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606A -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Google Patents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606A
KR20140027606A KR1020120084326A KR20120084326A KR20140027606A KR 20140027606 A KR20140027606 A KR 20140027606A KR 1020120084326 A KR1020120084326 A KR 1020120084326A KR 20120084326 A KR20120084326 A KR 20120084326A KR 20140027606 A KR20140027606 A KR 2014002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authentication
terminal
command
securit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권무식
김무림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7606A/ko
Priority to US13/787,088 priority patent/US9572028B2/en
Priority to EP13164314.0A priority patent/EP2693359B1/en
Priority to EP19153309.0A priority patent/EP3493089B1/en
Publication of KR2014002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606A/ko
Priority to US15/388,878 priority patent/US9883397B2/en
Priority to US15/882,370 priority patent/US102920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및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함께 수행하는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보안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COMTROL METHOD FOR TERMINAL USING TEXT RECOGNITION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및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함께 수행하는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에 있어서,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중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개인 정보 보호 방법으로 보안 모드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등 단말을 제어하기 위해서,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단말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보안 상태 해제를 위한 특정 패턴을 입력하고, 패턴이 인증되어 단말의 대기 화면이 표시되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단말을 제어한다.
이러한 단말의 제어 방법은 보안 상태 해제부터 애플리케이션 구동까지 수차례의 사용자 입력 과정이 요구되어 불편함을 초래하고, 보안 해제를 위한 패턴이 9개의 격자 모양을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형태를 가지므로,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보안 상태 해제 및 단말의 기능 수행을 한번에 수행하도록 하는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은, 보안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의 입력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속성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속성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등록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등록 입력에 대한 입력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속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입력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상태 해제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보안 상태에 진입함에 따라 보안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의 입력 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입력 속성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속성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등록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입력에 대한 입력 속성을 추출하고, 기 입력 속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입력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고,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보안 상태 해제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은, 한 번의 입력을 통하여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원하는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단말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은, 사용자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보안 해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안의 취약함을 해결함과 동시에 단말의 기능 제어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말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입력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인증을 위해 입력된 텍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인증을 위해 입력된 텍스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인증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명령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보안 상태를 유지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말 및 단말의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로써,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노트 패드(Note Pad), 와이브로(Wibro) 단말, 타블렛 PC(Tablet PC), 스마트 TV, 스마트 냉장고 등의 단말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 센서(111), 근접 센서(112) 및 전자기 센서(113)를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터치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부(14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111)는 사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손)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현 방식에 따라 터치 센서(111)는 직접 터치뿐만 아니라, 일정한 거리 내의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12)는 입력부(110)의 검출 면에서 일어나는 물체의 유무, 접근, 움직임, 방향, 속도, 형태 등을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112)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3)는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의 입력 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3)는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기 센서(113)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에너지 변화를 일으키는 공진 회로가 포함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3)는 공진 회로를 포함한 물체로써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13)는 단말(100)에 직접 접촉하는 입력뿐만 아니라 단말(100)에 근접하게 이루어지는 근접 입력 또는 호버링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는 터치 센서(111), 압력 센서(112)를 구비하는 터치 패드, 압력 패드이거나, 전자기 센서(113)를 구비하는 전자기 패드, EMR 패드일 수 있다.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입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패드(110a)는 터치 패드로써 인체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제2 입력 패드(110b)는 EMR 패드로써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표시부(14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는 표시부(140)의 하층에 위치함으로써, 표시부(140)에 표시된 아이콘, 메뉴, 버튼 등을 통하여 발생하는 입력을 제1 입력 패드(110a) 및 제2 입력 패드(110b)를 통하여 감지하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입력 패드와 결합하는 TSP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 신호가 제1 입력 패드(110a)에서 감지되었는지 또는 제2 입력 패드(110b)에서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감지된 입력의 입력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입력부(110)와 표시부(140)의 결합한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입력부(110)를 구성하는 입력 패드의 종류 및 개수, 입력 패드와 표시부(140)의 상하층 위치 등은 단말(100)의 제조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보안 상태 진입 또는 보안 상태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보안 상태 해제 또는 단말(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 인증 정보의 등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텍스트, 서명, 명령어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하여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감지된 입력을 기초로 보안 상태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애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증 모듈(121) 및 문자 인식 모듈(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증 모듈(121)은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모듈(121)은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감지된 입력으로부터 입력 속성을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 속성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속성과 비교할 수 있다. 인증 모듈(121)은 Brute Force, Knuth-Morris-Pratt, Boyer-Moore, Shift-Or 등의 문자열 비교 알고리즘 또는 신경망 알고리즘, 비트맵 알고리즘 등의 이미지 비교 알고리즘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 속성의 동일/유사/상이 여부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모듈(121)은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 모듈(121)은 비교 결과를 기초로 유사도를 연산하고,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문자 인식 모듈(122)은 입력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문자 인식 모듈(122)은 입력으로부터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 공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문자 인식 모듈(122)은 패턴 정합법(pattern matching) 및 구조 분석법(structure analysis)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인식하고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보안 상태에서 감지된 입력을 기초로 인증 모듈(122)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문자 인식 모듈(122)을 통하여 감지된 입력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추출된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단말(100)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입력 수단 및 입력 속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테이블을 저장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부(110)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터치 센서와 결합한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SP일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는 표시부(140)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보안 상태 화면, 대기 화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인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100)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단말(100)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210).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설정 프로그램, 서비스 등의 구동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단말(100)이 보안 상태에서 동작할 때, 보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보안 상태 해제를 허용해도 되는 사용자 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되고,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입력은 임의의 모양(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모양은 글자, 숫자, 특수기호 등을 형성하는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은 "Brown", "John"과 같은 이름, 성별, 별명 등의 사용자 식별 단어일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입력은 "call", "memo", "map"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지칭하는 단어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입력은 특정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단은 손가락(finger) 및 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입력은 터치 입력, 근접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입력(10)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10)은 펜에 의한 터치 입력일 수 있고, "Brown"이라는 사용자 이름에 대응하는 단어일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ll mom"이라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100)은 입력 속성(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220).
입력 속성은, 예를 들어, 입력 수단, 입력의 모양(shape) 및 속도(spe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감지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을 손가락 및 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100)은 서로 다른 입력 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입력이 어떤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입력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패드 형태로 단말(100)에 실장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EMR 패드, TSP 등일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감지된 입력의 면적을 기초로 입력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감지된 입력의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입력 수단이 손가락인 것으로 판단하고,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 이하인 경우, 입력 수단이 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된 입력의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입력의 시작점을 원점으로 하여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에서 추출된 좌표들의 절대적인 위치가 아니라, 입력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좌표를 추출함으로써, 입력의 감지 위치와 무관한 순수한 모양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추출된 좌표를 기초로 기 설정된 주기 동안 입력이 이동한 거리(pixel, mm, cm 등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를 연산하여 주기 시간에 따른 입력의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전체 입력에 대한 평균 속도 또는 속도의 편차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230).
단말(100)은 추출된 입력 속성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수단(input means) 및 모양(shape), 평균 속도(average speed), 속도 편차(speed deviation) 등과 같은 입력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양은 입력의 궤적이 형성하는 형태를 이미지로 나타낸 데이터이거나 입력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추출된 좌표로 표시할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좌표는 입력에서 추출된 좌표들의 절대적인 위치가 아니라, 입력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한 좌표일 수 있다. 이로써, 좌표는 입력이 발생한 절대적인 위치와 무관하게 입력의 시작점을 기초로 입력이 형성하는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평균 속도는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좌표를 기초로 연산 된 속도의 평균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주기별 속도는 임의의 주기에 추출된 좌표 간 거리를 기초로 연산 될 수 있다. 또한, 평균 속도는 주기별 속도를 평균하여 연산 될 수 있다. 속도 편차는 평균 속도를 기초로 각 주기에 대한 속도들의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5의 입력(10)인 "Brown"으로부터 추출된 좌표를 기초로, 입력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기 설정된 주기 1ms마다 추출된 좌표 간 픽셀 수를 판단하여 각 주기별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단말(100)은 주기별 속도를 평균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입력에 대한 평균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 된 결과인 40pixel/ms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도 5의 입력(10)인 "Brown"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하여 이를 포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Brown"으로부터 주기 1ms마다 추출된 좌표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240).
단말(100)은 생성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추출된 입력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정보와 함께 유사도 판단을 위한 가중치 및 임계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가중치는 사용자가 보안 해제를 위해 발생시킨 입력 및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 간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특정 입력 속성이 영향을 미치는 비중을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즉, 가중치는 각각의 입력 속성이 전체 유사도에 기여하는 비율일 수 있다. 가중치는 입력 감지 실험에 있어서 EER(Equal Error Rate) 성능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중치는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임계값은 사용자가 인증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유사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임계값은 사용자가 보안 해제를 위해 발생시킨 입력이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유사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임계값은 입력 감지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입력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가중치 및 임계값을 결정하고, 입력 수단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으로부터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단말(100)은 입력으로부터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 공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패턴 정합법(pattern matching) 및 구조 분석법(structure analysis)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인식하고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으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출된 문자의 일부 또는 전체를 기초로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명령어는 통화, 메일, 메시지, 메모, 지도 및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 열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6의 입력 "call mom"에서 "call mom" 또는 "call"을 단말(100)의 기능 중 전화 통화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생성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연계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생성된 명령어 "call mom"에 대하여 연락처에서 "mom"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생성된 명령어 "call"에 대하여 "call"의 앞 또는 뒤에서 추출된 문자에 대응하는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명령어 및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연계하여 저장한 정보는 "명령어 테이블"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말(100)은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또는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100)은 입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또는 동작에 대한 선택 또는 입력을 감지하고,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문자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입력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50).
단말(100)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입력의 감지 횟수가 기 설정된 입력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입력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사용자가 입력을 종료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확정하고자 하는 요청이 발생하면,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입력이 감지된 횟수가 기 설정된 입력 횟수에 도달한 경우,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동일한 입력을 발생시키더라도, 입력 시마다 입력 속성이 조금씩 변경될 수 있으므로, 단말(100)은 기 설정된 입력 횟수만큼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의 동일/유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각 횟수에 대응하는 입력마다 입력 속성을 추출한 후, 추출된 복수의 입력 속성을 기초로 각 입력 속성에 대한 편차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각 횟수에 대응하는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속도에 대한 편차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기 설정된 입력 횟수만큼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은 입력 횟수(20)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100)은 기 설정된 입력 횟수만큼 입력을 감지하는 동안, 입력 간의 입력 속성을 비교할 수 있다. 단말(100)은 복수의 입력 간 입력 속성이 지나지게 상이한 경우, 잘못된 입력이라는 내용의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첫 번째 입력시 "Brown"을 입력하고 두 번째 입력시 "John"을 입력한 경우, "Brown"과 "John"은 입력 속성이 상이하므로 단말(100)은 정확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단말(100)은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입력을 재감지할 수 있다.
입력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단말(100)은 입력을 재감지할 수 있다(210).
이하에서는,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단말(100)의 보안 상태 해제를 제어하고, 단말(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단말(100)은 보안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310).
단말(100)은 잠금 모드, 보안이 설정된 메모, 이미지, 동영상, 연락처, 일정 등의 정보 열람, 요금 부과가 동반되는 정보,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등의 구매 등 보안에 관련된 사항에 의하여 보안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단말(100)은 보안 상태 진입에 따라, 보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320).
입력은 임의의 모양(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모양은 글자, 숫자, 특수기호 등을 형성하는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은 "Brown", "John"과 같은 이름, 성별, 별명 등의 사용자 식별 단어일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입력은 "call", "memo", "map"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지칭하는 단어일 수도 있다.
또한, 입력은 특정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단은 손가락(finger) 및 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입력은 터치 입력, 근접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상태에서 "Brown"이라는 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상태에서 "call mom"이라는 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및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및 명령어 검색은 단말(100)의 프로세스 스케쥴링에 따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330).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입력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331).
입력 속성은, 예를 들어, 입력 수단, 입력의 모양(shape) 및 속도(spe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감지된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수단을 손가락 및 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100)은 서로 다른 입력 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입력이 어떤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입력 수단을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패드 형태로 단말(100)에 실장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EMR 패드, TSP 등일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감지된 입력의 면적을 기초로 입력 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감지된 입력의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 입력 수단이 손가락인 것으로 판단하고, 면적이 기 설정된 임계 면적 이하인 경우, 입력 수단이 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0)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된 입력의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입력의 시작점을 원점으로 하여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에서 추출된 좌표들의 절대적인 위치가 아니라, 입력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기초로 좌표를 추출함으로써, 입력의 감지 위치와 무관한 순수한 모양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추출된 좌표를 기초로 기 설정된 주기 동안 입력이 이동한 거리(pixel, mm, cm 등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를 연산하여 주기 시간에 따른 입력의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전체 입력에 대한 평균 속도 또는 속도의 편차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추출된 입력 속성을 사용자 인증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332).
사용자 인증 정보는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 것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 방법에 의하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단말(100)은 Brute Force, Knuth-Morris-Pratt, Boyer-Moore, Shift-Or 등의 문자열 비교 알고리즘 또는 신경망 알고리즘, 비트맵 알고리즘 등의 이미지 비교 알고리즘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 속성의 동일/유사/상이 여부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출된 입력 수단을 기초로 입력 속성을 비교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출된 입력 속성을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속성 중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입력 속성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333).
단말(100)은 입력 속성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감지된 입력 및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의 유사한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 속성별로 유사도를 연산하고, 입력 속성별 유사도를 합산하여 전체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입력 속성별 유사도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중치는 사용자가 보안 해제를 위해 발생시킨 입력 및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 간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특정 입력 속성이 영향을 미치는 비중을 크게 또는 작게 설정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즉, 가중치는 각각의 입력 속성이 전체 유사도에 기여하는 비율일 수 있다. 가중치는 입력 감지 실험에 있어서 EER 성능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중치는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 속성별 유사도 및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기초로 전체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 단말(100)은 n 가지 입력 속성에 대하여, 각 입력 속성별 유사도 유사도1, 유사도2, ... , 유사도n 및 각 입력 속성에 대한 가중치 f_1, f_2, ... , f_n을 기초로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전체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단말(100)은 전체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334).
임계값은 사용자가 인증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유사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임계값은 사용자가 보안 해제를 위해 발생시킨 입력이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유사도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임계값은 입력 감지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가중치를 기초로 입력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100)은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335).
반면, 유사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100)은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336).
또한, 단말(100)은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340).
단말(100)은 입력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으로부터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 공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패턴 정합법(pattern matching) 및 구조 분석법(structure analysis)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인식하고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입력으로부터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출된 문자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명령어 테이블을 저장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테이블은 입력,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문자, 문자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정보 및 기타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은 감지된 입력을 캡쳐하거나,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좌표의 정보일 수 있다. 입력은 감지된 입력의 모양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입력은 단말(100)의 특정 기능에 대응할 수 있는 입력으로, 예를 들어, "email", "browser", "gallery", "map", "call"과 같은 모양의 궤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문자는 감지된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일부 또는 전체의 문자로, 단말(100)의 특정 기능에 대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문자는 "email", "browser", "gallery", "map", "call" 등일 수 있다.
문자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정보는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문자, 즉 임의의 명령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정보는 명령어 "browser"에 대응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실행 파일의 위치, 다운로드 경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상세한 정보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상세한 정보는 "email" 명령어에 대응하여 이메일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 발신자, 수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와 함께 추출된 문자를 기초로 발신자, 수신자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기타 상세한 정보는 "browser" 명령어에 대응하여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구동시 필요한 정보로 웹 페이지 주소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와 함께 추출된 문자를 웹 페이지 주소로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테이블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명령어 테이블은 사용자가 명령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연계하여 설정함으로써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단말(100)은 명령어 테이블에서 추출된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100)은 추출된 문자의 일부 또는 전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명령어를 검색할 수 있다.
단말(100)은 명령어 테이블로부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100)은 명령어 테이블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또는 기타 상세한 정보로부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관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결과를 기초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50).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0)은 보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360). 단말(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이 실패하였다는 내용의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햅틱 효과, 음향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을 재감지할 수 있다(310). 단말(100)은 인증 실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단말(100)의 제어를 금지하거나, 새로운 입력을 금지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인증 실패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단말(100)의 제어를 금지하거나, 새로운 입력을 금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0)은 보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단말(100)은 보안 상태의 해제에 따라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은 통화, 메일, 메시지, 메모, 지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 열람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0)은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명령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70).
명령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0)은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380).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를 구동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ll mom"이라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연락처에서 "mom"이라는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call"이라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으로, 연락처에서 "call"과 함께 추출된 문자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은 명령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가 단말(1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단말(100)은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를 실행하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100)은 보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보안 상태 해제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자가 배경 화면 및 배경 화면상에 위젯, 아이콘, 단축키,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되어 있는 대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Claims (18)

  1. 보안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의 입력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속성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속성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등록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등록 입력에 대한 입력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속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입력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상태 해제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10.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보안 상태에 진입함에 따라 보안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명령어 검색 결과를 기초로 보안 상태 유지, 보안 상태 해제 및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의 입력 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입력 속성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의 입력 속성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등록을 위한 등록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입력에 대한 입력 속성을 추출하고, 기 입력 속성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입력의 입력 수단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고,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보안 상태 해제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0084326A 2012-08-01 2012-08-01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27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26A KR20140027606A (ko) 2012-08-01 2012-08-01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13/787,088 US9572028B2 (en) 2012-08-01 2013-03-06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of the mobile device via handwriting recognition
EP13164314.0A EP2693359B1 (en) 2012-08-01 2013-04-1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of the mobile device via handwriting recognition
EP19153309.0A EP3493089B1 (en) 2012-08-01 2013-04-1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of the mobile device via handwriting recognition
US15/388,878 US9883397B2 (en) 2012-08-01 2016-12-22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of the mobile device via handwriting recognition
US15/882,370 US10292048B2 (en) 2012-08-01 2018-01-29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lock of the mobile device via handwriting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26A KR20140027606A (ko) 2012-08-01 2012-08-01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891A Division KR102154821B1 (ko) 2019-11-15 2019-11-15 필기 인식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606A true KR20140027606A (ko) 2014-03-07

Family

ID=4814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26A KR20140027606A (ko) 2012-08-01 2012-08-01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572028B2 (ko)
EP (2) EP3493089B1 (ko)
KR (1) KR201400276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22A1 (ko) * 2018-08-29 2020-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009850A (zh) * 2021-03-07 2021-06-2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低压联络柜的智能操作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606A (ko) * 2012-08-01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8943092B2 (en) * 2013-03-04 2015-01-27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ink based contextual search
KR102080743B1 (ko) * 2013-03-08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346B1 (ko) * 2013-03-15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68564B1 (ko) * 2013-03-15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3885B1 (ko) * 2013-04-26 2021-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88346B1 (en) * 2014-03-03 2022-03-29 Charles Schwab & C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s using weak authentication techniques, with differences for different features
CN104049863A (zh) * 2014-06-09 2014-09-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ES2688220T3 (es) 2014-06-11 2018-10-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y terminal para iniciar rápidamente un servicio de aplicación
WO2016119696A1 (zh) * 2015-01-29 2016-08-04 艾尔希格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动作的身份识别系统及方法
US11042228B2 (en) 2015-07-29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power written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28775B2 (en) * 2016-01-22 2019-03-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ross application digital ink repository
US10452830B2 (en) 2016-02-02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ng users via data stored on stylus devices
US10921873B2 (en) * 2017-08-14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20674B1 (ko) 2018-09-19 2020-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0995917A (zh) * 2019-10-22 2020-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锁屏解锁的方法及移动终端
CN111459353A (zh) * 2020-03-30 2020-07-28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终端的快速搜索方法、装置以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9498A (en) 1996-10-27 2003-02-12 Advanced Recognition Tech Application launching system
US7039805B1 (en) 1998-05-20 2006-05-02 Messing John H Electronic signature method
US6707942B1 (en) * 2000-03-01 2004-03-16 Palm 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ressure information for improved computer controlled handwriting recognition, data entry and user authentication
US20030233557A1 (en) 2002-06-13 2003-12-18 Zimmerman Thomas Guthrie Electronic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40203594A1 (en) 2002-08-12 2004-10-14 Michael Kotzi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ture validation
US7529391B2 (en) 2005-12-29 2009-05-05 Microsoft Corporation Signature verification
JP2007299034A (ja) * 2006-04-27 2007-11-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認証制御方法
US8174503B2 (en) * 2008-05-17 2012-05-08 David H. Cain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JP2010118047A (ja) * 2008-10-16 2010-05-27 Sharp Corp 通信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101565768B1 (ko) * 2008-12-23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JP2010198076A (ja) * 2009-02-23 2010-09-09 Sharp Corp 手書認証装置、手書認証パターンの表示方法および手書認証パターンの表示プログラム
KR101564222B1 (ko) 2009-05-26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US9563350B2 (en) 2009-08-11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92279A1 (en) * 2010-10-18 2012-04-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ouch sensor with force-actuated switched capacitor
US20110247065A1 (en) 2011-03-14 2011-10-06 Volodymyr Melnyk Simultaneous screen unlock and operation initiation
KR20140027606A (ko) * 2012-08-01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22A1 (ko) * 2018-08-29 2020-03-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5147A (ko) * 2018-08-29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009850A (zh) * 2021-03-07 2021-06-2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低压联络柜的智能操作方法及装置
CN113009850B (zh) * 2021-03-07 2022-06-0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低压联络柜的智能操作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3089B1 (en) 2023-11-08
US20140038557A1 (en) 2014-02-06
EP3493089C0 (en) 2023-11-08
US9883397B2 (en) 2018-01-30
EP2693359B1 (en) 2019-03-13
EP2693359A2 (en) 2014-02-05
US9572028B2 (en) 2017-02-14
EP3493089A1 (en) 2019-06-05
US20180152842A1 (en) 2018-05-31
US10292048B2 (en) 2019-05-14
EP2693359A3 (en) 2015-01-28
US20170105121A1 (en)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606A (ko)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108247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KR102561736B1 (ko) 터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지문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EP2876529B1 (en) Unlocking mobile device with various patterns on black screen
KR102214974B1 (ko) 잠금 화면 상에서 필기 형태의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87833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92807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using proximity touch
US20140359493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KR2018012464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1958878B1 (ko) 단말의 보안 해제 방법 및 그 단말
EP2811420A2 (en) Method for quickly executing application on lock scree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1036044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9444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3795868A (zh) 一种移动终端屏幕解锁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164454B1 (ko)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80051782A (ko)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90090260A (ko) 지문 인식을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013595B2 (en) Correlating fingerprints to pointing input device actions
KR2015002038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색 및 표시방법
CN109522706B (zh) 一种信息提示方法及终端设备
KR102147086B1 (ko) 필기 서명 입력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장치
KR102154821B1 (ko) 필기 인식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4822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1885732B1 (ko) 아이디를 자동적으로 기입하는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전자 장치
KR20220045098A (ko) 휴대형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