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147A -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147A
KR20200025147A KR1020180102061A KR20180102061A KR20200025147A KR 20200025147 A KR20200025147 A KR 20200025147A KR 1020180102061 A KR1020180102061 A KR 1020180102061A KR 20180102061 A KR20180102061 A KR 20180102061A KR 20200025147 A KR20200025147 A KR 2020002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input
handwriting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550B1 (ko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550B1/ko
Priority to PCT/KR2019/010847 priority patent/WO2020045922A1/ko
Publication of KR2020002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HANDWIRTING INPU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 장치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을 비롯하여, 데이터 저장 기능, 또는 정보 입출력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휴대가 가능한 기기이다. 휴대 전자 장치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방송 데이터 수신, 무선 인터넷, 게임 또는 일정 관리와 같이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자 장치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보다 직관적이고 다양한 입출력 방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 전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키패드를 이용하는 기존 입력 방식에서 벗어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필기 입력, 사용자가 행하는 특정 동작을 활용하는 제스처 입력 또는 음성 입력과 같은 다양한 입력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휴대 전자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그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최소한의 입력으로 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휴대 전자 장치의 입출력 방식은 보다 직관적이고 간소화되는 추세이다. 예컨대, 최소한의 입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방식이나 스타일러스 펜 분리 시 메모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필기 입력을 이용한 잠금 모드 해제 방식의 경우, 국가별 언어 문자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휴대 전자 장치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지만, 잠금 모드 해제 외에 다른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메모 기능 활성화 방식의 경우에도, 잠금 모드에서도 특정 기능을 빠르게 활성화시킬 수 있으나, 입력 도구가 스타일러스 펜으로 한정되고, 활성화 가능한 기능이 메모 기능으로 제한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 전자 장치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필기 입력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동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도 간단한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기반으로 불필요한 화면 전환이나 화면 전환을 위한 추가 입력 없이도 간편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 데이터의 등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오프 상태에서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잠금 상태에서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과 같은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또는 자이로 콤파스),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IoT)(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또는 보일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 display driver IC(integrated circuit))(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예: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로서, 디스플레이(310) (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또는 도 2의 표시 장치(16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기 위해 등록된 것으로,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생성된 필기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화면 오프 상태는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지 않아 디스플레이(310)에 블랙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화면 잠금 상태는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310)가 켜져 있으나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장치(101)에 구비되거나 별도 구매 후 전자 장치(101)와 연동하여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데이터의 획의 모양,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때 획의 속도, 획의 입력 순서, 또는 획 입력 시 감지되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120)가 각종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0)가 화면 오프된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0)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에 포함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 검출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한 터치 입력이 제한된 공간에서 입력되는 단순 터치인지, 또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20)는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획의 입력 속도, 획이 입력되는 순서, 또는 획 입력 시 감지되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계산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템플릿 매칭이나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딥러닝을 이용한 획의 모양 비교를 비롯하여 획의 속도 차이, 획의 입력 순서 차이, 또는 획 입력 시의 압력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유사도 계산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계산 시 상기 필기 입력의 모양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고유 특징인 필속, 필순, 또는 필압과 같은 속성들이 함께 고려되기 때문에, 타인이 상기 사용자의 필체를 모사하더라도 차이점 검출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차등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약한 레벨을 나타내는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인 '2' 또는 '3'보다 낮은 유사도 임계값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강한 레벨을 나타내는 '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레벨인 '1' 또는 '2'보다 높은 유사도 임계값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유사도 임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유사도 계산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개수가 다르게 지정되거나 또는 속성 별 유사도의 종합 점수가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레벨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에 대한 모양, 필속, 필순, 및 필압의 4가지 속성들 중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유사도가 계산되고, 보안 레벨이 '3'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유사도 계산을 위해 상기 4가지 속성들이 모두 고려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4가지 속성 별로 유사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속성 별 유사도 스코어를 종합한 점수를 상기 보안 레벨에 따라 차등을 두어 상기 유사도 판단의 기준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보안 레벨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 또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계산기, 또는 플래시와 같이 콘텐트를 단순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레벨이 설정되고, 예매, 결제 또는 일정과 같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높은 보안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화면 잠금이 설정되지 않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할 때 상기 보안 레벨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화면 잠금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화면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면 잠금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의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의 유사도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필기 입력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메모로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 프로세서(120)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310) 및 상기 프로세서(2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310)에 대한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안 레벨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상기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 또는 사용자 등록 설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필속, 필순, 또는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계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차등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화면 잠금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화면 잠금이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화면 잠금 해제 및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메모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지 않는 화면 오프 시 디스플레이(310) 상에 블랙 화면(4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대기 중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전자 장치(101)는 블랙 화면(400)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터치 입력 감도를 높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센서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 검출을 통해, 상기 수신한 터치 입력이 제한된 공간에서 입력되는 단순 터치인지, 또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미리 등록해둘 수 있다. 블랙 화면(400)이 표시된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필기 입력과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등록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각 필기 입력 데이터마다 지정된 유사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블랙 화면(400)이 표시된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Mu"라는 필기 입력(410)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고, 필기 입력 데이터가 등록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Mu"(410)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는 사전에 메모리(130)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 실행 시 재생되는 음악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되거나 재생목록에 저장된 음악파일이 랜덤으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Mu"(410)가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한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와 동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기 입력"Mu"(410)와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 간의 유사도는 상기 필기 입력"Mu"(410)의 모양, 획의 입력 속도, 획의 입력 순서 또는 획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기반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Mu"(410)와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지정된 유사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를 화면 온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10)에 설정된 잠금 모드 해제하고,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임계값은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응하는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의 보안 레벨이 '2'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인 '3'보다 낮은 유사도가 요구되므로 상기 유사도 임계값이 상대적으로 낮게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임계값에 따라, 상기 유사도 계산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개수가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레벨이 '3'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필기 입력"Mu"(410)의 모양, 필속, 필순, 및 필압의 4가지 속성들이 모두 고려되지만, 보안 레벨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4가지 속성들 중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필기 입력"Mu"(410)와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의 유사도가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한 필기 입력 데이터 등록 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 또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할 때 상기 보안 레벨을 함께 설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1)에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을 때 화면 잠금이 설정되지 않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해 지정된 보안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보안 레벨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항목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경우에는, 각 항목에 대응하여 설정 가능한 보안 레벨들 중 가장 높은 보안 레벨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b에서는 사용자의 간단한 필기 입력으로 특정 대상에게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블랙 화면(400)이 표시된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홍"이라는 필기 입력(420)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필기 입력 데이터가 등록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홍"(420)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을 통해 대상자로 설정된 홍길동과의 전화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을 이용하여 홍길동에게 전화 발신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는 사전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홍"(420)과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 간의 유사도는 상기 필기 입력"홍"(420)의 모양, 상기 필기 입력"홍"(420) 입력 시 획의 속도, 획의 입력 순서 또는 획의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홍"(420)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지정된 유사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필기 입력"홍"(420)과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가 동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을 이용하여 홍길동에게 전화 발신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임계값은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에 대응하는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의 보안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레벨인 '1' 또는 '2'로 설정되어 있을 때보다 높은 유사도가 요구되므로 상기 유사도 임계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지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사도 임계값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홍"(420)의 모양, 필속, 필순, 및 필압의 4가지 속성들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필기 입력"홍"(420)과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의 유사도가 계산될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경우, 연락처에 저장된 특정 대상 또는 특정 번호 별로 다른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 "Mu"(410)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뮤직 어플리케이션(411)에 대한 필기 입력 데이터를 사전에 등록해둘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 제스처 등록 화면(500)을 실행하면, 명령 추가를 위한 메뉴(50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명령 추가 메뉴(501)가 선택되면, 필기 입력 데이터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310) 상에 표시되는데,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이 상기 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록에서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이 선택되면,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화면으로 전환되며, 사용자는 뮤직 어플리케이션(510) 실행을 위한 필기 입력 데이터 "Mu"(511)를 상기 등록 화면의 필기 입력 공간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 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비문자에 관계없이 원하는 필기 입력이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로서 등록 가능하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Mu"(511)를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에 대응하여 등록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등록된 필기 입력 데이터 중 "Mu"(511)와 유사한 필기 입력 데이터가 있으면 "Mu"(511)는 필기 입력 데이터로 등록되지 않으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새로운 필기 입력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Mu"(511) 입력과 함께,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에 대한 보안 레벨 설정도 가능하다.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에 대한 보안 레벨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에 대해 지정된 보안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 화면 잠금이 설정된 경우에는 잠금 모드에 대응하여 지정된 보안 레벨이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잠금 모드가 보안 레벨이 높은 경우(예를 들어, 홍채, 또는 지문과 같은 생체 인식)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의 보안 레벨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의 보안 레벨이 높게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의 실행을 위해 추가적인 보안 정보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필기 입력 "Mu"(410)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을 판단하고,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의 보안 레벨에 따라 사용자의 홍채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추가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잠금 모드가 해제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510)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Mu"(511)의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된 필기 입력 데이터의 썸네일과 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설정된 보안 레벨이 기존에 등록된 필기 입력 데이터 관련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등록 외에도, 전자 장치(101)의 진동이나 음향의 세부 설정 변경, 연락처 추가, 메시지 전송 또는 전화 발신과 같은 다양한 동작 수행을 위해 등록될 수도 있다.
도 5b에서는, 도 4b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 "홍"(420)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421)을 이용한 전화 발신 동작에 대한 필기 입력 데이터를 사전에 등록해둘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 제스처 등록 화면(500)을 실행하면, 명령 추가를 위한 메뉴(50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명령 추가 메뉴(501)가 선택되면, 필기 입력 데이터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310) 상에 표시되는데,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이 상기 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록에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바로 전화 걸기'(520)가 선택되면,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화 걸기를 수행할 발신 대상을 연락처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락처에 저장된 대상 중 '홍길동'(521)을 선택한 후 등록 화면의 필기 입력 공간을 통해 필기 입력 데이터 "홍"(531)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 "홍"(531)의 입력과 함께, 홍길동을 대상으로 하는 전화 발신 동작에 대한 보안 레벨 설정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발신 동작에 대한 보안 레벨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지정된 보안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 데이터의 등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 전자 장치(101)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해둘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101)는 필기 입력 데이터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의 등록을 위한 제스처 등록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스처 등록 페이지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의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선택된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필기 입력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는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외의 타인이 알 수 없는 문자 또는 비문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의 등록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데이터가 기존에 이미 등록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데이터는 등록되지 않고,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새로운 필기 입력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선택된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보안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 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에 따라 상기 보안 레벨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으면 가장 높은 단계의 보안 레벨이 자동으로 설정되고,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가장 낮은 단계의 보안 레벨이 자동 설정되거나 다른 설정 조건에 따른 보안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 레벨은 상기 등록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필기 입력 데이터 등록 시 초기 설정된 후, 사용자의 입력 또는 다른 설정 변경에 대응하여 추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변경에 따라 보안 레벨의 설정 또한 자동 변경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상기 보안 레벨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의 등록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보안 레벨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와 유사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필기 입력을 하나 이상의 필기 입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필기 입력 데이터 중 상기 필기 입력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기 위해 등록된 것으로,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생성된 필기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화면 오프 상태는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지 않아 디스플레이(310)에 블랙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화면 잠금 상태는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310)가 켜져 있으나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데이터의 획의 모양,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때 획의 속도, 획의 입력 순서, 또는 획 입력 시 감지되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대기 중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310)가 화면 오프된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0)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에 포함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터치 입력이 제한된 공간에서 입력되는 단순 터치인지, 또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1)는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의 유사도 계산을 통해 상기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계산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획의 입력 속도, 획이 입력되는 순서, 또는 획 입력 시 감지되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사도 계산은 상기 보안 레벨을 기반으로 차등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임의의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낮은 레벨로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1 필기 입력 데이터의 모양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높은 레벨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제1 필기 입력 데이터의 모양 외에 필속, 필순 또는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 고려하여, 상기 필기 입력 및 상기 제1 필기 입력 데이터가 동일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필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비교 결과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차등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약한 레벨을 나타내는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인 '2' 또는 '3'보다 낮은 유사도 임계값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강한 레벨을 나타내는 '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레벨인 '1' 또는 '2'보다 높은 유사도 임계값이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있어, 상기 보안 레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1'로 설정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화면 잠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3'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함께 전자 장치(101)에 대한 화면 잠금 설정을 해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한 기능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이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화면 잠금 설정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710),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작(720)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7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710)은,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310)에 대한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710)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안 레벨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상기 전자 장치(101)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 또는 사용자의 등록 설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작(720)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필속, 필순, 또는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임계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차등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730)은, 화면 잠금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화면 잠금이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화면 잠금 해제 및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가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메모로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오프 상태에서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지 않는 화면 오프 시 디스플레이(310) 상에 블랙 화면(8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8a에서, 블랙 화면(800)이 표시된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Call 홍길동"이라는 필기 입력(810)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에 대한 텍스트 인식 및 콘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이 연락처에 등록된 홍길동에게 전화를 거는 동작을 명령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화 어플리케이션(811)이 실행될 필요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판단된 전화 어플리케이션(811)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과 연관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에 대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의 주변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링크 정보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의 색상이나 굵기가 변형되거나 밑줄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Call 홍길동"(810)과 연관되어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바로 전화 어플리케이션(811)을 실행하고, 전화 어플리케이션(811)을 통해 홍길동에게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전에 등록된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동작과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한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판단된 명령 실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락처에 등록된 홍길동에 대한 필기 입력 데이터 '홍'을 미리 등록해두고, '홍'과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연관되는 명령을 조합한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홍길동을 대상으로 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홍call"이라는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에 등록된 홍길동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홍@"라는 필기 입력이 입력되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에 등록된 홍길동의 이메일 주소로 이메일을 보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조합 필기 입력의 입력 순서에 따라 세부 동작을 다르게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입력되는 "홍call" 또는 "홍@"의 필기 입력에 대응하여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홍길동에게 전화를 걸거나 이메일을 보내는 동작을 실행하고, "call홍" 또는 "@홍"의 필기 입력에 대응해서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홍길동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동작까지만 수행할 수 있다.
도 8b에서, 블랙 화면(800)이 표시된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alarm 06:30"이라는 필기 입력(820)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alarm 06:30"(820)에 대한 텍스트 인식 및 콘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필기 입력 "alarm 06:30"(820)이 6시 30분 알람 설정에 관한 동작을 명령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알람 어플리케이션(821)이 실행될 필요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판단된 알람 어플리케이션(821)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필기 입력 "alarm 06:30"(820)과 연관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기 입력 "alarm 06:30"(820)에 대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 "alarm 06:30"(820)의 주변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링크 정보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alarm 06:30"(820)의 색상이나 굵기가 변형되거나 밑줄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alarm 06:30"(820)과 연관되어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바로 알람 어플리케이션(821)을 실행하고, 알람 어플리케이션(821)을 이용하여 6시 30분 알람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c에서, 블랙 화면(800)이 표시된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Play Music"이라는 필기 입력(830)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Play Music"(830)에 대한 텍스트 인식 및 콘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필기 입력 "Play Music"(830)이 음악을 재생하는 동작을 명령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뮤직 재생 어플리케이션(831)이 실행되어야 함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판단된 뮤직 재생 어플리케이션(831)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필기 입력 "Play Music"(830)과 연관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기 입력 "Play Music"(830)에 대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 "Play Music"(830)의 주변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링크 정보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Play Music"(830)의 색상이나 굵기가 변형되거나 밑줄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Play Music"(830)과 연관되어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바로 뮤직 재생 어플리케이션(831)을 실행하고, 뮤직 재생 어플리케이션(831)을 통해 음악을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뮤직 재생 어플리케이션(831) 실행 시 재생되는 음악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지정되거나, 재생목록에 저장된 음악파일이 랜덤으로 재생될 수 있다.
도 8d에서, 블랙 화면(800)이 표시된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 상에 사용자로부터 "37+62="이라는 필기 입력(840)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입력된 필기 입력 "37+62="(840)에 대한 텍스트 인식 및 콘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필기 입력 "37+62="(840)이 37과 62의 덧셈 연산에 관한 동작을 명령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산기 어플리케이션(841)이 실행될 필요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판단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841)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필기 입력 "37+62="(840)과 연관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기 입력 "37+62="(840)에 대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인 경우, 상기 필기 입력 "37+62="(840)의 주변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링크 정보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37+62="(840)의 색상이나 굵기가 변형되거나 밑줄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필기 입력 "37+62="(840)과 연관되어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오프 상태에서 바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841)을 실행하고, 계산기 어플리케이션(841)을 이용하여 37과 62의 덧셈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블랙 화면(800)이 표시된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함에 대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순 실행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세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뮤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악이 재생 중인 상태에서 블랙 화면(800) 상에 '→'의 필기 입력(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뮤직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재생목록의 다음 곡으로 건너뛰기 기능을 실행하고, '↑'의 필기 입력(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세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필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등록 설정될 수 있다.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세부 동작을 판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잠금 상태에서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900)(예: 도 3의 디스플레이(310))가 화면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입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900)가 켜져 있으나 잠금 화면(910)이 표시되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화면(910) 상에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잠금 화면(9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한 텍스트 인식 및 콘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동작과 상기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과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면, 도 9b와 같이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필기 입력과 연관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한 동작과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함에 따라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필기 표시 공간(9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도 9b와 같이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 주변에 추가 표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의 굵기, 색상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공 방식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도 9c 내지 도 9f에서는 필기 표시 공간(920)을 통해 표시된 하나 이상의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의 선택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9c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필기 입력 중 "www.aaa.com"에 대응하여 표시된 인터넷 아이콘(930)의 선택이 입력되면, 인터넷 웹 브라우저(931)가 실행되어 www.aaa.com의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d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필기 입력 중 "abc@gggg.com"에 대응하여 표시된 이메일 아이콘(940)의 선택이 입력되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941)이 실행되어 abc@gggg.com의 이메일 주소를 대상으로 하는 이메일 작성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e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필기 입력 중 "010-1234-5678"에 대응하여 표시된 전화 아이콘(950)의 선택이 입력되면, 전화 어플리케이션(951)이 실행되고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페이지에 010-1234-5678의 전화번호가 자동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951)을 통해 010-1234-5678의 전화번호를 연락처에 추가하거나, 또는 010-1234-5678의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도 9f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필기 입력 중 "37+62="에 대응하여 표시된 계산기 아이콘(960)의 선택이 입력되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961)이 실행되어 37과 62의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c 내지 도 9f에서, 상기 아이콘에 대한 선택은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901)이나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9b와 같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기반으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더라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기 입력은 메모로서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 및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대기 중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0)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에 포함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터치 입력이 제한된 공간에서 입력되는 단순 터치인지, 또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1)는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해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에 포함된 명령 또는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콘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상기 필기 입력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디케이터가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주변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링크 정보인 경우,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색상이나 굵기가 변형되거나 밑줄이 추가 표시될 수 있다.
동작 10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잠금 상태에서도 실행 가능하도록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면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지 않고 잠금 해제를 위한 인증페이지가 표시되며, 인증에 성공하여 상기 화면 잠금이 해제된 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도 실행 가능하도록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계산기, 또는 플래시와 같이 콘텐트를 단순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예매, 결제 또는 일정과 같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은 보안을 위해 사용자 인증에 따라 화면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 한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지정된 시간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을 메모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디케이터가 선택되지 않은 필기 입력을 메모로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1010), 상기 필기 입력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동작(1020),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하는 동작(1030),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1040) 및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10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하는 동작(1030)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또는 대응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1040)은, 상기 콘텍스트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동작 및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인디케이터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1050)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면, 상기 화면 오프 상태 또는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대기 중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310)가 화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0)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31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1)의 센서 모듈에 포함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얼굴의 근접 정도나 터치 면적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터치 입력이 제한된 공간에서 입력되는 단순 터치인지, 또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1)는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은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기 위해 등록된 것으로, 전자 장치(101)와 연동되는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생성된 필기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필기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필기 입력 데이터의 획의 모양,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때 획의 속도, 획의 입력 순서, 또는 획 입력 시 감지되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의 유사도 계산을 통해 상기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계산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필속, 필순, 또는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비교 결과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계산된 유사도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 중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유사한 필기 입력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140에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해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약한 레벨을 나타내는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보안 레벨인 '2' 또는 '3'보다 낮은 유사도 임계값이 지정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레벨이 가장 강한 레벨을 나타내는 '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레벨인 '1' 또는 '2'보다 높은 유사도 임계값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에 따라, 상기 유사도 계산 시 고려되는 속성의 개수가 다르게 지정되거나 또는 속성 별 유사도의 종합 점수가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레벨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에 대한 모양, 필속, 필순, 및 필압의 4가지 속성들 중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유사도가 계산되고, 보안 레벨이 '3'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유사도 계산을 위해 상기 4가지 속성들이 모두 고려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해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동작 1141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바로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더라도 지속적인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동작 1140에서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필기 입력이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필기 입력 데이터에 대해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동작 1142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메모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 중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유사한 필기 입력 데이터가 없으면, 도 11b와 같이 상기 필기 입력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해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에 포함된 명령 또는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151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콘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상기 필기 입력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디케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또는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 주변에 추가 표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공 방식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서, 동작 1152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잠금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으면, 동작 1153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설정된 화면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상기 필기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고유 특징인 필속, 필순, 또는 필압과 같은 속성들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 후 설정된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추가 요구하고,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설정된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310)의 화면 잠금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동작 1154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화면 잠금을 해제할 필요 없이 바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1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도 1의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201), 윈도우 매니저(1203), 멀티미디어 매니저(1205), 리소스 매니저(1207), 파워 매니저(1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211), 패키지 매니저(1213), 커넥티비티 매니저(1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1217), 로케이션 매니저(1219), 그래픽 매니저(1221), 시큐리티 매니저(1223), 통화 매니저(1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1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1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1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1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1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1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1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1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1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1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1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1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1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1251), 다이얼러(1253), SMS/MMS(1455), IM(instant message)(1257), 브라우저(1259), 카메라(1261), 알람(1263), 컨택트(1265), 음성 인식(1267), 이메일(1269), 달력(1271), 미디어 플레이어(1273), 앨범(1275), 와치(1277), 헬스(1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1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1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101)가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101)가 필기 입력의 콘텍스트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필기 입력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동작,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하는 동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레벨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 또는 사용자의 등록 설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필속, 필순, 또는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차등적으로 지정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화면 잠금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화면 잠금이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화면 잠금 해제 및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메모로 저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입력 감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레벨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잠금 설정 여부, 또는 사용자의 등록 설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의 모양, 필속, 필순, 또는 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입력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계산된 유사도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저장된 보안 레벨에 기반하여 차등적으로 지정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은,
    화면 잠금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화면 잠금이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화면 잠금 해제 및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오프 상태에서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을 메모로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7.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필기 입력의 텍스트를 인식하는 동작;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하는 동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콘텍스트를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한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또는 대응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콘텍스트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동작; 및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수식, 이미지 또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인디케이터로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오프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면, 상기 화면 오프 상태 또는 상기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KR1020180102061A 2018-08-29 2018-08-29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61A KR102568550B1 (ko) 2018-08-29 2018-08-29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10847 WO2020045922A1 (ko) 2018-08-29 2019-08-26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61A KR102568550B1 (ko) 2018-08-29 2018-08-29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47A true KR20200025147A (ko) 2020-03-10
KR102568550B1 KR102568550B1 (ko) 2023-08-23

Family

ID=696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61A KR102568550B1 (ko) 2018-08-29 2018-08-29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8550B1 (ko)
WO (1) WO20200459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6159A (zh) * 2020-12-29 2022-07-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及其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存储设备
CN114756159B (zh) * 2020-12-29 2024-05-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及其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存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539A (ko) * 2008-07-3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KR20140027606A (ko) * 2012-08-01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82411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성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08971A (ko) * 2013-06-2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768B1 (ko) * 2008-12-23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US9563350B2 (en) * 2009-08-11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539A (ko) * 2008-07-3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KR20140027606A (ko) * 2012-08-01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82411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성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08971A (ko) * 2013-06-2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6159A (zh) * 2020-12-29 2022-07-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及其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存储设备
CN114756159B (zh) * 2020-12-29 2024-05-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及其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存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922A1 (ko) 2020-03-05
KR102568550B1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9632B2 (en) Fingerpri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15135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gistering fingerprint in electronic device
US10990208B2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 expandable screen area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27201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ask recommendation icon in a mobile device
US100958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ted signature proces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48285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필체 교정 기능 제공 방법
KR102187833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249643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list of executable applications on split scre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08712B2 (en) Method for recognizing rotation of rotating body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the same
US20160026272A1 (en)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70678B1 (ko) 전자 장치의 터치 센싱 모듈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싱 모듈의 동작 방법 및 터치 센싱 모듈
US94266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airing in electronic apparatus
US10853024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mapped between a plurality of inputs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903698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to application through input unit
KR20150145583A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037135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user interface
KR20160046401A (ko)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134298A (ko)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1308953B2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568550B1 (ko) 필기 입력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1740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riting input
KR102154821B1 (ko) 필기 인식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3422B1 (ko)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882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input method therefor
KR20200133945A (ko) 전자 장치 및 페이지를 고속 스크롤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