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890A -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90A
KR20220045890A KR1020210116180A KR20210116180A KR20220045890A KR 20220045890 A KR20220045890 A KR 20220045890A KR 1020210116180 A KR1020210116180 A KR 1020210116180A KR 20210116180 A KR20210116180 A KR 20210116180A KR 20220045890 A KR20220045890 A KR 20220045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emitting
sealing
emitting tube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타카하시
토미히코 이케다
Original Assignee
페닉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닉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페닉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85Exhaust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0Closing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관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조도 불균일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램프의 봉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밀된 내부 공간(24), 및 적어도 1 개의 봉지부(22)를 갖는 발광관(12)을 구비하는 램프(10)의 봉지 구조를 이하와 같이 구성하고, 봉지부(22)에는 내부 공간(24)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26)을 설치하며, 또한 연통 구멍(26)의 외측단에 연통 구멍(26)을 폐색하는 칩부(28)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 {LAMP SEALING STRUCTURE, LAMP, AND METHOD OF LAMP SEALING}
본 발명은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스 함유 램프는 발광관(유리 용기)의 양단, 또는 편측의 단을 핀치 시일 방식으로 봉지함으로써 상기 발광관의 내측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가스 함유 램프의 예로서는 가열용 등에 사용되는 할로겐 램프, 조명용 등에 사용되는 메탈할라이드 램프, 자외선 세정용의 자외선 램프, 또한 방전 램프 등을 들 수 있다(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가스 방전 램프」의 예가 개시되어 있음).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종전의 방전 램프(1)의 경우, 한 쌍의 마운트부(2)를 삽입하여 발광관(3)의 양단을 핀치 시일 방식으로 봉지한 후, 열 처리 등의 불순물 제거 공정을 거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내부 공간(4)에 연통하도록 발광관(3)에 부착되어 있던 배기관(5)을 통하여 배기한다. 그 후, 상기 내부 공간(4)에 필요한 봉입물을 넣고, 내부 공간(4)을 부압 상태로 하고 나서 배기관(5)을 가열·용융하여 내부 공간(4)을 봉지함과 함께 배기관(5)을 제거하여 방전 램프(1)가 형성된다.
또한, 방전 램프와 같이 발광관의 내부 공간에서 한 쌍의 전극간에서 방전을 발생시켜 수은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는 것이나, 발광 금속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는 것, 또는 점등 중에 발광관 내면이 흑화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할로겐화물을 내부 공간에 봉입하는 경우는,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하기 전에 필요한 봉입물을 내부 공간에 넣을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0-306547호 공보
종전의 가스 함유 램프(1)의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4)을 봉지한 후에 기밀 가공 흔적인 「칩부(6)」가 발광관(3)에서의 내부 공간(4)을 면하는 표면에 형성된다. 이 칩부(6)는 발광관(3)에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되는 곳이 되는 점에서 강도적으로 가장 약하고, 또한 램프(1)를 발광시켰을 때 700 ℃ 내지 900 ℃ 정도까지 온도가 상승하여 발광관(3)의 재료인 석영 유리(SiO2)의 구조 파괴가 진행되는 점에서, 상기 칩부(6)부터 발광관(3)이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로 말하면, 램프(1)의 종류에 따라 칩부(6)가 파장 200 ㎚ 이하의 자외선을 받는 경우에는, 석영 유리의 구조 파괴의 진행이 보다 현저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칩부(6)는 전극 등의 발광부가 설치된 내부 공간(4)을 면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점에서, 램프(1)로부터 방사되는 광선이 상기 칩부(6)에 막혀, 램프(1)가 비추는 조사 대상에서 조도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발광관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조도 불균일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기밀된 내부 공간, 및 적어도 1 개의 봉지부를 갖는 발광관을 구비하는 램프의 봉지 구조로서,
상기 봉지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의 외측단에는 상기 연통 구멍을 폐색하는 칩부가 형성되어 있는 램프의 봉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기밀된 내부 공간, 및 적어도 1 개의 봉지부를 갖는 발광관을 구비하는 램프의 봉지 구조로서,
상기 봉지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관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의 외측단에는 상기 배기관을 폐색하는 칩부가 형성되어 있는 램프의 봉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어느 봉지 구조를 구비하는 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발광관에서의 적어도 1 개의 단부를 봉지하여 상기 발광관 내에 기밀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으로서,
상기 단부를 봉지하여 상기 발광관에 봉지부를 형성할 때,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외측단에 배기관을 부착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배기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봉입물의 봉입을 행하고,
상기 배기관의 근원을 가열 용융하여 상기 연통 구멍을 폐색하는 칩부를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발광관에서의 적어도 1 개의 단부를 봉지하여 상기 발광관 내에 기밀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으로서,
상기 단부에 배기관을 삽입 설치한 상태로 상기 단부를 봉지하여 봉지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봉지부에 매설된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통하는 상태로 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배기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봉입물의 봉입을 행하며,
상기 봉지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배기관을 가열 용융하여 상기 배기관을 폐색하는 칩부를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램프의 봉지 구조 및 봉지 방법에 의하면, 발광관의 내부 공간을 봉지 폐색시키는 칩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된, 봉지부의 외측단에 형성된다. 봉지부의 외측단은 램프가 발광중이어도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300 ℃ 이하)인 점에서, 램프의 발광 중에 석영 유리의 구조 파괴가 진행되어 칩부부터 발광관이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봉지부의 외측단에 형성된 칩부는 발광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닿기 어려운 점에서, 램프의 종류에 따라 파장 200 ㎚ 이하의 자외선이 방사되는 경우에도 석영 유리의 구조 파괴의 진행이 현저해지지 않는다.
또한, 발광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칩부에 닿기 어려운 점에서,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선이 상기 칩부에 막혀, 램프가 비추는 조사 대상에서 조도 불균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램프(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램프(10)의 제조 수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램프(10)의 제조 수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램프(10)의 제조 수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램프(10)의 제조 수순에서 발광관(12)의 단부를 핀치 시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램프(10)의 제조 수순에서 발광관(12)의 단부를 핀치 시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램프(10)의 제조 수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의 제조 수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의 제조 수순에서 발광관(12)의 단부를 핀치 시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의 제조 수순에서 발광관(12)의 단부를 핀치 시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변형예 2에 관한 램프(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변형예 2에 관한 램프(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할로겐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의 가스 함유 램프(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의 가스 함유 램프(1)의 제조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램프(10)의 구조)
본 발명이 적용된 일례에 관한 램프(10)의 구조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램프(10)는 방전 램프로, 대략 발광관(12), 한 쌍의 전극(14), 한 쌍의 박(16), 및 한 쌍의 리드봉(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관(12)은 예를 들어 석영 유리로 형성되어 있고, 발광부(20)와, 상기 발광부(20)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봉지부(22)를 갖고 있다. 발광부(20) 내에는 한 쌍의 봉지부(22)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20)의 내부 공간(24)에는 소정량의 수은(25) 및 할로겐(요오드, 브롬, 또는 요오드와 브롬의 혼합물)이 봉입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14)은 텅스텐으로 형성된 대략 봉 형상의 부재로, 각각의 일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내부 공간(2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전극(14)의 타단은 각 봉지부(22)에 매설된 몰리브덴제의 각 박(16)의 일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리드봉(18)은 몰리브덴으로 형성된 대략 봉 형상의 부재로, 각각의 일단이 각 박(16)의 타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리드봉(18)에서의 각각의 타단은 각 봉지부(22)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봉지부(2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일방의 봉지부(22)에는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26)의 외측단, 즉 연통 구멍(26)이 형성된 봉지부(22)의 외측단에는 상기 연통 구멍(26)을 폐색하는 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칩부(28)에 의해, 연통 구멍(26) 및 내부 공간(24)이 외부로부터 기밀되어 있다.
(램프(10)의 제조 수순)
다음에, 상술한 램프(10)의 제조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지 전의 발광관(12)을 준비한다. 또한, 박(16)에 전극(14) 및 리드봉(18)을 각각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부착하여 한 쌍의 마운트부(30)를 구성해 둔다.
그 후, 발광관(12)의 단부에 대하여 전극(14)으로부터 마운트부(30)를 삽입해 가고, 상기 마운트부(30)를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하면서 발광관(12)의 일방의 (마운트부(30)를 삽입한 측의) 단부를 핀치 시일함으로써 봉지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봉지부(22)가 형성된다.
다음에, 타방의 마운트부(30)를 발광관(12)의 타방의 단부에 삽입해 가고, 상기 타방의 단부를 핀치 시일한다. 이에 의해, 발광관(12)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내부 공간(24)이 형성된다. 이 때, 완전히 봉지하는 것이 아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26)이 형성되도록 발광관(12)의 타방의 단부를 봉지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관(12)의 단부를 억압하여 봉지하는 억압면(52)의 일부에 오목부(54)가 형성된 핀치 부재(50)를 이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연통 구멍(26)을 갖는 봉지부(22)를 먼저 형성해도 되고, 한 쌍의 봉지부(22)를 거의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구멍(26)의 형성 위치는 봉지부(22)의 폭 방향(발광관(12)의 직경 방향(= 도 2 중의 상하 방향))에서의 어떤 위치에 형성해도 되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지부(22)의 폭 방향의 단부(발광관(12)의 직경 방향의 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 애초 봉지부(22)의 폭 방향의 단부는 발광관(12)의 두꺼운 두께 문제로 기밀이 어려운 부분인 점에서, 반대로 연통 구멍(26)을 형성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한 점, 또한 만약 봉지부(22)의 폭 방향의 중앙부 근처에 연통 구멍(26)을 형성하면 봉지부(22)의 폭 방향의 단부의 기밀이 더욱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연통 구멍(26)이 형성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구멍(26)의 외측단(발광관(12)에서의 봉지부(22)의 단)에 파이프 형상의 배기관(60)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이 배기관(60)을 통하여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로부터의 배기 및 상기 내부 공간(24)으로의 봉입물의 봉입을 행한다. 이 봉입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은(25) 및 할로겐(요오드, 브롬, 또는 요오드와 브롬의 혼합물)을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램프(1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봉입물이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60)의 근원을 가열 용융하여 연통 구멍(26)을 폐색하는 칩부(28)을 형성한다. 이 칩부(28)는 연통 구멍(26)의 외측단, 즉 연통 구멍(26)이 형성된 봉지부(22)의 외측단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통 구멍(26) 및 내부 공간(24)이 외부로부터 기밀되어 램프(10)가 완성된다.
램프(10)에 설치된 한 쌍의 리드봉(18)에 소정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발광부 (20)의 내부 공간(24)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14) 간에서 개시된 글로우 방전이 아크 방전으로 이행하고, 이 아크에 의해 증발 및 여기된 수은(25)에 의해 광(주로 자외선)이 방사된다.
(램프(10)의 특징)
본 발명이 적용된 램프(10)의 봉지 구조 및 봉지 방법에 의하면,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을 봉지 폐색시키는 칩부(28)가 상기 내부 공간(24)으로부터 이격 된, 봉지부(22)의 외측단에 형성된다. 봉지부(22)의 외측단은 램프(10)가 발광중이어도 비교적 저온(예를 들어, 300 ℃ 이하)인 점에서, 램프(10)의 발광 중에 석영 유리의 구조 파괴가 진행되어 칩부(28)부터 발광관(12)이 파손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봉지부(22)의 외측단에 형성된 칩부(28)는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닿기 어려운 점에서, 램프(10)의 종류에 따라 파장 200 ㎚ 이하의 자외선이 방사되는 경우에도 석영 유리의 구조 파괴의 진행이 현저해지지 않는다.
또한,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칩부(28)에 닿기 어려운 점에서, 램프(10)로부터 방사되는 광선이 상기 칩부(28)에 막혀 램프(10)가 비추는 조사 대상에서 조도 불균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1)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10)에서는 적어도 일방의 봉지부(22)에 연통 구멍(26)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 구멍(26)의 외측단에 배기관(60)을 접속하도록 이루어져 있었지만, 이를 변경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의 봉지부(22)에 배기관(60)을 매설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배기관(60)의 재질로서 발광관(12)과 동일한 석영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 램프(10)의 설명을 원용하여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에서의 적어도 1 개의 봉지부(22)에는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관(60)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60)의 외측단(즉, 봉지부(22)의 외측단)에는 배기관(60)을 폐색하는 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변형예 1에 관한 램프(10)의 제조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조 수순의 설명에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10)와 동일한 수순에 대해서는 동 램프(10)의 설명을 원용하고, 상이한 수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적어도 1 개의 봉지부(22)를 형성할 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트부(30) 및 배기관(60)을 발광관(12)의 단부에 삽입해 가고, 상기 단부를 핀치 시일한다. 이에 의해, 봉지부(22)에 매설된 배기관(60)을 통하여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과 외부가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그 후, 배기관(60)을 통하여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로부터의 배기 및 상기 내부 공간(24)으로의 봉입물의 봉입을 행한다. 이 봉입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은(25) 및 할로겐(요오드, 브롬 또는 요오드와 브롬의 혼합물)을 생각할 수있다. 물론 램프(1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봉입물이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배기관(60)을 봉지부(22)의 외측단의 위치에서 가열 용융하여 상기 배기관(60)을 폐색하는 칩부(28)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배기관(60) 및 내부 공간(24)이 외부로부터 기밀되어 램프(10)가 완성된다(도 9 및 도 10을 참조).
(변형예 2)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10)(연통 구멍(26)을 갖는 램프(10))의 경우에서 상기 램프(10)의 제조 완료 후, 또한 연통 구멍(26)을 외부로부터 가열하여 상기 연통 구멍(26)을 폐색해도 된다. 이에 의해, 램프(10)의 봉입물(예를 들어 수은이나 할로겐화물)이 비교적 저온인 연통 구멍(26) 내에 모여, 램프(10)의 발광량이 저하되거나 할로겐 사이클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통 구멍(26)의 폐색 방법으로서 연통 구멍(26) 전체를 막아도 되고(도 14를 참조), 연통 구멍(26)에서의 발광관(12)의 내부 공간(24)에 가까운 쪽의 단부만을 막아도 된다(도 15를 참조).
(변형예 3)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램프(10)로서 방전 램프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램프(10)는 방전 램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할로겐 램프이어도 되고, 편전극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나 무전극 방전 램프이어도 된다. 추가로 말하면,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이어도 된다. 즉, 전극의 유무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봉지부를 갖고 있고, 또한 봉지된 내부 공간에 가스체를 봉입하는 램프이면 본건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봉지부(22)가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반대로 한 쌍의 봉지부(22)의 양쪽에 연통 구멍(26) 및 칩부(28)를 형성하고, 또는 배기관(60)을 매설하고 또한 칩부(28)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마운트부(30)(전극(14), 박(16), 및 리드봉(18))은 필수의 구성 요소는 아니다.
또한, 발광관(12)(특히 발광부(20))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단면 원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단면 타원 형상이어도 되고,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램프 12: 발광관
14: 전극 16: 박
18: 리드봉 20: 발광부
22: 봉지부 24: 내부 공간
25: 수은 26: 연통 구멍
28: 칩부 30: 마운트부
50: 핀치 부재 52: 억압면
54: 오목부 60: 배기관

Claims (5)

  1. 기밀된 내부 공간, 및 적어도 1 개의 봉지부를 갖는 발광관을 구비하는 램프의 봉지 구조로서,
    상기 봉지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통 구멍의 외측단에는 상기 연통 구멍을 폐색하는 칩부가 형성되어 있는, 램프의 봉지 구조.
  2. 기밀된 내부 공간, 및 적어도 1 개의 봉지부를 갖는 발광관을 구비한 램프의 봉지 구조로서,
    상기 봉지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관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의 외측단에는 상기 배기관을 폐색하는 칩부가 형성되어 있는, 램프의 봉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봉지 구조를 구비하는 램프.
  4. 발광관에서의 적어도 1 개의 단부를 봉지하여 상기 발광관 내에 기밀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으로서,
    상기 단부를 봉지하여 상기 발광관에 봉지부를 형성할 때,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 구멍의 외측단에 배기관을 부착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배기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봉입물의 봉입을 행하며,
    상기 배기관의 근원을 가열 용융하여 상기 연통 구멍을 폐색하는 칩부를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
  5. 발광관에서의 적어도 1 개의 단부를 봉지하여 상기 발광관 내에 기밀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으로서,
    상기 단부에 배기관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단부를 봉지하여 봉지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봉지부에 매설된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상태로 하고,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배기 및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봉입물의 봉입을 행하며,
    상기 봉지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배기관을 가열 용융하여 상기 배기관을 폐색하는 칩부를 형성하는, 램프의 봉지 방법.
KR1020210116180A 2020-10-06 2021-09-01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 KR202200458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9345A JP2022061375A (ja) 2020-10-06 2020-10-06 ランプの封止構造、ランプ、およびランプの封止方法
JPJP-P-2020-169345 2020-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90A true KR20220045890A (ko) 2022-04-13

Family

ID=8119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180A KR20220045890A (ko) 2020-10-06 2021-09-01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61375A (ko)
KR (1) KR20220045890A (ko)
CN (1) CN114388342A (ko)
TW (1) TW2022154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547A (ja) 1999-04-07 2000-11-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ガス放電ラ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547A (ja) 1999-04-07 2000-11-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ガス放電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88342A (zh) 2022-04-22
TW202215489A (zh) 2022-04-16
JP2022061375A (ja)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583B1 (ko) 고압 방전 램프
JP5232007B2 (ja) 亀裂制御改良型高輝度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596735B1 (en) Arc tube with a starting source
JP4681668B2 (ja) 箔シールランプ
EP2221851B1 (en) Discharge lamp
KR100799300B1 (ko) 고압 방전등 및 그 시동방법
JP2001266798A (ja) 高圧放電灯
US7438620B2 (en) Arc tube of discharge lamp having electrode assemblies receiving vacuum heat treat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arc tube
JP5167955B2 (ja) キセノンランプ
KR20220045890A (ko) 램프의 봉지 구조, 램프, 및 램프의 봉지 방법
US20100295448A1 (en) Vehicle discharge lamp
JP6120182B2 (ja) 両端封止型ショートアークフラッシュランプ
US8174193B2 (en) Vehicular discharge lamp
JP3789279B2 (ja) 高圧放電灯
JP2019061817A (ja) 放電ランプ
JP2012146578A (ja) 車両用放電バルブ
JP2011159543A (ja) 車輌用放電灯
JP2004063158A (ja) 放電バルブ
JP2019175746A (ja) 放電ランプ
WO2017006541A1 (ja) 閃光放電管および閃光放電管を備える発光装置
JPH0574420A (ja) 金属蒸気放電灯
KR101044496B1 (ko) 쇼트 아크형 방전 램프와 그 제조 방법
JPH08250064A (ja) 放電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148681A1 (ja) 放電灯、放電灯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92816A (ja) 二重ラン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