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079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079A
KR20220045079A KR1020227010769A KR20227010769A KR20220045079A KR 20220045079 A KR20220045079 A KR 20220045079A KR 1020227010769 A KR1020227010769 A KR 1020227010769A KR 20227010769 A KR20227010769 A KR 20227010769A KR 20220045079 A KR20220045079 A KR 2022004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signal
communication
transmitter
beam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632B1 (ko
Inventor
토마스 하우스테인
랄스 시엘
빌헬름 케우스젠
마커스 그로슈만
마커스 란드만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2004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7Space-time diversity using beamforming per multi-path, e.g. to cope with different directions of arrival [DOA] at different multi-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레이는 무선 채널을 통해 다중-안테나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송신기(UE, BS)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퍼로 매핑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진다. 프로세서는 장치(BS) 및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S,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방향은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된 라디오 채널의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SPECULAR COMPONENT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개시 발명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의 분야에 관련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기지국 및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간의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들 간의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신뢰성있는 통신들과 같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각각의 엔티티들 간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들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코어 네트워크(102)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104)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일례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복수의 기지국들(eNB1 내지 eNB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각각의 셀들(1061 to 1065)에 의해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기지국을 둘러싸는 특정 영역을 서비스한다. 기지국들은 셀 내에서 사용자들을 서비스하도록 제공된다. 사용자는 고정형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또는 사용자와 접속하는 IoT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은 물리적 디바이스들, 차량들, 빌딩들 및 내부에 내장된 전자장치, 소프트웨어, 센서들, 액추에이터들 등을 가지는 다른 아이템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리고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단지 5 개의 셀들의 예시도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더 많은 이러한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셀 (1062)에 있고 기지국 (eNB2)에 의해 서비스되는, 또한 사용자 장비(UE)로도 지칭되는, 두개의 사용자(UE1 및 UE2)를 도시한다. 다른 사용자(UE3)가 기지국(eNB4)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064)에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들(1081, 1082 및 1083)은 사용자(UE1, UE2 및 UE3)로부터 기지국들(eNB2, eNB4)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또는 기지국들(eNB2, eNB4)로부터 사용자(UE1, UE2, UE3)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uplink/downlink) 연결들을 도식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도 1은 셀(1064)에서 2 개의 IoT 디바이스들(1101 및 1102)을 도시하며, 이들은 고정형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화살표(1121)에 의해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1101)는 기지국(eNB4)을 통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액세스한다. 화살표(1122)에 의해 도식적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1102)는 사용자(UE3)를 통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액세스한다. 각각의 기지국(eNB1 내지 eNB5)은 각각의 백홀(backhaul) 링크들(1141 내지 1145)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102)로 연결되며, 백홀 링크들은 "코어"를 향하는 화살표들에 의해 도 1에서 도식적으로 표현된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들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 또는, 예를 들어, DFT-s-OFDM와 같은 CP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임의의 다른 IFFT-기반 신호와 같은 주파수-분할 다중화에 기초한 임의의 단일-톤(single-tone) 또는 다중-캐리어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를 위한 비-직교 파형들, 예를 들어, 필터-뱅크 다중캐리어(FBMC), 일반화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GFDM) 또는 범용 필터링된 다중 캐리어(UFMC)와 같은 다른 파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및 5G / NR(new radio)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을 위해,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가 이용될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 그리드는 다양한 물리적 채널들 및 물리적 신호들이 매핑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들은,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로 지향되는, 사용자 특정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및 업링크 공유 채널들(PDSCH, PUSCH),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전달하는 물리적 방송 채널(PBCH),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에 대하여, UE가 MIB 및 SIB를 동기화하고 획득하였다면, 물리적 채널들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들에 의해 이용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RAC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신호들은 기준 신호들(RS), 동기화 신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시간 도메인에서 10밀리 세컨드와 같은 특정 듀레이션(duration)을 갖고 그리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주어진 대역폭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길이의 특정 개수의 서브 프레임들, 예를 들어 1 밀리 세컨드의 길이를 갖는 두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사이클릭 프리픽스(CP) 길이에 의존하는 6 개 또는 7 개의 OFDM 심볼들의 두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BS) 및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무선 모바일 통신은 라디오 채널을 이용한다. 라디오 채널은, 시선(LoS)(line-of-sight) 경로로도 지칭될 수 있는, 직접 경로, 및/또는 비-시선(NLoS) 경로들로도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사(reflected)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들은 또한 컴포넌트들로서 지칭된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UE 및 기지국 사이의 모바일 통신을 위한 라디오 채널의 각각의 경로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기지국(BS)은 기지국(BS)에 의해 정의된 셀 내에서 UE를 서빙하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셀 내부에는, 예를 들어, 빌딩들, 나무들, 언덕들 또는 산들과 같은, 많은 장애물들(2001 및 2002)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BS)과 UE 사이의 통신은,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복수의 NLoS 경로들(204a, 204b)뿐만 아니라 LoS 경로(202)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라디오 채널(200)을 이용한다. 제1 NLoS 경로(204a)는 기지국(BS)으로부터 제1 장애물(2001)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204a1) 및 제1 장애물(2001)로부터 UE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 (204a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장애물(2001)로 향하는 방향에서 기지국(BS)에 의해 라디오 채널(200)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장애물에서 반사되고 그리고 또한 UE에서 수신된다. 마찬가지로, 제2 NLoS 경로(204b)는 기지국(BS)으로부터 제2 장애물(2002)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204b1) 및 제2 장애물(2002)로부터 UE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204b2)를 포함한다.
BS에는 다중 안테나들 및 다중 송신/수신 신호 프로세싱 체인들이 구비될 수 있고 그리고 매시브(masive) MIMO(다중 입력 다중 출력) BS로 지칭될 수 있다. BS는 하나 이상의 송신 빔들 또는 에너지를 복수의 상이한 방향들로 동시에 지향시킬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빔들 또는 에너지를 복수의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UE는,예를 들어,적어도 두개의 안테나들 및 송신/수신 체인들인 다중 안테나들 및 다중 송신/수신 체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이는 UE가 복수의 상이한 방향들에서/로부터 빔들 또는 에너지를 송신/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UE는 또한 MIMO UE로 지칭될 수 있다. 적절한 간격을 갖는 두개의 안테나를 가정하면, UE는 제1 방향에서/로부터 송신되는/수신되는 신호가 가장 강한 절반-평면(half-plane) 마다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로부터 신호의 송신/수신이 불가능한 절반-평면마다 제2 별개의 방향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또한 널(null)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신뢰성있는 통신을 위하여, 무선 통신을 위해 라디오 채널의 가장 강한 컴포넌트들 또는 경로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BS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에서 무선 송신을 고려하는 경우, BS는 UE로 향하는 특정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공급하고, 그리고 UE는 송신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자신의 다중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빔 형성/최대 비율 결합 또는 MIMO 다중화와 같은 공간 신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BS는 LoS 및 NLoS 경로들(202, 204)을 따라 UE를 향해 송신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가장 강한 컴포넌트들/경로들은 LoS경로 및 정면 반사들(specular reflections)로 인해 발생한다. 그와 반대로, UE로부터 BS를 향한 업링크 통신에서, UE는 다중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들로 에너지 또는 빔들을 전송하고, 그리고 BS는 그에 따라 BS의 다중 안테나들을 적응(adapt)시킴으로써 특정 방향들로부터 에너지 또는 빔들을 수신한다.
신뢰성있는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BS 및 UE는 BS/UE의 다중 안테나들을 라디오 채널의 가장 강한 경로들에 정확하게 적응시킬 수 있도록 라디오 채널의 가장 강한 컴포넌트들 또는 경로들에 대한 지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들이 사용되는 종래의 방식들에 따라, 예를 들어, FD-MIMO(full dimension MIMO)에서, (비)-프리코딩된((non)-precoded))된 CSI-RS(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들)는 다운링크(DL) 방향으로 UE 마다 최상의, 적합한 또는 요구되는 빔포머를 선택하기 위해 BS와 UE 사이의 라디오 채널을 추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그러나, 이것은 충분히 정확하지 않을 수 있고 상당한 계산 오버헤드를 포함할 수 있는 주파수/시간 도메인 신호들의 추정을 요구한다.
계산 오버 헤드를 피하면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들 간의 통신을 위해 라디오 채널 내에서 가장 강한 경로들을 결정하기 위한 개선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내용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들예에 따르면, 본 개시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또는 사용자 장비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며, 안테나 어레이는 라디오 채널(radio channel)을 통해, UE 또는 BS와 같은, 다중 -안테나 송신기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가지며, 각 서브캐리어는 송신기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beam former)에 매핑된다. 각각의 서브 캐리어 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Null) 및 빔 콘(beam cone) 방향들을 갖는다. 장치는 장치와 송신기 사이의 라디오 신호 통신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그리고 통신 방향은 널과 관련되거나 또는 최대 서브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되는 라디오 채널의 하나 이상의 반사(specular path)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르면, 수신된 신호들을 추정하기 보다는, MIMO 통신 링크에서, 가장 도미넌트(dominent)한 다중-경로 컴포넌트들로서도 지칭될 수 있는, 가장 강한 경로들이 암시적으로(implicitly) 추출된다. 종래의 방식들과는 대조적으로, 주파수/시간 도메인 신호들을 추정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적절한 송신 및 수신 기법들, 예를 들어, 송신 및 수신 빔 포머들, 간섭 조정 및 핸드오버를 도출하는데 이용되는 라디오 채널의 반사 컴포넌트들이 획득된다.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송신기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다른 예들에서, 장치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고 송신기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의 경우에 다른 사용자 장비일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본 발명의 방식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치가 기지국인 예를 고려하면,BS는 UE와 같은 송신기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캐리어 신호의 서브캐리어를 위한 최대의 빔포머 또는 널과 관련된 라디오 채널의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UE 및 BS 사이의 나중의 라디오 신호 통신을 위해 사용될 통신 방향을 결정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UE와 같은, 장치를 제공한다. 안테나 어레이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멀티-캐리어 신호를, BS와 같은, 수신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멀티-캐리어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각각의 서브캐리어 빔포머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가 제공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진다.장치와 송신기 사이의 라디오 신호 통신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수신기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식별된 통신 방향에 따라 라디오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예들에 따르면, 장치는 UE일 수 있고, 수신기는 BS일 수 있거나, 또는 수신기는 D2D 통신의 경우에 다른 UE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UE가 되는 장치를 고려하는 경우, UE는 BS와의 통신을 위한 다중-캐리어 신호를 제공한다. 다중-캐리어 신호를 UE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BS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정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방향을 결정하고 UE를 향해 식별된 통신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고, 이러한 신호의 기초하여, UE는, 예를 들어, UE로부터 BS로의 업링크(UL) 통신을 위한, 라디오 신호 빔포머를 계산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통신 링크를 위한 요구되는 통신 방향 또는 가장 도미넌트한 다중-경로 컴포넌트들이 수신된 주파수/시간 도메인 신호들을 이용한 라디오 채널의 추정에 기초하여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오히려, 라디오 채널에서의 통신 방향 또는 경로 컴포넌트들은 송신기에서의 서브캐리어-빔포머의 특성들에 의존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 컴포넌트들이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에 관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이를 통해,결정 프로세스가 용이해지고 라디오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복잡한 계산 프로세스들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 발명은 BS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며,상기 장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며,안테나 어레이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UE와 같은, 송신기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송신기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진다.장치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 또는 널과 관련된 라디오 채널의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다중-캐리어 신호에서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이 제거되도록 서브캐리어-빔포머를 조정하기 위해 송신기로 시그널링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라디오 채널에서 가장 도미넌트한 다중경로 컴포넌트들을 제거함으로써 장치는 더 높은 해상도로 다른 공간/반사 컴포넌트들을 수신 또는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 범위의 확장이 달성될 수 있다. 장치는 BS일 수 있고 송신기는 UE일 수 있다. 다른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UE와 BS 사이의 업링크 통신에서, 장치는 UE일 수 있고 송신기는 BS일 수 있다. 그러나, D2D 통신의 경우 송신기는 또한 다른 UE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례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기지국과 UE 사이의 모바일 통신을 위한 라디오 채널의 각 경로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3a는 복수의 안테나들 및 복수의 송신/수신 체인들을 포함하는 UE 또는 BS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3b는 안테나들 중 두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 도 3a의 UE에 의해 형성 될 수 있는 두개의 서브캐리어-의존 빔포머들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DoA들에 기초하여 BS와 UE 사이의 UL 채널의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을 추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또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신호 에너지 추정들에 기초한 본 발명의 방식의 실시예에 따라 BS와 UE 사이의 통신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신호 에너지 추정들 및 DoA들에 기초한 본 발명의 방식의 실시예에 따라 BS와 UE 사이의 통신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통신 방향 추정에 후속하여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BS에 의해 선택된 라디오 채널의 경로 컴포넌트들의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식에 따라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뿐만 아니라 유닛들 또는 모듈들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개시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엘리먼트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참조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방식의 실시예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공간 코딩을 통해 UE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캐리어 신호는 UE와 BS 사이의 업링크(UL) 통신에서 신뢰성있는 통신을 위해 유용한 반사 컴포넌트들의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복수의 안테나들(ANT1 및 ANT2) 및 복수의 송신/수신 체인들(206a 내지 206c)을 포함하는 UE의 도식적인 표현을 나타낸다. BS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두개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 및 적어도 두개의 송신/수신 체인들(206a 내지 206c) 을 포함하는 UE는 두개의 안테나들의 세트, 예를 들어, 충분한 안테나 간격, 예를 들어, 공간 도메인에서 단일 널(null)을 보장하기 위한 0.8λ 미만의 안테나 간격을 갖는 안테나들(ANT1 및 ANT2)을 선택할 수 있다.UE는 UE로부터 BS로의 업링크(UL) 통신을 위하여, 다중-캐리어 신호, 예를 들어 OFDM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신호가 각 안테나 포트에 공급되기 전에 적절한 위상- 및/또는 진폭 시프트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시프트들은 서브캐리어- 및 안테나-의존적일 수 있으며, 그 결과 각각의 안테나 포트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상이한 지연 및 송신된 다중-캐리어 신호 상의 진폭 가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방향들에서/로부터 UE에 의해 에너지가 송신/수신되는 상기 방향들을 결정하는, 유효 안테나 어레이 방사 패턴들으로도 지칭되는,개별 서브캐리어-의존 빔포머들이 생성된다. 예들에 따르면, 다른 안테나 포트들을 통해 전송되는 다중-캐리어 신호는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 다중-캐리어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협대역(narrowband) 빔포머로 매핑될 수 있고, 그리고
― 서브캐리어-의존 빔포머들은 스펙트럼 도메인에서 서로 직교할 수 있지만, 공간 도메인에서 중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CDD(Cyclic-Delay Diversity) 개념들과 유사하게, 다른 안테나 포트들에 대해 특정 지연을 도입함으로써 시프트들이 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UE들에게 어떤 지연이 사용될지를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된 빔포머들의 큰 세트는, 예를 들어, 코드북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UE들은 사용될 서브세트를 통지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코드북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마다 방사 방향에서 특정 변화를 정의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들과 같은 다수의 심볼들에 대하여,매핑은 BS가 플랫-페이딩(flat-fading) 또는 다른 에러들의 소스들의 영향들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코드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널 방향들의 선택은 CSI-RS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즉 각도 도메인(angular domain)에서 특정 오버샘플링을 갖는 DFT-기반 코드북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정의된 코드북들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각도 도메인에서 널들의 구조로 인해, 오버샘플링 인자는 증가될 수 있다. 오버샘플링 인자는 기지국에 의해 셀 특정 속성으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적응될 수 있다.코드북은 다음과 같이 MT-포인트 DFT 매트릭스의 첫 번째 M 개의 행들을 절단(truncate) 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는 DFT-기반 코드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3(b)는 안테나들 중 두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경우 3(a)의 U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두개의 서브캐리어-의존적 빔포머들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방향들과 최대 빔 콘 방향들을 갖는다. 널 방향들 및 빔 콘 방향들은 BS와 UE 사이의 통신 링크의 주어진/사용되는 신호 대역폭에 대하여 공간 도메인에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 따르면, 협대역 빔포머들은 각각의 서브 캐리어 신호에 적절한 위상- 및 진폭 가중치를 적용할 때 전체 공간 도메인의 특정 공간 영역만을 커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제 BS와 UE 사이의 통신을 위한 가장 강한 또는 가장 도미넌트한 반사 컴포넌트들을 추정하기위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BS와 UE 사이의 UL 채널의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을 추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또는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사운딩 프로세스 또는 절차로도 지칭된다.
프로세스는 추정 절차 또는 사운딩 절차가 개시되는 S100에서 시작한다. 예들에 따르면, 추정은, 예를 들어 PDCCH와 같은 BS와 UE 사이의 신호화 채널을 사용하여, BS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 따르면, 추정은 추정 프로세스와 함께 시작하기 위한 승인을 위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과 같은 신호화 채널을 통해 BS에 요청하는 UE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에는 매시브 MIMO 안테나 어레이와 같은 다수의 안테나들이 구비될 수 있다. BS는, S102에서, 라디오 채널을 통해 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한다. UE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중-캐리어 신호를 생성한다.
S104에서, BS는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또는 채널 경로 컴포넌트들의 모든 서브 캐리어들에 걸쳐 공동으로(jointly) 도달 방향(DoA) 추정을 수행한다. 예들에 따르면, 라디오 채널의 파라메트릭 디스크립션(parametric description)이 가정되고 각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는 경로-의존적 파라미터 DoA 및 DoD(출발 방향)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S106에서, 추정된 DoA들 중 첫번째 DoA가 선택되고, S108에서 선택된 DoA α와 관련된 채널 컴포넌트 또는 반사 경로가 하나의 특정 단일 서브-캐리어에서 페이딩 또는 사라지는지(disappear) 여부가 BS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된 DoA α와 관련된 채널 컴포넌트/반사 경로가 BS에서 하나의 특정 단일 서브-캐리어에서 페이딩되면/사라지면, UE 측에서의 이 특정 서브캐리어와 관련된 빔포머, 예를 들어, 협대역 빔포머는, 파라미터들 α, β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이 반사 경로 컴포넌트의 출발 방향 (DoD β)으로 정확하게 자신의 널을 향하게 한다. 페이딩/사라지는 채널 컴포넌트/반사 경로로 인해, BS는 BS에서의 DoA α 및 UE에서의 DoD β에 의해 기술된 통신 방향이 단일의 강한 반사 컴포넌트만을 포함한다는 것을 S110에서 도출한다.
S108에서 선택된 DoA에 대해 반사 경로가 페이드/사라지는 단일 서브-캐리어가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S112에서 선택된 DoA는 통신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예를 들어, 선택된 DoA에 대하여 신호가 다수 또는 모든 서브캐리어들에 대하여 BS에서, 즉, 다수 또는 모든 DoD들에 대하여 UE에서 사라지면, 이 선택된 DoA는 통신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주어진 DoA에 대해 신호가 항상 존재하고 신호가 사라지는 특정 서브캐리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BS에서 그러한 서브캐리어가 식별될 수 없는 경우, 해당 DoA 또는 통신 경로는 BS에서 각도 도메인에서 구별되지 않을 수 있는 여러 다중-경로/반사 컴포넌트들의 중첩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이러한 DoA는 UE에서 BS로의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신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선택된 DoA가 S108 내지 S112에서 평가 또는 프로세싱되면, S114에서, S104에서 추정된 모든 DoA들 또는 특정 개수의 DoA들이 평가 또는 프로세싱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하나 이상의 DoA들이 남아있는 경우, 프로세스는 S116에서 평가될 다음 DoA를 선택하고, S108 내지 S114가 반복된다. 일단 DoA들의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실제 추정 단계는 종료되고, BS는 UL 채널의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의 DoA들을 알게 되고, S1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UE로부터 BS로 향하는 UL 데이터 송신에 대하여 그에 따라 통신을 위해 자신의 다중 안테나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BS는,S1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을 UE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예를 들어,BS는 UE측에서 특정 널 출발-방향들과 관련된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의 서브캐리어 인덱스들을 알 수 있고,이러한 정보는 S120에서 UE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도 4의 S1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의 방향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빔포머들,예를 들어,광대역 빔포머들은, UE측에서 계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방식의 실시예에 따르면, BS는 BS와 UE 사이의 적절한 통신 방향들의 세트를 도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빔포머들을 계산할 수 있다. UE는 또한 단일 및 다중-스트림 수신을 위한 신호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표준 채널 추정 및 공간 수신 빔포밍, 예를 들어, MMSE 또는 ZF,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정 또는 사운딩 절차의 추가 실시예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BS에서, 수신된 신호 에너지는 UE로부터 BS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추정된다. 예들에 따르면, UE에는 많은 개수의 안테나들 구비될 수 있어서, 각각의 서브 캐리어는 신호 에너지가 메인 빔 포인팅 방향으로 고도로 집중되는 단일의 초-협소한(ultra-narrow) 또는 예리한(sharp) 빔에 매핑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각각의 빔 콘은
(a) 단일 반사 경로 컴포넌트와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b) 극히 소수의 채널 경로 컴포넌트들과 연관될 수 있거나, 또는
(c) 연관되는 경로 컴포넌트가 없을 수 있다.
서브캐리어-의존적 빔 콘들은 BS와 UE 사이의 통신 링크의 주어진/사용되는 신호 대역폭에 대하여 공간 도메인에서 동등하게 분포될 수 있는 비-동일한 빔 포인팅 방향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 따르면, 빔 콘들은 전체 공간 도메인의 특정 공간 영역만을 커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식의 실시예에 따라 BS와 UE 사이의 통신 방향을 추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200에서, 추정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도 4의 S100에서의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개시된다.
S202에서, BS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UE로부터 멀티-캐리어 신호를 수신한다. UE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또는 예리한 빔들의 포밍을 위한 상술한 많은 수의 안테나들을 제공함으로써 멀티-캐리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BS는 서브캐리어들에서 신호 에너지 검출을 수행한다. S204에서, BS는 UE로부터 수신된 멀티캐리어 신호의 서브캐리어들의 각각에서 신호 에너지를 추정하고, S206에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S208에서, BS는 선택된 서브캐리어에 대해 추정된 에너지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와 같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추정된 에너지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S210에서 서브캐리어가 통신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분한 신호 에너지가 서브캐리어에서 검출되면, UE 측에서의 이러한 특정 서브캐리어의 빔포머는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방향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향하도록 하고, 그리고 BS는 대응하는 방향에 대해 BS와 UE 사이의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도출한다.
선택된 서브캐리어 상의 추정된 에너지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S206에서 결정되는 경우, S212에서 서브캐리어가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BS가 선택된 서브캐리어에서 상당한 신호 에너지가 없음을 검출하는 경우, UE측에서 대응하는 DoD는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지 않다.
S214에서, 모든 또는 특정 수의 서브캐리어들이 프로세싱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되고, 프로세싱되지-않은 또는 평가되지-않은 서브캐리어들이 남아있는 경우, S216에서 다른 서브캐리어가 선택되고 S206 내지 S212에서의 추정이 반복된다.
추정 단계 후에, BS는 강한 반사 컴포넌트들의 서브캐리어 인덱스들을 알게 되며, S118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S2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의 안테나들을 그에 따라 적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S2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한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에 관한 정보가 UE로 시그널링되거나 피드백될 수 있고, UE는 S2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 안테나들을 그에 따라 적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BS로부터 UE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반사 채널 경로 컴포넌트들의 방향들로 스티어링되는(steering) 단일 또는 다수의 빔들, 예를 들어, 광대역 빔들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BS는 또한 BS의 다중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DoA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DoA 추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신호 에너지 검출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에서 BS에 의해 수행되는 DoA 추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의 프로세스는 추정을 개시하고, S202 내지 S204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BS에서 멀티-캐리어 신호를 수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서 신호 에너지를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S230에서, BS는 각 서브캐리어에 대한 DoA들을 추정하고 S232에서 DoA를 선택한다.
S234에서, 미리 정의된 제1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추정된 신호 에너지를 갖는 단일 서브-캐리어의 존재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단일 서브-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 S236에서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통신에 대하여 적합한 것으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채널 컴포넌트/반사 경로와 관련될 수 있는 선택된 DoA α에 대해, 단일 서브-캐리어에서 충분한 에너지가 검출되면, UE 측에서의 이러한 특정 서브캐리어의 빔포머는 자신의 신호 에너지를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출발 방향(DoD) β으로 정확하게 향하게 한다. BS는 BS에서의 DoA α 및 UE에서의 DoD β에 의해 기술된 통신 방향이 BS와 UE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도출한다.
제1 임계치를 초과하여 추정된 신호 에너지를 갖는 단일 서브-캐리어가 없는 경우, S238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 컴포넌트/반사 경로 컴포넌트들과 관련된 선택된 DoA α에 대하여, 다수의 이웃하는 서브-캐리어들 상에 충분한 신호 에너지가 있는지, 즉, 다수의 이웃하는 서브 캐리어들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에너지를 갖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1 임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이 참이면, 각각의 컴포넌트들은 S23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신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렇지 않으면, 선택된 DoA는 S2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신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채널 컴포넌트/반사 경로 컴포넌트들과 관련된 특정 DoA α에 대하여, 다수의 이웃하는 서브-캐리어들에서 충분한 신호 에너지가 검출될 때, UE 측의 대응하는 빔포머들은 자신의 신호 에너지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각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방향으로 향한다.
선택된 DoA의 평가/프로세싱에 이어, S242에서, S230에서 추정된 모든 DoA들 또는 특정 수의 DoA들이 평가 또는 프로세싱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평가/프로세싱될 필요가 있는 남아있는 DoA들이 존재하는 경우, S244에서 다음 DoA가 선택되고, S234 내지 S240에서 추정이 반복된다.
추정 단계 후, BS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들뿐만 아니라 라디오 채널의 강한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DoA들을 알게 되며,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S218에서 BS는 그에 따라 자신의 안테나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또한, S2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정보는 그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신의 다수의 안테나들을 적응시킬 수 있는 UE에 피드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E는 S22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UE에 의해 지시된 반사 채널 경로 컴포넌트들의 방향들로 스티어링되는, 광대역 빔들과 같은, 단일 또는 다중 빔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BS는 BS와 UE 사이의 적절한 통신 방향들의 세트를 도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운딩 절차, 예를 들어, UL 사운딩은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에 걸쳐 스캐닝-널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하프 공간(half space) 마다 단일 널을 포함하는 UE에서의 유효 빔포머에 매핑될 수 있다. 전체 공간 도메인은 이용 가능한 리소스들/서브캐리어들의 세트로 커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운딩 절차는 빔포머/널 설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측에서 단일 널을 포함하는 서브캐리어-의존적 빔포머들은 전체 각도 도메인의 특정 각도 구역을 더 높은 밀도로 커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BS는 증가된 해상도로 특정 각도 구역들에서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운딩 절차는 둘 보다 많은 UE 안테나들을 통해 널 스캐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UE에 M 개의 안테나들이 구비된 경우, 각각의 가능한 빔포머는 M-1개의 널들을 특정 방향들로 배치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의존적 빔포머들은, 예를 들어, 원하지 않는 강한 다중 경로 또는 LoS 경로 컴포넌트들이 제거되고 원하는 강한 반사 경로들 만이 라디오 채널에 남아 있도록 알려진 방향들로 M-2개의 널들을 향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BS는 나머지 경로 컴포넌트들의 DoA들을 더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UE에서 M > 2인 M 개의 송신기/수신기 체인들(206)(도 3(a) 참조)이 가정되며, 이는 다수개, 즉, M-1개의 널들을 설정함으로써 추가적인 반사 컴포넌트들을 제거하도록 허용한다. 특히, UE는 M-2개의 정적 또는 고정된 널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반면, 다른 널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도 도메인을 스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적/고정 널들의 배치는 UE와 대응하는 BS 사이에 공동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즉, 두 엔티티들 간에 교환되는 추가적인 신호화/피드백 메시지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 따르면, 정적/고정 널들의 배치는 UE에 의해 자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채널 사운딩/추정은 데이터 전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기준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고 송신된 신호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추정 프로세스를 위해 UE에 의해 BS에 제공되는 멀티 캐리어 신호는 멀티캐리어 신호로 인코딩된 표준 기준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사 컴포넌트 추정은 표준 기준 신호들, 즉, 업링크 방향으로 빔포밍된 CSI-RS 또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형태의 표준 기준 신호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 따르면, PUSCH는 개별/독립 반사 컴포넌트들이 추정되도록 채널 추정 절차가 변경되기 때문에 가능한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이, 예를 들어, 다수의 MCS 레벨을 사용하여, 견고한 방식으로 선택된다고 가정하면,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비(SINR)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하여 BS에서 최대화되지 않더라도, BS에서 페이로드의 에러-없는 디코딩이 보장될 수 있다.
BS에 의한 UE로의 반사 컴포넌트들의 시그널링에 관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의 단계 S116 및 S216에서, 실시예들에 따라, BS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BS는 독립적인 반사 컴포넌트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요구되는 컴포넌트들이 어느 서브캐리어들에서 사라졌는지 또는 단일 캐리어 또는 이웃하는 캐리어들 상에서 충분한 에너지가 어디서 이용가능하였는지를 UE에 통지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BS는 UE에 요구되는 출발 각도(AoD)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BS는 UE에 대한 대응하는 송신 방향들을 획득하고 각도들의 세트를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일 링크 마다 UL/DL 통신을 위한 랭크 인디케이션(rank indic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독립적인 반사 컴포넌트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BS는 min(수신 안테나들, 송신 안테나들, s)보다 적은 로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의 양으로 최대 수(s)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UE로부터 BS로의 업링크 통신을 위한 통신 방향이 설명되었지만, 추정된 통신 방향은 BS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다운링크 통신에 대한 도식적인 표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통신 방향 추정에 후속하여 다운링크 통신을 위한 BS에 의해 선택된 라디오 채널의 경로 컴포넌트들에 대한 도식적인 표현이다. 도 7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BS는 UE로의 직접 경로를 갖지 않으며,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추정에 기초하여, UE로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한 3 가지 방향들이 이용되며, 3가지 방향들 모두는 NLoS 경로들이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간 다중화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추정된 반사 컴포넌트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적인 반사 컴포넌트들에 대한 지식은 UE를 최소의 송신 안테나들 및 최소의 독립적인 반사 컴포넌트들로 공간 멀티플렉싱 모드로 서빙하기 위해 개별 데이터 스트림들을 UE에 공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운딩/추정은 두개의 안테나들에 기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이 BS와 UE 사이의 통신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방식은 그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두개의 UE들 사이의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위해, 통신 방향은 전술한 원리들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또한 둘 이상의 기지국들 간의 통신을 위해, 통신 방향은 전술한 원리들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식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추정 프로세스를 위한 동적 범위 연장은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직접 또는 LoS 컴포넌트가 제거되고 나머지 다중경로 컴포넌트들이 남도록,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둘 이상의 안테나들을 갖는 UE에게 단일 널을 설정하도록 통지함으로써 추가 측정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경우에, LoS 컴포넌트는 도미넌트 컴포넌트이며, 이러한 도미넌트 컴포넌트의 제거로 인해, 예를 들어, BS에서의 자동 이득 제어(AGC)의 적응에 기인하여, BS는 이제 더 높은 해상도로 다른 공간/반사 컴포넌트들을 수신하고 측정할 수 있다. 도미넌트 다중경로 컴포넌트들에 대해 유사한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고, 도미넌트한 이러한 다중경로 컴포넌트들이 식별되면, 더 높은 해상도로의 나머지 컴포넌트들의 프로세싱을 허용하도록 BS는 UE가 이러한 특정 방향으로 단일 널을 설정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설명된 개념의 몇몇 양상들이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 양상들은 또한 대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며, 여기서 블록 또는 디바이스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양상들은 또한 대응하는 장치의 대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본 개시 발명의 다양한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들을 사용하여 하드웨어로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에 의한 명령들의 실행을 통해, 소프트웨어로,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프로세싱 시스템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컴퓨터 시스템(300)의 예를 도시한다. 이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닛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3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3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인프라구조(304)에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300)은 메인 메모리(306),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2 차 메모리(308),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2차 메모리(308)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다른 명령들이 컴퓨터 시스템(300)으로 로딩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3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300)과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다른 신호들의 형태일 수 있다. 통신은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들, 전화선, 셀룰러 전화 링크, RF 링크 및 다른 통신 채널들(312)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이동식 저장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product)들은 컴퓨터 시스템(3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으로도 지칭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메인 메모리(306) 및/또는 보조 메모리(3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300)이 본 개시 발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302)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들과 같은 본 개시 발명의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300)의 제어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내용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에 저장되고, 통신 인터페이스(310)와 같은 인터페이스,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300)에 로딩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의 구현은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들이 그에 저장되어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 레이,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한다.(또는 협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가능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들을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머신 판독 가능 캐리어 상에 저장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들의 다른 실시예는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캐리어 상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들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이다. 예컨대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는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상에 설치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들 중 몇몇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BS, UE)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다중-안테나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상기 송신기(UE, BS)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beamformer)에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null) 및 빔 콘(beam cone) 방향들을 가짐 ― ; 및 상기 장치(BS) 및 상기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향은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된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반사(specular)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캐리어들 각각 상에서 상기 무선 채널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도달 방향들(DoAs)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특정 DoA와 관련된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페이딩되면/사라지면(fading/disappearing),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상기 통신 방향으로서 상기 특정 DoA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DoA와 관련된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다수 또는 모든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페이딩되거나/사라지거나 또는 다수 또는 모든 서브캐리어들 상에 존재하면, 상기 특정 DoA가 상기 송신기(UE)와의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해 적합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임계치(threshold)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상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의 페이딩/사라짐을 검출하고 그리고 제2 임계치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상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임계치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캐리어들 각각 상의 상기 무선 채널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신호 에너지를 검출하고, 그리고 특정 서브캐리어 상의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제1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1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특정 서브캐리어의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가 자신의 신호 에너지를 향하게 하는 방향(DoD)을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으로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서브 캐리어 상의 상기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특정 서브캐리어의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가 자신의 신호 에너지를 향하게 하는 특정 방향(DoD)을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에 대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캐리어들 각각 상의 상기 무선 채널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도달 방향들(DoAs)을 결정하고, 그리고 특정 DoA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 상에서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수의 이웃하는 서브-캐리어들 상의 상기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으로서 상기 특정 DoA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임계치에 있는 또는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에너지는 상기 신호 에너지가 상기 송신기(UE) 측에서 상기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의 방향으로 향하게 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UE)가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상기 송신기(UE)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DoA와 관련된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페이딩되는/사라지는 또는 상기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상기 제1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기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UE)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UE)에 대한 전송 방향들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기에 각도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채널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분석에 의존하여 통신을 위해 사용될 데이터 스트림들의 최대 개수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도록 상기 송신기(UE)로 시그널링함으로써 상기 통신 방향의 식별을 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UE)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방향의 상기 식별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장치에 의해 트리거(trigger)될 때, PDCCH를 이용하거나, 또는 송신기(UE)에 의해 트리거될 때, PUCCH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UE, BS)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기(BS)로 전송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치(BS) 및 상기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상기 수신기(BS, UE)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전체 각도 도메인에 걸쳐,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단일 널을 갖는 서브캐리어-빔포머에 매핑하거나, 또는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전체 각도 도메인의 특정 각도 구역(region)에 걸쳐,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단일 널을 갖는 서브캐리어-빔포머에 매핑하거나, 또는 각각의 서브캐리어 또는 각각의 서브캐리어들의 그룹을 특정 방향들에서 M-1 개의 널들을 갖는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하도록 구성되거나 ―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M 개의 안테나들이 사용됨― 또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마다 방사 방향의 특정 변화를 정의하도록 코드북(codebook)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표준 기준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상기 통신 방향의 식별 이후, 상기 프로세서는 파일럿 신호들의 이용없이 상기 수신기(BS)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 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 방향 식별의 프로세스를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1) 제1 단계에서, 상기 표준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방향의 제1 추정을 상기 수신기(BS)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2) 제2 단계에서, 상기 통신 방향의 제2 추정을 상기 수신기(BS)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추정은 상기 제2 추정보다 더 많이 코오스(coarse)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UCCH가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를 전달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BS, UE)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기(UE, BS)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상기 송신기(UE, BS)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 및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된 상기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식별하고,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에서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이 제거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를 조정하도록 상기 송신기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의 제거는 상기 장치가 더 높은 해상도로 나머지 경로 컴포넌트들을 수신/프로세싱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은 직접 LoS 경로 및/또는 감소하는 신호 에너지를 갖는 신호들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또는 제14항에 정의된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또는 제20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송신기(UE/BS); 및 제14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기(BS/U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무선 센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 및/또는 상기 수신기는 모바일 터미널, IoT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기반 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IFFT 기반 신호는 CP를 갖는 OFDM, CP를 갖는 DFT-s-OFDM, CP를 갖지 않는 IFFT-기반 파형들, f-OFDM, FBMC, GFDM 또는 UFM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송신기(UE)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및 장치(BS) 및 상기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통신 방향은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의 관련된 상기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식별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무선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기(BS)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 및 장치(BS)와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상기 수신기(BS)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식별된 통신 방향에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수신기(BS)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상기 송신기(UE)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 ; 상기 수신기(BS)에서,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되는 상기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이 제거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를 조정하도록 상기 송신기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computer program product)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개시 발명의 원리들을 위한 예시들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배치들 및 세부 사항들의 수정들 및 변형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 내용은 후술할 특허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설명 및 서술에 의해 제시된 특정 세부 사항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의도된다.

Claims (31)

  1. 장치(BS, UE)로서,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다중-안테나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상기 송신기(UE, BS)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beamformer)에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null) 및 빔 콘(beam cone) 방향들을 가짐 ― ; 및
    상기 장치(BS) 및 상기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방향은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된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반사(specular)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캐리어들 각각 상에서 상기 무선 채널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도달 방향들(DoAs)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특정 DoA와 관련된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페이딩되면/사라지면(fading/disappearing),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상기 통신 방향으로서 상기 특정 DoA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DoA와 관련된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다수 또는 모든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페이딩되거나/사라지거나 또는 다수 또는 모든 서브캐리어들 상에 존재하면, 상기 특정 DoA가 상기 송신기(UE)와의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해 적합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임계치(threshold)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상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의 페이딩/사라짐을 검출하고 그리고 제2 임계치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상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임계치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캐리어들 각각 상의 상기 무선 채널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신호 에너지를 검출하고, 그리고
    특정 서브캐리어 상의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제1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1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특정 서브캐리어의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가 자신의 신호 에너지를 향하게 하는 방향(DoD)을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으로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서브 캐리어 상의 상기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특정 서브캐리어의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가 자신의 신호 에너지를 향하게 하는 특정 방향(DoD)을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에 대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캐리어들 각각 상의 상기 무선 채널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도달 방향들(DoAs)을 결정하고, 그리고
    특정 DoA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 상에서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수의 이웃하는 서브-캐리어들 상의 상기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으로서 상기 특정 DoA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에 있는 또는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신호 에너지는 상기 신호 에너지가 상기 송신기(UE) 측에서 상기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의 방향으로 향하게 됨을 나타내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UE)가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상기 송신기(UE)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DoA와 관련된 반사 경로 컴포넌트가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페이딩되는/사라지는 또는 상기 검출된 신호 에너지가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상기 제1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기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기(UE)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UE)에 대한 전송 방향들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기에 각도들의 세트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채널의 상기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의 분석에 의존하여 통신을 위해 사용될 데이터 스트림들의 최대 개수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의 송신을 시작하도록 상기 송신기(UE)로 시그널링함으로써 상기 통신 방향의 식별을 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UE)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방향의 상기 식별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장치에 의해 트리거(trigger)될 때, PDCCH를 이용하거나, 또는 송신기(UE)에 의해 트리거될 때, PUCCH를 이용하는, 장치.
  14. 장치(UE, BS)로서,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기(BS)로 전송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에 매핑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지며,
    상기 장치(BS) 및 상기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상기 수신기(BS, UE)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통신 방향을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전체 각도 도메인에 걸쳐,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단일 널을 갖는 서브캐리어-빔포머에 매핑하거나, 또는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전체 각도 도메인의 특정 각도 구역(region)에 걸쳐, 각각의 서브캐리어를 단일 널을 갖는 서브캐리어-빔포머에 매핑하거나, 또는
    각각의 서브캐리어 또는 각각의 서브캐리어들의 그룹을 특정 방향들에서 M-1 개의 널들을 갖는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하도록 구성되거나 ― 상기 안테나 어레이의 M 개의 안테나들이 사용됨― 또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마다 방사 방향의 특정 변화를 정의하도록 코드북(codebook)이 제공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표준 기준 신호들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상기 통신 방향의 식별 이후, 상기 프로세서는 파일럿 신호들의 이용없이 상기 수신기(BS)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 방향 식별의 프로세스를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1) 제1 단계에서, 상기 표준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방향의 제1 추정을 상기 수신기(BS)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2) 제2 단계에서, 상기 통신 방향의 제2 추정을 상기 수신기(BS)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추정은 상기 제2 추정보다 더 많이 코오스(coarse)한,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UCCH가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를 전달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장치(BS, UE)로서,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 상기 안테나 어레이는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기(UE, BS)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상기 송신기(UE, BS)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 및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된 상기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식별하고,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에서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이 제거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를 조정하도록 상기 송신기로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의 제거는 상기 장치가 더 높은 해상도로 나머지 경로 컴포넌트들을 수신/프로세싱하도록 야기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은 직접 LoS 경로 및/또는 감소하는 신호 에너지를 갖는 신호들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또는 제14항에 정의된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시스템으로서,
    제1항 또는 제20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송신기(UE/BS); 및
    제14항의 장치를 포함하는 수신기(BS/UE)를 포함하는,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또는 무선 센서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또는 상기 수신기는 모바일 터미널, IoT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기반 신호를 사용하고, 상기 IFFT 기반 신호는 CP를 갖는 OFDM, CP를 갖는 DFT-s-OFDM, CP를 갖지 않는 IFFT-기반 파형들, f-OFDM, FBMC, GFDM 또는 UFMC를 포함하는, 시스템.
  28. 방법으로서,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송신기(UE)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및
    장치(BS) 및 상기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통신 방향은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의 관련된 상기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식별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9. 방법으로서,
    무선 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는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기(BS)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 및
    장치(BS)와 송신기(UE) 사이의 무선 신호 통신(BS-UE, UE-BS)을 위한 통신 방향을 식별하는 상기 수신기(BS)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식별된 통신 방향에 따라 무선 신호 빔포머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방법으로서,
    수신기(BS)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기(UE)로부터 다중-캐리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는 적어도 두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상기 송신기(UE)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로 매핑되며, 상기 각각의 서브캐리어-빔포머들은 비-동일한 널 및 빔 콘 방향들을 가짐 ― ;
    상기 수신기(BS)에서, 널 또는 최대 서브캐리어-빔포머와 관련되는 상기 무선 채널의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반사 경로 컴포넌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캐리어 신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미넌트 경로 컴포넌트들이 제거되도록 상기 서브캐리어-빔포머를 조정하도록 상기 송신기로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0227010769A 2017-04-28 2018-04-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KR102447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8791.6 2017-04-28
EP17168791 2017-04-28
KR1020197035078A KR102382838B1 (ko) 2017-04-28 2018-04-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PCT/EP2018/060381 WO2018197436A1 (en) 2017-04-28 2018-04-23 Specular component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78A Division KR102382838B1 (ko) 2017-04-28 2018-04-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079A true KR20220045079A (ko) 2022-04-12
KR102447632B1 KR102447632B1 (ko) 2022-09-27

Family

ID=586449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769A KR102447632B1 (ko) 2017-04-28 2018-04-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KR1020197035078A KR102382838B1 (ko) 2017-04-28 2018-04-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78A KR102382838B1 (ko) 2017-04-28 2018-04-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반사 컴포넌트 추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90265B2 (ko)
EP (1) EP3616332A1 (ko)
JP (2) JP7091364B2 (ko)
KR (2) KR102447632B1 (ko)
CN (1) CN110870217B (ko)
BR (1) BR112019022560A8 (ko)
WO (1) WO2018197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58754A1 (en) * 2017-02-02 2018-08-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tenna array codebook with beamforming coefficients adapted to an arbitrary antenna response of the antenna array
EP3588800A1 (en) 2018-06-29 2020-01-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tenna array codebook with beamforming coefficients adapted to an arbitrary antenna response of the antenna array
US10588089B1 (en) * 2018-09-21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calibration err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436A (ja) * 1999-05-03 2002-12-17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テナ・アレイ用のdoaの堅実な推定
KR20030007955A (ko) * 2000-06-12 2003-01-23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에프디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안테나를 사용하는장치 및 방법
KR20070057429A (ko) * 2005-12-02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안테나 빔 형성 방법및 장치
KR20080058805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20090080560A1 (en) * 2007-09-20 2009-03-26 Cisco Technology, Inc. Closed-loop 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110B2 (ja) * 2002-09-27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適応アンテナ無線通信装置
US7714782B2 (en) * 2004-01-13 2010-05-11 Dennis Willard Davis Phase arrays exploiting geometry phase and methods of creating such arrays
US8483200B2 (en) * 2005-04-07 2013-07-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mapping selection in MIMO-OFDM wireless networks
KR100869707B1 (ko) * 2007-01-25 2008-11-21 주식회사 네친구 다중 안테나를 갖는 이동/고정 릴레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WO2009109913A2 (en) * 2008-03-03 2009-09-11 Runcom Technologies Ltd. Low complexity user selection for sdma
US8059744B2 (en) * 2008-04-25 2011-11-15 Cisco Technology, Inc. Frequency band extrapolation beamforming weight compu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RU2366044C1 (ru) * 2008-06-16 2009-08-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амарский 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дио" (ФГУП СОНИИР)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адаптивной антенной решетки
US20090323777A1 (en) * 2008-06-26 2009-12-31 Yi-Pin Eric Wa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Signal Correlation Data in a Receiver
US8494073B2 (en) 2009-07-14 2013-07-23 Cisco Technology, Inc. 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using wideband multipath direction of arrival analysis
EP3544200B1 (en) * 2010-04-08 2023-09-06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s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deboo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ntennas
JP5230779B2 (ja) 2011-07-20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891347B2 (en) * 2011-07-28 2014-11-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User-focusing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601398B2 (ja) * 2013-05-13 2014-10-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0172135B2 (en) * 2014-04-09 2019-01-01 Idac Holdings, Inc. MMW physical layer downlink channel scheduling and control signaling
CN105991257B (zh) * 2015-01-23 2020-10-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滤波器组的信号生成、发送和接收方法及其装置
US10270547B2 (en) * 2015-03-12 2019-04-23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Method and apparatus for sinusoid detection
JP6510363B2 (ja) * 2015-08-07 2019-05-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436A (ja) * 1999-05-03 2002-12-17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テナ・アレイ用のdoaの堅実な推定
KR20030007955A (ko) * 2000-06-12 2003-01-23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에프디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안테나를 사용하는장치 및 방법
KR20070057429A (ko) * 2005-12-02 2007-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안테나 빔 형성 방법및 장치
KR20080058805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20090080560A1 (en) * 2007-09-20 2009-03-26 Cisco Technology, Inc. Closed-loop 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0265B2 (en) 2021-11-30
JP2022062270A (ja) 2022-04-19
KR102382838B1 (ko) 2022-04-05
CN110870217B (zh) 2023-06-13
WO2018197436A1 (en) 2018-11-01
BR112019022560A8 (pt) 2023-04-11
JP7407847B2 (ja) 2024-01-04
CN110870217A (zh) 2020-03-06
KR102447632B1 (ko) 2022-09-27
KR20200011945A (ko) 2020-02-04
EP3616332A1 (en) 2020-03-04
JP2020518193A (ja) 2020-06-18
JP7091364B2 (ja) 2022-06-27
BR112019022560A2 (pt) 2020-05-19
US20220085863A1 (en) 2022-03-17
US20200059289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7837A1 (en) Beam correspondence indication and bitmap for beam report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2813005B1 (en) Gain normalization correction of pmi and cqi feedback for base station with antenna array
EP3806376B1 (en) Interference measurements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for multi-user multiple-in multiple-out
US102054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ng a codebook for use with multiple antenna configurations
JP7407847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鏡面反射コンポーネントの推定
US9614600B2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860041B2 (en) Radio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8020543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20130223245A1 (en) Codebook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JP2019508934A (ja) 混合ビームフォーミング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20180254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plicit Feedback in the Uplink
CN114830561A (zh) 实施多个发送和接收天线的发送和接收方法和设备及对应计算机程序
JP7095080B2 (ja) 干渉を考慮したパケット送信
EP3542580B1 (en) Co-scheduling of wireless devices
CN109120321B (zh) 一种波束赋形的方法、装置、基站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53132B (zh) 用于无线通信的波束报告的波束对应指示和位图
CN111357355B (zh) 用于配置干扰测量参数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