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873A -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73A
KR20220045873A KR1020200164138A KR20200164138A KR20220045873A KR 20220045873 A KR20220045873 A KR 20220045873A KR 1020200164138 A KR1020200164138 A KR 1020200164138A KR 20200164138 A KR20200164138 A KR 20200164138A KR 20220045873 A KR20220045873 A KR 2022004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instructor
cpr training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108B1 (ko
Inventor
권예람
이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랩
Priority to PCT/KR2020/0172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75524A1/ko
Publication of KR2022004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ll stud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the same information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arket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데이터 전송 경로(data transmission path)를 통신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실시간 피드백(real-time feedback)이 가능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수집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1차 데이터(primary data)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1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피드백 또는 훈련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 서버를 이용하여 강사 단말(instructor terminal)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PR Training}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원격 교육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원격으로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CPR 훈련은 이론 습득 과정 및 술기 훈련(skill training) 과정을 포함하며, 교육생은 이론 교육에서 술기 훈련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한의 지식만을 학습하고, 직접 술기 훈련을 반복하며 CPR 능력을 체득한다. 이 때, 강사가 교육생의 CPR 수행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CPR 훈련 장치에 의한 실시간 평가가 제공됨으로써 교육생의 술기 훈련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한편, CPR 훈련 장치는 술기 수행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이 제공되는 마네킹 등 술기 측정 및 피드백 제공 장치일 수 있다.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기술 분야의 종래 기술은 대부분 교육생이 단독으로 훈련용 마네킹을 이용하여 훈련을 진행하거나 화상회의 플랫폼을 단순히 이용하여 강사와 소통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강사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 없이 교육생이 온라인 동영상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시청한 이후 단독으로 훈련을 진행하는 경우, 강사의 피드백 또는 평가를 의미하는 디브리핑(debriefing)이 제공되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훈련용 마네킹으로부터 교육생의 훈련 수행에 대한 자체적인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심폐소생술 습득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강사와의 화상 통화를 이용하여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진행하는 경우 화상 통화 시스템 자체의 한계로 인하여 교육생의 심폐소생술을 정확히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제공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실시간 피드백(real-time feedback) 등 교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방법의 제안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경로(data transmission path)를 분할함으로써 실시간 피드백(real-time feedback)이 가능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산출한 기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과 공유함으로써 심폐소생술 훈련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일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강사 단말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제공하는 데 다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수집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1차 데이터(primary data)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1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피드백 또는 훈련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 서버를 이용하여 강사 단말(instructor terminal)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소생률 점수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순위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영상 및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제공됨으로써, 강사가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원격지에서의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에 이용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각각 산출한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matching accuracy)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영상 및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의 기록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 및 해당 기록 시간이 종료된 이후 제공되는 훈련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요약 테이블 및 결과 그래프를 이용하여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표시되는 셀의 타입에 따른 강사 단말의 피드백 화면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훈련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기초로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는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각각의 요소를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소생률 점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표시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강사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사용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이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거리로부터 기준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을 수행하는 모습 및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최근 사용자(user)와 강사(instructor)가 직접 대면(face-to-face)하지 않고 원격지(remote site)에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경우, 유선통신(wired communication) 및 무선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실시간(real-time)으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데이터의 유형 및 통신 환경(communication environment)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data transmission path)를 다르게 결정함으로써 통신 지연(latency)을 감소시키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실시간 교육 환경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은 심폐소생술 훈련 분야에 한정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피지컬 피트니스(physical fitness)를 포함하는 원격 헬스케어 교육(remote health-care education) 및 임상 술기 시뮬레이션(clinical skill simulation)을 포함하는 원격 의료 교육(remote medical education)에도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발명의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에 이용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CPR training device, 100)는 센서(sensor, 102), 신호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 104),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06) 및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108)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unit, 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rechargeable battery)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지 않고 센서(102), 신호처리부(104) 및 통신부(106)만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센서(102)는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에 따른 거리(distance) 및 기압(air pressure)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로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02)는 적외선(IR) 영역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 센서(air pressure sensor)일 수 있으며, 로 데이터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데이터 또는 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센서는 예컨대 ToF 센서(Time of Flight sens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처리부(104)는 센서(102)로부터 생성된 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준 거리(base distance) 및 기준 기압(base air pressure)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1차 데이터(primary data)를 산출한다.
도 13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거리로부터 기준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신호처리부(104)는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수집한다(S1300). 신호처리부(104)는 측정 거리와 기준 거리의 크기를 비교한다(S1302). 센서(102)로부터 처음 측정된 거리를 과정 S1302에 따라 기준 거리와 비교하는 경우, 기준 거리는 기 설정된 초기값을 의미하며, 기준 거리의 초기값은 실시 형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04)는 측정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값이 큰 경우 기준 거리 값을 현재 측정된 거리의 값으로 갱신한다(S1304). 신호처리부(104)는 측정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값이 작은 경우 거리 버퍼(distance buffer)에 측정 거리를 추가한다(S1306). 이 때, 거리 버퍼는 거리 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104)는 거리 버퍼에 저장된 측정 거리 값을 기초로, 최근 측정된 거리 값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 즉 측정된 거리 값이 변동되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8). 신호처리부(104)는 최근 측정된 거리값이 안정적이라고 판단할 경우, 기준 거리 값을 거리 버퍼 내에 추가된 측정 거리의 평균 값으로 갱신하고, 거리 버퍼를 비움으로써 초기화한다(S1310, S1312). 신호처리부(104)는 최근 측정된 거리값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도 13의 각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기준 거리를 산출한다. 한편, 신호처리부(10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과정에 따라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화(initialization)를 위한 기준 기압을 산출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04)가 기준 기압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도 13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인터페이스부(108)는 신호처리부(104)로부터 산출된 1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108)가 제공하는 피드백은, 예컨대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진동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을 수행하는 모습 및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를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훈련 수행 능력에 따라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다양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수행에 대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청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사용자의 유효 시행을 카운트하는 경우, 즉 사용자의 압박 및 이완에 따른 거리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소리의 형태로 현재 훈련 수행 상태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훈련 수행 상태에 관한 피드백은 사용자의 훈련 수행이 적절하다는 피드백 또는 적절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포함한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제공하는 청각 피드백의 형태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수행에 대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유효 시행을 카운트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준 횟수는 10 내지 20회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회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촉각 피드백은 기 설정된 강도(intensity)의 진동일 수 있다.
도 14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수행에 대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시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유효 시행을 연속적으로 카운트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는 10 내지 20회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 피드백은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미도시)로부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의 측면을 순환하는 형태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훈련 수행 능력에 대한 시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피드백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고취시키고 훈련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사용자가 독립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을 수행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훈련용 마네킹에 부착되는 훈련 키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6)는 센서(102)로부터 생성된 로 데이터 및 신호처리부(104)로부터 산출된 1차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06)는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일 수 있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10)은 BLE 모듈을 이용하여 페어링(pairing)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부(106)는 광대역 통신망(broadband network)을 이용하여 BaaS(Backend as a Service)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와 통신할 수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일 수 있다.
도 11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강사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사용자 단말 및 강사 단말이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통신부(106), 예컨대 USIM을 이용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경유함으로써, 강사 단말(128)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의 신호처리부(104)는 훈련 데이터 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110)을 경유하지 않고 복수의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복수의 강사 단말(128) 간에 빠르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해지며,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및 평가 효율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통신부(106), 예컨대 USIM을 이용하여 광대역 통신망을 경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8)과 웹 인터페이스(web interface)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8)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도 통신부(106)가 포함하는 BLE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페어링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manikin)에 부착 가능한 장치 또는 독립적으로 심폐소생술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110)은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12), 제어부(control unit, 114), 데이터 저장부(data storage unit, 116), 영상 데이터 수집부(video data collecting unit, 118) 및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12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 영상 데이터 수집부(118)가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세를 판단하는 학습부(learn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학습부는 텐서플로우(TensorFlow), 케라스(Keras) 또는 파이토치(PyTorch)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세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학습부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자세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112)는 제1 서버(122), 제2 서버(124) 또는 제3 서버(126)를 이용하여 강사 단말(128)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112)는 이더넷(ethernet) 등의 유선통신(wire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제어부(114)는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압박 데이터(compression data) 또는 호흡 데이터(ventilation data) 및 압박 중지 시간을 포함하는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를 산출한다. 실제 심폐소생술 수행 과정에서 흉부 압박이 중단되는 경우, 혈류가 멈추고 관상동맥 관류압(coronary perfusion pressure)이 급격히 저하되어 환자의 소생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한다. 흉부 압박이 중단되는 압박 중지(compression pause) 시간은 제세동기(defibrillator)의 사용 또는 전문 기도유지 기구(supraglottic airway device)의 삽입 등 특정한 중재술(intervention)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심폐소생술 1세트 당 최대 10초 이내로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제어부(114)는 사용자가 압박 및 이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 지표로써, 1세트의 압박 및 호흡 훈련시간을 의미하는 단일 세트 시간 중에서 사용자가 인공호흡을 준비하거나 실시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압박 중지 시간을 산출한다. 사용자 단말 제어부(114)는 산출된 압박 중지 시간이 지나치게 긴 경우 사용자 단말 인터페이스부(108)를 이용하여 압박 및 이완을 계속해서 수행하도록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압박 데이터는 압박 위치(compression position), 압박 깊이(compression depth), 이완(recoil) 여부, 압박 속도(compression rate), 압박 횟수(number of compression) 및 압박 시간(compression time)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흡 데이터(ventilation data)는 인공 호흡 횟수(number of ventilation), 인공 호흡량(artificial ventilation quantity) 및 호흡 시간(ventilation time)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제어부(114)는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심폐소생술 훈련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피드백 데이터(user feedback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데이터 저장부(116)는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사용자 단말 제어부(114)의 처리에 따른 압박 데이터 또는 호흡 데이터, 강사 단말(128)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데이터 저장부(116)는 장치 내에서 모듈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DAS(Direct Attached Storage), NAS(Network Attach Storage), SAN(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개별적인 기억장치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영상 데이터 수집부(118)는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카메라 및/또는 마이크는 사용자 단말(110)에 장착되거나 외부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영상 데이터 수집부(118)에 사용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훈련하는 사용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은 사용자 단말 데이터 저장부(116)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112)를 이용하여 강사 단말(128)에게 전송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을 훈련하는 사용자의 영상은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112)를 이용하여 제3서버(126), 예컨대 미디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강사 단말(128)이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제3서버(126)에 접근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다운로드하고, 강사가 심폐소생술 훈련을 평가함으로써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이 비동기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인터페이스부(108)는 사용자 단말 제어부(114)가 산출한 데이터 또는 강사 단말(128)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또는 진동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강사 단말(128)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각각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개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및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복수의 강사 단말(128)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강사 단말(128) 이외에도 강사 단말(128)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기관 단말(agency terminal, 미도시)이 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관 단말(미도시) 또는 강사 단말(128)이 최상위 제어 권한을 가지고 사용자 단말(11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기관 단말(미도시) 및 강사 단말(128)로부터 복수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서버 내지 제3 서버(122 내지 126)는 사용자 단말 또는 강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 또는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서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구분된다.
제1 서버(122)는 숫자, 텍스트, 저화질의 이미지 등 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이용되는 서버로서, 예컨대 BaaS(Backend as a Service: 서비스형 백엔드)와 같은 PaaS(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형 플랫폼)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BaaS는 단기 저장이 가능하기에 단말 간에 지속적인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허브(hub)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 서버(122)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훈련 데이터를 강사 단말(128)에게 전송할 수 있고, 강사 단말(128)은 디브리핑 데이터(debriefing data) 또는 사용자 단말 제어 데이터(user terminal controlling data)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제어 데이터는 강사 단말(128)이 원격지로부터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가 단독으로 심폐소생술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의 세션 설정(session settings), 예컨대 훈련 세션 진행시간, CPR 가이드라인, 환자 타입 및 점수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한 강사 설정(instructor settings)에 따라 통일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제1 서버(122)를 제공하는 네트워크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강사 단말(128) 또는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적으로 저용량 데이터를 압축 패킷으로 송신하거나 대용량 데이터를 저용량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대용량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저용량 데이터의 형태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서버(124)는 사용자 단말(110)과 강사 단말(128)이 P2P(Peer-To-Peer)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서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2P 통신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 간에 별도의 플러그인의 도움 없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2P 통신 채널은 휘발성(volatile)을 갖기에 실시간(real-time) 정보교환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주로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버(124)는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서버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은 강사 단말(128)과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음성 또는 파일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서버(124)는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RFC 5766) 서버일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의 한계로 인하여 P2P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인터넷 상에서 중계 서버(Relay Server)의 역할을 수행하는 TURN 서버를 이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강사 단말(128)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3 서버(126)는 강사 단말(128)이 강사 영상 데이터 및/또는 강사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하는 경우 사용되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로서, 미디어 서버는 대용량 데이터를 취급하기에 강사 영상 데이터 및/또는 강사 음성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강사 단말(128)의 메모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강사 영상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강사의 음성만을 포함하는 데이터 또는 강사의 음성 및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강사 단말(instructor terminal, 128)은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30), 제어부(control unit, 132), 데이터 저장부(data storage unit, 134), 및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136)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강사 단말(1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강사 단말(128)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강사 단말(128)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강사 영상을 수집하는 강사 단말의 영상 데이터 수집부(video data collect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사 단말의 통신부(130)는 제1 서버(122) 내지 제3 서버(126)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112)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훈련 데이터를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강사 피드백 데이터(instructor feedback data)를 생성하고, 심폐소생술 훈련 또는 테스트가 종료되는 시점에 디브리핑 데이터(debriefing data)를 생성한다. 강사 피드백 데이터는 CPR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 중 발생하는 압박, 이완 및 호흡을 포함하는 모든 행위의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강사 피드백 데이터는 개별적인 압박 및 이완 수행에 대한 수준 판정, 인공 호흡 수행에 대한 수준 판정, 및 압박 또는 인공 호흡 진행 시간에 대한 판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디브리핑 데이터는 강사 피드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수행에 대한 종합적 정량 지표 또는 가이드라인을 의미한다. 예컨대, 세션 수행 주기의 적정 여부 평가를 위한 기준에 관한 주요 지표 통계, 세션 수행 점수, 세션 평가를 위한 기준 그래프, 세션 수행 에 대한 종합 점수, 종합 그래프 및 점수 향상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CPR 가이드라인이란 AHA(American Heart Association: 미국 심장협회), ERC(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유럽심폐소생협회), ARC(Australian Resuscitation Council), SRFAC(Singapore Resuscitation and First Aid Council) 및 KACPR(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대한심폐소생협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CPR 가이드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강사 피드백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 판단 데이터(cycle determining data)는 압박 중지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새로운 압박이 감지된 경우 주기를 판단하는 데이터이다. 유효 압박횟수 데이터(effective compression counting data)는 기 설정된 범위의 압박 깊이, 압박 속도 및 이완 거리(recoil distance)에 부합하는 압박 데이터를 유효압박으로 카운트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압박 깊이 분류 데이터(compression depth classifying data)는 CPR 가이드라인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설정하고, 압박 데이터를 기 설정된 범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컨대, 압박 데이터는 압박 깊이에 따라 강(strong), 중(good), 약(weak)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박 데이터는 앞박 깊이에 따라 적정(good) 또는 약(week)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압박속도 분류 데이터(compression rate classifying data)는 CPR 가이드라인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설정하고, 압박 데이터를 기 설정된 범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컨대, 압박 데이터는 압박속도에 따라 빠름(fast), 적정(adequate), 느림(slow)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완 판단 데이터(recoil determining data)는 CPR 과정에서 이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압박 동작 이후 거리 센서(distance sensor)의 위치가 최대 압박 깊이(maximum compression depth)로부터 기 설정된 수치만큼 상승한 경우, 흉부가 이완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이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 설정된 수치는 9 내지 11 mm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CPR 가이드라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압박 위치 판단 데이터(compression position determining data)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범위의 위치를 압박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범위를 압박하는 경우 참(true) 값을 출력하고 압박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거짓(false)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유효 호흡횟수 데이터(effective ventilation counting data)는 사용자의 인공 호흡(artificial ventilation)에 따른 압력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서 적정 수준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각각의 호흡 데이터를 유효 호흡으로 카운트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효 호흡횟수 데이터는 사용자의 인공 호흡에 따른 압력 및 인공 호흡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각각의 호흡 데이터를 유효 호흡으로 카운트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인공 호흡에 따른 압력 및 사용자의 인공 호흡 시간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해당 호흡 데이터가 유효 호흡데이터로 카운트된다. 유효 호흡시간 데이터(effective ventilation time data)는 CPR 가이드라인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에 대하여 인공 호흡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호흡량 분류 데이터(ventilation quantity classifying data)는 CPR 가이드라인으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설정하고, 호흡 데이터를 기 설정된 범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예컨대, 호흡 데이터는 호흡량에 따라 강(strong), 중(medium), 약(weak)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인공 호흡량이 적정한 경우, 즉 호흡 데이터가 중(medium) 데이터로 분류되는 경우 해당 호흡 데이터가 유효 호흡으로 카운트될 수 있다.
강사 단말 데이터 저장부(134)는 강사 영상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강사 단말 데이터 저장부(134)는 장치 내에서 모듈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DAS(Direct Attached Storage), NAS(Network Attach Storage), SAN(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개별적인 기억장치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강사 단말 인터페이스부(108)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강사 단말 제어부(132)가 산출한 데이터를 기초로 강사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또는 진동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 사용자 단말(110) 및 강사 단말(128)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이 동기식(synchronous)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은 동기식이 아닌 비동기식(asynchronous)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10)이 훈련 데이터 및 훈련 결과를 산출하여 제1서버(122)에 업로드한 이후, 강사 단말(128)이 훈련 데이터 및 훈련 결과를 다운로드한다. 강사(instructor)가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수행 능력을 평가한 이후, 강사 단말(128)이 디브리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서버(122)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디브리핑 데이터를 전송한다.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비동기식으로 제공하는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제1서버(122)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동기식으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경우와 달리 데이터 전송 경로를 분할하지 않고도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언제든 원하는 시간에 심폐소생술 훈련을 수행할 수 있고,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강사로부터 정확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 영상 데이터 수집부(118)를 이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사용자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S200).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112)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로 데이터 및 1차 데이터를 수집한다(S202). 로 데이터 및 1차 데이터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로 데이터 및 1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드백 또는 훈련 데이터를 산출한다(S204). 사용자 피드백은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가공한 피드백 데이터를 의미하며, 훈련 데이터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200)를 경유하여 강사 단말(128)에 사용자데이터를 송신한다(S206).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은 저용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피드백 및 훈련 데이터는 제1 서버(122)를 이용하여 강사 단말(128)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대용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영상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음성 데이터는 제2 서버(124)를 이용하여 강사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영상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음성 데이터와 사용자 피드백 및/또는 훈련 데이터가 동시에 강사 단말(128)에 전송됨으로써 강사가 실시간으로 복수의 사용자의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200)를 경유하여 강사 단말(128)로부터 강사데이터를 수신한다(S208).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은 강사 피드백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 제어 데이터는 제1 서버(122)를 경유하여, 강사 영상 데이터 및/또는 강사 음성 데이터는 제3 서버(126)를 경유하여 강사 단말(128)로부터 수신한다. 이처럼 데이터의 유형 및 통신 환경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 경로를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과 복수의 강사 단말(128)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영상 및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강사 단말(128)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셀(cell) 또는 격자(grid) 형태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사용자로부터 산출된 복수의 강사 피드백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셀에 기 설정된 색깔의 테두리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로써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이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강사는 특정 사용자의 셀을 선택하여 해당 사용자의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영상 및 강사 피드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으로 실시간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영상 및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동시에 제공됨으로써, 강사가 보다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원격지에서의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의 기록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 및 해당 기록 시간이 종료된 이후 제공되는 훈련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강사 단말(128)이 센서(102)의 압박 및 기압 측정 시간을 의미하는 기록시간(logging time)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훈련을 시작하는 경우 센서(102)는 훈련 시작 시간으로부터 기록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압박 및 기압을 측정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로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로 데이터를 기초로 훈련 데이터를 산출하고, 강사 단말(128)은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강사 피드백 데이터를 산출한다. 도 5의 (b)는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훈련 중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강사 피드백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기록시간이 경과되어 훈련이 종료되는 경우, 강사 피드백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디브리핑 데이터가 수치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강사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록시간 동안의 평균적인 훈련 성취도를 점수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의 성취도를 정확히 평가하여 원격 심폐소생술 교육의 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요약 테이블 및 결과 그래프를 이용하여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요약 테이블 상에는 압박 결과, 호흡 결과 및 압박 중단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압박 결과는 압박 정확도, 압박 깊이, 이완 여부, 이완 판단 데이터, 유효 압박횟수 데이터, 압박 속도, 압박 시간 및 적정 압박정보 판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호흡 결과는 인공 호흡량, 호흡 정확도, 호흡 시간 및 적정 호흡정보 판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압박 중지(compression pause) 시간은 사용자가 훈련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압박을 수행하지 않은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압박 데이터, 호흡 데이터 및 압박 중단 시간은 전체 훈련 세션에 대한 평균값으로 표시될 수 있고, 각각의 훈련 세션에 대한 수치가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훈련 세션은 일정한 주기에 따라 구분된 각각의 심폐소생술 훈련을 의미한다. 한편, 결과 그래프 상에는 각각의 훈련 세션 별로 압박 결과 및 호흡 결과에 대한 수치가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7의 (a) 내지 (c)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강사 피드백 데이터가 표시되는 셀의 타입에 따른 강사 단말의 피드백 화면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소형 화면, 도 7의 (b)는 중형 화면, 도 7의 (c)는 대형 화면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각각의 화면은 포함하는 데이터의 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소형 화면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의 고유 ID, 강사 단말(128)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사용자의 셀 번호 및 사용자의 압박 또는 호흡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피드백을 포함한다. 중형 화면은 소형 화면 상의 데이터에 더하여 사용자 이름, 훈련 세션의 번호 및 막대 그래프 형태의 피드백을 포함한다. 대형 화면은 중형 화면 상의 데이터에 더하여 원형 그래프 형태의 피드백을 포함한다. 이처럼 원격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110)의 수에 따라 강사 단말(128)의 디스플레이가 포함하는 데이터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 환경에 대응하여 훈련 결과를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10)이 각각 산출한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matching accuracy)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10)은 무선 통신 모듈(wireless communication module)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은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일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10)가 각각의 장치에 포함된 BLE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페어링(pairing)된 상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BLE 통신 방식에 있어서, 별도의 페어링 절차 없이 송신 단말(transmitting terminal)이 애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전송하고 수신 단말(receiving terminal)이 패킷을 수신하는 애드버타이징 방식은 데이터 손실(data loss) 및 통신 지연(latency)의 위험이 크다. 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BLE 통신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10)이 인증 과정을 거쳐 페어링 된 이후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지연 및 데이터 손실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한다(S30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 데이터는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거리 또는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데이터를 산출한다(S302). 기준데이터는 도 13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산출된 기준 거리(base distance) 및 유사한 방식에 따라 산출된 기준 기압(base air pressure)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산출된 기준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한다(S304). 센서(102)를 이용하여 훈련 데이터를 산출하는 경우, 센서 자체의 특성 상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에, 기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계산함으로써 오차를 보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10)이 각각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는 종래 방식의 경우, 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점의 차이로 인하여 각각 산출된 기준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matching accuracy)를 보장할 수 없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고,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110)이 페어링 된 상태로 기준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 기준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은 방식으로 기준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10)에 기준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산출된 기준 거리 또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을 이용하여 산출된 기준 기압이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 단말(110)에 갱신된 기준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준 데이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10)에 로 데이터만을 일정한 주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는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산출한 기준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과 기준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기준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기준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의 순서는 실시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데이터를 산출한다(S306). 이처럼 사용자 단말(110)이 직접 기준 데이터를 산출하지 않고,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가 산출한 기준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와 사용자 단말(110) 간 기준 데이터의 일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는 산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진동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훈련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기초로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각각의 요소를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8 및 도 9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강사 단말(128)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훈련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강사 단말(128)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고, 소생률 점수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 간의 순위를 결정하여, 결정된 순위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 간의 경쟁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압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압박 당 심박출량을 산출하고, 호흡 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압박 시 산소포화도를 산출하여 압박 당 뇌 내 산소 공급량 및 뇌 내 산소농도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압박 당 뇌 내 산소 공급량을 소생률 점수(resuscitation rate point)로 지칭할 수 있다.
심박출량(cardiac output)은 인체의 심장 내 좌심실로부터 대동맥으로 방출되는 분당 혈액량을 의미하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 당 심박출량(cardiac output per compression)은 사용자의 압박 수행 능력에 대한 지표가 된다. 한편, 심박출량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mL/min 를 사용한다.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 중 사용자가 압박을 수행하는 경우 심장으로부터 혈액이 방출되는 것으로, 이완을 수행하는 경우 심장 내에 혈액이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1회의 압박 및 이완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21 내지 22 mL의 혈액이 순환되며, 1회의 압박 및 이완을 수행하는 경우 22 mL의 혈액이 순환되는 경우 압박 당 심박출량은 수학식 1을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Figure pat00002
는 압박 당 심박출량,
Figure pat00003
는 압박 수행 시 최대 압박 깊이(maximum compression depth),
Figure pat00004
은 이완 깊이(recoil depth), 즉 이완 수행 시 기준 거리(base distance)로부터 떨어진 길이를 의미하고, a 및 b는 기 설정된 상수로서,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a는 최대 점수에 해당하는 계수이며, b는 최대 압박 깊이와 이완 깊이의 차이 값을 1로 정규화하기 위한 압박 깊이 계수(compression depth coefficient)일 수 있다.
한편, 압박 속도(compression rate)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 이완을 통하여 심장 내에 혈액이 유입되기 위한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 않아 심박출량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압박 속도를 의미하는 CPM(Compression Per Minute: 분 당 압박)의 수치에 따라 심박출량 계수(cardiac output coefficient 또는 CPM Factor)가 감소하는 그래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CPM이 1부터 증가하는 경우 기 설정된 수치의 CPM까지는 심박출량 계수가 1로 유지되기에 심박출량이 비례하여 증가한다. 그러나 기 설정된 수치의 CPM을 초과하는 경우 심박출량 계수가 급격히 감소하기에 심박출량이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게 된다.
도 9의 (b)는 심박출량 계수를 기초로 보정된 압박 당 심박출량을 CPM의 수치에 따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수치의 CPM까지는 증가하는 압박 속도에 비례하여 심박출량이 증가하지만, 기 설정된 수치의 CPM을 초과하는 경우 심박출량이 오히려 감소하게 된다.
도 9의 (c)는 시간 지연에 따라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는 그래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산소포화도(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 SpO2)는 인체의 동맥혈 내에 포화된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산소포화도가 높을수록 심장근육 조직에 전달되는 산소량이 많아지고, 환자의 소생률이 높아지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는 심폐소생술 훈련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수학식 2를 기초로 시간 지연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Figure pat00005
이때, t는 시간 데이터를 의미하고, 1부터 차례로 증가하는 자연수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c는 시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감쇠하는 산소포화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상수이며,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심폐소생술 훈련 세션에서 사용자의 인공 호흡이 수행되는 경우, 산소의 공급으로 인하여 산소포화도가 증가하기에,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호흡데이터 및 시간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에 따른 SpO2(산소포화도 또는 산소농도)를 산출한다.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보정된 압박 당 심박출량 및 압박 시 산소포화도를 기초로 수학식 3에 따라 소생률 점수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6
이 때,
Figure pat00007
는 x번째 압박에 대한 심박출량,
Figure pat00008
는 x번째 압박이 시작되는 시점의 산소포화도,
Figure pat00009
은 1 내지 n번째 소생률 점수의 합계를 의미한다.
도 10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소생률 점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상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표시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훈련 세션 동안 심폐소생술을 수행함에 따라 소생률 점수가 누적되어 증가하고, 소생률 점수와 기 설정된 목표 점수의 비율에 따른 수치를 기초로 피드백이 제공된다.
강사 단말(128)이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진동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높은 소생률 점수를 기록한 사용자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높은 소생률 점수를 기록한 사용자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100)로부터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진동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강사 단말(128)이 시각 피드백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 간의 경쟁을 제공하는 경우 강사 단말(128) 또는 사용자 단말(110)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에 달성률(achievement rate), 즉 소생률 점수와 기 설정된 목표 점수의 비율에 따른 수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의 달성률이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있다.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10)의 달성률을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110) 간의 순위를 결정하고, 높은 순위의 달성률을 기록한 사용자 단말(110)의 순위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강사 단말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10)의 순위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의 달성률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간의 경쟁이 실시간으로 시각화 되고,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고취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심폐소생술 습득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과정 S200 내지 과정 S208, 과정 S300 내지 S306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 및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200 내지 과정 S208, 과정 S300 내지 S306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및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 또는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102: 센서
104: 신호처리부 106: 통신부
108: 인터페이스부 110: 사용자 단말
112: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 114: 사용자 단말 제어부
116: 사용자 단말 데이터 저장부 118: 사용자 단말 영상 데이터 수집부
120: 사용자 단말 인터페이스부 122: 제1 서버
124: 제2 서버 126: 제3 서버
128: 강사 단말 130: 강사 단말의 통신부
132: 강사 단말 제어부 134: 강사 단말 데이터 저장부
136: 강사 단말 인터페이스부 200: 서버

Claims (18)

  1.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1차 데이터(primary data)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1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피드백 데이터 또는 훈련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
    서버를 경유하여 하나 이상의 강사 단말(instructor terminal)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제1 서버를 경유하여 저용량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제2 서버를 경유하여 대용량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서버를 경유하여 저용량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서버를 경유하여 대용량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에게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제1 서버를 경유하여 저용량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및
    제2 서버를 경유하여 대용량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서버를 경유하여 저용량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제3 서버를 경유하여 대용량 강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량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피드백 데이터 또는 상기 훈련 데이터이고,
    상기 대용량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 영상 데이터이며,
    상기 저용량 강사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제어 데이터이고,
    상기 대용량 강사 데이터는, 강사 음성 데이터 또는 강사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데이터는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내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된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산출한 기준 거리(base distance) 및 기준 기압(base air pressure)에 관한 기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산출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기압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상기 기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로 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로부터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상기 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한 기준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로 데이터 및 상기 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상기 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은,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거리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측정 거리와 기준 거리를 비교하는 과정;
    상기 측정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거리를 상기 측정 거리의 값으로 갱신하는 과정;
    상기 측정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측정 거리를 거리 버퍼에 추가하고 최근 거리값이 안정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최근 거리값이 안정적인 경우, 상기 기준 거리를 상기 거리 버퍼의 평균 값으로 갱신하고 거리 버퍼를 초기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가 사용자에게 시각 피드백(visual feeback),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시각 피드백(visual feeback),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훈련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BLE 모듈(Bluetooth Low Energy module)을 이용하여 상기 심폐소생술 훈련장치와 서로 페어링(pairing) 된 상태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 데이터는 거리 센서(distance sensor)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 또는 대기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압박 깊이(compression depth), 이완 여부, 압박 속도(compression rate), 압박 횟수(number of compression) 및 압박 시간(compression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적외선 기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4.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훈련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
    상기 소생률 점수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순위를 기초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압박데이터를 이용하여 압박 당 심박출량을 산출하는 과정;
    호흡데이터 및 시간데이터를 기초로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압박 당 심박출량 및 상기 산소포화도를 이용하여 소생률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 피드백(auditory feedback), 진동을 이용한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 간의 경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각 피드백을 기초로 상기 경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소생률 점수와 기 설정된 목표 점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달성률을 산출하여 상기 소생률 점수의 누적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의 달성률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64138A 2020-10-06 2020-11-30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KR10242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7264 WO2022075524A1 (ko) 2020-10-06 2020-11-30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23 2020-10-06
KR20200128923 2020-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73A true KR20220045873A (ko) 2022-04-13
KR102421108B1 KR102421108B1 (ko) 2022-07-14

Family

ID=8121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138A KR102421108B1 (ko) 2020-10-06 2020-11-30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1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988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아이엠랩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6517545A (ja) * 2013-03-15 2016-06-16 アシ・ホールディング・カンパニー オンラインcprトレーニングおよび認証
KR101973139B1 (ko) * 2018-01-09 2019-04-26 주식회사 비티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7545A (ja) * 2013-03-15 2016-06-16 アシ・ホールディング・カンパニー オンラインcprトレーニングおよび認証
KR20150066988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아이엠랩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973139B1 (ko) * 2018-01-09 2019-04-26 주식회사 비티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108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18784B (zh) 用于检测神经生理状态的社交交互应用
KR101636759B1 (ko)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170368413A1 (en) Training system and methods for designing, monitoring and providing feedback of training
US9583025B2 (en) System, components and methodologies for training and testing on cardiac compressions
JP2016517545A (ja) オンラインcprトレーニングおよび認証
KR101532419B1 (ko) 개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용 키트, 심폐소생술 보조 시스템 및 심폐소생술 자가 실습 방법
CN11009748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云家校系统
CN117409629A (zh) 心肺复苏训练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740110B1 (ko)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20013347A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사용자 동작 인식을 이용한 체육 교육 관리 및 평가 시스템
KR102421108B1 (ko)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US10114807B2 (en) Automatically evaluating likely accuracy of event annotations in field data
WO2022075524A1 (ko)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45272B1 (ko)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반 다중접속 가능한 cpr 훈련용 흉부 압박장치
JP2004537343A (ja) 個人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554429B1 (ko)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US20230245593A1 (en) Client-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CN111479118A (zh)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015693A1 (en) Digitally coached spirometry system and method
KR20160054346A (ko) 심폐소생 실습시스템
JPWO2016136073A1 (ja) センサ装置、センシング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0048867A (ja) 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および装置
KR102437622B1 (ko)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CN110867117B (zh) Aed操作培训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KR20130014731A (ko) 마네킹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