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265A -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265A
KR20220047265A KR1020227003646A KR20227003646A KR20220047265A KR 20220047265 A KR20220047265 A KR 20220047265A KR 1020227003646 A KR1020227003646 A KR 1020227003646A KR 20227003646 A KR20227003646 A KR 20227003646A KR 20220047265 A KR20220047265 A KR 2022004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dmrs
mobile station
reference signal
c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로 마키
아키히코 니시오
아야코 호리우치
안키트 밤리
히데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Publication of KR2022004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이동국은,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와, 결정된 배치에 근거하여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
본 개시는,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이라고 불리는 통신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국제 표준화 단체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에서는, LTE/LTE-Advanced 시스템의 고도화와, LTE/LTE-Advanced 시스템과는 반드시 후방 호환성을 갖지 않는 새로운 방식인 New Radio Access Technology(New RAT 또는 NR이라고도 부른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을 참조)의 양면으로부터, 5G 통신 시스템의 고도화가 검토되고 있다.
NR에서는, NR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동시에, 동일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공존하여 통신하는 기술(예를 들면, DSS: Dynamic Spectrum Sharing)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를 참조).
[비특허문헌 1] RP-181726, "Revised WID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TT DOCOMO, September 2018 [비특허문헌 2] RP-191042, "Enhancements for dynamic spectrum sharing in Rel-16", Ericsson, June 2019 [비특허문헌 3] RP-191599, "Enhancements for dynamic spectrum sharing in Rel-16", Ericsson, June 2019 [비특허문헌 4] 3GPP TS 38.211 V15.6.0, "NR;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lease 15)," 2019-06 [비특허문헌 5] 3GPP TS 38.331 V15.6.0, "NR;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Release 15)," 2019-06 [비특허문헌 6] 3GPP TS 38.214 V15.6.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Release 15)," 2019-06
그러나, 참조 신호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는, 참조 신호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는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의 제공에 기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수신 장치는,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와, 결정된 상기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참조 신호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이점 및 효과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이러한 이점 및/또는 효과는, 몇 개의 실시형태 및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특징에 의하여 각각 제공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특징을 얻기 위하여 반드시 모두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DSS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PDSCH mapping type B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CRS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orthogonal DMRS based MU-MIMO 및 DSS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기지국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이동국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이동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기지국 및 이동국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동작예 1-1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동작예 1-2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동작예 1-3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동작예 1-4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동작예 1-4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동작예 2-1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동작예 2-2에 관한 신호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ynamic Spectrum Sharing(DSS)]
DSS에서는, NR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동시에, 동일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공존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elease 15(이하, Rel-15라고 부른다)에 있어서의 DSS의 운용에서는, LTE의 주파수 대역(또는, 캐리어라고 부른다) 내에 있어서의, LTE의 하향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TE용의 채널이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TE의 하향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선두로부터 1개 이상의 심볼(예를 들면,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에, LTE용의 제어 신호, 및,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배치되고, 나머지의 OFDM 심볼에 LTE용의 하향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LTE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CRS가 배치되어도 된다.
DSS에서는, 예를 들면, LTE PDSCH가 배치되는 OFDM 심볼의 기간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주파수 대역에 LTE PDSCH가 배치되고, 다른 주파수 대역에 NR용의 하향 제어 채널(NR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하향 데이터 채널(NR PDSCH)이 배치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LTE PDSCH와, NR의 각 채널은 주파수 분할되어도 된다. 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RS(또는, LTE CRS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는, LTE PDSCH가 배치되는 주파수 대역에 더하여, NR의 각 채널이 배치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도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SS에 관하여, 길이가 9 및 10 OFDM 심볼인 PDSCH의 매핑 방법(예를 들면, NR PDSCH mapping Type B라고 부른다)의 도입이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을 참조). 예를 들면, 이 PDSCH의 매핑 방법에서는, LTE CRS를 포함하는 심볼과 충돌하지 않는 심볼의 위치에 NR의 참조 신호(예를 들면, 복조(復調)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위치가 정의 또는 설정될 수 있다. 이 NR PDSCH mapping Type B의 도입에 의하여, DSS의 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PDSCH의 매핑은, Rel-15(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4를 참조)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고, 이 PDSCH 내의 DMRS의 배치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PDSCH 내의 DM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DMRS mapping]
상향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 방법의 일례로서, 길이가 9 및 10 OFDM 심볼인 NR PUSCH mapping Type B 내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 방법이 비특허문헌 4(예를 들면, 제6.4.1.1.3절)에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NR PUSCH mapping Type B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 방법과 동일한 배치 방법이, 하향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에 있어서의 길이가 9 및 10 OFDM 심볼인 NR PDSCH mapping Type B에 있어서의 DMRS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가 9 및 10 OFDM 심볼인 NR PDSCH mapping Type B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 방법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dmrs-AdditionalPosition"은, DMRS(환언하면, Additional DMRS)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radio resource control(RRC) 파라미터라고도 부른다)이다. dmrs-AdditionalPosition은, 예를 들면, 기지국(예를 들면, gNB라고도 부른다)으로부터 이동국(예를 들면, 단말 또는 UE: User Equipment라고도 부른다)으로 통지(환언하면, 설정(configure))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DMRS의 배치 방법을 "가정 1"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서는, 길이 ld=9 또는 10에 있어서, 슬롯 내의 PDSCH가 스케줄된 선두 심볼(또는 개시 심볼) "l0", 및, "dmrs-AdditionalPosition"에 의하여 지시되는 심볼(예를 들면, l0을 기준(=0)으로 한 위치)에 DMRS가 배치될 수 있다.
[NR DMRS shift]
상술한 바와 같이, DSS에서는, 예를 들면, LTE CRS가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NR PDSCH가 송신되어도 된다. 이때,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는, 시간 리소스 및 주파수 리소스에 있어서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되어도 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을 참조).
예를 들면, LTE CRS와, "가정 1"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NR PDSCH 내의 DMRS가 충돌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은, "가정 1"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DMRS의 위치(환언하면, 리소스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DMRS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가정 1"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위치와 상이한 위치로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 처리를 "DMRS 시프트(shift)"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CRS mapping]
LTE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CRS가 배치되는 심볼(환언하면, 시간 영역의 위치)은, 예를 들면, CRS의 포트수, 또는, 서브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서브프레임의 종류에는, 예를 들면, multimedia broad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MBSFN 서브프레임), 및, 비MBSFN(non-MBSFN) 서브프레임이 포함된다. 도 3은, CRS의 배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CRS 포트수가 1 또는 2인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제0, 4, 7 및 11의 4개의 심볼로 CRS가 송신된다. 또, 예를 들면, CRS 포트수가 4인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제0, 1, 4, 7, 8 및 11의 6개의 심볼로 CRS가 송신된다. 또, 예를 들면, 비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제0의 1개의 심볼, 또는, 제0 및 1의 2개의 심볼로 CRS가 송신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에 있어서의 최초의 심볼을 "제0 심볼"로 하고 있다.
또, CRS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위치 및 포트수, 및, 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RRC 파라미터 "RateMatchPatternLTE-CRS")에 의하여 이동국에 설정될 수 있다.
[multi-user muitiple input multiple output(MU-MIMO)]
복수의 이동국에 대한 MU-MIMO에 있어서, 이동국 간의 NR DMRS 포트끼리가 직교하는 운용(예를 들면, orthogonal DMRS based MU-MIMO라고 부른다)이 있다. orthogonal DMRS based MU-MIMO의 경우,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 A와 이동국 B의 사이의 NR DMRS 포트끼리는 직교하는 것이 상정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이동국 A에 대하여 DSS 운용이 실시되고, 이동국 B에 대하여 DSS 운용이 실시되지 않는 경우, 이동국 A에 대하여 DMRS 시프트가 실시되며, 이동국 B에 대하여 DMRS 시프트가 실시되지 않는 케이스가 일어날 수 있다(도시하지 않는다). 이때, 이동국 A와 이동국 B의 사이에서, DMRS의 위치가 상이하므로,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이 붕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Rel-15에서는, 안테나 포트 매핑에 관한 DCI에 의하여, "all the remaining orthogonal antenna ports are not associated with transmission of PDSCH to another UE"인 것이 이동국에 통지됨으로써, 당해 이동국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것이 암시적으로 통지된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6을 참조).
(실시형태 1)
[통신 시스템의 개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송신 장치에 상당)(100), 및, 이동국(수신 장치에 상당)(200)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하향 링크에 있어서, NR 신호(예를 들면, PDSCH)를 송신하는 슬롯(예를 들면, NR 슬롯이라고 부른다)에 있어서, DMRS가 배치되는 심볼을, 설정된 심볼(예를 들면, 가정 1에 근거하는 심볼)과 상이한 심볼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판단에 의하여,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를 운용하는 경우에서도, DMRS와 CRS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 간의 DMRS 포트의 직교성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기지국(100)에 있어서, 제어부(101)(예를 들면, 제어 회로에 상당)는, 제1 시스템(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예를 들면, NR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예를 들면,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 송신부(104)(예를 들면, 송신 회로에 상당)는, 제2 참조 신호를, 결정된 배치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국(200)의 일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이동국(200)에 있어서, 제어부(206)(예를 들면, 제어 회로에 상당)는, 제1 시스템(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예를 들면, NR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예를 들면,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 수신부(202)(예를 들면, 수신 회로에 상당)는, 결정된 배치에 근거하여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의 구성]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부호화·변조부(102)와, 신호 배치부(103)와, 송신부(104)와, 안테나(105)를 갖는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변조부(102)로 출력한다. 상위 레이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LTE CRS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RateMatchPatternLTE-CRS), 또는,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대역(예를 들면, active BWP: Bandwidth part)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제어부(101)는, 데이터(예를 들면, PDSCH)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PDSCH가 송신되는 active BWP, PDSCH의 할당 영역(예를 들면, PDSCH 영역이라고 부른다), 또는,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를 운용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결정한 정보를 명시적(explicit) 또는 암시적(implicit)으로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예를 들면,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신호 배치부(103)로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결정한 PDSCH 영역을 신호 배치부(103)로 출력(환언하면, 지시)한다.
또, 제어부(101)는, PDSCH 내의 DMRS의 위치(예를 들면, 심볼의 위치)를, 기준 위치(예를 들면, PDSCH 영역에 관련지어진 위치.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의 위치)로부터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1)는, 판단한 DMRS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신호 배치부(103)로 출력한다.
부호화·변조부(102)는, 데이터(예를 들면, PDSCH) 및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레이어 신호를 오류 정정 부호화 및 변조하고, 변조 후의 신호를 신호 배치부(103)로 출력한다.
신호 배치부(103)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DCI를, 예를 들면, PDCCH 영역의 리소스에 배치(환언하면, 할당 또는 매핑)한다. 또, 신호 배치부(103)는, DMRS, 및, 부호화·변조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PDSCH 영역의 리소스에 배치한다. 신호 배치부(103)는, 리소스에 배치된 신호를, 송신부(104)로 출력한다.
송신부(104)는, 신호 배치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반송파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 등의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하고, 무선 송신 처리 후의 신호를 안테나(105)로 출력한다.
안테나(105)는, 송신부(1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환언하면, 하향 신호)를 이동국(200)을 향하게 하여 방사한다.
[이동국의 구성]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국(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이동국(200)은, 안테나(201)와, 수신부(202)와, 신호 분리부(203)와, 채널 추정부(204)와, 복조·복호(復號)부(205)와, 제어부(206)를 갖는다.
안테나(201)는, 기지국(100)(예를 들면, 도 7을 참조)이 송신한 하향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부(202)로 출력한다.
수신부(202)는, 안테나(2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등의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하고, 무선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신호 분리부(203)로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203)는, 수신부(20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PDCCH 영역의 리소스에 배치된 DCI를 추출(환언하면, 분리)하고, DCI를 제어부(206)로 출력한다. 또, 신호 분리부(203)는, 제어부(206)로부터 입력되는 PDSCH 영역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 및, DMRS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PDSCH 영역의 리소스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 및 DMRS를 추출(환언하면, 분리)한다. 신호 분리부(203)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복호부(205)로 출력하고, DMRS를 채널 추정부(204)로 출력한다.
채널 추정부(204)는, 신호 분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DMRS에 근거하여 채널 추정(예를 들면, 채널 추정값의 계산)을 행한다. 채널 추정부(204)는, 채널 추정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복조·복호부(205)로 출력한다.
복조·복호부(205)는, 채널 추정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채널 추정값에 근거하여, 신호 분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한다. 복조·복호부(205)는, 복호에 의하여 얻어진 상위 레이어 신호를 제어부(206)로 출력한다.
제어부(206)는, 복조·복호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상위 레이어 신호, 및, 신호 분리부(203)로부터 입력되는 DCI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PDSCH 영역, 및, PDSCH 영역에 관련지어진 DMRS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 제어부(206)는, PDSCH 내의 DMRS의 위치(예를 들면, 심볼의 위치)가, 기준 위치(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의 위치)로부터 변경(환언하면, 시프트)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206)는, PDSCH 영역에 관한 정보, 및, DMRS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신호 분리부(203)로 출력한다.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의 동작예]
다음으로, 기지국(100)(도 7을 참조) 및 이동국(200)(도 8을 참조)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신호를 이동국(200)으로 통지(환언하면, 설정)한다(ST101). 이동국(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되는 상향 레이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위 레이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LTE CRS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RateMatchPatternLTE-CRS), 또는, 이동국(200)에 대한 할당 대역(예를 들면, active BWP)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active BWP에 관한 정보에는,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서브캐리어 간격(SCS: Sub Carrier Spacing)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의 정보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및, 하향 제어 정보(예를 들면, DCI)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이동국(200)으로 통지되어도 되고, 또는, 이동국(200)에 미리 설정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통지하는 DCI의 내용을 결정한다(ST102). DCI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PDSCH 할당 정보>
PDSCH 할당 정보에는, 예를 들면, PDSCH(예를 들면, mapping type B)가 할당되는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PDSCH가 배치되는 시간 영역의 리소스(예를 들면, 개시 심볼 및 심볼 길이)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PDSCH의 송신 대역 정보>
PDSCH의 송신 대역 정보에는, 예를 들면, PDSCH가 송신되는 BWP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가 포함되어도 된다.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에 관한 정보>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에 관한 정보에는,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가 운용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으로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되고, 암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DCI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술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정보여도 된다.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설정한 정보(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및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PDSCH 내의 DMRS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설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103).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해도 된다.
DMRS를 시프트한다고 판단한 경우(ST103: YES), 기지국(100)은, DMRS의 위치를,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m 심볼과 상이한 제n 심볼로 결정한다(ST104). 환언하면,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DMRS의 위치는, 제m 심볼로부터 제n 심볼로 시프트된다.
한편, DMRS를 시프트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ST103: NO), 기지국(100)은, DMRS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시프트하지 않는다).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ST105). 하향 신호에는, 예를 들면, DMRS를 포함하는 PDSCH, 및, DCI를 포함하는 PDCCH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DMRS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이 결정한 위치(예를 들면, 심볼)에 배치된다.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 신호에 포함되는 PDCCH 내의 DCI에 나타나는 정보(환언하면, 내용)를 확인한다(ST106). 예를 들면, 이동국(200)은, PDSCH의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가 제m 심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수신한 상위 레이어 신호, 및, DCI에 나타나는 정보에 근거하여, PDSCH 내의 DMRS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제m 심볼)와 상이한 위치(예를 들면, 제n 심볼)에 설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107). 예를 들면, 이동국(200)은,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해도 된다.
DMRS가 시프트된다고 판단한 경우(ST107: YES), 이동국(200)은, DMRS의 위치를,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m 심볼과 상이한 제n 심볼로 결정한다(ST108). 환언하면,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DMRS의 위치는, 제m 심볼로부터 제n 심볼로 시프트된다.
한편, DMRS의 위치를 시프트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ST107: NO), 이동국(200)은, DMRS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시프트하지 않는다).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판단한 위치에 배치된 DMRS에 근거하여, PDSCH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복조 처리)를 행한다(ST109).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DMRS 배치의 동작예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동작예 1-1>
동작예 1-1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NR 슬롯에 있어서의 제11 심볼(예를 들면, m=11)로 설정된 DMRS의 위치를, 제12 심볼(n=12)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00)에 대한 NR PDSCH가 슬롯 내의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에 할당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6에 대응하는 제11 심볼로, PDSCH 내의 DMRS의 위치가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슬롯 내의 제11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는 데 대하여, 제12 심볼에는 CRS는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DMRS의 위치가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설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됨으로써,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이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MRS의 위치를,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 및 ST107의 처리). 환언하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 및 ST107의 처리에 있어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정보(예를 들면, LTE CRS의 배치를 특정 가능(또는 추정 가능)한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이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조건 (1): "이동국(200)은 언라이센스 대역(예를 들면, NR-unlicensed(NR-U)라고도 부른다)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지 않다"
이동국(200)에 대하여 설정되는 NR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라이센스 대역 또는 언라이센스 대역)은, 예를 들면, 제어 정보(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신호 또는 DCI)에 의하여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으로 통지되어도 되고, 이동국(200)에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언라이센스 대역에서는, DSS가 운용되지 않는 것이 상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200)이 언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운용되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에 대한 NR 신호에 포함되는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없으므로, NR PDSCH에 있어서 DMRS의 위치(예를 들면, 제11 심볼)는 변경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라이센스 대역에서는, DSS가 운용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11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이동국(200)이 언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LTE CRS와 DMRS가 중복될 수 있는 경우가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1)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환언하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이 라이센스 대역에 있어서 운용되고 있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조건 (2): "이동국(200)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ateMatchPatternLTE-CRS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RateMatchPatternLTE-CRS가 설정된 경우, LTE 시스템에 있어서 LTE CRS가 설정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11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1 심볼에 있어서,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중복될 수 있는 것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2)를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조건 (3): "이동국(200)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ateMatchPatternLTE-CRS가 설정되고, 또한, 이 RRC 파라미터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DMRS의 송신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제0 또는 제1 심볼에 CRS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DMRS의 송신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PDSCH 내의 DMRS와 LTE CRS는 충돌할 수 없으므로, NR PDSCH에 있어서 DMRS의 위치(예를 들면, 제11 심볼)는 변경되지 않아도 된다.
한편, 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DMRS의 송신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비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DMRS의 송신 타이밍과 일치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심볼에 CRS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것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3)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제11 심볼에 DMRS가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건 (3)은, 조건 (2)보다, DMRS와 CRS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조건이다.
조건 (4): "이동국(200)에 있어서, 15kHz의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갖는 active BWP가 사용되고 있다"
NR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SCS가 15kHz인 경우, 즉, LTE 시스템과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인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심볼에서는,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것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4)를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조건 (5):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다"
이동국(200)에 대하여 예를 들면, DCI에 의하여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가 통지되는 경우, MU-MIMO 다중되는 복수의 이동국(2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200)에 있어서 DMRS의 위치가 변경되면, 복수의 이동국(200) 간에 있어서의 DMRS의 직교성이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5)를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환언하면, 조건 (5)를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복수의 이동국(200)에 대한 DMRS의 위치가 제12 심볼로 설정된다. 이 DMRS의 설정에 의하여, 예를 들면, DSS 운용되는 이동국(200)에 대한 DMRS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서도,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200)에 대한 DMRS의 위치도 함께 변경되므로, 복수의 이동국(200) 간에 있어서의 DMRS의 직교성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이동국 B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는 것이 통지된 경우, 이동국 B는, 이동국 B에 대하여 DSS가 운용되지 않는 경우에서도,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 A에 대하여 DSS가 운용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DMRS의 위치를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또한, 조건 (5)는, 예를 들면, "이동국(200)이 수신하는 DCI가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인 것을 암시하고 있다"고 규정되어도 된다.
조건 (6): "이동국(200)이 수신하는 DCI가, PDSCH mapping type B에 의한 할당을 통지하고 있다"
PDSCH mapping type B에 의한 할당에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d=9에 있어서, l=6에 대응하는 제11 심볼에, PDSCH 내의 DMRS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11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다. 그 때문에, PDSCH mapping type B가 설정되는 경우, 제11 심볼에서는,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6)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조건 (7): "이동국(200)이 수신하는 DCI가, PDSCH mapping type B에 의한 할당을 통지하고, 또한, 당해 할당이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이다"
조건 (6)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PDSCH mapping type B에 의한 할당에서는, PDSCH의 길이가 9심볼(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ld=9)인 경우에 있어서, l=6에 대응하는 제11 심볼에, PDSCH 내의 DMRS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11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다. 그 때문에, PDSCH mapping type B가 설정되는 경우, 제11 심볼에서는,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7)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ingle symbol DMRS에 있어서, PDSCH의 길이가 10심볼(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ld=10)인 경우, 제11 심볼(l=7에 상당)에는 DMRS가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건 (7)은, 조건 (6)보다, DMRS와 CRS가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조건이다.
이상, 조건 (1)~(7)에 대하여 각각 설명했다.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조건 (1)~(7)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건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제11 심볼 및 제12 심볼 중 어느 것으로 결정할지를 판단해도 된다.
동작예 1-1에 의하면,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경우, NR PDSCH 내의 DMRS의 위치를, CRS와 충돌하지 않는 제12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 이 DMRS 위치의 결정에 의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상술한 조건 (1)~(7)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복수의 이동국(200) 각각에 대하여 DMRS 시프트한다. 또,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각 이동국(200)은,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200)에 있어서 DMRS와 CRS의 충돌 회피를 위하여 DMRS 시프트가 행해질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당해 이동국(200)에 대해서도 DMRS 시프트가 행해진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하여,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이동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의 붕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동작예 1-1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와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동작예 1-1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예 1-1에서는, m=11 및 n=12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변경 후(환언하면, 시프트 후)의 DMRS의 위치는, 제12 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3 심볼 이후의 심볼이어도 되며, 제10 심볼 또는 제9 심볼 이전의 심볼이어도 된다. 이들 심볼에 대한 변경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시간적 위치 또는 간격으로, DMRS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동작예 1-2>
동작예 1-2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NR 슬롯에 있어서의 제8 심볼(예를 들면, m=8)로 설정된 DMRS의 위치를, 제9 심볼(예를 들면, n=9)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00)에 대한 NR PDSCH가 슬롯 내의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에 할당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3에 대응하는 제8 심볼로, PDSCH 내의 DMRS의 위치가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슬롯 내의 제8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는 데 대하여, 제9 심볼에는 CRS는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DMRS의 위치가 제8 심볼과 상이한 제9 심볼로 설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됨으로써,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동작예 1-2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동작예 1-1에서 설명한 조건 (1)~(7), 및, 이하의 조건 (8)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MRS의 위치를,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8 심볼과 상이한 제9 심볼로 결정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 및 ST107의 처리).
조건 (8):
조건 (8)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ateMatchPatternLTE-CRS가 설정되고, 또한, 이 RRC 파라미터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CRS 포트수가 4이며, 또한, 이 RRC 파라미터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DMRS의 송신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조건 (8)을 충족시키는 경우의 일례는, 비MBSFN 서브프레임의 타이밍이 DMRS의 송신 타이밍과 일치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RS 포트수가 4이며, 비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제8 심볼에 CRS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8 심볼에 있어서,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중복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8)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과 상이한 제9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조건 (1)~(8)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건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 및 제9 심볼 중 어느 것으로 결정할지를 판단해도 된다.
동작예 1-2에 의하면,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경우, NR PDSCH 내의 DMRS의 위치를, CRS와 충돌하지 않는 제9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 이 DMRS 위치의 결정에 의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상술한 조건 (1)~(8)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복수의 이동국(200) 각각에 대하여 DMRS 시프트한다. 또,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각 이동국(200)은,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200)에 있어서 DMRS와 CRS의 충돌 회피를 위하여 DMRS 시프트가 행해질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당해 이동국(200)에 대해서도 DMRS 시프트가 행해진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하여,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이동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의 붕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동작예 1-2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와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동작예 1-2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예 1-2에서는, m=8 및 n=9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변경 후(환언하면, 시프트 후)의 DMRS의 위치는, 제9 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0 심볼 또는 제11 심볼 이후의 심볼이어도 되며, 제7 심볼 또는 제6 심볼 이전의 심볼이어도 된다. 이들 심볼에 대한 변경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시간적 위치 또는 간격으로, DMRS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동작예 1-3>
동작예 1-3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NR 슬롯에 있어서의 제10 심볼 및 제11 심볼(예를 들면, m=10 및 11)로 설정된 DMRS(환언하면, double symbol DMRS)의 위치를, 제12 심볼 및 제13 심볼(예를 들면, n=12 및 13)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00)에 대한 NR PDSCH가 슬롯 내의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에 할당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면,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5에 대응하는 제10 심볼 및 제11 심볼로, PDSCH 내의 DMRS의 위치가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슬롯 내의 제8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는 데 대하여, 제9 심볼에는 CRS는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DMRS의 위치가 제8 심볼과 상이한 제9 심볼로 설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됨으로써,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동작예 1-3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동작예 1-1에서 설명한 조건 (1)~(7)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MRS의 위치를,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10 심볼 및 제11 심볼과 상이한 제12 심볼 및 제13 심볼로 결정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 및 ST107의 처리).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조건 (1)~(7)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건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제10 및 제11 심볼과, 제12 및 제13 심볼 중 어느 것으로 결정할지를 판단해도 된다.
동작예 1-3에 의하면,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경우, NR PDSCH 내의 double symbol DMRS의 위치를, CRS와 충돌하지 않는 제12 심볼 및 제13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 이 DMRS 위치의 결정에 의하여, NR PDSCH 내의 double symbol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동작예 1-1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상술한 조건 (1)~(7)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복수의 이동국(200) 각각에 대하여 DMRS 시프트한다. 또,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각 이동국(200)은,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200)에 있어서 DMRS와 CRS의 충돌 회피를 위하여 DMRS 시프트가 행해질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당해 이동국(200)에 대해서도 DMRS 시프트가 행해진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하여,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이동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의 붕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동작예 1-3에 의하면, 예를 들면, double symbol DMRS와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동작예 1-3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예 1-3에서는, m=10 및 11, 및, n=12 및 13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변경 후(환언하면, 시프트 후)의 DMRS의 위치는, 제12 심볼 및 제13 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9 심볼 및 제10 심볼, 또는, 제9 심볼 이전의 2심볼이어도 된다. 이들 심볼에 대한 변경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시간적 위치 또는 간격으로, DMRS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동작예 1-4>
동작예 1-4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NR 슬롯에 있어서의 제8 심볼(예를 들면, m=8)로 설정된 DMRS의 위치를, 제10 심볼(예를 들면, n=10)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예 1-4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대하여, 30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active BWP가 설정되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1의 처리).
또,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 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롯 내의 제4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10심볼에, NR PDSCH를 할당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2의 처리).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30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active BWP에 PDSCH를 할당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2의 처리).
또,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의 운용을 설정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2의 처리).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면, 도 11의 (a)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d=9에 있어서의 l=3 또는 ld=10에 있어서의 l=4에 대응하는 제8 심볼로, PDSCH 내의 DMRS의 위치가 설정된다.
NR에 대한 SCS가 30kHz인 경우, 1심볼에 상당하는 시간은 LTE의 SCS=15kHz와 비교하여 절반이다. 환언하면, SCS=15kHz의 1심볼은, SCS=30kHz의 2심볼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SCS=15kHz의 LTE에 있어서 CRS가 배치되는 제4 심볼(또는 제11 심볼)은, SCS=30kHz의 NR에 있어서의 제8 심볼 및 제9 심볼의 2심볼에 상당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SCS=30kHz의 NR 슬롯 내의 제8 심볼 및 제9 심볼에는, SCS=15kHz에 있어서의 제4 심볼(또는 제11 심볼)에 상당하는 위치에 CRS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SCS=30kHz의 NR 슬롯 내의 제10 심볼(예를 들면, SCS=15kHz에 있어서의 제5 심볼 또는 제12 심볼에 상당)에는, CRS는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SCS=30kHz의 NR 슬롯 내의 DMRS의 위치가 제8 심볼과 상이한 제10 심볼로 설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됨으로써,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동작예 1-4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동작예 1-1에서 설명한 조건 (1)~(3), (5), (6), 및, 이하의 조건 (4)' 및 (7)'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도 14의 (a) 및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과 상이한 제10 심볼로 결정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 및 ST107의 처리).
조건 (4)': "이동국(200)에 있어서, 30kHz의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갖는 active BWP가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R에 대한 SCS가 30kHz인 경우, NR 슬롯 내의 제8 심볼에서는,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4)'를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과 상이한 제10 심볼(예를 들면, SCS=15kHz에 있어서의 1심볼분(分) 이후의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조건 (7)': "이동국(200)이 수신하는 DCI가, PDSCH mapping type B에 의한 할당을 통지하고, 또한, 당해 할당이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 또는 "제4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10심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 mapping type B에 의한 할당에서는, PDSCH의 길이가 9심볼(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ld=9)인 경우에 있어서의 l=3, 및, PDSCH의 길이가 10심볼(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ld=10)인 경우에 있어서의 l=4에 각각 대응하는 제8 심볼에, PDSCH 내의 DMRS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SCS=30kHz에 있어서의 제8 심볼에 상당하는, SCS=15kHz에 있어서의 슬롯 내의 제4 심볼 또는 제11 심볼에는, CRS가 배치될 수 있다. 그 때문에, PDSCH mapping type B가 설정되는 경우, 또한, PDSCH의 길이가 9심볼 및 10심볼인 경우, NR 슬롯 내의 제8 심볼에서는,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조건 (7)'을 충족시키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과 상이한 제10 심볼(예를 들면, SCS=15kHz에 있어서의 1심볼분 이후의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조건 (1)~(3), (4)', (5), (6) 및 (7)'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건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 및 제10 심볼 중 어느 것으로 결정할지를 판단해도 된다.
동작예 1-4에 의하면,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경우, NR PDSCH 내의 DMRS의 위치를, CRS와 충돌하지 않는 제10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 이 DMRS 위치의 결정에 의하여, NR의 SCS가 LTE의 SCS와 상이한 경우에서도,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상술한 조건 (1)~(3), (4)', (5), (6) 및 (7)'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복수의 이동국(200) 각각에 대하여 DMRS 시프트한다. 또,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각 이동국(200)은,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200)에 있어서 DMRS와 CRS의 충돌 회피를 위하여 DMRS 시프트가 행해질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당해 이동국(200)에 대해서도 DMRS 시프트가 행해진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하여,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이동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의 붕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동작예 1-4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와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동작예 1-4에 의하면, 예를 들면,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예 1-4에서는, m=8 및 n=10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변경 후(환언하면, 시프트 후)의 DMRS의 위치는, 제10 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1 심볼 또는 제12 심볼 이후의 심볼이어도 되며, 제7 심볼 또는 제6 심볼 이전의 심볼이어도 된다. 이들 심볼에 대한 변경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시간적 위치 또는 간격으로, DMRS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예 1-1~1-4에서는, 일례로서, Rel. 16에 있어서 이동국(200)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는 DMRS의 위치, 및, CRS의 위치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환언하면, 동작예 1-1~1-4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DMRS와 CRS가 충돌할 수 있는 심볼, 또는, DMRS와 CRS가 충돌할 수 없는 심볼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예 1-1~1-4에 있어서 설명한 조건은, CRS가 배치되는 심볼과, 이동국(200)에 대하여 DMRS로 설정되는 심볼이 중복(환언하면, 충돌)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작예 1-1~1-4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상술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CRS와 DMRS가 실제로는 충돌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DMRS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면, MU-MIMO 다중되어 있는 복수의 이동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예 1-5>
동작예 1-5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DMRS와 CRS의 충돌의 유무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동작예 1-5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NR 슬롯에 있어서의 임의의 심볼로 설정된 DMRS의 위치를, 상이한 심볼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예 1-5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대하여, 15kHz, 30kHz 또는 60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active BWP가 설정되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1의 처리).
또,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예를 들면, LTE CRS가 송신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또한, 슬롯 내의 임의의 시간 리소스에, NR PDSCH를 할당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2의 처리).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15kHz, 30kHz 또는 60kHz 중 어느 하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active BWP에 PDSCH를 할당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2의 처리).
또,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의 운용을 설정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2의 처리).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여 설정된, PDSCH 내의 DMRS의 위치를 "제x 심볼"로 한다.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DMRS의 위치를,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x 심볼과 상이한 심볼(이하, "제y 심볼"로 한다)로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의 처리).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CRS가 배치되는 심볼과,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x 심볼이 중복되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x 심볼과 상이한 제y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LTE CRS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CRS의 배치에 관한 정보), 및,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리소스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PDSCH에 관한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CRS가 배치되는 심볼과 DMRS가 배치되는 제x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도 된다. 환언하면, 기지국(100)은, 제x 심볼에 있어서 CRS와 DMRS가 충돌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CRS와 DMRS가 충돌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인 경우(ST103: YES), 기지국(100)은, DMRS의 위치를, 제x 심볼과 상이한 제y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ST104).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제x 심볼보다 이후의 심볼에 있어서,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 중, 심볼 번호가 보다 작은 번호를 갖는 제y 심볼에 DMRS를 배치(환언하면, 시프트)해도 된다.
또한, 제x 심볼보다 이후의 심볼에 있어서,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100)은, 제x 심볼에 DMRS를 배치해도 된다(환언하면, 시프트하지 않는다).
또,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지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DMRS의 위치(제x 심볼)와 상이한 위치(제y 심볼)로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7의 처리). 예를 들면, 이동국(200)은, CRS가 배치되는 심볼과, 이동국(200)에 설정된 제x 심볼이 중복되는 경우, DMRS의 위치를, 제x 심볼과 상이한 제y 심볼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동국(200)은, 기지국(100)과 동일하게, LTE CRS에 관한 정보, 및,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PDSCH의 할당 정보에 근거하여, CRS가 배치되는 심볼과 DMRS가 배치되는 제x 심볼이 중복(환언하면, 충돌)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CRS와 DMRS가 충돌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DMRS를 시프트해야 할 조건이 참인 경우(ST107: YES), 이동국(200)은, DMRS의 위치를, 제x 심볼과 상이한 제y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되었다고 판단한다(ST108). 예를 들면, 이동국(200)은, 제x 심볼보다 이후의 심볼에 있어서,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 중, 심볼 번호가 보다 작은 번호를 갖는 제y 심볼에 DMRS가 배치(환언하면, 시프트)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또한, 제x 심볼보다 이후의 심볼에 있어서,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200)은, 제x 심볼에 DMRS가 배치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환언하면, 시프트하지 않는다고 판단해도 된다).
동작예 1-5에 의하면,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가 충돌할 수 있는 경우, NR PDSCH 내의 DMRS의 위치를, CRS와 충돌하지 않는 다른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 이 DMRS 위치의 결정에 의하여, NR PDSCH 내의 DMRS와 LTE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kHz, 30kHz 및 60kHz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간격이어도 된다.
또, 동작예 1-5에서는, 제y 심볼은, 제x 심볼 이후의 심볼에 있어서,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 중 최소 번호의 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 중, 두 번째로 번호가 작은 심볼, 또는, 세 번째로 번호가 작은 심볼 이후의 심볼이어도 된다. 또는, 제y 심볼은, 제x 심볼보다 이전의 CRS와 충돌하지 않는 심볼이어도 된다. 이들 심볼에 대한 변경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의 향상에 적합한 시간적 위치 또는 간격으로, DMRS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DMRS와 CRS가 충돌할 수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더하여, 예를 들면, 이동국(200)의 설정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상술한 조건 (1), (3), (5) 및 (8)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이동국(200)에 설정된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상술한 조건 (1), (3), (5) 및 (8)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될 수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복수의 이동국(200) 각각에 대하여 DMRS 시프트한다. 또,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는 각 이동국(200)은, MU-MIMO 다중되는 다른 이동국(200)에 있어서 DMRS와 CRS의 충돌 회피를 위하여 DMRS 시프트가 행해질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당해 이동국(200)에 대해서도 DMRS 시프트가 행해진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하여, 이동국(200)에 대하여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이동국(200)에 각각 대응하는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의 붕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DMRS의 배치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이동국(200)에 설정되는 정보(환언하면, LTE CRS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NR PDSCH 내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 이 DMRS 배치의 결정에 의하여, 예를 들면, DSS를 운용하는 기지국(100)은, DMRS를 적절히 배치하여, DMRS와 CRS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이 DMRS 배치의 결정에 의하여, 예를 들면, DMRS 포트끼리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이동국(200)은, DSS가 운용되는 경우에서도, DMRS의 배치를 적절히 판단하여, NR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베리에이션 1)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슬롯 내의 복수의 심볼에 DMRS가 배치되는 경우,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DMRS가 배치되는 복수의 심볼을 동시에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있어서의 DMRS의 위치가 제8 심볼 및 제11 심볼인 경우,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각각의 DMRS의 위치를 제9 심볼 및 제12 심볼로 변경해도 된다.
이 DMRS 배치의 변경에 의하여, 복수의 DMRS에 있어서 CRS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베리에이션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1의 처리에 있어서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으로 통지되는 LTE 시스템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RRC 파라미터 RateMatchPatternLTE-CRS)는, 이하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 있어서 동작하는 LTE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에 있어서의 CRS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1)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이 동작하는 NR컴포넌트 캐리어의 시스템 대역
(2) 이동국(200)에 설정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BWP
(3) 이동국(200)으로의 송신에 사용되는 active BWP
(4) 이동국(200)에 송신되는 PDSCH의 할당 대역
또, 상기 대역 중, LTE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복수 있는 경우, 기지국(1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LTE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CRS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동국(200)으로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파라미터가 통지되는 경우,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도 된다(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ST103 및 ST107의 처리).
또,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복수의 파라미터 중 일부에 근거하여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복수의 파라미터 중, 보다 큰 CRS 포트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근거하는 운용이어도 되고, 보다 고빈도로 비MBSFN 서브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에 근거하는 운용이어도 된다. 이들의 운용에 의하여, 예를 들면, CRS가 보다 많은 리소스에 배치될 수 있는 상황을 배려하여 DMRS의 위치가 결정되므로, CRS와 DMRS의 충돌의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에 대하여,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에 근거하는 파라미터를 통지해도 된다.
(실시형태 1의 베리에이션 3)
실시형태 1에 있어서,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조건은, 예를 들면, 기지국(100)과 이동국(200)의 사이에서 이미 알려진 정보여도 되고, 상위 레이어 신호 또는 DCI와 같은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으로 통지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는,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위 레이어 신호 또는 DCI와 같은 제어 신호에 의하여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국(200)으로 통지되어도 된다.
이 통지에 의하여, 이동국(200)은, 기지국(100)이 송신하는 DMRS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베리에이션 4)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이동국(200)이 orthogonal DMRS port based MU-MIMO로 운용되고 있는 것은, 예를 들면, "all the remaining orthogonal antenna ports are not associated with transmission of PDSCH to another UE"인 것을 통지하는 안테나 포트 매핑에 관한 DCI에 의하여 암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의 베리에이션 5)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15와 같이, orthogonal DMRS based MU-MIMO가 운용되지 않는 이동국(200)이 수신하는 DMRS의 위치가, 시프트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예를 들면, 셀 사이에 있어서의 DMRS의 충돌에 의한 수신 정밀도의 열화를 완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베리에이션 6)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상기의 각 동작예의 조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는 RateMatchPatternLTE-CRS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적어도 CRS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에 관련되는 파라미터이며, RateMatchPatternLTE-CRS와는 상이한 명칭을 갖는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또는 DCI 등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2)
예를 들면, 슬롯 내에 복수의 DMRS가 배치되는 경우에,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CRS와 충돌할 수 있는 DMRS의 위치의 변경에 의하여, 위치가 변경된 DMRS와, 다른 DMRS(환언하면, 위치가 변경되어 있지 않은 DMRS)의 위치 관계(예를 들면, 시간 간격)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DMRS 간의 시간 간격이 커질수록, 당해 DMRS 간의 채널 추정 정밀도가 열화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DMRS 간의 시간 간격이 작아질수록, DMRS를 복수의 심볼에 배치하는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환언하면, DMRS 간의 시간 간격이 작아질수록, DMRS에 의한 오버헤드가 증가하여, 리소스 이용 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채널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하는 DMRS의 배치 방법, 및, 리소스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DMRS의 배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지국 및 이동국은, 실시형태 1에 관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DMRS 배치의 동작예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동작예 2-1>
동작예 2-1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슬롯 내의 복수의 심볼에 DMRS가 배치되는 경우, CRS와 충돌할 수 있는 DMRS에 더하여, CRS와 충돌할 수 없는 DMRS의 위치를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한다.
일례로서,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00)에 대하여, 서브캐리어 간격 15kHz의 BWP 내에 있어서,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에, NR PDSCH가 할당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면, PDSCH 내의 DMRS의 위치는, 제5, 제8 및 제11 심볼(l=0, 3, 6)로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RS가 슬롯 내의 적어도 제7 심볼, 제8 심볼 및 제11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제8 심볼 및 제11 심볼에 있어서 DMRS와 CRS가 충돌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제8 심볼 및 제11 심볼에 배치될 수 있는 DMRS의 위치, 및, 제5 심볼에 배치될 수 있는 DMRS의 위치를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도 16의 (a)에 나타내는 제5, 제8 및 제11 심볼의 DMRS를,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제9 및 제12 심볼로 각각 변경해도 된다.
또, 이동국(200)은, 기지국(100)과 동일하게, 도 16의 (a)에 나타내는 제5, 제8 및 제11 심볼의 DMRS가,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제9 및 제12 심볼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동작예 2-1에서는,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슬롯 내의 복수의 DMRS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DMRS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당해 DMRS 위치(환언하면, 위치의 변경)에 근거하여, 나머지의 DMRS의 위치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도 16의 (a) 및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SCH 내의 3개의 DMRS는, 이동국(200)에 설정된 위치(예를 들면, "가정 1"에 근거하는 위치)로부터 각각 1심볼 이후로 시프트된다. 환언하면,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 후의 DMRS 간의 배치 간격(예를 들면, 3심볼)은, 변경 전의 DMRS 간의 배치 간격(예를 들면, 3심볼)과 변함없다.
이 DMRS 배치에 의하여, DMRS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서도, 복수의 DMRS 간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배치 간격이 변함없으므로, DMRS에 의한 채널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동작예 2-2>
동작예 2-2에서는,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슬롯 내의 복수의 심볼에 DMRS가 배치되는 경우, 결정한 DMRS의 배치(환언하면, 변경 후의 위치)에 있어서, 시간 간격이 임곗값 이하인 2개의 DMRS 중 어느 하나의 DMRS를 비송신으로 결정한다(환언하면 드롭한다).
일례로서,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200)에 대하여, 서브캐리어 간격 30kHz의 BWP 내에 있어서, 제5 심볼부터 제13 심볼까지의 9심볼에, NR PDSCH가 할당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DMRS를 드롭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DMRS 간의 시간 간격에 관한 임곗값을 1심볼로 한다. 또한, 임곗값은, 1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2심볼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가정 1"에 근거하면, PDSCH 내의 DMRS의 위치는, 제5, 제8 및 제11 심볼(l=0, 3, 6)로 설정된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LTE CRS(예를 들면, 15kHz SCS)가 슬롯 내의 적어도 제8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제8 심볼에 있어서 DMRS와 CRS가 충돌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DMRS의 위치를 제8 심볼과 상이한 제10 심볼로 결정(환언하면, 변경 또는 시프트)한다. 이 경우, 결정된 DMRS의 배치는, 제5, 제10 및 제11 심볼이다.
여기에서, 제10 심볼 및 제11 심볼에 배치될 수 있는 DMRS 간의 간격은 임곗값(1심볼) 이하이므로,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은,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0 심볼에 배치될 수 있는 DMRS의 드롭을 결정해도 된다.
따라서,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제5 심볼 및 제11 심볼에 있어서 DMRS를 송신하고, 이동국(200)은, 제5 심볼 및 제11 심볼에 있어서 DMRS를 수신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100)은,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MRS를 드롭한 제10 심볼에 있어서 다른 신호(예를 들면, PDSCH)를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심볼에 DMRS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0 심볼 및 제11 심볼에 DMRS가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채널 추정 정밀도는 동일한 정도이다. 동작예 2-2에서는,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0 심볼에 있어서 DMRS가 드롭되므로, 채널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DMRS에 의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DMRS가 드롭된 제10 심볼에는, 다른 신호가 배치되므로, 리소스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에서는, 간격이 임곗값 이하인 제10 심볼 및 제11 심볼에 배치될 수 있는 DMRS 중, 제10 심볼의 DMRS가 드롭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드롭되는 DMRS는, 제11 심볼의 DMRS여도 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이 송신 장치이며, 이동국이 수신 장치인 하향 링크의 통신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국이 송신 장치이며, 기지국이 수신 장치인 상향 링크의 통신, 또는, 이동국끼리의 통신, 즉 사이드링크(sidelink)의 통신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슬롯의 구성 심볼수가 14심볼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슬롯의 구성 심볼수는, 14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심볼수(예를 들면, 12심볼)여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DMRS의 위치(예를 들면, 심볼)를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위치를 변경하는 신호는, DMRS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신호여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DMRS 위치의 결정에 의하여, DMRS와 CRS의 충돌을 회피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DMRS와의 충돌을 고려하는 신호는, CRS에 한정되지 않고, CRS와 상이한 다른 신호여도 된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DMRS 및 CRS 중 적어도 하나 대신에, 이하와 같은 NR 또는 LTE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채널 또는 다른 신호에 대하여 적용되어도 된다.
·위상 트랙킹용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PT-RS, PTRS))
·채널 상태 정보 측정용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
·사운딩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SRS))
·트랙킹용 참조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TRS))
·디스커버리용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Discovery Signal, DRS))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하향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
·상향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
·상향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알림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
·제어 포맷 통지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HARQ 통지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PHICH))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PMCH))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PDSCH의 매핑 방법은, PDSCH mapping type B에 한정되지 않는다. PDSCH의 매핑 방법은, 예를 들면, PDSCH mapping type A여도 되고, 다른 매핑 방법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예를 들면, PDSCH의 매핑 방법에 관계없이, DMRS와 CRS가 충돌할 수 있는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DMRS의 위치를 변경(환언하면, 시프트)할 때, 별도의 주파수 위치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DMRS CDM group에 속하는 DMRS를, 별도의 DMRSCDM croup에 대응하는 주파수 위치로 변경해도 된다. 이로써, CRS와의 충돌을 보다 유연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위 레이어 신호"는, 예를 들면, "RRC 신호(RRC signaling)" 또는 "MAC 신호(MAC signaling)"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참조 신호"는, 예를 들면, "기준 신호" 또는 "파일럿 신호"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 DMRS는, "DM-RS"라고 기재되는 경우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간 리소스의 단위는, 슬롯 및 심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프레임,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슬롯과 같은 다른 시간 리소스 단위여도 된다.
본 개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연계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프로세스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LSI 또는 LSI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되어도 된다. LSI는 개개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LSI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해도 된다.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본 개시는, 디지털 처리 또는 아날로그 처리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되는 다른 기술에 의하여 LSI로 치환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통신 장치라고 총칭)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트랜시버)와 처리/제어 회로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부와 송신부, 또는 그들을 기능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기(송신부, 수신부)는, RF(Radio Frequency) 모듈과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해도 된다. RF 모듈은, 증폭기, RF 변조기/복조기, 또는 그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통신 장치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전화기(휴대전화, 스마트폰 등), 태블릿, 퍼스널·컴퓨터(PC)(랩톱, 데스크톱, 노트북 등), 카메라(디지털·스틸/비디오·카메라 등), 디지털·플레이어(디지털·오디오/비디오·플레이어 등), 착용 가능한 디바이스(웨어러블·카메라, 스마트워치, 트래킹 디바이스 등), 게임·콘솔, 디지털·북·리더, 텔레헬스·텔레메디슨(원격 헬스케어·약물 처방) 디바이스, 통신 기능이 있는 탈 것 또는 이동 수송 기관(자동차, 비행기, 배 등), 및 상술한 각종 장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휴대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할 수 없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 예를 들면, 스마트·홈·디바이스(가전 기기, 조명 기기, 스마트 미터 또는 계측 기기, 컨트롤·패널 등), 자동 판매기, 그 외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사물(Things)"도 포함한다.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 무선 LAN 시스템, 통신 위성 시스템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에 더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도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본 개시에 기재되는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접속 또는 연결되는, 컨트롤러나 센서 등의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의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제어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것 같은, 컨트롤러나 센서가 포함된다.
또, 통신 장치에는, 상기의 비한정적인 각종 장치와 통신을 행하거나, 혹은 이들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인프라 스트럭처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그 외 모든 장치, 디바이스, 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수신 장치는,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와, 결정된 상기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위치를, 상기 수신 장치에 설정되는 심볼과 상이한 심볼로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심볼과,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설정되는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제1 심볼과,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설정되는 제2 심볼이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위치를, 상기 제2 심볼과 상이한 제3 심볼로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할당 정보, 및,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배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심볼과 상기 제2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위치를 상기 제3 심볼로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1 심볼과, 상기 제2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복수의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참조 신호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신호의 위치에 근거하여, 나머지의 참조 신호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결정된 배치에 있어서, 시간 간격이 임곗값 이하인 2개의 상기 제2 참조 신호 중 어느 일방의 비송신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송신 장치는,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결정된 상기 배치로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장치는,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장치는,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결정된 상기 배치로 송신한다.
2019년 8월 15일 출원된 특원 2019-149144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기지국
101, 206 제어부
102 부호화·변조부
103 신호 배치부
104 송신부
105, 201 안테나
200 이동국
202 수신부
203 신호 분리부
204 채널 추정부
205 복조·복호부

Claims (12)

  1.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와,
    결정된 상기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위치를, 상기 수신 장치에 설정되는 심볼과 상이한 심볼로 결정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심볼과,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설정되는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지 않는,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배치되는 제1 심볼과,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설정되는 제2 심볼이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위치를, 상기 제2 심볼과 상이한 제3 심볼로 결정하는,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할당 정보, 및,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배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심볼과 상기 제2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에 나타나는 내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위치를 상기 제3 심볼로 결정하는,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상기 제1 심볼과, 상기 제2 심볼이 중복되는지 아닌지에 의존하지 않는,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복수의 상기 제2 참조 신호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참조 신호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신호의 위치에 근거하여, 나머지의 참조 신호의 위치를 변경하는, 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결정된 배치에 있어서, 시간 간격이 임곗값 이하인 2개의 상기 제2 참조 신호 중 어느 일방의 비송신을 결정하는, 수신 장치.
  10.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결정된 상기 배치로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1. 수신 장치는,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방법.
  12. 송신 장치는,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참조 신호의 배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2 참조 신호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결정된 상기 배치로 송신하는, 송신 방법.
KR1020227003646A 2019-08-15 2020-08-05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 KR20220047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9144 2019-08-15
JP2019149144 2019-08-15
PCT/JP2020/030026 WO2021029298A1 (ja) 2019-08-15 2020-08-05 受信装置、送信装置、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265A true KR20220047265A (ko) 2022-04-15

Family

ID=7456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646A KR20220047265A (ko) 2019-08-15 2020-08-05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303092A1 (ko)
EP (1) EP4016946A4 (ko)
KR (1) KR20220047265A (ko)
CN (1) CN114208106A (ko)
BR (1) BR112022002573A2 (ko)
CA (1) CA3148743A1 (ko)
CO (1) CO2022000537A2 (ko)
MX (1) MX2022000795A (ko)
WO (1) WO2021029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1243B2 (en) * 2019-08-16 2024-01-09 Intel Corporation Spectrum sharing between fifth generation new radio and long term evolution in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US11490404B2 (en) * 2019-08-23 2022-11-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patterns for dynamic spectrum sharing with increased spectral efficiency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EP4120715A1 (en) * 2021-07-16 2023-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supporting dynamic spectrum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423A2 (ko) * 2012-09-16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향상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10949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dmrs 구조에 대한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9031946A1 (ko) * 2017-08-11 2019-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 및 nr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84795B1 (ko) * 2017-10-10 2019-05-31 주식회사 오존에이드 마이크로플라즈마 에어 오존을 이용한 악취물질 분해 시스템
US10779328B2 (en) * 2017-11-27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and preempted resources collision handling
JP7087878B2 (ja) 2018-02-26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340239B1 (ko) * 2019-02-22 2021-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1188893A1 (en) * 2020-03-20 2021-09-23 Convida Wireless, Llc Coverage enhancement for reduced capability new radio devices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RP-181726, "Revised WID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TT DOCOMO, September 2018
[비특허문헌 2] RP-191042, "Enhancements for dynamic spectrum sharing in Rel-16", Ericsson, June 2019
[비특허문헌 3] RP-191599, "Enhancements for dynamic spectrum sharing in Rel-16", Ericsson, June 2019
[비특허문헌 4] 3GPP TS 38.211 V15.6.0, "NR;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lease 15)," 2019-06
[비특허문헌 5] 3GPP TS 38.331 V15.6.0, "NR;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Release 15)," 2019-06
[비특허문헌 6] 3GPP TS 38.214 V15.6.0, "NR;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data(Release 15)," 2019-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6946A1 (en) 2022-06-22
WO2021029298A1 (ja) 2021-02-18
JPWO2021029298A1 (ko) 2021-02-18
CA3148743A1 (en) 2021-02-18
EP4016946A4 (en) 2022-10-05
MX2022000795A (es) 2022-02-16
CO2022000537A2 (es) 2022-01-28
BR112022002573A2 (pt) 2022-05-03
US20220303092A1 (en) 2022-09-22
CN114208106A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6931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JP7579937B2 (ja) 移動局、送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13615287B (zh) 波束指示重用
US2022023181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1135699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configuring resource region candidates and mapp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o same
US20230269051A1 (en) Physically separated channels for narrowband, low complexity receivers
TW201642636A (zh) 用於傳輸設計的無線電存取技術
JP7460628B2 (ja) 端末、送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06233756A (zh) 用于辅小区id选择的系统和方法
CN110999456B (zh) 具有可配置带宽的csirs的传输、接收和配置
KR20220047265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및 송신 방법
US20130286966A1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control channel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control channel
CN106664705B (zh) 一种设备
CN110546990A (zh) 速率匹配的指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1027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plurality of frame structur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0958095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5766365A (zh) 经dft扩频的数据与参考信号的梳状交织
CN108282885A (zh) 信号传输的方法和装置
CN102377723A (zh) 设计参考信号模式的方法及其相关通信装置
CN111713159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7049988A1 (zh) 一种数据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10405288B2 (en) Supporting various bandwidth
RU2816444C2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ри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CN115623598A (zh) 信号传输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