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158A -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158A
KR20220049158A KR1020200132413A KR20200132413A KR20220049158A KR 20220049158 A KR20220049158 A KR 20220049158A KR 1020200132413 A KR1020200132413 A KR 1020200132413A KR 20200132413 A KR20200132413 A KR 20200132413A KR 20220049158 A KR20220049158 A KR 2022004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nnector
unit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441B1 (ko
Inventor
최선욱
Original Assignee
최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욱 filed Critical 최선욱
Priority to KR102020013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차량을 구성하는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을 진단하는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호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커넥터부에 진단을 필요로 하는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가동을 진행하는 신호인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커넥터부측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vehicle component Individual diagnostic device and vehicle component individual diagnos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의 진단을 진행하기 위한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개별적으로 진단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이상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차 상태를 진단하는 OBD(On Board Dignosis)가 알려져 있다. 온보드 진단기(On-Board Diagnostics), 또는 OBD는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스스로 진단하고 그 결과를 리포트하는 장치를 이야기한다.
최근에 생산되는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ECU의 원래 개발 목적은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가변 밸브 타이밍, 공회전, 한계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었으나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과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적인 진단 시스템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최근 OBD-II(On-Board Diagnostic version II)라는 표준화된 진단 시스템으로 정착되었다.
또한, OBD II 자동차 스캐너는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들 정보는 자동차 배터리 잔량, 배터리 전압 정보, 타이어 공기압, 사용유류비, 엔진고장 알림, 유류 소모량, 주행속도/거리/시간, 냉각수 온도, 퓨얼컷/락업 알림, 연비, RPM, 엔진오일 온도, 남은 유량, 기어비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OBD II 자동차 스캐너, 즉, 일반적인 차량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진단을 진행하는 경우,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부품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진단하게 됨에 따라, 정확하게 어떠한 부품이 오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아울러, 고장이 발생된 부품과 연결된 상태에 있는 부품 전체를 교체하는 등, 불필요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1997-0015232 (1997.04.2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개별적으로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적인 결합을 유지하고 상태에 있는 부품에 대한 진단이 아닌, 개별적인 차량 부품의 진단을 진행하여, 보다 명확한 부품 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차량을 구성하는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을 진단하는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호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커넥터부에 진단을 필요로 하는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가동을 진행하는 신호인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커넥터부측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각각의 상기 부품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을 포함하는 부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부품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부측으로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응되는 부품 정보에서 기준 전원값을 추출하여 상기 전원부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부를 통해, 커넥터부로 상기 기준 전원값을 기반으로 전원 변환을 진행한 이후,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정상 가동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제 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경우, 제 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부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부품의 종류는 차량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류 및 차량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품 가동 신호는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엑츄에이터류인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류 부품을 가동하는 제 1 종 가동 신호 및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센서류인 경우, 상기 센서류 부품을 가동하는 신호인 제 2 종 가동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은,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부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제어부 및 상기 부품에 대한 진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부품의 정보를 수집하는 부품 정보 수집 단계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진단이 필요한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을 상기 제어부와 상호 통신 연결하여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하는 부품 인식 단계와, 상기 부품 인식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의 부품을 가동하는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부품을 가동하는 부품 가동 단계와, 상기 부품 가동 단계 이후, 상기 부품의 가동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는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부품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진단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품 인식 단계는 임의의 커넥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임의의 진단 대상 부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은 상기 부품 인식 단계 이후, 상기 부품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한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적합한 기준 전원값을 도출하고, 상기 기준 전원값을 기반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진단 대상 부품 측으로 공급하는 전원 변환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차량의 부품 진단 시,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부품에 대한 진단이 아닌, 개별적인 부품별 진단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부품 진단 시의 오진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 중, 서로 상이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기 위해, 전원부를 마련함으로써, 각각의 부품에 적합한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부품에 대한 진단을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 가동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진단 대상 부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에 대해, 차량의 각종 정보를 취득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류 부품과, 기계적인 구동을 진행하는 액츄에이터류 부품으로 상기 다양한 부품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부품들에 대해 서로 다른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센서류 부품과 액츄에이터류 부품을 상호 분리시킨 상태에서 각 부품의 진단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부품 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의 각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의 진행 순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의 각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선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커넥터부(100), 입력부(200), 제어부(300), 출력부(400), 전원부(500), 메모리부(600) 및 통신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커넥터부(100)는, 상기 부품이 상호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부품은 차량을 구성하는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부(100)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넥터부(100)의 커넥터에 다양한 부품들이 보다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어댑터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100)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태에 있는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의 정상 가동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터부(100)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 가동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인 제 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100)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 가동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인 제 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정상 가동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진단 대상 부품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을 포함하는 부품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200)는 후술할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부품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측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품 정보는 부품명, 부품식별코드, 기준 전원값, 부품 종류, 필요 전압, 필요 전류 및 차량 내 설치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원값은 상기 부품 가동에 필요한 전원값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부품의 종류는 차량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류 및 차량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면서, 각각의 상기 부품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을 포함하는 부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200), 출력부(400) 및 전원부(500), 메모리부(600) 및 통신부(700)와 통신 연결되어, 진단을 필요로 하는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진단을 진행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가동을 진행하는 신호인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커넥터부(100)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부품 정보 중, 상기 부품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는, 차량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류 및 차량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가동 신호는 제 1 종 가동 신호 및 제 2 종 가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엑츄에이터류인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류 부품을 가동하는 제 1 종 가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센서류인 경우, 상기 센서류 부품을 가동하는 신호인 제 2 종 가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처럼, 차량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에 대해, 차량의 각종 정보를 취득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류 부품과, 기계적인 구동을 진행하는 액츄에이터류 부품으로 상기 다양한 부품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부품들에 대해 서로 다른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센서류 부품과 액츄에이터류 부품을 상호 분리시킨 상태에서 각 부품의 진단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부품 진단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앞서 설명한 커넥터부(100)에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였을 경우,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진단 정보를 후술할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출력부(400)는 상술한 입력부(200)와 통합된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작동된다.
특히, 상기 전원부(500)는 상기 커넥터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부품 정보를 제공받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500)는 상기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부(100)측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d을 가동시키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으로 변환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600)는 앞서 설명한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받은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6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진단 대상 부품에 대한 부품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600)에 저장된 상기 부품 정보를 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모리부(700)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진단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700)는 단말기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상기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며,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은, 부품 정보 수집 단계(S100), 부품 인식 단계(S200), 전원 변환 공급 단계(S300), 부품 가동 단계(S400),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S500) 및 진단 정보 출력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100), 상기 부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부(200), 제어부(300) 및 상기 부품에 대한 진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부품 정보 수집 단계(S100)는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커넥터(100)와 연결된 진단 대상 부품의 정보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 인식 단계(S200)는, 상기 커넥터부(100)의 상기 커넥터를 통해, 진단이 필요한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을 상기 제어부(300)와 상호 통신 연결하여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하도록 진행된다.
특히, 상기 부품 인식 단계(S200)는 상술한 커넥터부(100)를 구성하는 임의의 커넥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임의의 진단 대상 부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 변환 공급 단계(S300)는, 상기 부품 인식 단계(S200) 이후 진행된다.
특히, 상기 전원 변환 공급 단계(S300)는 상기 부품 정보 수집 단계(S400)에서 수집한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시키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을 도출하고, 상기 기준 전원값을 기반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진단 대상 부품 측으로 공급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 가동 단계(S400)는 상기 전원 변환 공급 단계(S300) 이후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부품 가동 단계(S400)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태의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하는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S500)는 상기 부품 가동 단계(S400) 이후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가동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진단 정보 출력 단계(S600)는 상기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특히, 상기 진단 정보 출력 단계(S600)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부품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의 진행 순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의 진행 순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정보 수집 단계(S100)에서는, 상술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에서 상기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를 구성하는 입력부(200)를 통해 차량을 구성하는 전체 부품의 부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는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전체 부품의 부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집하고, 별도의 메모리부에 상기 부품 정보를 저장하도록 진행된다.
그리고, 부품 인식 단계(S200)에서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면, 상기 커넥터부(100)에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음을 인식하는 신호인 부품 연결 인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부품 연결 인식 신호를 수신받도록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상기 부품 연결 인식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부품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한 부품 정보 중, 상기 진단 대상 부품과 대응되는 부품 정보를 로드하도록 진행된다.
다음으로, 전원 변환 공급 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로드한 진단 대상 부품의 부품 정보에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값을 산출하고, 이를 상기 전원부(500)측으로 전송하도록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전원부(500)에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기준 전원값을 제공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을 진행하고, 변환된 전원을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된 커넥터측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부품 가동 단계(S400)에서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하기 위한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부품 가동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하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부품 가동 신호는 제 1 종 가동 신호 및 제 2 종 가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엑츄에이터류인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류 부품을 가동하는 제 1 종 가동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센서류인 경우, 상기 센서류 부품을 가동하는 신호인 제 2 종 가동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부품 가동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가동이 진행되며, 상기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S500)에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정상 가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피드백 신호가 생성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에서 생성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제 1 피드백 신호와 제 2 피드백 신호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 가동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피드백 신호는 상기 커넥터부(100)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이 정상 가동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후, 진단 정보 출력 단계(S600)에서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술한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에서 수신받은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정보인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진단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100 : 커넥터부
200 : 입력부
300 : 제어부
400 : 출력부
500 : 전원부
600 : 메모리부
700 : 통신부
S1000 :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S100 : 부품 정보 수집 단계
S200 : 부품 인식 단계
S300 : 전원 변환 공급 단계
S400 : 부품 가동 단계
S500 :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
S600 : 진단 정보 출력 단계

Claims (10)

  1. 차량을 구성하는 각종 센서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을 진단하는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호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커넥터부에 진단을 필요로 하는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가동을 진행하는 신호인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면서, 각각의 상기 부품을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을 포함하는 부품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부품 정보를 제공받은 이후, 상기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변환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단 대상 부품에 대응되는 부품 정보에서 기준 전원값을 추출하여 상기 전원부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부를 통해, 커넥터부로 상기 기준 전원값을 기반으로 전원 변환을 진행한 이후,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정상 가동 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진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제 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부품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경우, 제 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부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부품 가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부품의 종류는,
    차량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류 및 차량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도록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가동 신호는,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엑츄에이터류인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류 부품을 가동하는 제 1 종 가동 신호; 및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의 종류가 센서류인 경우, 상기 센서류 부품을 가동하는 신호인 제 2 종 가동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8. 차량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별적인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부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제어부 및 상기 부품에 대한 진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부품의 정보를 수집하는 부품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진단이 필요한 부품인 진단 대상 부품을 상기 제어부와 상호 통신 연결하여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하는 부품 인식 단계;
    상기 부품 인식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태의 부품을 가동하는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부품을 가동하는 부품 가동 단계;
    상기 부품 가동 단계 이후, 상기 부품의 가동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신호인 피드백 신호를 수집하는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신호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피드백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부품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인 진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진행되는 진단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인식 단계는,
    임의의 커넥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임의의 진단 대상 부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진단 대상 부품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은,
    상기 부품 인식 단계 이후, 상기 부품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한 부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대상 부품을 가동시키는 전원값인 기준 전원값을 도출하고, 상기 기준 전원값을 기반으로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진단 대상 부품 측으로 공급하는 전원 변환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KR1020200132413A 2020-10-14 2020-10-14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KR10240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13A KR102409441B1 (ko) 2020-10-14 2020-10-14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13A KR102409441B1 (ko) 2020-10-14 2020-10-14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158A true KR20220049158A (ko) 2022-04-21
KR102409441B1 KR102409441B1 (ko) 2022-06-14

Family

ID=8143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13A KR102409441B1 (ko) 2020-10-14 2020-10-14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4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232A (ko) 1995-09-28 1997-04-28 박종훈 차량상태 진단방법 및 장치
JP2001163128A (ja) * 1999-12-06 2001-06-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2009198393A (ja) * 2008-02-22 2009-09-03 Toyota Motor Corp 車両診断装置、車両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
JP2011162079A (ja) * 2010-02-10 2011-08-25 Toyota Motor Corp 故障診断装置、故障診断付き電子制御ユニット、故障診断システム、故障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232A (ko) 1995-09-28 1997-04-28 박종훈 차량상태 진단방법 및 장치
JP2001163128A (ja) * 1999-12-06 2001-06-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故障診断装置
JP2009198393A (ja) * 2008-02-22 2009-09-03 Toyota Motor Corp 車両診断装置、車両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
JP2011162079A (ja) * 2010-02-10 2011-08-25 Toyota Motor Corp 故障診断装置、故障診断付き電子制御ユニット、故障診断システム、故障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441B1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2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diagnostics on vehicles
US7689334B2 (en) Engine diagnostic method
US2023039896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vehicle service tools associated with display device based on operating condition of vehicle
US6850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diagnosis of vehicle performance
KR20170013896A (ko)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개인 자동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01221444B (zh) 分布式算术逻辑单元可靠校验
US200801677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utomotive emission data
US20060190155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engine or a gearbox
CN105511448A (zh) 一种集成式车用诊断仪及其诊断方法
KR101885226B1 (ko) 상용 스마트키 호환형 obd-ⅱ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제어 시스템
US20140032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 Onboard Compliance Testing
JP2015229364A (ja) 車両診断機及び車両診断方法
US20200047693A1 (en) Method for Providing Sensor-Based Vehicle Functions in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u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CN104691554A (zh) 用于车辆的检查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7131568A1 (en) Fault codes in a motor vehicle
KR102409441B1 (ko) 차량 부품 개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부품 개별 진단 방법
US11508191B1 (en) Vehicle diagnostic interface device
KR101499092B1 (ko) 차량 진단장치
CN113625690A (zh) 一种汽车智能诊断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1114326B (zh) 动力系统集成控制系统、方法及存储介质
JP2004058777A (ja) 車両の遠隔故障診断システム
JP2015229363A (ja) 車両診断用のデータ収集装置及びデータ収集方法
KR102242227B1 (ko)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진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7696A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CN113762516B (zh) 电子节气门状态管理方法、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