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153A - 두루마기 - Google Patents

두루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153A
KR20220049153A KR1020200132407A KR20200132407A KR20220049153A KR 20220049153 A KR20220049153 A KR 20220049153A KR 1020200132407 A KR1020200132407 A KR 1020200132407A KR 20200132407 A KR20200132407 A KR 20200132407A KR 20220049153 A KR20220049153 A KR 2022004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durumagi
attached
garment
right fr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359B1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영광토탈써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광토탈써비스 filed Critical (주)영광토탈써비스
Priority to KR102020013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Abstract

본 발명은 품위가 돋보이는 매듭진 옷고름과, 겉으로 표나지 않게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줄일 수 있는 두루마기, 소매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두루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판의 양측에 좌측 및 우측 앞섶판이 부착되고, 등판과 좌우측 앞섶판의 상단에 소매가 부착된 두루마기로서, 좌측 앞섶판에 기단이 고정된 제1 옷고름과; 상기 제1 옷고름이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빠져나간 부분을 되접어 역관통시킨 매듭고리와; 상기 매듭고리의 입구측에서 제1 옷고름 앞에 기단을 대고 매듭고리의 뒷부분과 함께 재봉해 합체화한 제2 옷고름과; 상기 매듭고리의 이면과 우측 앞섶판의 섶단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로 이뤄진 두루마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루마기{Korean Treditional Top Coat}
본 발명은 조절이 가능한 가슴품 또는 허리품, 맵시가 돋보이는 고름매듭, 옷고름을 짧게 접어 보관할 수 있게 한 두루마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네 전통의상의 일종인 두루마기는 치마의 대부분이 가려지도록 착용하는 여성용과, 바지의 대부분이 가려지도록 입는 남성용으로 구별되지만, 등판의 양측에 앞섶판에 뒷섶판을 재봉하고, 양측 앞섶판의 섶단 부근에는 길거나 짧은 옷고름의 기단을 재봉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 착용 후 앞섶단이 벌어지지 않게 묶는 속고름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맞춤형 두루마기는 수요자의 가슴둘레와 허리둘레, 신장에 맞게 제작하므로 품을 조절할 필요가 없지만, 대여용 기성 두루마기의 경우에는 수요자의 평균 신체조건을 예상하여 규격별로 준비했다가 주문이 있을 때 수요자의 신체조건에 가까운 칫수의 두루마기를 대여한다.
그럼에도, 총장은 맞는 데, 품이 좁거나 넓어서 착용감이 불만이고, 총장과 품은 맞는 데 소매가 길어도 착용감이 불편하다. 옷맵시를 한껏 뽐내려면 자기 몸에 딱 들어맞는 규격의 두루마기가 필요할 텐데, 임차인은 불만족스럽더라도 대여용 두루마기에 자기 몸을 맞출 수 밖에 없는 점이 아쉽다.
가슴둘레, 허리둘레 가변형 두루마기(저고리 포함)로 등록특허 제10-1176441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앞섶판과 뒷섶판이 맞닿는 동아리부위를 앞뒤로 틔우되 안쪽에 접히고 펴지는 옆섶을 덧붙이고, 앞뒤 트임부에 위 아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끈공을 천공하고 X자상으로 끈을 끼워서 끈을 당기면 품이 줄고 끈을 느슨히 하면 품이 넓어지도록 한 것인 데, 품조절부가 겉으로 드러나 보기에 좋지 않고, 동아리부위의 앞뒤 갈라치기와 옆섶 부착 그리고 끈공의 천공과 끈 끼우기 작업에 긴 시간이 걸리고 제작난이도도 높으며, 가격도 높다.
길고 짧은 옷고름이 부착된 두루마기를 착용할 때 가장 큰 걱정은 아무래도 매듭짓기일테다. 두루마기는 설날, 추석, 부모의 회갑이나 칠순잔치, 폐백, 전통혼례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거의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옷고름을 맵시나게 매듭짓기가 서툴 수 밖에 없다.
이런 고민을 덜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31710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은 옷깃의 일단에서 연장된 긴 옷고름과 옷깃의 타단에서 연장된 짧은 옷고름으로 매듭을 짓고, 긴 옷고름과 짧은 옷고름이 교차하는 부위의 내면에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해 맞붙임으로써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한 것인 데, 매듭짓기가 쉽지 않은 건 여전하고, 매듭 이후의 길고 짧은 옷고름이 벌어져서 맵시도 사납다.
등록특허 제10-1346640호는 좌측 앞섶판에는 길고 짧은 옷고름의 기단을 부착하고, 우측 앞섶판에는 상기 양쪽 옷고름을 겹쳐 대고 띠고리모양으로 접어서 합단추로 잠가 안정시키는 묶음띠를 부착한 것으로, 양쪽 옷고름을 묶음띠의 겉에 대고 합단추를 잠가 고정해야 하고, 보관 시에는 묶음띠를 풀어서 양측 옷고름을 분리시켜야 하는 수고도 든다.
고리매듭짓기 편의 제공에 관련된 또 다른 방안인 등록특허 제10-1602204호는 옷고름의 매듭 대용 고름고리에 긴 옷고름과 짧은 옷고름을 겹쳐 끼워서 앞섶판에 붙이고 떼어내는 탈착형으로, 상기 고름고리의 배면과 고름고리가 고정될 앞섶판의 겉에 벨크로 파스너나 의류용 자석, 단추 또는 지퍼 중에서 선택된 고름고정부재가 부착된 것으로, 탈착형 고름고리에 옷고름을 떼고 붙이는 노력이 필요하고, 떼어 낸 고름고리 일체형 옷고름을 두루마기에 얹어서 접어 보관하기도 불편하다.
(문헌1) 등록실용신안 제20-0231710호 (문헌2) 등록특허 제10-1176441호 (문헌3) 등록특허 제10-1346640호 (문헌4) 등록특허 제10-1602204호
본 발명은 품위가 돋보이는 옷고름 매듭에다 옷고름을 분실할 우려가 없고 겉으로 표나지 않게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조절할 수 있는 두루마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팔 보다도 긴 소매를 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두루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 앞섶판의 겉에 기단이 고정된 제1 옷고름을 우측 앞섶판의 섶단을 매듭고리에서 알맞은 길이만큼 지난 지점에서 앞쪽으로 180° 접어서 매듭고리에 되끼우고, 상기 매듭고리의 입구측에서 제1 옷고름 앞에 제2 옷고름의 기단을 대고 매듭고리의 입구측과 함께 재봉하여 매듭고리와 제1,2 옷고름을 합체화하며, 우측 앞섶판측 섶단의 앞면과 상기 매듭고리의 이면에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하여 매듭고리를 대고 눌러 부착하도록 한 두루마기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두루마기를 착용했을 때, 좌측 앞섶판측 깃단의 외면과 우측 앞섶판측 깃단의 이면에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하여 맞붙임으로써 양측 앞섶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동시에 양측 벨크로 파스너간 결착폭의 선택으로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미조정할 수 있게 한 두루마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뒷섶판과 양측 앞섶판의 내피 상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방향의 연직선 상에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하여 상호간의 결착폭으로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조절할 수 있게 한 두루마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소매의 내피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사이를 띄우고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하여 상호간의 결착폭으로 소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두루마기도 포함한다.
좌측 앞섶판의 겉에 기단이 고정된 제1 옷고름에 매듭고리와 제2 옷고름 및 매듭고리가 재봉으로 합체화된 옷고름은 매듭이 반듯해 시종일관 흐뜨러지지 않아 맵시가 돋보인다.
양측 옷고름을 매듭지은 형태와 흡사한 매듭고리의 벨크로 파스너를 우측 앞섶판측 섶단의 벨크로 파스너에 대고 누르면 그대로 간단히 부착되고 떼어낼 수 있으므로 탈부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옷고름과 매듭고리가 분리되지 않아 분실 우려도 없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좌측 앞섶판측 깃단의 외면과 우측 앞섶판측 깃단의 이면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의 상호 결착으로 양측 앞섶단이 벌어지지 않고, 양측 벨크로 파스너간의 결착폭으로 좌우측 앞섶판의 섶단간 겹침폭으로 가슴품을 미조정할 수 있다.
또한 뒷섶판과 양측 앞섶판의 내피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의 결착폭으로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팔 보다 걸어서 불편한 소매는 내피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로 소매의 길이를 조절하여 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우측 앞섶판의 섶단 일부를 열어 젖히고, 매듭고리가 양측 옷고름과 함께 처진 상태로 도시한 본 발명의 두루마기 정면도
도 2는 매듭고리와 옷고름의 결합도
도 3은 착용상태를 가정한 두루마기의 정면도
도 4는 우측 앞섶판이 열린 상태도
도 5는 일부가 절개된 소매의 정면도
도 6은 옷고름을 짧게 접어 매듭고리에 끼운 경우의 횡단평면도
이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토대로 작성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동종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설명에 기초하여 균등한 범위와 조건 하에서 단순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한 기술적 사상으로 정해지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도 1은 우측 앞섶판의 섶단 일부를 열어젖히고, 매듭고리가 양측 옷고름과 함께 처진 상태로 도시한 본 발명의 두루마기를 정면에서 바라 본 그림이다.
이 그림에서, 등판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좌측 앞섶판(1)과 우측 앞섶판(2)이 부착되고, 등판과 좌우측 앞섶판(1,2)의 상단 경계에는 소매(15)가 부착되며, 2개 1조의 옷고름(3,4)이 구비된 두루마기에 있어서, 도 2를 곁들여 살펴보면, 제1 옷고름(3)은 기단이 좌측 앞섶판(1)의 겉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옷고름(3)은 매듭고리(6)를 관통한 후 소정의 거리에서 앞쪽으로 180° 되접어 겹고름부(5)를 이루게 한다.
겹고름부(5) 이후의 제1 옷고름 부분(3‘)은 매듭고리(6)를 역관통하자마자 자중에 의해 처진다.
제2 옷고름(4)은 상기 매듭고리(6)의 뒷판 입구측에 놓이는 제1 옷고름(3)의 앞면에 기단(4')을 대고 상기 매듭고리(6)의 입구측 뒷부분과 함께 재봉(18)하여 제1 옷고름(3)과 매듭고리(6) 및 제2 옷고름(4)을 합체화한다.
이 같은 옷고름 구조에서, 매듭고리(6)는 제1,2 옷고름(3,4)의 매듭 대역이고, 제2 옷고름(4)과 매듭고리(6)는 제1 옷고름(3)에서 분리되지 못하게 매달렸기에 두루마기를 벗더라도 분리되지 않아 옷고름(3,4)의 분실 우려가 불식되고, 보관편의로 더해진다.
매듭고리(6)의 우측단에 인접한 겹고름부(5)를 손으로 맨 매듭처럼 주름이 잡히게 하려면 매듭고리(6)의 반경을 제1 옷고름(3)의 폭 이하로 하여 죄어지게 한다.
도 1로 돌아가서, 상기 매듭고리(6)의 이면과 우측 앞섶판(2)의 섶단 표면에는 벨크로 파스너(7)(10)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벨크로 파스너(7)(10)는 두루마기를 착용했을 때 매듭고리(6)의 결착에 활용한다. 벨크로 파스너(10)는 제1 옷고름(3)의 기단과 같은 높이에 부착하여 겹고름부(5)를 포함한 제1 옷고름(3)과 매듭고리(6)가 수평에 놓이도록 해 매듭진 옷고름이 맵시나게 한다.
좌측 앞섶판(1)의 깃단 표면과 우측 앞섶판(2)의 깃단 이면에도 벨크로 파스너(8)(9)가 부착되어 있어서 두루마기를 착용하고 양측 벨크로 파스너(8)(9)를 결착하면 두루마기의 깃단이 벌어지지 않는다.
좌측 앞섶판(1)의 섶단에 우측 앞섶판(2)의 섶단을 겹치고 벨크로 파스너(8,9)를 결착해 양측 깃단이 벌어지지 않게 하고, 처졌던 매듭고리(6)를 들어올려 그 벨크로 파스너(7)를 우측 앞섶판(2)측 벨크로 파스너(10)에 결착하면 도 3과 같이 매듭을 대신한 매듭고리(6)에 의해 제1,2 옷고름(3,4)이 맵시나게 매듭진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제,2 옷고름(3,4)을 매듭짓는 수고가 덜어진다.
이 상태에서, 매듭고리(6)를 떼어내고 두루마기를 벗으면 도 1과 같은양상으로 되며, 그렇더라도 제2 옷고름(4)과 매듭고리(6)는 애당초 제1 옷고름(3)에 재봉되었으므로 분리되지 않는다.
도 4는 우측 앞섶판을 열어 제껴서 옆섶의 내피(11) 상에 벨크로 파스너(12,13)가 부착된 모습을 보인 것으로, 양측 벨크로 파스너(12,13)는 소정의 거리를 띄우고 단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부착하여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예컨대, 한복 대여점에 비치된 기성 두루마기 중에서 수요자가 자신의 체격에 근접한 두루마기를 선택해 착용해보고, 가슴품이나 허리품이 넓어 맴시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양측 벨크로 파스너(12,13)의 결착폭으로 가슴품 또는 허리품을 조절해 착용 맵시를 낸다. 도면부호 (14)는 옆섶의 중심선을 표시한다.
도 5에서, 소매(5)의 내피 상에 소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벨크로 파스너(16,17)가 되어 있다. 이들 벨크로 파스너(16,17)의 상호 결착과 결착폭으로 소매(15)의 길이를 수요자의 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타측 소매도 마찬가지이다.
도 6은 제1,2 옷고름(3,4)을 가장 짧은 길이가 되도록 접어서 매듭고리(6)에 끼운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부연하면, 매듭고리(6)를 순방향으로 관통한 후 되접힌(b) 제1 옷고름(3)의 겹고름부(5)에서 상기 매듭고리(6)에 역관통시킨다.
이어서, 매듭고리(6)의 좌측으로 노출된 제1 옷고름(3)의 자유단 이면에 제2 옷고름(4)의 앞면이 겹치도록 180° 되접어(b1) 제1 옷고름(3)의 자유단측이 겹고름부(5)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매듭고리(6)의 우측단으로 빠져나온 제1,2 옷고름(3,4)를 다시 180° 되접어(b2) 매듭고리(6)를 역관통시킨 다음에 매듭고리(6)의 좌축으로 삐져나온 제1,2 옷고름의 자유단을 또다시 180° 되접어 매듭고리(6)에 순방향으로 빼내면 보관 옷고름의 길이가 최소화된다.
벗은 두루마기를 옷장에 보관하거나, 한복전문점이나 한복대여점에서 두루마기를 전시할 때 유용하다.
1: 좌측 앞섶판
2: 우측 앞섶판
3,4: 옷고름
5: 겹고름부
6: 매듭고리
7~10,12,13,16,17: 벨크로 파스너
15: 소매

Claims (4)

  1. 등판의 양측에 좌측 및 우측 앞섶단이 부착되고, 등판과 좌우측 앞섶단의 상단에 소매가 부착된 두루마기로서,
    좌측 앞섶단에 기단이 고정된 제1 옷고름과;
    상기 제1 옷고름이 관통하여 빠져 나간 제1 옷고름 부분을 매듭고리로부터 소정의 길이에서 되접어 겹고름부를 이루고, 상기 겹고름부의 자유단쪽을 역관통시킨 매듭고리와;
    상기 매듭고리의 입구측에서 제1 옷고름의 겉에 기단을 대고 매듭고리와 함께 제1 옷고름에 재봉하여 합체화한 제2 옷고름과;
    상기 매듭고리의 이면과 우측 앞섶단의 섶단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좌측 깃단의 표면과 우측 깃단의 이면에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된 두루마기.
  3. 제1항에 있어서, 옆섶의 내피 상에 가슴품 또는 허리품 조절용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된 두루마기.

  4. 제1항에 있어서, 소매의 내피 상에 소매길이조절용 벨트로 파스너가 부착된 두루마기.
KR1020200132407A 2020-10-14 2020-10-14 두루마기 KR10256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07A KR102567359B1 (ko) 2020-10-14 2020-10-14 두루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07A KR102567359B1 (ko) 2020-10-14 2020-10-14 두루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153A true KR20220049153A (ko) 2022-04-21
KR102567359B1 KR102567359B1 (ko) 2023-08-16

Family

ID=8143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07A KR102567359B1 (ko) 2020-10-14 2020-10-14 두루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710Y1 (ko) 2001-01-20 2001-07-04 김홍갑 한복 웃옷
KR200373166Y1 (ko) * 2004-10-21 2005-01-15 최숙경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20090003245U (ko) * 2007-10-02 2009-04-07 김희자 의복의 속고름 구조
KR101176441B1 (ko) 2010-08-04 2012-08-30 김홍갑 한복저고리
KR101346640B1 (ko)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KR20150004505U (ko) * 2014-06-09 2015-12-17 강미애 소매길이 연장부재가 구비된 한복
KR101602204B1 (ko) 2014-07-16 2016-03-10 이병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710Y1 (ko) 2001-01-20 2001-07-04 김홍갑 한복 웃옷
KR200373166Y1 (ko) * 2004-10-21 2005-01-15 최숙경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20090003245U (ko) * 2007-10-02 2009-04-07 김희자 의복의 속고름 구조
KR101176441B1 (ko) 2010-08-04 2012-08-30 김홍갑 한복저고리
KR101346640B1 (ko)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KR20150004505U (ko) * 2014-06-09 2015-12-17 강미애 소매길이 연장부재가 구비된 한복
KR101602204B1 (ko) 2014-07-16 2016-03-10 이병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한복 저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359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666B2 (en) Convertible garment
US11330850B2 (en) Multi-use garment
US20100281601A1 (en) Convertible garments
US20090070914A1 (en) Garment having a combination jacket and vest
CN108471819B (zh) 可变换式服装
US4497071A (en) Exercise garment
KR20220049153A (ko) 두루마기
US7802317B2 (en) Interchangeable head coverings
US20030135910A1 (en) Shirt
US2091084A (en) Dress
JP3219756U (ja) 着物
US10834977B2 (en) Stretchable garment band
US20070130666A1 (en) Stabilizer loop for garment overlap closures
JP2000282309A (ja) 多機能ズボン及びスカート
JP3054301U (ja) ウエディングドレス
US4232402A (en) Multi-functional convertible garment
JP7328672B2 (ja) リフォーム着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3053546U (ja) 男性の婚礼和装
JPS609203Y2 (ja) 婦人用長着
JPH0339442Y2 (ko)
RU2234225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одежда
JPS6011044Y2 (ja) 上着
KR200426116Y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바지
JPH0232643Y2 (ko)
US3010112A (en) Apparel ga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