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890A -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890A
KR20220049890A KR1020200133574A KR20200133574A KR20220049890A KR 20220049890 A KR20220049890 A KR 20220049890A KR 1020200133574 A KR1020200133574 A KR 1020200133574A KR 20200133574 A KR20200133574 A KR 20200133574A KR 20220049890 A KR20220049890 A KR 2022004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learning
curriculum
guidan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지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지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지능
Priority to KR1020200133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890A/ko
Publication of KR2022004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방식 중, 특정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문제를 푸는 수동적인 방식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관련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학습효율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학습자의 학습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학습 풀이에 대한 서술형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Online interactive learn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교육의 중심이 학교 및 학원을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교육이었다면, 최근에는 컴퓨터 및 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교육이 교육시장의 주류로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공교육 분야에서도 일정 기간 동안 온라인 교육으로 수업을 대체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은 크게 교육자의 동영상을 시청하는 수동적인 방식과, 특정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문제를 푸는 수동적인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후자인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문제를 푸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단순히 문제를 풀고 이에 대한 설명과 답을 제공받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선생님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대면 교육에 비하여 학습자의 학습효율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2424호("실시간 온라인 화상 강의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2020.01.0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풀이에 대한 서술형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시스템의 목적은 온라인 교육 방식 중, 특정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문제를 푸는 수동적인 방식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관련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학습효율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학습자의 학습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학습 풀이에 대한 서술형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풀이에 대한 서술형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시스템은, 커리큘럼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커리큘럼별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에 학습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학습정보를 제공받으면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학습정보에 대한 반응을 입력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커리큘럼별로 기지정된 평가표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상기 평가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커리큘럼별 문제를 포함하는 학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커리큘럼별 문제들을 모두 풀면, 상기 평가표를 기준으로 푼 문제들을 채점하여 해당 사용자의 집중도를 평가하고, 해당 사용자의 집중도가 기준치 이하면, 해당 커리큘럼의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풀지 않고 넘긴 문제는 제외한 푼 문제 대비 맞춘 문제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가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푼 문제 대비 맞춘 문제의 비율이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가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소속 학교, 각 학교별 시험일정 및 사용자별 학습이력이 포함하는 개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소속 학교의 시험일정과 상기 사용자의 학습이력을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추가적인 학습이력이 필요하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 커리큘럼의 시작시각정보와 완료시각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특정 커리큘럼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제1기한 이내에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 커리큘럼의 시작시각정보와 완료시각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기준시간이내에 특정 커리큘럼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검증퀴즈를 송신하여, 해당 사용자가 검증퀴즈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1기한보다 짧은 제2기한 이내에 복습일정을 예약하거나, 즉시 복습내용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들 각각은 출석요일이 지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지정된 출석요일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석요일이 맞지 않는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단위기간 중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로그인했을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석이 필요하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상에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가 소정의 평가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또는 학습상태를 평가하고, 평가된 내용을 기반으로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기 때문에, 비대면 온라인 교육방식에서도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서버에 로그인하는 횟수 및 시각을 통계화하여 사용자의 학습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커리큘럼상의 학습과정을 완료한 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소정의 검증과정을 거쳐 복습일정을 예약하기 때문에, 건성으로 학습을 하더라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과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0)는 커리큘럼별 학습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다양한 교과목에 대한 커리큘럼별 학습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커리큘럼별 학습정보는 사용자가 풀 수 있는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100)를 참고하여, 서버(200)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와 매칭되는 커리큘럼별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300)로 문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호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별 개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란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ID, 이름, 닉네임, 생년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속 학교와 연락처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서버(200)에 접속하는데 사용하고, 사용자가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문제를 푸는 수단이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해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0)의 몇몇 예로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무선인터넷, 유선인터넷,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에 기등록될 수 있으며, 기등록된 사용자는 각각 ID가 발급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발급된 ID로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사용자의 ID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학습이력을 불러온 후, 해당 사용자가 다음에 진행할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300)가 해당 문제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러한 동작들은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서 문제를 풀기 위해, 답 또는 풀이과정을 사용자 단말기(300)상에 입력할 수 있고, 답을 제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0) 자체를 이용해 서버(2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는 횟수와 접속하는 시각을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통계적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하는 풀이과정 또는 답을 별도로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 또는 커리큘럼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 또한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저장부(21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하는 풀이과정 또는 답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커리큘럼별로 기지정된 평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평가표는 루브릭(Rubric)이라는 평가기준을 적용한 것일 수 있다. 루브릭이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내는 반응을 평가하는 기준의 집합으로, 교육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루브릭을 통한 평가를 자동화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풀이에 대한 서술형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온라인 교육임에도 선생님과 옆에서 1:1로 대면교육을 하는듯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서버(200)는 기지정된 평가표로, 상술한 사용자의 동작 각각을 평가하여 피드백 메시지가 필요할 때 피드백 메시지를 송부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학습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서버(200)에서 피드백 메시지를 보내는 몇몇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푼 전체 문제들에 대한 정답여부를 채점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총 10문제를 제공했다고 했고, 사용자가 이 중 10문제를 모두 풀되, 9문제만 맞췄다고 가정할 때,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집중도가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총 10문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중 9문제를 풀되, 1문제는 모르는 것으로 판단하여 넘겼을 경우, 제2사용자의 집중도는 제1사용자의 집중도보다 높게 판단될 수 있다. 이는 제2사용자가 모르는 문제를 넘기고, 풀 수 있는 모든 문제를 풀어 정답을 맞힌 반면, 제1사용자는 틀린 문제를 풀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답이 나왔기 때문이다.
서버(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푼 문제들 중, 맞은 문제들의 비율을 이용해 각각의 사용자별로 집중도를 판단하고, 집중도가 저하된다고 판단된 사용자들에게는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가 학습과정에서 집중도가 향상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서버(200)에는 사용자별 소속 학교와, 각 학교별 시험일정, 그리고 사용자별 학습이력이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는 현재 날짜와 사용자별 소속 학교의 시험일정을 비교하여 시험까지 남은 시간을 계산하고, 해당 사용자가 현재까지 완료한 학습이력이 시험일정까지 시험범위를 모두 진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추가적인 학습이력이 필요하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학습에 있어서, 사용자가 익히 학습내용이 장기기억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복습이 꼭 필요하다. 본 발명은 특정 커리큘럼이 종료되면,(사용자가 모든 내용과 문제를 푼 후, 커리큘럼 완료버튼을 누르면)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에 복습일정을 예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든 학습내용을 익히고, 문제를 푼 후, 커리큘럼 완료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해당 커리큘럼을 시작한 시각과, 완료한 시각 각각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해당 커리큘럼을 시작한 시각과 완료한 시각을 통해, 해당 커리큘럼을 완료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연산하고, 해당 시간이 기준치보다 클 경우, 제1기한 이내에 복습이 이루어지도록 복습일정을 예약하고, 이를 피드백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단, 사용자에 따라 학습 자체를 건성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학습과정 자체를 주의 깊게 보지 않기 때문에, 특정 커리큘럼을 완료하는데 소요된 시간 자체가 기준치보다 작을 수 있다. 서버(200)는 특정 커리큘럼을 완료하는데 소요된 시간이 기준치 보다 작은 사용자의 경우, 해당 사용자가 커리큘럼을 완료한 직후, 완료한 커리큘럼에 관련된 내용을 퀴즈로 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한다. 해당 사용자가 검증퀴즈를 통과할 경우, 정상적으로 제1기한 이내에 복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가 검증퀴즈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제1기한보다 짧은 제2기한 이내 또는 즉시 복습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완료한 커리큘럼 중에 입력한 풀이과정은 저장부(2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 횟수 및 로그인한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참여가 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들 각각의 출석(로그인)요일이 지정되어있을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지정된 출석요일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소정 기간(예를 들어 한 달)지정된 출석요일에 로그인하지 않는 경향을 보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출석요일이 맞지 않는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단순히 메시지만을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에 기반한 표 또는 그래프를 함께 송신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출석요일에 로그인하도록 유도하거나, 출석요일 자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단위기간(예를 들어 한 달) 중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로그인했을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출석이 필요하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된 피드백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300)상에 시각적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일예로 푸시 알람과 같은 방식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은, 본래 선생님들이 사용자들 각각을 프로그램과 평가표를 통해 체크하고, 프로그램은 체크한 내용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 메시지를 보내는 형태였으나, 본 발명은 선생님들이 수행하는 부분을 자동화하였다. 단, 본 발명은 적절한 피드백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핵심인데, 상황에 따라서는 적합하지 않은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루브릭 평가표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각각을 평가하는 과정과 이를 통해 전달되는 피드백 메시지를 데이터 세트로 활용하여, 본 발명의 서버(200)를 기계학습시켜,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피드백 메시지의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데이터베이스
200 : 서버
210 : 저장부
3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9)

  1. 커리큘럼별 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커리큘럼별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에 학습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학습정보를 제공받으면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학습정보에 대한 반응을 입력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커리큘럼별로 기지정된 평가표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되는 상기 사용자의 반응을 상기 평가표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피드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커리큘럼별 문제를 포함하는 학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커리큘럼별 문제들을 모두 풀면, 상기 평가표를 기준으로 푼 문제들을 채점하여 해당 사용자의 집중도를 평가하고, 해당 사용자의 집중도가 기준치 이하면, 해당 커리큘럼의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풀지 않고 넘긴 문제는 제외한 푼 문제 대비 맞춘 문제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가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푼 문제 대비 맞춘 문제의 비율이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가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상기 사용자의 소속 학교, 각 학교별 시험일정 및 사용자별 학습이력이 포함하는 개인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소속 학교의 시험일정과 상기 사용자의 학습이력을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가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추가적인 학습이력이 필요하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 커리큘럼의 시작시각정보와 완료시각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특정 커리큘럼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제1기한 이내에 복습일정을 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특정 커리큘럼의 시작시각정보와 완료시각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기준시간이내에 특정 커리큘럼을 완료한 사용자에게 검증퀴즈를 송신하여, 해당 사용자가 검증퀴즈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1기한보다 짧은 제2기한 이내에 복습일정을 예약하거나, 즉시 복습내용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들 각각은 출석요일이 지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지정된 출석요일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석요일이 맞지 않는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단위기간 중 기설정된 횟수 미만으로 로그인했을 경우, 해당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석이 필요하다는 피드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상에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KR1020200133574A 2020-10-15 2020-10-15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KR20220049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74A KR20220049890A (ko) 2020-10-15 2020-10-15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74A KR20220049890A (ko) 2020-10-15 2020-10-15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90A true KR20220049890A (ko) 2022-04-22

Family

ID=8145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74A KR20220049890A (ko) 2020-10-15 2020-10-15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9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09210A (zh) * 2022-12-02 2023-04-04 北京思想天下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学习时间统计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24A (ko) 2018-06-29 2020-01-08 김송이 실시간 온라인 화상 강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24A (ko) 2018-06-29 2020-01-08 김송이 실시간 온라인 화상 강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09210A (zh) * 2022-12-02 2023-04-04 北京思想天下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学习时间统计系统
CN115909210B (zh) * 2022-12-02 2023-09-01 北京思想天下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学习时间统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iele Learning patterns of online students
Lee et al. Using a multiplatform chatbot as an online tutor in a university course
Hughes et al.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nd mathematics anxiety: How do they shape instructional practices?
Whitney et al. Extending the conversation: Experience over all: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izing of the “Practical”
KR1010124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준별 다자간 그룹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enyon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use to check for understanding and to adjust instruction
KR20190069656A (ko) 인공지능강사를 이용한 교육기관 운영 시스템 및 방법
Williams et al. A discourse‐based approach to CALL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KR20220049890A (ko)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지도 시스템
KR20180049468A (ko) 이러닝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71933B1 (ko)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Collins Examining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school building leaders on the use of the flipped classroom method in New York City public schools
CN112466170A (zh) 家校合育交互方法、系统、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ommissar et al. IMBES pre‐conference: Using insight from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
Sideris et al. Adult learners' perceptions about MOOC technologies in Adult Education
Phillip Understanding Teachers' Choice for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Model
Harvie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Engagement with Online Writing as Influenced by Their Teacher’s Presence at a Virtual High School: A Mixed Methods Study
Johnson The Influence of Teacher Technology Self-Efficacy on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s
KR20220040760A (ko) 온라인 발표평가 시스템
Nowicki-Anderson Examining CVTC Student Perceptions and Course Success of Online Courses in Career & Technical Education
Stokke Larson Data Driven Decision Making Goes Cyber Elementary Online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of Data Driven Instruction
Holden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training+ ecoaching o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 and student outcomes
Larson Data driven decision making goes cyber elementary online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of data driven instruction
JP2002202709A (ja) 通信教育システム
Daulay et 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Socrative as a Learning Grammar Software: Higher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