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071A -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071A
KR20220049071A KR1020200131744A KR20200131744A KR20220049071A KR 20220049071 A KR20220049071 A KR 20220049071A KR 1020200131744 A KR1020200131744 A KR 1020200131744A KR 20200131744 A KR20200131744 A KR 20200131744A KR 20220049071 A KR20220049071 A KR 20220049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golfer
green
information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279B1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20013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8Surface covering conditions, e.g. of a road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에 기량에 적합한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고, 사용자의 실제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와 일치되게 교정시키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퍼의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을 저장하는 서버 유닛(12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이용하여 골퍼의 기량 등을 고려한 개인별로 최적화된 코스 공략 방법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10)가 코스 공략 방법에서 제시된 목표 지시선(300)과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을 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함으로써 골퍼가 양발 정렬위치와 목표 지시선(300)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수정하도록 하여 골퍼가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와 일치되게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퍼가 그린 측정 장치(500)로 그린의 기울기나 그린 스피드 등을 실측하여 실제 그린 상황에 맞는 퍼팅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A portable golf advice aid device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에 기량에 적합한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고, 사용자의 실제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와 일치되게 교정시키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골프공을 클럽으로 타격하여 홀(hole)에 넣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타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우열을 가리는 경기로, 골프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골프장 지형을 비롯한 골프장의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홀, 티잉그라운드(teeing ground), 페어웨이(fair way), 러프(rough), 해저즈(hazard), 푸팅그린(putting ground), 아웃오브바운즈(out of bounds) 등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타수를 줄이는데 중요하다.
특히, 골프장에서는 숲, 연못, 계곡, 산 등 다양한 장애물들이 설치되어 있기에 이러한 장애물들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골퍼는 골프장의 정보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력, 기후 조건 등의 정보도 함께 파악하여 매 타격 시마다 소요되는 타수를 최소로 하는 타격 전략, 즉 공략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홀 컵의 위치, 최초 타격 지점, 장애물 위치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공략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골퍼는 육안으로 파악된 정보와 사전에 인지하고 있는 정보 및 자신의 실력 등을 기초로 하여 공략법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육안으로 파악된 홀의 위치, 타격지점에서 홀까지의 거리, 장애물의 위치와 자신의 직접 경험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된 공략 정보, 그리고 자신의 힘과 기량을 기초로 하여 특정 타격지점에서 타격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또한, 골퍼는 골프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경우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경기보조원(캐디)의 도움을 받아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의 정보 및 경기보조원이 파악하고 있는 정보로부터 각 타격지점에서 타격방법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경기보조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GPS(Global Position System)를 이용하여 골퍼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전에 입력된 골프장 정보를 골퍼에게 제공하여 골퍼가 공략법을 선택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기술들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36361에 따른 골프 정보 시스템의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은 골프장의 상황을 담은 관제부의 호스트 컴퓨터부와,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되며, 호스트 컴퓨터는 해당 골프장 전체 홀의 영상 및 위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으며, 날마다 변화되는 홀 컵의 위치를 기록 보존하게 되고, 휴대용 단말기는 통상의 휴대용의 PDA 등으로 구성된 본체에, 착탈식으로 삽입 부착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위성과 GPS 통신하는 GPS 모듈을 삽입하여 구성되며, 골퍼는 골프장에서 골프 홀의 각종 정보 및 홀 내에서의 위치 정보/거리를 확인하여 확인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손쉽게 공을 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10-2005-022035에 따른 지피에스 기능 휴대폰을 이용한 골프코스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장치는 정보 제공 서버에서 골프장의 각 코스의 코스 맵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하고, 고객의 요구가 있으면, 고객 단말기로 다운 로딩해 주며, 고객 단말기는, 골프코스의 홀 번호가 선택되면 GPS 위성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의 좌표를 계산하고, 현재 위치에서 해당 홀의 그린까지의 거리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 주고,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하게 자신의 위치에서 각 위치(그린, 장애물, 그린 앞쪽, 벙커, 해저드, 기타 등등)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용이하게 골프경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아울러 골프 플레이어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해 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이 골프코스 정보를 제공하여 골퍼가 코스 공략 방법을 계획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지만, 골퍼의 기량이나 습관 등을 고려하여 코스 공략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선행기술들의 코스 공략 방법이 모든 골퍼들에게 적합한 것이 아닌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이 코스 공략 방법을 제시하여도 각 골퍼가 제시된 코스 공략 방법대로 플레이하는지 확인하는 기능이 전혀 없고, 특히 각 홀에서 플레이할 때 골퍼의 어드레스 자세나 타겟 방향과의 정렬이 코스 공략 방법대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상기 선행기술들의 코스 공략 방법을 사용하여도 골퍼의 경기력 향상이나 타수 절감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새롭고 진보한 골프 보조장치 및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6361호 선행기술: 한국 공개 허공보 제10-2005-02203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퍼의 기량이나 습관 등을 고려하여 개인별로 최적화된 코스 공략 방법을 제시하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퍼의 실제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파악하여 골퍼가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와 일치되게 교정시키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서버에서 제공되는 그린 코스정보가 골퍼가 경기하는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고, GPS로 파악되는 골퍼의 현재 위치도 측정 오차가 존재하므로, 정확한 그린 공략 정보를 수립하기 위하여 이러한 오차를 해소할 수 있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서버 유닛(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GPS 위성(101)을 이용하여 골퍼의 위치정보를 얻는 모바일 기기(110); 및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구비하는 서버 유닛(120);을 포함하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GPS 수신부(111), 데이터 송수신부(112), 디스플레이부(113), 메뉴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메뉴부(130)는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 및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포함하는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는 선택된 코스의 특성 및 골퍼의 기량이나 이전 경기 이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골퍼에게 알맞은 코스 공략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코스 공략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지시선(300)을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는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 상기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게 정렬이 되는지를 골퍼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린의 지형 정보, 잔디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GPS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골프화에 탈부착되는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 및 압전센서 어레이가 골프화 깔창(530)에 부착된 중량 감지 모듈(540)을 이용하여 그린의 굴곡, 기울기, 홀컵까지의 거리, 보행시의 충격력 중의 하나 이상이 측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의 수행 이후에 수행되는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포함하고,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에서 퍼팅거리, 그린 경사도, 그린 스피드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을 퍼팅 지시선(620)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는 퍼팅시에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가 퍼팅 지시선(620)과 차이가 있는지 골퍼가 확인하도록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퍼팅 지시선(6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센서로부터 파악되는 충격량 또는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의 충격량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린 잔디의 성질이나 그린 스피드 특성이 파악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서버 유닛(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GPS 위성(101)을 이용하여 골퍼의 위치정보를 얻는 모바일 기기(110); 및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구비하는 서버 유닛(120);을 포함하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GPS 수신부(111), 데이터 송수신부(112), 디스플레이부(113), 메뉴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메뉴부(130)는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 및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포함하는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는 선택된 코스의 특성 및 골퍼의 기량이나 이전 경기 이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골퍼에게 알맞은 코스 공략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코스 공략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지시선(300)을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는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 상기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게 정렬이 되는지를 골퍼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린의 지형 정보, 잔디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GPS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골프화에 탈부착되는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 및 압전센서 어레이가 골프화 깔창(530)에 부착된 중량 감지 모듈(540)을 이용하여 그린의 굴곡, 기울기, 홀컵까지의 거리, 보행시의 충격력 중의 하나 이상이 측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의 수행 이후에 수행되는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포함하고,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에서 퍼팅거리, 그린 경사도, 그린 스피드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을 퍼팅 지시선(620)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는 퍼팅시에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가 퍼팅 지시선(620)과 차이가 있는지 골퍼가 확인하도록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퍼팅 지시선(6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센서로부터 파악되는 충격량 또는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의 충격량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린 잔디의 성질이나 그린 스피드 특성이 파악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골퍼의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을 저장하는 서버 유닛(12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이용하여 골퍼의 기량 등을 고려한 개인별로 최적화된 코스 공략 방법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10)가 코스 공략 방법에서 제시된 목표 지시선(300)과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을 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함으로써 골퍼가 양발 정렬위치와 목표 지시선(300)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수정하도록 하여 골퍼가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와 일치되게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퍼가 그린 측정 장치(500)로 그린의 기울기나 그린 스피드 등을 실측하여 실제 그린 상황에 맞는 퍼팅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블록도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메뉴부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동작과정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메뉴부 작동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그린 측정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그린에서의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메뉴부 작동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그린에서의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경사진 페어웨이에서 양발 측정장치로 양발을 정렬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경사진 페어웨이에서 양발 측정장치로 양발을 정렬하는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그린에서 양발 측정장치로 양발을 정렬하는 메뉴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그린에서 양발 측정장치로 양발을 정렬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10)및 서버 유닛(120)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110)는 서버 유닛(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101)을 이용하여 골퍼의 위치정보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10)는 서버 유닛(120)과 통신할 수 있고 GPS 위성(101)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기기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110)로서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골퍼(또는 골프장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고도 함)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증강현실 안경(Augmented Reality Glass;AR 글래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기기(110)로서 골퍼가 이용중인 골프장에 소속되어 골퍼와 함께 이동하면서 골퍼의 플레이를 돕는 캐디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혹은 골퍼가 이용중인 골프장에서 제공되는 별도의 모바일 기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골퍼가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거나 골퍼의 휴대폰이 GPS 위성(1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110)에는 GPS 수신부(111), 데이터 송수신부(112), 디스플레이부(113), 메뉴부(130)가 구비되고, 서버 유닛(120)에는 데이터베이스(140)가 구비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110)에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모바일 기기(110)에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소프트웨어는 휴대용 어드레스 보조장치(100)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구글플레이 스토어나 다른 앱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상기 GPS 수신부(111)는 모바일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코스 공략 정보 등의 생성을 위하여 현재 위치를 추출하는 것으로 위치 파악을 위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GPS 수신부(111)가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추출한다. GPS 신호를 통한 현재 위치 추출은 공지된 바와 같이 최대 4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GPS 수신부(111)의 현재 위치 추출은 골퍼가 모바일 기기(110)의 화면에서 메뉴부(130)를 활성화시키는 경우에만 작동할 수 있다. 즉 현재 위치 추출은 항상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골퍼가 골프장에 도착하여 골프장 정보를 제공받거나 각 홀에서 플레이를 하기 전에 후술하는 코스 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골퍼가 경기 중에 골프공이 낙하한 지점에서 다시 코스 공략 정보 등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퍼가 A 골프장을 방문하여 플레이를 하는 경우에, 골퍼가 모바일 기기(110)의 메뉴부(130)를 활성화시키면 상기 GPS 수신부(111)에서 파악한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골프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120)에 접속하여 A 골프장의 골프장 정보를 모바일 기기(110)에 저장하고, 추후에 골퍼가 메뉴 중에 골프장 정보나 코스 정보를 선택하면, 저장된 A 골프장의 골프장 정보나 코스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메뉴부(130)는 모바일 기기(110)를 서버 유닛(120)에 접속시킨 후에 서버 유닛(12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모바일 기기(11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는 메뉴부(130)에서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모바일 기기(110)에 상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가 없는 경우에는 메뉴부(130)는 서버 유닛(120)의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어드바이스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버 유닛(120)의 데이터베이스(140)는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구비한다. 서버 유닛(120)의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는 전국의 모든 골프장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모바일 기기(110)가 요청시에 GPS 수신부(111)에서 파악한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골프장 정보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10)로 제공한다.
또한, 서버 유닛(12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는 해당 골퍼 또는 다른 골퍼들에 대한 다양한 기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는 골퍼가 해당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이나, 골퍼가 해당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이나, 골퍼의 과거 플레이 기록을 근거로 평가한 골퍼의 레벨, 골퍼와 동일한 레벨의 적어도 1인 이상의 다른 골퍼가 해당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 골퍼와 동일한 레벨의 적어도 1인 이상의 다른 골퍼가 해당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 및 골퍼와 동일한 레벨의 적어도 1인 이상의 다른 골퍼의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고, 이들 기록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참조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복합적으로 참조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뉴부(130)는 골프장 정보(131), 코스 정보(132),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골프장 날씨(135) 및 환경설정(136) 메뉴를 구비하고, 특히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메뉴 하부에 코스 공략 정보(210), 어드레스 정보(220), 퍼팅 공략 정보(230),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를 선택하는 메뉴가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골프장 정보(131)는 골프장의 전체 지도, 골프장의 지형적 특징, 골프장의 기후적 특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코스 정보(132)는 각 코스의 그린, 페어웨이, 러프 등의 형상,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코스 맵 정보, 높낮이나 경사를 포함하는 지형적 특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는 상기 선택된 코스의 특성 및 골퍼의 기량이나 이전 경기 이력 등을 참조하여 각 골퍼에게 알맞은 코스 공략정보를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는 골퍼의 양발 정렬선이나 골프공의 정렬선을 기준으로 상기 코스 공략정보대로 골퍼가 어드레스를 하는지 확인하고 차이가 있으면 그 차이를 해소하도록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린의 지형 정보, 잔디 정보 등에 기초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제공하고,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는 퍼팅시에 골퍼의 양발 정렬선이나 골프공의 정렬선을 기준으로 상기 퍼팅 공략 정보대로 골퍼가 어드레스를 하는지 확인하고 차이가 있으면 그 차이를 해소하도록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메뉴부(130)는 또한 골프장 날씨(135) 메뉴를 더 구비하여 골퍼가 위치한 골프장의 현재 날씨를 화면에 표시하고, 환경설정(136) 메뉴를 통해 메뉴부(130)의 각 메뉴의 순서나 메뉴 색상이나 글자 크기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어드레스 보조장치(100)에서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단계(S1)에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받고자 하는 골퍼는 휴대용 어드레스 보조장치(100)에서 메뉴부(130)를 작동하여 활성화시킨다. 모바일 기기(110)로서 사용자 자신의 휴대폰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요청은 자신의 휴대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아무 때나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거나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단계(S1)에서 메뉴부(130)를 활성화하면 골퍼의 휴대폰 번호나 기타 다른 식별정보를 근거로 해당 골퍼를 다른 골퍼와 구별하여, 메뉴부(130)를 활성화한 해당 골퍼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메뉴부(130)의 모든 메뉴가 수행되도록 한다.
제2 단계(S2)에서는 모바일 기기(110)가 GPS 위성(101)으로부터의 위성신호를 수신한다. 제3 단계(S3)에서는 모바일 기기(110)의 위치에 근거하여 골퍼의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제1 단계(S1) 내지 제3 단계(S3)는 골퍼가 메뉴부(130)를 활성화하면 자동으로 수행하고, 특히 제3 단계(S3)를 통해 골퍼의 위치가 확인되면 자동으로 서버 유닛(120)에 접속하여 해당 골프장 정보(131)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10)로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제4 단계(S4)는 골퍼가 메뉴부(130)의 코스정보(132) 메뉴를 선택하면 골퍼의 위치정보로부터 골퍼가 위치한 코스정보(132)를 모바일 기기(110)에 저장한다. 제4 단계(S4)의 골프장 정보(131)는 서버 유닛(120)의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골프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특히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각 코스의 그린 위치 정보, 파(par) 정보, 경사도, 벙커 위치 정보, 해저드 위치 정보, 홀컵 위치 정보, 특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코스에 대한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어 해당 코스에서의 플레이에 대한 충고나 기타 참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단계(S4)에서 획득한 코스 정보(132)는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에 맵 형태의 그림으로 표시되거나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서버 유닛(120)의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해당 코스의 홀컵 위치 정보가 누락된 경우나 홀컵 위치 정보가 잘못된 경우에는, 골퍼가 홀컵 위치 입력(133)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코스의 홀컵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홀컵 위치 정보의 입력은 홀컵 좌표를 숫자로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3)의 코스 맵에서 특정 위치를 골퍼가 손이나 펜으로 타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S4)에서 서버 유닛(12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골퍼가 해당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이나, 골퍼가 해당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모바일 기기(110)에 저장할 수 있다.
제5 단계(S5)에서 골퍼가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메뉴를 선택하면, 코스정보(132) 및 골퍼의 과거 경기 기록 등에 근거하여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되, 먼저 골프공이 골프 코스의 그린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만일 골프공이 골프 코스의 그린이 아닌 티잉 그라운드, 페어웨이, 러프, 해저드 등에 위치하면 메뉴부(130)의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에서 코스 공락 정보(210) 메뉴 및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6 단계(S6) 및 제61 단계(S61)로 넘어가고, 만일 골프공이 골프 코스의 그린에 위치하면 퍼팅 공략 정보(230) 및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를 표시하는 제7 단계(S7)로 넘어 가도록 한다.
제6 단계(S6)에서 골퍼가 코스 공락 정보(210) 메뉴를 선택하면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제3 단계(S3)에서 획득한 골퍼의 위치 정보와 제4 단계(S4)에서 획득한 해당 코스의 그린 위치 정보, 파(par) 정보, 경사도, 벙커 위치 정보, 해저드 위치 정보, 홀컵 위치 정보 등의 상황정보와 또한 데이터베이스(14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에서 제공한 정보를 참조하여 골퍼에게 제공할 코스 공락 정보를 생성한다.
제6 단계(S6)의 코스 공락 정보는 현재 위치와 현재 코스의 특성 및 지형 정보 등을 기초로 생성된 목표 코스 정보를 포함하고, 목표 코스 정보는 현재 위치로부터 추출한 목표 위치를 포함하며 해당 위치로 골프공을 쳐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6 단계(S6)의 코스 공략 정보는 현재 코스에 대해서 경사도, 벙커 위치 정보, 해저드 위치 정보, 공략 방법 설명 정보, 사용 추천 골프채 정보, 홀컵 위치 정보, 홀컵과 목표 위치의 편차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 코스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상기 목표 코스 정보와 현재 위치와 골프장 지형 정보를 결합하여 그래픽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되 현재 위치와 목표 위치를 예컨대 화살표 형식으로 연결하여 골프 플레이 방향을 용이하게 판단하는 목표 지시선(300)을 코스 맵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61 단계(S61)에서 만일 골퍼가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를 선택하면, 어드바이스 생성부(130)는 골퍼의 양발 정렬위치를 파악한 후 양발 정렬선(610)을 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여 상기 목표 코스 정보와 양발 정렬위치와의 차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
골퍼의 양발 정렬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110),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이나 AR 글라스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골퍼의 양발을 촬영하면서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인공지능 기법으로 이미 인식된 골프화를 파악하고, 양 골프화 발끝의 양발 정렬선(610)을 A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
다음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모바일 기기(110)의 3축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양발 정렬선(610)의 방위각을 파악한다. 그 후 GPS로 파악된 골퍼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목표 위치를 활용하여 골퍼와 상기 목표 위치간의 목표 지시선(300)을 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증강현실에서 가상물체에 대한 위치와 방위를 파악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924호 등을 참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골퍼를 중심으로 상기 목표 지시선(300)과 양발 정렬선(610)이 표시되어 골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자신의 양발 정렬위치가 목표 지시선(300)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어드바이스 생성부(130)가 양발 정렬선(610)과 목표 지시선(300)간의 편차를 연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여 골퍼가 상기 편차를 줄이는 것을 도와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뉴부(130)는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작동할때 사용자의 위치, 각 코스에서의 플레이 기록을 수행하여 서버유닛(14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에 자동으로 저장하고, 추후 해당 골퍼가 해당 코스에서 다시 플레이를 할 때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의 플레이 기록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각 골퍼의 개인 기록을 참조하여 골퍼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어드바이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 제1 단계(S1) 내지 제61 단계(S61)까지의 메뉴부 작동과정을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플레이하고 있는 골프코스가 그린(G), 러프(R), 페어웨이(F)의 지형 속성을 갖는 경우에,
골퍼가 메뉴부(130)를 활성화시키면 제2 단계(S2), 제3 단계(S3)를 수행하여 상기 GPS 수신부(111)로부터 골퍼가 제1 위치(P1)에 있는 것을 파악하고,
제4 단계(S4)를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140)로부터 상기 골퍼가 위치한 골프코스의 특성 정보 및 골퍼 기량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제5 단계(S5)에서 도면과 같이 골퍼가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제1 위치(P1)인 경우에는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와 어드레스 정보 (220) 메뉴를 표시하고, 제6 단계(S6)에서 골퍼가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제1 위치(P1)로부터 목표 위치(G)를 이어주는 목표 지시선(300)을 골프 맵에 표시한다.
이후에 제61 단계(S61)에서 골퍼가 어드레스 정보 (220) 메뉴를 선택하면, 모바일 기기(110)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골퍼의 양 발끝의 양발 정렬선(610)을 A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목표 지시선(300)과 양발 정렬선(610)이 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되면, 골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보면서 양발 정렬선(610)을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도록 조절하여 골퍼의 몸이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여 퍼팅을 하는 제7 단계(S7)에 대하여 설명한다.
골퍼가 메뉴부(130)의 퍼팅공략정보(230) 메뉴를 선택하면, 먼저 그린의 경사, 그린의 잔디 특성, 골퍼의 현 위치로부터 해당 코스의 홀까지의 거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4 단계(S4)를 통해 획득한 상기 코스정보로부터 파악한다.
그러나 서버 유닛(120)에서 제공된 잔디 특성이나 경사 관련 상기 코스정보가 골퍼가 경기하는 현재 상황과 다를 수 있고, GPS로 파악되는 골퍼의 현재 위치도 측정 오차가 존재하므로, 정확한 퍼팅 공략 정보를 수립하기 위하여 이러한 오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골프에서 퍼팅은 그린 상의 굴곡 또는 그린의 경사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세기와 방향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넣어야 한다. 그런데 골프에서 퍼팅은 골프 스코어의 절반을 차지하므로 골프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서, 그린 상의 거리나 그린의 경사도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골퍼들은 그린에서 퍼팅을 하기 전에 그린 위에 눕거나 엎드려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경사도를 분석하지만, 그린이 녹색 단일색으로 되어 있어 눈으로 그린의 경사도나 굴곡을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골퍼는 그린 위를 도보로 걸으면서 보폭이나 발바닥 감각을 이용하여 홀컵까지의 거리, 그린의 경사도 등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한 정보를 통해 퍼팅시 어드레스 자세와 골프공의 타격방향 및 강도 등을 설정하여 왔으나, 이러한 보폭이나 감각은 개인마다 다르고 골프 경기 당시의 상황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어 정확한 그린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 유닛(120)에서 제공되는 그린 정보의 부정확성이나 일반 골퍼들의 시각이나 보행 감각에 의존한 그린 특성 파악의 부정확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그린 특성을 측정하는 별도의 측정수단을 이용한다.
먼저, 본 발명은 골퍼가 제7 단계(S7)에서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를 선택하면 제4 단계(S4)를 통해 획득한 상기 코스정보를 파악한 후, 제8 단계(S8)로 그린 측정 장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그린 측정 장치 사용메뉴(231)를 표시한다.
제8 단계(S8)의 그린 측정 장치 사용메뉴(231)에서 그린 측정 장치 사용을 선택하면, 다음으로 제9 단계(S9)에서 그린 측정 장치(500)와 모바일 기기(110)를 연동시키는 그린 측정장치 연동 메뉴(232)를 표시하여 골퍼가 선택하도록 한다. 양 기기의 연동은 블루투스나 UWB(Ultra Wide Band)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방법이 가능하다.
제9 단계(S9)의 그린 측정장치 연동이 완료되면, 제10 단계(S10)에서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를 표시하여 골퍼가 선택하도록 하여, 그린 측정 장치(500)를 이용하여 그린의 특성을 직접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모바일 기기(110)로 송신한다.
제10 단계(S10)의 그린 측정이 완료되면, 제11 단계(S11)에서 골퍼가 퍼팅 준비가 된 시점에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수행하되, 제7 단계(S7)에서 획득한 서버 유닛의 코스 정보와 그린 측정 장치(50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골퍼에게 제공한다. 제11 단계(S11)가 수행되면 모바일 기기와 그린 측정장치 연동이 해제되고 그린 측정장치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퍼팅 공략 정보는 퍼팅 거리, 퍼팅 방향, 홀컵 기준의 편향 거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에 퍼팅 거리, 퍼팅 방향을 표시하는 퍼팅 지시선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퍼팅거리, 그린 경사도, 그린 스피드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퍼팅방향과 볼 궤적이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퍼팅거리와 퍼팅방향 데이터를 근거로 골퍼의 위치에서부터 목적 홀까지의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을 퍼팅 지시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3 단계(S13)에서 골퍼가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선택하면, 제6 단계(S6)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발 정렬선(610)을 파악하여 AR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 후, 골퍼는 양발 정렬선(610)을 디스플레이부(113)의 퍼팅 지시선과 평행하도록 일치시키고, 이후 퍼팅을 하면 실제로 공이 그린의 상하좌우 기울기에 의해 홀컵으로 들어가게 된다.
만일 제13 단계(S13)에서 골퍼가 정렬선이 표시된 골프공을 사용하는 경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인공지능 기법으로 골프화와 더불어 골프공 정렬선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A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3)에는 AR 기능을 이용하여 양발 정렬선, 퍼팅 지시선 및 골프공 정렬선이 동시에 표시되므로, 골퍼는 퍼팅 전에 휴대폰 화면이나 AR 안경을 보면서 골프공 정렬선과 양발 정렬선을 퍼팅 지시선과 평행하게 일치시키고 퍼팅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제13 단계(S13)에서 모바일 기기(110)와 연동되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양발 정렬선과 퍼팅 지시선의 편차를 연산하여 골퍼에게 이어폰으로 편차를 음성으로 알려주어 양발 정렬선과 퍼팅 지시선의 편차를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제8 단계(S8)에서 그린 측정 장치 사용을 선택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제4 단계(S4)의 서버 유닛에서 획득한 그린 정보에만 근거하여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수행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생성한다. 제12 단계(S12)의 퍼팅 공략 정보는 퍼팅 거리, 퍼팅 방향, 홀컵 기준의 편향 거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에 퍼팅 거리, 퍼팅 방향, 홀컵 기준의 편향 거리,그린의 굴곡도를 포함하는 그린 맵을 표시하고, 특히 퍼팅 거리, 퍼팅 방향을 표시하는 퍼팅 지시선(620) 및 퍼팅 지시선(620)의 방위각을 표시한다.
제12 단계(S12) 이후에 골퍼가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선택하면, 제61 단계(S61)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발 정렬선(610)을 파악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고, 골퍼는 양발 정렬선(610)을 디스플레이부(113)의 퍼팅 지시선과 평행하도록 일치시킨 후 퍼팅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9 단계(S9)에서 사용되는 그린 측정 장치(5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그린 측정 장치(500)는 그린의 경사도나 굴곡 등을 측정 가능한 라이더 센서, 광학센서, 카메라 센서 등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그린 측정 장치(500)는 골프화(510)에 탈부착 가능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과 골프화 깔창(530)에 부착되는 중량 감지 모듈(540)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은 3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 각속도를 측정하는 3축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GPS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벨크로 등과 같은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을 이용하여 골프화(510)에 부착되고, 상기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은 각 신발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을 이용하여 그린의 굴곡, 기울기, 홀컵까지의 거리, 보행시의 충격력 등을 파악한다.
또한 상기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은 골퍼의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작동을 위한 소형 배터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량 감지 모듈(540)은 압전센서 어레이가 골프화 깔창(530)에 부착되되, 골퍼 발바닥의 하중 분포를 가능한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부착되며, 골퍼의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작동을 위한 소형 배터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량 감지 모듈(540)을 이용하여 골퍼의 양발에 가해지는 체중 분포나 골퍼가 이동 중에 골프화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린 측정 장치(500)로 그린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골퍼가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을 골프화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중량 감지 모듈(540)이 부착된 신발깔창을 골프화에 설치한다.
다음에, 제9 단계(S9) 메뉴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과 중량 감지 모듈(540)을 작동시켜 모바일 기기와 연동시켜 각 모듈의 측정값들이 실시간으로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송수신부(112)를 통해 메뉴부의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모바일 기기(110)와 각 모듈(520, 540)이 연동되는 위치와 시간을 기준으로 그린의 측정을 시작하고, 그 전에 기록한 측정 데이터는 삭제하여 리셋시킨다. 따라서, 골퍼는 골프공이 위치한 지점에서 모바일 기기(110)와 각 모듈(520, 540)이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10 단계(S10) 메뉴를 실행하기 위하여 골프공 위치를 기준으로 골퍼가 골프공 위치로부터 홀컵 위치까지 보행하여 이동하되 홀컵을 중심으로 복수회 이동하면서 그린 측정 장치(500)로 그린을 측정한다.
특히 그린 측정 장치(500)가 홀컵 위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홀컵 위치에서 양발로 그린을 복수회 쿵쿵거려서 강한 충격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그린 측정 장치(500)의 가속도 센서나 중량 감지 모듈(540)이 강한 복수회의 충격력을 감지하고 추후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다른 지점보다 충격력이 강한 해당 위치를 홀컵 위치로 인식한다.
골퍼가 보행하는 동안에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은 3축 가속도 센서, 각속도를 측정하는 3축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GPS 센서를 이용하여 그린의 경사도, 이동 거리, 이동 방향을 측정하여 그린의 굴곡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가속도센서 측정값을 이용하여 골프공과 홀컵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골퍼의 이동방향과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측정값에 근거하여 골퍼의 이동거리와 이동방향의 정보값을 산출한다. 가속도센서 측정값을 이용한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의 정보값은 단독으로 또는 GPS 센서를 이용한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 산출을 보완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자이로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자이로센서 측정값, 즉 X,Y,Z 축 각속도 변화량과 가속도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가속도센서 측정값 즉 X,Y,Z축 가속도 변화량으로부터 골프공 위치와 홀컵 사이의 굴곡을 연속적으로 산출하여 연속적인 경사 정보인 굴곡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은 자이로 센서의 X,Y,Z축 각속도 변화량과 가속도 센서의 X,Y,Z축 가속도 변화량을 Roll, Pitch, Yaw 값으로 변환하여 도보 이동에 따른 흔들림(병진 운동)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지자기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지자기 센서 측정값 중, Z축 변화량을 흔들림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기준 정보, 즉 가속도센서 측정값과 자이로센서 측정값의 Z축 변화량의 비교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은 자이로센서 측정값, 가속도센서 측정값, 지자기센서 측정값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으나,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에서 그린의 경사각 산출은 골퍼가 골프화로 그린을 밟은 시점의 측정값만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골퍼가 그린을 보행하면서 밟은 시점은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센서로부터 파악되는 충격량 및/또는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의 중량 감지값이나 중량 분포로부터 파악할 수 있고, 골퍼가 그린을 보행하면서 밟은 위치(이하 “보행지점”이라 한다)는 해당 시점의 이동거리와 이동방향의 정보값 및/또는 GPS 센서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10 단계(S10)에서 그린 측정을 수행하면 도 6과 같이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골퍼가 그린 위를 보행한 이동 경로 정보를 파악하고, 각 보행지점마다 그린의 경사도가 파악되어 그린의 전체 굴곡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그린 영역 중에서 골퍼가 보행하지 않은 위치의 경사도 정보나 그린 스피드 정보는 각 보행지점의 측정값들을 적용하여 선형보간방법으로 산출하거나, 서버 유닛(120)의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서 수신한 정보를 같이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센서로부터 파악되는 충격량 및/또는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의 충격량을 이용하여 골퍼의 보행지점에서 골프화에 가해지는 충격량으로부터 그린 잔디의 성질, 즉 잔디의 단단함이나 무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린 잔디가 단단하면 골프공 속도가 빠르고 잔디가 무르면 골프공 속도가 느려지므로 퍼팅시에 그린 잔디의 스피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보행지점의 충격량과 그린 잔디의 스피드 특성을 미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서버 유닛의 코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그린 잔디의 스피드 특성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남녀 골퍼의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충격량, 온도, 습도로 인한 영향 및 잔디 품종에 따른 영향 등을 모두 고려하여 각 골프장의 코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하였다가, 제11 단계(S11)에서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퍼팅 공략 정보(230)를 수행할 때 모바일 기기로 송신되어 퍼팅 거리, 퍼팅 방향을 표시하는 퍼팅 지시선을 산출하는데 그린 잔디의 스피드 특성이 날씨 정보와 같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제11 단계(S11)의 퍼팅 공략 정보(230)를 수행할 때 퍼팅 지시선을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는 동시에, 필요하다면 도 6과 같이 골퍼의 보행에 따라 형성된 보행지점의 경사도를 격자형상으로 표현한 그린 굴곡선(660)을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거나, 골퍼가 보행한 영역 전체에 대한 그린 굴곡선(660)을 격자형상으로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3 단계(S13)의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 실행시에, 골퍼가 양발을 목표지점을 향해 정렬하는 어드레스 자세를 잡을 때 양발의 몸무게 밸런스를 그린의 경사도에 따라 다르게 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 실행시에 무게분포 측정 여부 메뉴를 추가로 실행하여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을 작동시킨 후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에서 감지되는 양발의 무게 분포를 디스플레이부(113)에 그림이나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6을 통하여 제7 단계(S7) 내지 제13 단계(S13)까지의 메뉴부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현재 골퍼가 플레이하고 있는 골프코스가 그린(G)인 경우이고 골퍼가 제7 단계(S7)의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를 선택하면, 메뉴부는 제8 단계(S8)의 그린 측정 장치 사용 여부를 묻는 그린 측정 장치 사용(231) 메뉴를 표시하고, 골퍼가 그린 측정 장치 사용(231) 메뉴를 선택하면 제9 단계(S9)의 그린 측정장치 연동 메뉴(232)를 표시한다.
제9 단계(S9)의 그린 측정장치 연동 메뉴(232) 선택 이전에 골퍼는 골프화에 상기 그린측정 센서모듈(520) 및/또는 중량감지모듈(540)을 설치하고 제9 단계(S9)의 센서 연동 메뉴를 선택하면 그린 측정 센서(500)의 위 센서 모듈들이 골퍼의 모바일 기기와 연동된다.
이때 골퍼는 제9 단계(S9)의 그린 측정장치 연동 메뉴(232)를 선택하여 골프공이 그린에 위치한 지점(600)에서 그린 측정 센서(500)를 골퍼의 모바일 기기와 연동시켜서 연동 위치가 측정 원점이 되도록 한다.
다음에 골퍼는 제10 단계(S10)의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를 선택한 후, 골프공 위치(600)로부터 홀컵(640) 위치까지 도보로 복수 회 왕복하되 홀컵(640)을 중심으로 왕복하여 그린의 경사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를 가능한 많이 수집하고, 특히 홀컵(640)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홀컵(640)에서 양발을 쿵쾅거려 충격력을 크게 한다.
제10 단계(S10)를 완료한 후에 골퍼가 퍼팅을 수행할 때, 제11 단계(S11)에서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수행하면,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그린 측정 장치의 측정값들과 서버 유닛의 코스 정보를 취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그린 굴곡선(660), 퍼팅 거리, 퍼팅 방향을 표시하는 퍼팅 지시선(620), 목표지점(630), 홀컵과의 편향거리(650), 예를 들어 우측 2컵과 같은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그린이 홀컵 기준으로 우측으로 오르막 경사를 가진 경우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실제 퍼팅해야 할 목표지점(630)을 우측 오르막 경사를 반영하여 실제의 홀컵보다 우측 방향으로 얼마의 양만큼 편향되게 퍼팅해야 하는지를 계산한다. 실제 퍼팅방향 및 편향거리는 그린 스피드, 홀컵 거리 등을 더 고려하여 참조표 또는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만일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산출 결과로 실제 홀컵보다 우측으로 약 2컵에 해당하는 거리로 편향되게 퍼팅하도록 목표지점(630)이 산출되면, 디스플레이부(113)에 '우측 2컵' 또는 '우측으로 22cm'라는 편향거리를 표시한다. 여기서 우측 2컵의 편향값은 홀컵의 끝에서 우측으로 홀컵이 2개 있다고 가정하는 거리이다(일반적으로 1컵 = 약 10.8cm임).
골퍼가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수행하여 목표지점(630)을 숙지한 상태에서 어드레스 자세를 잡을 때 제13 단계(S13)의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선택한다. 이때 골퍼는 모바일 기기가 골퍼의 골프화 및 골프공을 향하도록 하여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양발 정렬선(610) 및 골프공 정렬선(700)을 파악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13 단계(S13)에서 어드바이스 생성부(200)가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에서 감지되는 양발의 무게 분포를 디스플레이부(113)에 그림이나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제11 단계(S11)의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선택시에 디스플레이부(113)를 도시한 예이다.
본 발명이 제7 단계(S7) 내지 제13 단계(S13)까지의 메뉴부 작동과정을 수행하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3)가 골퍼를 중심으로 양발 정렬선(610), 퍼팅 지시선(620), 골프공 정렬선(700) 및 해당 방위각을 표시하고, 또한 양발의 무게분포도 퍼센트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골퍼는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3)를 보면서 양발의 위치를 조절하여 양발 정렬선(610)이 퍼팅 지시선(620)과 평행하도록 하고, 골프공 정렬선(700)도 퍼팅 지시선(620)과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골퍼는 디스플레이부(113)를 보면서 양발의 무게 밸런스도 같이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퍼의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을 저장하는 서버 유닛(12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이용하여 골퍼의 기량 등을 고려한 개인별로 최적화된 코스 공략 방법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모바일 기기(110)가 코스 공략 방법에서 제시된 목표 지시선과 골퍼의 양발 정렬선을 AR(Augmented Reality)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함으로써 골퍼가 양발 정렬위치와 목표 지시선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수정하도록 하여 골퍼가 어드레스 자세나 정렬 방향을 최적의 코스 공략 정보와 일치되게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퍼가 그린 측정 장치(500)로 그린의 기울기나 그린 스피드 등을 실측하여 실제 그린 상황에 맞는 퍼팅공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퍼팅시의 실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는 도 8, 9를 통하여 골퍼가 경사진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양발 측정장치 및 이어폰을 사용하여 양발의 정렬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골퍼가 경사진 페어웨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6 단계(S6)의 코스 공략 정보에서 제공되는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게 골퍼의 양발을 정렬시켜도 페어웨이의 경사로 인하여 골프공이 목표위치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골퍼들은 페어웨이의 경사도에 따라 양발의 정렬선을 자신이 의도한 타격방향과 편차가 나도록 조절하여 골프공이 의도한 목표위치로 도달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방법으로는 페어웨이의 경사도에 따라 양발의 정렬선을 자신이 의도한 타격방향과 얼마나 편차를 나게 해야 하는지를 경험적으로만 알 수 있어, 초보 골퍼들이 종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였고, 또한 양발의 정렬선과 자신이 의도한 타격방향과의 편차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양발 측정장치 및 이어폰을 사용하여 양발의 정렬방향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도 9와 같은 메뉴가 별도로 추가된다.
먼저, 제6 단계(S6)에서 골퍼가 코스 공락 정보(210) 메뉴를 선택하면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제3 단계(S3)에서 획득한 골퍼의 위치 정보와 제4 단계(S4)에서 획득한 해당 코스의 그린 위치 정보, 파(par) 정보, 경사도, 벙커 위치 정보, 해저드 위치 정보, 홀컵 위치 정보 등의 상황정보와 또한 데이터베이스(14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에서 제공한 정보를 참조하여 골퍼에게 제공할 코스 공락 정보를 생성한다.
제6 단계(S6)의 코스 공략 정보는 현재 코스에 대해서 경사도, 벙커 위치 정보, 해저드 위치 정보, 공략 방법 설명 정보, 사용 추천 골프채 정보, 홀컵 위치 정보, 홀컵과 목표 위치의 편차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제601 단계(S601)에서 양발 측정장치 사용(211) 메뉴가 선택되면, 골퍼는 양발 측정장치(800)는 그린 측정 장치(500)와 동일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을 골프화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중량 감지 모듈(540)이 부착된 신발깔창을 골프화에 설치한다.
제602 단계(S602)에서 양발 측정장치 연동(212)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과 중량 감지 모듈(540)을 작동시켜 모바일 기기와 연동시켜 각 모듈의 측정값들이 실시간으로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송수신부(112)를 통해 모바일 기기(11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모바일 기기(110)와 각 모듈(520, 540)이 연동되는 위치와 시간을 기준으로 양발의 측정을 시작하고, 그 전에 기록한 측정 데이터는 삭제하여 리셋시킨다. 따라서, 골퍼는 페어웨이에서 어드레스 자세를 잡는 위치에서 모바일 기기(110)와 각 모듈(520, 540)을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603 단계(S603)에서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가 실행되면, 양발 측정장치(800)는 모바일 기기(110)와 연동된 시점과 위치를 기준으로 양발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제6 단계(S6)에서 획득한 페어웨이 경사도 정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의 개인 기량 정보, 홀컵 위치 정보, 목표 위치 정보가 이미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해야할 방향을 나타내는 목표 지시선(300) 및 그 방위각이 연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 및 양발 측정장치(800)의 측정치를 바탕으로 양발의 정렬선 방위각과 목표 지시선(300) 방위각의 각도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도 8 참조).
양발의 정렬선을 목표 지시선(300)과 몇 도 정도를 어긋나게 할지 결정하는 편차각도는 페어웨이 경사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양발의 정렬선과 목표 지시선(300)간의 편차각도 및 페어웨이 경사도의 관계에 대하여 미리 테이블에 저장하거나, 시뮬레이션 모델에 의하여 연산할 수 있고, 상기 테이블이나 시뮬레이션 모델이 서버 유닛(120)에 저장되거나 모바일 기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가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가 실행되면 상기 테이블에서 불러 오거나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이 수행되어 양발의 정렬선과 목표 지시선(300)간의 편차각도가 파악된다.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 실행시에 상기 테이블이나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구한 양발의 정렬선과 목표 지시선(300)간의 편차각도를 “목표 편차각도”라 명칭하고,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 실행시에 양발 측정장치(800)로 측정된 양발의 정렬선 방위각과 목표 지시선(300) 방위각의 각도 차이는 “양발 편차각도”라고 칭한다.
제603 단계(S603)에서 양발 측정장치(800)로 “양발 편차각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양발 측정장치(800)와 모바일 기기(110)를 연동한 위치에서 양발을 가지런히 붙여 양발의 위치를 측정한다.
다음에 양발 중 한 발을 떼어 다른 발과 이격시키면, 양발 측정장치(800)가 고정된 발을 기준으로 이격된 발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모바일 기기(110)로 송신하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고정된 발을 기준으로 이격된 발의 위치와 이동 방향으로부터 양발 정렬선의 방위각을 파악한다.
다음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이미 파악된 목표 지시선(300) 방위각과 양발 정렬선의 방위각의 각도 차이를 연산하여 현재의 “양발 편차각도”를 파악한다.
다음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상기 테이블이나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구한 “목표 편차각도”와 상기 측정된 “양발 편차각도”의 차이(이하 “오차 각도”라 한다)를 연산한다.
이후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목표 편차각도”와 상기 측정된 “양발 편차각도”의 차이인 “오차각도”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어폰으로 전송한다.
제603 단계(S603)에서 골퍼는 골프채를 양손에 잡은 상태에서 이어폰으로 오차각도를 이어폰으로 파악할 수 있어 양발 중 한발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오차각도가 "0”이 되도록 함으로써 양발의 정렬선을 목표 지시선(300)과 편차나게 하는 “목표 편차각도”와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603 단계(S603) 수행시에 양발 측정장치(800)의 중량 감지 모듈(540)로부터 양발에 걸리는 골퍼의 체중분포를 측정하여 이어폰으로 통지함으로써 골퍼가 용이하게 좌우 양발의 체중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0, 11을 통하여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는 경우에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양발 측정장치 및 이어폰을 사용하여 양발의 정렬방향을 퍼팅지시선과 평행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8 단계(S8)에서 그린 측정 장치 사용을 선택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제4 단계(S4)의 서버 유닛에서 획득한 그린 정보에만 근거하여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수행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생성한다. 제12 단계(S12)의 퍼팅 공략 정보는 퍼팅 거리, 퍼팅 방향, 홀컵 기준의 편향 거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에 퍼팅 거리, 퍼팅 방향, 홀컵 기준의 편향 거리,그린의 굴곡도를 포함하는 그린 맵을 표시하고, 특히 퍼팅 거리, 퍼팅 방향을 표시하는 퍼팅 지시선(620) 및 퍼팅 지시선(620)의 방위각을 표시한다.
제121 단계(S121)에서 골프공 정렬선 사용(235) 메뉴를 선택하면,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인공지능 기법으로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가 골프공 정렬선을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AR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퍼팅 지시선(620)이 포함된 그린 맵이 표시된 상태이므로 골퍼는 골프공 정렬선이 퍼팅 지시선(620)과 일치되도록 골프공 정렬선의 방향을 조절한다.
다음에 제122 단계(S122)에서 양발 측정장치 사용(236) 메뉴가 선택되면, 골퍼는 양발 측정장치(800)는 그린 측정 장치(500)와 동일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을 골프화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중량 감지 모듈(540)이 부착된 신발깔창을 골프화에 설치한다.
제123 단계(S123)에서 양발 측정장치 연동(237)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과 중량 감지 모듈(540)을 작동시켜 모바일 기기와 연동시켜 각 모듈의 측정값들이 실시간으로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송수신부(112)를 통해 모바일 기기(11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모바일 기기(110)와 각 모듈(520, 540)이 연동되는 위치와 시간을 기준으로 양발의 측정을 시작하고, 그 전에 기록한 측정 데이터는 삭제하여 리셋시킨다.
따라서, 골퍼는 그린에서 퍼팅을 하는 위치에서 모바일 기기(110)와 각 모듈(520, 540)을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124 단계(S124)에서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가 실행되면, 양발 측정장치(800)는 모바일 기기(110)와 연동된 시점과 위치를 기준으로 양발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제12 단계(S12)에서 획득한 그린 경사도 정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의 개인 기량 정보, 홀컵 위치 정보, 퍼팅 목표 위치 정보가 이미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골퍼가 퍼팅을 해야할 방향을 나타내는 퍼팅 지시선(620) 및 그 방위각이 연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 및 양발 측정장치(800)의 측정치를 바탕으로 양발의 정렬선 방위각과 퍼팅 지시선(620) 방위각의 각도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도 11 참조).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 실행시에 양발 측정장치(800)로 측정된 양발의 정렬선 방위각과 퍼팅 지시선(620) 방위각의 각도 차이는 “양발 편차각도”라고 칭한다.
제124 단계(S124)에서 양발 측정장치(800)로 “양발 편차각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양발 측정장치(800)와 모바일 기기(110)를 연동한 위치에서 양발을 가지런히 붙여 양발의 위치를 측정한다.
다음에 양발 중 한 발을 떼어 다른 발과 이격시키면, 양발 측정장치(800)가 고정된 발을 기준으로 이격된 발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파악하고 이를 모바일 기기(110)로 송신하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고정된 발을 기준으로 이격된 발의 위치와 이동 방향으로부터 양발 정렬선의 방위각을 파악한다.
다음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이미 파악된 퍼팅 지시선(620) 방위각과 양발 정렬선의 방위각의 각도 차이를 연산하여 현재의 “양발 편차각도”를 파악한다.
이후에 어드바이스 생성부(200)는 “상기 측정된 “양발 편차각도”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어폰으로 전송한다.
제124 단계(S124)에서 골퍼는 골프채를 양손에 잡은 상태에서 이어폰으로 “양발 편차각도”를 이어폰으로 파악할 수 있어 양발 중 한발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양발 편차각도”가 "0"이 되도록 함으로써 양발의 정렬선을 퍼팅 지시선(620)과 용이하게 평행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124 단계(S124) 수행시에 양발 측정장치(800)의 중량 감지 모듈(540)로부터 양발에 걸리는 골퍼의 체중분포를 측정하여 이어폰으로 통지함으로써 골퍼가 용이하게 좌우 양발의 체중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00: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110: 모바일 기기 120: 서버 유닛
130: 메뉴부 140: 데이터 베이스
200: 어드바이스 생성부 300: 목표 지시선
400: 양발 정렬선 500: 그린 측정 장치
510: 골프화 520: 그린 측정 센서 모듈
530: 깔창 540: 중량감지 모듈
600: 골프공 위치 610: 양발 정렬선
620: 퍼팅 지시선 630: 목표 지점
640: 홀컵 650: 편향거리
670: 퍼팅 궤적 700: 골프공 정렬선
800: 양발 측정장치

Claims (10)

  1. 서버 유닛(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GPS 위성(101)을 이용하여 골퍼의 위치정보를 얻는 모바일 기기(110); 및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구비하는 서버 유닛(120);을 포함하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GPS 수신부(111), 데이터 송수신부(112), 디스플레이부(113), 메뉴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메뉴부(130)는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 및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포함하는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는 선택된 코스의 특성 및 골퍼의 기량이나 이전 경기 이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골퍼에게 알맞은 코스 공략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코스 공략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지시선(300)을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는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 상기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게 정렬이 되는지를 골퍼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린의 지형 정보, 잔디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GPS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골프화에 탈부착되는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 및 압전센서 어레이가 골프화 깔창(530)에 부착된 중량 감지 모듈(540)을 이용하여 그린의 굴곡, 기울기, 홀컵까지의 거리, 보행시의 충격력 중의 하나 이상이 측정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의 수행 이후에 수행되는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포함하고,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에서 퍼팅거리, 그린 경사도, 그린 스피드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을 퍼팅 지시선(620)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는 퍼팅시에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가 퍼팅 지시선(620)과 차이가 있는지 골퍼가 확인하도록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퍼팅 지시선(6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센서로부터 파악되는 충격량 또는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의 충격량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린 잔디의 성질이나 그린 스피드 특성이 파악되는 것이 특징인,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
  6. 서버 유닛(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또한 GPS 위성(101)을 이용하여 골퍼의 위치정보를 얻는 모바일 기기(110); 및
    코스정보 데이터베이스(141)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42)를 구비하는 서버 유닛(120);을 포함하는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GPS 수신부(111), 데이터 송수신부(112), 디스플레이부(113), 메뉴부(130)를 구비하고,
    상기 메뉴부(130)는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 및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를 포함하는 어드바이스 생성부(200)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코스 공략 정보(210) 메뉴는 선택된 코스의 특성 및 골퍼의 기량이나 이전 경기 이력 중에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골퍼에게 알맞은 코스 공략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코스 공략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지시선(300)을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며,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어드레스 정보(220) 메뉴는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 상기 목표 지시선(300)과 평행하게 정렬이 되는지를 골퍼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모바일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드바이스 생성부(200)의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골퍼가 그린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린의 지형 정보, 잔디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퍼팅 공략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GPS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골프화에 탈부착되는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 및 압전센서 어레이가 골프화 깔창(530)에 부착된 중량 감지 모듈(540)을 이용하여 그린의 굴곡, 기울기, 홀컵까지의 거리, 보행시의 충격력 중의 하나 이상이 측정되는 것이 특징인,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퍼팅 공략 정보(230) 메뉴는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의 수행 이후에 수행되는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를 포함하고,
    퍼팅공략정보 생성(234) 메뉴에서 퍼팅거리, 그린 경사도, 그린 스피드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제 퍼팅해야 할 방향을 퍼팅 지시선(620)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퍼팅 어드레스 정보(240) 메뉴는 퍼팅시에 골퍼의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가 퍼팅 지시선(620)과 차이가 있는지 골퍼가 확인하도록 양발 정렬선(610)이나 골프공의 정렬선(70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퍼팅 지시선(6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 특징인,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린 측정모드(233) 메뉴에서 그린 측정 센서 모듈(520)의 가속도센서로부터 파악되는 충격량 또는 골프화 깔창의 중량 감지 모듈(540)의 충격량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린 잔디의 성질이나 그린 스피드 특성이 파악되는 것이 특징인, 골프 어드바이스를 하는 방법.
KR1020200131744A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KR10243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44A KR102436279B1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744A KR102436279B1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KR1020200131615A KR20220048570A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15A Division KR20220048570A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071A true KR20220049071A (ko) 2022-04-21
KR102436279B1 KR102436279B1 (ko) 2022-08-25

Family

ID=814022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744A KR102436279B1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KR1020200131615A KR20220048570A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15A KR20220048570A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6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31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골프존 퍼팅 정보 제공 시스템, 퍼팅 정보 제공 방법, 사용자의 퍼팅 플레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361A (ko) 2000-11-09 2002-05-16 김창일 골프 정보 시스템
KR20050022035A (ko) 2003-08-25 2005-03-07 박세헌 지피에스 기능 휴대폰을 이용한 골프코스 정보제공방법 및그 장치
KR100767292B1 (ko) * 2006-12-13 2007-10-23 (주)미디어캔버스 골프코스 공략 시스템
KR20110123913A (ko) * 2010-05-10 2011-11-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린의 경사도와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43995A (ko) * 2012-10-04 2014-04-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 퍼팅 거리를 평지거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9251A (ko) * 2015-03-10 2016-09-21 김영선 골프 에이밍 안내 기능을 구비한 골프거리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361A (ko) 2000-11-09 2002-05-16 김창일 골프 정보 시스템
KR20050022035A (ko) 2003-08-25 2005-03-07 박세헌 지피에스 기능 휴대폰을 이용한 골프코스 정보제공방법 및그 장치
KR100767292B1 (ko) * 2006-12-13 2007-10-23 (주)미디어캔버스 골프코스 공략 시스템
KR20110123913A (ko) * 2010-05-10 2011-11-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린의 경사도와 거리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43995A (ko) * 2012-10-04 2014-04-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 퍼팅 거리를 평지거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9251A (ko) * 2015-03-10 2016-09-21 김영선 골프 에이밍 안내 기능을 구비한 골프거리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31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골프존 퍼팅 정보 제공 시스템, 퍼팅 정보 제공 방법, 사용자의 퍼팅 플레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70A (ko) 2022-04-20
KR102436279B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7167B (zh) 存储和分析高尔夫数据的系统和方法
EP2694170B1 (en) Systems for analyzing golf data
US10881941B2 (en) Hybrid golf guide system
US9526958B2 (en) Digital compass ball marker
US20020038178A1 (en) Golf navigation appliance
US20140191902A1 (en) Golf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golf reviewing system
US8992345B2 (en) Digital compass ball marker
JP7234531B2 (ja) センサ装置付きゴルフシューズ
JP6878614B2 (ja) ゴルフボールの個人別パッティング用の方法及び装置
US201000815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Putting
KR20160102136A (ko) 골프 가이드 시스템
US20170087436A1 (en) System for generating a dynamic and interactive user-interface utilized to improve striking and putting golf balls
US10603567B2 (en) Alignment aid for a golfer
KR102436279B1 (ko) 휴대용 골프 어드바이스 보조장치 및 방법
US20220111275A1 (en) System for analyzing golf club selection, swing characteristics, and golf course playability
KR100830057B1 (ko) 골프 정보 제공 이동통신 단말기
CA2927654A1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program
KR101255354B1 (ko) 지피에스와 고도 정보를 이용한 골프 클럽 선택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2417063B1 (ko)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CN113750535A (zh) 高尔夫球放置系统及其操作方法
KR20090006893A (ko) 맞춤형 골프코스 공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75084A1 (en) Digital compass ball marker
KR20110118761A (ko) 맞춤형 골프코스 공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37251B1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용 웨어러블 유닛
KR102237571B1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용 웨어러블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