상기 세로 방향 파이프들과 가로 방향 파이프들은 노브볼트로 고정되는,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사각형의 구조물에서 상기 광을 출력시키는 렌즈가 상기 지면 방향에 오도록 삽입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렌즈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반사경에 반사되어 360도 파노라마로 제공될 수 있는 최소 초점 위치에 상기 반사경이 위치하도록 구현되는, 거치대.
KR1020210136265A 2020-10-15 2021-10-14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 KR20220050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69 2020-10-15
KR20200133569 2020-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064A true KR20220050064A (ko) 2022-04-22

Family

ID=8145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265A KR20220050064A (ko) 2020-10-15 2021-10-14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0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218B2 (en) Panoramic and horizontally immersiv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6539638B1 (en) Line projecting device
US20020159038A1 (en) Multi-display systems
JP2007299005A (ja) 光吸収構成
CN1609698A (zh) 一种投影仪
KR20220050064A (ko) 조립식 구형 반사경 거치대
US6618950B2 (en) Projection apparatus for demarcation
CN107092158B (zh) 一种多角度微型投影装置
KR102103869B1 (ko) 높이 가변형 tv 스탠드
JP2009210821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20173410A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JP2021123965A (ja) 3d撮影用フレームとその3d撮影用フレームを有する3d撮影用装置
US6809891B1 (en) Image display device
US1863309A (en) Motion picture projector
KR20220050063A (ko) 360도 파노라마를 위한 돔 반사경
JP2003005275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WO2000023842A1 (en) Anamorphic technique for filming and projecting images of 360 degree
JP4020029B2 (ja) レーザ墨出し器
JP2005326658A (ja)
JP2020012747A (ja) 赤外線検知装置
WO2015151893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6918938B2 (ja) 取付け部材と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2128055A (ja) プロジェクター用支持具
JPH11257963A (ja) レーザー光投映装置
KR200201864Y1 (ko)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