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004A -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 - Google Patents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004A
KR20220048004A KR1020227008405A KR20227008405A KR20220048004A KR 20220048004 A KR20220048004 A KR 20220048004A KR 1020227008405 A KR1020227008405 A KR 1020227008405A KR 20227008405 A KR20227008405 A KR 20227008405A KR 20220048004 A KR20220048004 A KR 20220048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point
frequency
signal quality
threshold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리앙 순
리 첸
수셩 웨이
산준 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Description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5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755144.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아이들 상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서, 엔알(New Radio, NR) 프로토콜의 정의에 따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적어도 7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모니터링해야 하고,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시간 내에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셀 재선택을 완성한다. 전력 소모의 관점에서, 모니터링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많으면, UE가 DRX(Discontinuous Reception, 불연속 수신)에서 웨이크업된 후 웨이크업 시간이 길어져 UE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특히 NR에서, 각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검출은 일련의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을 수신해야 하고, 그 다음 웨이크업되며, 또 상이한 주파수 SSB의 동기화 측정 타이밍 구성(Synchronization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SMTC)은 DRX에서 웨이크업되는 순간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UE는 DRX 단주기 모드에서 주파수 간 SMTC 시간 윈도우가 도달하기를 기다려야 하므로, UE의 전력 소모가 증가된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R12에서 정의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와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특정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1) UE 능력을 정의한다. 해당 UE 능력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 장비는 최대 3개의 LTE 주파수 포인트만 모니터링하면 되고, 해당 UE 능력이 구비된 단말 장비는 7개의 주파수 포인트, 즉 3개의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와 4개의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하게 된다.
(2) (1)에서 설명된 상기 UE 능력이 구비된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시스템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메시지에 구성되고 주파수 포인트와 관련된 성능 요구사항 지시 정보를 읽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결정한다. (1)에서 설명된 상기 UE 능력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 장비는 성능 요구사항 지시 정보를 읽을 필요가 없이, 모든 주파수 포인트에서 임의의 3개 주파수 포인트를 선택하여 모니터링한다.
(3)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인 경우, 최소 모니터링 기간의 요구사항(즉 최소 측정 시간 간격)은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6배, 즉 측정지표가 6배 완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NR에서 너무 많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가 측정될 때 UE의 과도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제5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제1 양상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제2 양상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구현한다.
제7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컴퓨터가 전술한 제1 양상 또는 제2 양상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상이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도입하고,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 동작의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할 때 불필요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 중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는 본 실시예 또는 관련 기술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는 창의적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신호 품질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신호 품질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신호 품질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신호 품질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 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NR(New Radio)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모바일 사용자 장비 등으로 불리울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핵심망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비는 모바일 전화('셀룰러' 전화라고도 함)와 같은 단말 장비와, 휴대용, 포켓형, 핸드 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탑재형 모바일 장치와 같이 단말 장비가 갖춰진 컴퓨터일 수 있으며, 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이 될 수 있고,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이 될 수도 있으며,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및 5G 기지국(gNB)이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하지 아니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음의 실시예는 gNB를 예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의 방법은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여기서, 구성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하나 이상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S102: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S103: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인접 셀의 재선택 여부를 결정한다.
S104: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한다.
여기서, S103 및 S104의 수행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주파수 간 측정 결과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획득하고, 서빙 셀의 측정 결과는 단말 장비가 현재 캠프 온된 중인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획득한다. 신호 품질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을 포함하고, 측정 결과는 RSRP 측정 결과 및/또는 RSRQ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와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다르고,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 측정 샘플 포인트 수 등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지표 요구사항의 수준은 특정 지표값과 양의 상관관계 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이고, 지표값은 측정 시간 간격의 특정 값이며, 측정 시간 간격의 값이 클수록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낮아지고, 이와 반대로, 측정 시간 간격의 값이 작을수록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높아진다. 이 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과 특정 지표값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예컨대, 측정지표는 측정 샘플 포인트 수이고, 측정 샘플 포인트 수가 클수록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높아지고, 이와 반대로, 측정 샘플 포인트 수가 작을수록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낮아진다. 이 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과 특정 지표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일 수 있고,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일 수 있다. 여기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는 공통 성능 주파수에 상대적인 것으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보다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상이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도입하고,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 동작의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할 때 불필요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다음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일반 주파수 포인트로,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각 역치 또는 임계값은 모두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1
단말 장비가 측정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즉 진입 조건).
A1: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 역치 L_1보다 낮다.
진입 조건이 A1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1 역치 L_1만 포함한다.
A2: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 역치 L_1보다 낮고, 또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2 역치 L_f1보다 높다.
진입 조건이 A2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1 역치 L_1 및 제2 역치 L_f1을 포함한다.
A3: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 역치 L_1보다 낮고, 또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제2 역치 L_f1보다 낮다.
진입 조건이 A3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1 역치 L_1 및 제2 역치 L_f1을 포함한다.
A4: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3 역치 L_3보다 크다.
진입 조건이 A4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3 역치 L_3만 포함한다.
A5: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3 역치 L_3보다 크고, 또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2 역치 L_f1보다 높다.
진입 조건이 A5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2 역치 L_f1 및 제3 역치 L_3을 포함한다.
A6: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3 역치 L_3보다 크고, 또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제2 역치 L_f1보다 낮다.
진입 조건이 A6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2 역치 L_f1 및 제3 역치 L_3을 포함한다.
조건 A4-A6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서빙 셀의 신호 품질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가장 강한 신호 품질을 뺀 값을 의미한다. 예컨대, 서빙 셀이주파수 포인트 f_serv로 표시되고,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f_x로 표시되는 경우, 조건 A4는 제1 기간 T_1에서 f_serv-f_x의 신호 품질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L_3보다 큰 것이다.
A7: 제1 기간 T_1에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 역치 L_1보다 높고, 또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4 역치 L_f2보다 크다.
진입 조건이 A7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1 역치 L_1 및 제4 역치 L_f2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은,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에서 지속적으로 제1 역치 L_1보다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가장 강한 신호 품질을 뺀 값을 의미하고,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f_m으로 표시되고, 지속적으로 제1 역치 L_1보다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f_x로 표시되는 경우, 조건 A7은 제1 기간 T_1에서 신호 품질 차이값 f_m-f_x는 지속적으로 L_f2보다 크다.
단말 장비가 측정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즉 종료 조건).
B1: 제2 기간 T_2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5 역치 L_2보다 높다.
종료 조건이 B1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5 역치 L_2만 포함한다.
B2: 제2 기간 T_2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6 역치 L_4보다 작다.
종료 조건이 B2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6 역치 L_4만 포함한다.
여기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서빙 셀의 신호 품질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가장 강한 신호 품질을 뺀 값을 의미한다. 서빙 셀이 주파수 포인트 f_serv로 표시되고,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f_y로 표시되는 경우, 조건 B2는 제2 기간 T_2에서 f_serv-f_y의 신호 품질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L_4보다 작은 것이다.
B3: 제2 기간 T_2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5 역치 L_2보다 높고, 또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7 역치 L_f3보다 작다.
종료 조건이 B3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5 역치 L_2 및 제7 역치 L_f3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은,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에서 지속적으로 제5 역치 L_2보다 낮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가장 강한 신호 품질을 뺀 값을 의미하고, 제1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f_m으로 표시되고, 지속적으로 제5 역치 L_2보다 낮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f_y로 표시되는 경우, 조건 B3은 제2 기간 T_2에서 신호 품질 차이값 f_m-f_y는 지속적으로 L_f3보다 작다.
B4: 제2 기간 T_2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5 역치 L_2보다 낮고, 또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제10 역치 L_f4보다 낮다.
종료 조건이 B4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5 역치 L_2 및 제10 역치 L_f4를 포함한다.
B5: 제2 기간 T_2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5 역치 L_2보다 낮고, 또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제10 역치 L_f4보다 높다.
종료 조건이 B5인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제5 역치 L_2 및 제10 역치 L_f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1에서, 각 역치(제1 역치 L_1, 제2 역치 L_f1, 제3 역치 L_3, 제4 역치 L_f2, 제5 역치 L_2, 제6 역치 L_4, 제7 역치 L_f3 및 제10 역치 L_f4를 포함함)의 단위는 모두 dB이고, 또 각 역치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 역치 L_2는 일반적으로 역치 L_1보다 크므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진입 또는 종료 횟수, 즉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포인트 유형에 대한 조정 횟수를 줄인다. 제2 역치 L_f1은 단말 장비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 임계값이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의 측정 시간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시간 간격을 늘린다.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시간 간격이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시간 간격보다 크므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시간 간격을 늘리는 것을 통해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UE의 측정 동작을 줄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포인트 수는 고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UE가 특정 서빙 셀에 캠프 온되고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측정을 시작한 경우, 제1 기간 T_1 및 제2 기간 T_2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가 존재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예컨대, 도 2는 UE가 제1 기간 T_1에서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과 7개 인접 셀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1~f_7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가장 강한 신호 품질의 곡선 개략도이다. 이때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1~f_7이 모두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라고 가정하면, 제1 기간 T_1에서 UE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2, f_3, f_4의 신호 품질 측정 결과는 지속적으로 역치 L_1보다 낮아 진입 조건을 충족하므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2, f_3, f_4의 주파수 포인트 유형을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의 신호 품질 임계값을 L_f1(즉 실시예 1에서의 제2 역치 L_f1)로 정의하고, 지속적으로 임계값 L_1보다 낮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하여, UE가 제1 기간 T_1에서 측정한 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L_f1보다 높거나,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L_f1보다 낮은 경우, 해당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호 품질 임계값 L_f2, L_f3(즉 실시예 1에서의 제4 역치 L_f2 및 제7 역치 L_f3) 및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m을 정의한다. UE는 제1 기간 T_1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1보다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와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m 간의 신호 품질 차이값(즉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m의 신호 품질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1보다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뺀 값)이 L_f2보다 큰 것으로 측정된 경우, 해당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UE가 제2 기간 T_2에서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과 7개 인접 셀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1~f_7에 대해 측정하여 얻은 가장 강한 신호 품질의 곡선 개략도이다. 이때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2, f_3, f_4, f_5가 모두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라고 가정하면, 제2 기간 T_2에서 UE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3, f_4의 신호 품질 측정 결과는 지속적으로 역치 L_2보다 높아 종료 조건을 충족하므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3, f_4의 주파수 포인트 유형을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2 기간 T_2에서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역치 L_f1(즉 서빙 셀의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낮거나,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역치 L_f1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제2 기간 T_2에서 역치 L_2보다 낮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호 품질 임계값 L_f2, L_f3(즉 실시예 1에서의 제4 역치 L_f2 및 제7 역치 L_f3) 및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m을 정의한다. UE는 제2 기간 T_2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2보다 낮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와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m 간의 신호 품질 차이값(즉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m의 신호 품질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2보다 낮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뺀 값)이 L_f3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해당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중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x,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f_y, 각 순간 f_serv-f_x의 신호 품질 차이값 및 각 순간 f_serv-f_y의 신호 품질 차이값을 도시한다. 여기서, f_serv은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주파수 포인트이다.
도 4에 도시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x에 대해, UE는 f_serv-f_x의 신호 품질 차이값이 제1 기간 T_1 동안 지속적으로 L_3보다 큰 것으로 측정되면,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x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f_y에 대해, UE는 f_serv-f_y의 신호 품질 차이값이 제2 기간 T_2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4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f_y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
선택적으로,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의 신호 품질 임계값을 L_f1(즉 실시예 1에서의 제2 역치 L_f1)로 정의한다. f_serv-f_x의 신호 품질 차이값이 제1 기간 T_1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3보다 큰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x에 대하여, UE는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L_f1보다 높거나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L_f1보다 낮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f_x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f_y에 대하여, UE는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제2 기간 T_2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f1보다 낮거나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제2 기간 T_2에서 지속적으로 역치 L_f1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f_y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역치 L_3은 일반적으로 역치 L_4보다 크므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진입 또는 종료 횟수, 즉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포인트 유형에 대한 조정 횟수를 줄인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의 방법은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501: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UE 능력을 보고하되, UE 능력은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502: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을 수신한다.
S503: 네트워크 장비는 UE 능력에 근거하여 최대 측정 수 M보다 작거나 같은 N 값을 구성한다.
여기서, N 값은 단말 장비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S504: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중의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는 N이다.
여기서, 구성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하나 이상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S505: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S506: 단말 장비는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8 역치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여기서, 주파수 간 측정 결과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획득하고, 서빙 셀의 측정 결과는 단말 장비가 현재 캠프 온된 중인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획득한다. 신호 품질은 RSRP 및/또는 RSRQ를 포함하고, 측정 결과는 RSRP 측정 결과 및/또는 RSRQ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2에서,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에 따라 단말 장비에 대해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N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N 값이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횟수 M보다 작거나 같게 함으로써, 단말 장비에 의해 측정되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가 UE 능력과 일치하도록 하여 너무 많은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구성되어 UE의 전력 소모가 커지는 상황을 피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할 때, 일정 기간의 종료 순간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평활화 필터링 후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실시예 3
단말 장비는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의 신호 품질이 제3 기간 T_3에서 지속적으로 제8 역치 L_5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N=K_s1로 결정하고, 그 다음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K_s1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선별하고, 선별된 K_s1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고, 다른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가 K_c이고, 단말 장비는 K_c를 K_s1로 조정한다. 조정된 후 K_c=3이라고 가정하면, 도 6에 도시된 신호 품질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평활화 필터링 후(즉 제3 기간 T_3의 종료 순간) 가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3, f_6, f_7을 선별하여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고, 다른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f_1, f_2, f_4, f_5를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제4 기간 T_4에서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주파수 포인트 f_serv)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역치 L_6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모든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한다.
전술한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서, 단말 장비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K_s1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할 때,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가 하나 이상 존재하면,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K_s1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또는,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표기하고, 표기된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고, 그 다음 주파수 간 측정 결과가 생성된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K_s1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의 방법은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701: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성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하나 이상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S702: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S703: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S704: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포인트 속성 정보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S705: 단말 장비는 제1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가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S706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S707을 수행한다.
S706: 제1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한다.
S707: 제1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4에서, 제1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인 경우, 단말 장비는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포인트 속성 정보 조정 방법에 따라 제1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포인트 속성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상세한 조정 절차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할 있고, 각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는 자체의 N 값이 있고, N은 네트워크 장비가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에 따라 구성한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이고, 모든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N 값의 합은 UE 능력에 의해 지시되는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보다 작거나 같다.
이에 기초하여, 단말 장비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할 때, 각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 A에 해당하는 N의 값이 1이고,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B에 해당하는 N의 값이 2이면, 단말 장비는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 A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1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고,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 B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2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의 방법은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801: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또 적어도 하나의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한다.
여기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보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구성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하나 이상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LTE와 NR 프로토콜에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주파수 포인트 우선순위를 정의하였다. 주파수 포인트 우선순위는 UE가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캠프 온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표시한다. 현재 UE가 캠프 온된 주파수 포인트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UE는 항상 모니터링하고 재선택 조건이 충족된 후에 전환해야 한다. 현재 UE가 캠프 온된 주파수 포인트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UE는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소정 임계값보다 낮아진 후에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는 모두 공통 성능 주파수 포인트이다.
S802: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S803: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S804: 단말 장비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존재하면, S805를 수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S806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은 RSRP 임계값 및/또는 RSRQ 임계값을 포함한다.
S805: 단말 장비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주파수 간 측정을 수행한다.
S806: 단말 장비는 모든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 주파수 간 측정을 수행하고,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 5에서, 단말 장비는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포인트 속성 정보 조정 방법에 따라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주파수 포인트 속성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상세한 조정 절차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지표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시간 간격이다. 도 9의 방법은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고,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901: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다수의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측정 시간 간격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및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으로 구분되고,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각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각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높다고 가정하면,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이고,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이다.
S902: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S903: 단말 장비는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낮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한다.
S904: 단말 장비는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한다.
본 실시예 6에서, 각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되는 조건은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역치 L_7보다 낮은 것인 경우,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역치 L_7만 포함한다. 또 예컨대,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되는 조건은 제1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역치 L_7보다 낮고, UE가 현재 캠프 온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역치 L_f4보다 높은 것인 경우, 제2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역치 L_7 및 역치 L_f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 6에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간의 관계를 통해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각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간에서 조정하며, 각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상이한 측정 시간 간격이 해당하므로, 저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시간 간격에 대한 조정을 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속한다. 일부 경우에, 청구 범위에 기술된 동작 또는 단계는 실시예에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여전히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설명된 프로세스가 반드시 표시된 특정 순서나 연속적인 순서로 구현되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도 가능하거나 유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장비(1000)는,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조정 모듈(1010)을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모듈(1010)은 또한, 제1 기간에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고,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고,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3 역치보다 큰 것; 또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3 역치보다 크고,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3 역치보다 크고,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높고, 또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4 역치보다 큰 것; 제1 역치, 제2 역치, 제3 역치, 제4 역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모듈(1010)은 또한, 제2 기간에서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6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낮고,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7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낮고,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0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낮고,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제10 역치보다 높은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모듈(1010)은 또한, 제3 기간에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8 역치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되, N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8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1000)는,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기 전에 네트워크 장비에 UE 능력을 보고하는 보고 모듈을 더 포함하되, UE 능력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모듈(1010)은 또한,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거나,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표기하고,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여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모듈(1010)은 또한, 제3 기간의 종료 순간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모듈(1010)은 또한, 제4 기간에서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9 역치보다 낮은 경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모두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되, 제9 역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되고, 조정 모듈(1010)은 또한,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N 값을 갖고, 조정 모듈은 또한,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1000)는,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기 전에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결정 모듈 -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임 - ;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서만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 을 더 포함하되,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은 RSRP 임계값 및/또는 RSRQ 임계값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측정지표에 해당하고, 조정 모듈(1010)은 또한,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낮은 경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고,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높은 경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 측정 샘플 포인트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단말 장비가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상이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도입하고,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 동작의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할 때 불필요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장비(1100)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모듈(1110)을 포함하되,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고,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비(1100)는,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전에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UE 능력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구성 모듈(1110)은 또한, UE 능력에 근거하여 최대 측정 수 M보다 작거나 같은 N 값을 구성하되, N 값은 단말 장비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 모듈(1110)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 모듈은 또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고, 각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대한 자체의 N 값을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 모듈(1110)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 모듈(1110)은 또한,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되, 각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측정지표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 모듈은 또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구성하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역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상이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도입하고,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 동작의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할 때 불필요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단말 장비(1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03)를 포함한다. 단말 장비(1200) 중의 여러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1205)을 통해 하나로 결합되어 있다. 버스 시스템(1205)은 이들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및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 시스템(1205)에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다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2에서는 각 버스를 버스 시스템(1205)으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203)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키보드 또는 클릭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12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램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에 따르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에스디램(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디램(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12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202)에는 실행 가능한 모듈이나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부분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인 운영체제(12021)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22)가 저장되었다.
상기 운영체제(12021)는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 계층, 코어 라이브러리 계층, 드라이버 계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22)에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1200)는, 메모리(12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되,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은 프로세서(1201)에 적용되거나 프로세서(12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201)의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또는 이산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개략도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도 임의의 일반 프로세서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직접 구현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서 신뢰성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예를 들어 램,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이이피롬 및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12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201)는 메모리(1202) 중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를 통해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의 경우,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비(DSP Device, DSPD), 프로그램머블 논리 장비(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 내용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의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고,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낮고,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3 역치보다 큰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3 역치보다 크고,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3 역치보다 크고,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높고, 또 상기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4 역치보다 큰 것; 상기 제1 역치, 제2 역치, 제3 역치, 제4 역치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제2 기간에서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6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상기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7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10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10 역치보다 높은 것; 상기 제5 역치, 제6 역치, 제7 역치, 제10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제3 기간에서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8 역치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N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8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UE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상기 UE 능력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상기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N은 M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거나,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표기하고,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여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제3 기간의 종료 순간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제4 기간에서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9 역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모두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상기 제9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N 값을 갖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임 - ;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서만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를 구현하되, 상기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은 RSRP 임계값 및/또는 RSRQ 임계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상기 측정지표에 해당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고, 상기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 측정 샘플 포인트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말 장비(12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상이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도입하고,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 동작의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할 때 불필요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또 동일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1300)는 프로세서(1301), 송수신기(1302), 메모리(1303), 사용자 인터페이스(13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비(1300)는 메모리(130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되,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상기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다.
도 13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1)를 핵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303)를 핵심으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4)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303)는 프로세서(1301)가 작동 중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전에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UE 능력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UE 능력에 근거하여 상기 최대 측정 수 M보다 작거나 같은 N 값을 구성하는 단계 - 상기 N 값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됨 - ; 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단계; 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단계; 및,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대한 자체의 N 값을 구성하는 단계; 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단계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1)에 의해 실행될 때 또한,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를 구현하되, 각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상기 측정지표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구성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역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지표 요구사항이 상이한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도입하고,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조정함으로써, 단말 장비 동작의 제어 가능성을 구현하고, 동적으로 조정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단말 장비가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검출할 때 불필요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UE의 전력 소모를 줄인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를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 또는 이것이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마그네틱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예: 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네트워크 장비 등)에 몇몇 지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일 뿐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주지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44)

  1. 단말 장비에 적용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3 역치보다 큰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3 역치보다 크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3 역치보다 크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높고, 또 상기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4 역치보다 큰 것;
    상기 제1 역치, 제2 역치, 제3 역치, 제4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2 기간에서,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6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7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0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0 역치보다 높은 것;
    상기 제5 역치, 제6 역치, 제7 역치, 제10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3 기간에서,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8 역치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N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8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UE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UE 능력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상기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N은 M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표기하고,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여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기간의 종료 순간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4 기간에서,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9 역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모두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9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N 값에 해당하고,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는,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임 - ;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서만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임계값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임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상기 측정지표에 해당하고,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 측정 샘플 포인트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4.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UE 능력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상기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UE 능력에 근거하여 상기 최대 측정 수 M보다 작거나 같은 N 값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 값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및,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대한 자체의 N 값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상기 측정지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역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21. 단말 장비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조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3 역치보다 큰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3 역치보다 크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3 역치보다 크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2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 역치보다 높고, 또 상기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4 역치보다 큰 것;
    상기 제1 역치, 제2 역치, 제3 역치, 제4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제2 기간에서,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가 다음 조건: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5 역치보다 높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간의 차이값은 지속적으로 제6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주파수 간 측정 결과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과의 차이값이 지속적으로 제7 역치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제10 역치보다 낮은 것; 또는,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5 역치보다 낮고, 또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 파동은 지속적으로 상기 제10 역치보다 높은 것;
    상기 제5 역치, 제6 역치, 제7 역치, 제10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 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제3 기간에서,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8 역치보다 높은 경우,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되, N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되고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8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UE 능력을 보고하는 보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UE 능력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상기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N은 M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고; 또는,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표기하고,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측정하여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에 해당하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미측정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측정된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3 기간의 종료 순간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제4 기간에서,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지속적으로 제9 역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모두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되,
    상기 제9 역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되고,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미리 구성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N 값에 해당하고,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N개의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네트워크 장비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구성된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임 - ;
    상기 서빙 셀의 신호 품질이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에 대해서만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준 신호 품질 임계값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임계값 및/또는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임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2.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는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상기 측정지표에 해당하고,
    상기 조정 모듈은 또한,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고;
    상기 비교적 낮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 내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신호 품질이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비교적 높은 측정지표 요구사항을 갖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는 측정 시간 간격, 측정 샘플 포인트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34. 네트워크 장비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비는 주파수 간 측정 결과 및/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를 조정하고,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 속성 정보는 주파수 포인트 유형,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 수, 상이한 주파수 포인트 유형의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포인트 유형은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 또는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측정지표 요구사항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5. 제34항에 있어서,
    단말 장비에 대해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및 구성 정보를 구성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된 UE 능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UE 능력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에 대한 상기 단말 장비의 최대 측정 수 M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구성 모듈은 또한, 상기 UE 능력에 근거하여 상기 최대 측정 수 M보다 작거나 같은 N 값을 구성하되, 상기 N 값은 상기 단말 장비가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의 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모듈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 불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모듈은 또한,
    다수의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고, 각 상기 조정 가능한 주파수 간 주파수 포인트 그룹에 대한 자체의 N 값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모듈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성능 주파수 포인트를 고우선순위 주파수 포인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모듈은 또한,
    다수의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을 구성하되, 각 상기 제2 성능 주파수 포인트 그룹은 자체의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 및 상기 측정지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모듈은 또한,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을 구성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신호 품질 역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역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비.
  41.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 장비.
  42.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컴퓨터가 전술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네트워크 장비.
  44.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컴퓨터가 전술한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08405A 2019-08-15 2020-07-27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 KR20220048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55144.0 2019-08-15
CN201910755144.0A CN111800842B (zh) 2019-08-15 2019-08-15 Rrc空闲或非激活状态下的移动性测量方法及设备
PCT/CN2020/104935 WO2021027546A1 (zh) 2019-08-15 2020-07-27 Rrc空闲或非激活状态下的移动性测量方法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004A true KR20220048004A (ko) 2022-04-19

Family

ID=7280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405A KR20220048004A (ko) 2019-08-15 2020-07-27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7201A1 (ko)
EP (1) EP4017130A4 (ko)
KR (1) KR20220048004A (ko)
CN (1) CN111800842B (ko)
WO (1) WO2021027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1475A (zh) * 2021-12-29 2022-05-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部署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9128A1 (en) * 2006-02-03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surement of handover of active mode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795258C (en) * 2010-04-02 2016-10-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ow mobility states and procedures
WO2012148205A2 (ko) * 2011-04-27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dt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3220702B (zh) * 2012-01-19 2016-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异频小区测量方法、装置和系统
EP2621222B1 (en) * 2012-01-24 2015-12-30 BlackBerry Limited Performing idle mode mobility measurem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647767B (zh) * 2012-03-23 2014-04-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小区重选测量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EP2779745A1 (en) * 2013-03-12 2014-09-17 Orange Method for measuring the cellular mobility of at least one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network, corresponding user equipment, cell mobility measurement module and program.
US9756534B2 (en) * 2015-09-21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inter-frequency measurements
US10819450B2 (en) * 2015-11-05 2020-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terminal performs frequency measurement, and device
EP3375245B1 (en) * 2015-11-09 2021-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ing multiple carriers under discontinuous activity
US10804989B2 (en) * 2016-07-20 2020-10-13 Convida Wireless, Llc Mobility for radio devices using beamforming and selection
CN108574955B (zh) * 2017-03-07 2023-04-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ue触发的移动性场景中测量优化的方法和装置
US11129070B2 (en) * 2017-05-04 2021-09-2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based neighbor relation information
CN110521157A (zh) * 2017-05-12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辅小区配置方法、基站及终端设备
US11297674B2 (en) * 2018-02-14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s at a user equipment
US20210392525A1 (en) * 2018-11-02 2021-12-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s
CN111757349A (zh) * 2019-03-29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方法及装置
CN114208256A (zh) * 2019-05-28 2022-03-18 泰雷兹数字安全德国有限公司 用于有限带宽用户设备的改进漫游的方法
WO2021003642A1 (zh) * 2019-07-08 2021-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频点测量方法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67201A1 (en) 2022-05-26
EP4017130A4 (en) 2023-01-04
EP4017130A1 (en) 2022-06-22
CN111800842A (zh) 2020-10-20
CN111800842B (zh) 2023-06-16
WO2021027546A1 (zh)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795B2 (en) Measurement method, terminal, device, and access network device
WO2021027930A1 (zh) 测量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9307436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user equipment to report a measurement result
KR20210071957A (ko) 측정방법과 장치
CN110557812B (zh) 信号传输方法及装置
US20230083399A1 (en) Signal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220045171A (ko) 측정 방법, 측정 지시 방법 및 기기
CN113141659B (zh) 波束管理的方法及设备
WO2022017086A1 (zh) 信号的传输方法、装置、终端、基站及存储介质
US20210068085A1 (en) Signal receiving metho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EP36681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measuring modes
WO2020083348A1 (zh) 一种带宽部分的配置方法及装置
JP2012222404A (ja) 移動機及び方法
CN114786207A (zh) 测量调度方法、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US20180332511A1 (en) Uplink Measurement Based Mobility Management
KR20220048004A (ko) Rrc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이동성 측정 방법 및 장비
CN108574955B (zh) 基于ue触发的移动性场景中测量优化的方法和装置
JP2023522431A (ja) 無線リソース管理測定方法、端末機器とネットワーク機器
CN113015224B (zh) 小区重选方法及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23046062A1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及用户设备
CN113133090B (zh) 信号传输方法及装置
WO2023011535A1 (zh) 低移动性状态的确定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097701A (zh) 用于增强无线通信装置测量的方法
KR20220024814A (ko) 이동성 상태 평가 방법 및 단말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