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182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9182A KR20220049182A KR1020200132484A KR20200132484A KR20220049182A KR 20220049182 A KR20220049182 A KR 20220049182A KR 1020200132484 A KR1020200132484 A KR 1020200132484A KR 20200132484 A KR20200132484 A KR 20200132484A KR 20220049182 A KR20220049182 A KR 202200491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enser
- flow path
- detergent
- passage
- wash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79 fabric sof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3/025—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a rotatable imperforate tub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측에 출입부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며 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드럼과, 출입부를 통해 캐비닛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고 내부에 세제가 저장 및 공급되는 세제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세제 디스펜서는 출입부를 통해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세제 등의 보조제가 임시 저장되며 세탁수와 함께 배출되는 디스펜서 트레이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디스펜서 트레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고, 하면부에 터브와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디스펜서 하우징에 안착되며 디스펜서 트레이 또는 디스펜서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며, 디스펜서 커버는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전방 공급유로를 구비하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하면에서 확산하여 배출홀로 안내하는 전방 유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구조를 개선한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 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 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 디스펜서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 형태의 세제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공개문헌 KR 10-2018-0090003 A1에는 의류 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세제 디스펜서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세제 디스펜서의 디스펜서 트레이가 사용자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 트레이에는 세제가 저장될 수 있고, 세제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트레이에 저장된 세제를 세탁수와 함께 터브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세제 디스펜서에는 디스펜서 트레이의 인입 상태를 확인하거나, 세탁수의 공급상태를 확인하거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 전기를 이용하고 회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적 구성품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세제 디스펜서의 경우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의 세제가 세제 디스펜서에 잔류하게 되며 장시간 사용시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의 세제가 세제 디스펜서의 이동경로 상에 고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 내부에서의 세제의 고착은 세탁수 또는 세제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린트,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혼합되어 고착될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제 디스펜서 내부에서 분발 또는 액체 세제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개선이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세제 디스팬서 내부에 분말 또는 액체 세제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분말 또는 액체 세제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세제 디스팬서 내부에 세탁수 및 세제가 원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분말 또는 액체 세제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방측에 출입부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며 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드럼과, 상기 출입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고 내부에 세제가 저장 및 공급되는 세제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출입부를 통해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세제 등의 보조제가 임시 저장되며 세탁수와 함께 배출되는 디스펜서 트레이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 트레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면부에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디스펜서 트레이 또는 상기 디스펜서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전방 공급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상기 전방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하면에서 확산하여 상기 배출홀로 안내하는 전방 유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유로부는 상기 측벽부에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직유로와, 상기 수직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를 따라 상기 하면부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유로부는 상기 전방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공급유로는 상기 수직 유로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수홀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리브는 상기 급수홀 사이에서 상기 경사리브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홀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유로의 외측을 덮는 형태의 연장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유로는 상기 수직유로에서 이동되는 세탁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유로의 형성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안내격벽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유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경사유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부의 전방은 상기 경사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홀 측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유로부는 상기 측벽부에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직유로와, 상기 수직유로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일부를 상기 하면부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 1경사유로와, 상기 제 1경사유로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로저항을 형성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산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경사유로는 상기 수직유로의 하부에서 상기 하면부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리브는 소정의 높이로 세탁수의 유로저항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리브 사이에는 세탁수가 통과하여 이동되는 분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리브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 1리브와 상기 제 1리브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 2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리브는 상기 제 1경사유로의 상향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부의 전방은 상기 제 1경사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홀 측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유로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일부를 상기 하면부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제 2경사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제 2경사유로에서 연경되며, 세탁수를 상기 하부면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안내홈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출홀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세제 디스팬서 내부에 분말 또는 액체 세제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분말 또는 액체 세제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세제 디스팬서 내부에 세탁수 및 세제가 원활이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분말 또는 액체 세제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제 디스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유로를 나나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캐비닛의 제 1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 1전방 유로부의 수직유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 1전방 유로부의 경사유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스펜서 캐비닛의 제 2전방 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2전방 유로부의 확산리브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제 디스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유로를 나나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캐비닛의 제 1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 1전방 유로부의 수직유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 1전방 유로부의 경사유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스펜서 캐비닛의 제 2전방 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2전방 유로부의 확산리브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포함할 경우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30)과, 터브(120)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140)와,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하는 세제 디스펜서(200)와,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터브(12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60)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부(170) 및 터브(120)의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순환시키는 건조장치(1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의류 처리장치(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캐비닛(115)과, 의류 처리장치(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미도시)와,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112)이 형성되고 측면 캐비닛(115)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캐비닛(111)과, 측면 캐비닛(115)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면 캐비닛(116) 및 전면 캐비닛(111)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세탁물 출입홀(112)을 개폐하는 도어(11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면 캐비닛(1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114)은 사용자로부터 코스 선택을 입력받는 코스 선택부(114a)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의류 처리장치(100)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113)는 의류 처리장치(100) 외부에서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글래스(113a)가 구비될 수 있다. 글래스(113a)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113)가 닫힌 상태에서 글래스(113a)의 선단이 드럼(130) 내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0)의 후방에는 상기 드럼(130)을 회전시키 위한 모터(미도시)와 회전축(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130)은 모터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드럼(130)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직접구동방식과 간접구동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구동방식은 모터의 회전축이 드럼(130)과 직접 체결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0)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간접구동방식은 모터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밸트(belt)나 풀리(pully)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축과 드럼(130)의 중심이 반드시 동일 선상에 정렬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이러한 직접구동방식을 따른 것으로, 터브(120)의 후방에 구비된 모터(121)에 의해 드럼(130)이 회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브(120)는 드럼(130)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도록, 터브(120)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캐비닛(110)에 매달릴 수 있고, 또한 터브(1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댐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0) 내부에는 터브(120) 내에 저수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의 전방에는 터브(120)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터브의 진동 한계를 상향시키는 웨이트(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30)은 터브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터브(120)에 저수되는 세탁수가 드럼(13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내부면에는 드럼(130)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이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드럼(130)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프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와 드럼(130)은 수평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터브(120)와 드럼(130)의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40)는 외부 급수원(HW, CW)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를 터브(120), 세제 디스펜서(200), 스팀발생장치(160) 등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급수밸브(143)와, 다수의 급수호스(144, 145)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부(140)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원(HW)과,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원(CW)에 각각 온수호스(141)와 냉수호스(142)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호스(141)와 냉수호스(142)를 통해 유입된 물은 급수밸브(143)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세제 디스펜서(200), 스팀발생장치(160)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부(140)는 세제 디스펜서(20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디스펜서 급수호스(144)와, 스팀발생장치(160)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스팀 급수호스(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는 예비 또는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를 임시 저장하며, 급수부(140)의 급수에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터브(12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세제 디스펜서(200)는 수용되는 첨가제들이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획된 수용공간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수용공간에는 개별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200)는 캐비닛(110)의 내부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디스펜서 하우징(230)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가 저장되는 디스펜서 트레이(220)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상부에 구비되어 디스펜서 트레이(22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커버(2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은 급수 벨로우즈(233)를 통해 터브(120)와 연통된다. 따라서 급수부(140)에 의해 급수된 물이 세제 디스펜서(200)를 경유하며 첨가제와 혼합된 후, 디스펜서 하우징(230)에 연결된 급수 벨로우즈(233)를 따라 터브(120)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세제 디스펜서(200)에 대해서는 의류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60)는 급수부(14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는 장치이다. 스팀발생장치(160)는 생성되는 스팀을 드럼(130)의 전방에서 공급하여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의 살균, 주름제거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70)는 터브(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터브(120)에서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부(170)는 터브(120)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 벨로우즈(171)와, 배수 벨로우즈(171)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72)와,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호스(173) 및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터브로 순환 시키는 순환호스(17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호스(173)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배수호스(173)에 트랩을 형성하여 연장될 수 있다. 순환호스(174)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개스킷(190)의 양측에 형성되는 순환노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172)가 작동되면 배수호스(173)를 통해 터브(120)의 세탁탁수가 배수되거나, 순환노즐을 통해 터브(120)의 세탁수가 다시 터브(120)로 공급되어 질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수펌프(172)에는 배수펌프(172)에 의해 이동되는 물이 배수호스(173) 또는 순환호스(174)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설정하는 별도의 3방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펌프(172)가 배수펌프의 기능과 순환펌프의 기능을 겸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배수를 위한 펌프와 순환을 위한 펌프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건조장치(180)는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가열 순환하여 다시 터브(120) 내부로 안내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건조장치(180)는 터브(120)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덕트(181)와 이동되는 공기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공급덕트(1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흡기덕트(181)와 공급덕트(182) 사이에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압력을 형성하는 송풍팬(183)이 구비된다. 흡기덕트(181)는 터브(120)의 후방 외주면솨 송풍팬(183)을 연결하고, 공급덕트(182)는 송풍팬(183)과 개스킷(190)을 연결한다. 또한, 공급덕트(182)의 내부에는 공급덕트(182)를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10)과 터브(120) 사이에는 개스킷(190)이 구비된다. 개스킷(190)은 터브(120)에 저수된 물이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개스킷(190)은 일측은 전면 캐비닛(111)의 출입홀(112)에 체결되며, 타측은 터브(120)의 개구된 전면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개스킷(190)은 터브(120)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진동을 완충시키는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세제 디스펜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제 디스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세제 디스펜서(200)는 세제,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이하, '첨가제'라 호칭함)를 세탁과정 중에 터브(120)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첨가제는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분말 형태 또는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 디스펜서(200)는 캐비닛(110)의 내부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디스펜서 하우징(230)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첨가제가 저장되는 디스펜서 트레이(220)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상부에 구비되어 디스펜서 트레이(22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커버(210)를 구비할 수 있다.
세제 디스펜서(200)는 세제가 저장되는 디스펜서 트레이(220)와, 캐비닛(110) 내부에 위치하며 디스펜서 트레이(220)가 인입되는 출입부(2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제 및 세탁수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230)과,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디스펜서 트레이(220)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 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21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다시 디스펜서 트레이(220) 또는 디스펜서 하우징(23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펜서 트레이(220)에는 세탁 과정 등에서 사용되는 첨가제가 내부에 저장되며, 디스펜서 하우징(230)은 디스펜서 트레이(220)가 수용되어 안착되고, 디스펜서 커버(2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디스펜서 트레이(220)에 저장된 세제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받아 터브(12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세제가 저장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출입부(231)를 통해 캐비닛(1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캐비닛(110)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전방의 손잡이부(221), 저장프레임(340) 및 저장 프레임(222)에 안착되는 세제 저장통(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의 정의는 캐비닛(110)에서 출입홀(112)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닛(110) 내부에서 출입홀(112)를 향하는 방향은 전방에 해당되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캐비닛(110) 내부에서 출입홀(112)를 통해 캐비닛(110)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출입홀(112)에서 캐비닛(110)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캐비닛(110)에서 도어(113)와 출입홀(112)이 서로 다른 면에 마련되는 경우라도 출입홀(112)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이 정의될 수 있다.
캐비닛(110) 내부에서 출입홀(112)의 후방에는 디스펜서 커버(210) 및 디스펜서 하우징(2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캐비닛(1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221)를 후방 측으로 밀게 되면,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슬라이딩되면서 캐비닛(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디스펜서 트레이(220)가 캐비닛(1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펜서 트레이(220)의 전방에 마련되고 캐비닛(110)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221)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캐비닛(110)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스토퍼 등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되는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인출거리의 제한은 선택적이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스펜서 트레이(220)를 설정인출거리만큼 인출하거나 완전히 인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 트레이(220)는 저장 프레임(222), 세제 저장통(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프레임(222)은 세제 저장통(223, 224)이 설치된 상태로 캐비닛(110)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저장 프레임(222)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저장 프레임(222)이 출입부(231)를 통해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한 이동 방식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펜서 하우징(230)에는 저장 프레임(222)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저장 프레임(222)은 슬라이딩레일에 지지되어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 프레임(222)의 전방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21)는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저장 프레임(222)보다 크게 마련되어 출입부(231)를 차폐하고 저장 프레임(2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 저장통(223, 224)은 내부에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제 저장통(223, 224)은 저장 프레임(222)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세제 저장통(223, 224)은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세제 저장통(223, 224)은 저장 프레임(222)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장 프레임(222)상에 설치될 수 있고, 세제 저장통(223, 224)의 개수는 세제의 종류 및 세제의 공급 시기에 따라 복수 또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세제 디스펜서(200)의 경우 디스펜서 트레이(220)에 투입되는 액상 또는 분말 세제들이 디스펜서 커버(210)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면을 따라 흘러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홀(232)을 통해 터브(120)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면에는 물과 혼합된 세제 또는 물과 혼합되지 않은 세제가 잔류하여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면에 고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면에 고착되는 세제는 사용자가 디스펜서 트레이(220)를 이탈 시킬 경우 시각적으로 좋지 않으며, 잔류하는 세제에서 약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면에 잔류하는 세제를 효과적으로 배출홀(232)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유로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세제 디스펜서(200)에 잔류 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디스펜서 커버(210)와 디스펜서 하우징(230)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유로를 나나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하우징의 내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 커버(210)에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에 인입된 디스펜서 트레이(220) 또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으로 직접 물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유로(212, 213, 214, 215, 216, 217)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커버(210)는 내부에 세탁수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디스펜서 하우징(230)을 덮을 수 있도록 직사각 형태의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서 커버(210)의 후방에는 다수의 디스펜서 급수호스(144)가 연결되는 다수의 급수호스 연결부(211)가 형성되며, 디스펜서 커버(210)의 하면에는 각 급수호스 연결부(211)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디스펜서 트레이(220) 및 디스펜서 하우징(23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급수홀(212a, 213a, 214a, 216a, 217a)이 형성되고, 디스펜서 커버(210)의 내부에는 각 급수호스 연결부(211)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각 급수홀(212a, 213a, 214a, 216a, 217a)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유로(212, 213, 214, 215, 216, 21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급수홀(212a, 213a, 214a, 216a, 217a)들은 디스펜서 커버(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디스펜서 트레이(22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트레이 급수홀(212a)과, 디스펜서 커버(210)의 후방 양측에 형성되며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후방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 2후방 급수홀(213a, 214a)과, 디스펜서 커버(21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며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전방 양측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 2전방 급수홀(216a, 217a)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각 급수홀(212a, 213a, 214a, 216a, 217a)들은 다수의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여 디스펜서 트레이(220)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후방과 전방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유로(212, 213, 214, 215, 216, 217)들은 각각의 급수호스 연결부(2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를 트레이 급수홀(212a)로 안내하는 트레이 급수유로(212)와, 제 1후방 급수홀(213a)과 제 2후방 급수홀(214a)로 안내하는 제 1후방 유로(213) 및 제 2후방 유로(214)와, 제 1전방 급수홀(216a)과 제 2전방 급수홀(217a)로 안내하는 제 1전방 분기유로(216) 및 제 2전방 분기유로(21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전방 분기유로(216)와 제 2전방 분기유로(217)는 디스펜서 커버(21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전방 공급유로(215)의 전단부에서 디스펜서 커버(2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전방 급수홀(216a) 및 제 2전방 급수홀(217a)로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2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에는 디스펜서 커버(210)가 안착되어 고정되며, 개방된 전방으로는 디스펜서 트레이(220)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출입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 일측에는 디스펜서 커버(210)에서 공급되는 세탁수 및 디스펜서 트레이(220)의 세제가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0)로 공급되기 위한 배출홀(232)이 형성된다. 배출홀(232)은 별도의 급수 벨로우즈(233)에 의해 터브(12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 벽면 전방과 후방에는 제 1, 2후방 급수홀(213a, 214a) 및 제 1, 2전방 급수홀(216a, 217a)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으로 안내되기 위한 제 1, 2후방 유로부(235a, 235b) 및 제 1, 2전방 유로부(240, 2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후방 유로부(235a, 235b) 및 제 1, 2전방 유로부(240, 250)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 벽면에서 외측방향을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2후방 급수홀(213a, 214a) 및 제 1, 2전방 급수홀(216a, 217a)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배출홀(232)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펜서 하우징(230)는 배출홀(232)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경사면(S1, S2, S3)이 형성되는 하면부(234)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경사면(S1, S2, S3)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후방에서 배출홀(232)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경사면(S1)과,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전방에서 배출홀(232)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경사면(S2)과, 배출홀(232)의 마주하는 방향에서 배출홀 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3경사면(S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3경사면(S1, S2, S3)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이 배출홀 측으로 하향 경사짐으로써 디스펜서 트레이(220)에서 세탁수 및 세탁수에 혼합된 세제가 용이하게 배출홀(23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1후방 유로부(235a)는 디스펜서 커버(210)의 제 1후방 유로(213)의 제 1후방 급수홀(213a)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탁수를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후방 일측 모서리로 안내한다. 제 1후방 유로부(235a)에 의해 안내되는 세탁수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부(234) 후방 일측에서 제 1경사면(S1)에 의해 배출홀(232)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후방 유로부(235a)를 통해 안내되는 세탁수는 하면부(234)의 후방 일측 모서리로부터 제 1경사면(S1)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하면부(234)의 후방 일측 모서리에 잔류하는 세제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배출홀(232)로 흘러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후방 유로부(235b)는 디스펜서 커버(210)의 제 2후방 유로(214)의 제 2후방 급수홀(214a)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탁수를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후방 타측 모서리로 안내한다. 제 2후방 유로부(235b)에 의해 안내되는 세탁수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부(234) 후방 타측에서 제 3경사면(S3)에 의해 배출홀(232)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후방 유로부(235b)를 통해 안내되는 세탁수는 하면부(234)의 후방 타측 모서리로부터 제 3경사면(S3)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하면부(234)의 후방 타측 모서리에 잔류하는 세제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배출홀(232)로 흘러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 1전방 유로부와 제 2전방 유로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제 1전방 유로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캐비닛의 제 1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 1전방 유로부의 수직유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 1전방 유로부의 경사유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전방 유로부(240)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 전방 일측에 측벽부(235)에 대하여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1수직유로(241)와, 제 1수직유로(241)에서 연장되며 측벽부(235)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경사유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수직유로(241)는 디스펜서 커버(210)의 제 1전방 급수홀(216a)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탁수가 측벽부(235)의 내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제 1경사유로(243)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 1수직유로(241)에는 이동되는 세탁수가 제 1수직유로(241)의 내면을 따라 흐르도록 제 1수직유로(241)의 형성방향에 나란한 방향의 다수의 안내리브(24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안내리브(242)는 세탁수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 1수직유로(241)를 흐르는 세탁수가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전방 급수홀(216a)의 하부에는 제 1수직유로(241)의 상부를 덮는 형태의 연장리브(2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리브(245)는 제 1전방 급수홀(216a)에서 제 1수직유로(241)로 세탁수가 분사될 때 제 1전방 급수홀(216a)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으로 세탁수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경사유로(243)는 제 1수직유로(24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측벽부(235)의 내면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측벽부(235)를 기준으로 측벽부(235)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 1수직유로(241)를 흐르는 세탁수는 측벽부(235)를 관통하는 형태로 제 1경사유로(243)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여기서, 제 1경사유로(243)는 제 1수직유로(241)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 전방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경사유로(243)는 제 1수직유로(241)에서 이동되는 세탁수를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 전방 일측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제 1경사유로(2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경사유로(243)와 디스펜서 하우징(230)을 구획하는 안내격벽(244)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격벽(244)은 제 1경사유로(243)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가 제 1경사유로(243)를 따라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일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세탁수를 안내한다.
한편, 제 1전방 급수홀(216a)에서 제 1전방 유로부(240)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1수직유로(241)와 제 1경사유로(243)를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하면부(234) 전방 일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하면부 전방 이측에 잔류하는 세제 찌꺼기 및 이물질이 세탁수에 의해 배출홀(232)로 흘러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제 2전방 유로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스펜서 캐비닛의 제 2전방 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2전방 유로부의 확산리브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전방 유로부(250)는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타측에 형성되며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내측 전방 타측에 측벽부(235)에 대하여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2수직유로(251)와, 제 2수직유로(251)에서 연장되며 측벽부(235)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부(234)로 분기되는 제 2경사유로(252)와 제 3경사유로(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수직유로(251)는 디스펜서 커버(210)의 제 2전방 급수홀(217a)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탁수가 측벽부(235)의 내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제 2경사유로(252)와 제 3경사유로(254)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제 2수직유로(251)에는 상술한 제 1수직유로(241)와 마찬가지로 제 2수직유로(251)를 이동하는 세탁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리브(미도시) 및 제 2전방 급수홀(217a)에서 분사되는 세탁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장리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경사유로(252)와 제 3경사유로(254)는 제 2수직유로(251)의 하단부에서 제 2수직유로(251)를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경사유로(252)는 제 2수직유로(251)의 하부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후방측으로 세탁수롤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경사유로(254)는 제 2수직유로(251)의 하부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전방측으로 세탁수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경사유로(252)는 제 3경사유로(254)의 형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즉, 제 2수직유로(251)는 소정 폭을 갖는 상태로 측벽부에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 2수직유로(251)의 하부에 제 2수직유로(251)에 대하여 다른 경사로 형성되는 제 3경사유로(25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경사유로(252)는 제 3경사유로(254)가 형성되지 않는 제 2수직유로(251)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경사유로(252)는 제 2수직유로(251)의 하부의 일측에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부(234)로 연장되며, 하면부(234)에는 제 2수직유로(251)의 하부에서 제 3경사면(S3)을 따라 하면부(234)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홈(253)이 형성된다.
안내홈(253)은 제 2경사유로(252)를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를 하면부(234)의 중앙부로 안내하여 하면부(234)의 중앙부에 잔류하는 세제 찌꺼기 및 이물질을 배출홀(23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안내홈(253)의 끝단에는 안내홈(253)을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를 배출홀(232) 측으로 안내하기위한 제 4경사면(S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4경사면(S4)은 제 3경사면(S3)의 하향측에서 배출홀(23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경사면(S3)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의 일부와 안내홈(253)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가 제 4경사면(S4)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홀(232)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4경사면(S4)의 상향측에는 제 4경사면(S4)에서 배출홀(23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경사격벽(234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경사격벽(234a)은 제 3경사면(S3)을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의 일부와 제 2경사유로(252)에서 이동되는 세탁수를 배출홀(232)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3경사유로(254)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수직유로(251)의 하측에서 돌출되어 제 2수직유로(251)를 흐르는 세탁수의 일부를 하면부의 전방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 3경사유로(254)는 제 2수직유로(251)와 하면부(234)를 연결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경사유로(254)의 하측에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전방 타측에서 배출홀(232)측으로 경사지는 제 5경사면(S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경사유로(254)를 통해 이동되는 세탁수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전방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 5경사면(S5)에 의해 배출홀(232)로 이동된다.
따라서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부(234) 전방 타측에 잔류하는 세제 찌꺼기 및 이물질들은 제 3경사유로(254)에서 제 5경사면(S5)으로 이동되는 세탁수에 의해 배출홀(232)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5경사면(S5)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경사면(S5)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를 확산시키기 위한 분산리브(255)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경사유로(254)에서 제 5경사면(S5)으로 흐르는 세탁수는 제 5경사면(S5)을 기울기에 의해 제 3경사유로(254)에서 최단거리를 형성하여 배출홀(232)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면부(234)의 전방 타측의 세척수 이동에 의한 세제 찌꺼기 및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5경사면(S5)에서는 제 3경사유로(254)에서 제 5경사면(S5)을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를 배출홀(232)로 이동되기 이전에 확산시켜 하부면(234)의 전방 타측의 세제 찌꺼기 또는 이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제 5경사면(S5)에는 제 5경사면의 경사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분산리브(255)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산리브(255)는 제 5경사면(S5)을 따라 이동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5경사면(S5)을 흐르는 세탁수의 유동저항을 형성함으로써 세탁수가 제 5경사면(S5)에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산리브(255)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경사면(S5)에서 돌출되는 소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리브가 복합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산리브(255)는 소정 높이(D1)를 갖는 제 1분산리브(255a)와, 제 1분산리브(255a)보다 같거나 높은 높이(D2)를 갖는 제 2분산리브(25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분산리브(255a)와 제 2분산리브(255b)의 사이에는 제 1분산리브(255a)와 제 2분산리브(255b)의 사이로 세탁수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분산홈(255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 1분산리브(255a)는 제 5경사면(S5)의 상향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분산리브(255a)의 길이 방향 연장선상에 다수의 제 2분산리브(255b)가 제 5경사면(S5)의 하향측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제 2분산리브(255b)는 제 1분산리브(255a)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5경사면(S5)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탁수의 유량, 유속에 따라 제 1분산리브(255a)의 연장선상이 아닌 제 5경사면(S5)상에 이격되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전방 유로부(240) 및 제 2전방 유로부(250)는 디스펜서 하우징(230)의 하면부(234) 전방 일측과 타측에 세탁수를 공급함으로써 하면부(234) 전방 일측과 타측에 잔류하는 세제 찌꺼기 및 이물질들을 세탁수의 공급과 함께 배출홀(232)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의류 처리장치 110: 캐비닛
111: 전면 캐비닛 112: 출입홀
113: 도어 120: 터브
130: 드럼 140: 급수부
160: 스팀 발생장치 170: 배수부
180: 건조장치 190: 개스킷
200: 세제 디스펜서 210: 디스펜서 커버
213: 제 1후방유로 214: 제 2후방유로
215: 전방 공급유로 216: 제 1전방 분기유로
217: 제 2전방 분기유로 220: 디스펜서 트레이
221: 손잡이부 222: 저장 프레임
223: 제 1세제저장통 224: 제 2세제저장통
230: 디스펜서 하우징 232: 배출홀
233: 급수 밸로우즈 234: 하면부
235: 측벽부 235a: 제 1후방 유로부
235b: 제 2후방 유로부 240: 제 1전방 유로부
241: 제 1수직유로 242: 안내리브
243: 제 1경사유로 244: 안내격벽
245: 연장리브 250: 제 2전방 유로부
251: 제 2수직유로 252: 제 2경사유로
253: 안내홈 254: 제 3경사유로
255: 분산리브 255a: 제 1분산리브
255b: 제 2분산리브 255c: 분산홈
111: 전면 캐비닛 112: 출입홀
113: 도어 120: 터브
130: 드럼 140: 급수부
160: 스팀 발생장치 170: 배수부
180: 건조장치 190: 개스킷
200: 세제 디스펜서 210: 디스펜서 커버
213: 제 1후방유로 214: 제 2후방유로
215: 전방 공급유로 216: 제 1전방 분기유로
217: 제 2전방 분기유로 220: 디스펜서 트레이
221: 손잡이부 222: 저장 프레임
223: 제 1세제저장통 224: 제 2세제저장통
230: 디스펜서 하우징 232: 배출홀
233: 급수 밸로우즈 234: 하면부
235: 측벽부 235a: 제 1후방 유로부
235b: 제 2후방 유로부 240: 제 1전방 유로부
241: 제 1수직유로 242: 안내리브
243: 제 1경사유로 244: 안내격벽
245: 연장리브 250: 제 2전방 유로부
251: 제 2수직유로 252: 제 2경사유로
253: 안내홈 254: 제 3경사유로
255: 분산리브 255a: 제 1분산리브
255b: 제 2분산리브 255c: 분산홈
Claims (16)
- 전방측에 출입부가 마련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의류가 투입되며 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드럼과, 상기 출입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고 내부에 세제가 저장 및 공급되는 세제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출입부를 통해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세제 등의 보조제가 임시 저장되며 세탁수와 함께 배출되는 디스펜서 트레이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 트레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면부에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디스펜서 트레이 또는 상기 디스펜서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전방 공급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상기 전방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하면에서 확산하여 상기 배출홀로 안내하는 전방 유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로부는
상기 측벽부에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직유로와,
상기 수직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를 따라 상기 하면부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유로부는 상기 전방 공급유로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급유로는 상기 수직 유로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급수홀이 구비되며, 상기 전방리브는 상기 급수홀 사이에서 상기 경사리브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홀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유로의 외측을 덮는 형태의 연장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유로는 상기 수직유로에서 이동되는 세탁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유로의 형성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안내격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유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경사유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으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전방은 상기 경사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홀 측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유로부는
상기 측벽부에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직유로와,
상기 수직유로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일부를 상기 하면부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 1경사유로와,
상기 제 1경사유로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로저항을 형성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산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사유로는
상기 수직유로의 하부에서 상기 하면부 전방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형태의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리브는
소정의 높이로 세탁수의 유로저항을 형성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리브 사이에는 세탁수가 통과하여 이동되는 분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브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 1리브와 상기 제 1리브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 2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리브는 상기 제 1경사유로의 상향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전방은 상기 제 1경사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출홀 측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유로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일부를 상기 하면부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제 2경사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제 2경사유로에서 연경되며, 세탁수를 상기 하부면의 중앙부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안내홈에 의해 이동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출홀 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484A KR20220049182A (ko) | 2020-10-14 | 2020-10-14 | 의류 처리장치 |
EP21202332.9A EP3985161B1 (en) | 2020-10-14 | 2021-10-13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7/501,427 US11834772B2 (en) | 2020-10-14 | 2021-10-14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484A KR20220049182A (ko) | 2020-10-14 | 2020-10-14 | 의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9182A true KR20220049182A (ko) | 2022-04-21 |
Family
ID=7817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484A KR20220049182A (ko) | 2020-10-14 | 2020-10-14 | 의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834772B2 (ko) |
EP (1) | EP3985161B1 (ko) |
KR (1) | KR20220049182A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2564B1 (ko) * | 2004-04-14 | 2011-11-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디스펜서 |
KR20060023016A (ko) * | 2004-09-08 | 2006-03-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KR101476183B1 (ko) * | 2008-02-18 | 2014-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제공급장치 |
KR101464301B1 (ko) * | 2008-10-01 | 2014-1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
EP2554737B1 (en) * | 2011-08-01 | 2014-03-26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Laundry washing machine |
WO2021149950A1 (en) * | 2020-01-20 | 2021-07-2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2020
- 2020-10-14 KR KR1020200132484A patent/KR20220049182A/ko unknown
-
2021
- 2021-10-13 EP EP21202332.9A patent/EP3985161B1/en active Active
- 2021-10-14 US US17/501,427 patent/US1183477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834772B2 (en) | 2023-12-05 |
EP3985161B1 (en) | 2023-11-29 |
EP3985161A1 (en) | 2022-04-20 |
US20220112649A1 (en) | 2022-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09921B2 (en) |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 |
KR101635873B1 (ko) | 세탁장치 | |
US9534331B2 (en) | Washer | |
KR102032278B1 (ko) | 세제 혼합부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
KR102281340B1 (ko) | 세탁장치 | |
KR20150025084A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40247425A1 (en) | Washing machine | |
KR20060023017A (ko) | 세탁기 | |
KR20220049182A (ko) | 의류 처리장치 | |
JP6311124B2 (ja) | 洗濯機 | |
US20200131687A1 (en) | Scent dispensing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 |
KR20040011307A (ko) | 세탁기의 순환장치 | |
KR20170086795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316086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7405658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261449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50061824A (ko) | 세탁장치 | |
KR20100008673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2021119931A (ja) | 洗濯機 | |
KR2024008641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042835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20161811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60084076A (ko) | 세탁장치 | |
KR2022016181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20161812A (ko) | 의류처리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