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294A - 수직하강식 구조대 - Google Patents

수직하강식 구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294A
KR20220045294A KR1020200127818A KR20200127818A KR20220045294A KR 20220045294 A KR20220045294 A KR 20220045294A KR 1020200127818 A KR1020200127818 A KR 1020200127818A KR 20200127818 A KR20200127818 A KR 20200127818A KR 20220045294 A KR20220045294 A KR 2022004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othbore
cloth
evacuee
opening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549B1 (ko
Inventor
공하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상황이 발생시에 다른 대피자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구조대를 이동시켜 해당 구조대에 수납된 활강포를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 대피할 수 있는 수직하강식 구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베란다 휀스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중첩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의 개방과 동시에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관 형상으로 펼쳐지는 활강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하강식 구조대{Vertical Escape Chute for an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상황이 발생시에 다른 대피자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구조대를 이동시켜 해당 구조대에 수납된 활강포를 원터치 방식으로 펼쳐 대피할 수 있는 수직하강식 구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대는 포지 등을 이용하여 자루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화재시 사용자가 그 내부로 들어가서 내려와 대피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경사강하식구조대라함은 소방대상물에 비스듬하게 고정시키거나 설치하여 사용자가 미끄럼식으로 내려올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경사강하식구조대가 특허출원1990-9612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특허출원1990-961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틀(1)에 입구틀(2)을 축설하고, 상기 입구틀(2)하단에 통공(4)이 뚫린 고정판(5)을 융착하고, 이와 연접되는 취부틀(1) 상단에 고정구(6)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구(6)내에 탄발스프링(7)으로 탄지된 고정봉(8)을 탄설하며, 상기 고정봉(8)에는 손잡이(9)를 작동공(10)외측으로 돌출한 구조로 되어, 취부틀(1)에 축설된 입구틀(2)에 고정봉(8)을 설치하여 입구틀(2)을 폈을 때 취부틀(1)에 고정되게 하며, 활강포(3)의 고정로우프에는 포지편(14)를 다수 구성하여 상기 포지편(14)과 활강포(3)가 같이 봉합도미으로 활강포와 로우프가 별도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건물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형태를 취하고 해당 건물 내의 다른 층에 또 다른 대피자가 해당 층에 존재하는 구조대를 사용하는 경우, 그 하충에 존재하는 대피자는 구조대의 사용이 용이롭지 못하여 이동 후, 사용하는 불편함은 물론, 해당 구조대가 약 100kg 이상의 하중을 가지고 있어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시에 다른 대피자가 사용한 구조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구조대를 이동시켜 대피할 수 있는 수직하강식 구조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하강식 구조대는 건물 베란다 휀스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중첩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의 개방과 동시에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관 형상으로 펼쳐지는 활강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휀스 외면을 따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게 상기 활강포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활강포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와, 제어스위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가 서로 결속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되 피난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상기 활강포가 수직되게 펼쳐진 이후에 피난자가 상기 활강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소정길이를 갖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수지되게 펼쳐진 상기 활강포 하단과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필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필름부재는 피난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비상상황이 발생시에 피난자가 용이하게 구조대를 휀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하는 장소로 이동 시킨 후, 원터치 방식으로 제어스위치의 제어를 통해 활강포가 수직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하강식 구조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대한 휀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조대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수직하강식 구조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하강식 구조대(이하, 간략하게 '구조대'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대(1)는 크게 건물 베란다의 휀스(H)에 설치되는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중첩되게 수납되어 필요시에 수직방향으로 펼쳐져 그 내부를 통해 피난자가 안전하게 건물 내부로 탈출할 수 있는 활강포(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후술하는 활강포(200)가 그 내부에 수납되되 피난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활강포(200)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활강포(200)의 중공부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건물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베어링(110), 몸체(120), 덮개(130), 결속부재(140), 필름부재(150) 및 와이어(160)를 포함한다.
예컨대 베어링(110)은 힌지축(111)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두 분체가 전체적으로 링의 형상을 갖도록 몸체(1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휀스(H) 외면을 감싸도록 체결되어 상기 휀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안정되게 본 발명인 구조대(1)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한다.
이때, 베어링(110)이 몸체(1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유는 상기 베어링(110)에 의해 외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휀스(H)의 외경이나 형상에 대응하여 본 발명인 구조대(1)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12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화재에 대응하여 그 열기 등에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방염이나 난연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20)는 그 외면에 구비된 베어링(110)에 의해 휀스(H)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활강포(200)가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몸체(120) 일측에는 덮개(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에는 필름부재(150)에 의해 폐쇄상태를 갖는 개구부(121)가 천공 형성된다.
몸체(120) 외면에는 회전가능한 안전봉(125)이 수납홈(127) 내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며, 화재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피난자가 개구부(121)와 펼쳐진 활강포(200)를 통해 외부로 대피시에 회전에 의해 세워져 상기 안전봉(125)을 파지 후, 안정적으로 피난자가 개구부(121)를 통해 상기 활강포(2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덮개(130)는 개구부(121)와 서로 대향되게 몸체(120) 타측과 경첩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활강포(200)가 사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덮개(130)는 몸체(120) 외면에 구비된 결속부재(140)에 의해 상기 몸체(120)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몸체(120) 내부에 구비된 활강포(200)가 펼쳐지지 못하도록 방지하며, 상기 몸체(120)에 구비된 제어스위치(12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결속부재(140)가 해지되면 자중에 의해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20) 내부에 구비된 활강포(200)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몸체(120) 외면에 형성된 제어스위치(123) 및 상술한 안전봉(125)은 상기 몸체(120)가 휀스(H)에서 회전한 이후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재 등으로 인하여 피난자가 몸체(120)를 휀스(H)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이후에 지지패드(170)가 상기 휀스(H)에 지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 개구부(121)가 형성된 상기 몸체(120) 외면에 제어스위치(123) 및 안전봉(125)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시에만 상기 제어스위치(123) 및 상기 안전봉(125)을 사용할 수 있어 평상시(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 아이들의 호기심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결속부재(140)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스위치(123)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활성화 상태가 되면 서로 결속상태를 갖는 덮개(130)와 몸체(12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분리상태가 된 이후에 상기 덮개(13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몸체(120)에서 회전하여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필름부재(150)는 개구부(121)를 폐쇄하여 화재 등이 발생시에 피난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해당 피난자가 용이하게 개방된 개구부(121)를 통해 활강포(200) 내부로 진입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필름부재(150)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필름막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비상시에 절개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라인(153)이 형성되어 피난자가 주먹이나 발 등으로 약한 외력을 가해도 충분리 절개되어 개구부(121)가 개방된 상태를 갖도록 한다.
이때, 필름부재(150) 외면에는 활강포(200)에서 연장된 와이어(160) 일단이 관통하여 몸체(120)와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151)이 천공형성되며, 몸체(120) 외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이 이루어진 필름부재(150)을 제거 후, 새로운 필름부재(15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160)는 펼쳐진 활강포(200)를 다시 몸체(120)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와이어(160)는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진 활강포(200) 하단과 연결되며, 상단은 관통공(151)을 관통하여 몸체(120)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활강포(200)를 수거시에 상기 몸체(12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160)를 당겨 상기 활강포(200)가 상기 몸체(120) 내측으로 중첩되게 수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활강포(2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몸체부(100) 내부에 중첩되게 수납되되 덮개(130)의 개방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펼쳐지며, 피난자가 대피하고자 하는 대피로를 형성할 수 있게 전체적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관(PIPE)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활강포(200)는 화재로 인하여 활강포(200)에 불이 붙지 않는 방염(防焰)이난 난연(難燃)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포지(210) 및 상기 외부포지(2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는 내부포지(220)로 형성된다.
이때, 내부포지(220)에는 스테인레스 스프링(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피난자가 활강포(200)의 중공부를 통해 수직하강시 그 하중에 의해 가속도가 붙지 않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활강포(200)는 수직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그 상단은 개구부(121)와 연통되게 몸체(120) 내면에 고정 장착되며, 하부는 와이어(160) 일단과 연결되어 본 발명인 구조대(1)를 수거시에 상기 와이어(160)의 당김을 통해 펼쳐진 상기 활강포(200)가 당겨져 상기 몸체(120) 내부에 중첩되게 수납되어 초기상태(사용하기 이전의 상태)를 갖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대(1)의 바람직한 사용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피난자는 휀스(H)에 설치된 구조대(1)를 다른 구조대(1)와 간섭되지 않게 해당 휀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4층(4F)에서 미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대(1)를 통해 활강포(200)를 펼쳐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3층(3F)의 피난자는 동일 방향으로 활강포(200)의 펼침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3층의 피난자는 해당 3층에 설치된 휀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조대(1)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다른 구조대(1)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대피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구조대(1)의 이동이 완료되면 피난자는 몸체(120)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120)에 구비된 지지패드(170)가 휀스(H)에 지지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상기 몸체(120)를 유지시킨 후, 수납홈(127)에서 안전봉(125)이 인출될 수 있게 회전시킨다.
다음, 피난자는 제어스위치(123)를 푸쉬하여 결속부재(140)를 '해지'상태로 스위칭하여 덮개(130)가 몸체(120)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20) 내부에 수납된 활강포(200)가 지면(G)과 근접하게 하방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피난자는 필름부재(150)에 외력을 가하여 개구부(121)가 개방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그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개구부(121)와 연통되게 설치된 활강포(200)의 중공부로 자유롭게 진입하여 상기 활강포(200) 내측을 따라 지면으로 하강이 이루어져 대피가 완료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대(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비상상황이 발생시에 피난자가 용이하게 구조대(1)를 휀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하는 장소로 이동 시킨 후, 원터치 방식으로 제어스위치(123)의 제어를 통해 활강포(200)가 수직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수직하강식 구조대
100: 몸체부
110: 베어링 111: 힌지축
120: 몸체 121: 개구부
123: 제어스위치 125: 안전봉
127: 수납홈 130: 덮개
140: 결속부재 150: 필름부재
151: 관통공 153: 절개라인
160: 와이어 170: 지지패드
200: 활강포
210: 외부포지 120: 내부포지
H: 휀스

Claims (3)

  1. 건물 베란다 휀스(H)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몸체부(1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중첩되게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개방과 동시에 하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관 형상으로 펼쳐지는 활강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강식 구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휀스(H) 외면을 따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하는 베어링(110);
    상기 베어링(1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측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121)와 연통되게 상기 활강포(200)가 구비되는 몸체(120);
    상기 몸체(120)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전에 의해 상기 활강포(200)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130);
    제어스위치(12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몸체(120)와 상기 덮개(130)가 서로 결속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재(140); 및
    상기 개구부(121)를 폐쇄하되 피난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상기 활강포(200)가 수직되게 펼쳐진 이후에 피난자가 상기 활강포(2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강식 구조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소정길이를 갖는 와이어(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160)는 일단이 수지되게 펼쳐진 상기 활강포(200) 하단과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필름부재(150)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필름부재(150)는 피난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가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라인(153)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160)가 관통하는 관통공(151)이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강식 구조대.
KR1020200127818A 2020-10-05 2020-10-05 수직하강식 구조대 KR102506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8A KR102506549B1 (ko) 2020-10-05 2020-10-05 수직하강식 구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8A KR102506549B1 (ko) 2020-10-05 2020-10-05 수직하강식 구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94A true KR20220045294A (ko) 2022-04-12
KR102506549B1 KR102506549B1 (ko) 2023-03-03

Family

ID=8118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818A KR102506549B1 (ko) 2020-10-05 2020-10-05 수직하강식 구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485B1 (ko) * 2022-07-27 2023-04-17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92538U (zh) * 2010-04-09 2011-01-05 安得生企业有限公司 逃生滑道所用的旋收装置
KR20110077727A (ko) * 2009-12-30 2011-07-07 김문찬 해치형 구조대
KR102111578B1 (ko) * 2019-02-08 2020-05-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구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727A (ko) * 2009-12-30 2011-07-07 김문찬 해치형 구조대
CN201692538U (zh) * 2010-04-09 2011-01-05 安得生企业有限公司 逃生滑道所用的旋收装置
KR102111578B1 (ko) * 2019-02-08 2020-05-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명구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485B1 (ko) * 2022-07-27 2023-04-17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549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4218B (zh) 一种高层建筑火灾安全逃生设备
US5562184A (en) Apparatus for high-rise escape slow descending tube
KR20220045294A (ko) 수직하강식 구조대
GB1585927A (en) Fire escape
KR100930544B1 (ko) 방화 구획용 스크린 셔터
JP2007515994A (ja) ロックおよび展開可能なアームを有するポッド
KR20100044130A (ko) 우산형 낙하산
JP4298415B2 (ja) 無人開口避難装置
US5979601A (en) Telescopic emergency egress device
KR102438131B1 (ko) 소방호스 수납용 기능성 휴대용가방
KR101166319B1 (ko) 안테나식 사다리가 구비된 피난용 도어 장치
KR100928671B1 (ko) 비상탈출장치를 구비한 추락사고방지장치
US487395A (en) mannheim
WO2010047534A2 (ko) 우산형 낙하산
GB2032366A (en) Escape installations
KR101496969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US4127185A (en) Fire escape net
JPS5832992B2 (ja) 可動避難台の支持装置
US3497159A (en) Escape device for astronauts or the like
JP2018028198A (ja) 避難用はしご
JP2005237718A (ja) 救助袋装置
KR102603237B1 (ko) 비상탈출 사다리용 완강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비상탈출 사다리 장치
KR102026351B1 (ko) 인명구조 낙하산
CN201822096U (zh) 具有防收伞回弹装置的自动开收伞
KR200284960Y1 (ko) 텔레스코픽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