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098A -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5098A KR20220045098A KR1020200127758A KR20200127758A KR20220045098A KR 20220045098 A KR20220045098 A KR 20220045098A KR 1020200127758 A KR1020200127758 A KR 1020200127758A KR 20200127758 A KR20200127758 A KR 20200127758A KR 20220045098 A KR20220045098 A KR 202200450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output
- terminal device
- portable terminal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형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될 때에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되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르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정보 보안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의 활성화 시에 이전과 다르게 활성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킨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단말 장치는 이동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고 있어 최근에 널리 보급되어 왔다. 휴대형 단말 장치는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동영상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등의 기능,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형 단말 장치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개인의 신분 확인 수단으로도 이용되어 금융 거래 기능도 할 수 있는 등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형 단말 장치의 성능과 기능의 발전은 휴대형 단말 장치가 중요한 개인 정보를 저장하게 되어 있어, 휴대형 단말 장치는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장치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상태의 설정은 비밀번호, 패턴, 지문, 홍채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잠금 상태는 기 설정된 비밀번호나 패턴이나 지문 등이 입력되는 경우, 잠금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형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는 턴온 및/또는 턴오프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61195호(2014.02.17 공고,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그의 잠금 및 해제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 이르러 휴대형 단말 장치는 현대인의 항시 휴대 필수품으로 자리매김되고 있고 사용자 개인의 신분 확인 기능도 하고 있으므로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도 점점 늘어나고 있어 개인 정보 보안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 보안성을 높이면서도 편리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잠금 해제 패턴 방식이 내장된 휴대형 단말 장치들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잠금 해제 패턴 방식은 제3자가 사용자 근방에서 은밀하게 엿볼 수 있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쉽게 유출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널리 보편화된 휴대형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 패턴 방식의 편리성은 유지하면서도 정보 보안성을 보다 더 향상시킨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 턴온 시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이 최근에 출력되었던 것과 다르게 출력되게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디스플레이부 턴온 시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이 최근에 출력되었던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과는 다른 위치 및/또는 면적 크기로 출력되게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휴대형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될 때에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되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르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턴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온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의 입력 조작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턴온되는 때에 최근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르게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사부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턴온 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이 최근에 출력되었던 것과 다르게 출력되게 함으로써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정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턴온 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이 최근에 출력되었던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과는 다른 위치 및/또는 면적 크기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정보 보안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턴온 시에 디스플레이부 상에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을 최근에 출력되었던 영역과 다르게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 조작 없이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잠금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형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부의 턴온 시에 휴대형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이 출력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부의 턴온 시에 휴대형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이 출력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또는 간략히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 “장치”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구비한다고 하는 등의 표현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형 단말 장치에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와치, 스마트글래스, HMD),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휴대형 단말 장치의 일 예로 일상화되어 있는 스마트폰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형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형 단말 장치는(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형 단말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형 단말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형 단말 장치(100)와 다른 휴대형 단말 장치(100) 사이, 또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하고,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또는 데이터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입력수단(예컨대,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버튼,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 소프트 키 또는 비주얼 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패턴, 비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20)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또는 데이터나 신호)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내 정보, 휴대형 단말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 지문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배터리 게이지, 환경 센서(예: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열 센서, 가스 센서 등), 화학 센서(예: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형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출력부(150)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나, 햅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출력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형 단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 화면 정보에 따른 UI나 GUI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드래깅 같은 연속 모션 터치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1) 내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의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이어폰용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통신 포트, 메모리부 카드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그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 인증 모듈(UIM), 가입자 인증 모듈(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 등과 같은 식별 모듈을 휴대형 단말 장치(10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7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SSD 타입, SDD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 오퍼레이팅 시스템,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다운로드 받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 이동 전화 착신/발신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을 위하여 제조업체에서 출하 시부터 휴대형 단말 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170)에 저장되고 휴대형 단말 장치(100) 내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해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의 소정의 동작이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잠금 해제 패턴을 저장하고 있고 최근에 활성화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의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이나 기능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상태가 소정의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상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전후면이나 측면에 배치된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등의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잠금 해제 패턴을 턴온(또는 활성화)할 때에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어 있던 최근의 잠금 해제 패턴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 정보를 독출하여 이와는 다른 위치 및/또는 면적의 정보를 출력하게 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입력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될 때에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하되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또는 정보나 신호)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감지된 터치 동작 및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나 정보를 처리하며, 처리된 데이터나 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터치 센서에 의해 구현되고 이 디스플레이부(151)상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상기와 같은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이나 터치펜이나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가 제어부(190)로 보내진다. 제어부(190)는 그 신호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나 지점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또는 디스플레이부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를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숏터치, 롱터치, 멀티터치, 드래그 터치, 플리크 터치, 핀치인/핀치아웃 터치, 스와이프 터치, 호버링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결합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형 단말 장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턴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턴온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터치센서가 구비된 턴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터치입력을 감지하거나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전후면이나 측면에 배치된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등의 소정의 입력 조작을 감지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된다.
이어서, 상기의 입력 조작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되는 때에 잠금 해제 패턴이 활성화되어 출력되도록 제어부(180)가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는데, 이 때, 상기 활성화되는 잠금 해제 패턴은 제어부(180)에 의해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어 있던 최근의 잠금 해제 패턴의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 정보를 토대로 이와는 다른 위치 및/또는 면적으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S202).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될 때마다 출력되는 잠금 해제 패턴의 영역이 매번 다른 위치 및/또는 면적으로 출력되게 되어 사용자가 잠금 해제하기 위해 그리기 터치 모션을 행할 때에 사용자가 제3자에게 직접 보여주지 않는한 제3자가 사용자 모르게 잠금 해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 정보가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와는 구별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 장치(10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던 시각 정보가 사라지게 될 수 있다. 즉, 휴대형 단말 장치(100)는 턴온 상태이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만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 상태로 전환되어진다.
휴대형 단말 장치(100)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패턴 등을 입력해야 한다.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기 설정된 형상을 터치하여 그리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특정 터치 지점을 지나는 선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와 관련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은 복수의 특정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별도의 입력 영역으로, 흐릿한 터치스크린 화면의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나 크기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오프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터치스크린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터치입력을 감지하거나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전후면이나 측면에 배치된 소정의 버튼을 누르는 등과 같은 소정의 입력 조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영역에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로 이와 같은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을 출력할 때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었던 최근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과는 다른 위치 및/또는 면적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은, 9개의 특정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실시예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의 크기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영역에 출력되도록 조절될 수 있고, 터치 지점의 형상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원 형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작은 사각형 형상이나 별 형상 등 다양하게 출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턴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 중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이 출력되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영역(320)만이 턴온 상태로 되게 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 시에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이 출력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턴오프 상태인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소정의 입력 조작(310)(예: 터치스크린 터치, 버튼 누름 등)을 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부(151)상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는 입력 조작(310)의 예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이 터치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 신호를 받아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영역에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320)을 출력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된 잠금 해제 패턴 영역(320)은 최근에 활성화되어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영역(320')과는 다른 위치에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도 3에서는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영역(320')의 상측에 인접하도록 잠금 해제 패턴 영역(320)이 생성되어 출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이었던 영역(320')과는 다른 임의의 영역(320)에 상기 휴대형 단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영역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정보 보안을 위해 중요하다.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최근에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정보가 출력되게 하거나 초기 화면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디스플레이부(151)상의 하측에 출력되었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 시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이전 잠금 해제 패턴 이력 영역(320')과 이격되게 상측에 출력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라면 그 반대로도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디스플레이부(151)상의 상측에 출력되었었다면,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 시에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이전 잠금 해제 패턴 이력 영역(320')과 이격되게 하측에 출력되게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디스플레이부(151)상의 하측의 소정의 면적을 가진 영역에 출력되었었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 시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은 이전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과 다른 위치에서 더 큰 면적의 패턴 입력 영역(320)으로 출력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디스플레이부(151)상의 하측에 출력되었었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 시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은 이전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의 일부 터치 지점 영역을 포함하면서 일부가 중첩되는 다른 위치에 출력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이 디스플레이부(151)상의 하측의 소정의 면적을 가진 영역에 출력되었었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턴온 시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은 이전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과 다른 위치(예컨대, 상측부)에서 더 작은 면적의 패턴 입력 영역(320)으로 출력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추가로 다른 실시예들을 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라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턴온 시에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과는 다르게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을 출력하는 보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바둑판 형태로 각각의 터치 지점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하나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이 9개의 터치 지점으로 형성된다고 할 때,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도 5에서처럼 다양하게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510, 520 또는 530)이 서로 다른 위치에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과는 다르게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을 출력하는 방법은 메모리부(170)에 미리 출력하는 위치 및/또는 면적을 순서대로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저장해놓고 순차적으로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등의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해놓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처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형성한 다수의 터치 지점들을 포함하는 어레이에서 각 터치 지점의 영역들에 대해 랜덤하게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랜덤 코드 모듈을 메모리부(170)에 저장해놓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을 출력할 때마다 랜덤 코드 모듈을 독출하여 새로운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320)의 위치 및/또는 면적을 변화시켜 최근의 패턴 입력 영역(320')과는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가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랜덤 코드 모듈로부터 랜덤하게 생성되는 일회용 키(key) 정보를 독출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는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 SSD, SDD,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휴대형 단말 장치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휴대형 단말 장치 110 : 무선 통신부
120 :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메모리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 공급부
120 :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메모리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 공급부
Claims (8)
- 휴대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될 때에 상기 단말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되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르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턴온 시에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른 위치에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턴온 시에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면적과는 다른 면적의 크기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출력 위치 및 면적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출력 위치 및 면적과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을 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턴오프 상태의 디스플레이부를 턴온시키기 위한 입력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의 입력 조작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턴온되는 때에 최근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르게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턴온 시에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과는 다른 위치에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턴온 시에 최근에 출력되었던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면적과는 다른 면적의 크기로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출력 위치 및 면적과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의 위치 및/또는 면적을 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7758A KR20220045098A (ko) | 2020-10-04 | 2020-10-04 |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7758A KR20220045098A (ko) | 2020-10-04 | 2020-10-04 |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5098A true KR20220045098A (ko) | 2022-04-12 |
Family
ID=8118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7758A KR20220045098A (ko) | 2020-10-04 | 2020-10-04 |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45098A (ko) |
-
2020
- 2020-10-04 KR KR1020200127758A patent/KR202200450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01587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US997191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 |
KR10169809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EP2876529B1 (en) | Unlocking mobile device with various patterns on black screen | |
US9411484B2 (en) | Mobile device with memo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 |
US20160342973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5630327B (zh) |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 |
US985186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program for invoking an application by dragging objects to a screen edge | |
KR102164454B1 (ko) |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 |
KR102022288B1 (ko) |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 |
KR20140027606A (ko) |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
KR20180051782A (ko) |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 |
US20090237373A1 (en) | Two way touch-sensitive display | |
KR20160009323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
US20140267043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
JP2019175090A (ja) | 電子機器、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 |
KR102320072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공개 제어 방법 | |
EP3211510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 |
EP3480685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pad an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 | |
KR101359874B1 (ko) | 가상입력수단을 이용하는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 |
WO2021004352A1 (zh) | 界面交互方法及终端 | |
KR20220045098A (ko) |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6616379B2 (ja) | 電子機器 | |
US886674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selection | |
KR20190130546A (ko) | 필기 인식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