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386A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386A
KR20220049386A KR1020200132951A KR20200132951A KR20220049386A KR 20220049386 A KR20220049386 A KR 20220049386A KR 1020200132951 A KR1020200132951 A KR 1020200132951A KR 20200132951 A KR20200132951 A KR 20200132951A KR 20220049386 A KR20220049386 A KR 2022004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eveloping cartridge
support member
se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김원택
황호현
류황희
한세훈
박성호
이승권
최웅용
김성진
김준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3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386A/ko
Priority to PCT/US2021/026794 priority patent/WO2022081200A1/en
Priority to US18/031,223 priority patent/US20230375974A1/en
Publication of KR2022004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와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탑재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삽입된 장착 위치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안착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장착 위치, 상기 인출 위치, 및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development cartrid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켜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 카트리지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수명이 다하면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현상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될 수 있다. 본체에는 인출가능한 서랍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는 서랍형 부재에 탑재될 수 있다. 서랍형 부재를 본체로부터 인출하고 현상 카트리지는 서랍형 부재에 탑재한 후에 서랍형 부재를 본체에 밀어넣음으로써 현상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가 탑재된 서랍형 부재를 본체로부터 인출하고 서랍형 부재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를 꺼냄으로써 현상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현상 카트리지를 본체에/로부터 장착/탈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를 장착 위치와 안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들로서, 도 3은 도어가 열리고 트레이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4는 도어가 닫히고 트레이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도 3의 A1-A1'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슬롯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3의 A2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4의 A3부의 상세도이다.
도 9는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측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1은 트레이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2는 트레이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3과 도 14는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3은 트레이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4는 트레이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5와 도 16은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5는 트레이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6은 트레이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7과 도 18은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7은 트레이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8은 트레이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9와 도 20은 비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들로서, 도 19는 트레이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20은 트레이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화상형성장치는 교체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 카트리지를 탑재하는 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에 삽입된 장착 위치와 본체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는 장착 위치로부터 하강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는 트레이와 함께 하강되어 본체에 마련된 안착부에 안착된다. 트레이가 슬라이딩 및 승강되는 동안에 트레이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 충격은 현상 카트리지로 전달될 수 있다. 충격은 주로 트레이가 이동되다가 멈출 때에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가 인출 위치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장착 위치에 도달될 때에 트레이는 본체에 마련된 스토퍼에 접촉되어 장착 위치에 멈출 수 있다. 이때, 트레이에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충격은 트레이에 탑재된 현상 카트리지에 전달되어 현상 카트리지의 트레이 내에서의 위치 변동을 유발할 수 있다. 트레이 내에서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트레이가 안착 위치로 하강될 때에 현상 카트리지가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트레이가 장착 위치로부터 하강하여 안착 위치에 도달될 때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현상 카트리지가 흔들려서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않을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가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작업이 수행되는데, 현상 카트리지가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않으면, 전사 효율의 저하, 칼라 인쇄의 경우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는 개구부와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착탈된다. 트레이는 현상 카트리지를 탑재하고 개구부를 통하여 본체에 삽입된 장착 위치와 본체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와 현상 카트리지를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안착 위치로 이동된다. 트레이가 인출 위치, 장착 위치, 및 안착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현상 카트리지는 탄력 지지 부재에 의하여 트레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가 이동되는 동안 및 트레이가 장착 위치와 안착 위치에 도달하여 멈출 때에 발생되는 충격이 탄력 지지 부재에 의하여 완충되므로, 트레이 내에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가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균일한 화상 품질이 확보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는 구동 단부와 비구동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단부는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단부이며, 비구동 단부는 구동 단부의 반대쪽 단부이다. 탄력 지지 부재는 구동 단부와 비구동 단부를 트레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력 지지 부재는 비구동 단부를 트레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비구동 단부는 비탄력 지지 부재에 의하여 트레이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비구동 단부는 비탄력 지지부재에 의하여 트레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트레이는,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장착 위치와 안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를 장착 위치와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제1위치와, 현상 카트리지를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2위치로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현상 카트리지(2)를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어(4)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를 장착 위치(5b)와 안착 위치(5c)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들로서, 도 3은 도어(4)가 열린 상태 및 트레이가 장착 위치(5b)에 위치된 상태를, 도 4는 도어(4)가 닫히고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3)와 개구부(3)를 개폐하는 도어(4)와 안착부(40)를 구비하는 본체(1)와, 현상 카트리지(2)가 탑재되며 개구부(3)를 통하여 인출 위치(5a)와 장착 위치(5b)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5)와, 도어(4)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를 인출 위치(5a)와 장착 위치(5b)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제1위치와 현상 카트리지(2)를 안착부(40)에 안착시키는 제2위치로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 부재(7)와, 트레이(5)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 부재(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가능한 현상 카트리지(2)를 구비한다. 본체(1)는 노광기(13), 전사기, 정착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 롤러(22)와 감광 드럼(21)를 포함하는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일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각각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블랙(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C)(2M)(2Y)(2K)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 드럼(21)은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롤러(23)는 감광 드럼(21)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클리닝 부재(25)는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21)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21)에 주사하여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 롤러(22)에는 토너를 감광 드럼(21)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의 복수의 감광 드럼(21)의 표면에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전사기는 복수의 감광 드럼(21)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전사시킨다. 본 예에서는 중간전사방식 전사기가 채용된다. 일 예로서, 전사기는 중간전사벨트(31), 중간전사벨트(31)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 드럼(21)과 대향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중간전사롤러(32)와, 전사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32)에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복수의 감광 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은 중간전사벨트(31)로 중간전사된다. 전사롤러(33)는 중간전사벨트(31)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급지수단(17)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전사롤러(33)와 중간전사벨트(31)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3)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31)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기(15)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출된다.
현상 카트리지(2)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새로운 현상 카트리지(2)로 교체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는 도어(4)에 의하여 개방되는 개구부(3)를 통하여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를 탑재하고 본체(1)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5a)와 본체(1)에 삽입된 장착 위치(5b)로 이동되는 트레이(5)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어(4)를 열고 트레이(5)를 인출 방향(B2)으로 슬라이딩시켜 인출 위치(5a)에 위치시킨 후에 현상 카트리지(2)를 트레이(5)에 탑재한다. 그런 다음, 트레이(5)를 장착 방향(B1)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착 위치(5b)에 위치시키고 도어(4)를 닫을 수 있다. 트레이(5)를 장착 위치(5b)와 인출 위치(5a)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감광드럼(21)과 중간전사벨트(31)와의 접촉에 의한 감광드럼(21)와 중간전사벨트(3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5)가 인출 위치(5a)와 장착 위치(5b)로 이동되는 동안에 현상 카트리지(2)는 감광드럼(21)이 중간전사벨트(31)와 이격되도록 트레이(5)에 지지될 수 있다.
전사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하여는 감광 드럼(21)이 중간전사벨트(31)와 서로 접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4)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와, 현상 카트리지(2)를 감광 드럼(21)과 중간전사벨트(31)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착 위치(5c)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5)는 인출 위치(5a)로부터 장착 방향(B1)으로 슬라이딩되어 장착 위치(5b)로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에 위치되고 도어(4)를 닫으면 도어(4)의 닫힘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가 하강방향(C1)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트레이(5)와 함께 하강방향(C1)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마련된 안착부(도 4: 40)에 안착되면, 감광 드럼(21)이 중간전사벨트(31)에 접촉되고 현상 카트리지(2)는 하강되지 않는다. 트레이(5)는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착된 후에 약간 더 하강하여 안착 위치(5c)에 도달된다. 도어(4)를 열면, 트레이(5)는 상승방향(C2)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로부터 이격되고, 감광 드럼(21)이 중간전사벨트(31)로부터 이격된다. 트레이(5)는 장착 위치(5b)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5)를 인출 방향(B2)로 슬라이딩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어(4)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를 장착 위치(5b)와 안착 위치(5c)로 승강시키는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도어(4)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를 인출 위치(5a)와 장착 위치(5b)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제1위치(도 3)와, 현상 카트리지(2)를 안착부(40)에 안착시키는 제2위치(도 4)로 이동되는 승강 가이드 부재(7)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5)는 승강 가이드 부재(7)에 인출 위치(5a)와 장착 위치(5b)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승강 가이드 부재(7)는 착탈 방향(B)으로 연장되어 트레이(5)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71)와, 도어(4)와 연결되는 연결부(72)를 구비할 수 있다. 링크(8)는 도어(4)와 승강 가이드 부재(7)를 연결한다.
도 5는 도 3의 A1-A1' 단면도이다. 슬라이딩 지지부(71)에는 제1레일(711)이 마련되고, 트레이(5)의 측벽(51)에는 제1레일(711)에 지지되는 제2레일(511)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일(711)은 볼록한 형태이고, 제2레일(511)은 제1레일(711)을 수용하는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트레이(5)는 승강 가이드 부재(7)에 지지되어 인출 위치(5a)와 장착 위치(5b)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연결부(72)에는 승강 방향(C)으로 연장된 제1연결 홈(721)이 마련된다. 링크(8)의 일단부에는 제1연결 홈(721)에 삽입되는 제1연결 돌기(81)가 마련된다. 도어(4)에는 제2연결 홈(41)이 마련된다. 링크(8)의 타단부에는 제2연결 홈(41)에 삽입되는 제2연결 돌기(82)가 마련된다. 제2연결 홈(41)는 제1단부(411)와 제2단부(412)를 구비한다. 제1단부(411)는 도어(4)의 회전 중심(4a)에 가까운 단부이며, 제2단부(412)는 도어(4)의 회전 중심(4a)으로부터 먼 단부이다.
승강 가이드 부재(7)는 도어(4)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착탈 방향(B)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본체(1)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지지부(71)에는 가이드 돌기(712)가 마련된다. 본체(1)에는 가이드 돌기(712)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는 가이드 슬롯(110)이 마련된다. 가이드 슬롯(110)은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장착 방향(B1)과 인출 방향(B2)으로 슬라이딩될 때에, 승강 가이드 부재(7)를 하강 방향(C1)과 상승 방향(C2)으로 각각 승강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도 6은 가이드 슬롯(11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슬롯(110)은 제1슬롯(111)과, 제1슬롯(111)으로부터 하강 방향(C1)으로 단차진 제2슬롯(112)과, 제1슬롯(111)과 제2슬롯(112)을 연결하는 제3슬롯(113)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4)가 열린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712)는 제1슬롯(111)에 지지된다. 도어(4)가 닫히면서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장착 방향(B1)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가이드 돌기(712)는 제1슬롯(111)으로부터 벗어나서 제3슬롯(113)에 안내된다. 따라서, 승강 가이드 부재(7)는 하강 방향(C1)으로 이동된다. 도어(4)가 닫히면 가이드 돌기(712)는 제2슬롯(112)에 지지된다. 도어(4)가 열리면,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인출 방향(B2)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가이드 돌기(712)는 제2슬롯(112)으로부터 벗어나서 제3슬롯(113)에 안내된다. 따라서, 승강 가이드 부재(7)는 상승 방향(C2)으로 이동된다. 도어(4)가 열리면 가이드 돌기(712)는 제1슬롯(111)에 지지된다.
도 7은 도 3의 A2부의 상세도이며, 도 8은 도 4의 A3부의 상세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서,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로부터 안착 위치(5c)로 이동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에는 위치 결정부(21)가 마련된다. 위치 결정부(21)는 안착부(4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위치 결정부(21)는 볼록한 형상이며, 안착부(40)는 위치 결정부(21)를 수용하는 오목한 형상이다.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에 위치된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로부터 상승 방향(C2)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21)이 중간전사벨트(3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어(4)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회전되면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장착 방향(B1)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슬롯(110)에 안내되어 하강 방향(C1)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는 승강 가이드 부재(7)에 착탈 방향(B)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트레이(5)는 장착 위치(5b)에 도달되면 본체(1)에 마련된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접촉되므로, 장착 위치(5b)를 넘어서 장착 방향(B1)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트레이(5)는 장착 방향(B1)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승강 가이드 부재(7)와 함께 하강 방향(C1)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트레이(5)와 함께 하강 방향(C1)으로 이동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21)가 안착부(40)에 접촉된다. 이에 의하여,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착된다. 감광 드럼(21)은 중간전사벨트(31)에 접촉된다.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착된 후에 승강 가이드 부재(7)와 트레이(5)는 하강 방향(C1)으로 더 이동된다.
도어(4)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회전되면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인출 방향(B2)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 슬롯(110)에 안내되어 상승 방향(C2)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는 인출 방향(B2)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승강 가이드 부재(7)와 함께 상승 방향(C2)으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트레이(5)와 함께 상승 방향(C2)으로 이동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21)가 안착부(40)로부터 이격된다. 감광 드럼(21)은 중간전사벨트(31)로부터 이격된다. 트레이(5)는 장착 위치(5b)에 도달된다.
트레이(5)가 인출 위치(5a), 장착 위치(5b), 안착 위치(5c)로 이동될 때에 트레이(5)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2)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현상 카트리지(2)는 트레이(5)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트레이(5)가 이동되는 동안에 트레이(5)에 대한 위치, 즉 트레이(5) 내에서의 위치가 변하지 않아야 한다. 트레이(5)가 이동되는 동안에 트레이(5)에는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충격은 트레이(5)의 이동이 멈출 때에 발생되기 쉽다. 예를 들어, 트레이(5)가 인출 위치(5a)에서 장착 방향(B1)으로 슬라이딩되어 장착 위치(5b)에 도달될 때에,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걸려서 장착 위치(5b)에 멈춘다. 이때, 스토퍼에 의하여 트레이(5)에 충격이 가해지며, 이 충격에 의하여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 내에서 흔들리면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로 이동되면,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로부터 하강되어 안착 위치(5c)에 멈출 때에 트레이(5)에 충격이 가해져서 현상 카트리지(2)가 흔들려서 안착부(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면, 전사 불량에 의한 화상 농도 저하,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 사이의 간격 불균일에 의한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에러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트레이(5)가 인출 위치(5a), 장착 위치(5b), 및 안착 위치(5c)로 이동되는 동안에 트레이(5)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 부재(도 1: 20)를 구비한다. 탄력 지지 부재(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측벽(22)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돌기(23)를 구비할 수 있다. 탄력 지지 부재는 지지 돌기(23)를 트레이(5)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돌기(23)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탄력 지지 부재는 지지 돌기(23)가 안착되는 V자 형태의 지지부(201)와, 지지부(201)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트레이(5)에 결합되는 결합부(202)를 구비하는 탄성 와이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5)의 측벽(51)에는 결합부(202)가 삽입되는 결함 홈(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탑재되면 지지 돌기(23)가 탄성 와이어(200)의 지지부(201)에 지지된다. V자 형태의 지지부(201)에 의하여, 지지 돌기(23)가 착탈 방향(B)으로 2점 지지되므로, 현상 카트리지(2)의 착탈 방향(B)의 위치 변동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200)는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착된 후에도 지지 돌기(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 와이어(200)는 착탈 방향(B) 및 승강 방향(C)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트레이(2)에 가해지는 착탈 방향(B) 및 승강 방향(C)의 충격은 탄성 와이어(200)에 의하여 완충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2)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 또는 방지되어,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도어(4)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와 안착 위치(5c)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가 열린 상태에서는, 링크(8)의 제2연결 돌기(82)는 제2연결 홈(41)의 제1단부(411)에 걸린다. 트레이(5)를 인출 방향(B2)으로 슬라이딩시켜 인출 위치(5a)에 위치시키고 현상 카트리지(2)를 트레이(5)에 탑재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와이어(20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트레이(5)를 장착 방향(B1)으로 슬라이딩시켜 트레이(5)를 본체(1)에 삽입한다.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에 도달되면 트레이(5)가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접촉되어 멈춘다. 이 때 트레이(5)에 가해지는 충격은 탄성 와이어(200)에 의하여 완충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2)의 트레이(5)에 대한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부(21)가 안착부(4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감광 드럼(21)은 중간전사벨트(31)에 접촉되지 않는다.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4)를 닫을 수 있다. 도어(4)가 회전 중심(4a)를 중심으로 닫힌 위치로 회전되면, 링크(8)의 제2연결 돌기(82)는 제2연결 홈(41)을 따라 제2단부(412) 쪽으로 슬라이딩된다. 링크(8)는 승강 가이드 부재(7)의 제1연결홈(721)에 삽입된 제1연결 돌기(8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승강 가이드 부재(7)는 착탈 방향(8)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도어(4)가 계속하여 회전되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8)의 제2단부(82)가 제2연결 홈(41)의 제2단부(412)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4)가 계속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연결 홈(41)의 제2단부(412)가 링크(8)의 제2연결 돌기(82)를 장착 방향(B1)으로 민다. 링크(8)의 제1연결 돌기(81)가 제1연결 홈(72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링크(8)는 승강 가이드 부재(7)의 연결부(72)를 장착 방향(B1)으로 민다.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장착 방향(B1)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는 스토퍼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장착 방향(B1)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트레이(5)의 착탈 방향(B)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부재(7)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712)는 가이드 슬롯(110)의 제1슬롯(111)으로부터 제3슬롯(113)으로 진입되며, 승강 가이드 부재(7)가 트레이(5)와 함께 하강 방향(C1)으로 이동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부(21)가 안착부(40)에 안착된다. 승강 가이드 부재(7)는 장착 방향(B1)으로 더 이동된다. 승강 가이드 부재(7)와 트레이(5)는 하강 방향(C1)으로 더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하강되지 않지만 탄성 와이어(200)의 지지부(201)가 결합부(202)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지지부(201)가 지지 돌기(23)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가 닫히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712)는 제2슬롯(112)에 진입되며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된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어 멈출 때에 트레이(5)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 충격이 현상 카트리지(2)로 전달되면, 위치 결정부(21)가 안착부(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2)가 탄성 와이어(20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충격이 탄성 와이어(200)에 의하여 완충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21)는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현상 카트리지(2)의 본체(1) 내에서의 위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트레이(5)를 본체(1)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먼저 도어(4)를 연다.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가 닫힌 상태에서 제2연결 돌기(82)는 제2연결 홈(41)의 제2단부(412)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도어(4)가 회전 중심(4a)를 중심으로 열린 위치로 회전되면, 제2연결 돌기(82)는 제2연결 홈(41)을 따라 제1단부(411) 쪽으로 슬라이딩되며 링크(8)가 승강 가이드 부재(7)의 제1연결 홈(721)에 삽입된 제1연결 돌기(8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어(4)가 계속하여 회전되면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8)의 제2단부(82)가 제2연결 홈(41)의 제1단부(411)에 도달된다. 도어(4)가 계속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연결 홈(41)의 제1단부(411)가 링크(8)의 제2연결 돌기(82)를 인출 방향(B2)으로 당긴다. 링크(8)의 제1연결 돌기(81)가 제1연결 홈(72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링크(8)는 승강 가이드 부재(7)의 연결부(72)를 인출 방향(B2)으로 당긴다. 따라서,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인출 방향(B2)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는 스토퍼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트레이(5)는 인출 방향(B2)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승강 가이드 부재(7)가 인출 방향(B2)으로 이동되더라도 트레이(5)의 착탈 방향(B)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부재(7)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712)는 가이드 슬롯(110)의 제2슬롯(112)으로부터 제3슬롯(113)에 진입되나. 승강 가이드 부재(7)가 트레이(5)와 함께 상승 방향(C2)으로 이동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의 위치 결정부(21)가 안착부(40)로부터 이격된다. 감광 드럼(1)은 중간전사벨트(31)로부터 이격된다.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가 열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712)는 제1슬롯(111)에 진입되며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에 도달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5)를 인출 방향(B2)으로 당겨서 트레이(5)를 인출 위치(5a)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탄력 지지 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1은 트레이(5)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2는 트레이(5)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탄력 지지 부재는, 트레이(5)의 측벽(51)에 마련된 돌출부(531)에 삽입되는 감김부(211)와, 감김부(211)로부터 연장되어 트레이(5)에 마련된 제1스토퍼(532)에 걸리는 제1아암(212)과, 감김부(211)로부터 연장되어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아암(213)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21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5)에는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로부터 탈거된 때에 제2아암(212)이 걸리는 제2스토퍼(533)가 마련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제2아암(213)은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토퍼(533)에 걸린다. 따라서, 제2아암(213)은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탑재될 때에 지지 돌기(23)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장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기(23)는 제2아암(213)을 누르며, 제2아암(213)은 제1아암(212) 쪽으로 탄력적으로 압축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토션 코일 스프링(21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에 안착된다. 트레이(5)가 상대적으로 현상 카트리지(2)로부터 이격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아암(213)은 제1아암(2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지지 돌기(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도 13과 도 14는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3은 트레이(5)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4는 트레이(5)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탄력 지지 부재는, 트레이(5)에 지지되는 제1부분(221)과, 제1부분(221)으로부터 절곡되어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부분(222)을 구비하는 판스프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제2부분(222)은 도 1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221)으로부터 최대로 펼쳐진 상태이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장착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기(23)는 제2부분(222)을 누르며, 제2부분(22)은 제1부분(221) 쪽으로 탄력적으로 압축되며 현상 카트리지(2)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에 안착된다. 트레이(5)가 상대적으로 현상 카트리지(2)로부터 이격되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222)은 제1부분(2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지면서 지지 돌기(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도 15와 도 16은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5는 트레이(5)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6은 트레이(5)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트레이(5)에는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와 대향되며 승강 방향(C)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 홈(541)이 마련된다. 탄력 지지 부재(230)는, 제1가이드 홈(541)에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231)와, 지지 부재(231)에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에 접촉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32)는 예를 들어 트레이(5)와 지지 부재(231)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231)는 도 15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트레이(5)에는 지지 부재(231)가 제1가이드 홈(5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 부재(231)가 걸리는 걸림턱(542)이 마련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장착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기(23)는 지지 부재(231)를 누르며, 탄성 부재(232)가 탄력적으로 압축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탄력 지지 부재(2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에 안착된다. 트레이(5)가 상대적으로 현상 카트리지(2)로부터 이격되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32)의 압축변형량이 줄어들면서 지지 부재(231)를 밀민다. 현상 카트리지(2)는 탄력 지지 부재(23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도 17과 도 18은 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7은 트레이(5)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8은 트레이(5)가 안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트레이(5)에는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와 대향되며 착탈 방향(B)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 홈(551)이 마련된다. 탄력 지지 부재(240)는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241a)와 제2지지부(241b)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241)와, 지지 부재(241)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24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241)는 제2가이드 홈(551)에 착탈 방향(B)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지지부(241a)는 착탈 방향(B)으로 연장되며, 제2지지부(241b)는 제1지지부(241a)로부터 승강 방향(C)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탄성 부재(242)는 제2지지부(241b)이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에 접촉되도록 착탈 방향(B)의 탄성력을 지지 부재(241)에 가한다. 탄성 부재(241)는 예를 들어 트레이(5)와 지지 부재(241)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241)는 도 17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는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장착될 때에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가 제2지지부(241b)에 접촉되는 위치일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장착되면,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가 제2지지부(241b)를 누른다. 제2지지부(241b)는 경사를 가지므로, 지지 부재(241)는 탄성 부재(242)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린다. 탄성 부재(242)가 압축되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는 제1지지부(241a)와 제2지지부(241b)에 의하여 2점 지지된다. 현상 카트리지(2)는 탄력 지지 부재(24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에 안착된다. 트레이(5)가 상대적으로 현상 카트리지(2)로부터 이격되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2)의 압축변형량이 줄어들면서 지지 부재(241)는 탄성 부재(242)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약간 밀린다. 현상 카트리지(2)의 지지 돌기(23)는 제2지지부(241b)에 접촉되며, 현상 카트리지(2)는 탄력 지지 부재(24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의 폭방향의 양 단부(2a)(2b) 중 하나는 구동 단부이며, 다른 하나는 비구동 단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2a)가 구동 단부이고, 단부(2b)가 비구동 단부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8에서 설명된 탄력 지지 부재는 구동 단부(2a)와 비구동 단부(2b)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단부(2a)와 비구동 단부(2b)에 각각 지지 돌기(23)가 마련된다. 다른 예로서, 비구동 단부(2b)는 전술한 탄력 지지 부재에 의하여 트레이(5)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구동 단부(2a)는 비탄력 지지 부재에 의하여 비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비탄력적으로 지지된다는 것은,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와 안착 위치(5c)로 승강될 때에 비탄력 지지 부재에 의하여 현상 카트리지(2)와 트레이(5)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탄력 지지 부재는 트레이(5)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재(561)와,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와 안착 위치(5c)로 승강됨에 따라서 제1접촉부재(561)에 접촉되어 승강가능하게 현상 카트리지(2)의 구동 단부(2a)에 마련되는 제2접촉 부재(24)를 포함할수 있다. 도 19와 도 20은 비탄력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들로서, 도 19는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에 위치된 상태를, 도 20은 트레이(5)가 안착 위치(15c)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제1접촉부재(561)는 예를 들어 트레이(5)의 양측벽 중에서 현상 카트리지(2)의 구동 단부(2a)와 대향되는 측벽(56)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촉부재(561)는 승강 방향으로 오목한 V자 형태일 수 있다. 제2접촉 부재(24)는 현상 카트리지(2)의 구동 단부(2a)에 승강 방향(C)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2)가 트레이(5)에 장착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부재(24)가 제1접촉부재(561)에 접촉된다. 제2접촉부재(24)는 제1접촉부재(561)에 의하여 2점 지지될 수 있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면, 현상 카트리지(2)는 안착부(40)에 안착된다. 현상 카트리지(2)가 안착부(40)에 안착된 후에도 트레이(5)는 더 하강되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부재(24)는 제1접촉부재(561)에 접촉된 상태로 현상 카트리지(2)에 대하여 하강 방향(C1)으로 슬라이딩된다. 트레이(5)가 안착 위치(5c)에 도달되더라도 제2접촉부재(24)는 제1접촉부재(56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트레이(5)가 장착 위치(5b)와 안착 위치(5c)로 승강되는 동안에 제2접촉부재(24)가 제1접촉부재(561)에 의하여 2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현상 카트리지(2)의 위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구동 단부(2a)에는 현상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된 때에 본체(1)와 동력연결되는 커플링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지지 돌기(23)를 포함하는 전술한 탄력 지지 부재를 구동 단부(2a)에 마련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현상 카트리지(2)의 구동 단부(2a)를 간단한 구조의 비탄력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트레이(5)에 지지함으로써, 트레이(5)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도 불구하고 현상 카트리지(2)의 위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현상 카트리지가 탑재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장착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장착 위치와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2위치로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 부재;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돌기를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돌기가 안착되는 V자 형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돌출부에 삽입되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에 마련된 제1스토퍼에 걸리는 제1아암과, 감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 돌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에 지지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 돌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지지 돌기와 대향되며 상기 트레이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지지 돌기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지지 돌기에 접촉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지지 돌기와 대향되며 상기 트레이의 착탈 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승강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 홈에 상기 착탈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지지 부재에 접촉되도록 상기 착탈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구동 단부와 비구동 단부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탑재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장착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를 상기 장착 위치와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2위치로 승강되는 승강 가이드 부재;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구동 단부를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비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비탄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비구동 단부를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재;
    상기 승강 가이드가 승강됨에 따라서 상기 제1접촉부재에 접촉되어 승강가능하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비구동 단부에 마련되는 제2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개구부와 안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탑재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삽입된 장착 위치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안착 위치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장착 위치, 상기 인출 위치, 및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장착 위치와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구동 단부와 비구동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비구동 단부를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장착 위치, 상기 인출 위치, 및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구동 단부를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비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비탄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력 지지 부재는,
    상기 트레이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재;
    상기 승강 가이드가 승강됨에 따라서 상기 제1접촉부재에 접촉되어 승강가능하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비구동 단부에 마련되는 제2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132951A 2020-10-14 2020-10-1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KR20220049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51A KR20220049386A (ko) 2020-10-14 2020-10-1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PCT/US2021/026794 WO2022081200A1 (en) 2020-10-14 2021-04-12 Structure for mounting development cartrid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18/031,223 US20230375974A1 (en) 2020-10-14 2021-04-12 Structure for mounting development cartrid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51A KR20220049386A (ko) 2020-10-14 2020-10-1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386A true KR20220049386A (ko) 2022-04-21

Family

ID=8120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951A KR20220049386A (ko) 2020-10-14 2020-10-14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75974A1 (ko)
KR (1) KR20220049386A (ko)
WO (1) WO20220812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0772B2 (ja) *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08273B2 (ja) * 2008-06-30 2010-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36186B2 (ja) * 2012-11-02 2016-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32375B2 (ja) * 2015-02-06 2018-1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70077594A (ko) * 2015-12-28 2017-07-06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673251B2 (ja) * 2016-03-11 2020-03-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1200A1 (en) 2022-04-21
US20230375974A1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4646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US96189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7101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360828B2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developing units and holding unit holding the developing units
US8548354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developing rolle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that can be contacted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US9507318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265534B2 (ja) 画像形成装置
EP142919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transferring unit for use in the same
US10067461B2 (en) Developing cartridge with a restricted portion that contacts a restricting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232832A1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15674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220049386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
US20220206431A1 (en) Drawer structure for mounting development cartrid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734987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4815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71265B2 (ja) 画像形成装置
US10203649B2 (en) Bearing device and transferring device
JPH06314017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