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720A - training bench - Google Patents

training b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720A
KR20220047720A KR1020217032718A KR20217032718A KR20220047720A KR 20220047720 A KR20220047720 A KR 20220047720A KR 1020217032718 A KR1020217032718 A KR 1020217032718A KR 20217032718 A KR20217032718 A KR 20217032718A KR 20220047720 A KR20220047720 A KR 20220047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ment
frame
rear frame
ar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리 치앵 쨔오
Original Assignee
하이가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가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이가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7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7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종래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필요 이상으로 등받이 시트가 경도되고,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10)에서는, 주로, 다리부 프레임(11)과, 배면 프레임(12)과, 가동 프레임(13)과, 시트면부(14)와, 배면 시트(15)와, 각도 조정 기구(16)와, 조작부(17)와, 규제부(18)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도 조정 기구(16)로, 배면 프레임(12)의 고정 상태와 각도 조정 상태를 적절히 이행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트레이닝 중에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배면 시트(15)가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우수한 트레이닝 벤치(10)가 실현된다.In the conventional training ben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 seat is more than necessary against the user's will,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In the training bench 10 of this invention, mainly, the leg part frame 11, the back frame 12, the movable frame 13, the seat surface part 14, the back seat 15, and the angle adjustment A mechanism 16 , an operation unit 17 , and a regulating unit 18 are provided. And, by controlling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to appropriately shift the fixed state and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back frame 12, the back sheet 15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tilted against the user's will during training. Thus, the training bench 10 excellent in safety is realized.

Description

트레이닝 벤치training bench

본 발명은, 트레이닝 벤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면부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간이한 조작으로 배면 시트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 가능함과 함께,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배면 시트가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트레이닝 벤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bench, and particularly, in a state of sitting on the seat surface, the rear seat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the rear seat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hardened against the user's will It relates to a training bench with excellent safety.

종래의 트레이닝 벤치(100)의 구조로서, 도 6에 도시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6은, 종래의 트레이닝 벤치(100)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As a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training bench 100,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is known.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raining bench 100 .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닝 벤치(100)는, 주로, 설치용 프레임(101)과, 횡가 프레임(102)과, 횡가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좌석 시트(103)와, 횡가 프레임(102)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등받이 시트(104)와, 등받이 시트(104)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심 기둥(105)과, 횡가 프레임(102)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106)와, 조작 레버(106)에 의해 조작되는 각도 조정 기구(107)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6 , the training bench 100 mainly includes a frame 101 for installation, a transverse frame 102 , a seat seat 103 fixed to the transverse frame 102 , and a transverse frame 102 . ), a back seat 104 rotatably disposed on the back seat 104 , a central column 105 rotatably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seat 104 , and an operation lever 106 disposed on the transverse frame 102 , and operation An angle adjustment mechanism 107 operated by a lever 106 is provided.

각도 조정 기구(107)는, 주로, 중심 기둥(105)의 길이 조정용 스토퍼부(108)와, 조작 레버(106)에 연결하는 와이어(109)를 갖는다. 또한, 스토퍼부(108)는, 스토퍼 핀(110)과, 스토퍼 핀(110)이 중심 기둥(105)에 삽탈 가능하게 되기 위한 스프링(111)을 갖고, 스토퍼 핀(110)에는 와이어(109)가 연결된다.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07 mainly has the stopper part 108 for length adjustment of the center pillar 105, and the wire 109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10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topper portion 108 has a stopper pin 110 and a spring 111 for allowing the stopper pin 11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entral column 105 , and a wire 109 to the stopper pin 110 . is connected

이 구조에 의해, 트레이닝 벤치(100)에서는, 사용자가 좌석 시트(103)에 걸터앉은 상태 그대로, 조작 레버(106)를 끌어당김으로써, 와이어(109)가 수축되고, 스토퍼 핀(110)이 중심 기둥(105)으로부터 뽑힌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등받이 시트(104)를 원하는 경사 각도로 기울인 후, 조작 레버(106)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스토퍼 핀(110)이 다시 중심 기둥(105)으로 삽입되고, 등받이 시트(104)가 고정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With this structure, in the training bench 100, the wire 109 is contracted by pulling the operation lever 106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seat 103, and the stopper pin 110 is centered. It is pulled out from the pillar (105). And, in this state, after tilting the backrest seat 104 to a desired inclination angle, by returning the operation lever 106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topper pin 110 is again inserted into the center pillar 105, and the backrest seat (104) is fix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07-24121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07-24121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닝 벤치(100)의 사용자는 좌석 시트(103)에 걸터앉은 상태 그대로, 조작 레버(106)를 조작함으로써, 등받이 시트(104)를 원하는 경사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등받이 시트(104)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때마다, 트레이닝 벤치(100)로부터 내려올 필요가 없어, 쾌적한 트레이닝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training bench 100 can adjust the backrest seat 104 to a desired inclination angle by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106 while sitting on the seat seat 103 . In addi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come down from the training bench 100 every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seat 104 is adjusted, so that comfortable training is possible.

그러나, 등받이 시트(104)는, 스토퍼 핀(110)이 중심 기둥(105)으로부터 뽑힌 상태 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이 필요 이상으로 등받이 시트(104)에 가해질 때에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필요 이상으로 등받이 시트(104)가 경도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과도하게 기울어진 등받이 시트(104)에 대하여 머리를 부딪히는 등, 예기치 못한 부상을 입는 경우도 있어, 안전면에 과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backrest seat 104 is performed when the stopper pin 110 is pulled out from the central pillar 105, when the user's weight is applied to the backrest seat 104 more than necessary, against the user's will The back seat 104 may become harder than necessary. In this case, the user may suffer an unexpected injury, such as hitting his/her head against the backrest seat 104 that is excessively inclin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safety.

또한, 사용자는, 등받이 시트(104)에 기대고, 중심 기둥(105)을 등진 상태에서, 예를 들어 등받이 시트(104)를 등으로 누르고, 등받이 시트(104)의 각도 조정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토퍼 핀(110)이 삽입되는 중심 기둥(105)의 걸림 구멍(도시생략)의 위치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등받이 시트(104)의 각도 조정을 행하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 주변에서 스토퍼 핀(110)이 걸림 구멍에 삽입될 때까지, 등받이 시트(104)의 각도의 미세 조정이 필요해져서,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leans on the backrest seat 104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illar 105 is backed up, for example, the user presses the backrest seat 104 with his or her back to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seat 104 . Then, the user adjusts the angle of the back seat 104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not shown) of the central pillar 105 into which the stopper pin 110 is inserted is not visibl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seat 104 in the vicinity of the desired angle. Until the stopper pin 1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fine adjustment of the angle of the back seat 104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bility is poor.

나아가서는, 등받이 시트(104)의 상기 미세 조정의 결과, 스토퍼 핀(110)이 다른 걸림 구멍에 삽입되고, 등받이 시트(104)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 각도로 되지 않아, 다시, 조작 레버(106)를 조작하고, 등받이 시트(104)의 각도 조정이 필요해져서, 조작이 번거롭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스토퍼 핀(110)으로 등받이 시트(104)를 위치 고정하는 구조에서는, 강도면 등으로부터 걸림 구멍의 간격을 일정 정도 확보할 필요가 있고, 등받이 시트(104)의 미세한 각도 조정이 어려워, 사용자의 편리성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Further, as a result of the above fine adjustment of the backrest seat 104, the stopper pin 110 is inserted into the other locking hole, and the backrest seat 104 does not become the user's desired inclination angle, again, the operation lever 106 ,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f the back seat 104,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cumbersome.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ack seat 104 with the stopper pin 110,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locking holes from the strength surface, etc.,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fine angle of the back seat 104, so that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of is bad.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트면부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간이한 조작으로 배면 시트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 가능함과 함께,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배면 시트가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트레이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while sitting on the seat surface, the back sheet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by simple operation, and the back sheet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hardened against the user's will It is to provide a training bench with excellent safety.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다리부 프레임과, 상기 다리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배면 프레임과, 그 일단측이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함께, 그 타단측이 상기 다리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배면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와, 상기 각도 조정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을 정지시켜서, 상기 배면 프레임을 위치 고정하는 고정 상태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배면 프레임의 상기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정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g frame, a back frame supported by the leg frame,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back frame, and the other end slides with respect to the leg frame A movable frame disposed movably,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frame, and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comprises: the movable frame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To form a fixed stat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ear frame by stopp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an angle adjustment state that allow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vable frame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nd allow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frame to be adjuste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상기 조작부의 1회의 조작에 연동하여, 다시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moves from the angle adjustment state to the fixed state again in conjunction with on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for shifting from the fixed state to the angle adjustment state. do it with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각도 조정용 기어와, 상기 배면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에 대하여 감합 또는 이격하는 제1 암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상기 제1 암부를 회동시키는 제2 암부를 갖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일단측은,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가 고정되는 지지축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고정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에 대하여 감합하고, 상기 지지축부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이 정지하고, 상기 각도 조정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지지축부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includes an angle adjustment gear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nd a first arm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frame and fitted or spaced apart from the angle adjustment gear. and a second arm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frame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arm portion; is fixed, and in the fixed state, the first arm portion is fitted with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is stopped, and in the angle adjustment state, the first arm portion is the angl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gear for adjus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is allowed.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제1 암부에 배치되는 돌기편부와, 상기 제2 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편부를 안내함으로써 상기 제1 암부를 회동시키는 안내 홈을 더 갖고, 상기 돌기편부가 상기 안내 홈 내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 이행하고, 상기 돌기편부가 상기 안내 홈 내를 이동한 후, 상기 안내 홈으로부터 외부로 빠짐으로써,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includes a projection piece disposed on the first arm portion,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second arm portion and rotating the first arm portion by guiding the projection piece portion. Further, by moving the protrusion piece in the guide groove, transition from the fixed state to the angle adjustment state, and after the protrusion piece moves in the guide groove, pull out from the guide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itions from the angle adjustment state to the said fix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제2 암부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편부에 일방향으로부터 압박됨으로써 신축 동작하는 가동편부를 더 갖고, 상기 돌기편부는, 상기 안내 홈으로부터 빠진 후, 상기 가동편부를 상기 일방향으로 압박하고, 상기 가동편부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암부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다시, 상기 돌기편부가, 상기 안내 홈 내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second arm and further has a movable piece that expands and contracts by being pressed from one direction to the protruding piece, wherein the protruding piece is detached from the guide groove. Then, the movable piece is pressed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movable piece is contracted, so that the protruding piece returns to the guide groov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econd arm.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기 타단측에는, 상기 다리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 이동 연결부에는, 상기 배면 프레임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프레임의 경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movable frame, a sliding connection part sliding with respect to the leg part frame is disposed, and the sliding connection part extends toward the rear frame side, and the rear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gulating part for regulating the hardness range is disposed.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가동 프레임의 일단측이 배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프레임의 타단측이 다리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도 조정 기구가, 가동 프레임과 배면 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트레이닝 중에 조작부를 조작하고, 배면 프레임의 각도 조정을 행할 수 있어,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movable frame is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frame is disposed slidably with respect to the leg frame. And when an angle adjustment mechanism controls the rotation operation|movement of a movable frame and a back frame, a user can operate an operation part during training, and can perform angle adjustment of a back frame, and the convenience improves.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각도 조정 기구는, 배면 프레임의 고정 상태로부터 각도 조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다시,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배면 프레임이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는, 안전하게 배면 프레임의 각도 조정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interlocks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for shifting the rear frame from the fixed state to the angle adjustment state, and again makes the change from the angle adjustment state to the fixed state. With this structure, the back frame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tilted against the user's will, and the user can safely adjust the angle of the back frame.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각도 조정용 기어 및 가동 프레임의 일단측이 고정되는 지지축부가, 배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배면 프레임의 각도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 구조에 의해, 각도 조정용 기어의 각 치형의 1 스판마다 배면 프레임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의 트레이닝 내용 등에 따라서, 배면 프레임의 미세한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Moreover, in the training bench of this invention, the angle adjustment of a back frame becomes possible by the support shaft part to which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one end side of a movable frame are fixed rotates with respect to a back frame. With this structure, the angle of the rear frame can be adjusted for each one span of each tooth of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angle of the rear frame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training content, etc., and the convenience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제1 암부에는 돌기편부가 형성되고, 제2 암부에는 돌기편부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편부가, 안내 홈을 이동한 후, 안내 홈 밖으로 빠짐으로써, 제1 암부는, 각도 조정용 기어에 대하여, 1회의 조작 내에서, 감합된 상태로부터 이격하고, 다시, 감합된 상태로 된다. 이 구조에 의해,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1회의 조작 내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르지 않고, 최종적으로 고정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배면 프레임이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는, 안전하게 트레이닝 벤치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in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piece is formed on the first arm portion, and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protrusion piece portion is formed on the second arm portion. Then, after the projection piece moves the guide groove, it falls out of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first arm part is separated from the fitted state within on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and is again in the fitted state. . With this structure, in the training bench, the rear frame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tilted by finally returning to a fixed state without complying with the user's intention within one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training bench. can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제2 암부에는, 일방향으로 신축 동작을 반복하는 가동편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편부는,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신축 동작을 행함으로써, 돌기편부가 안내 홈 내로 되돌아가고, 연속해서 배면 프레임의 각도 조정을 반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in the training bench of this invention, the movable piece part which repeats the expansion-contraction operation in one direction is arrange|positioned in the 2nd arm part. And the movable piece part returns to the guide groove by performing the said expansion-contraction operation in the process of shifting from an angle adjustment state to a fixed state, and it becomes possible to repeat angle adjustment of a back frame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 벤치에서는, 가동 프레임에는, 배면 프레임의 경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가령, 각도 조정 기구의 각 구성 부품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규제부에 의해 배면 프레임의 경도 범위를 규제함으로써, 사용자가, 트레이닝 중에 부상 등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Moreover, in the training bench of this invention, the restricting part which regulates the hardness range of a back frame is arrange|positioned on the movable frame. With this structure, even when a part of each component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is damaged,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during training by regulating the hardness range of the back frame by the regulat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트레이닝 벤치를 설명하는 (A) 사시도, (B)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트레이닝 벤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트레이닝 벤치의 각도 조정 기구를 설명하는 (A) 사시도, (B)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트레이닝 벤치의 각도 조정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A) 측면도, (B)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트레이닝 벤치의 각도 조정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A) 측면도, (B)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트레이닝 벤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B) side view explaining the training bench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ining 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B) exploded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of the training bench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ide view and (B) side view explaining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of the training bench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ide view and (B) side view explaining the operation|movement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of the training bench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raining bench.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벤치(10)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 시에는, 동일한 부재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하 방향은 트레이닝 벤치(10)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고, 좌우 방향은 트레이닝 벤치(10)의 가로 폭 방향을 나타내고, 전후 방향은 트레이닝 벤치(10)의 깊이 방향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training benc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e case of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as a rule, the same reference numeral is used for the same member, and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In addition, the up-down direction represent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raining bench 10 , the left-right direction represents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of the training bench 10 , and the front-back direction represents the depth direction of the training bench 10 .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벤치(1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벤치(10)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벤치(10)의 배면 프레임(12) 및 각도 조정 기구(16)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벤치(10)의 각도 조정 기구(16)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벤치(10)의 각도 조정 기구(16)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raining benc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1B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training benc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2 :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back frame 12 and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of the training bench 10 of this embodiment.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of the training benc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of the training benc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닝 벤치(10)는, 주로, 다리부 프레임(11)과, 다리부 프레임(11)에 지지되는 배면 프레임(12)과, 다리부 프레임(11)과 배면 프레임(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13)과, 다리부 프레임(11)에 지지되는 시트면부(14)와, 배면 프레임(12)에 지지되는 배면 시트(15)와, 배면 프레임(12)에 배치되는 각도 조정 기구(16)와, 각도 조정 기구(16)를 조작하는 조작부(17)와, 배면 프레임(12)의 경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18)를 구비한다. 그리고, 트레이닝 벤치(10)는, 사용자가 웨이트 트레이닝 등을 행할 때에 이용되고, 트레이닝 내용이나 트레이닝 부위 등에 따라서, 배면 시트(15)를 시트면부(14)에 대하여 각도 조정하면서 사용된다.1A and 1B , the training bench 10 mainly includes a leg frame 11 and a rear frame 12 supported by the leg frame 11 . and a movable frame 13 disposed between the leg frame 11 and the rear frame 12 , the seat surface portion 14 supported by the leg frame 11 , and the rear frame 12 supported by the rear frame 12 . The back sheet 15,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arranged on the rear frame 12, the operation part 17 which operates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and the regulation which regulates the hardness range of the back frame 12 A portion 18 is provided. And the training bench 10 is used when a user performs weight training etc., and is used,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 sheet 15 with respect to the seat surface part 14 according to training content, a training site|part, etc.

다리부 프레임(11)은, 트레이닝 벤치(10)를 트레이닝 룸 등의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이며, 예를 들어 철재, 알루미늄재 등, 원하는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리부 프레임(11)은, 주로, 2개의 중심 기둥부(11A, 11B)와, 중심 기둥부(11A, 11B)의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다리부(11C, 11D)를 갖는다. 또한, 중심 기둥부(11A, 11B)는, 그 상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트레이닝 벤치(10)의 불사용 시에는 접어서 수납할 수도 있다.The leg frame 11 is a frame for erecting the training bench 10 against a floor surface of a training room or the like, and is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desired rigidity such as iron or aluminum. And the leg part frame 11 mainly has two center pillar parts 11A, 11B, and two leg parts 11C, 11D arrange|positioned at the lower ends of the center pillar parts 11A, 11B, respectively. Moreover, since the upper end side is connect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the center pillar parts 11A, 11B can also be folded and accommodated when the training bench 10 is not in use.

배면 프레임(12)은, 다리부 프레임(11)의 연결 축부(24)(도 2 참조)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전방면측에 배면 시트(15)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트레이닝 시에는, 예를 들어 배면 시트(15)에 기댄 상태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을 행하기 때문에, 다리부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원하는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The back frame 12 is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haft part 24 (refer FIG. 2) of the leg part frame 11, and the back sheet 15 is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side. In the case of training, for example, the user performs weight training while leaning against the back sheet 15, so that, like the leg frame 11,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esired rigidity.

가동 프레임(13)은, 배면 프레임(1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다리부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원하는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13)의 상단측은,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축부(22)(도 2의 (A) 참조)에 고정됨으로써, 지지축부(22)와 일체로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한다. 한편, 가동 프레임(13)의 하단측은, 다리부 프레임(11)의 중심 기둥부(11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movable frame 13 supports the rear frame 12 from below, and, like the leg frame 11 ,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esired rigidity.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movable frame 13 is fixed to the support shaft part 22 (refer FIG. 2(A)) which is arrange|positione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back frame 12, and the back surface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haft part 22. I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ame 12. 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frame 13 i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illar 11A of the leg frame 11 .

구체적으로는, 가동 프레임(13)은, 주로, 다리부 프레임(11)과 배면 프레임(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기둥부(13A)와, 다리부 프레임(11)의 중심 기둥부(11A)에 배치되고, 중심 기둥부(11A)에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를 갖는다.Specifically, the movable frame 13 is mainly composed of a central pillar portion 13A disposed between the leg frame 11 and the rear frame 12 , and a central pillar portion 11A of the leg frame 11 . ), and has a sliding connection portion 13B that moves while being guided by the central pillar portion 11A.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는, 그 내부에 공지된 롤러 구조(도시생략)를 갖고, 롤러 구조가 중심 기둥부(11A)의 표면을 활주함으로써,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는, 중심 기둥부(11A)를 따라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기둥부(13A)의 상단측은, 지지축부(22)와 일체로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하고,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는, 상기 회동 동작과 연동해서 중심 기둥부(11A)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의 경사 각도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 구조에 의해, 배면 프레임(12)은, 설치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누운 상태까지 가동할 수 있다.The sliding connection portion 13B has a known roller structure (not shown) therein, and the roller structure slides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pillar portion 11A, so that the sliding connection portion 13B becomes the central pillar portion 11A. ) to move along.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side of the central pillar portion 13A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integrally with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2, and the sliding connection portion 13B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entral pillar portion. By moving along 11A,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ear frame 12 can be adjusted. With this structure, the rear frame 12 can move from a state in which it stands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to a state in which it lies down substantially horizontally.

규제부(18)는, 배면 프레임(12)의 경도 범위의 하한 위치를 규제하는 부재이며,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와 일체로 중심 기둥부(11A)를 따라 이동한다. 규제부(18)는,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의 상면측에 고정되고, 배면 시트(15)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배면 프레임(12)은, 시트면부(14)에 대하여 대략 편평한 상태에서, 규제부(18)의 선단에 맞닿음으로써, 배면 프레임(12) 및 배면 시트(15)가, 그 이상 경도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regulating part 18 is a member which regulates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hardness range of the back frame 12, and moves along the center pillar part 11A integrally with the sliding connection part 13B. The regulating part 18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liding connection part 13B, and extends toward the back sheet 15 side. Then, the back frame 12 is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flat with respect to the seat surface portion 14, and abuts against the tip of the regulating portion 18, so that the rear frame 12 and the back sheet 15 are more inclined. it is prevented

또한, 가령 각도 조정 기구(16)의 구성 부품의 일부가 파손되어, 배면 프레임(12)이 갑자기 경도된 경우에도, 미끄럼 이동 연결부(13B)는, 중심 기둥부(11A)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트레이닝 벤치(10)의 상기 파손 상황하에서도, 그 기계적 구조로서, 배면 프레임(12)이 규제부(18)의 선단에 맞닿음으로써, 배면 프레임(12) 및 배면 시트(15)가, 상기 편평한 상태보다도 경도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된다.Moreover, even when a part of the component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is damaged and the back frame 12 suddenly inclines, the sliding connection part 13B does not come off from the center pillar part 11A. And, even under the above damaged condition of the training bench 10, as its mechanical structure, the rear frame 12 abuts against the front end of the regulating part 18, so that the rear frame 12 and the back sheet 15 are It is prevented from being harder than the said flat state, and user's safety is ensured.

시트면부(14)는, 주로, 사용자가 걸터앉는 시트면 시트(14A)와, 시트면 시트(14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B, 14C)을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4B)의 일단측이 다리부 프레임(11)의 중심 기둥부(11B)에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14C)의 일단측이 배면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4B) 자체가, 공지된 신축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시트면부(14)의 각도 조정이나 높이 조정을 행할 수 있다.The seat surface portion 14 mainly includes a seat surface sheet 14A on which the user sits, and support frames 14B and 14C for supporting the seat surface sheet 14A from below. As illustrated, one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14B is fixed to the central pillar portion 11B of the leg frame 11 , and one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14C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ar frame 12 . do. And when the support frame 14B itself is equipped with a well-known expansion-contraction mechanism, the angle adjustment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seat surface part 14 can be performed.

배면 시트(15)는, 주로, 사용자가 기대는 쿠션부로 이루어지고, 배면 프레임(12)에 고정됨으로써, 배면 프레임(12)과 일체로 다리부 프레임(11)에 대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부(17)를 조작하고, 각도 조정 기구(16) 등을 통해 배면 프레임(12)을 경사시킴으로써, 배면 시트(15)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 각도로 조정된다.The back seat 15 mainly consists of a cushion part on which the user rests, and is fixed to the back frame 12,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eg part frame 11 integrally with the back frame 12. As shown in FIG. T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 and inclines the back frame 12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or the like, whereby the back sheet 15 is adjusted to the inclination angle desired by the user.

조작부(17)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조작 레버이며, 그 한 쌍의 손잡이부(17A)가, 배면 시트(15)의 좌우 양단부 근방에 각각 배치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조작부(17)의 일부는, 배면 시트(15)의 배면측에서 각도 조정 기구(16)의 제2 암부(33)(도 3의 (A) 참조)에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조작부(17)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2 암부(33)가 회동하고,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를 감합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의 각도 조정이 가능해진다.The operation unit 17 is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operation lever, and a pair of handle portions 17A ar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back sheet 15 , respectively. Although detailed later, a part of the operation part 17 is fixed to the 2nd arm part 33 (refer FIG. 3(A))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from the back side of the back sheet 15. As shown in FIG. And the 2nd arm part 33 rotates and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re separated from the fitted state when a user performs operation which pulls the operation part 17 to the front side, for example. By shifting to , the angle adjustment of the rear frame 12 becomes possibl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프레임(12)은, 주로, 배면 시트(15)가 고정되는 2개의 중심 기둥부(12A, 12B)와, 중심 기둥부(12A, 12B)를 가로 폭 방향으로 가교하는 2개의 가교부(12C, 12D)를 갖는다. 그리고, 가교부(12C, 12D) 간에는, 각도 조정 기구(16)를 지지하는 3개의 지지축부(21, 22, 23)가, 중심 기둥부(12A, 12B)에 고정된 연결 플레이트(41) 사이를 가교해서 배치된다. 또한, 배면 프레임(12)은, 다리부 프레임(11)의 연결 축부(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연결 축부(24)를 회전 지점으로 하여, 트레이닝 벤치(10)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 각도로 조정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back frame 12 mainly includes two central pillar portions 12A and 12B to which the back sheet 15 is fixed, and the central pillar portions 12A, 12B in the lateral direction. It has two bridge|crosslinking parts 12C and 12D which bridge|crosslink. And between the bridge parts 12C, 12D, the three support shaft parts 21, 22, 23 which support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are between the connection plates 41 fixed to the center pillar parts 12A, 12B. It is arranged by crosslinking. In addition, the rear frame 1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24 of the leg portion frame 11 , and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raining bench 10 using the connecting shaft portion 24 as a rotation point. , the adjustment is made to the angle of inclination desired by the user.

중심 기둥부(12A, 12B)는, 배면 시트(15)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근방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배면 시트(15)를 그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그리고, 가교부(12C, 12D)가, 중심 기둥부(12A, 12B)의 높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중심 기둥부(12A, 12B)와 용접 고정됨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의 원하는 강성이나 강도를 실현한다.The central pillars 12A, 12B are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back sheet 15 in the left-right direction,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 the back sheet 15 from the back side thereof. And the bridge parts 12C, 12D are arrange|positioned near the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enter pillar parts 12A, 12B, and are welded and fixed to the center pillar parts 12A, 12B, so that the desired rigidity of the back frame 12 is carried out. or realize strength.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부(21, 22, 23)가, 중심 기둥부(12A, 12B)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다. 지지축부(21, 22, 23)는, 중심 기둥부(12A, 12B)에 용접 고정된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41)를 가교하도록 배치된다.As illustrated, the supporting shaft portions 21 , 22 , and 23 are dispos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central pillar portions 12A and 12B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upporting shaft portions 21 , 22 , and 23 are arranged so as to bridge the pair of connecting plates 41 welded to the central pillar portions 12A and 12B.

여기서, 도 3의 (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부(21)는, 그 양단측으로부터 볼트 체결됨으로써 연결 플레이트(41)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지지축부(22)는, 긴 볼트(22A)와, 원통축(22B)을 갖고, 긴 볼트(22A)가 연결 플레이트(41)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원통축(22B)이, 그 내부에 긴 볼트(22A)가 삽입 관통되도록, 연결 플레이트(41)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배치됨으로써, 지지축부(22)는,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지지축부(23)는, 긴 볼트(23A)와, 원통축(23B)을 갖고, 긴 볼트(23A)가 연결 플레이트(41)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원통축(23B)이, 그 내부에 긴 볼트(23A)가 삽입 관통되도록, 연결 플레이트(41)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배치됨으로써, 지지축부(23)는,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해진다.Here, as also shown in Fig. 3B,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1 is fixed without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late 41 by being bolted from both ends thereof.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2 has a long bolt 22A and a cylindrical shaft 22B, and the long bolt 22A is fixed to the connecting plate 41 . Then, the cylindrical shaft 22B is disposed in a rotatable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plates 41 so that the long bolt 22A is inserted therein, whereby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2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 rotation becomes possible And the support shaft part 23 has the long bolt 23A and the cylindrical shaft 23B, and the long bolt 23A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late 41. As shown in FIG. Then, the cylindrical shaft 23B is disposed in a rotatable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plates 41 so that the long bolt 23A is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3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 rotation becomes possible

이 구조에 의해, 지지축부(21)는, 연결 플레이트(41)에 대하여 고정됨과 함께, 지지축부(22, 23)는, 원통축(22B, 23B)을 통해 연결 플레이트(41)에 대하여 회동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지지축부(22)는, 각도 조정용 기어(31)(도 3의 (A) 참조)와 제1 암부(32)(도 3의 (A) 참조)가 감합 상태 시에는, 제1 암부(32)를 통해 배면 프레임(12)에 고정됨으로써, 가동 프레임(13)도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고정된다. 한편, 지지축부(22)는, 각도 조정용 기어(31)와 제1 암부(32)가 이격 상태 시에는, 배면 프레임(12)에 회동함으로써, 가동 프레임(13)도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한다. 또한, 제1 암부(32)가 지지축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지지축부(22)에 고정되고, 제2 암부(33)(도 3의 (A) 참조)가 지지축부(23)에 고정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support shaft part 21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late 41, and the support shaft parts 22 and 23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late 41 via the cylindrical shafts 22B, 23B. . Although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shaft portion 22 is in a state in which the angle adjustment gear 31 (see Fig. 3A) and the first arm portion 32 (see Fig. 3A) are fitted. By being fixed to the rear frame 12 through the first arm 32 , the movable frame 13 is also fix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haft portion 22 rotates to the rear frame 12 when the angle adjustment gear 31 and the first arm portion 3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ovable frame 13 is also relative to the rear frame 12 . rotate Moreover, the 1st arm part 3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part 21,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is fixed to the support shaft part 22, and the 2nd arm part 33 (FIG. 3(A)) See) is fixed to the support shaft (23).

또한, 조작부(17)는, 제2 암부(33)에 대하여 고정되고, 한 쌍의 손잡이부(17A)는, 중심 기둥부(12A, 12B)의 높이 방향의 대략 1/3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시트면부(14)(도 1의 (A) 참조)에 걸터앉고, 배면 시트(15)에 기댄 상태에서, 양손을 배면측으로 뻗음으로써, 용이하게 한 쌍의 손잡이부(17A)를 잡고,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태에서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를 전방측으로 당기고,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이격 상태 시에, 등으로 배면 시트(15)를 배면측으로 누름으로써, 가동 프레임(13)이 가동하고, 배면 프레임(12)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Moreover, the operation part 17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2nd arm part 33, and the pair of handle parts 17A is arrange|positioned at the height position of about 1/3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enter pillar parts 12A, 12B. do.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sits on the seat surface portion 14 (refer to Fig. 1A) and stretches both hands to the rear side while leaning against the rear seat 15, so that a pair of handle portions can be easily (17A) can be grasped and operated. In the above state, the user pulls the handle portion 17A of the operation unit 17 to the front side, and when the first arm portion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re spaced apart, the back sheet 15 is moved to the rear side. By pressing, the movable frame 13 is movabl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frame 12 can be adjusted.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정 기구(16)는, 주로, 지지축부(22)에 고정되는 각도 조정용 기어(31)와, 지지축부(21)를 회전 지점으로 하고, 각도 조정용 기어(31)에 대하여 감합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형성하는 제1 암부(32)와, 지지축부(23)와 함께 회전하고, 제1 암부(32)의 회동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암부(33)와, 제1 암부(32)를 각도 조정용 기어(31)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34)와, 제2 암부(33)를 제1 암부(32)측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35)와, 지지축부(22)에 배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37)과, 제1 암부(32)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되는 돌기편부(38)와, 제2 암부(33)에 형성되는 안내 홈(39)과, 제2 암부(33)에 배치되는 가동편부(40)와, 가동편부(40)를 일방향으로 가동시키는 제3 탄성부(36)(도 4의 (A) 참조)를 갖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3 탄성부(36)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As shown in FIG.3(A) and FIG.3(B),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mainly includes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fixed to the support shaft part 22, and the support shaft part 21. is a rotation point,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arm part 32 that forms a fitted state or a spaced state with respect to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support shaft part 23, and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irst arm part 32 is performed The second arm part 33 to control, the first elastic part 34 for pressing the first arm part 32 towar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second arm part 33 for pressing the first arm part 32 side. a second elastic part 35, a spiral spring 37 disposed on the support shaft part 22, a protrusion piece part 38 fix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rm part 32, and a second arm part 33 A guide groove 39 formed in the , a movable piece portion 40 disposed on the second arm portion 33 , and a third elastic portion 36 for moving the movable piece portion 40 in one direction ( FIG. 4A ) see) has.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rd elastic part 36 is omitted and illustrated.

각도 조정용 기어(31)는, 대략 부채 형상이며, 예를 들어 철재, 알루미늄재 등, 원하는 강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원호 영역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치형(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도 조정용 기어(31)는, 지지축부(22)의 대략 중앙 영역에서 용접 고정되고, 단독으로 회동 동작하지 않고, 지지축부(22)와 일체로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동작한다.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is substantially fan-shaped, and is formed from the material which has desired rigidity, such as an iron material and an aluminum material,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eth 31A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in the arc region of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is welded and fix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area of the support shaft part 22, and does not rotate independently, bu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ck frame 12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haft part 22.

제1 암부(32)는, 예를 들어 각도 조정용 기어(31)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원호 영역의 복수의 치형(31A)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암부(32)의 일단(32A) 측이, 지지축부(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그리고, 제1 암부(32)의 타단(32B)측에는,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원호 영역과의 대향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치형(32C)이 형성되고, 치형(32C)은, 상기 치형(31A)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된다. 또한, 제1 암부(32)의 치형(32C)의 형성 영역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치형(31A)의 형성 영역과 대략 동일한 곡률 반경의 원호 형상으로 된다.The 1st arm part 32 is formed, for exampl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at least a part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oppose the some tooth shape 31A of the circular arc area|region of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 One end 32A side of the first arm portion 32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portion 21 . And, on the other end 32B side of the first arm portion 32, a plurality of teeth 32C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in an area opposite to the arc region of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teeth 32C are ,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teeth 31A. In addition, the formation area|region of the tooth shape 32C of the 1st arm part 32 turns into the circular arc shape of the radius of curvature substantially equal to the formation area|region of the tooth shape 31A of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이 구조에 의해, 제1 암부(32)의 치형(32C)과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치형(31A)은 감합하고,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치형(31)의 감합 상태에서는, 지지축부(22)는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고정되고, 회동 동작이 정지한다. 그 결과, 지지축부(22)에 고정된 가동 프레임(13)도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되고, 배면 프레임(12)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한 상태로 된다. 즉,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감합 상태에서는, 배면 프레임(12)의 경사 각도의 조정은 할 수 없게 되어, 배면 프레임(12)은 위치 고정된 고정 상태로 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teeth 32C of the first arm part 32 and the teeth 31A of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re fitted, and in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arm part 32 and the teeth for angle adjustment 31, The support shaft part 2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ack frame 12, and a rotation operation is stopped. As a result, the movable frame 13 fixed to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2 is also fix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and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frame 12 is supported from the rear. That is, in the fitting state of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 frame 12 becomes impossible, and the back frame 12 becomes the fixed state in which the position was fixed.

또한, 제1 암부(32)의 타단(32B)측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돌기편부(38)가 배치된다. 돌기편부(38)는, 예를 들어 제1 암부(32)와 동일 재료의 원주 형상의 막대 형상체이다. 또한, 제1 탄성부(34)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며, 제1 탄성부(34)는, 그 일단측은 지지축부(21)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은 제1 암부(32)에 고정됨으로써, 제1 암부(32)는, 제1 탄성부(34)에 의해 각도 조정용 기어(31)측으로 가압된다.In addition, a pair of protruding piece portions 38 ar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arm portion 32 on the other end 32B side. The projection piece 38 is, for example, a cylindrical rod-shaped bod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rm portion 32 . In addition, the 1st elastic part 34 is a coil spring, for example, The 1st elastic part 34 has the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part 2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1st arm part 32. Thereby, the 1st arm part 32 is pressed by the 1st elastic part 34 to the gear 31 side for angle adjustment.

제2 암부(33)는, 예를 들어 각도 조정용 기어(31)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각도 조정용 기어(31) 및 제1 암부(32)의 하방측에 배치된다. 제2 암부(33)의 일단(33A)측이, 지지축부(23)의 대략 중앙 영역에서 용접 고정되고, 단독으로 회동 동작하지 않고, 지지축부(23)와 일체로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동작한다. 그리고, 제2 암부(33)는, 그 내부가 중공부가 되는 상자형체이며, 상기 감합 상태에서는, 그 중공부 내에 각도 조정용 기어(31) 및 제1 암부(32)의 일부를 수납하고, 하방으로부터 양쪽 부재를 지지한다.The 2nd arm part 33 is formed from the same material as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for example, and is arrange|positioned below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1st arm part 32. As shown in FIG. One end (33A) side of the second arm part (33) is welded and fix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shaft part (23), does not rotate independently, and is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haft part (23)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rotation works. And the 2nd arm part 33 is a box-shaped body whose inside becomes a hollow part, and in the said fitted state,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a part of the 1st arm part 32 are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and from below support both members.

또한, 제2 암부(33)의 타단(33B)측에는, 제1 암부(32)의 돌기편부(38)와 걸림 결합하고, 제2 암부(33)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돌기편부(38)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홈(3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세는 후술하지만, 제2 암부(33)의 측면이며, 안내 홈(39)의 근방에는, 일방향으로 신축 동작 가능한 가동편부(40)가 형성된다. 또한, 가동편부(40)에는, 예를 들어 제3 탄성부(36)(도 4의 (A) 참조)가 배치되고, 그 신축 동작에 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on the other end 33B side of the second arm portion 33 , it engages with the projection piece 38 of the first arm portion 32 , and guides the projection piece 38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arm portion 33 . A pair of guide grooves 39 are formed. In addition, although detailed later, it is a side surface of the 2nd arm part 33, and the movable piece part 40 which can expand/contract in one direction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groove 39.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movable piece part 40, the 3rd elastic part 36 (refer FIG. 4(A)) is arrange|positioned, for example, The expansion-contraction operation is mentioned later using FIG. 4 and FIG. 5. FIG.

또한, 제2 탄성부(35)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며, 제2 탄성부(35)는, 그 일단측은 지지축부(21)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은 제2 암부(33)에 고정됨으로써, 제2 암부(33)는, 제2 탄성부(35)에 의해 각도 조정용 기어(31) 및 제1 암부(32)측으로 가압된다.Further, the second elastic part 35 is, for example, a coil spring, and the second elastic part 35 has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part 21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arm part 33 . Thereby, the 2nd arm part 33 is pressed by the 2nd elastic part 35 towar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1st arm part 32 side.

스파이럴 스프링(37)은, 배면 프레임(12)을 전방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며, 그 권취 시점인 일단(37A)은 지지축부(22)에 고정되고, 그 권취 종점인 타단(37B)은 지지축부(21)에 고정된다. 이 구조에 의해, 지지축부(22)가 회동하고, 배면 프레임(12)이 후방측으로 경사지면, 스파이럴 스프링(37)은, 지지축부(22)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권취함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을 전방측으로 가압한다.The spiral spring 37 is a member for urging the rear frame 12 to the front side, and one end 37A,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winding, is fixed to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2, and the other end 37B, which is the winding end point, is the supporting shaft portion. (21) is fixed.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support shaft portion 22 rotates and the rear frame 12 inclines to the rear side, the spiral spring 37 winds the support shaft portion 22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fastened. is pressed forwar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암부(32)는, 지지축부(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지만, 그 대략 중앙 영역의 오목부(21B) 내에 배치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하기 어려운 구조로 된다. 또한, 제2 암부(33)는, 지지축부(23)에 대하여 용접 고정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제1 암부(32)는, 제2 암부(33)의 내측에서 가이드되면서 회동하는 구조로 됨으로써, 지지축부(21)의 오목부(21B) 내에서 위치 어긋남하기 어려워진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first arm portion 32 is pivot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portion 21, it is arranged in the recessed portion 21B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region thereof, so that the position is difficult to shift in the left-right direction. do. In addition, the second arm part 33 is positioned by welding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haft part 23, and the first arm part 32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while being guided inside the second arm part 33, It becomes difficult to position shift in the recessed part 21B of the support shaft part 21.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4의 (A) 내지 도 5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벤치(10)의 각도 조정 기구(16)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4의 (A),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이격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A) 내지 도 5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도 조정 기구(16)를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다.Next, Fig. 4 (A) - Fig. 5 (B)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of the training bench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A), 5(A) and 5(B) show the fitting state of the fir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nd FIG. 4(B) is the first arm part 32 and an angle. The separation state of the gear 31 for adjustment is shown. In addition, in FIG.4(A) - FIG.5(B), a part of the components which comprise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is abbreviate|omitted and shown in fig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처음에,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7)를 조작하는 전단계이며, 제2 암부(33)가 각도 조정용 기어(31) 및 제1 암부(3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감합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암부(33)는, 제2 탄성부(35)에 의해 가압되고, 가장 제1 암부(32)측으로 가까워진 상태이다. 그 결과, 제1 암부(32)의 돌기편부(38)는, 제2 암부(33)의 안내 홈(39)의 저면과 맞닿고, 제1 암부(32)가 회동 동작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암부(32)가 각도 조정용 기어(31)측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감합 상태가 지지된다. 또한, 가동편부(40)는, 돌기편부(38)와 맞닿고, 압박되지 않고, 가장 늘어난 상태이다.First, as shown in FIG. 4A , it is a pre-step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 , and the second arm part 33 moves the angle adjustment gear 31 and the first arm part 32 from below. It supports, and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come into a fitting state. In this state, the second arm portion 33 is pressed by the second elastic portion 35 and is closest to the first arm portion 32 side. As a result, the protruding piece portion 38 of the first arm portion 32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9 of the second arm portion 33 , and the first arm portion 32 is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said fitted state is supported by the 1st arm part 32 being pressed to the gear 31 side for angle adjustment. In addition, the movable piece part 4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extended|stretched most without being pressed against the protrusion piece part 38. As shown in FIG.

여기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탄성부(36)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며, 그 일단측은 가동편부(40)에 고정되고, 그 타단측은 제2 암부(33)에 고정된다. 이 구조에 의해, 가동편부(40)는, 돌기편부(38)에 의해 제3 탄성부(36)가 수축되는 방향(이하, 「일방향」이라고 칭함)으로 압박된 경우에는, 신축 동작을 행한다. 한편, 가동편부(40)는, 돌기편부(38)에 의해 일방향과 다른 방향(이하, 「다른 방향」이라고 칭함)으로 압박된 경우에는, 신축 동작을 행하지 않고, 그 외주변을 따라 돌기편부(38)를 안내한다.Here, as illustrated, the third elastic portion 36 is, for example, a coil sprin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piece portion 40 ,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arm portion 33 .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movable piece portion 40 is ur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elastic portion 36 is contrac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 direction") by the protruding piece portion 38, it expands and contrac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able piece portion 40 is pressed in one direction and another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other direction") by the protruding piece portion 38, the protrusion piece portion ( 38) is guided.

다음으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4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를 전방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조작을 행하고, 제2 암부(33)가 회동함으로써, 제1 암부(32)가 각도 조정용 기어(31)로부터 이격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살표(4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암부(33)는, 조작부(17)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지지축부(23)와 일체로 회동함으로써, 각도 조정용 기어(3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돌기편부(38)가, 안내 홈(39) 및 가동편부(40)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함으로써, 제1 암부(32)가, 화살표(44)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는, 감합 상태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행한다.Next, as shown in Fig. 4B, as indicated by the arrow 42,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o pull the handle portion 17A of the operation portion 17 closer to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arm portion ( When 33) rotates, the 1st arm part 32 separates from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Specifically, as indicated by the arrow 43 , the second arm part 33 interlocks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art 17 ,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haft part 23 , there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angle adjustment gear 31 . move in the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projection piece 38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39 and the movable piece 40 and moved, the first arm 32 rotate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44 . And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transfer from a fitting state to a spaced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이격함으로써, 지지축부(22)는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되고, 사용자가 등으로 배면 시트(15)를 배면측으로 누름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의 경사 각도 조정이 가능해진다. 즉, 배면 프레임(12)의 각도 조정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가동편부(40)는, 돌기편부(38)에 의해 압박되지 않고, 가장 늘어난 상태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rm portion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re spaced apart, the support shaft portion 22 become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and the user uses the back seat 15 on the back. By pressing to the rear side,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rear frame 12 can be adjusted. That is,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rear frame 12 is realized. In addition, the movable piece part 40 is not pressed by the protrusion piece part 38, and is in the most extended state.

다음으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4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4의 (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를 전방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조작을 계속하고, 제2 암부(33)가 더욱 회동함으로써, 제1 암부(32)가 제2 암부(33)로부터 해방되고, 도 4의 (A)에 도시한 위치로 되돌아가서,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감합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암부(33)는, 조작부(17)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살표(46)로 나타낸 방향으로 더욱 회동함으로써, 돌기편부(38)가 안내 홈(39)으로부터 그 외부로 빠진다. 즉, 조작부(17)의 회동량이, 돌기편부(38)의 안내 홈(39) 내에서의 이동량보다도 커짐으로써, 돌기편부(38)는 안내 홈(39)을 통한 연동 상태에서 해방된다. 그리고, 화살표(4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암부(32)가, 제1 탄성부(34)(도 3의 (A) 참조)에 의해 가압되고,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감합 상태로 되돌아간다.Next, as shown by the arrow 45 as shown in FIG.5(A), the user moves the handle part 17A of the operation part 17 forward from the state shown in FIG.4(B). By continuing the pulling operation closer to the side and the second arm part 33 further rotates, the first arm part 32 is released from the second arm part 33, and returns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4A. , The fir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re in a fitting state. Specifically, the second arm portion 33 is further rota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46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ortion 17 , so that the protruding piece portion 38 is pulled out from the guide groove 39 . . That is, whe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part 17 becomes larger tha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rotrusion piece 38 in the guide groove 39 , the projection piece 38 is released from the interlocking state through the guide groove 39 . Then, as indicated by the arrow 47 , the first arm portion 32 is pressed by the first elastic portion 34 (see Fig. 3A ), and the angle adjustment gear 31 is engaged. go back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감합됨으로써, 지지축부(22)는 배면 프레임(12)에 고정되고, 회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감합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등으로 배면 시트(15)를 배면측으로 눌러도, 배면 프레임(12)이 회동하지 않고, 배면 프레임(12)의 고정 상태가 실현된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are fitted, the support shaft part 22 is fixed to the back frame 12, and it will be in the state which cannot rotate. And in this fitted state,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back sheet 15 to the back side with the back side, the back frame 12 does not rotate, and the fixed state of the back frame 12 is implement|achieved.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홈(39)으로부터 빠진 돌기편부(38)는, 가동편부(40)의 선단부로 이동하고, 가동편부(40)를 상기 일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가동편부(40)는, 약간 축소된 상태로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를 가장 전방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긴 상태를 나타내고, 제2 암부(33)도 각도 조정용 기어(31)로부터 가장 이격한 위치까지 회동하고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ding piece 38 pulled out from the guide groove 39 moves to the tip of the movable piece 40, and by pressing the movable piece 40 in the one direction, the movable piece 40 is , is slightly reduc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shown in FIG. 5A , the user pulls the handle portion 17A of the operation unit 17 closer to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arm portion 33 is also It rotates from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to the most spaced position.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5의 (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를 배면측으로 되돌리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2 암부(33)가, 화살표(49)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는 감합 상태를 유지한다.Next, as shown by the arrow 48, as shown in FIG.5(B), the user turns the handle part 17A of the operation part 17 back from the state shown in FIG.5(A). By performing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side, while the 2nd arm part 33 rotates in the direction shown by the arrow 49,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maintain the fitted state.

구체적으로는, 제2 암부(33)는, 조작부(17)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살표(49)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돌기편부(38)는, 가동편부(40)를 상기 일방향으로 더욱 압박하고, 가동편부(40)는 수축되는 동작을 행한다. 그 결과, 돌기편부(38)는, 제2 암부(33)와 일체로 되돌아 온 안내 홈(39) 내로 다시 되돌아간다. 또한, 조작부(17)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도시생략)에 의해 화살표(48)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17A)를 이격함으로써, 손잡이부(17A)는 도 4의 (A)에 도시한 위치로 되돌아간다.Specifically, the second arm portion 3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49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17, so that the protruding piece portion 38 further moves the movable piece portion 40 in the one direction. By pressing, the movable piece portion 40 performs a contracting operation. As a result, the projection piece 38 returns back into the guide groove 39 which has return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arm portion 33 . 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17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48 by an elastic part (not shown), such as a coil spring, and when a user separates the handle part 17A, the handle part 17A is shown in FIG. Return to the position shown in (A).

그 후,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돌기편부(38)도, 안내 홈(39)의 저면과 맞닿는 위치까지 되돌아가고, 각도 조정 기구(16)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도 4의 (A)에 도시한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으로부터, 각도 조정 기구(16)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17)의 1회의 조작으로, 상술한 도 4의 (A) 내지 도 5의 (B)의 동작을 반복한다.After that, the handle portion 17A of the operation portion 17 returns to the state before operation as shown in FIG. It returns to a position, and each member which comprises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returns to the state before operation shown to Fig.4 (A). From the above, in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17 by a user is one operation, and the operation|movement of FIG.4(A) - FIG.5(B) mentioned above is repea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면 프레임(12)의 각도 조정을 행하기 위해서, 조작부(17)의 손잡이부(17A)를 전방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1회의 조작 중에,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도 4의 (A)에 도시한 감합 상태로부터 도 4의 (B)에 도시한 이격 상태로 이행하고, 다시, 도 5의 (A)에 도시한 감합 상태로 되돌아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rm portion during one operation in which the user pulls the handle portion 17A of the operation portion 17 closer to the front side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rear frame 12 .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transition from the fitted state shown in Fig. 4 (A) to the spaced state shown in Fig. 4 (B), again shown in Fig. 5 (A) returns to the fitted state.

이 구조에 의해, 배면 프레임(12)은, 사용자의 의사에 구애되지 않고 기계적 기구로서,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 상태로 이행함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17)의 조작 스피드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각도 조정 상태는 약 1초 정도이기 때문에, 그 동안에 배면 프레임(12)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각도 조정 기구(16)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 배면 시트(15)의 각도 조정을 행하지만, 그 조작 시에 불의의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우수한 트레이닝 벤치(10)가 실현된다.With this structure, the rear frame 12 is a mechanical mechanism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and by transitioning from the angle adjustment state to the fixed state, the rear frame 12 is excessively rigid against the user's will. is prevented from becoming Specifically,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operation speed of the operation unit 17 by the user, since the angle adjustment state is about 1 second, during that time, the rear frame 12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tilted against the user's will do. As a result, the user normally adjusts the angle of the back sheet 15 without looking at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but accidental injury is prevente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training bench ( 10) is realized.

나아가서는, 트레이닝 벤치(10)에서는, 배면 시트(15)를 시트면부(14)에 대하여 대략 수직 상태로부터 대략 편평한 상태까지의 대략 90도 사이에서 각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 조정 기구(16)에서는, 치형(31A, 32C)의 1스판마다 경사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대략 90도 사이를, 예를 들어 16단계 등으로 조금씩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배면 시트(15)를 트레이닝 내용에 따라서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기 쉬워져, 그 편리성이 향상된다.Furthermore, in the training bench 10 , the back seat 15 can be angled between approximately 90 degrees from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to a substantially flat state with respect to the seat surface portion 14 . Then, in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the inclination can be adjusted for each span of the teeth 31A and 32C, and it is possible to gradually adjust the above-mentioned approximately 90 degrees in 16 steps, for example. As a result, it becomes easy for a user to adjust the back sheet 15 to a desired angle according to training content, and the convenience improves.

또한, 배면 시트(15)의 회동량에 따라서, 상기 비감합 상태로부터 감합 상태로의 이행 시에, 상기 치형(31A, 32C)끼리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치형(31A, 32C)의 1스판마다 짧게 설정됨으로써, 치형(31A, 32C)끼리는 즉시 감합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배면 시트(15)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배면측으로 슬라이드하는 양도 적어, 안전성이 우수한 트레이닝 벤치(10)가 실현된다. 또한, 걸림 핀에 의한 걸림 구조와 달리, 상기 치형(31A, 32C)끼리는 반드시 감합 상태로 되므로, 사용자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걸림 구멍과 걸림 핀을 일치시키는 미묘한 각도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조작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ack sheet 15, the teeth 31A and 32C may not mesh correctly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the non-fitting state to the fitted state, but one span of the teeth 31A and 32C By setting it to be short at each time, the teeth 31A and 32C are immediately put into a fitted state. As a result, the amount of sliding of the back sheet 15 to the back side against the user's will is small, and the training bench 10 excellent in safety is implement|achieved. In addition, unlike the locking structure by the locking pin, since the teeth 31A and 32C are always in a fitting state, the user does not need to adjust the subtle angle to match the locking hole and the locking pin a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operability is improv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면 프레임(12)의 각도 조정을 행하기 위해서, 조작부(17)를 전방측으로 당기는 1회의 조작 중에, 각도 조정 기구(16)의 기계적 기구로서,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가 이격 상태로부터 감합 상태로 강제적으로 되돌아감으로써, 배면 프레임(12)이 과도하게 경도되는 것이 방지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부(17)의 회동량이, 돌기편부(38)의 안내 홈(39) 내에서의 이동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조작 규제 기구(도시생략)를 조작부(17)의 근방에 배치하는 경우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부(17)를 전방측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13)이 배면 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하고, 배면 프레임(12)의 각도 조정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유롭게 배면 프레임(1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트레이닝 벤치(10)에서는, 상기 조작 규제 기구를 마련하고, 제1 암부(32)와 각도 조정용 기어(31)의 이격 상태로부터 감합 상태로 강제적으로 되돌리는 모드와, 상기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를 전환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여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erform angle adjustment of the back frame 12, the 1st arm part 32 is a mechanical mechanism of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16 during one operation of pulling the operation part 17 forward. By forcibly returning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from the separated state to the fitted state, the case in which the rear frame 12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tilted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For example, even in a case where an operation regulating mechanism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unit 17 so that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17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guide groove 39 of the protrusion piece 38 . do. In this case, the separation|separation state of the 1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the state which the user pulled the operation part 17 to the front side. Then, the movable frame 1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12 and the angle adjustment state of the rear frame 12 is maintained, whereby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angle of the rear frame 12 . That is, in the training bench 10, the operation control mechanism is provided, and the mode of forcibly returning the first arm part 32 and the gear 31 for angle adjustment from the spaced state to the fitting state, and maintaining the spaced state It may be used while switching modes. In addition,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10: 트레이닝 벤치
11: 다리부 프레임
12: 배면 프레임
13: 가동 프레임
14: 시트면부
15: 배면 시트
16: 각도 조정 기구
17: 조작부
18: 규제부
21, 22, 23: 지지축부
31: 각도 조정용 기어
32: 제1 암부
33: 제2 암부
34: 제1 탄성부
35: 제2 탄성부
36: 제3 탄성부
38: 돌기편부
39: 안내 홈
40: 가동편부
10: training bench
11: Leg frame
12: rear frame
13: movable frame
14: sheet surface part
15: back sheet
16: angle adjustment mechanism
17: control panel
18: Regulatory Department
21, 22, 23: support shaft part
31: gear for angle adjustment
32: first arm
33: second arm
34: first elastic part
35: second elastic part
36: third elastic part
38: protrusion part
39: information home
40: movable piece

Claims (6)

다리부 프레임과,
상기 다리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배면 프레임과,
그 일단측이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함께, 그 타단측이 상기 다리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배면 프레임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와,
상기 각도 조정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을 정지시켜서, 상기 배면 프레임을 위치 고정하는 고정 상태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배면 프레임의 상기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정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벤치.
leg frame,
a rear frame supported on the leg frame;
a movable frame at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lid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rame of the leg;
an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frame;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to provide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A fixed state of stopp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movable frame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rear frame;
A training bench, characterized in that allowing a rotational operation of the movable frame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nd forming an angle adjustment state enabl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frame to be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상기 조작부의 1회의 조작에 연동하여, 다시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벤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from the angle adjustment state to the fixed state again in association with on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for shifting from the fixed state to the angle adjustment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각도 조정용 기어와,
상기 배면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에 대하여 감합 또는 이격하는 제1 암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상기 제1 암부를 회동시키는 제2 암부를 갖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일단측은,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가 고정되는 지지축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고정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에 대하여 감합되고, 상기 지지축부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이 정지하고,
상기 각도 조정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각도 조정용 기어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지지축부의 상기 배면 프레임에 대한 회동 동작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벤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an angle adjustment gear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a first arm disposed on the rear frame and fitted or spaced apart from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It is disposed on the rear frame, has a second arm portion that rotates in association with opera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rotates the first arm portion,
One end of the movable frame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to which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is fixed,
In the fixed state, the first arm part is fitted with the gear for angle adjustment, and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upport shaft part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is stopped,
In the angle adjustment state, the first arm is spaced apart from the angle adjustment gear, and a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upport shaf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frame is allowed, a training ben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제1 암부에 배치되는 돌기편부와,
상기 제2 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편부를 안내함으로써 상기 제1 암부를 회동시키는 안내 홈을 더 갖고,
상기 돌기편부가 상기 안내 홈 내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 상태로부터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 이행하고,
상기 돌기편부가 상기 안내 홈 내를 이동한 후, 상기 안내 홈으로부터 외부로 빠짐으로써, 상기 각도 조정 상태로부터 상기 고정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벤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a protruding piece disposed on the first arm;
It is formed on the second arm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guide groove for rotating the first arm portion by guiding the projection piece portion,
Transition from the fixed state to the angle adjustment state by moving the projection piece in the guide groove,
After the projection piece moves in the guide groove, the training ben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hifts from the angle adjustment state to the fixed state by withdrawing from the guide groove to the out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제2 암부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편부에 일방향으로부터 압박됨으로써 신축 동작하는 가동편부를 더 갖고,
상기 돌기편부는, 상기 안내 홈으로부터 빠진 후, 상기 가동편부를 상기 일방향으로 압박하고, 상기 가동편부가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암부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다시, 상기 돌기편부가, 상기 안내 홈 내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벤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ngle adjustment mechanism,
It is disposed in the second arm, and further includes a movable piece that expands and contracts by being pressed from one direction to the protruding piece,
After the protrusion piece is removed from the guide groove, the movable piece is pressed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movable piece is contracted, so that the protrusion piece is linked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econd arm, and again, the protrusion piec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A training 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returns to the insid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기 타단측에는, 상기 다리부 프레임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미끄럼 이동 연결부에는, 상기 배면 프레임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면 프레임의 경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벤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movable frame, a sliding connection part sliding with respect to the leg part frame is disposed,
The sliding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frame, the training 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ortion for regulating the hardness range of the rear frame is disposed.
KR1020217032718A 2020-10-08 2020-10-08 training bench KR202200477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8121 WO2022074783A1 (en) 2020-10-08 2020-10-08 Workout be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720A true KR20220047720A (en) 2022-04-19

Family

ID=8112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718A KR20220047720A (en) 2020-10-08 2020-10-08 training bench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39489A1 (en)
KR (1) KR20220047720A (en)
WO (1) WO202207478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536A1 (en) 2022-04-18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0753S1 (en) * 2022-01-07 2024-01-09 Rep Fitness Llc Adjustable weight bench
USD1025249S1 (en) 2022-08-23 2024-04-30 Rep Fitness, LLC Adjustable weight bench
USD1025250S1 (en) 2022-08-23 2024-04-30 Rep Fitness, LLC Adjustable weight bench
USD1010034S1 (en) * 2022-08-24 2024-01-02 Yongkang Ziqi Trading Co., Ltd. Sit up ben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21A (en) 1993-07-06 1995-01-27 Maki Kenkyu Kaihatsu Kk Pachinko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9190A (en) * 1985-11-08 1988-06-07 Weider Health & Fitness Convertible exercise bench
JPH0724121U (en) 1993-10-15 1995-05-09 良夫 田中 Combination structure of folding chair and backpack
US6264586B1 (en) * 1999-08-03 2001-07-24 Randall T. Webber Foldable exercise bench
JP2004305647A (en) * 2003-04-01 2004-11-04 Deiriikea:Kk Exercise legless chair
JP2005074214A (en) * 2003-09-03 2005-03-24 Taiwan Yaajiichi-Ye Yugenkoshi Muscle force training apparatus
JP2007319523A (en) * 2006-06-02 2007-12-13 Senoh Corp Training machine
CN110270061B (en) * 2019-07-17 2021-06-29 聊城市人民医院 Medical treatment is with supplementary muscle stretching device of using of parkinson dise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21A (en) 1993-07-06 1995-01-27 Maki Kenkyu Kaihatsu Kk Pachinko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536A1 (en) 2022-04-18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4783A1 (en) 2022-04-14
US20220339489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7720A (en) training bench
JP5087975B2 (en) Vehicle seat
KR101239598B1 (en) Back kneading device mounted in chair-type massage apparatus and chair-type massage apparatus equipped with the back kneading device
CN105682632B (en) Thing to sit on
US20110074197A1 (en) Chair
KR20110028456A (en) Child seat
KR20110044173A (en) Child seat
JP5785676B2 (en) Massage machine
CA2782824A1 (en) Reclining chair with enhanced adjustability
US11019928B2 (en) Armrest and chair
JP4583613B2 (en) Vehicle seat support mechanism
JP4438556B2 (en) Vehicle seat with variable seat cushion length
JP5207839B2 (en) Lifting chair
JP3977515B2 (en) Sheet table structure
JP6810340B2 (en) Vehicle seat device
JP2008080089A (en) Chair
JP2010126033A (en) Tilt-down type vehicle seat
JP2006246807A (en) Walking type implement
JP6684660B2 (en) Armrests and chairs
KR102607198B1 (en) Extendable leg-rest
KR101653584B1 (en) Chair
JPWO2018151269A1 (en) Footrest device
JPS5873447A (en) Seat structure of car, etc.
JP4059811B2 (en) Vehicle seat device
JP6625016B2 (en) Armrests and ch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