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110B1 -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110B1
KR101740110B1 KR1020150013665A KR20150013665A KR101740110B1 KR 101740110 B1 KR101740110 B1 KR 101740110B1 KR 1020150013665 A KR1020150013665 A KR 1020150013665A KR 20150013665 A KR20150013665 A KR 20150013665A KR 101740110 B1 KR101740110 B1 KR 10174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etwork
information
train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805A (ko
Inventor
권예람
이성원
박신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랩
Priority to KR102015001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1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및 상기 센싱되는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고, 오브젝트의 일측에서 탈착 가능하다.

Description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NE-TO-MAN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MONG HETEROGENEOUS DEVICES}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및 테스트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이기종 모바일기기 지원이 가능한 네트워크 플랫폼 기반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북미, 유럽 등을 중심으로 하여 전세계적으로 심폐소생술과 관련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심폐소생술 교육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명의 교육자(trainer)와 다수의 훈련생(trainee)이 심폐소생술 관련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대다 훈련의 특성상 한 명의 교육자(trainer)가 다수의 훈련생(trainee)들에 대한 실습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어려워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질 수가 없다.
또한 다수의 훈련생(trainee)들은 교육자(trainer)에 의해 심폐소생술 관련 테스트를 받는데, 이 과정에서도 훈련생(trainee)들을 한 명의 교육자(trainer)가 관찰식으로 평가 후 이수증을 발급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제로 심폐소생술의 교육을 이수한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실제 상황에서 적절한 응급 대처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및 상기 센싱되는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고, 오브젝트의 일측에서 탈착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더미이고, 상기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상기 더미에 탈착 가능한 패치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상기 수신된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정보는 압박 깊이, 적정 압박 속도, 압박이완 여부, 압박 횟수, 적정 인공호흡량, 인공호흡 횟수, 압박에서 호흡으로 넘어가는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센싱된 제1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웹 서버로 업로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이기종의 통신 방식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2 단말에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캘리브레이션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2 단말 간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1 단말 간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제1 단말로부터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제2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상기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피드백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피드백에 대한 응답으로 새로운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피드백하고,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웹 서버로 업로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 동작 방법은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 동작 방법은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상기 수신된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 동작 방법은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이기종의 통신 방식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캘리브레이션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실시예에 따르면, 센서키트와 이와 연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네킨의 종류, 기기 제약 없이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일반 마네킨을 이용한 교육자와 훈련자 간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교육에서 교육자들의 흥미를 배가할 뿐만 아니라 정량적 평가 및 측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를 이용한 훈련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를 이용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제1 단말을 통해 테스트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통해 훈련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제2 단말 간 페어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제1 단말 간 페어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를 이용한 훈련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를 이용한 훈련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는 오브젝트(120)의 일측에서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훈련생(160, trainee)의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정보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자(140, trainer)는 훈련생(160, trainee)의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컨텐츠를 제1 단말(130)을 이용하여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는 수신된 컨텐츠를 제2 단말(150)로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는 제1 단말(130)과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과 제2 단말(150)과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는 제1 단말(130) 또는 제2 단말(150)과의 통신을 위해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는 제1 단말(130) 또는 제2 단말(150)과 이기종의 통신 방식을 통해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유한 개인용 디바이스(노트북, 휴대폰, 태블릿 등)의 운영체제 종류에 제약 없이, 교육자(140, trainer)와 훈련생(160, trainee)간 원활한 심폐소생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교육자(140, trainer)는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가 수집하는 센싱 정보를 통해 훈련생(160, trainee)의 훈련 과정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교육자(140, trainer)는 훈련생(160, trainee)에게 훈련 관련 피드백을 즉각 제공하거나, 특정 훈련을 반복하는 등, 교육 과정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는 수집된 훈련 결과를 인터넷 연결 가능 환경에서 웹 서버로 전송하여 전자 문서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를 이용하면, 한 명의 교육자(140, trainer)가 최대 7명의 훈련생(160, trainee)들의 실습행위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부정확한 실습 수준을 보이는 훈련생(160, trainee)의 상세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교육자(140, trainer)의 제1 단말(130)은 심폐소생 훈련 장치(110)로부터 개별 훈련생(160, trainee)들에 의해 센싱되는 흉부압박 정보, 예를 들어 압박 깊이, 압박 속도, 압박 위치, 압박 이완 여부, 압박 시간과, 인공호흡 정보, 예를 들어 호흡량, 호흡 속도, 호흡 시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교육자(140, trainer)의 제1 단말(130)에 의한 컨트롤에 따라, 훈련생(160, trainee)의 제2 단말(150)에서 명령을 지시함에 따라, 훈련생(160, trainee)의 제1 단말(150)을 시작, 종료, 정지시킬 수 있으며, 훈련생(160, trainee)의 훈련 수준을 고려하여 각 단계 별 반복학습, 이전 단계 학습, 다음 단계 학습을 지시할 수 있다. 훈련생(160, trainee)은 교육자의 지시를 받고 있는 제2 단말(150)의 가이드에 따라 훈련하고 피드백 받는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210)를 이용한 테스트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심폐소생 훈련 장치(210)는 교육자(240, trainer)의 제1 단말(230)과 일대다의 형태로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테스트가 가능하다.
즉, 한 명의 교육자(240, trainer)의 제1 단말(230)는 다수의 훈련생(250, trainee)과 훈련생(250, trainee) 앞에 놓인 심폐소생 훈련 장치(210)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각 훈련생(250, trainee)을 테스트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의 테스트를 위해, 오브젝트(220)의 스킨의 일측에 심폐소생 훈련 장치(210)를 부착한 후, 교육자(240, trainer)의 제1 단말(230)에서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심폐소생 훈련 장치(210)를 연동한다. 이후 테스트를 시작하게 되면, 각 테스트 단계 별로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하는 기준, 예를 들어 흉부 압박의 깊이, 속도, 압박 이완 여부, 압박 횟수, 인공호흡의 호흡량, 호흡 횟수, 압박에서 호흡으로 넘어가는 시간 등에 부합하여 해당 데이터들이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제1 단말(230)에서 시각화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230)은 최대 7명의 훈련생들에 상응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들과 연동하여 센싱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평가한다. 평가된 데이터는 웹 서버 등에 저장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210)를 이용하면,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을 위한 이기종 모바일기기 지원 네트워크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자와 훈련생의 단말과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교육자나 훈련생의 단말이 안드로이드 기반 인지 iOS기반 인지를 고려할 필요 없이 모두 호환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를 이용한 전체 시스템(3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체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330)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330)은 제1 단말(320)과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모듈간의 패킷 전송을 위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 즉 closed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이기종 컴퓨팅 디바이스 환경에 기반하여 교육자의 단말과 훈련생의 단말 간에 심폐소생술 교육 관련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는 교육자의 제1 단말(320) 또는 훈련생의 제2 단말(330)과 페어링을 각각 담당하는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두 사용자 간의 디바이스의 제약을 완화한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는 다양한 조합의 교육자-훈련생 디스플레이 환경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20)과 제2 단말(330)이 모두 모니터인 경우, 제1 단말(320)은 모니터이고, 제2 단말(330)은 태블릿인 경우, 제1 단말(320)은 모니터이고, 제2 단말(330)은 모바일인 경우, 제1 단말(320)은 태블릿이고, 제2 단말(330)은 모바일인 경우 등에 모두 호환될 수 있다.
교육자의 제1 단말(320)은 오브젝트, 예를 들어 마네킨에 부착된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와 훈련생의 제2 단말(330)의 내장 프로그램을 컨트롤할 수 있는 가장 상위 권한을 갖는다.
따라서 다수의 훈련생의 훈련 과정을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고 평가 데이터를 일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교육자의 제1 단말(320)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상황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훈련생의 수는 무선 네트워크 모듈의 동시 연결 수 제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 제1 단말(320), 및 제2 단말(330)이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교육자에 최대 7명의 동시 훈련생 단말 및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의 연결이 가능하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에 의한 훈련은 상호 작용이 가능한 다수 교육 툴로써, 교육자의 제1 단말(320)의 조작 명령어에 따라 훈련생의 제2 단말(330)를 통제하며 개별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훈련생은 심폐소생술의 순서에 맞는 콘텐츠를 개별 단말을 통해 제공받고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가 부착된 마네킨과 상호작용하며 훈련에 임할 수 있다. 교육자는 개별 훈련자의 데이터를 개별 마네킨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를 거쳐 교육자의 제1 단말(320)로 취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310)를 이용한 심폐소생술의 훈련은 연습모드와 실습모드로 나눌 수 있다. 연습모드는 다수 훈련생들의 동시 반복 훈련에 용이하며 실습모드는 심폐소생술의 전체 과정을 통해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제1 단말(320)에서 취합된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340)에 백업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제1 단말을 통해 테스트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는 센서(411)와 제1 네트워크 모듈(412)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411)는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센싱하고,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모듈(412)은 센싱되는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한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는 오브젝트의 일측에서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더미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더미에 탈착 가능한 패치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모듈(412)은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420)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훈련생은 테스트 시나리오에 따라 더미에 심폐소생술을 가할 수 있다. 이때의 센서(411)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수신된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 즉 훈련생의 심폐소생술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정보는 압박 깊이, 적정 압박 속도, 압박이완 여부, 압박 횟수, 적정 인공호흡량, 인공호흡 횟수, 압박에서 호흡으로 넘어가는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모듈(412)은 센싱된 제1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420)로 송신하고, 제1 정보는 제1 단말(420)에 의해 웹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 평가는 반복되는 훈련을 거친 훈련생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한 모드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이 완료되는 공인인증기관(미국심장재단, 유럽 국제 소생협의회, 국제 적십자사 등) 기준에 따른 평가가 수반되며 해당 기준에 따라 테스트를 실시하였을 경우 인증서가 발급된다. 일반적으로는 교육자가 다수 훈련생의 실습 내용을 육안으로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나,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를 이용하는 경우, 훈련생의 평가 내용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다.
심폐소생술 평가는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다수 평가 단계에서 적용되므로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와 교육자의 제1 단말(420) 간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의 제1 네트워크 모듈(412)과 제1 단말(420)의 네트워크 모듈(424) 간에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테스트를 위해서는 평가에 참여하는 교육자의 제1 단말(420)과 마네킨에 부착된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 간에만 설정된다.
이후 과정은 심폐소생술의 시나리오에 따라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와 훈련생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진행된다. 훈련생 인증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킹 시작코드를 서로 주고 받은 후, 심폐소생 훈련 장치(410)와 교육자 제1 단말(420) 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테스트 결과는 제1 단말(420)의 e-Document Maker(423)를 거쳐 전자 문서화되며 인터넷 연결이 될 때 웹 서버로 전송 및 열람이 가능하다. 제1 단말(420)은 이 밖에도 데이터 분석을 위한 Data Analyzer(422)와 데이터 표시를 Display Manager(4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510)와 제1 단말(520) 및 제2 단말(530)을 통해 훈련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510)는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530)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심폐소생 훈련 장치(510)의 제2 네트워크 모듈(513)과 제2 단말(530)의 네트워크 모듈(534) 간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모듈(513)은 제2 단말(530)에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캘리브레이션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고, 제2 단말(530)로부터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캘리브레이션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2 단말(530)은 데이터 분석을 위한 Data Analyzer(533), 사용자와 마네킨 간 연결을 지원하는 User-Mannequin Linker(532), UI Manager(531)를 포함한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510)는 제2 단말(530)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제1 단말(520)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제1 네트워크 모듈(512)은 제1 단말(5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심폐소생 훈련 장치(510)의 제1 네트워크 모듈(512)과 제1 단말(520)의 네트워크 모듈(524) 간에 네트워크가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1 단말(520)은 훈련 결과를 전자 문서화하는 e-Document Maker(523), 데이터 분석을 위한 Data Analyzer(522), 데이터 표시를 Display Manager(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모듈(512)과 제1 단말(520) 간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제2 단말(530)이 제1 단말(52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530)이 제1 단말(52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단말(530)의 화면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모듈(512)은 제1 단말(520)로부터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2 네트워크 모듈(513)은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제2 단말(5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훈련자는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확인하고, 이에 상응하는 훈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센서(511)는 훈련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모듈(512)은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1 단말(520)로 피드백하고, 제1 단말(520)로부터 피드백에 대한 응답으로 새로운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모듈(512)은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520)로 피드백하고,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제1 단말(520)에 의해 웹 서버로 업로드 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610)와 제2 단말(620) 간 페어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610)는 제2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해서 제2 단말(620)에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제2 단말(620)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심폐소생 훈련 장치(610)의 제1 네트워크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2 단말(620)과 심폐소생 훈련 장치(610)간 네트워크가 설정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 제1 단말(720), 제2 단말(730) 간 페어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는 제1 단말(720)로부터의 인스트럭터 모니터 연결 알림을 수신하고, 이를 제2 단말(7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는 인스트럭터 모니터 연결 알림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단말(73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720) 사용자 정보를 피드백 한다.
이렇게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 제1 단말(720), 제2 단말(730) 간 페어링 이후 네트워크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제1 단말(720)은 훈련 시나리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에 대기화면으로 전환 후 이를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로 알린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 제1 단말(720), 제2 단말(730) 간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훈련 시나리오를 위한 컨텐츠를 이용해서 훈련생들을 훈련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와 제1 단말(720), 제2 단말(730)이 모두 연결되었다면 교육자의 제1 단말(720)에서 디바이스(UI Manager)를 통하여 훈련생의 제2 단말(730)의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단말(720)에서 연결된 모든 제2 단말(730)에게 변경될 화면 정보(화면 ID)를 일괄적으로 보내주게 되면 제2 단말(730)은 지정된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단말(730)에서 화면전환이 끝났다면 전환된 결과 데이터를 다시 제1 단말(720)로 전송한다.
연습모드는 교육자가 심폐소생술의 각 단계를 훈련생들에게 하나씩 가르치는 모드이다. 교육자는 본인이 소지한 제1 단말(720)로 각 단계별로 제2 단말(730)의 화면 전환을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단계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연습모드는 의식 확인, 구조 요청, 맥박확인, 가슴 압박, 인공 호흡,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반복 연습을 요하는 가슴 압박 및 인공 호흡을 제외한 단계들은 교육자의 권한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의식 확인은 구조자가 환자의 의식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교육자는 훈련생들의 성취도를 보고 현재 단계를 다시 진행할지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판단하며 제1 단말(720)로 조작한다. 훈련생의 제2 단말(730)는 이 정보를 통하여 화면 전환을 하고, 전환 결과를 제1 단말(720)로 전송해준다.
구조 요청은 구조자가 주변의 사람 중 한 명을 지목하여 119에 신고를 요청하고, AED를 가져다 달라고 요청하는 단계이다. 교육자는 훈련생들의 성취도를 보고 현재 단계를 다시 진행할지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판단하며 제1 단말(720)로 조작 할 수 있으며 이전 단계인 의식 확인 단계로도 돌아갈 수 있다. 제2 단말(730)는 이 정보를 통하여 화면 전환을 하고, 전환 결과를 제1 단말(720)로 전송해준다.
가슴 압박은 구조자가 환자의 가슴에 손을 얹고 가슴 압박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훈련생이 얼마나 정확하게 가슴 압박을 시행하는지 정량적으로 표시되며, 이를 위해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에서 가슴 압박에 의한 깊이 값(가속도 센서 등을 활용)과 가슴 압박위치(스위치 등) 정보가 전송된다. 제2 단말(730)는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고(Data Analyzer), 매 1회 가슴 압박이 끝날 때마다 가슴 압박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결과 데이터는 가슴 압박 위치, 가슴 압박 깊이, 가슴 압박 속도, 가슴 압박 이완여부 등을 포함한다. 이 후 제1 단말(720)는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으로 끝났다는 메시지를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에 전송한다.
교육자는 훈련생들의 성취도를 보고 현재 단계를 다시 진행할지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판단하며 제1 단말(720)로 조작 할 수 있으며 이전 단계인 구조 요청 단계로도 돌아갈 수 있다. 제2 단말(730)는 이 정보를 통하여 화면 전환을 하고, 전환 결과를 제1 단말(720)로 전송한다.
인공 호흡은 구조자가 환자의 입에 인공 호흡을 하여 신선한 공기를 주입해주는 단계이다. 훈련생이 얼마나 정확하게 인공 호흡을 시행하는지 정량적으로 표시되며, 이를 위해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에서 인공 폐의 기압값 정보(기압 센서 등)가 전송된다. 제2 단말(730)는 데이터를 분석(Data Analyzer)하고, 매 1회 인공 호흡이 끝날 때 마다 인공 호흡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결과 데이터는 호흡량을 포함한다. 데이터 분석이 끝났다면 제1 단말(720)은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으로 끝났다는 메시지를 심폐소생 훈련 장치(710)에 전송한다.
교육자는 훈련생들의 성취도를 보고 현재 단계를 다시 진행할지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판단하며 제1 단말(720)로 조작 할 수 있으며 이전 단계인 가슴 압박 단계로도 돌아갈 수 있다. 제2 단말(730)는 이 정보를 통하여 화면 전환을 하고, 전환 결과를 제1 단말(720)로 전송해준다.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는 AED를 통해 환자의 심장 운동을 재개시키도록 하는 단계이다. 교육자는 훈련생들의 성취도를 보고 현재 단계를 다시 진행할지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판단하며 제1 단말(720)로 조작 할 수 있으며 이전 단계인 인공 호흡 단계로도 돌아갈 수 있다. 제2 단말(730)는 이 정보를 통하여 화면 전환을 하고, 전환 결과를 제1 단말(720)로 전송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키트와 이와 연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네킨의 종류, 기기 제약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다수의 일반 마네킨을 이용한 교육자와 훈련자 간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교육에서 교육자들의 흥미를 배가할 수 있다. 또한, 정량적 평가 및 측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도 8은 심폐소생 훈련 장치의 동작을 통해 테스트 시나리오를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방법은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단계 801), 제1 단말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단계 802).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수신된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하고(단계 803), 센싱된 제1 정보를 제1 단말로 피드백한다(단계 804).
도 9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의 동작을 통해 훈련 시나리오를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2 단말 및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설정한다(단계 901). 예를 들어,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2 단말에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캘리브레이션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제1 단말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단계 902),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제2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903).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은 이기종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2 정보를 센싱하고(단계 904), 센싱된 제2 정보를 제1 단말로 피드백한다(단계 905).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키트와 이와 연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네킨의 종류, 기기 제약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의 훈련 및 테스트에 있어 정량적 평가 및 측정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 - 상기 제1 단말은 복수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 - 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 및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고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단계 변경과 연관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단계 변경과 연관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단계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각각 송신하며,
    상기 단계 변경은, 흉부 압박 또는 인공 호흡과 관련된 훈련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심폐소생 훈련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이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 훈련 장치는 상기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더미에 탈착 가능한 패치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상기 수신된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압박 깊이, 적정 압박 속도, 압박이완 여부, 압박 횟수, 적정 인공호흡량, 인공호흡 횟수, 압박에서 호흡으로 넘어가는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센싱된 제1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웹 서버로 업로드 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2 단말에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2 단말 간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제1 단말로부터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제2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상기 수신된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피드백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피드백에 대한 응답으로 새로운 훈련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피드백하고, 상기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웹 서버로 업로드 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13. 심폐소생 훈련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심폐소생술에 연관되는 압력 및 호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 - 상기 제1 단말은 복수의 심폐소생 훈련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 - 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고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단계 변경과 연관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단계 변경과 연관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단계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각각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변경은, 흉부 압박 또는 인공 호흡과 관련된 훈련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심폐소생 훈련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이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상기 수신된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컨텐츠에 상응하는 제1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동작 방법.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요청하여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과의 네트워크가 설정되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단말과의 네트워크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훈련 장치 동작 방법.
KR1020150013665A 2015-01-28 2015-01-28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74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65A KR101740110B1 (ko) 2015-01-28 2015-01-28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65A KR101740110B1 (ko) 2015-01-28 2015-01-28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05A KR20160092805A (ko) 2016-08-05
KR101740110B1 true KR101740110B1 (ko) 2017-06-08

Family

ID=5671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65A KR101740110B1 (ko) 2015-01-28 2015-01-28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16B1 (ko) 2017-01-24 2023-05-16 라엘덜 메디칼 에이에스 심폐소생 훈련 시스템과 심폐소생 훈련 중 통신 방법
US11881120B2 (en) * 2020-07-06 2024-01-23 Innosonian, Inc. Client-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WO2022075524A1 (ko) * 2020-10-06 2022-04-14 주식회사 아이엠랩 원격 심폐소생술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EP4064248A1 (en) * 2021-03-25 2022-09-28 Ambu A/S Wireless connection in a cpr manik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03B1 (ko) * 2011-08-01 2013-04-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네킹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303B1 (ko) * 2011-08-01 2013-04-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네킹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05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8596B1 (en) Augmented reality simulator for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training
KR101636759B1 (ko)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9583025B2 (en) System, components and methodologies for training and testing on cardiac compressions
CN102713992B (zh) Cpr竞赛系统
JP2016517545A (ja) オンラインcprトレーニングおよび認証
KR101740110B1 (ko) 이기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일대다 심폐소생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1232868B1 (ko) 교육 프로그램이 내장된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훈련 시스템
CN104200417A (zh) 基于云计算的康复训练系统
Haskins et al. Exploring VR training for first responders
Wattanasoontorn et al. A kinect-based system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A pilot study
CN112289434A (zh) 基于vr的医疗培训模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562434A (zh) 一种虚拟现实环境下的互动模拟实验室系统
CN112053776A (zh) 一种aed操作培训测试系统及方法
CA2923191A1 (en) Patient simulation system adapted for interacting with a medical apparatus
CN117409629A (zh) 心肺复苏训练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180097343A (ko) 심폐 소생술 훈련 시스템
EP3370220A1 (e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formative test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KR102045272B1 (ko)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반 다중접속 가능한 cpr 훈련용 흉부 압박장치
Kwon et al. HeartiSense: a novel approach to enable effective basic life support training without an instructor
KR20180097334A (ko) 심폐 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US11881120B2 (en) Client-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ystem
CN110867117B (zh) Aed操作培训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KR102305570B1 (ko) 흉부 압박 훈련 피드백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Pretto et al.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for life support training
Ruge-Vera et al. Convulsive treatment game-based training a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