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641A - 도허티 증폭기 - Google Patents

도허티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641A
KR20220047641A KR1020227009265A KR20227009265A KR20220047641A KR 20220047641 A KR20220047641 A KR 20220047641A KR 1020227009265 A KR1020227009265 A KR 1020227009265A KR 20227009265 A KR20227009265 A KR 20227009265A KR 20220047641 A KR20220047641 A KR 2022004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output
input
amplifier
outpu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헤이 하타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2Combinations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55Amplifier input adaptation especially for transmission line coupling purposes, e.g. impedance adapt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23Amplifier output adaptation especially for transmission line coupling purposes, e.g. impedance adap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Abstract

본원의 발명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입력 단자와, 입력 단자에 접속된 분기부와, 일단이 분기부와 접속된 제 1 입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분기부와 접속된 제 2 입력 전송 선로와, 입력이 제 1 입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캐리어 증폭기와, 입력이 제 2 입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피크 증폭기와, 일단이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 1 출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피크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 2 출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타단과, 제 2 출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합성 선로와, 합성 선로의 타단과 접속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제 1 출력 전송 선로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은 광폭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도허티 증폭기
이 발명은, 도허티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고주파 신호가 병렬로 입력되는, 제 1 증폭기와, 1 이상의 제 2 증폭기와, 제 3 증폭기를 구비한 도허티 증폭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증폭기는, 캐리어 앰프로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제 2 증폭기의 각각은, 캐리어 앰프 또는 피크 앰프로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제 3 증폭기는, 피크 앰프로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캐리어 앰프의 디바이스 사이즈의 합계와 피크 앰프의 디바이스 사이즈의 합계의 비를 변경하는 것으로, 증폭의 효율의 극대점의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4-07571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서는, 높은 전력 효율이 얻어지는 대역을 변경하기 위해서, 미리 제 2 증폭기와, 제 2 증폭기의 각각을 캐리어 앰프 또는 피크 앰프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또, 캐리어 증폭기의 임피던스 변성비를 조정하여, 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의 조정 정밀도가, 출력 전송 선로의 폭의 가공 정밀도에 의해 제한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최적인 임피던스 변성비를 실현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높은 전력 효율이 얻어지는 대역을 높은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는 도허티 증폭기를 얻는 것이다.
본원의 발명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입력 단자와, 일단이 그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에 분기부가 마련된 입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그 분기부와 접속된 제 1 입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그 분기부와 접속된 제 2 입력 전송 선로와, 입력이 그 제 1 입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캐리어 증폭기와, 입력이 그 제 2 입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피크 증폭기와, 일단이 그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 1 출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그 피크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 2 출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그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타단과, 그 제 2 출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합성 선로와, 그 합성 선로의 타단과 접속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그 제 1 출력 전송 선로는, 그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은 광폭부를 가진다.
본원의 발명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에서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는 광폭부를 가진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일부만의 폭을 조정하여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것으로, 제 1 출력 전송 선로 전체의 폭을 조정하는 경우보다, 조정의 레인지가 커진다. 이 때문에, 출력 임피던스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변성비를 고정밀도로 조정하여, 높은 전력 효율이 얻어지는 대역을 높은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임피던스의 계산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의 반복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허티 증폭기(100)는 고주파 반도체 장치이다. 도허티 증폭기(100)는 입력 단자(10)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10)에는 입력 전송 선로(11)의 일단이 접속된다. 입력 전송 선로(11)의 타단에는, 분기부(12)가 마련된다. 분기부(12)에는,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의 일단과, 제 2 입력 전송 선로(16)의 일단이 접속된다.
분기부(12)는, 입력 단자(1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분배한다. 입력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이다. 입력 신호는, 분기부(12)에 있어서 a:b의 전력 비율로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에 분배된다. 분기부(12)에는, 예를 들면 윌킨슨 분배기가 마련된다. 윌킨슨 분배기는 2개의 λ/4 전송 선로로 구성된다. a=b의 등분배의 경우, 2개의 λ/4 전송 선로의 각각은 예를 들면 70.7Ω이다. 2개의 λ/4 전송 선로는 서로 아이솔레이션 저항으로 접속된다. 아이솔레이션 저항은 예를 들면 100Ω이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의 타단에는, 캐리어 증폭기(20)의 입력이 접속된다. 제 2 입력 전송 선로(16)의 타단에는 피크 증폭기(22)의 입력이 접속된다. 캐리어 증폭기(20)는 모든 출력 영역에 있어서 동작한다. 피크 증폭기(22)는 백 오프 영역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입력 신호의 전력이 큰 영역에서만 동작한다. 피크 증폭기(22)는, 캐리어 증폭기(20)가 포화 동작에 도달하는 중간 출력 영역으로부터 포화 출력 영역에서만 동작한다.
캐리어 증폭기(20)와 피크 증폭기(22)의 각각은, 트랜지스터 칩을 가진다. 캐리어 증폭기(20)와 피크 증폭기(22)는, 각각 예를 들면 10개의 셀로 구성된다. 캐리어 증폭기(20)와 피크 증폭기(22)의 디바이스 사이즈는 동일하다. 디바이스 사이즈는,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수 또는 게이트 폭에 상당한다. 디바이스 사이즈에 의해 예를 들면 디바이스가 흘릴 수 있는 전류의 크기가 정해진다. 캐리어 증폭기(20)의 셀 수와, 피크 증폭기(22)의 셀 수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트랜지스터 칩은, 예를 들면 SiC 기판과, SiC 기판 상에 마련된 GaN을 가진다. 캐리어 증폭기(20) 및 피크 증폭기(22)는, 예를 들면 GaN-HEMT이다.
캐리어 증폭기(20)의 출력에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일단이 접속된다. 피크 증폭기(22)의 출력에는, 제 2 출력 전송 선로(26)의 일단이 접속된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타단과 제 2 출력 전송 선로(26)의 타단은, 합성 선로(28)의 일단과 접속된다. 합성 선로(28)의 타단은 출력 단자(30)와 접속된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는, λ/4만큼 전기 길이(electrical length)가 다르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는, 입력 신호의 위상 조정용의 전송 선로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2 입력 전송 선로(16)는 제 1 입력 전송 선로(14)보다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와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는, λ/4만큼 전기 길이가 다르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와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는, 캐리어 증폭기(20)와 피크 증폭기(2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위상 조정용의 전송 선로이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는 제 2 출력 전송 선로(26)에 비해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다. 이 위상차는, 백 오프 영역에서 피크 증폭기(22)가 기동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제 2 입력 전송 선로(16)는 제 1 입력 전송 선로(14)보다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다. 이것에 의해,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와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서로 위상이 일치한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입력 전송 선로(14)는, 제 2 입력 전송 선로(16)보다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고,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에 비해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어도 좋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제 2 입력 전송 선로(16), 제 1 출력 전송 선로(24), 제 2 출력 전송 선로(26) 및 합성 선로(28)의 각각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이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제 2 입력 전송 선로(16) 및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는, 미리 정해진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제 2 입력 전송 선로(16) 및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는, 폭이 똑같은 전송 선로이다.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제 2 입력 전송 선로(16) 및 제 2 출력 전송 선로(26)의 선로 폭은 예를 들면 1.05mm이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는 평면에서 보아 십자형이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는, 직선 형상의 주부(24a)를 가진다. 주부(24a)는 폭이 똑같다. 주부(24a)의 폭 w1은 1.05mm이며, 길이 l1은 17.00mm이다. 주부(24a)는, 입력 단자(10)로부터 출력 단자(30)로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신호의 도파 방향이다.
또, 제 1 출력 전송 선로(24)는, 주부(24a)로부터 돌출한 볼록부를 가진다. 볼록부는, 주부(24a)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문에, 제 1 출력 전송 선로(24)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은 광폭부(24b)를 가진다. 광폭부(24b)는, 볼록부와, 주부(24a) 중 볼록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환언하면, 광폭부(24b)는, 볼록부와, 주부(24a) 중 볼록부에 끼인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광폭부(24b)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에 국소적으로 형성된다. 광폭부(24b)의 폭 w2는 2.10mm이다. 폭 w2는, 트랜지스터 칩이 실장된 실장면과 평행이고 또한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폭이다. 광폭부(24b)의 제 1 방향의 길이 l3는 2.00mm이다. 또,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선로단으로부터 광폭부(24b)까지의 거리 l2는 7.50mm이다.
상기의 선로 길이 및 폭은, 중심 주파수를 2.6GHz로 한 경우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상기의 치수는 일례이며, 다른 값으로도 좋다.
다음에, 도허티 증폭기(1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 단자(10)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는 분기부(12)에서 분배되고,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제 2 입력 전송 선로(16)를 거쳐서, 캐리어 증폭기(20)와 피크 증폭기(22)에 입력된다. RF 신호는, 캐리어 증폭기(20)와 피크 증폭기(22)에서 각각 증폭되고,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와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를 거쳐서 합성 선로(28)에서 합성된다. 합성된 RF 신호는, 출력 단자(30)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도허티 증폭기(100)는, 예를 들면 휴대 기지국용의 송신용 증폭기로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휴대 기지국용의 송신용 증폭기에서는, 고속 데이터 통신의 실현을 위해서 진폭 변동이 큰 변조 신호가 이용된다. 도허티 증폭기(100)에 의하면, 백 오프 영역에 있어서도 높은 전력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허티 증폭기와 같은 출력이 큰 증폭기에 이용되는 트랜지스터의 출력 임피던스는 낮다. 이 때문에, 도허티 증폭기(100)에서는, 정합 회로 및 위상 조정 선로에 의해 임피던스 변성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출력 임피던스는 안테나 등의 외부 부하에 정합하는 50Ω으로 변환된다.
도허티 증폭기에서는, 동작이 다른 캐리어 증폭기와 피크 증폭기를 일체로 해서 동작시킨다. 이 때문에, 캐리어 증폭기의 임피던스 변성비는, 일반적으로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출력 또는 효율의 최대화 등의 목적에 따라 최적으로 설정된다.
또, 차세대 기지국용 송신용 증폭기에서는 멀티 캐리어화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백 오프 영역에 있어서의 효율뿐만이 아니라, 높은 전력 효율이 얻어지는 대역도 중요한 성능 지표의 1개로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도허티 증폭기의 대역은, 캐리어 증폭기의 백 오프 영역에 있어서의 출력 임피던스에 의존한다. 이상으로부터, 캐리어 증폭기(20)의 출력 임피던스를 고정밀도로 조정하는 것은, 고기능의 도허티 증폭기를 실현하는데 중요하다.
또, 도허티 증폭기의 효율과 대역은 일반적으로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를 가진다. 즉, 캐리어 증폭기의 임피던스 변성비를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광대역인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한편, 효율이 저하한다.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일반적으로 출력 전송 선로의 폭을 조정하는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을 넓히기 위해서, 캐리어 증폭기의 임피던스 변성비를 작게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전송 선로를 똑같이 폭을 넓게 하는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폭이 똑같은 선로에 있어서, 적절한 임피던스 변성을 야기하려면, 선로 폭을 미세한 레인지로 가공할 필요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가공이 곤란해져, 최적인 출력 임피던스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출력 임피던스가 고정밀도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 임피던스 변성비가 필요 이상으로 저하하고, 효율이 크게 저하할 우려가 있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임피던스의 계산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 전송 선로의 형상이 m1~m3인 각각의 경우에 대해, 캐리어 증폭기로부터 출력 전송 선로를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의 계산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계산에서는, 합성 선로(28)로부터 출력 단자(30)까지를 이상적인 25Ω 종단과 등가로 간주하고 있다. 또, 도 2에서는 2.6GHz에 있어서의 임피던스가 나타나고 있다. 또, 각 전송 선로는, 기판 두께가 0.508mm, 비유전률이 3.72, 도체 두께가 43um, 유전 탄젠트가 0.007인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로 했다.
m1에서는, 출력 전송 선로의 폭은 똑같으며 1.05mm이고, 길이는 17.00mm이다. m2에서는, 출력 전송 선로의 폭은 똑같으며 1.2mm이다. m2에서는, m1보다 출력 전송 선로가 0.15mm만큼 폭이 넓다. m3은 본 실시의 형태의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형상에 대응한다. m3에서는, 출력 전송 선로는 길이가 2.00mm인 국소적인 광폭부를 가진다. 광폭부의 폭은 2.10mm이며, 선로단으로부터 광폭부까지의 거리는 7.50mm이다. m2와 m3에서는 임피던스가 동등하다.
m1과 같이 폭이 똑같이 1.05mm인 선로에 있어서 임피던스 변성을 야기하려면, m2와 같이 폭을 1.20mm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이 계산으로 확인되었다. 즉, 선로 폭을 똑같이 0.15mm만큼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로 폭을 미세한 레인지로 가공할 필요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미세한 가공을 수동으로 행하는 것은, 전송 선로의 가공 정밀도상 거의 불가능하다.
이것에 대해, m3에서는 국소적으로 출력 전송 선로의 폭을 넓게 하는 것으로, m2와 같은 임피던스 변성을 얻고 있다. m3에서는, m2의 경우에 비해, 폭의 증가량에 대한 임피던스 변성비의 저하량이 작다. m3에서는, 출력 전송 선로 중 길이가 2.00mm의 일부분에 대해, 다른 부분보다 1.05mm만큼 폭을 넓게 하면 좋다. 이러한 가공은,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의 가공 정밀도상 문제 없다.
이와 같이,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광폭부(24b)은, 캐리어 증폭기(20)의 임피던스 변성비가 목표치와 일치하는 폭을 가진다. 여기서, 임피던스 변성비는, 도허티 증폭기(100)의 출력 임피던스에 대한 캐리어 증폭기(20)의 출력 임피던스의 비이다. 임피던스 변성비는, 캐리어 증폭기(20)의 출력 임피던스가 기준이 되는 임피던스로 규격화된 값이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의 임피던스 변성비는, 도허티 증폭기(100)의 출력 임피던스인 50Ω으로 캐리어 증폭기(20)의 출력 임피던스를 규격화한 값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출력 전송 선로 전체의 폭을 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정의 레인지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출력 임피던스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변성비를 고정밀도로 조정하여, 높은 전력 효율이 얻어지는 대역을 높은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 효율이 상정 외로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광폭부(24b)는 국소적으로 마련된다. 이 때문에, 주부(24a)에 금 리본 등으로 볼록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광폭부(24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폭부(24b)의 길이 l3, 폭 w2,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시험 제작한 도허티 증폭기(100)의 대역이 목표치에 대해 좁았던 경우에도, 대역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임피던스 변성비를 작게 하려면, 디바이스 사이즈비를 바꾸어, 캐리어 증폭기와 피크 증폭기의 출력비 Pc/Pp를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디바이스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생겨, 조정이 번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디바이스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용이하게 임피던스 변성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의 형상의 변경만으로 임피던스 변성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도허티 증폭기(10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로서 볼록부는 주부(24a)의 한쪽 측으로부터 돌출해도 좋다. 이 경우, 주부(24a)의 양측으로부터 볼록부가 돌출하는 경우보다 볼록부의 크기가 커진다. 따라서, 가공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광폭부(24b)는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광폭부(24b)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 좋다. 또,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에 복수의 광폭부(24b)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 분기부(12)에는 하이브리드(hybrid) 커플러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때, 분기부(12)와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간의 통과 위상은, 분기부(12)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 간의 통과 위상에 대해, 예를 들면 90о 작다. 이 경우,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의 전기 길이는 동일하고, 제 1 출력 전송 선로(24)는 제 2 출력 전송 선로(26)에 비해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어도 좋다.
또, 분기부(12)와 제 1 입력 전송 선로(14) 간의 통과 위상은, 분기부(12)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 간의 통과 위상에 대해, 90о 커도 좋다. 이 경우, 제 1 입력 전송 선로(14)와 제 2 입력 전송 선로(16)의 전기 길이는 동일하고, 제 2 출력 전송 선로(26)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24)에 비해 λ/4만큼 전기 길이가 길어도 좋다.
이러한 변형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에 대해 적의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과의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2.
도 3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허티 증폭기(200)는,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의 형상이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는, U자형이며 구부러져 있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는, 제 1 주부(224a), 제 2 주부(224c) 및 광폭부(224b)를 가진다. 제 1 주부(224a)는, 일단이 캐리어 증폭기(20)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방향은, 트랜지스터 칩이 실장된 실장면과 평행이고 또한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다. 제 2 주부(224c)는, 일단이 합성 선로(28)와 접속되고,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광폭부(224b)는, 제 1 주부(224a)의 타단과 제 2 주부(224c)의 타단을 접속한다.
제 1 주부(224a)의 폭 w21, 제 1 주부(224a) 중 폭이 변화하는 부분의 길이 w22, 제 2 주부(224c)의 폭 w23, 광폭부(224b)의 길이 l22는, 각각 1.05mm이다. 또, 제 1 주부(224a) 중 폭이 똑같은 부분의 길이 l21는 8.00mm이다. 광폭부(224b) 중 제 1 주부(224a)와 제 2 주부(224c)의 폭이 균일한 부분에 끼인 부분의 폭 w24는 1.05mm이다. 선로단으로부터 광폭부(224b)까지의 거리는 1.00mm이다. 이상의 치수는 일례이며, 다른 값으로도 좋다.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는, 광폭부(224b) 중 폭 w24로 나타나는 부분을 제외하면 폭이 똑같다고 간주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국소적으로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의 폭을 넓게 하여 광폭부(224b)를 마련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변성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 전송 선로 전체의 폭을 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정의 레인지가 커져, 출력 임피던스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변성비를 고정밀도로 조정하여, 높은 전력 효율이 얻어지는 대역을 높은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1 주부(224a)와 제 2 주부(224c)가 연장되는 방향인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수직은 아니어도 좋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면 좋다. 또, 제 2 주부(224c)는 제 1 주부(224a)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즉, 제 2 주부(224c)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또,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는, 2회 굴곡하는 것으로 U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출력 전송 선로(224)는 2회 이상 굴곡해도 좋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은 적의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10 입력 단자, 11 입력 전송 선로, 12 분기부, 14 제 1 입력 전송 선로, 16 제 2 입력 전송 선로, 20 캐리어 증폭기, 22 피크 증폭기, 24 제 1 출력 전송 선로, 24a 주부, 24b 광폭부, 26 제 2 출력 전송 선로, 28 합성 선로, 30 출력 단자, 100, 200 도허티 증폭기, 224 제 1 출력 전송 선로, 224a 제 1 주부, 224b 광폭부, 224c 제 2 주부

Claims (5)

  1. 입력 단자와,
    일단이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에 분기부가 마련된 입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상기 분기부와 접속된 제 1 입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상기 분기부와 접속된 제 2 입력 전송 선로와,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캐리어 증폭기와,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피크 증폭기와,
    일단이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 1 출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상기 피크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 2 출력 전송 선로와,
    일단이 상기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타단과, 상기 제 2 출력 전송 선로의 타단에 접속된 합성 선로와,
    상기 합성 선로의 타단과 접속된 출력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출력 전송 선로는, 상기 제 1 출력 전송 선로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은 광폭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는,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임피던스 변성비가 목표치와 일치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전송 선로는, 직선 형상의 주부와, 상기 주부로부터 돌출한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주부 중 상기 볼록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주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전송 선로는,
    일단이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단자로 향하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주부와,
    일단이 상기 합성 선로와 접속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폭부는, 상기 제 1 주부의 타단과 상기 제 2 주부의 타단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KR1020227009265A 2019-10-02 2019-10-02 도허티 증폭기 KR20220047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8906 WO2021064892A1 (ja) 2019-10-02 2019-10-02 ドハティ増幅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641A true KR20220047641A (ko) 2022-04-18

Family

ID=7533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265A KR20220047641A (ko) 2019-10-02 2019-10-02 도허티 증폭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31638A1 (ko)
JP (1) JP7207562B2 (ko)
KR (1) KR20220047641A (ko)
CN (1) CN114430884A (ko)
DE (1) DE112019007775T5 (ko)
TW (1) TWI722864B (ko)
WO (1) WO20210648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5717A (ja) 2012-10-04 2014-04-24 Fujitsu Ltd ドハティ増幅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0541A (en) * 1993-06-04 1995-05-30 Raytheon Company Microwave doherty amplifier
JP2007043305A (ja) * 2005-08-01 2007-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効率増幅器
JP2008252215A (ja) * 2007-03-29 2008-10-16 Soshin Electric Co Ltd ドハティ増幅器用合成器
KR101097605B1 (ko) * 2009-11-04 2011-12-22 알.에프 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도허티 증폭기
KR101677555B1 (ko) * 2010-02-25 2016-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허티 증폭기에서 낮은 전력 영역에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US8400216B2 (en) * 2010-11-05 2013-03-19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3-way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driving amplifier
KR101145666B1 (ko) * 2011-02-24 2012-05-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용 3-스테이지 질화 갈륨계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GaN HEMT) 도허티 전력증폭기
US9252722B2 (en) * 2013-12-20 2016-02-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hanced and versatile N-way doherty power amplifier
WO2016098223A1 (ja) * 2014-12-18 2016-06-23 株式会社 東芝 ドハティ型増幅器
US10116266B2 (en) * 2015-01-09 2018-10-30 Kabushiki Kaisha Toshiba Doherty amplifier
CN106571781B (zh) * 2015-10-08 2020-09-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Doherty功率放大电路
US10608594B2 (en) * 2016-05-18 2020-03-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oherty amplifier
US10284147B2 (en) * 2016-12-15 2019-05-07 Nxp Usa, Inc. Doherty amplifiers and amplifier modules with shunt inductance circuits that affect transmission line length between carrier and peaking amplifier outputs
US10594266B2 (en) * 2017-12-04 2020-03-17 Nxp Usa, Inc. Multiple-path amplifier with series component along inverter between amplifier outputs
JP2019110458A (ja) * 2017-12-19 2019-07-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増幅回路及び基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5717A (ja) 2012-10-04 2014-04-24 Fujitsu Ltd ドハティ増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6016A (zh) 2021-04-16
WO2021064892A1 (ja) 2021-04-08
US20220231638A1 (en) 2022-07-21
JP7207562B2 (ja) 2023-01-18
TWI722864B (zh) 2021-03-21
CN114430884A (zh) 2022-05-03
JPWO2021064892A1 (ko) 2021-04-08
DE112019007775T5 (de)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994B2 (en) Doherty amplifier and power amplifier
EP2665181B1 (en) Amplifier circuit
US20140132344A1 (en) Broadband Doherty Amplifier Using Broadband Transformer
US20120049952A1 (en) Wide band power amplifier
US5832376A (en) Coplanar mixer assembly
US8680941B2 (en) Microwave harmonic processing circuit
WO2002045206A1 (en) A radio frequency amplifying circuit
EP3051695B1 (en) High-frequency semiconductor amplifier
JP4221884B2 (ja) ミリ波帯高周波装置
KR20220047641A (ko) 도허티 증폭기
JP4849453B2 (ja) マイクロ波電力増幅器
US20070164819A1 (en) Amplifier
JP2001196816A (ja) 電力分配回路
US7456720B2 (en) On-die coupled inductor structures for improving quality factor
EP3051694B1 (en) High-frequency semiconductor amplifier
EP1209756B1 (en) A radio frequency amplifying circuit
황지혜 et al. A Millimeter-Wave GaN MMIC Front End Module with 5G NR Performance Verification
US20230411819A1 (en) High frequency power divider
Wang et al. A full Ka-band 50W Solid-State Power Amplifier Combiner
Figur et al. RF-MEMS multi-mode-matching networks for GaN power transistors
EP1820236B1 (en) A transmission arrangement
Joseph et al. Antenna Array and GaAs Phase Shifter MMIC for Millimeter wave Beamforming-Co-simulation and Measurements
KR200270096Y1 (ko) 수정된 평면형 전력 분해 및 결합기 구조
JP2014165724A (ja) 無線送信機、増幅器及び増幅方法
Jee et al. Design of an MMIC transversal filter in mm-wave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